KR102253123B1 - 교합면 성형키트 - Google Patents

교합면 성형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123B1
KR102253123B1 KR1020190122505A KR20190122505A KR102253123B1 KR 102253123 B1 KR102253123 B1 KR 102253123B1 KR 1020190122505 A KR1020190122505 A KR 1020190122505A KR 20190122505 A KR20190122505 A KR 20190122505A KR 102253123 B1 KR102253123 B1 KR 10225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
occlusal surface
tooth
pattern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823A (ko
Inventor
박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덴텍
박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덴텍, 박준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덴텍
Priority to KR102019012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1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97Artificial teeth; Making same characterised by occlusal profiles, i.e. chewing contact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3Apparatus for curing resins by radiation
    • A61C19/004Hand-held apparatus, e.g. gu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8Tooth pluggers or ham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합면 성형키트에 관한 것으로, 스탬프부; 상기 스탬프부 일측에 결합되며,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패턴부; 상기 스탬프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스탬프부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이 구비된 캐리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부는 치아에 의해 가압되어 치아의 교합면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 고화되며, 고화된 상기 패턴부는, 치아에서 충치가 제거된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스탬핑하여, 상기 충전재에 치아의 교합면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합면 성형키트 {Occlusal surface molding kit}
본 발명은 교합면 성형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패턴부에 치아 교합면 패턴을 형성한 이후에, 치아 교합면이 형성된 패턴부로 치아에서 충치가 제거된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스탬핑하여 충전재에 자연 치아의 교합면을 형성시킬 수 있는 교합면 성형키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의 충치 치료(cavity filling)란 치아 우식증(충치)으로 인해 치아 경조직의 손상이 있을 경우, 치과용 재료를 충전하여 치아의 기능이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이다.
치아 경조직의 수복(우식으로 손상된 치아를 회복)을 위해서는 적절한 와동 형성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충치 치료 시 충치 치아의 일부를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와동 형성이라 함은, 치아의 손상을 형태, 기능, 심미적으로 적절히 수복할 수 있도록 치아를 기계적으로 변형하는 작업을 말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구멍을 와동이라 한다.
치아의 와동 형성에는 손상 받은 치아의 구조나 우식을 일으키는 세균이나 기존 수복을 삭제하는 행위가 포함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와동에는 충전재가 충전될 수 있다.
와동에 충전되는 충전재는 아말감, 광중합형 레진, 자기중합형 레진, 글래스 아이오노머, 금 인레이, 레진 인레이, 지르코니아(zirconia) 등이 있으며, 비용, 심미적인면, 우식 정도, 환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적절한 충전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와동에 충전재를 충전하는 치과 치료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자연 치아는 상, 하부의 치아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치아 교합면을 형성하고 있는데, 와동에 충전재를 충전하는 치과 치료방법은 치료된 치아에 교합면을 성형시키는 작업이 전혀 진행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일각에서는 치료자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충전재를 깎거나 갈아서 치아의 교합면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자연 치아의 치아 교합면을 그대로 복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자연 치아의 치하 교합면은 사람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데, 종래의 치과 치료방법으로는 서로 다른 교합면을 가지는 사람의 자연 치아 교합면을 그대로 복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1. 미국 특허공보 US 5,890,896 (1999.04.06.)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4790호(2016.08.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패턴부에 치아 교합면 패턴을 형성한 이후에, 치아 교합면이 형성된 패턴부로 치아에서 충치가 제거된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스탬핑하여 충전재에 자연 치아의 교합면을 형성시킬 수 있는 교합면 성형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합면 성형키트는, 스탬프부; 상기 스탬프부 일측에 결합되며,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패턴부; 상기 스탬프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스탬프부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이 구비된 캐리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부는 치아에 의해 가압되어 치아의 교합면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 고화되며, 고화된 상기 패턴부는, 치아에서 충치가 제거된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스탬핑하여, 상기 충전재에 치아의 교합면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합면 성형키트의 상기 패턴부는 광조사에 의해 고화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합면 성형키트의 상기 스탬프부의 일측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합면 성형키트의 상기 패턴부는, 상기 스탬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합면 성형키트의 상기 스탬프부의 일측에는 상기 스탬프부 내부방향으로 파여진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패턴부는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되, 상기 패턴부의 일측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합면 성형키트의 상기 삽입홈에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합면 성형키트의 상기 스탬프부의 타측에는 상기 스탬프부 내부방향으로 파여진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부의 상기 핸들 일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합면 성형키트의 상기 결합홈은 상기 스탬프부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패턴부에 치아 교합면을 형성한 이후에 고화시키고, 치아 교합면이 형성된 고화된 패턴부를 통해 치아에서 충치가 제거된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스탬핑함에 따라 충전재에 자연 치아의 교합면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자연 치아의 교합면을 그대로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탬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탬프부에 패턴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탬프부에 패턴부가 결합되면서 스탬프부에 캐리어부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스탬프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 패턴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키트를 이용한 충치 치료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치아의 교합면이 형성된 패턴부와 치아에서 충치가 제거된 부분에 충전재가 채워진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치아의 교합면이 형성된 고화된 패턴부를 통해 충전재를 스탬핑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키트는 스탬프부(110), 패턴부(120), 캐리어부(130)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스탬프부(110)는 교합면 성형키트의 본체부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스탬프부(110)는 상기 패턴부(120)와 상기 캐리어부(1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탬프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패턴부(1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탬프부(110)의 타측에는 상기 캐리어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탬프부(110)는 상기 패턴부(120)와 상기 캐리어부(1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사각블록이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탬프부(110)는 상기 패턴부(120)와 상기 캐리어부(1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탬프부(110)의 재료는 투명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탬프부(110)는 상기 패턴부(120)와 상기 캐리어부(1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패턴부(120)는 상기 스탬프부(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부(120)는 상기 스탬프부(110)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치아에 의해 가압되어 치아의 교합면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패턴부(120)는 가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부(120)는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임시 충전재인, light curing temporary filling material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패턴부(120)는 치아에 의해 가압되어 치아의 교합면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 고화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패턴부(120)는 다양한 방법으로 고화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20)는 광조사에 의해 고화될 수 있으며, 상기 패턴부(120)는 치아의 교합면이 형성된 이후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화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패턴부(120)를 고화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패턴부(120)의 재질에 따라 고화방법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패턴부(120)는 상기 스탬프부(1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패턴부(120)는 상기 스탬프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20)를 상기 스탬프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면, 상기 패턴부(120)만을 교체하여 교합면 성형키트를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패턴부(120)는 한 명의 치료자의 치아 교합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한 명의 치료자에게 상기 패턴부(120)를 사용한 이후에는, 상기 패턴부(120)를 교체함으로써 다른 치료자에게 교합면 성형키트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패턴부(120)를 상기 스탬프부(110)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스탬프부(110)의 일측에는 요철(1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패턴부(120)는 점착력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패턴부(120)를 상기 스탬프부(110)의 일측에 부착시켜서 상기 패턴부(120)를 상기 스탬프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부(120)가 결합되는 상기 스탬프부(110)의 일측이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패턴부(120)가 상기 스탬프부(110)에서 쉽게 탈착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탬프부(110)의 일측에는 요철(111)이 형성되면서, 상기 스탬프부(110)의 일측은 울퉁불퉁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캐리어부(130)는 상기 스탬프부(110)와 연결되면서 상기 스탬프부(110)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13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캐리어부(130)는 교합면 성형키트의 사용자가 상기 스탬프부(110) 및 상기 패턴부(120)를 이동시키거나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캐리어부(130)는 상기 스탬프부(1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캐리어부(130)를 상기 스탬프부(110)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스탬프부(110)의 타측에는 상기 스탬프부(110) 내부방향으로 파여진 결합홈(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리어부(130)의 상기 핸들(132) 일측에는 상기 결합홈(112)에 대응되어 상기 결합홈(112)에 끼워지는 결합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132)의 구비된 상기 결합부(131)를 상기 스탬프부(110)의 상기 결합홈(112)을 끼움에 따라 상기 스탬프부(110)와 상기 캐리어부(130)를 연결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스탬프부(110) 및 상기 패턴부(120)를 상기 캐리어부(130)의 상기 핸들(132)을 통해 핸들링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112)은 상기 스탬프부(110)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1)는 상기 결합홈(1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131)도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홈(112)을 상기 스탬프부(110)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면, 상기 결합부(131)를 상기 결합홈(112)에 쉽게 연결시키면서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31)의 너비는 상기 결합홈(112)의 너비보다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결합부(131)를 상기 결합홈(112)에 억지끼움하여 상기 스탬프부(110)와 상기 캐리어부(130)를 연결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결합홈(112)과 상기 결합부(1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탬프부(110)와 상기 캐리어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스탬프부(110)의 일측에 상기 패턴부(120)를 결합시키고, 상기 스탬프부(110)의 타측에 상기 캐리어부(130)를 연결시키면, 도 4와 같이 상기 캐리어부(130)를 통해 상기 스탬프부(110)와 상기 패턴부(120)를 핸들링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키트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상기 캐리어부(130)의 상기 핸들(132)을 통해 상기 패턴부(120)를 치아(10)에 부착시키면서 가압할 수 있으며, 상기 패턴부(120)가 상기 치아(10)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패턴부(120)에 치아의 교합면(11)이 형성된다.
상기 패턴부(120)는 치아(10)에 의해 가압되어 치아의 교합면(11)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 고화되며, 고화된 상기 패턴부(120)는 치아에서 충치가 제거된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재(20)를 스탬핑하여 상기 충전재(20)에 치아의 교합면(11)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스탬프부(110)에 상기 결합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캐리어부(130)에 상기 결합부(131)를 형성하여 상기 스탬프부(110)를 상기 캐리어부(130)에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탬프부(110)에는 결합 돌출부(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리어부(130)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113)가 끼워지는 홈이 구비되면서 상기 스탬프부(110)와 상기 캐리어부(130)가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탬프부(110)와 상기 캐리어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면 다양한 연결구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탬프부(110)에 상기 패턴부(120)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스탬프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스탬프부(110) 내부방향으로 파여진 삽입홈(11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패턴부(120)는 상기 스탬프부(11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114)에 끼워지면서 상기 스탬프부(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패턴부(120)를 상기 스탬프부(11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패턴부(120)는 상기 삽입홈(114)에 끼워지면서 결합되되, 상기 패턴부(120)의 일측은 상기 삽입홈(114)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부(120)는 치아의 교합면(11)을 형성하기 위해 치아(10)에 접촉되어야 한다. 상기 패턴부(120)의 일측이 상기 삽입홈(114)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면, 상기 패턴부(120)를 치아(10)에 접촉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패턴부(120)의 일측은 상기 삽입홈(114)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114)에는 상기 스탬프부(110)와 상기 패턴부(1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돌기(115)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돌기(115)는 상기 삽입홈(114) 내면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느 것으로, 복수 개의 상기 돌기(115)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스탬프부(110)와 상기 패턴부(12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키트의 상기 패턴부(120)는 치아(10)에 의해 가압되어 치아의 교합면(11)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 고화되는 것으로, 고화된 상기 패턴부(120)를 통해 치아(10)에서 충치가 제거된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재(20)를 스탬핑하여, 상기 충전재(20)에 치아의 교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키트를 이용한 충치 치료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키트를 이용한 충치 치료방법은 교합면 형성 단계(S100), 고화 단계(S200), 충치 제거 단계(S300), 충전 단계(S400), 스탬핑 단계(S500)를 포함한다.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키트를 이용한 충치 치료방법에 사용되는 교합면 성형키트는 상술한 교합면 성형키트와 동일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교합면 형성 단계(S100)는 상기 패턴부(120)를 치아로 가압하여 상기 패턴부(120)에 치아(10)의 교합면(11)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교합면 성형키트 사용자는 상기 캐리어부(130)의 상기 핸들(132)을 사용하여, 상기 패턴부(120)를 치아(10) 접촉시키면서 상기 패턴부(120)에 힘을 가한다.
상기 패턴부(120)는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패턴부(120)를 치아(10)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패턴부(120)에 힘을 가하면, 상기 패턴부(120)는 치아(10)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패턴부(120)에 치아(10)의 교합면(11)이 형성된다.
상기 고화 단계(S200)는 치아(10)의 교합면(11)이 형성된 상기 패턴부(120)를 고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패턴부(120)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패턴부(120)를 고화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패턴부(120)는 광을 조사하여 고화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패턴부(120)의 물질에 따라 상기 패턴부(120)를 고화시키는 방법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충치 제거 단계(S300)는 우식증(충치)으로 손상된 치아(10)를 치료하기 위해, 치아(10)에서 충치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우식증(충치)으로 손상된 치아(10)에서 충치를 제거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충전 단계(S400)는 치아(10)에서 충치가 제거된 부분에 충전재(20)를 채우는 단계이다. 우식증(충치)으로 손상된 치아(10)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충전재(20)로는 아말감, 광중합형 레진, 자기중합형 레진, 글래스 아이오노머, 금 인레이, 레진 인레이, 지르코니아(zirconi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전재(20)는 도 7과 같이 치아(10)에서 충치가 제거된 부분에 채워질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충전재(20)는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고화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키트를 이용한 충치 치료방법은 상기 충전재(20)가 고화되기 전에, 치아(10)의 교합면(11)이 형성된 상기 패턴부(120)로 상기 충전재(20)를 스탬핑 하여 상기 충전재(20)에 치아(10)의 교합면(11)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탬핑 단계(S500)는 고화된 상기 패턴부(120)를 치아(10)에 채워진 상기 충전재(20)에 스탬핑하여 상기 충전재(20)에 치아(10)의 교합면(11)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교합면 성형키트 사용자는 상기 캐리어부(130)의 상기 핸들(132)을 통해 고화된 상기 패턴부(120)를 상기 충전재(20)에 접촉시키면서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충전재(20)는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화된 상기 패턴부(120)를 상기 충전재(20)에 접촉시키면서 힘을 가하면, 상기 충전재(20)는 고화된 상기 패턴부(120)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충전재(20)에 치아(10)의 교합면(11)이 형성된다.
상기 충전재(20)에 치아(10)의 교합면(11)이 형성되면, 상기 캐리어부(130)의 상기 핸들(132)을 통해 고화된 상기 패턴부(120)를 제거하고, 상기 충전재(20)를 고화시킴에 따라 충치 치료가 완료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키트 및 이를 이용한 충치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키트 및 이를 이용한 충치 치료방법은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패턴부에 치아 교합면을 형성한 이후에 고화시키고, 치아 교합면이 형성된 고화된 패턴부를 통해 치아에서 충치가 제거된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스탬핑함에 따라 충전재에 자연 치아의 교합면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자연 치아의 교합면을 그대로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키트 및 이를 이용한 충치 치료방법은, 치료를 받는 사람의 치아의 교합면을 패턴부에 그대로 형성시키고, 이를 통해 충전재에 자연 치아의 교합면을 형성시킴에 따라 사람마다 다르게 형성된 치아 교합면을 그대로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키트는, 패턴부를 스탬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함에 따라 스탬프부에서 패턴부만을 교체하여 교합면 성형키트를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치아 11...교합면
20...충전재 110...스탬프부
111...요철 112...결합홈
113...결합 돌출부 114...삽입홈
115...돌기 120...패턴부
130...캐리어부 131...결합부
132...핸들
S100...교합면 형성 단계
S200...충치 제거 단계
S300...고화 단계
S400...충전 단계
S500...스탬핑 단계

Claims (8)

  1. 치아의 충치 치료에 사용되는 성형키트에 있어서,
    스탬프부;
    상기 스탬프부 일측에 결합되며, 가압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패턴부;
    상기 스탬프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스탬프부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이 구비된 캐리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부는 치아에 의해 가압되어 치아의 교합면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 고화되며,
    고화된 상기 패턴부는, 치아에서 충치가 제거된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스탬핑하여, 상기 충전재에 치아의 교합면을 형성시키며,
    상기 스탬프부의 일측에는 요철이 형성되거나,
    상기 스탬프부의 일측에는 상기 스탬프부 내부방향으로 파여진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되, 상기 패턴부의 일측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광조사에 의해 고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키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스탬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키트.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부의 타측에는 상기 스탬프부 내부방향으로 파여진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부의 상기 핸들 일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스탬프부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키트.


KR1020190122505A 2019-10-02 2019-10-02 교합면 성형키트 KR102253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505A KR102253123B1 (ko) 2019-10-02 2019-10-02 교합면 성형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505A KR102253123B1 (ko) 2019-10-02 2019-10-02 교합면 성형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823A KR20210039823A (ko) 2021-04-12
KR102253123B1 true KR102253123B1 (ko) 2021-05-14

Family

ID=7544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505A KR102253123B1 (ko) 2019-10-02 2019-10-02 교합면 성형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1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9225A (ja) 2006-11-11 2008-05-29 Narifumi Sugimoto 歯形形成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人工歯冠の形成方法
KR101644790B1 (ko) * 2015-04-10 2016-08-0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KR101715751B1 (ko) 2015-08-28 2017-03-2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큐링 겸용 캐리어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149A (ja) * 1995-11-02 1997-05-13 Tonami Ikuta 歯科用樹脂原型の歯冠用樹脂殻体
ES2123415B1 (es) 1996-03-15 1999-07-01 Castro Padial Jose Jesus Aparato para aplicacion de un material de impresion a la superficie oclusal de los dientes.
KR20050003888A (ko) * 2003-07-04 2005-01-12 박준철 치아교합면 음형
KR101787808B1 (ko) * 2014-03-14 2017-10-1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광중합형 치과용 수복재 조성물
KR102032029B1 (ko) * 2017-11-28 2019-11-08 이형우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적을 위한 패턴 레진 성형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9225A (ja) 2006-11-11 2008-05-29 Narifumi Sugimoto 歯形形成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人工歯冠の形成方法
KR101644790B1 (ko) * 2015-04-10 2016-08-0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KR101715751B1 (ko) 2015-08-28 2017-03-2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큐링 겸용 캐리어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823A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3152A (en) Combination matrix and interproximal sanding device
US20130029285A1 (en) Orthodontic attachment device systems and methods
NO871318L (no) Matrisebaand.
JP5276786B2 (ja) 歯形形成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人工歯冠の形成方法
KR200446323Y1 (ko) 치과 교정의 간접법에 있어서 브래킷의 트랜스퍼 트레이
KR101100540B1 (ko) 고정성 교정장치의 간접부착방법
KR102253123B1 (ko) 교합면 성형키트
CN109998705A (zh) 一种口腔瓷贴面精准粘接导板及其制作方法
KR20070104661A (ko) 치아용 보철물 및 제공 방법
US5697787A (en) Dental inserts
US5695340A (en) Dental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JP6666609B2 (ja) 顎に吸着する義歯
JP2013048664A (ja) 歯科用治療具の製造方法と、歯科用治療具用支持材と、歯科用治療具
KR101644790B1 (ko)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JP2008012182A (ja) 有床義歯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光重合樹脂製シート材
JP5469639B2 (ja) 歯科用治療具
US7381055B2 (en) Dental devices used for filling cavities with composite material
JP4331267B2 (ja) 歯科治療時における充填材料の挿入手段
CN209751252U (zh) 隐形正畸附件导板和附件导板及预成附件成套品
KR20190061954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적을 위한 패턴 레진 성형키트
JP2010131181A (ja) マウスガードの製造方法
US5358406A (en) Method for adapting and implanting a dental porcelain chip, and the chip
KR101478208B1 (ko) 지르코니아-레진 인레이 및 그 제조방법
EP0938875A2 (en) Dental prosthesis support and method for its application
US6257885B1 (en) Method and an instrument for filling an occlusal surface of a molar or premo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