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16792A1 - 보철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보철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16792A1
WO2018016792A1 PCT/KR2017/007417 KR2017007417W WO2018016792A1 WO 2018016792 A1 WO2018016792 A1 WO 2018016792A1 KR 2017007417 W KR2017007417 W KR 2017007417W WO 2018016792 A1 WO2018016792 A1 WO 20180167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osthesis
removal device
hole
diamet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74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4691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09302A/ko
Application filed by 이지원 filed Critical 이지원
Publication of WO20180167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167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0Straight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6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sthesis remov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sthesis removal device that can remove the prosthesis on the teeth without damaging the surrounding teeth.
  • Prosthesis means a metallic alloy that damages a tooth or covers a tooth after treatment by caries to replace the tooth.
  • the tongs type is a scissors-shaped device to support one side of the teeth to support one side of the teeth, the other to raise the other side of the teeth to remove the prosthesis.
  • the tong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orted surface slips to impact other teeth or cannot support the teeth properly.
  • the hook type removes the prosthesis by the impact of the hit by hooking the hook to the bottom edge of the prosthesis.
  • the impact damages the teeth or gums.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94770 includes a prosthesis removal tip and a hitting body having a hook shape, and a prosthesis removing tip removes the prosthesis by hitt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hitting body.
  • the eliminator is described.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90175 is to place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bar in the hole drilled in the prosthesi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 the inner and outer engaging piece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rosthesis, the pressure rod through the hole of the prosthesis
  • a dental prosthesis remover is described that removes a prosthesis from a tooth while the inner and outer locking pieces move upwards during movement.
  •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32228 describes a prosthesis removal device which inserts a tab-shaped tool into a prosthesis and removes a prosthesis bitten by a cutting edge of the tool by a rotational reaction force of the tool supported on the tooth surface.
  • the conventional prosthesis remover described above may be damaged by impacting not only the teeth covered with prostheses, but also the surrounding teeth and gums by hitting the hooks.
  • the pressure bar is a reaction force against the force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
  • the locking piece to lift the outer surface of the prosthesi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 is damaged by the pressure rod, or the locking pie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rosthesis to fix the prosthesis with excessive for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sthesis removal device that can simply and easily remove the prosthesis on the teeth.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sthesis removal device that can prevent the impact and damage to the teeth and gums when the prosthesis is removed.
  • a prosthesis removal device for removing a prosthesis of a tooth comprising: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a hole previously formed in the prosthesis; Is formed extending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thread diameter of the thread is formed more than the hole diameter and less than the value of the hole diameter plus 0.3mm, screw portion for screwing the prosthesis by rotation ; A coupling part formed on the screw part and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of the rotary tool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screw part; A body portion formed between the screw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A coupling hole formed through the body to insert a safety strap for preventing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from being separated during the prosthesis removal operation; Prosthesis removal device comprising a discharge groove formed toward the top from the lower e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to discharge dust generated when the screw portion and the prosthesis is combined.
  • the screw portion is formed in a constant diameter.
  • the screw portio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is made of a light-receiving narrow.
  • the screw portion, the lower end is formed to be smaller in diameter toward the bottom.
  •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s a curved portion convex toward the bottom.
  • the inserting portion includes a curved portion having a central portion convex toward the lower portion and a taper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outside of the central portion.
  • the insertion portion, the threaded portion of the threaded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tapered portion, the bone diameter formed in the tapered portion, the bone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hole diameter, the out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hole diameter.
  • the body portion is formed of a lower body portion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portion, and an upper body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the lower body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5 ° ⁇ 70 ° from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
  • the axial length ratio of the screw portion and the lower body portion is 6: 4 to 8: 2.
  • the lower body portion, the threaded portion of the screw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lower body portion.
  • the coupling portion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body having the same axis of rotation as the screw portion, the rotating member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adjacent to an upp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 the rotation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a fitting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hole.
  • a pin inserted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and the pin insertion hole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hole and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 the coupling portion has a cutting surface cut by a vertical plane parallel to the rotation center axis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having the same rotation center axis as the threaded portion, the rotating member corresponds to the coupling portion It is made of a shape.
  • the body, the groov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ther than the cut surface.
  •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iameter of the screw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r the coupling portion It further includes.
  •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by numb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 the display unit is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strip-shaped grooves formed around the body portion.
  • the discharge groove,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ength of 5% to 20% with respect to the entir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screw portion.
  • the prosthesis on the tooth can be easily and simply removed to provide the user's convenienc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impact and damage to the teeth and gums when removing the prosthesis can prevent the rejection and fear of the pat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crew portion is made up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er, even if the hole formed in the prosthesis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portion is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screw portion can be securely supported to remove the prosthesis.
  •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screw portion can facilitate the work in a narrow space in the oral cavity.
  •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the safety strap with a coupling h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during the prosthesis removal operation to prevent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is introduced into the airway of the pat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por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diameter of the screw portion.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portion 'A'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portion 'A' of FIG.
  •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portion 'A' of FIG. 1 in another form
  •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portion 'B' of FIG. 1.
  •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strap is coupl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display portion of the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portion 'D' of FIG. 9.
  •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prosthesi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strap is coupl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tooth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a prosthesis covered by a tooth;
  • FIG. 14 is a tooth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prosthesis.
  • 15 is a view illustrating a portion 'E' of FIG. 14.
  • FIG. 16 is a tooth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prosthesis.
  • 17 is a tooth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sthesis is spaced from a tooth by the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ertion portion of a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ertion portion of a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 plan view showing a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front view showing a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plan view showing a prosthesi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4 is a bottom view of a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5 is a front view of a rotary tool coupled to the prosthesis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6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 rotary tool coupled to the prosthesis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and the rotary tool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prosthesis remov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and the components of each embodiment are basically the sam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some configurations.
  •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operation will be us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 Prosthesis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removing the prosthesis on the teeth, while preventing the impact and damage to the teeth and gums can be easily and simply remove the prosthesis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the patient feeling rejection and fear
  •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can be dislodged during the prosthesis removal operation while preventing the triggering, thereby preventing a dangerous situation entering the patient's airway.
  • Prosthesis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8, the insertion portion 10, the screw portion 20, the body portion 30, the coupling portion 40, coupling It consists of the hole 50 and the display part 60.
  • Insertion portion 1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w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hole 310 previously formed in the prosthesis 30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crew portion 20 prosthesis 300 It may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hole 310 of the.
  • the insertion part 10 stops the insertion of the prosthesis removal apparatus 100 when the prosthesis removal apparatus 100 is inserted into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by rotation, and then contacts the surface of the tooth 400. And rotate at the surface of the tooth 400.
  • the insertion portion 10 is preferably formed as a convex curved portion toward the bottom.
  • Screw portion 20 is formed to exten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0 is screwed with the prosthesis 300. That is, while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100 is inserted into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by rotation, the screw portion 20 is screwed with the prosthesis 300, and the insertion portion 10 of the tooth 400 From the moment it contacts the surface, the prosthesis 300 is lifted along the threaded portion 20 and spaced apart from the tooth 400.
  • the valley diameter of the screw portion 20 is called 'D 1 '
  • the outer diameter is called 'D 2 '.
  • the threaded portion 20 is threaded for engaging the prosthesis 300 is threa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in bone diameter of the screw thread (D 1) is a hole (310) diameter of the prosthesis 300 (D 6) above, the holes (310 ), preferably a diameter (defined to less than 0.3mm plus the value in D 6).
  • the thread of the screw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to form a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310 and is easily screwed with the prosthesis 300.
  • the valley diameter (D 1 ) of the thread is less than the diameter (D 6 ) of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the threaded portion 20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sthesis 300, and thus it is difficult to form a thread in the hole 310. If the valley diameter (D 1 ) of the thread exceeds the value of 0.3 mm plus the diameter (D 6 ) of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the thread portion 20 is too large than the hole 310, so the hole 310 Cannot be easily inserted.
  • the diameter of the threaded portion 20 is constant so that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is constant, and the valley diameter of the threaded portion 20 is represented by 'D 1 ', and the outer diameter is represented by 'D 2 '.
  • the screw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after the insertion portion 10 and screwed thereto.
  • the prosthesis 300 is screwed. It is lifted along the thread of 2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ooth 400.
  •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readed portion 20 may be mad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the threaded portion 20 may be formed to de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bottom.
  • the lower end of the screw portion 20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that is smaller toward the bottom, as shown in Figure 4, the lower end of the screw portion 20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lower Can be.
  • Body portion 30 is formed between the screw portion 20 and the coupling portion 40, and consists of a lower body portion 31 and the upper body portion (32).
  • the lower body portion 31 is formed to exte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portion 20,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is made of a light beam narrowing, the maximum diameter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is represented by 'D 3 '.
  • the hole 310 becomes large in the process of screwing the threaded portion 20 and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threaded portion 20 and the hole 310, so that the diameter D of the threaded portion 20 is increased. 1 ) may not support the prosthesis 30 in size. Therefore, since by providing more and increasing the diameter (D 3)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from the diameter (D 1) of the threaded portion 20,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by clamping the strengthening Even when the diameter D 6 of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becomes large during the insertion of the screw portion 20, the prosthesis 300 may be sufficiently supported and lifted up. In addition, it may serve as a stopper for preventing excessive rise of the prosthesis 30 lifted along the screw portion 20.
  • the lower body portion 31 forms an inclination angle ⁇ 1 inclined by 5 ° to 70 ° from the rotational central axis C of the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100. If the inclination angle ⁇ 1 is less than 5 °,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lower body portion 31 from excessively rising the prosthesis 300 is weak. If the inclination angle ⁇ 1 is greater than 70 °, the thread part 20 and the lower part are inclined. The slope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1 can be easily broken due to a sharp change,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as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increases, the prosthesis 300 is moved by the lower body portion 31. Difficult to support
  • the axial length (d 2) the ratio of the axial length (d 1) and the lower body portion 31 of the male screw 20 is 6: preferably set to be 2: 4-8. That is, the axial length ratio of the screw portion 20 to the screw portion 20 and the lower body portion 31 is preferably set to 60% to 80%.
  • the ratio of the threaded portion 20 is less than 60%,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rtion 20 is relatively short and the length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is long, so that the prosthesis 300 cannot be sufficiently lifted along the threaded portion 20, and the threaded portion
  • the ratio of 20 exceeds 80%, the length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becomes too short,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 proper inclination angle on the lower body portion 31.
  • the upper body portion 32 is formed to exte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the diameter (D 4 ) of the upper body portion 32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maximum diameter (D 3 )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coupling part 40 to the threaded part 20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and the axial length of the upper body part 32 is represented by 'd 3 '.
  • Coupling portion 4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body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of the rotary tool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screw portion (20).
  • Coupling portion 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42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body 41 having the same rotation center axis (C) as the threaded portion (20).
  • the plurality of grooves 42 may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by widening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rotating member of the rotary tool, and as shown in FIG. 6,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42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rotary member of the rotary tool Desorption of the coupling portion 40 can be facilitated.
  • the rotating memb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40.
  • the plurality of grooves 42 formed in the body 41 can facilitate the detachment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coupling portion 40 while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ember to the coupling portion 40.
  • the diameter (D 5 ) of the body 41 is formed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D 4 ) of the body portion 30 occupies a narrow space can be easily worked even in the narrow oral cavity of the patient.
  •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 may be divided into a contact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dy 41 and an exposed surface formed by the diameter (D 4 ) of the body portion 30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D 5 ) of the body 41.
  • the exposed surface may serve as a stopper for limiting the lowering of the rotating member wh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coupling part 40 are coupled.
  • Coupling hole 50 is a hole formed through the body portion 30,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100 is removed during the removal of the prosthesis 300 safety strap for preventing a dangerous situation flowing into the patient's airway (200) ) Is inserted.
  • the coupling hole 50 has a lower body portion 31 formed therethrough, and is formed through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afety strap 200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0 by the user's hand or wrist or the like. It is fixed to a rotary tool used by the user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prosthesis removal apparatus 100.
  • the coupling hole 50 may be formed with a diameter of 0.3mm ⁇ 1.5mm, the dental floss, etc. may be used as the safety strap 200.
  • the display unit 60 displays the diameter of the threaded portion 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 or the coupling portion 40.
  • the display unit 60 displays the diameter size of the screw unit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unit 40 as a number, and may display the material of the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100 together.
  •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e diameter size of the screw portion 20,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use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100 having a screw portion of the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number displayed on the prosthesis 300.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descriptions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9 through 12 based on components having a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 the prosthesis removal apparatus includes an insertion part 10, a screw part 20, a body part 30, a coupling part 40, a coupling hole 50, and a display part 60.
  • Insertion portion 10 is formed as a convex curved portion toward the bottom.
  • Screw portion 20 is formed extending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0 is screwed with the prosthesis 300, the bone diameter is called 'D 1 ', the outer diameter is called 'D 2 '.
  • Body portion 30 is composed of a lower body portion 31 and the upper body portion (32).
  • the lower body portion 31 is formed to exte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portion 20,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hread of the screw portion 2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is made of a light beam narrow, the maximum diameter Is represented by 'D 3 '.
  • the prosthesis 300 lifted along the thread of the threaded part 20 may further rise along the thread formed in the lower body part 31.
  • the lower body portion 31 forms an inclination angle ⁇ 2 which is inclined from 5 ° to 70 ° from the rotational central axis C of the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100, and the axial length d of the threaded portion 20 is d. 1 ) and the ratio of the axial length d 2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is preferably set to 6: 4 to 8: 2.
  • the upper body portion 32 is formed to exte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the lower diameter of the upper body portion 32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maximum diameter (D 3 )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the lower body It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part 31, the upper diameter (D 4 ) of the upper body portion 32 is formed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D 3 )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patient It can be easily worked in the oral cavity.
  • Coupling portion 4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body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of the rotary tool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screw portion (20).
  • the coupling portion 40 is a vertical surface (H) parallel to the rotation center axis (C)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41 having the same rotation center axis (C) as the threaded portion (20) An incision surface 43 cut by is formed.
  •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part 4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part cut away.
  • the rotating memb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40.
  • the diameter (D 5 ) of the body 41 is formed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D 3 )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occupies a narrow space can be easily worked even in the narrow oral cavity of the patient.
  • the diameter (D 5 ) of the body 41 is preferably 50% to 100% of the maximum diameter (D 3 )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 the coupling part 40 may be too small to be damag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rotating member.
  • the diameter D 5 of the body 41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D 4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32. This may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ody 41 and the body portion 30.
  • the body 41 is formed with a groove 44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ther than the cut surface 43. This can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40 and the rotating member.
  • the incision surface 43 is a cross section cut
  •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 may be divided into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dy 41 and an exposed surface exposed by the cutout 43.
  • the exposed surface may serve as a stopper for limiting the lowering of the rotating member wh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coupling part 40 are coupled.
  • Coupling hole 50 is formed through the body portion 30, as shown in Figure 12, the safety strap 200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0 is fixed to the user's hand or wrist or an electric rotary tool used by the user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100.
  • the display unit 60 displays the diameter of the threaded portion 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0.
  • the display unit 60 may display the diameter size of the threaded portion 20 by the number of band-shaped grooves around the body portion 30, and in addition, the threaded portion 20 by various methods such as color, thickness, number of dots, numbers, and the like. ) Can display the diameter size.
  •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e diameter of the screw portion 20,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use the prosthesis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prosthesis 300.
  • the hole 310 is formed in the prosthesis 300 covered by the tooth 400.
  • the prosthesis removal apparatus 100 is inserted into the hole 310 previously formed in the prosthesis 300.
  • Figure 15 shows the end of the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100 is inserted into the hole 310, the screw portion 20, bone diameter (D1) of the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100 includes the hole 310, the diameter (D 6) above, the holes It is formed below the diameter (D 6 ) plus 0.3mm, the outer diameter (D 2 ) is formed larger than the hole (310) diameter (D 6 ) is easily screwed with the prosthesis 300.
  •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100 is rotated by the rotating member of the rotary tool until the insertion portion 1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 400, thereby screwing the screw portion 20 and the hole 310. Combine.
  • the insertion portion 10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 400, and the prosthesis 300 is raised along the threaded portion 20 to the teeth. Spaced from 400.
  • the prosthesis 300 may be removed from the tooth 400 while preventing damage and impact of the tooth 400 and the surrounding teeth and gums covered by the prosthesis 300.
  • the prosthesis removal operation is very simple and easy, and does not require a large space, so that it is easy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Can work.
  • the patient can prevent the rejection or fear caused by the prosthesis removal process.
  •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in the structure of the inserting portion as compared to the second embodiment.
  • a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18 with reference to components having a difference from the second embodiment.
  • Insertion portion 10 is composed of a curved surface portion 11 and the tapered portion (12).
  • the curved portion 11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0 is convex toward the bottom, and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 400. Damage to the tooth 400 can be prevented when rotated.
  • the taper portion 12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10 can be easily inserted when the prosthesis removal apparatus 100 is inserted into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third embodiment in that it additionally includes an auxiliary thread part.
  • auxiliary thread part an auxiliary thread part
  • Insertion portion 10 is composed of a curved surface portion 11 of the center and the outer tapered portion 12.
  • the inserting portion 10 is formed with an auxiliary screw portion 12a in which a thread of the screw portion 20 extends to the tapered portion 12.
  • the thread of the auxiliary threaded portion 12a has a bone diameter (D 7 ) smaller than the diameter (D 6 ) of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and the outer diameter (D 8 ) is larger than the diameter (D 6 ) of the hole (310). Is formed.
  • the bone diameter D 7 is larger than the hole 310 diameter D 6 , it is difficult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ole 310, and if the outer diameter D 8 is smaller than the hole 310 diameter D 6 , The thread of the auxiliary threaded portion 12a is inserted into the hole 310 and cannot be screwed with the prosthesis 300.
  • the outer diameter (D 8 ) of the thread of the auxiliary threaded portion (12a) is preferably formed the same o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D 2 ) of the threaded portion (20). This may facilitate insertion of the threaded portion 20 by forming the threaded portion in the hole 310 before the threaded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hole 310.
  •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diameter of the screw portion and the display portion in comparison with the second embodiment.
  • a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and 21 with reference to components having a difference from the second embodiment.
  • the threaded portion 20 has a diameter D 9 larger than the threaded diameter D 1 of the second embodiment so that the threaded portion 20 of the fifth embodiment is thicker than the threaded por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 the thickness of the screw part 20 can be selected suitably according to the magnitude
  • the lower body portion 31 the tilt angle ( ⁇ 3) and the example the lower body is the axial length (d 5) the ratio of the threaded portion the axial length (d 4) and the lower body portion 31 of 20 of the second embodiment
  • the angle of inclination ⁇ 2 and the axial length d 1 of the screw part and the axial length d 2 of the lower body par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maximum diameter (D 3 )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the diameter (D 4 )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32 and the axial length (d 6 ) of the upper body portion 32 and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formed.
  • the diameter (D 5 ) of the coupling portion 40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reby,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rotating member of the same rotary tool.
  • the number of the strip-shaped grooves of the display part 60 is displayed differently.
  • the display por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forms one strip-shaped groove
  • the display portion 60 of the fifth embodiment which has a screw portion thicker than the screw por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forms two strip-shaped grooves.
  •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discharge groove additionally provided.
  •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discharge groove additionally provided.
  • the valley diameter of the threaded portion 20 is represented by 'D 10 ', the outer diameter is represented by 'D 11 ' and the axial length 'd 7 '.
  • the body portion 30 i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body portions 32 and 31, the maximum diameter of the lower body portion 31 is 'D 12 ', the axial length is 'd 8 ', the upper body portion 32 ) Is represented by the maximum diameter 'D 13 ' and the axial length 'd 9 '.
  • the lower body part 31 forms an inclination angle ⁇ 4 that is inclined from the rotational central axis C of the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100.
  • Coupling portion 40 has a plurality of grooves 42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body 41 having the same central axis of rotation C as the threaded portion 20, the diameter of the body 41 is' D 14 '.
  • the plurality of grooves 42 may be formed to be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41 to easily engage the rotary memb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40 to the bottom.
  • the rotary member 500 of the rotary tool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40, as shown in Figs. 25 and 26, the main body 510, the fitting hole 520, the pin insertion hole 530 and the pin 540 It is possible to use a manual tool made, or to use a power tool.
  • the main body 510 is a cylindrical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40, by forming irregulariti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increase friction, thereby easily rotating by hand.
  • the fitting hole 520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510 to insert the coupling portion 40.
  • the diameter D 15 of the fitting hole 520 is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D 14 of the coupling part 40 to form a gap between the fitting hole 520 and the coupling part 40, whereby the coupling part 40 is formed. Desorption with) can be facilitated.
  • the fitting hole 520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op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510.
  • the pin insertion hole 530 is formed to penetr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hole 520.
  • the pin 540 is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530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hole 520,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42 of the coupling part 40.
  • eight grooves 42 are formed, four pin insertion holes 530 are formed, and one to four pins 54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pin insertion holes 530. have.
  • the pin 540 protruding into the fitting hole 520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530 is fitted in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42, thereby engaging the coupling part 40 and the rotating member 500.
  •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upling part 40 when the rotating member 500 rotates.
  • the pin 540 may be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530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510 in a state of protruding into the fitting hole 520.
  • FIG. 2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500 is coupled to the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100.
  • the discharge groove 70 is a groove formed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sthesis removing apparatus 100.
  • the screw portion 20 and the prosthesis 300 are coupled, the screw portion 20 is coupled to form a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310 of the prosthesis 300, and at this time, dust generated from the prosthesis 300 is discharged from the groove 70.
  • the prosthesis is removed by reducing the load of the lower end of the prosthesis removal device 100 and the thread of the threaded portion 20 to solve the breakage and damage such as wear caused by dust. The life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 the circumferential length d 10 of the discharge groove 70 is preferably formed in a length of 5% to 20% with respect to the entir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threaded portion 20. If the circumferential length d 10 of the discharge groove 70 is less than 5% of the entir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screw portion 20, threads are formed in the prosthesis 300, and the generated dust is not effectively discharged. If a thread damage problem occurs and the circumferential length d 10 of the discharge groove 70 exceeds 20% of the entir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threaded portion 20, the threaded length of the threaded portion 20 is short and th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read is broken because it does not support enough force to form the thread in the hole (310).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sthesis removal device capable of removing a prosthesis on a tooth without damaging the surrounding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철물에 미리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삽입부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산의 골 지름이 홀 지름 이상이고 홀 지름에 0.3mm를 더한 값 이하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보철물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 나사부 상부에 형성되어, 나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회전공구의 회전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 나사부와 결합부 사이에 형성된 몸체부; 보철물 제거 작업 중 보철물 제거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끈이 삽입되도록 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 을 포함하고, 나사부와 보철물의 결합 시 생성되는 분진을 배출하는 배출홈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보철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보철물 제거 시 치아와 잇몸에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환자에게 거부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철물 제거 장치
본 발명은 보철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 치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할 수 있는 보철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철물이란, 치아가 손상되거나, 충치에 의해 치료한 후 치아를 덮어씌워 치아의 역할을 대신하게 하는 금속성 합금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철물은 영구로 사용하지 못하며, 수명이 다하거나, 파손, 손상에 의해 새로운 보철물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때,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있다.
먼저, 집게형은 가위형태로 구성된 기구로 하나의 집게다리는 치아의 일측을 지지하고, 다른 집게다리는 치아의 타측을 들어올려 보철물을 제거한다. 그러나 집게형의 경우, 지지되는 면이 미끄러져 다른 치아에 충격을 가하거나, 치아를 제대로 지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갈고리형은, 갈고리를 보철물 하단 테두리에 걸고, 타격함으로써, 타격에 의한 충격으로 보철물을 제거한다. 그러나 충격에 의해 치아가 손상되거나 잇몸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4770호는, 갈고리 형상의 보철물제거팁과 타격체를 구비하여, 타격체의 전, 후진에 따른 타격에 의해, 보철물제거팁이 보철물을 제거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175호는, 보철물에 뚫린 구멍에 가압봉 하단부가 위치하게 하여 치아 상면과 접하게 하고, 내외측 걸림편이 보철물 외면에 밀착되게 하여, 보철물의 구멍을 통하여 가압봉을 중심으로 이동 간에 내외측 걸림편이 상향이동하면서 치아로부터 보철물을 제거하는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228호는, 탭 형태의 공구를 보철물에 박아 넣고, 치아면에 지지된 공구의 회전 반력에 의해 공구의 절삭날에 물린 보철물을 제거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보철물제거기는, 갈고리의 타격에 의해,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뿐 아니라, 주변의 치아 및 잇몸에 충격을 주어 손상될 수 있었다.
또한, 가압봉이 치아 상면을 지지하는 힘에 대한 반력으로 걸림편이 보철물의 외면을 잡아 들어올리므로, 가압봉에 의해 치아 상면이 손상되거나, 보철물의 외면에 밀착되는 걸림편이 과도한 힘으로 보철물을 고정하는 경우, 보철물 내부의 치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치과 환자의 경우, 치과 치료를 받는 동안 치료되는 과정을 모두 인지하게 되므로, 치료 장비의 외형이나, 소리가 거칠고 투박한 경우, 위협적으로 느껴져 치료에 거부감이 들거나, 공포심을 유발시킬 수 있다.
한편, 치과 치료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큰 기구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간단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보철물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철물의 제거 시 치아와 잇몸에 충격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철물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치아의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보철물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에 미리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의 골 지름이 상기 홀 지름 이상이고 상기 홀 지름에 0.3mm를 더한 값 이하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보철물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회전공구의 회전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나사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형성된 몸체부; 상기 보철물 제거 작업 중 상기 보철물 제거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끈이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 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와 상기 보철물의 결합 시 생성되는 분진을 배출하도록 상기 보철물 제거 장치의 외주면에 하단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형성된 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바람직하게, 상기 나사부는, 지름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사부는, 수평 방향 단면적이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사부는, 하단부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는,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부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는, 중앙부가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곽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는, 상기 테이퍼부에 상기 나사부의 나사산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에 형성된 나사산은, 골 지름이 상기 홀 지름보다 작고, 바깥지름이 상기 홀 지름보다 크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나사부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하부 몸체부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몸체부는,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5°~70°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사부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축 방향 길이 비율은 6:4 ~8:2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몸체부는, 외주면에 상기 나사부의 나사산이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홀은, 상기 하부 몸체부에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나사부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바디 외주 둘레를 따라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본체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형성된 끼움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끼움홀의 내주면을 관통하는 핀삽입홀 및 상기 핀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끼움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홈 중 하나에 결합되는 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나사부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바디 일측에 상기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수직면에 의하여 절개된 절개면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는, 상기 절개면 이외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 상기 나사부의 지름 크기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결합부 상면에 숫자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는, 상기 몸체부 둘레에 형성된 띠 형태 홈의 개수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홈은, 상기 나사부의 전체 둘레 길이에 대하여 5% ~ 2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본 발명의 보철물 제거 장치에 의하면,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간단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철물 제거 시 치아와 잇몸에 충격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환자에게 거부감 및 공포심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부가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져, 나사부의 회전에 의해 보철물에 형성된 홀이 커지더라도 나사부의 수평 방향 단면적이 넓어져 보철물을 견고히 지지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 및 결합부의 지름을 나사부의 최대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여 구강 내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홀을 구비하여 안전끈을 결합함으로써, 보철물 제거 작업 중 보철물 제거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여 보철물 제거 장치가 환자의 기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부를 구비하여, 나사부의 지름을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다른 형태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또 다른 형태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1의 'B'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연결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D'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연결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에 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치아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보철물 제거 장치를 보철물에 삽입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치아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E'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보철물 제거 장치가 보철물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치아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보철물 제거 장치에 의해 보철물이 치아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치아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의 삽입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의 삽입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에 결합되는 회전공구의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에 결합되는 회전공구의 평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와 회전공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0 : 삽입부
11 : 곡면부
12 : 테이퍼부
20 : 나사부
30 : 몸체부
31 : 하부 몸체부
32 : 상부 몸체부
40 : 결합부
41 : 바디
42 : 홈
43 : 절개면
50 : 결합홀
60 : 표시부
70 : 배출홈
100 : 보철물 제거 장치
200 : 연결끈
300 : 보철물
310 : 홀
400 : 치아
500 : 회전 부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철물 제거 장치는, 제1 내지 제6 실시예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나, 일부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 중 동일한 기능과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의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보철물 제거 장치는,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 치아와 잇몸에 충격 및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보철물을 간단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환자에게는 거부감 및 공포심 유발을 방지하면서 보철물 제거 작업 중 보철물 제거 장치가 이탈되어 환자의 기도로 유입되는 위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삽입부(10), 나사부(20), 몸체부(30), 결합부(40), 결합홀(50) 및 표시부(60)로 이루어진다.
삽입부(10)는 나사부(20)의 하부에 형성되어 보철물(300)에 미리 형성된 홀(310)에 삽입되고, 나사부(2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보철물(300)의 홀(310)에 더욱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0)는 보철물 제거 장치(100)가 회전에 의해 보철물(300)의 홀(310)에 삽입된 뒤, 치아(400)의 표면에 접촉되면,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삽입을 정지시키고 치아(400)의 표면에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0)는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삽입부(10)의 하단이 보철물(300)의 홀(310)을 지나 치아(40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될 때 치아(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사부(20)는 삽입부(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보철물(300)과 나사 결합한다. 즉, 보철물 제거 장치(100)가 회전에 의해 보철물(300)의 홀(310)에 삽입되면서 나사부(20)는 보철물(300)과 나사 결합하게 되고, 삽입부(10)가 치아(400)의 표면에 접촉되는 순간부터 보철물(300)은 나사부(20)를 따라 들어 올려져 치아(400)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나사부(20)의 골 지름은 'D1', 바깥지름은 'D2'라 칭한다.
나사부(20)는 외주면에 보철물(300)이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산의 골 지름(D1)은 보철물(300)의 홀(310) 지름(D6) 이상이고, 홀(310) 지름(D6)에 0.3mm를 더한 값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나사부(20)의 나사산은 보철물(300)의 홀(310)에 삽입되면서 홀(310)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보철물(300)과 용이하게 나사 결합된다. 나사산의 골 지름(D1)이 보철물(300)의 홀(310) 지름(D6) 미만이면, 나사부(20)가 보철물(300)에 밀착되지 않아 홀(310)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어렵고, 나사산의 골 지름(D1)이 보철물(300)의 홀(310) 지름(D6)에 0.3mm를 더한 값을 초과하면, 나사부(20)가 홀(310)에 비하여 너무 크므로 홀(3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없다.
나사부(20)는 도 2와 같이, 수평 방향 단면적이 일정하도록 지름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나사부(20)의 골 지름은 'D1', 바깥지름은 'D2'로 나타낸다.
나사부(20)는 삽입부(10) 다음으로 보철물(300)의 홀(310)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삽입부(10)가 치아(400)의 표면에 접촉되면, 보철물(300)이 나사부(20)의 나사산을 따라 들어올려져 치아(400)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나사부(20)의 다른 실시예로, 나사부(20)의 수평 방향 단면적이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나사부(20)의 하단부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나사부(20)의 하단부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4와 같이, 나사부(20)의 하단부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0)는 나사부(20)와 결합부(40)에 사이에 형성되며, 하부 몸체부(31)와 상부 몸체부(32)로 이루어진다.
하부 몸체부(31)는 나사부(2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수평 방향 단면적이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몸체부(31)의 최대 지름은 'D3'으로 나타낸다.
나사부(20)와 보철물(300)의 홀(310)이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홀(310)이 커지면, 나사부(20)와 홀(3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나사부(20)의 지름(D1) 크기로는 보철물(30)을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몸체부(31)의 지름(D3)을 나사부(20)의 지름(D1)으로부터 점점 크게 형성함으로써, 보철물(300)의 홀(310)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체결력이 강화되므로 나사부(20)의 삽입과정에서 보철물(300)의 홀(310) 지름(D6)이 커지더라도 보철물(300)을 충분히 지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나사부(20)를 따라 들어 올려지는 보철물(30)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몸체부(31)는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회전 중심축(C)으로부터 5°~70° 경사진 경사각(θ1)을 형성한다. 경사각(θ1)이 5° 미만이면 하부 몸체부(31)가 보철물(300)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약하고, 경사각(θ1)이 70°를 초과하면, 나사부(20)와 하부 몸체부(31)의 연결부분에서 경사가 급격히 변화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제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보철물(300)의 홀(310)이 커짐에 따라 하부 몸체부(31)에 의해 보철물(300)을 지지하기 어렵다.
또한, 나사부(20)의 축 방향 길이(d1)와 하부 몸체부(31)의 축 방향 길이(d2) 비율은 6:4 ~ 8:2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나사부(20)와 하부 몸체부(31)에 대한 나사부(20)의 축 방향 길이 비율은 60%~8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부(20)의 비율이 60% 미만이면, 상대적으로 나사부(20)의 길이가 짧고 하부 몸체부(31)의 길이가 길어져 보철물(300)이 나사부(20)를 따라 충분히 들어올려지기 어렵고, 나사부(20)의 비율이 80%를 초과하면, 하부 몸체부(31)의 길이가 너무 짧아져 하부 몸체부(31)에 적절한 경사각을 형성하기 어렵다.
상부 몸체부(32)는 하부 몸체부(31)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부 몸체부(32)의 지름(D4)은 하부 몸체부(31)의 최대 지름(D3) 이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부(40)로부터 나사부(20)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고, 상부 몸체부(32)의 축 방향 길이는 'd3'으로 나타낸다.
결합부(40)는 몸체부(30) 상단에 형성되어, 나사부(2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회전공구의 회전 부재와 결합된다.
결합부(40)는 나사부(20)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C)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바디(41) 외주 둘레를 따라 복수의 홈(42)이 형성된다.
복수의 홈(42)은 회전공구의 회전 부재와의 접촉면을 넓게 하여 체결력을 높일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42)의 저면이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회전공구의 회전 부재와 결합부(4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회전 부재는 결합부(4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바디(41)에 형성된 복수의 홈(42)에 의해, 회전 부재의 회전력을 결합부(40)로 전달하기 위한 결합력을 높이면서도 회전 부재와 결합부(4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디(41)의 지름(D5)은 몸체부(30)의 최대 지름(D4)보다 작게 형성되어 좁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환자의 좁은 구강 내에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몸체부(30)의 상면은 바디(41)와 접촉된 접촉면과 몸체부(30)의 지름(D4)이 바디(41)의 지름(D5)보다 크게 형성되어 노출되는 노출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노출면은 회전 부재와 결합부(40)의 결합 시 회전 부재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결합홀(50)은 몸체부(30)에 관통 형성되는 홀로, 보철물(300)의 제거 작업 중 보철물 제거 장치(100)가 이탈되어 환자의 기도로 유입되는 위험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끈(200)이 삽입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홀(50)은 하부 몸체부(31) 형성되며,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결합홀(50)에 삽입된 안전끈(200)을 사용자의 손이나 손목 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회전공구 등에 고정시켜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결합홀(50)은 0.3mm~1.5mm의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안전끈(200)으로는 치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60)는 몸체부(30) 또는 결합부(40)의 외면에 나사부(20)의 지름 크기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60)는 도 8과 같이, 결합부(40) 상면에 나사부(20)의 지름 크기를 숫자로 표시하며, 해당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재질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나사부(20)의 지름 크기를 확인할 수 있어, 보철물(300)에 표시된 숫자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나사부를 갖는 보철물 제거 장치(1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몸체부와 결합부의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는, 크게 삽입부(10), 나사부(20), 몸체부(30), 결합부(40), 결합홀(50) 및 표시부(60)로 이루어진다.
삽입부(10)는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부로 형성된다.
나사부(20)는 삽입부(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보철물(300)과 나사 결합하며, 골 지름은 'D1', 바깥지름은 'D2'라 칭한다.
몸체부(30)는 하부 몸체부(31)와 상부 몸체부(32)로 이루어진다.
하부 몸체부(31)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나사부(2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부(20)의 나사산이 연장 형성되고, 수평 방향 단면적이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지며, 최대 지름은 'D3'으로 나타낸다.
하부 몸체부(31)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나사부(20)의 나사산을 따라 들어올려지는 보철물(300)은 하부 몸체부(31)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더욱 상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몸체부(31)는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회전 중심축(C)으로부터 5°~70° 경사진 경사각(θ2)을 형성하고, 나사부(20)의 축 방향 길이(d1)와 하부 몸체부(31)의 축 방향 길이(d2) 비율은 6:4 ~ 8:2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몸체부(32)는 하부 몸체부(31)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부 몸체부(32)의 하부 지름은 하부 몸체부(31)의 최대 지름(D3)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하부 몸체부(31)와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고, 상부 몸체부(32)의 상부 지름(D4)은 하부 몸체부(31)의 최대 지름(D3)보다 작게 형성하여 좁은 공간에 설치 가능하므로 환자의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결합부(40)는 몸체부(30) 상단에 형성되어, 나사부(2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회전공구의 회전 부재와 결합된다.
결합부(40)는 도 9, 도 11과 같이, 나사부(20)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C)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바디(41) 일측에 회전 중심축(C)과 평행한 수직면(H)에 의하여 절개된 절개면(43)이 형성된다. 이로써, 결합부(40)의 수평 방향 단면은 일부가 절개된 원 형태로 이루어진다.
회전 부재는 결합부(4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바디(41)에 형성된 절개면(43)에 의해, 회전 부재의 회전력을 결합부(40)로 전달하기 위한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절개면(43)을 제외한 바디(41)의 외주면에 의해 회전 부재와 결합부(40)의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다.
바디(41)의 지름(D5)은 하부 몸체부(31)의 최대 지름(D3)보다 작게 형성되어 좁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환자의 좁은 구강 내에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41)의 지름(D5)은 하부 몸체부(31) 최대 지름(D3)의 5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41)의 지름(D5)이 하부 몸체부(31) 최대 지름(D3)의 50% 미만이면, 결합부(40)가 너무 작아져 회전 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과정에서 파손되기 쉬울 뿐 아니라, 회전력을 전달받기 어렵고, 100%를 초과하면,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상단부가 커져 환자의 구강 내에서 작업하기 어렵다.
한편, 바디(41)의 지름(D5)은 상부 몸체부(32) 상부의 지름(D4)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바디(41)와 몸체부(3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바디(41)는 절개면(43) 이외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44)이 형성된다. 이는 결합부(40)와 회전 부재 사이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절개면(43)은 회전 중심축(C)에 평행한 수직면(H)에 의하여 절개된 단면으로, 바디(41)의 수평 방향 단면인 원을 현으로 절개한 면이다.
몸체부(30) 상면은 바디(41)와 접촉된 접촉면과 절개부(43)에 의해 노출된 노출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노출면은 회전 부재와 결합부(40)의 결합 시 회전 부재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결합홀(50)은 도 12와 같이, 몸체부(30)에 관통 형성되고, 결합홀(50)에 삽입된 안전끈(200)을 사용자의 손이나 손목 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동 회전공구 등에 고정시켜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이탈을 방지한다.
표시부(60)는 몸체부(30) 외면에 나사부(20)의 지름 크기를 표시한다. 표시부(60)는 몸체부(30) 둘레에 띠 형태 홈의 개수로 나사부(20)의 지름 크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외에 띠의 색, 굵기, 점의 개수, 숫자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나사부(20)의 지름 크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나사부(20)의 지름 크기를 확인할 수 있어, 보철물(300)에 형성된 홈의 크기에 따라 보철물 제거 장치(1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제2 실시예에 의한 보철물 제거 장치(100)를 사용하여 보철물(300)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3과 같이, 치아(400)에 씌워진 보철물(300)에 홀(31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4와 같이, 보철물(300)에 미리 형성된 홀(310)에 보철물 제거 장치(100)를 삽입한다. 도 15는 홀(310)에 삽입되는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단부를 나타내며,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나사부(20) 골 지름(D1)은 홀(310) 지름(D6) 이상, 홀(310) 지름(D6)에 0.3mm를 더한 값 이하로 형성되며, 바깥지름(D2)은 홀(310) 지름(D6)보다 크게 형성되어 보철물(300)과 용이하게 나사결합 된다.
도 16과 같이, 삽입부(10)가 치아(400)의 상면에 접촉될 때까지 보철물 제거 장치(100)를 회전공구의 회전 부재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나사부(20)와 홀(310)을 나사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17과 같이,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계속된 회전에 따라 삽입부(10)는 치아(400)의 상면을 지지하고, 보철물(300)은 나사부(20)를 따라 상승하여 치아(400)로부터 이격된다.
이로써, 보철물(300)에 씌워진 치아(400)와 주변의 치아 및 잇몸의 손상과 충격을 방지하면서 치아(400)로부터 보철물(300)을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보철물(300)의 홀(310)에 보철물 제거 장치(100)를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되므로 보철물 제거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쉬우며,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환자의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환자에게도 보철물 제거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거부감 또는 공포심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대비하여 삽입부의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2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삽입부(10)는 곡면부(11)와 테이퍼부(12)로 이루어진다.
곡면부(11)는 삽입부(10)의 중앙부가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져, 삽입부(10)의 하단이 보철물(300)의 홀(310)에 삽입되어 치아(40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될 때 치아(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테이퍼부(12)는 중앙부의 외곽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철물 제거 장치(100)가 보철물(300)의 홀(310)에 삽입될 때, 삽입부(10)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대비하여 보조 나사부를 부가적으로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3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1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삽입부(10)는 중앙의 곡면부(11)와 외곽의 테이퍼부(12)로 이루어진다.
삽입부(10)는 테이퍼부(12)에 나사부(20)의 나사산이 연장 형성되는 보조 나사부(12a)가 형성된다.
보조 나사부(12a)의 나사산은 골 지름(D7)이 보철물(300)의 홀(310) 지름(D6)보다 작고, 바깥지름(D8)이 홀(310) 지름(D6)보다 크게 형성된다.
골 지름(D7)이 홀(310) 지름(D6)보다 크면, 홀(310)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어렵고, 바깥지름(D8)이 홀(310) 지름(D6)보다 작으면, 보조 나사부(12a)의 나사산이 홀(310)에 삽입되어 보철물(300)과 나사 결합될 수 없다.
이때, 보조 나사부(12a) 나사산의 바깥지름(D8)은 나사부(20)의 바깥지름(D2)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사부(20)가 홀(310)에 삽입되기 전, 보조 나사부(12a)가 홀(310)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부(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대비하여 나사부의 지름과 표시부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2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20, 도 2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나사부(20)는 지름(D9)이 제2 실시예의 나사부 지름(D1)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5 실시예의 나사부(20)가 제2 실시예의 나사부보다 굵게 형성된다. 이로써, 보철물에 형성되는 홀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나사부(20)의 굵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몸체부(31) 경사각(θ3) 및 나사부(20)의 축 방향 길이(d4)와 하부 몸체부(31)의 축 방향 길이(d5) 비율이 제2 실시예의 하부 몸체부 경사각(θ2) 및 나사부의 축 방향 길이(d1)와 하부 몸체부의 축 방향 길이(d2) 비율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몸체부(31)의 최대 지름(D3), 상부 몸체부(32) 상부의 지름(D4) 및 상부 몸체부(32)의 축 방향 길이(d6)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40)의 지름(D5)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동일한 회전공구의 회전 부재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2, 제5 실시예의 나사부(20) 굵기가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표시부(60)의 띠 형태 홈 개수를 다르게 표시한다.
예컨대, 제2 실시예의 표시부는 1개의 띠 형태 홈을 형성하고, 제2 실시예의 나사부보다 굵은 나사부를 갖는 제5 실시예의 표시부(60)는 2개의 띠 형태 홈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결합부의 구성과 배출홈을 부가적으로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22 내지 도 2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나사부(20)의 골 지름은 'D10', 바깥지름은 'D11' 및 축 방향 길이는 'd7'로 나타낸다.
몸체부(30)는 상, 하부 몸체부(32, 31)로 이루어지며, 하부 몸체부(31)의 최대 지름은 'D12', 축 방향 길이는 'd8'이고, 상부 몸체부(32)의 최대 지름은 'D13', 축 방향 길이는 'd9'로 나타낸다. 여기서 하부 몸체부(31)는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회전 중심축(C)으로부터 경사진 경사각(θ4)을 형성한다.
결합부(40)는 나사부(20)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C)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바디(41) 외주 둘레를 따라 복수의 홈(42)이 형성되며, 바디(41)의 지름은 'D14'로 나타낸다. 이때, 복수의 홈(42)은 바디(41)의 상면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회전 부재를 결합부(4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끼워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40)에 결합되는 회전 공구의 회전 부재(500)는, 도 25, 도 26과 같이, 본체부(510), 끼움홀(520), 핀삽입홀(530) 및 핀(540)으로 이루어진 수동 공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동 공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체부(510)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 결합부(40)와 결합되며, 외주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마찰을 크게 함으로써, 손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끼움홀(520)은 본체부(510)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결합부(40)가 삽입된다. 끼움홀(520)의 지름(D15)은 결합부(40)의 지름(D14)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끼움홀(520)과 결합부(40) 사이에 유격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부(40)와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끼움홀(520)은 본체부(510)의 하부로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핀삽입홀(530)은 본체부(510)의 외주면과 끼움홀(520)의 내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핀(540)은 핀삽입홀(530)에 삽입되어 끼움홀(52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이 결합부(40)의 복수의 홈(42) 중 하나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홈(42)은 8개가 형성되고, 핀삽입홀(530)은 4개가 형성되며, 핀(540)은 핀삽입홀(53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도록 1~4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핀삽입홀(530)을 통해 끼움홀(520) 내측으로 돌출된 핀(540)이 복수의 홈(42)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부(40)와 회전 부재(500)를 결합시켜 회전 부재(500)의 회전 시 회전력이 결합부(40)에 전달된다.
또한, 회전 부재(500)를 결합부(4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끼워넣어 끼움홀(520) 내측으로 돌출된 핀(540)이 결합부의 홈(42)을 따라 하강하여 결합부(40)와 회전 부재(500)를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핀(540)은 핀삽입홀(530)에 삽입되어 끼움홀(52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본체부(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7은 회전 부재(500)가 보철물 제거 장치(100)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출홈(70)은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외주면 하단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형성된 홈이다.
나사부(20)와 보철물(300)의 결합 시, 나사부(20)가 보철물(300)의 홀(310)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결합되므로, 이때 보철물(300)로부터 생성되는 분진이 배출홈(70)을 따라 보철물의 홀(310)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하단 및 나사부(20)의 나사산의 부하를 감소시켜 분진에 의해 마모되는 등의 파손, 손상 문제를 해결하여 보철물 제거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출홈(70)의 둘레 길이(d10)는 도 24와 같이, 나사부(20)의 전체 둘레 길이에 대하여 5% ~ 2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홈(70)의 둘레 길이(d10)가 나사부(20) 전체 둘레 길이의 5% 미만이면, 보철물(300)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생성되는 분진이 효과적으로 배출되지 못하여 분진에 의한 나사부(20)의 나사산 손상 문제가 발생되고, 배출홈(70)의 둘레 길이(d10)가 나사부(20) 전체 둘레 길이의 20%를 초과하면, 나사부(20)의 나사산 형성 길이가 짧아 보철물(300)의 홀(310)에 나사산을 형성할 만큼 충분한 힘을 지지하지 못해 나사산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중심으로 그 변형물 또는 균등물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주변 치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할 수 있는 보철물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9)

  1. 치아(400)의 보철물(300)을 제거하기 위한 보철물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300)에 미리 형성된 홀(310)에 삽입되는 삽입부(10);
    상기 삽입부(10)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의 골 지름(D1)이 상기 홀(310) 지름(D6) 이상이고 상기 홀(310) 지름(D6)에 0.3mm를 더한 값 이하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보철물(300)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20);
    상기 나사부(2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2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회전공구의 회전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40);
    상기 나사부(20)와 상기 결합부(40) 사이에 형성된 몸체부(30);
    상기 보철물(300) 제거 작업 중 상기 보철물 제거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끈(200)이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30)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50); 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20)와 상기 보철물(300)의 결합 시 생성되는 분진을 배출하도록 상기 보철물 제거 장치(100)의 외주면에 하단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형성된 배출홈(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20)는, 지름이 일정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20)는, 수평 방향 단면적이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20)는, 하단부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는,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는, 중앙부가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부(11)와, 상기 중앙부의 외곽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부(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는, 상기 테이퍼부(12)에 상기 나사부(20)의 나사산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12)에 형성된 나사산은, 골 지름(D7)이 상기 홀(310) 지름(D6)보다 작고, 바깥지름(D8)이 상기 홀(310) 지름(D6)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는, 상기 나사부(20) 상부에 연장 형성되는 하부 몸체부(31)와, 상기 하부 몸체부(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몸체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몸체부(31)는, 회전 중심축(C)으로부터 5°~70°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20)와 상기 하부 몸체부(31)의 축 방향 길이 비율은 6:4 ~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부(31)는, 외주면에 상기 나사부(20)의 나사산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50)은, 상기 하부 몸체부(31)에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0)는, 상기 나사부(20)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C)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바디(41) 외주 둘레를 따라 복수의 홈(4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결합부(4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42)은, 상기 결합부(40)의 상단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본체부(510), 상기 결합부(40)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부(510)의 중앙에 형성된 끼움홀(520), 상기 본체부(510)의 외주면과 상기 끼움홀(520)의 내주면을 관통하는 핀삽입홀(530) 및 상기 핀삽입홀(530)에 삽입되어 상기 끼움홀(52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홈(42) 중 하나에 결합되는 핀(5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0)는, 상기 나사부(20)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C)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바디(41) 일측에 상기 회전 중심축(C)과 평행한 수직면(H)에 의하여 절개된 절개면(4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결합부(4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바디(41)는, 상기 절개면(43) 이외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 또는 상기 결합부(40)의 외면에 상기 나사부(20)의 지름 크기를 표시하는 표시부(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60)는, 상기 결합부(40) 상면에 숫자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60)는, 상기 몸체부(30) 둘레에 형성된 띠 형태 홈의 개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70)은, 상기 나사부(20)의 전체 둘레 길이에 대하여 5% ~ 2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제거 장치.
PCT/KR2017/007417 2016-07-18 2017-07-11 보철물 제거 장치 WO201801679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94 2016-07-18
KR20160090794 2016-07-18
KR1020170046917A KR20180009302A (ko) 2016-07-18 2017-04-11 보철물 제거 장치
KR10-2017-0046917 2017-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6792A1 true WO2018016792A1 (ko) 2018-01-25

Family

ID=6099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7417 WO2018016792A1 (ko) 2016-07-18 2017-07-11 보철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1679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455A (ko) * 1997-10-29 1999-05-15 강차원 치아용 보철물제거기
KR200432228Y1 (ko) * 2006-09-07 2006-11-30 희성엥겔하드주식회사 보철물 제거장치
KR101607227B1 (ko) * 2015-12-07 2016-03-30 (주) 디에스 치과용 보철의 제거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1118A (ko) * 2014-11-21 2016-05-31 주식회사 디에스 치과용 보철 제거 키트
KR101629667B1 (ko) * 2013-08-14 2016-06-13 노국경 크라운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455A (ko) * 1997-10-29 1999-05-15 강차원 치아용 보철물제거기
KR200432228Y1 (ko) * 2006-09-07 2006-11-30 희성엥겔하드주식회사 보철물 제거장치
KR101629667B1 (ko) * 2013-08-14 2016-06-13 노국경 크라운 제거장치
KR20160061118A (ko) * 2014-11-21 2016-05-31 주식회사 디에스 치과용 보철 제거 키트
KR101607227B1 (ko) * 2015-12-07 2016-03-30 (주) 디에스 치과용 보철의 제거부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08962A1 (ko) 각진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
WO2017146478A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WO2020116711A1 (ko)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을 위한 지그
WO2017222098A1 (ko) 인공치아 가공장치
WO2011149261A2 (ko) 치간 청소구
WO2017034350A1 (ko)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WO2016024837A1 (ko) 풀림 방지용 와셔
WO2017196028A1 (ko) 청소기 거치대
WO2018044134A1 (ko) 초음파 프로브에 부착되는 혈관 천자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혈관 천자 시스템
WO2012144846A2 (ko) 복강경 수술용 투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8044113A1 (ko)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WO2017048031A1 (ko) 스캔데이터 정합용 식별타겟 및 이를 이용한 치아모형 스캔데이터 획득 방법
WO2010036045A2 (ko)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스텐트 제작에 사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
WO2016163579A1 (ko)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WO2018016792A1 (ko) 보철물 제거 장치
WO2022196901A1 (ko)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WO2017069316A1 (ko) 안전캡 및 이를 포함한 안전주사기
WO2022045688A1 (ko) 지방제거용 시술기기
WO2021045450A1 (ko)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WO2019124887A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방향확인 핀과 가이드 탭 드릴 키트
WO2016133297A1 (ko)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WO2009084935A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
WO2015088122A1 (ko) 설치가 용이한 반자동식 체결 구조체
WO2020101308A1 (ko) 후크 결합구조 및 이를 사용한 배터리 팩 케이스
WO2020105932A1 (ko) 줄자용 벨트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312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312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