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63579A1 -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63579A1
WO2016163579A1 PCT/KR2015/004454 KR2015004454W WO2016163579A1 WO 2016163579 A1 WO2016163579 A1 WO 2016163579A1 KR 2015004454 W KR2015004454 W KR 2015004454W WO 2016163579 A1 WO2016163579 A1 WO 20161635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xture
linear
unit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44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광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CN201590001386.6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8573837U/zh
Publication of WO20161635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635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0Straight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kit, and in more detail, through a drill set and a guide stent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diameters, each of fixtures of various shapes such as not only linear but also taper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kit capable of forming an implantation hole corresponding thereto.
  • an implant refers to a substitute to recover when human tissue is lost, but in the dentist, an implant of artificial teeth is implanted.
  • An alternative tooth root to replace the lost root (root) is 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then the artificial tooth is fixed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tooth.
  •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are damaged after time, but the implant does not damage the surrounding dental tissues, and the same shape and function as the natural teeth does not cause tooth decay.
  • Implants also enhance the function of dentures and improve the esthetic aspects of dental prosthetic restorations, as well as in single missing restorations. Furthermore, it disperses excessive stress on surrounding supportive bone tissue and helps stabilize teeth.
  • the implant procedure performed in the dentistry is divided into the operation process of placing the implant in the gum bone, that is, the alveolar bone, and the prosthetic process of mounting the artificial tooth by connecting the abutment to the implant.
  • grooves corresponding to fixture dimensions are formed through drilling and tapping processes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 the impression coping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for fabrication of the prosthesis, and then the impression coping is removed after taking a preliminary impression in the oral cavity using an impression material.
  • the abutment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and the prosthesis, that is, the artificial dental crown is fixed on the abutment to complete the artificial tooth.
  • the implant is drilled into the alveolar bone using an implant drill device for implanting the fixture into the alveolar bone.
  • an implant drill device for implanting the fixture into the alveolar bone.
  • fixtures have different shapes, shapes, inclination angles and inclination angles according to manufacturers.
  • an implant drill device corresponding to a fixture.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ntal implant kit that can form an implantation hole corresponding to each of various shapes of fixtures through a drill set and a guide sten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raight drill units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diameters. To provide.
  • a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having a cutting portion provided in a straight line shape and a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cutting portion and forming an implantation hole in the alveolar bone for implantation of the fixture Drill set comprising a; And a guide stent having guide holes for guiding the linear drill units, wherein the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have guide portions having the same diameters, and the guide holes formed in the guide stents.
  • a dental implant kit may be provided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guide part so as to guide the guide part.
  • the length of the guid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may be provided to be the same.
  • the linear dril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unit coupled to the guide unit and seated on the guide stent.
  • the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the first linear drill unit; And a second linear drill unit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linear drill unit.
  • the first linear drill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linear drill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linear drills may have a 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cutting portion, but the diameter of the cutting portion may be the same.
  •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linear drill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linear drills may have a 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cutting portion, but the diameter of the cutting portion may be the same.
  • the plurality of second linear drills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s of the cutt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linear drills, respectively.
  • the guide stent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step part on which the stopper part of the straight drill unit may be seated.
  • a fixture carrier unit coupled to the fixture when the fixtur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e fixture carrier unit being configured to recognize at least one of an implantation depth of the fixture and an implantation direction of the fixture.
  • the fixture carrier unit can recognize the depth of the attachment of the fixture and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xture through the recognition hole formed in the guide stent. It may include a direction depth recognition unit.
  • the fixture carrier unit may include: a fixture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fixture; And a handpiece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directional depth recognition unit to which the handpiece is coupled, and the directional depth recognition unit may be provided at the fixture coupling unit.
  • the direction depth recognition unit the main body portion coupled to the fixture coupling portion; And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and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tion hole so as to be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hole.
  • the inside of the fixture may be provided as a polygon
  • the fixture coupling unit may be provided to have a polygon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lygon shape inside the fixture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xture.
  • first linear drill unit may form an initial implantation hole in the alveolar bone for implantation of the fixture
  • second linear drill unit may form a next order implantation hole having the same center point as the initial implantation hole. have.
  • a positioning linear drill unit is provided to select the position of the drilling of the alveolar bone.
  • the positioning linear drill unit may include a point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sharp end portion so as to indicate the position on the alveolar bone.
  • a hole expanding linear drill unit provided to extend at least one of a depth and a width of the positioning hole formed by the positioning linear drill unit.
  • the hole extension linear drill unit the body portion coupled to the handpiece;
  • a hole extension drill unit coupled to the body unit and extending at least one of a depth and a width of the positioning hole;
  • a cutting drill part coupled to the hole extension drill part to cut the alveolar bone.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rill set and the guide sten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of different lengths and diameters can form the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arious shape of the fixture, thereby reducing the cost It is easy to manage.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in which the implantation hole is formed in the alveolar bone by the drill set and the guide stent in the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drill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straight drill units in the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a) to Figure 4 (d) is a view showing a linear drill unit selected for the formation of the implantation hole in the alveolar bone in the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ep in which a step is formed in the alveolar bone by the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ant the fixture.
  • 6 (a) to 6 (d)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implantation depth or the implantation direction of the fixture through the fixture carrier unit in the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linear positioning drill unit in the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hole expanding linear drill unit in a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s 'one side' and 'other side' may mean a specified side, or do not mean a specified side, but any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s is referred to as one side, It may be understood to refer to the other side as the other side.
  • 'bonding' or 'connection' as used herein means that when one member and another member are directly bonded or directly connected as well as one member is indirectly coupled to the other member through the joint member, Indirect connection may also be included.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dental implant kit in a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lveolar bone by a drill set
  • a guide stent 3 is a view illustrating a drill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in a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a) to 4 ( d) is a view showing a linear drill unit selected for the formation of an implantation hole in the alveolar bone in the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tep is formed in the alveolar bone by a step showing the process of implantation fixture
  • Figure 6 (a) to Figure 6 (d) is a fixture carrier unit in the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ek through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placement or placement depth direction of the Miniature.
  • the dental implant kit 100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dental implant k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 210 having a cutting portion (211, 221) and a guide portion (212, 222) Drill set 200 including a 220, and a guide stent (300) formed with a guide hole 310 for guiding the linear drill units (210, 220).
  • the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210 and 220 have guide parts 212 and 222 having the same diameter, respectively, and the guide hole 310 formed in the guide stent 300 guides the guide parts 212 and 222. It is provid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guide portion (212, 222).
  • the implant is implanted in the dentist by implanting an artificial tooth to replace the missing root (root) lost in the alveolar bone (800) that the tooth is missing, and then fixed the artificial tooth to function of the tooth It can mean a procedure to recover.
  • a groove matching the dimensions of the fixture 700 is formed by drilling and tapping the alveolar bone 800, and the fixture 700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800.
  • the fixture 700 may not only have a different shape for each manufacturer, but also a fixture 700 produced by the same manufacturer may have a different shape, and according to a large classification, the fixture 700 may have a straight type and It can be divided into taper type.
  • the outer surfaces of the fixture 700 are provid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in the case of the tapered type, the tapered shap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700,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xture 700. Is provided.
  • the drill for processing the alveolar bone 800 was also provided in a straight type, and the tapered type fixture 700 was provided with the alveolar bone ( In the case of placing 800, the drill for processing the alveolar bone 800 was also provided as a tapered type.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uter surface may be different even if only the taper type fixture 700 is considered. In this case, all drills having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apered type fixture 700 are all different. Had to be equipped.
  • a drill set having a plurality of straight type drill that is, a straight drill unit (210, 220) is provided with a portion for cutting in a straight form (200) Through), an implantation hole 810 can be formed in the alveolar bone 800, which can be applied to both the straight type fixture 700 and the tapered type fixture 7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the drill set 20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210 and 220, that is,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and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It may include a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having a diameter. In addition, the drill set 200 may include a third linear drill unit 230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see FIG. 3). However, since the basic contents of the third linear drill unit 230 are common to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mon contents will be replaced with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 the diameter D shown in FIG. 3 means the diameters of the cutting parts 211, 221, 231 of the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210, 220, and 230
  • the length L shown in FIG. 3 is 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Means the lengths of the cutting parts 211, 221, 231 of the drill units 210, 220, 230.
  •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includes a cutting portion 211 having a portion for cutting in a straight line shape, and a guide portion 212 coupled to the cutting portion 211.
  • an implantation hole 810 is formed in the alveolar bone 800.
  •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also has a cutting part 221 in which a part for cutting is provided in a straight shape, and a guide part 222 coupled to the cutting part 221.
  • An implantation hole 810 is formed in the alveolar bone 800 for implantation.
  •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is provid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3, the diameter of the third linear drill unit 23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 the guide parts 212, 222, and 232 may be coupled to the guide hole 310 to be provided to move along the guide hole 310, thereby enabling accurate drilling of the alveolar bone 800.
  • the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210, 220, 230 that is,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and the third linear drill unit 230 are guides of the same diameter, respectively.
  • Guide holes 310 having portions 212, 222, and 232, and formed in the guide stent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guide the guide portions 212, 222, and 232. It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 the plurality of straight drill units 210, 220, and 230 all have guide parts 212, 222, and 232 having the same diameter
  • guide holes formed in the guide stent 300 ( 310 also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212, 222, 232), even if there is no bush using a single guide stent 300 for a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210, 220, 230)
  • the guide parts 212, 222, and 232 of the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210, 220, and 230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well as the diameter.
  •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linear drills 210a, 210b, 210c, 210d and 210e.
  • the first linear drill units 210a and 210b. , 210c, 210d, 210e are provided as five,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linear drills 210a, 210b, 210c, 210d, and 210e may be changed as necessary. have.
  • the plurality of first linear drills 210a, 210b, 210c, 210d, and 210e may have different lengths of the cutting portion 211 but have the same diameter of the cutting portion 211.
  • the lengths of the cutting parts 211 of the first linear drills 210a, 210b, 210c, 210d, and 210e may be 7 mm, 8.5 mm, 10 mm, 11.5 mm, and 13 mm, respectively.
  • the diameter of the cutting part 211 may be equal to 2.0 mm.
  • such a numerical value is just one example, and the length and diameter of the cutting portion 211 of the first linear drills 210a, 210b, 210c, 210d, and 210e may vary.
  •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linear drills 220a, 220b, 220c, 220d and 220e, and a third linear drill unit 220.
  • 23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linear drills 230a, 230b, 230c, 230d, and 230e, and a plurality of second linear drills 220a, 220b, 220c, 220d, and 220e.
  • the three linear drills 230a, 230b, 230c, 230d, and 230e may have different lengths of the cutting parts 221 and 231 but have the same diameter of the cutting parts 221 and 231.
  • the lengths may be different from 7 mm, 8.5 mm, 10 mm, 11.5 mm, and 13 mm, respectively.
  • the diameter of the cutting portion 231 of the third linear drills 230a, 230b, 230c, 230d, 230e is equal to 2.8 mm, the lengths are 7 mm, 8.5 mm, 10 mm, 11.5 mm, and 13 mm, respectively. Can be different.
  •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and the third linear drill unit 230 are also the same as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 the lengths and diameters of the drills 220a, 220b, 220c, 220d and 220e and the cutting portions 221 and 231 of the third linear drills 230a, 230b, 230c, 230d and 230e may vary.
  • the cutt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econd linear drills 220a, 220b, 220c, 220d and 220e and the plurality of third linear drills 230a, 230b, 230c, 230d and 230e, respectively. 221 and 23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each cutting portion 211 of the plurality of first linear drills 210a, 210b, 210c, 210d and 210e.
  • the cutting portions 221 and 231 of the second linear drill 220a and the third linear drill 230a corresponding thereto. ) May also be equally provided with a length of 7 mm, which may be applied to other first linear drills 210, second linear drills 220, and third linear drills 230.
  • the plurality of straight drill units 210, 220, and 230 may include stoppers 213, 223, and 233, where the stoppers 213, 223, and 233 are guides. It is coupled to the portion (212, 222, 232), is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guide stent (300).
  • stopper parts 213, 223, and 233 coupled to the guide parts 212, 222, and 232 may be seated in the guide hole 310 of the guide stent 300.
  • the stoppers 213, 223, and 233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310.
  • the stoppers 213, 223, and 233 are formed in the guide hole 310.
  •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step 311 of the guide hole 310 for example, the stopper parts 213, 223, and 233 may be coupled to the stopper step 311. 232 may be coupled to extend outward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circular.
  • an appropriate linear drill unit 210, 220, 230, 240 is selected from the drill set 200.
  •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is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e of FIG. 4 (a) having a length of 13 mm and a diameter of the cutting part 211 of 2.0 mm. 3
  •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has a length of the cutting portion 221 11.5mm and the diameter of the cutting portion 221 is provided in the second of Figure 4 (b)
  • the linear drill unit 220d (see FIG. 3) may be selected.
  • the third linear drill unit 230 is the third linear drill unit 230c of FIG. 4 (c) having a cutting part 231 having a length of 10 mm and a diameter of the cutting part 231 having a diameter of 2.8 mm. 4 may be selected, and the fourth linear drill unit 240 is not shown in FIG. 3, but the length of the cutting portion 241 is 8.5 mm and the diameter of the cutting portion 241 is 3.0 mm. (d) the fourth linear drill unit 240b may be selected.
  • the first linear drill is used to form an implantation hole 810 in the alveolar bone 800 that can be applied to the tapered type fixture 700.
  • the lengths of the cutting parts 211, 221, 231, and 241 are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unit 210e to the fourth linear drill unit 240b via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d and the third linear drill unit 230c.
  • the linear drill units 210, 220, 230, and 240 may be selected in a form of gradually shortening and gradually increasing diameters.
  •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e forms an initial placement hole 811 in the alveolar bone 800 for placement of the fixture 700. That is, a relatively thin initial implantation hole 811 is formed by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e.
  •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d, the third linear drill unit 230c, the fourth linear drill unit 240b, and the fifth linear drill unit (not shown) have the same center point as the initial insertion hole 811.
  • Next-order openings 812a, 812b, 812c, and 812d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10 has the same center point as that of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 the linear drill unit 220d, the third linear drill unit 230c, the fourth linear drill unit 240b, and the fifth linear drill unit are sequentially drilled, as shown in FIG.
  • the second and second order placing holes 812a, 812b, 812c, and 812d which are relatively thicker and shorter than the initial placing hole 811 formed by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e are formed in the alveolar bone 800 at the same center point. .
  • a step may be form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alveolar bone 800 as shown in FIG. 5 (e).
  •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xture 700 may be coupled to the stepped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800 by rotating the tapered type fixture 700. Will be.
  • the initial placement hole 811 can be formed in the alveolar bone 800
  • the second order drill hole 812a is positioned in the alveolar bone 800 at the position having the same center point as the initial placement hole 811 by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d (see FIG. 4). This can be formed.
  • the alveolar bone 800 is formed by the third linear drill unit 230c (see FIG. 4) having a shorter diameter and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of FIG. 5 (b). ), The placing holes 812b of the next rank are formed.
  • the term "initial mounting hole 811"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mean the first drilling for forming the mounting hole 810 in the absence of any drilling, but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sitioning linear drill unit 500 and the hole extension linear drill unit 600 are properly positioned on the alveolar bone 800. After holding the alveolar bone 800 is expanded, that is, the implantation hole 810 may be formed first after pre-drilling for drilling the implantation hole 810.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e,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d, the third linear drill unit 230c, the fourth linear drill unit 240b, the fifth linear drill unit
  • the method of forming the implantation hole 810 in the alveolar bone 8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implantation hole 810 to be formed in the opposite order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may be.
  • a relatively thick and short initial insertion hole is formed by using a fifth linear drill unit (not shown), and then the fourth linear drill unit 240b, the third linear drill unit 230c, and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d. ), May be drilled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e).
  • an implantation hole 810 may be formed in the alveolar bone 800 using one straight drill unit.
  • an implantation hole 810 for a straight type fixture 700 is formed in the alveolar bone 800 using one straight drill unit.
  • a plurality of straight drill units 210, 220, 230 of the same length and different diameters
  • the alveolar bone 800 for the insertion hole for the straight type fixture 700 810 may be formed.
  • a method of drilling a hole having a desired diameter while increasing the size of the hole little by little after first forming a small hole rather than drilling a large hole at a time may be advantageous for processing.
  • first linear drill unit 210 and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length and different diameters.
  • the straight type fixture 700 is provided with a portion for cutting in a straight form, but also of the tapered type
  • An implantation hole 810 may also be formed in the alveolar bone 800 to which the fixture 700 may be coupled, thereby drilling a tap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apered type fixture 700. Even without having a tape type type fixture 700 can also be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800,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easy management.
  • the guide stent 300 is for guiding the drilling of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or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and a guide hole 310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
  • the guide stent 300 is provided to accurately guide the drilling depth in the formation of the insertion hole 810 by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or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where the guide stent 300 is It may refer to any device that is coupled to the teeth when drilling to provide a guide to the direction or depth of the drill.
  • the guide stent 300 may b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teeth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and is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inear drill units 210, 220, and 230.
  • the depth of the implantation hole 810 formed in the alveolar bone 800 may not be constant depending on the capability of each worker, so the step for the coupling of the fixture 700 is preset. Can escape.
  • the dental implant kit 100 since the guide stent 300 is coupled to the teeth guides the linear drill unit (210, 220, 230) to a certain degree of drilling Depth can be guaranteed.
  • the guide stent 300 may include a guide hole 310 in which the linear drill units 210, 220, and 230 may be seated. That is, the linear drill units (210, 220, 230) ar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10 of the guide stent 300 and then guided along the guide hole 310 and moved, the guide hole 310 at the point where the movement is completed ) Can be seated.
  • the guide portions 212 and 222 of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or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may be coupled to the guide hole 310 to move along the guide hole 310.
  • accurate drilling of the alveolar bone 800 may be enabled.
  • the guide stent 300 may include a stopper step portion 311.
  • the guide hole It moves along 310 to be seated on the stopper step portion 311 formed in the guide hole 310 to stop the movement.
  • the linear drill units 210, 220, 230 move only until they are seated on the stopper step portion 311 formed in the guide hole 310, the linear drill unit (210, 220, 230) is a stopper step portion ( 311), when the movement is completed, the linear drill unit (210, 220, 230) does not move to the deeper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800, so that drilling is possible to the exact drilling depth regardless of the operator's experience or skill It works.
  • the guide stent 30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hole support (not shown), the guide hole support (not shown) extends from the guide hole 310 is provided to support the guide hole 310 caught in the teeth. .
  • the guide hole support (not shown) may be formed with a tooth coupling groove (not shown) to which the teeth can be coupled.
  • the guide hole support portion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guide hole 31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oth, and the tooth coupling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guide hole support portion (not shown) is coupled to the tooth to be supported. It becomes possible.
  • the fixture carrier unit 400 is rotated by being coupled to the fixture 700, so that the insertion depth of the fixture 700 and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xture 700 can be recognized. To be prepared.
  • the guide stent 300 may be formed with a recognition hole (320, see Fig. 6 (a)), the fixture carrier unit 400 is coupled to the fixture 700 to rotate, the recognition hole 320 Through the mounting depth of the fixture 700 to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fixture 700 may be provided to recognize.
  • the fixture 700 and the abutment may be variously combined. That is, when the interior of the fixture 700 is provided with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abutment (not shown) is also provid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is case, the abutment (not shown) may be us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ture 700 is placed. Can be combined.
  • an abutment (not shown) should also be provided as a polygon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abutment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fixture 700 only in the correct direction. .
  • the abutment (not shown) that is accur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ient has a tooth shape in which the mesial plane, the distal plane, the lingual area, and the buccal area are formed unlike the conventional abutment, which is a cylinder type.
  • the polygon of the fixture and the polygon of the abutment (not shown)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patient, the four directions (myocardial surface, distal plane, lingual, buccal) do not fit when they are not combined in the planned direction.
  •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ture carrier unit 400 capable of recognizing an implantation depth or an implantation direction of the fixture 700.
  • fixture 700 and the abutment (not show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ase where the polygon is provided.
  • a ready-made abutment (not shown) suitable for the implanted fixture 700 is combined, and the artificial abutment based on the ready-made abutment (not shown) is performed.
  • the crown is made and coupled to a ready abutment (not shown).
  • an accurate abutment (not shown) and a 3D printer unit and a 3D scanner unit are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ient. Sinc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guide stent 300, the precision of the implant procedure can be improved.
  • the abutment (not shown) to the guide stent 300 formed by the 3D printer unit is scanned by the 3D scanner unit, and the abutment ( Since the original design data of the guide stent 300 is corrected through an error value analysis with the scanning data,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abutment (not shown) to the guide stent 300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ient.
  • the 3D printer unit outputs the abutment (not shown) to the guide stent 300 using design original data generated based on the CT data obtained through the CT of each individual patient.
  • the abutment (not shown) or the guide stent 300 output through the 3D printer unit may need to correct it because an error may occur with the design original data.
  • the 3D scanner unit scans an abutment (not shown) or guide stent 300 output through the 3D printer unit to generate scanning data.
  •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design original data with the scanning data. Since the design original data may be data modeled in 3D, the control unit may model the scanning data in 3D and generate 3D modeling data from the scanning data for easy comparison of the design original data and the scanning data.
  • the control unit corrects such an error because the design original data and the 3D modeling data have errors.
  • the 3D printer unit finally outputs the abutment (not shown) to the guide stent 300 without error using the design correction data.
  • the accurate data about the patient is collected by using an initial CT and the like, an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abutment (not shown) to the guide stent ( Since 300) is manufactured in advance, the time required for the implant procedure can be shortened.
  • the scanner can scan the oral state of the patient in 3D or use the data to scan from the desktop.
  • the CT data and the scanning data are used to correct errors of the CT data due to light scattering.
  • the diagnosis is primarily performed in 3D by the CT data and the scanning data, and the fixture 700 is placed and prosthetic through the original design data.
  • the guide stent 300 may be manufactured by the 3D printer through the data, and accurate abutments (not shown) may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atients by using a dental cad / cam device. do.
  • the placement direction of the fixture 700 was not important. 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even if the fixture 700 is implanted in an arbitrary direction, the abutment (not shown) may be combined in accordance with the implantation direction of the fixture 700.
  • an accurate CT data is collected using an initial CT and the abutment (not shown) is also included in the data. Since it is manufactured in advance on the basis, when the fixture 700 is placed in an arbitrary direction, it cannot be combined with an abutment (not shown).
  • the abutment (not shown) is already determined in size and direction by the data considering the position, angle, state, etc. of the patient's teeth, the fixture 700 coupled to such a position is also abutment (not shown) In order to be coupled to), it must be placed in the correct direction.
  • the dental implant kit 100 in order to b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800 so that the fixture 700 faces the correct direction, includes a fixture carrier unit 400. can do.
  • the fixture carrier unit 400 includes a fixture coupling unit 410, a direction depth recognition unit 420, and a handpiece coupling unit 430. can do.
  • the fixture coupling unit 410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fixture 700, where the fixture coupling unit 410 rotates while the fixture 700 coupled to the fixture coupling unit 410 also rotates. As it is gradually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800 it can be placed.
  • the fixture coupling unit 410 since the fixture coupling unit 4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700, the fixture coupling unit 41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xture 700 after the fixing of the fixture 700 is completed.
  • the inside of the fixture 700 may be provided as a polygon.
  • the fixture coupling unit 410 may have a polygon shape inside the fixture 700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xture 700.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poly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 the fixture coupling part 410 when the inside of the fixture 700 is provided in a hexagon, as shown in FIG. 6 (a), the fixture coupling part 410 also has a hexagonal shape 411 at the coupling part of the fixture 700.
  • the fixture coupling unit 410 may be coupled to the fixture 700.
  • the direction depth recognition unit 420 is coupled to the fixture coupling unit 410 and is provided to recognize the implantation depth of the fixture 700 or the implantation direction of the fixture 700 through the recognition hole 320.
  • the direction depth recognition unit 420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portion 421 coupled to the fixture coupling portion 410 and the main body portion 421 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tion hole 320 recognition hole 320 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422 provided to be recognized through.
  • the main body 421 and the display 422 may be provided to have different colors.
  • the direction depth recognition unit 420 rotates, the main body 421 and the display unit 422 rotate through the recognition hole 320 formed in the guide stent 300.
  • the unit 421 and the display unit 422 are alternately recognized.
  • the implantation direction is not corrected, and thus the fixture 700 is rotated more than the implantation. Will be oriented.
  • the fixture 700 when the depth of attachment of the fixture 700 is satisfied within the preset range, if the main body 421 is visible through the recognition hole 320, the implantation direction of the fixture 700 is not the correct direction. 700 is further finely rotated, and if the display unit 422 is visible through the recognition hole 320, the rotation of the fixture 700 is stopped because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xture 700 corresponds to the correct direction. As a result, the fixture 700 may b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800 to have an accurate implantation direction.
  • the fixture 700 and the abutment (not shown) are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and the abutment (not shown) is not a ready-made product and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 the fixture 700 and the abutment (not shown) may be accurately combined.
  • the fixture 700 may be determined to be implanted by a preset depth of implantation, and thus the rotation of the fixture 700 is performed. This stops, whereby the fixture 700 is able to b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800 to have a precise implantation depth.
  • the fixture 700 may b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800 to have an accurate implantation direction and an accurate implantation depth by the fixture carrier unit 400, thereby optimizing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ere is an effect that enables the treatment of implants.
  • the handpiece coupling part 430 is provided such that one side is coupled to the direction depth recognition unit 42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handpiece 900.
  • the handpiece 9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the handpiece 900 is coupled to the fixture carrier unit 400 to rotate the fixture carrier unit 400, thereby fixing the fixture carrier unit 400 Rotating the fixture 700 is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800 is placed.
  • the handpiece 900 and the fixture carrier unit 400 are disposed between the handpiece 900 and the fixture.
  • Various adapters 910 for interconnecting the carrier unit 400 and various extensions 920 connected to extend the length to prevent tooth interference of the patient may be included.
  • one drill set 200 and a guide stent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raight drill units 210, 220, and 230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diameters.
  • the 300 it is possible to form the insertion hole 81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arious shape of the fixture 700, whereby the cost and easy operation and effects will be described.
  • an implantation hole 810 is formed in the alveolar bone 800 for implantation of the fixture 700, but a portion for cutting is provided in a straight shape.
  • Drill set comprising a first linear drill unit 210, and a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and a portion for cutting in a straight line form ( 200 is provided, and also to guide the drilling of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to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includes a guide stent 300 is formed with a guide hole 310 on one side.
  • the fixture 700 when the fixture 700 is a straight type, at least one of the linear drill units 210, 220, and 230 provided in a straight shape in the drill set 20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straight type fixture 700.
  • the alveolar bone 800 may be processed as much as possible.
  • the fixture 700 is a tapered type
  • first the initial placement hole 811 is formed in the alveolar bone 800 through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and the initial implant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 the next priority hole 812a, 812b, 812c, 812d having the same center point as the hole 811 is formed, where the next priority hole 812a, 812b, 812c, 812d is shorter than the initial hole 811
  • the diameter is formed large.
  •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of shorter length and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of higher priority are formed using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of the same center point. If the length is shorter than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of the plurality of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is used to sequentially process the drill hole 220 is formed in the alveolar bone 800 as shown in FIG. A step is formed at 810.
  •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xture 700 may be coupled to the step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800 when the tapered type fixture 700 is rotated. It becomes possible.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linear positioning drill unit in a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hole expanding linear drill unit in a dental implant k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is a diagram.
  • a drill set 200 and a guide stent having a plurality of linear drill units 210, 220, and 230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diameters are provided.
  • the 300 it is possible to form the insertion hole 81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arious shape of the fixture 700,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easy management, and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nd effects, but the present invention Parts common to those described in the dental implant ki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with the above description.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ositioning linear drill unit 500 and a hole expanding linear drill unit 600.
  • the positioning linear drill unit 500 may be provided to select a position of drilling of the alveolar bone 800.
  • the position selection linear drill unit 500 may include a pointed portion 510 having an end pointed so as to indicate a position on the alveolar bone 800.
  • a pointed portion 510 may be an angle of the drill ⁇ .
  • the positioning linear drill unit ( The drill of 500) can be prepared quite sharply.
  • the hole extension linear drill unit 600 is provided to extend the depth or the width of the positioning hole formed by the positioning linear drill unit 500.
  • the first linear drill unit 210 to the second linear drill unit 220 are easily placed at a position selected by the position selection linear drill unit 500. It is provided to form a.
  • the hole extension linear drill unit 600, the body portion 610 is coupled to the handpiece 900, and the hole extension drill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610 and extending the depth or width of the positioning hole ( 620 and a drill drill 630 coupled to the hole extension drill 620 and cutting the alveolar bone 800.
  • the hole extension linear drill unit 600 may be provided as a double drill structure of a hole extension drill part 620 coupled to the body portion 610 and a cutting drill part 630 coupled to the hole extension drill part 620. Can be.
  • the cutting drill portion 630 primarily extends the alveolar bone 800 along the positioning hole formed by the positioning linear drill unit 500, and extends the hole at the rear of the cutting drill portion 630. 620 may secondly expand the alveolar bone 800.
  • the cutting drill unit 630 may extend the depth of the positioning hole and the hole expansion drill unit 620 may be provided to extend the width of the positioning hole.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dental medical indu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는,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절삭부와, 절삭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에 식립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하는 드릴세트; 및 직선형드릴유닛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스텐트(Guide Stent)를 포함하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은 각각 상호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부를 가지며, 가이드스텐트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은 가이드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와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이 구비되는 드릴세트와 가이드스텐트를 통해 직선 형상뿐만 아니라 테이퍼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픽스츄어 각각에 대응되는 식립홀을 형성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는 대체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치과에서 행하는 임플란트 시술은 잇몸뼈, 즉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수술과정과, 식립된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연결하여 인공치아를 장착하는 보철과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일 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치조골에 드릴링(drilling) 및 탭핑(tapping) 과정을 거쳐 픽스츄어(Fixture)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게 된다.
다음으로, 보철물 제작을 위해 임프레션 코핑을 픽스츄어 상부에 체결하고 이어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예비 인상을 채득 후 임프레션 코핑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에,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치관을 기공한 후 픽스츄어 상부에 지대주(Abutment)를 체결하고, 지대주 위에 보철물 즉 인공치관을 고정하여 인공치아를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기 위해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를 사용하여 치조골에 드릴링을 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픽스츄어는 제조 회사마다 형상과 모양, 경사유무와 경사각도가 모두 달라서 각각의 픽스츄어에 대응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가 필요하다.
즉 하나의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로는 다양한 종류의 픽스츄어에 대한 식립홀모두를 형성할 수 없어서 픽스츄어의 형상에 대응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가 각각 필요하게 되어 이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고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길이와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이 구비되는 드릴세트와 가이드스텐트를 통해 다양한 형상의 픽스츄어 각각에 대응되는 식립홀을 형성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에 식립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하는 드릴세트; 및 상기 직선형드릴유닛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스텐트(Guide Stent)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은 각각 상호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스텐트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가이드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의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호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스텐트에 안착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은, 제1직선형드릴유닛; 및 상기 제1직선형드릴유닛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의 제2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직선형드릴유닛은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 각각은 상기 절삭부의 길이가 상이하되 상기 절삭부의 직경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직선형드릴유닛은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 각각은 상기 절삭부의 길이가 상이하되 상기 절삭부의 직경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의 각 상기 절삭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대응되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스텐트에는 상기 직선형드릴유닛의 상기 스토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스토퍼단차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식립홀에 식립시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며,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스텐트에는 외부에서 인식을 위한 인식홀이 형성되며, 상기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은 상기 가이드스텐트에 형성된 상기 인식홀을 통해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방향깊이인식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은,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픽스츄어결합부; 및 상기 방향깊이인식유닛에 결합되며 핸드피스가 결합되는 핸드피스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향깊이인식유닛은 상기 픽스츄어결합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깊이인식유닛은, 상기 픽스츄어결합부에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식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인식홀을 통해 인식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은 다각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픽스츄어결합부는,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에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픽스츄어 내측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해 상기 치조골에 초기식립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초기식립홀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는 차순위식립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조골의 드릴링의 위치를 선정하도록 마련되는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치조골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마련되는 뾰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에 의해 형성된 위치선정홀의 깊이 및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하도록 마련되는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은,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결합되며 상기 위치선정홀의 깊이 및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하는 홀확장드릴부; 및 상기 홀확장드릴부에 결합되며 상기 치조골을 절삭하는 절삭드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길이와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이 구비되는 드릴세트와 가이드스텐트를 통해 다양한 형상의 픽스츄어 각각에 대응되는 식립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비용이 감소되고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드릴세트와 가이드스텐트에 의해 치조골에 식립홀이 형성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하는 드릴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치조골에 식립홀의 형성을 위해 선택된 직선형드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 의해 치조골에 단차가 형성되어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을 통해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또는 식립방향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드릴세트와 가이드스텐트에 의해 치조골에 식립홀이 형성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하는 드릴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치조골에 식립홀의 형성을 위해 선택된 직선형드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 의해 치조골에 단차가 형성되어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을 통해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또는 식립방향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는, 절삭부(211, 221)와 가이드부(212, 222)를 가지는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을 포함하는 드릴세트(200)와, 직선형드릴유닛(210, 220)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310)이 형성되는 가이드스텐트(Guide Stent, 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은 각각 상호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부(212, 222)를 가지며, 가이드스텐트(3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310)은 가이드부(212, 222)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212, 222)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치과에서 이식하는 것으로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800)에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는 대체 치근을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를 위해, 치조골(800)에 드릴링 및 탭핑 과정을 거쳐 픽스츄어(700)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치조골(800)에 픽스츄어(700)를 식립하게 된다.
그런데 픽스츄어(700)는 제조회사마다 형상이 각각 상이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제조회사에서 생산된 픽스츄어(700)도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대분류에 따라 픽스츄어(700)는 스트레이트 타입과 테이퍼 타입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스트레이트 타입의 경우 픽스츄어(700)의 외측면이 서로 나란하게 스트레이트로 마련되고, 테이퍼 타입의 경우 픽스츄어(700)의 외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형상, 즉 픽스츄어(700)의 외측면에 경사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를 치조골(800)에 식립하는 경우 치조골(800)을 가공하는 드릴 역시 스트레이트 타입으로 마련되었고,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를 치조골(800)에 식립하는 경우 치조골(800)을 가공하는 드릴 역시 테이퍼 타입으로 마련되었다.
그리고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만 고려하더라도 외측면의 경사각도 등이 모두 다를 수 있는데, 이 경우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의 외측면의 경사각도에 대응되는 경사각도를 가지는 드릴이 모두 구비되어야 했다.
하지만 제조회사별로 픽스츄어(700)의 형상이 모두 상이해서 이에 대응되는 드릴을 모두 구비하게 되면 드릴의 개수가 상당히 많은 수로 증가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를 모두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는,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 형태로 마련되는 스트레이트 타입의 드릴, 즉 직선형드릴유닛(210, 220)을 복수개 구비하는 드릴세트(200)를 통해,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와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식립홀(810)을 치조골(800)에 형성할 수 있는 바,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드릴세트(200)는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즉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제1직선형드릴유닛(21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릴세트(200)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제3직선형드릴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다만 제3직선형드릴유닛(230)의 기본적인 내용의 경우 제2직선형드릴유닛(220)과 공통되므로, 공통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에 표시되어 있는 직경 D는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의 절삭부(211, 221, 231)의 직경을 의미하고, 도 3에 표시되어 있는 길이 L은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의 절삭부(211, 221, 231)의 길이를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은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절삭부(211)와, 절삭부(211)에 결합되는 가이드부(212)를 가지며, 픽스츄어(700)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800)에 식립홀(810, 도 5 참조)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직선형드릴유닛(220)도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절삭부(221)와, 절삭부(221)에 결합되는 가이드부(222)를 가지며, 픽스츄어(700)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800)에 식립홀(810, 도 5 참조))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은 제1직선형드릴유닛(210)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3직선형드릴유닛(230)은 제2직선형드릴유닛(220)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된다.
그리고 가이드부(212, 222, 232)는 가이드홀(310)에 결합되어 가이드홀(310)을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정확한 치조골(800)의 드릴링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 즉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제2직선형드릴유닛(220)과, 제3직선형드릴유닛(230)은 각각 상호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부(212, 222, 232)를 가지며, 후술하는 가이드스텐트(3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310)은 가이드부(212, 222, 232)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212, 222, 232)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 드릴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부의 직경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드릴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부가 안착되는 스텐트의 가이드홀의 직경 역시 모두 다르게 마련되었으며, 복수의 드릴에 대해 가이드홀의 직경을 변화시키는 부쉬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모두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부(212, 222, 232)를 가지므로, 가이드스텐트(3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310) 역시 가이드부(212, 222, 232)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게 된다면, 하나의 가이드스텐트(300)를 사용하여 부쉬가 없더라도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 모두에 대해 가이드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종래 기술에 비해 부쉬를 생략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의 가이드부(212, 222, 232)는 직경 뿐만 아니라 길이도 상호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은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이 5개로 마련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은 절삭부(211)의 길이가 상이하되 절삭부(211)의 직경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의 절삭부(211)의 길이는 각각 7mm, 8.5mm, 10mm, 11.5mm, 13mm로 상이하지만, 절삭부(211)의 직경은 2.0mm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이러한 수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의 절삭부(211)의 길이와 직경은 보다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마찬가지로, 제2직선형드릴유닛(220) 역시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220a, 220b, 220c, 220d, 220e)을 포함할 수 있고, 제3직선형드릴유닛(230) 역시 복수개의 제3직선형드릴들(230a, 230b, 230c, 230d, 230e)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220a, 220b, 220c, 220d, 220e)과 복수개의 제3직선형드릴들(230a, 230b, 230c, 230d, 230e)은 절삭부(221, 231)의 길이가 상이하되 절삭부(221, 231)의 직경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직선형드릴들(220a, 220b, 220c, 220d, 220e)의 절삭부(221)의 직경이 2.5mm로 동일한 경우 그 길이는 각각 7mm, 8.5mm, 10mm, 11.5mm, 13mm로 상이할 수 있고, 또는 제3직선형드릴들(230a, 230b, 230c, 230d, 230e)의 절삭부(231)의 직경이 2.8mm로 동일한 경우에도 그 길이는 각각 7mm, 8.5mm, 10mm, 11.5mm, 13mm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서 제2직선형드릴유닛(220)과, 제3직선형드릴유닛(230) 역시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수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2직선형드릴들(220a, 220b, 220c, 220d, 220e)과 제3직선형드릴들(230a, 230b, 230c, 230d, 230e)의 절삭부(221, 231)의 길이와 직경은 보다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220a, 220b, 220c, 220d, 220e)과, 복수개의 제3직선형드릴들(230a, 230b, 230c, 230d, 230e) 각각의 절삭부(221, 231)는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의 각각의 절삭부(211)의 길이와 동일하게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1직선형드릴(210a)의 절삭부(211)의 길이가 7mm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제2직선형드릴(220a) 및 제3직선형드릴(230a)의 절삭부(221, 231)의 길이도 7mm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제1직선형드릴(210)들과 제2직선형드릴(220)들 및 제3직선형드릴(230)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은 스토퍼부(213, 223, 23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스토퍼부(213, 223, 233)는 가이드부(212, 222, 232)에 결합되며, 가이드스텐트(300)에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즉 가이드부(212, 222, 232)에 결합되는 스토퍼부(213, 223, 233)는 가이드스텐트(300)의 가이드홀(310)에 안착될 수 있다.
스토퍼부(213, 223, 233)는 가이드홀(3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스토퍼부(213, 223, 233)는 가이드홀(310)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단차부(3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310)의 스토퍼단차부(311)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어, 스토퍼부(213, 223, 233)가 가이드부(212, 222, 23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213, 223, 233)가 가이드홀(310)의 스토퍼단차부(311)에 안착되는 경우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치조골(800)의 방항으로 이동하는 것이 종료되므로, 이에 의해, 일정한 깊이까지만 드릴링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하에서는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을 복수개 사용하여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에 적용될 수 있는 식립홀(810)을 치조골(800)에 형성하는 방식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치조골(800)에 식립홀(810)을 형성하기 위해 우선 드릴세트(200) 중에서 적절한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 240)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은 절삭부(211)의 길이가 13mm이고 절삭부(211)의 직경이 2.0mm로 마련되는 도 4(a)의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 도 3 참조)이 선택될 수 있고,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은 절삭부(221)의 길이가 11.5mm이고 절삭부(221)의 직경이 2.5mm로 마련되는 도 4(b)의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도 3 참조)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3직선형드릴유닛(230)은 절삭부(231)의 길이가 10mm이고 절삭부(231)의 직경이 2.8mm로 마련되는 도 4(c)의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 도 3 참조)이 선택될 수 있고, 제4직선형드릴유닛(24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절삭부(241)의 길이가 8.5mm이고 절삭부(241)의 직경이 3.0mm로 마련되는 도 4(d)의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이 선택될 수 있다.
즉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에 적용될 수 있는 식립홀(810)을 치조골(800)에 형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으로부터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을 거쳐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로 순차적으로 갈수록 절삭부(211, 221, 231, 241)의 길이는 점진적으로 짧아지고 직경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 240)이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은, 픽스츄어(700)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800)에 초기식립홀(811)을 형성한다. 즉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에 의해 상대적으로 가늘고 긴 초기식립홀(8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 제5직선형드릴유닛(미도시)은, 초기식립홀(811)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는 차순위식립홀(812a, 812b, 812c, 812d)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즉 도 4의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에 의해 치조골(800)에 가늘고 긴 초기식립홀(811, 도 5 참조)이 형성된 후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도록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 제5직선형드릴유닛(미도시)을 위치시켜 순차적으로 드릴링을 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에 의해 형성되는 초기식립홀(811) 보다 상대적으로 굵고 짧은 차순위식립홀(812a, 812b, 812c, 812d)들이 같은 중심점을 가지는 위치에서 치조골(800)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의 드릴링에 의해, 도 5(e)와 같이 치조골(8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조골(800)에 형성된 단차는 개략적으로 경사를 형성하게 되므로,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를 회전하면 픽스츄어(700)의 경사진 면이 치조골(800)의 단차부분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우선 도 5(a)에서와 같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 도 4 참조)에 의해 치조골(800)에 초기식립홀(811)이 형성될 수 있고, 다음으로 도 5(b)에서와 같이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도 4 참조)에 의해 초기식립홀(811)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는 위치에서 치조골(800)에 차순위식립홀(81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c)에서와 같이, 도 5(b)의 제2직선형드릴유닛(220)보다 길이는 짧고 직경이 크게 마련되는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 도 4 참조)에 의해 치조골(800)에 다음 순위의 식립홀(812b)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 및 제5직선형드릴유닛(미도시)을 통해 치조골(800)에 드릴링을 하게 되면 도 5(d)를 거쳐 도 5(e)와 같은 식립홀(812c, 812d)이 생기면서 치조골(800)에 단차가 형성되며, 이후 도 5(f)에서와 같이 픽스츄어(700)를 치조골(80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초기식립홀(811)이라는 용어는, 아무런 드릴링이 없는 상태에서 식립홀(810) 형성을 위한 최초의 드릴링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과,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과,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에 의해 치조골(800)에 적당하게 위치를 잡고 치조골(800)이 확장된 후, 즉 식립홀(810) 드릴링을 위한 사전 드릴링 후에 최초로 형성되는 식립홀(810)을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 제5직선형드릴유닛(미도시)을 위치시켜 순차적으로 드릴링하는 것이지만, 치조골(800)에 식립홀(810)을 형성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방식과 반대의 순서대로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제5직선형드릴유닛(미도시)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굵고 짧은 초기식립홀이 형성되며, 이후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드릴링할 수도 있다.
한편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의 경우 하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사용하여 치조골(800)에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의 경우, 하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사용하여 치조골(800)에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를 위한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가공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길이가 같고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을 사용하여 치조골(800)에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를 위한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식립홀(810)의 직경이 다소 넓은 경우 처음부터 복수개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 중에서 직경에 맞는 직선형드릴유닛 하나를 사용하게 되면 가공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직경이 작은 직선형드릴유닛부터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여러 개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을 사용하여 식립홀(810)을 형성하게 되면, 가공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즉 큰 구멍을 한 번에 뚫는 것보다 작은 구멍을 먼저 형성 후 조금씩 구멍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원하는 직경의 구멍을 뚫는 방식이 가공에 유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은 길이가 같고 직경만 달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만으로,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 형태로 마련되는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뿐만 아니라,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도 결합될 수 있는 식립홀(810)을 치조골(800)에 형성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의 외측면의 경사각도에 대응되는 경사각도를 가지는 드릴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테이피 타입의 픽스츄어(700) 역시 치조골(800)에 결합가능하므로, 비용이 감소되고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스텐트(300)는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또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의 드릴링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 가이드홀(310)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스텐트(300)는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또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에 의해 식립홀(810)의 형성시 드릴링 깊이를 정확하게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데, 여기서 가이드스텐트(300)는 드릴링시 치아에 결합되어 드릴의 방향 또는 깊이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가이드스텐트(300)가 마련되는 경우, 가이드스텐트(300)는 환자의 구강 내부에서 치아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만약, 가이드스텐트(30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면, 치조골(800)의 드릴링시 작업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숙련도에 기초하여 드릴링 깊이를 조절하면서 치조골(800)에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이런 방식에 의해 드릴링을 진행하게 되면, 작업자 개개인의 역량에 따라 치조골(800)에 형성되는 식립홀(810)의 깊이가 일정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700)의 결합을 위한 단차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는, 가이드스텐트(300)가 치아에 결합된 후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을 가이드하므로 일정한 정도의 드릴링 깊이가 보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스텐트(300)에는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안착될 수 있는 가이드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가이드스텐트(300)의 가이드홀(310)에 삽입된 후 가이드홀(310)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하며,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서 가이드홀(31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또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의 가이드부(212, 222)가 가이드홀(310)에 결합되어 가이드홀(310)을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정확한 치조골(800)의 드릴링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스텐트(300)는 스토퍼단차부(31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또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이 치조골(800)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홀(310)을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홀(310)에 형성된 스토퍼단차부(311)에 안착되어 이동을 멈추게 된다.
즉,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은 가이드홀(310)에 형성된 스토퍼단차부(311)에 안착할 때까지만 이동하게 되는데,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스토퍼단차부(311)에 안착되어져 이동이 완료되면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치조골(800)의 더 깊은 부분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의 경험이나 숙련도에 관계없이 정확한 드릴링 깊이까지 드릴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가이드스텐트(300)에는 가이드홀지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는데, 가이드홀지지부(미도시)는 가이드홀(310)로부터 연장되며 치아에 걸려 가이드홀(3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가이드홀지지부(미도시)에는 치아가 결합될 수 있는 치아결합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홀(31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이드홀지지부(미도시)가 치아의 상부에 올려지게 되며, 가이드홀지지부(미도시)에 형성된 치아결합용홈(미도시)이 치아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은 픽스츄어(700)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픽스츄어(700)의 식립깊이 및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가이드스텐트(300)에는 인식홀{320, 도 6(a) 참조}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은 픽스츄어(700)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인식홀(320)을 통해 픽스츄어(700)의 식립깊이 내지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픽스츄어(700)와 어버트먼트(미도시)는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픽스츄어(700) 내부가 원형단면으로 마련되는 경우 어버트먼트(미도시)도 원형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이때에는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에 상관없이 어버트먼트(미도시)를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픽스츄어(700)가 다각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어버트먼트(미도시)도 이에 대응되는 다각형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어버트먼트(미도시)는 정확한 방향에서만 픽스츄어(7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정확한 어버트먼트(미도시)의 경우 실린더 타입인 기성 어버트먼트와 달리 근심면, 원심면, 설측, 협측이 형성된 치아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픽스츄어의 다각형과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정확한 어버트먼트(미도시)의 다각형이 결합될 때 계획된 방향으로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기 네 방향(근심면, 원심면, 설측, 협측)이 맞지 않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픽스츄어(700)의 식립깊이 내지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픽스츄어(700)와 어버트먼트(미도시)가 다각형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픽스츄어(700)를 식립 후, 식립된 픽스츄어(700)에 맞는 기성 어버트먼트(미도시)를 결합하게 되고, 이러한 기성 어버트먼트(미도시)를 기준으로 인공치관을 제작하여 기성 어버트먼트(미도시)에 결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하나의 과정 종료 후 다음 과정이 진행되므로 임플란트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증가하게 되며, 또한 기성 어버트먼트(미도시)를 사용하므로 환자의 구강구조에 잘 맞지 않아 정확한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3D 프린터유닛과 3D 스캐너유닛을 사용하여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정확한 어버트먼트(미도시)와 가이드스텐트(300)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임플란트 시술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대해 설명하면, 3D 프린터유닛을 통해 성형된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가 3D 스캐너유닛으로 스캐닝되고, 설계 프로그램을 통해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의 설계원본데이터가 스캐닝데이터와의 오차값 분석을 통해 보정되므로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3D 프린터유닛은 개개별 환자의 CT를 통해 획득된 CT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설계원본데이터를 사용하여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를 출력하게 된다.
하지만, 3D 프린터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는 설계원본데이터와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정해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3D 스캐너유닛이, 3D 프린터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를 스캐닝하여 스캐닝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유닛은 설계원본데이터와 스캐닝데이터를 비교하게 된다. 여기서 설계원본데이터는 3D로 모델링된 데이터일 수 있으므로, 설계원본데이터와 스캐닝데이터의 비교의 용이성을 위해 제어유닛은 스캐닝데이터를 3D로 모델링하여 스캐닝데이터로부터 3D모델링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만약 3D 프린터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가 설계원본데이터와 오차가 있는 경우라면 설계원본데이터와 3D모델링데이터에도 오차가 있으므로, 제어유닛은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여 설계보정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며, 3D 프린터유닛이 설계보정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오차없는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정확한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성 어버트먼트(미도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임플란트 시술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과정 종료 후 다음 과정이 진행되는 종래 임플란트 시술과 달리, 최초 CT 등을 사용하여 환자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를 미리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임플란트 시술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예시에 대해 설명하면, 환자의 CT 데이터로 3D 상에서 진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정확한 어버트먼트(미도시)와 가이드스텐트(300)를 제작한다.
하지만 CT 데이터는 빛의 산란 등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스캐너를 통해 환자의 구강 상태를 3D로 스캐닝하거나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스크탑에서 스캔할 수 있다. 그리고 CT 데이터와 스캐닝데이터를 통해 빛의 산란에 의한 CT 데이터의 오차를 보정한다.
이러한 CT 데이터와 스캐닝데이터에 의해 3D 상에서 1차적으로 진단을 하며, 설계원본데이터를 통해 픽스츄어(700)를 식립하고 보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를 통해 3D 프린터로 가이드스텐트(300)를 제작하고, 덴탈용(Dental) 캐드 / 캠(cad/cam) 장비에 의해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정확한 어버트먼트(미도시)를 가공하게 된다.
다만 종래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픽스츄어(700) 식립 후 기성 어버트먼트(미도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픽스츄어(700)의 식립 방향에 맞추어 어버트먼트(미도시)를 결합하면 되기 때문에 픽스츄어(700)의 식립 방향은 중요하지 않았다. 즉 종래의 경우 픽스츄어(700)를 임의의 방향으로 식립하더라도 이후 어버트먼트(미도시)를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에 맞추어 결합하면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최초 CT 등을 사용하여 환자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어버트먼트(미도시) 역시 이러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제작되어 있으므로, 픽스츄어(700)를 임의의 방향으로 식립하게 되면 어버트먼트(미도시)와 결합될 수 없게 된다.
즉 어버트먼트(미도시)는 환자의 치아의 위치, 각도, 상태 등을 고려한 데이터에 의해 크기와 방향 등이 이미 결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위치에 결합되는 픽스츄어(700) 역시 어버트먼트(미도시)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정확한 방향을 향하도록 식립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즉 픽스츄어(700)가 정확한 방향을 향하도록 치조골(800)에 식립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는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은 픽스츄어결합부(410)와, 방향깊이인식유닛(420)과, 핸드피스결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스츄어결합부(410)는 픽스츄어(7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데, 여기서 픽스츄어결합부(410)가 회전하게 되면 픽스츄어결합부(410)에 결합되어 있는 픽스츄어(700) 역시 회전하면서 치조골(800)에 점진적으로 삽입되면서 식립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픽스츄어결합부(410)는 픽스츄어(7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픽스츄어(700)의 식립이 완료된 후에는 픽스츄어(700)로부터 픽스츄어결합부(4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픽스츄어(700)의 내측은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픽스츄어결합부(410)는 픽스츄어(700)의 내측에 결합가능하도록 픽스츄어(700) 내측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픽스츄어(700)의 내측이 육각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결합부(410)도 픽스츄어(700)의 결합부위에서 육각형의 형상(411)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픽스츄어결합부(410)가 픽스츄어(70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방향깊이인식유닛(420)은 픽스츄어결합부(410)에 결합되며 인식홀(320)을 통해 픽스츄어(700)의 식립깊이 내지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방향깊이인식유닛(420)은 픽스츄어결합부(410)에 결합되는 본체부(421)와, 본체부(421)에 결합되며 인식홀(3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인식홀(320)을 통해 인식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표시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421)와 표시부(422)는 서로 다른 색깔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방향깊이인식유닛(420)이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스텐트(300)에 형성되어 있는 인식홀(320)을 통해 본체부(421)와 표시부(422)가 번갈아 가면서 인식된다.
만약 가이드스텐트(300)에 형성되어 있는 인식홀(320)을 통해 본체부(421)가 인식{도 6(b) 참조}된다면 식립방향이 맞지 않는 것이므로 픽스츄어(700)를 보다 더 회전하여 식립방향을 맞추게 된다.
즉 픽스츄어(700)의 식립깊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만족되는 경우 인식홀(320)을 통해 본체부(421)가 보인다면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이 정확한 방향이 아니므로 픽스츄어(700)를 미세하게 더 회전하게 되고, 여기서 인식홀(320)을 통해 표시부(422)가 보인다면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이 정확한 방향에 해당되므로 픽스츄어(700)의 회전을 멈추게 되며, 이에 의해 픽스츄어(700)는 정확한 식립방향을 가지도록 치조골(800)에 식립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픽스츄어(700)와 어버트먼트(미도시)가 다각형으로 마련되고, 또한 어버트먼트(미도시)가 기성 제품이 아니라 환자의 특성에 맞게 제작된 경우에도,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을 맞추게 되면, 픽스츄어(700)와 어버트먼트(미도시)가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422)가 인식홀(320)을 통해 인식되더라도 표시부(422)의 일부만이 인식되는 경우 픽스츄어(700)의 식립깊이가 부족하다고 판단{도 6(c) 참조}할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700)를 보다 더 회전하여 식립깊이를 증가시킨다.
이후 표시부(422)의 전체가 인식홀(320)을 통해 인식된다면{도 6(d) 참조} 픽스츄어(700)는 미리 설정된 식립깊이만큼 식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700)의 회전을 멈추게 되며, 이에 의해 픽스츄어(700)는 정확한 식립깊이를 가지도록 치조골(800)에 식립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에 의해 픽스츄어(700)는 정확한 식립방향과 정확한 식립깊이를 가지도록 치조골(800)에 식립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환자의 구강 상태에 최적화될 수 있는 임플란트의 시술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핸드피스결합부(430)는 일측이 방향깊이인식유닛(420)에 결합되고 타측이 핸드피스(9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핸드피스(90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핸드피스(900)는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에 결합되어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을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에 결합되어 있는 픽스츄어(700)를 회전하여 치조골(800)에 식립하게 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에는, 핸드피스(900)와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 사이에 배치되어 핸드피스(900)와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을 상호 연결시키는 각종의 어댑터(Adapter, 910)와, 환자의 치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각종의 익스텐션(Extension, 920)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에서, 길이와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구비되는 하나의 드릴세트(200)와 가이드스텐트(300)를 통해 다양한 형상의 픽스츄어(700) 각각에 대응되는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비용이 감소되고 관리가 용이해지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는, 픽스츄어(700)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800)에 식립홀(810)을 형성하되,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보다 길이가 짧고 직경이 크며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을 포함하는 드릴세트(200)가 구비되며, 또한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내지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의 드릴링을 가이드하기 위해, 일측에 가이드홀(310)이 형성되는 가이드스텐트(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픽스츄어(700)가 스트레이트 타입인 경우, 드릴세트(200)에서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 형상에 대응되도록 치조골(800)을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픽스츄어(700)가 테이퍼 타입인 경우, 우선 제1직선형드릴유닛(210)을 통해 치조골(800)에 초기식립홀(811)을 형성하고,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을 통해 초기식립홀(811)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는 차순위식립홀(812a, 812b, 812c, 812d)을 형성하게 되는데, 여기서 차순위식립홀(812a, 812b, 812c, 812d)은 초기식립홀(811)보다 길이는 짧고 직경은 크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선순위의 제2직선형드릴유닛(220)보다 길이는 짧고 직경은 크게 형성되는 후순위의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을 사용하여 동일 중심점의 식립홀(810)에 대해 가공하며, 이와 같이 선순위의 제2직선형드릴유닛(220)보다 길이는 짧고 직경은 크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가공하게 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치조골(800)에 형성되는 식립홀(810)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치조골(800)에 형성된 단차는 개략적으로 경사를 형성하게 되므로,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를 회전하면 픽스츄어(700)의 경사진 면이 치조골(800)의 단차부분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만 구비된다면, 픽스츄어(700)의 제조회사에 관계없이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와, 테이퍼 타압의 픽스츄어(700) 모두에 대해 식립이 가능해지므로, 다양한 치과용 드릴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에 의해 이에 의해 비용이 감소되고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에 의해, 길이와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구비되는 드릴세트(200)와 가이드스텐트(300)를 통해 다양한 형상의 픽스츄어(700) 각각에 대응되는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비용이 감소되고 관리가 용이해지는 구성, 그리고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 및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은 치조골(800)의 드릴링의 위치를 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은 치조골(800)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마련되는 뾰족부(5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뾰족부(510)는 드릴의 내각(θ)이 60˚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치조골(800)에 식립홀(810)을 형성하는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내지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의 드릴의 내각이 대략 120˚정도로 마련되는 것에 비해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의 드릴은 상당히 날카롭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의 드릴 끝부분이 날카롭게 마련되는 것에 의해 치조골(800)의 위치를 선정 후, 선정된 위치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은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에 의해 형성된 위치선정홀의 깊이 또는 넓이를 확장하도록 마련된다.
즉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은,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에 의해 선정된 위치에서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내지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이 용이하게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은, 핸드피스(900)에 결합되는 몸통부(610)와, 몸통부(610)에 결합되며 위치선정홀의 깊이 또는 넓이를 확장하는 홀확장드릴부(620)와, 홀확장드릴부(620)에 결합되며 치조골(800)을 절삭하는 절삭드릴부(630)를 포함한다.
즉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은 몸통부(610)에 결합되는 홀확장드릴부(620)와, 홀확장드릴부(620)에 결합되는 절삭드릴부(630)의 이중 드릴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에 의해 형성된 위치선정홀을 따라 절삭드릴부(630)가 1차적으로 치조골(800)을 확장하고, 절삭드릴부(630)의 후방에서 홀확장드릴부(620)가 2차적으로 치조골(800)을 확장할 수 있다.
또는 절삭드릴부(630)가 위치선정홀의 깊이를 확장하고 홀확장드릴부(620)가 위치선정홀의 넓이를 확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치과 의료 산업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8)

  1.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에 식립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하는 드릴세트; 및
    상기 직선형드릴유닛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스텐트(Guide Stent)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은 각각 상호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스텐트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가이드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의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스텐트에 안착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은,
    제1직선형드릴유닛; 및
    상기 제1직선형드릴유닛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의 제2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형드릴유닛은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 각각은 상기 절삭부의 길이가 상이하되 상기 절삭부의 직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직선형드릴유닛은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 각각은 상기 절삭부의 길이가 상이하되 상기 절삭부의 직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의 각 상기 절삭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대응되도록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스텐트에는 상기 직선형드릴유닛의 상기 스토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스토퍼단차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식립홀에 식립시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며,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스텐트에는 외부에서 인식을 위한 인식홀이 형성되며,
    상기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은 상기 가이드스텐트에 형성된 상기 인식홀을 통해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방향깊이인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은,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픽스츄어결합부; 및
    상기 방향깊이인식유닛에 결합되며 핸드피스가 결합되는 핸드피스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향깊이인식유닛은 상기 픽스츄어결합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깊이인식유닛은,
    상기 픽스츄어결합부에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식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인식홀을 통해 인식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은 다각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픽스츄어결합부는,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에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픽스츄어 내측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해 상기 치조골에 초기식립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초기식립홀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는 차순위식립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의 드릴링의 위치를 선정하도록 마련되는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치조골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마련되는 뾰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에 의해 형성된 위치선정홀의 깊이 및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하도록 마련되는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은,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결합되며 상기 위치선정홀의 깊이 및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하는 홀확장드릴부; 및
    상기 홀확장드릴부에 결합되며 상기 치조골을 절삭하는 절삭드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PCT/KR2015/004454 2015-04-10 2015-05-01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WO201616357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90001386.6U CN208573837U (zh) 2015-04-10 2015-05-01 牙科用种植牙套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32 2015-04-10
KR1020150050732A KR101550759B1 (ko) 2015-04-10 2015-04-10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3579A1 true WO2016163579A1 (ko) 2016-10-13

Family

ID=5424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4454 WO2016163579A1 (ko) 2015-04-10 2015-05-01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50759B1 (ko)
CN (1) CN208573837U (ko)
WO (1) WO201616357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607B1 (ko) 2017-09-18 2020-01-09 주식회사 덴티스 가이드스텐트를 이용하는 범용 임플란트 시술 키트
KR102105200B1 (ko) * 2019-12-27 2020-04-27 전지성 임플란트 시스템
KR20200105134A (ko) *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세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127B1 (ko) 2017-04-18 2019-08-28 (주)엠지뉴턴 치조골용 트리밍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키트
KR200487737Y1 (ko) 2017-04-18 2018-12-28 (주)엠지뉴턴 치아용 플래트닝 드릴
KR102052693B1 (ko) * 2017-09-25 2019-12-09 주식회사 덴티스 티슈 펀칭 기능을 가지는 이니셜드릴
KR20190123145A (ko) 2018-04-23 2019-10-31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기구 세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775A (ko) * 2008-11-13 2010-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랩리스 임플란트용 수술 키트
JP2013022378A (ja) * 2011-07-25 2013-02-04 Kyocera Medical Corp 歯科用穿孔ドリルキット
US20140057224A1 (en) * 2012-08-23 2014-02-27 Taiwan Implant Technology Company Surgical guiding device
KR101385882B1 (ko) * 2013-02-06 2014-04-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수술가이드용 유니버셜 임플란트 수술키트
US20140120495A1 (en) * 2012-10-25 2014-05-01 Biohorizons Implant Systems, Inc. Depth stop for surgical instruments
KR20140109637A (ko) * 2013-03-06 2014-09-16 이태경 임플란트 정밀유도 식립용 시술 기구 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775A (ko) * 2008-11-13 2010-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랩리스 임플란트용 수술 키트
JP2013022378A (ja) * 2011-07-25 2013-02-04 Kyocera Medical Corp 歯科用穿孔ドリルキット
US20140057224A1 (en) * 2012-08-23 2014-02-27 Taiwan Implant Technology Company Surgical guiding device
US20140120495A1 (en) * 2012-10-25 2014-05-01 Biohorizons Implant Systems, Inc. Depth stop for surgical instruments
KR101385882B1 (ko) * 2013-02-06 2014-04-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수술가이드용 유니버셜 임플란트 수술키트
KR20140109637A (ko) * 2013-03-06 2014-09-16 이태경 임플란트 정밀유도 식립용 시술 기구 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607B1 (ko) 2017-09-18 2020-01-09 주식회사 덴티스 가이드스텐트를 이용하는 범용 임플란트 시술 키트
KR20200105134A (ko) *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세트 장치
KR102308475B1 (ko) * 2019-02-28 2021-10-06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세트 장치
KR102105200B1 (ko) * 2019-12-27 2020-04-27 전지성 임플란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759B1 (ko) 2015-09-08
CN208573837U (zh)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63579A1 (ko)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WO2017010782A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9212228A1 (ko) 3차원 구강 모델 분석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보철물 디자인 방법
WO2012150843A2 (ko)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마커
WO2017146478A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WO2014175552A1 (ko)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WO2018066764A1 (ko)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WO2017048031A1 (ko) 스캔데이터 정합용 식별타겟 및 이를 이용한 치아모형 스캔데이터 획득 방법
WO2013008962A1 (ko) 각진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
US20140193770A1 (en) Dental Osteotomy Appliance and Preparation Method
WO2010036045A2 (ko)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스텐트 제작에 사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
WO2020116711A1 (ko)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을 위한 지그
WO2021133120A2 (ko) 구조물 데이터 매칭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데이터 매칭 시스템
WO2015008893A1 (ko) 제작 공정을 간소화한 세미 커스텀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WO2016137077A1 (ko)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및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방법
WO2018066763A1 (ko) 임플란트 진단용 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WO2018044145A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이드 템플릿의 제작 통합 시스템
WO2022045453A1 (ko)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WO2019172636A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WO2019124887A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방향확인 핀과 가이드 탭 드릴 키트
WO2011040687A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WO2020185019A1 (ko) 디지털 스캔바디 정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WO2019124846A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장치,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장치 제작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WO2022065594A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WO2016093505A1 (ko) 임플란트 보철물 구멍 형성 가이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885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7.05.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885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