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759B1 -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759B1
KR101550759B1 KR1020150050732A KR20150050732A KR101550759B1 KR 101550759 B1 KR101550759 B1 KR 101550759B1 KR 1020150050732 A KR1020150050732 A KR 1020150050732A KR 20150050732 A KR20150050732 A KR 20150050732A KR 101550759 B1 KR101550759 B1 KR 10155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linear
drill
un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15005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759B1/ko
Priority to PCT/KR2015/004454 priority patent/WO2016163579A1/ko
Priority to CN201590001386.6U priority patent/CN208573837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0Straight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는,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절삭부와, 절삭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에 식립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하는 드릴세트; 및 직선형드릴유닛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스텐트(Guide Stent)를 포함하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은 각각 상호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부를 가지며, 가이드스텐트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은 가이드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DENTAL IMPLANT KI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와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이 구비되는 드릴세트와 가이드스텐트를 통해 직선 형상뿐만 아니라 테이퍼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픽스츄어 각각에 대응되는 식립홀을 형성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는 대체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치과에서 행하는 임플란트 시술은 잇몸뼈, 즉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수술과정과, 식립된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연결하여 인공치아를 장착하는 보철과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일 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치조골에 드릴링(drilling) 및 탭핑(tapping) 과정을 거쳐 픽스츄어(Fixture)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게 된다.
다음으로, 보철물 제작을 위해 임프레션 코핑을 픽스츄어 상부에 체결하고 이어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예비 인상을 채득 후 임프레션 코핑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에,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치관을 기공한 후 픽스츄어 상부에 지대주(Abutment)를 체결하고, 지대주 위에 보철물 즉 인공치관을 고정하여 인공치아를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기 위해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를 사용하여 치조골에 드릴링을 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픽스츄어는 제조 회사마다 형상과 모양, 경사유무와 경사각도가 모두 달라서 각각의 픽스츄어에 대응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가 필요하다.
즉 하나의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로는 다양한 종류의 픽스츄어에 대한 식립홀모두를 형성할 수 없어서 픽스츄어의 형상에 대응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가 각각 필요하게 되어 이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고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길이와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이 구비되는 드릴세트와 가이드스텐트를 통해 다양한 형상의 픽스츄어 각각에 대응되는 식립홀을 형성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에 식립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하는 드릴세트; 및 상기 직선형드릴유닛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스텐트(Guide Stent)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은 각각 상호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스텐트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가이드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의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호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스텐트에 안착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은, 제1직선형드릴유닛; 및 상기 제1직선형드릴유닛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의 제2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직선형드릴유닛은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 각각은 상기 절삭부의 길이가 상이하되 상기 절삭부의 직경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직선형드릴유닛은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 각각은 상기 절삭부의 길이가 상이하되 상기 절삭부의 직경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의 각 상기 절삭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대응되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스텐트에는 상기 직선형드릴유닛의 상기 스토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스토퍼단차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식립홀에 식립시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며,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스텐트에는 외부에서 인식을 위한 인식홀이 형성되며, 상기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은 상기 가이드스텐트에 형성된 상기 인식홀을 통해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방향깊이인식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은,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픽스츄어결합부; 및 상기 픽스츄어결합부에 결합되며 핸드피스가 결합되는 핸드피스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향깊이인식유닛은 상기 픽스츄어결합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깊이인식유닛은, 상기 픽스츄어결합부에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식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인식홀을 통해 인식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은 다각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픽스츄어결합부는,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에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픽스츄어 내측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해 상기 치조골에 초기식립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초기식립홀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는 차순위식립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조골의 드릴링의 위치를 선정하도록 마련되는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치조골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마련되는 뾰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에 의해 형성된 위치선정홀의 깊이 및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하도록 마련되는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은,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결합되며 상기 위치선정홀의 깊이 및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하는 홀확장드릴부; 및 상기 홀확장드릴부에 결합되며 상기 치조골을 절삭하는 절삭드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길이와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이 구비되는 드릴세트와 가이드스텐트를 통해 다양한 형상의 픽스츄어 각각에 대응되는 식립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비용이 감소되고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드릴세트와 가이드스텐트에 의해 치조골에 식립홀이 형성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하는 드릴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치조골에 식립홀의 형성을 위해 선택된 직선형드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 의해 치조골에 단차가 형성되어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을 통해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또는 식립방향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드릴세트와 가이드스텐트에 의해 치조골에 식립홀이 형성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하는 드릴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치조골에 식립홀의 형성을 위해 선택된 직선형드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 의해 치조골에 단차가 형성되어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을 통해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또는 식립방향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는, 절삭부(211, 221)와 가이드부(212, 222)를 가지는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을 포함하는 드릴세트(200)와, 직선형드릴유닛(210, 220)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310)이 형성되는 가이드스텐트(Guide Stent, 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은 각각 상호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부(212, 222)를 가지며, 가이드스텐트(3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310)은 가이드부(212, 222)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212, 222)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치과에서 이식하는 것으로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800)에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는 대체 치근을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를 위해, 치조골(800)에 드릴링 및 탭핑 과정을 거쳐 픽스츄어(700)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치조골(800)에 픽스츄어(700)를 식립하게 된다.
그런데 픽스츄어(700)는 제조회사마다 형상이 각각 상이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제조회사에서 생산된 픽스츄어(700)도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대분류에 따라 픽스츄어(700)는 스트레이트 타입과 테이퍼 타입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스트레이트 타입의 경우 픽스츄어(700)의 외측면이 서로 나란하게 스트레이트로 마련되고, 테이퍼 타입의 경우 픽스츄어(700)의 외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형상, 즉 픽스츄어(700)의 외측면에 경사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를 치조골(800)에 식립하는 경우 치조골(800)을 가공하는 드릴 역시 스트레이트 타입으로 마련되었고,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를 치조골(800)에 식립하는 경우 치조골(800)을 가공하는 드릴 역시 테이퍼 타입으로 마련되었다.
그리고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만 고려하더라도 외측면의 경사각도 등이 모두 다를 수 있는데, 이 경우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의 외측면의 경사각도에 대응되는 경사각도를 가지는 드릴이 모두 구비되어야 했다.
하지만 제조회사별로 픽스츄어(700)의 형상이 모두 상이해서 이에 대응되는 드릴을 모두 구비하게 되면 드릴의 개수가 상당히 많은 수로 증가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를 모두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는,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 형태로 마련되는 스트레이트 타입의 드릴, 즉 직선형드릴유닛(210, 220)을 복수개 구비하는 드릴세트(200)를 통해,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와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식립홀(810)을 치조골(800)에 형성할 수 있는 바,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드릴세트(200)는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즉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제1직선형드릴유닛(21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릴세트(200)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제3직선형드릴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다만 제3직선형드릴유닛(230)의 기본적인 내용의 경우 제2직선형드릴유닛(220)과 공통되므로, 공통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에 표시되어 있는 직경 D는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의 절삭부(211, 221, 231)의 직경을 의미하고, 도 3에 표시되어 있는 길이 L은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의 절삭부(211, 221, 231)의 길이를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은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절삭부(211)와, 절삭부(211)에 결합되는 가이드부(212)를 가지며, 픽스츄어(700)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800)에 식립홀(810, 도 5 참조)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직선형드릴유닛(220)도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절삭부(221)와, 절삭부(221)에 결합되는 가이드부(222)를 가지며, 픽스츄어(700)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800)에 식립홀(810, 도 5 참조))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은 제1직선형드릴유닛(210)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3직선형드릴유닛(230)은 제2직선형드릴유닛(220)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된다.
그리고 가이드부(212, 222, 232)는 가이드홀(310)에 결합되어 가이드홀(310)을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정확한 치조골(800)의 드릴링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 즉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제2직선형드릴유닛(220)과, 제3직선형드릴유닛(230)은 각각 상호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부(212, 222, 232)를 가지며, 후술하는 가이드스텐트(3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310)은 가이드부(212, 222, 232)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212, 222, 232)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 드릴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부의 직경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드릴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부가 안착되는 스텐트의 가이드홀의 직경 역시 모두 다르게 마련되었으며, 복수의 드릴에 대해 가이드홀의 직경을 변화시키는 부쉬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모두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부(212, 222, 232)를 가지므로, 가이드스텐트(3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310) 역시 가이드부(212, 222, 232)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게 된다면, 하나의 가이드스텐트(300)를 사용하여 부쉬가 없더라도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 모두에 대해 가이드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종래 기술에 비해 부쉬를 생략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의 가이드부(212, 222, 232)는 직경 뿐만 아니라 길이도 상호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은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이 5개로 마련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은 절삭부(211)의 길이가 상이하되 절삭부(211)의 직경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의 절삭부(211)의 길이는 각각 7mm, 8.5mm, 10mm, 11.5mm, 13mm로 상이하지만, 절삭부(211)의 직경은 2.0mm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이러한 수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의 절삭부(211)의 길이와 직경은 보다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마찬가지로, 제2직선형드릴유닛(220) 역시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220a, 220b, 220c, 220d, 220e)을 포함할 수 있고, 제3직선형드릴유닛(230) 역시 복수개의 제3직선형드릴들(230a, 230b, 230c, 230d, 230e)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220a, 220b, 220c, 220d, 220e)과 복수개의 제3직선형드릴들(230a, 230b, 230c, 230d, 230e)은 절삭부(221, 231)의 길이가 상이하되 절삭부(221, 231)의 직경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직선형드릴들(220a, 220b, 220c, 220d, 220e)의 절삭부(221)의 직경이 2.5mm로 동일한 경우 그 길이는 각각 7mm, 8.5mm, 10mm, 11.5mm, 13mm로 상이할 수 있고, 또는 제3직선형드릴들(230a, 230b, 230c, 230d, 230e)의 절삭부(231)의 직경이 2.8mm로 동일한 경우에도 그 길이는 각각 7mm, 8.5mm, 10mm, 11.5mm, 13mm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서 제2직선형드릴유닛(220)과, 제3직선형드릴유닛(230) 역시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수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2직선형드릴들(220a, 220b, 220c, 220d, 220e)과 제3직선형드릴들(230a, 230b, 230c, 230d, 230e)의 절삭부(221, 231)의 길이와 직경은 보다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220a, 220b, 220c, 220d, 220e)과, 복수개의 제3직선형드릴들(230a, 230b, 230c, 230d, 230e) 각각의 절삭부(221, 231)는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210a, 210b, 210c, 210d, 210e)의 각각의 절삭부(211)의 길이와 동일하게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1직선형드릴(210a)의 절삭부(211)의 길이가 7mm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제2직선형드릴(220a) 및 제3직선형드릴(230a)의 절삭부(221, 231)의 길이도 7mm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제1직선형드릴(210)들과 제2직선형드릴(220)들 및 제3직선형드릴(230)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은 스토퍼부(213, 223, 23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스토퍼부(213, 223, 233)는 가이드부(212, 222, 232)에 결합되며, 가이드스텐트(300)에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즉 가이드부(212, 222, 232)에 결합되는 스토퍼부(213, 223, 233)는 가이드스텐트(300)의 가이드홀(310)에 안착될 수 있다.
스토퍼부(213, 223, 233)는 가이드홀(3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스토퍼부(213, 223, 233)는 가이드홀(310)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단차부(3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310)의 스토퍼단차부(311)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어, 스토퍼부(213, 223, 233)가 가이드부(212, 222, 23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213, 223, 233)가 가이드홀(310)의 스토퍼단차부(311)에 안착되는 경우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치조골(800)의 방항으로 이동하는 것이 종료되므로, 이에 의해, 일정한 깊이까지만 드릴링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하에서는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을 복수개 사용하여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에 적용될 수 있는 식립홀(810)을 치조골(800)에 형성하는 방식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치조골(800)에 식립홀(810)을 형성하기 위해 우선 드릴세트(200) 중에서 적절한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 240)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은 절삭부(211)의 길이가 13mm이고 절삭부(211)의 직경이 2.0mm로 마련되는 도 4(a)의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 도 3 참조)이 선택될 수 있고,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은 절삭부(221)의 길이가 11.5mm이고 절삭부(221)의 직경이 2.5mm로 마련되는 도 4(b)의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도 3 참조)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3직선형드릴유닛(230)은 절삭부(231)의 길이가 10mm이고 절삭부(231)의 직경이 2.8mm로 마련되는 도 4(c)의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 도 3 참조)이 선택될 수 있고, 제4직선형드릴유닛(24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절삭부(241)의 길이가 8.5mm이고 절삭부(241)의 직경이 3.0mm로 마련되는 도 4(d)의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이 선택될 수 있다.
즉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에 적용될 수 있는 식립홀(810)을 치조골(800)에 형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으로부터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을 거쳐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로 순차적으로 갈수록 절삭부(211, 221, 231, 241)의 길이는 점진적으로 짧아지고 직경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 240)이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은, 픽스츄어(700)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800)에 초기식립홀(811)을 형성한다. 즉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에 의해 상대적으로 가늘고 긴 초기식립홀(8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 제5직선형드릴유닛(미도시)은, 초기식립홀(811)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는 차순위식립홀(812a, 812b, 812c, 812d)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즉 도 4의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에 의해 치조골(800)에 가늘고 긴 초기식립홀(811, 도 5 참조)이 형성된 후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도록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 제5직선형드릴유닛(미도시)을 위치시켜 순차적으로 드릴링을 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에 의해 형성되는 초기식립홀(811) 보다 상대적으로 굵고 짧은 차순위식립홀(812a, 812b, 812c, 812d)들이 같은 중심점을 가지는 위치에서 치조골(800)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의 드릴링에 의해, 도 5(e)와 같이 치조골(8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조골(800)에 형성된 단차는 개략적으로 경사를 형성하게 되므로,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를 회전하면 픽스츄어(700)의 경사진 면이 치조골(800)의 단차부분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우선 도 5(a)에서와 같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 도 4 참조)에 의해 치조골(800)에 초기식립홀(811)이 형성될 수 있고, 다음으로 도 5(b)에서와 같이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도 4 참조)에 의해 초기식립홀(811)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는 위치에서 치조골(800)에 차순위식립홀(81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c)에서와 같이, 도 5(b)의 제2직선형드릴유닛(220)보다 길이는 짧고 직경이 크게 마련되는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 도 4 참조)에 의해 치조골(800)에 다음 순위의 식립홀(812b)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 및 제5직선형드릴유닛(미도시)을 통해 치조골(800)에 드릴링을 하게 되면 도 5(d)를 거쳐 도 5(e)와 같은 식립홀(812c, 812d)이 생기면서 치조골(800)에 단차가 형성되며, 이후 도 5(f)에서와 같이 픽스츄어(700)를 치조골(80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초기식립홀(811)이라는 용어는, 아무런 드릴링이 없는 상태에서 식립홀(810) 형성을 위한 최초의 드릴링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과,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과,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에 의해 치조골(800)에 적당하게 위치를 잡고 치조골(800)이 확장된 후, 즉 식립홀(810) 드릴링을 위한 사전 드릴링 후에 최초로 형성되는 식립홀(810)을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 제5직선형드릴유닛(미도시)을 위치시켜 순차적으로 드릴링하는 것이지만, 치조골(800)에 식립홀(810)을 형성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방식과 반대의 순서대로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제5직선형드릴유닛(미도시)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굵고 짧은 초기식립홀이 형성되며, 이후 제4직선형드릴유닛(240b), 제3직선형드릴유닛(230c), 제2직선형드릴유닛(220d), 제1직선형드릴유닛(210e)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드릴링할 수도 있다.
한편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의 경우 하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사용하여 치조골(800)에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의 경우, 하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사용하여 치조골(800)에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를 위한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가공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길이가 같고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을 사용하여 치조골(800)에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를 위한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식립홀(810)의 직경이 다소 넓은 경우 처음부터 복수개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 중에서 직경에 맞는 직선형드릴유닛 하나를 사용하게 되면 가공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직경이 작은 직선형드릴유닛부터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여러 개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을 사용하여 식립홀(810)을 형성하게 되면, 가공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즉 큰 구멍을 한 번에 뚫는 것보다 작은 구멍을 먼저 형성 후 조금씩 구멍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원하는 직경의 구멍을 뚫는 방식이 가공에 유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은 길이가 같고 직경만 달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만으로,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 형태로 마련되는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뿐만 아니라,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도 결합될 수 있는 식립홀(810)을 치조골(800)에 형성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의 외측면의 경사각도에 대응되는 경사각도를 가지는 드릴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테이피 타입의 픽스츄어(700) 역시 치조골(800)에 결합가능하므로, 비용이 감소되고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스텐트(300)는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또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의 드릴링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 가이드홀(310)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스텐트(300)는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또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에 의해 식립홀(810)의 형성시 드릴링 깊이를 정확하게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데, 여기서 가이드스텐트(300)는 드릴링시 치아에 결합되어 드릴의 방향 또는 깊이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가이드스텐트(300)가 마련되는 경우, 가이드스텐트(300)는 환자의 구강 내부에서 치아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만약, 가이드스텐트(30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면, 치조골(800)의 드릴링시 작업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숙련도에 기초하여 드릴링 깊이를 조절하면서 치조골(800)에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이런 방식에 의해 드릴링을 진행하게 되면, 작업자 개개인의 역량에 따라 치조골(800)에 형성되는 식립홀(810)의 깊이가 일정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700)의 결합을 위한 단차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는, 가이드스텐트(300)가 치아에 결합된 후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을 가이드하므로 일정한 정도의 드릴링 깊이가 보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스텐트(300)에는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안착될 수 있는 가이드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가이드스텐트(300)의 가이드홀(310)에 삽입된 후 가이드홀(310)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하며,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에서 가이드홀(31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또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의 가이드부(212, 222)가 가이드홀(310)에 결합되어 가이드홀(310)을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정확한 치조골(800)의 드릴링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스텐트(300)는 스토퍼단차부(31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또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이 치조골(800)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홀(310)을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홀(310)에 형성된 스토퍼단차부(311)에 안착되어 이동을 멈추게 된다.
즉,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은 가이드홀(310)에 형성된 스토퍼단차부(311)에 안착할 때까지만 이동하게 되는데,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스토퍼단차부(311)에 안착되어져 이동이 완료되면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치조골(800)의 더 깊은 부분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의 경험이나 숙련도에 관계없이 정확한 드릴링 깊이까지 드릴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가이드스텐트(300)에는 가이드홀지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는데, 가이드홀지지부(미도시)는 가이드홀(310)로부터 연장되며 치아에 걸려 가이드홀(3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가이드홀지지부(미도시)에는 치아가 결합될 수 있는 치아결합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홀(31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이드홀지지부(미도시)가 치아의 상부에 올려지게 되며, 가이드홀지지부(미도시)에 형성된 치아결합용홈(미도시)이 치아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은 픽스츄어(700)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픽스츄어(700)의 식립깊이 및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가이드스텐트(300)에는 인식홀{320, 도 6(a) 참조}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은 픽스츄어(700)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인식홀(320)을 통해 픽스츄어(700)의 식립깊이 내지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픽스츄어(700)와 어버트먼트(미도시)는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픽스츄어(700) 내부가 원형단면으로 마련되는 경우 어버트먼트(미도시)도 원형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이때에는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에 상관없이 어버트먼트(미도시)를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픽스츄어(700)가 다각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어버트먼트(미도시)도 이에 대응되는 다각형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어버트먼트(미도시)는 정확한 방향에서만 픽스츄어(7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정확한 어버트먼트(미도시)의 경우 실린더 타입인 기성(旣成) 어버트먼트와 달리 근심면, 원심면, 설측, 협측이 형성된 치아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픽스츄어의 다각형과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정확한 어버트먼트(미도시)의 다각형이 결합될 때 계획된 방향으로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기 네 방향(근심면, 원심면, 설측, 협측)이 맞지 않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픽스츄어(700)의 식립깊이 내지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픽스츄어(700)와 어버트먼트(미도시)가 다각형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픽스츄어(700)를 식립 후, 식립된 픽스츄어(700)에 맞는 기성 어버트먼트(미도시)를 결합하게 되고, 이러한 기성 어버트먼트(미도시)를 기준으로 인공치관을 제작하여 기성 어버트먼트(미도시)에 결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하나의 과정 종료 후 다음 과정이 진행되므로 임플란트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증가하게 되며, 또한 기성 어버트먼트(미도시)를 사용하므로 환자의 구강구조에 잘 맞지 않아 정확한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3D 프린터유닛과 3D 스캐너유닛을 사용하여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정확한 어버트먼트(미도시)와 가이드스텐트(300)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임플란트 시술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대해 설명하면, 3D 프린터유닛을 통해 성형된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가 3D 스캐너유닛으로 스캐닝되고, 설계 프로그램을 통해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의 설계원본데이터가 스캐닝데이터와의 오차값 분석을 통해 보정되므로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3D 프린터유닛은 개개별 환자의 CT를 통해 획득된 CT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설계원본데이터를 사용하여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를 출력하게 된다.
하지만, 3D 프린터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는 설계원본데이터와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정해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3D 스캐너유닛이, 3D 프린터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를 스캐닝하여 스캐닝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유닛은 설계원본데이터와 스캐닝데이터를 비교하게 된다. 여기서 설계원본데이터는 3D로 모델링된 데이터일 수 있으므로, 설계원본데이터와 스캐닝데이터의 비교의 용이성을 위해 제어유닛은 스캐닝데이터를 3D로 모델링하여 스캐닝데이터로부터 3D모델링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만약 3D 프린터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가 설계원본데이터와 오차가 있는 경우라면 설계원본데이터와 3D모델링데이터에도 오차가 있으므로, 제어유닛은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여 설계보정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며, 3D 프린터유닛이 설계보정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오차없는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정확한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성 어버트먼트(미도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임플란트 시술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과정 종료 후 다음 과정이 진행되는 종래 임플란트 시술과 달리, 최초 CT 등을 사용하여 환자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버트먼트(미도시) 내지 가이드스텐트(300)를 미리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임플란트 시술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예시에 대해 설명하면, 환자의 CT 데이터로 3D 상에서 진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정확한 어버트먼트(미도시)와 가이드스텐트(300)를 제작한다.
하지만 CT 데이터는 빛의 산란 등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스캐너를 통해 환자의 구강 상태를 3D로 스캐닝하거나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스크탑에서 스캔할 수 있다. 그리고 CT 데이터와 스캐닝데이터를 통해 빛의 산란에 의한 CT 데이터의 오차를 보정한다.
이러한 CT 데이터와 스캐닝데이터에 의해 3D 상에서 1차적으로 진단을 하며, 설계원본데이터를 통해 픽스츄어(700)를 식립하고 보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를 통해 3D 프린터로 가이드스텐트(300)를 제작하고, 덴탈용(Dental) 캐드 / 캠(cad/cam) 장비에 의해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정확한 어버트먼트(미도시)를 가공하게 된다.
다만 종래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픽스츄어(700) 식립 후 기성 어버트먼트(미도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픽스츄어(700)의 식립 방향에 맞추어 어버트먼트(미도시)를 결합하면 되기 때문에 픽스츄어(700)의 식립 방향은 중요하지 않았다. 즉 종래의 경우 픽스츄어(700)를 임의의 방향으로 식립하더라도 이후 어버트먼트(미도시)를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에 맞추어 결합하면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최초 CT 등을 사용하여 환자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어버트먼트(미도시) 역시 이러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제작되어 있으므로, 픽스츄어(700)를 임의의 방향으로 식립하게 되면 어버트먼트(미도시)와 결합될 수 없게 된다.
즉 어버트먼트(미도시)는 환자의 치아의 위치, 각도, 상태 등을 고려한 데이터에 의해 크기와 방향 등이 이미 결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위치에 결합되는 픽스츄어(700) 역시 어버트먼트(미도시)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정확한 방향을 향하도록 식립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즉 픽스츄어(700)가 정확한 방향을 향하도록 치조골(800)에 식립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는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은 픽스츄어결합부(410)와, 방향깊이인식유닛(420)과, 핸드피스결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스츄어결합부(410)는 픽스츄어(7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데, 여기서 픽스츄어결합부(410)가 회전하게 되면 픽스츄어결합부(410)에 결합되어 있는 픽스츄어(700) 역시 회전하면서 치조골(800)에 점진적으로 삽입되면서 식립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픽스츄어결합부(410)는 픽스츄어(7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픽스츄어(700)의 식립이 완료된 후에는 픽스츄어(700)로부터 픽스츄어결합부(4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픽스츄어(700)의 내측은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픽스츄어결합부(410)는 픽스츄어(700)의 내측에 결합가능하도록 픽스츄어(700) 내측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픽스츄어(700)의 내측이 육각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결합부(410)도 픽스츄어(700)의 결합부위에서 육각형의 형상(411)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픽스츄어결합부(410)가 픽스츄어(70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방향깊이인식유닛(420)은 픽스츄어결합부(410)에 결합되며 인식홀(320)을 통해 픽스츄어(700)의 식립깊이 내지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방향깊이인식유닛(420)은 픽스츄어결합부(410)에 결합되는 본체부(421)와, 본체부(421)에 결합되며 인식홀(3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인식홀(320)을 통해 인식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표시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421)와 표시부(422)는 서로 다른 색깔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방향깊이인식유닛(420)이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스텐트(300)에 형성되어 있는 인식홀(320)을 통해 본체부(421)와 표시부(422)가 번갈아 가면서 인식된다.
만약 가이드스텐트(300)에 형성되어 있는 인식홀(320)을 통해 본체부(421)가 인식{도 6(b) 참조}된다면 식립방향이 맞지 않는 것이므로 픽스츄어(700)를 보다 더 회전하여 식립방향을 맞추게 된다.
즉 픽스츄어(700)의 식립깊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만족되는 경우 인식홀(320)을 통해 본체부(421)가 보인다면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이 정확한 방향이 아니므로 픽스츄어(700)를 미세하게 더 회전하게 되고, 여기서 인식홀(320)을 통해 표시부(422)가 보인다면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이 정확한 방향에 해당되므로 픽스츄어(700)의 회전을 멈추게 되며, 이에 의해 픽스츄어(700)는 정확한 식립방향을 가지도록 치조골(800)에 식립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픽스츄어(700)와 어버트먼트(미도시)가 다각형으로 마련되고, 또한 어버트먼트(미도시)가 기성 제품이 아니라 환자의 특성에 맞게 제작된 경우에도, 픽스츄어(700)의 식립방향을 맞추게 되면, 픽스츄어(700)와 어버트먼트(미도시)가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422)가 인식홀(320)을 통해 인식되더라도 표시부(422)의 일부만이 인식되는 경우 픽스츄어(700)의 식립깊이가 부족하다고 판단{도 6(c) 참조}할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700)를 보다 더 회전하여 식립깊이를 증가시킨다.
이후 표시부(422)의 전체가 인식홀(320)을 통해 인식된다면{도 6(d) 참조} 픽스츄어(700)는 미리 설정된 식립깊이만큼 식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700)의 회전을 멈추게 되며, 이에 의해 픽스츄어(700)는 정확한 식립깊이를 가지도록 치조골(800)에 식립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에 의해 픽스츄어(700)는 정확한 식립방향과 정확한 식립깊이를 가지도록 치조골(800)에 식립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환자의 구강 상태에 최적화될 수 있는 임플란트의 시술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핸드피스결합부(430)는 일측이 방향깊이인식유닛(420)에 결합되고 타측이 핸드피스(9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핸드피스(90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핸드피스(900)는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에 결합되어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을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에 결합되어 있는 픽스츄어(700)를 회전하여 치조골(800)에 식립하게 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에는, 핸드피스(900)와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 사이에 배치되어 핸드피스(900)와 픽스츄어캐리어유닛(400)을 상호 연결시키는 각종의 어댑터(Adapter, 910)와, 환자의 치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각종의 익스텐션(Extension, 920)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에서, 길이와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구비되는 하나의 드릴세트(200)와 가이드스텐트(300)를 통해 다양한 형상의 픽스츄어(700) 각각에 대응되는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비용이 감소되고 관리가 용이해지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는, 픽스츄어(700)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800)에 식립홀(810)을 형성하되,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제1직선형드릴유닛(210)과,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보다 길이가 짧고 직경이 크며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을 포함하는 드릴세트(200)가 구비되며, 또한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내지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의 드릴링을 가이드하기 위해, 일측에 가이드홀(310)이 형성되는 가이드스텐트(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픽스츄어(700)가 스트레이트 타입인 경우, 드릴세트(200)에서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 형상에 대응되도록 치조골(800)을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픽스츄어(700)가 테이퍼 타입인 경우, 우선 제1직선형드릴유닛(210)을 통해 치조골(800)에 초기식립홀(811)을 형성하고,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을 통해 초기식립홀(811)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는 차순위식립홀(812a, 812b, 812c, 812d)을 형성하게 되는데, 여기서 차순위식립홀(812a, 812b, 812c, 812d)은 초기식립홀(811)보다 길이는 짧고 직경은 크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선순위의 제2직선형드릴유닛(220)보다 길이는 짧고 직경은 크게 형성되는 후순위의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을 사용하여 동일 중심점의 식립홀(810)에 대해 가공하며, 이와 같이 선순위의 제2직선형드릴유닛(220)보다 길이는 짧고 직경은 크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가공하게 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치조골(800)에 형성되는 식립홀(810)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치조골(800)에 형성된 단차는 개략적으로 경사를 형성하게 되므로,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700)를 회전하면 픽스츄어(700)의 경사진 면이 치조골(800)의 단차부분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만 구비된다면, 픽스츄어(700)의 제조회사에 관계없이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700)와, 테이퍼 타압의 픽스츄어(700) 모두에 대해 식립이 가능해지므로, 다양한 치과용 드릴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에 의해 이에 의해 비용이 감소되고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서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에 의해, 길이와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210, 220, 230)이 구비되는 드릴세트(200)와 가이드스텐트(300)를 통해 다양한 형상의 픽스츄어(700) 각각에 대응되는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비용이 감소되고 관리가 용이해지는 구성, 그리고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 및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은 치조골(800)의 드릴링의 위치를 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은 치조골(800)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마련되는 뾰족부(5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뾰족부(510)는 드릴의 내각(θ)이 60˚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치조골(800)에 식립홀(810)을 형성하는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내지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의 드릴의 내각이 대략 120˚정도로 마련되는 것에 비해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의 드릴은 상당히 날카롭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의 드릴 끝부분이 날카롭게 마련되는 것에 의해 치조골(800)의 위치를 선정 후, 선정된 위치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은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에 의해 형성된 위치선정홀의 깊이 또는 넓이를 확장하도록 마련된다.
즉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은,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에 의해 선정된 위치에서 제1직선형드릴유닛(210) 내지 제2직선형드릴유닛(220)이 용이하게 식립홀(8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은, 핸드피스(900)에 결합되는 몸통부(610)와, 몸통부(610)에 결합되며 위치선정홀의 깊이 또는 넓이를 확장하는 홀확장드릴부(620)와, 홀확장드릴부(620)에 결합되며 치조골(800)을 절삭하는 절삭드릴부(630)를 포함한다.
즉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600)은 몸통부(610)에 결합되는 홀확장드릴부(620)와, 홀확장드릴부(620)에 결합되는 절삭드릴부(630)의 이중 드릴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500)에 의해 형성된 위치선정홀을 따라 절삭드릴부(630)가 1차적으로 치조골(800)을 확장하고, 절삭드릴부(630)의 후방에서 홀확장드릴부(620)가 2차적으로 치조골(800)을 확장할 수 있다.
또는 절삭드릴부(630)가 위치선정홀의 깊이를 확장하고 홀확장드릴부(620)가 위치선정홀의 넓이를 확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200 : 드릴세트
210 : 제1직선형드릴유닛 211 : 절삭부
212 : 가이드부 213 : 스토퍼부
220 : 제2직선형드릴유닛 221 : 절삭부
222 : 가이드부 223 : 스토퍼부
300 : 가이드스텐트 310 : 가이드홀
311 : 스토퍼단차부 320 : 인식홀
400 : 픽스츄어캐리어유닛 410 : 픽스츄어결합부
420 : 방향깊이인식유닛 421 : 본체부
422 : 표시부 430 : 핸드피스결합부
500 :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 510 : 뾰족부
600 :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 610 : 몸통부
620 : 홀확장드릴부 630 : 절삭드릴부
700 : 픽스츄어 800 : 치조골
810 : 식립홀 811 : 초기식립홀
812 : 차순위식립홀 900 : 핸드피스

Claims (18)

  1. 절삭을 위한 부분이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해 치조골에 식립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하는 드릴세트;
    상기 직선형드릴유닛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스텐트(Guide Stent); 및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식립홀에 식립시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며,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은 각각 상호 동일한 직경의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스텐트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가이드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스텐트에는 외부에서 인식을 위한 인식홀이 형성되며,
    상기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은 상기 가이드스텐트에 형성된 상기 인식홀을 통해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깊이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는 방향깊이인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의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스텐트에 안착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선형드릴유닛은,
    제1직선형드릴유닛; 및
    상기 제1직선형드릴유닛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의 제2직선형드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형드릴유닛은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 각각은 상기 절삭부의 길이가 상이하되 상기 절삭부의 직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직선형드릴유닛은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 각각은 상기 절삭부의 길이가 상이하되 상기 절삭부의 직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직선형드릴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직선형드릴들의 각 상기 절삭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대응되도록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스텐트에는 상기 직선형드릴유닛의 상기 스토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스토퍼단차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캐리어유닛은,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픽스츄어결합부; 및
    상기 픽스츄어결합부에 결합되며 핸드피스가 결합되는 핸드피스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향깊이인식유닛은 상기 픽스츄어결합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깊이인식유닛은,
    상기 픽스츄어결합부에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식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인식홀을 통해 인식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은 다각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픽스츄어결합부는,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에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픽스츄어 내측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해 상기 치조골에 초기식립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초기식립홀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는 차순위식립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의 드릴링의 위치를 선정하도록 마련되는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은, 상기 치조골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마련되는 뾰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직선형드릴유닛에 의해 형성된 위치선정홀의 깊이 및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하도록 마련되는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홀확장직선형드릴유닛은,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 결합되며 상기 위치선정홀의 깊이 및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하는 홀확장드릴부; 및
    상기 홀확장드릴부에 결합되며 상기 치조골을 절삭하는 절삭드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KR1020150050732A 2015-04-10 2015-04-10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KR10155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32A KR101550759B1 (ko) 2015-04-10 2015-04-10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PCT/KR2015/004454 WO2016163579A1 (ko) 2015-04-10 2015-05-01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CN201590001386.6U CN208573837U (zh) 2015-04-10 2015-05-01 牙科用种植牙套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32A KR101550759B1 (ko) 2015-04-10 2015-04-10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759B1 true KR101550759B1 (ko) 2015-09-08

Family

ID=5424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732A KR101550759B1 (ko) 2015-04-10 2015-04-10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50759B1 (ko)
CN (1) CN208573837U (ko)
WO (1) WO201616357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817A (ko) 2017-04-18 2018-10-26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치조골용 트리밍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키트
KR200487737Y1 (ko) 2017-04-18 2018-12-28 (주)엠지뉴턴 치아용 플래트닝 드릴
KR20190035012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덴티스 티슈 펀칭 기능을 가지는 이니셜드릴
KR20190123145A (ko) 2018-04-23 2019-10-31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기구 세트
KR102064607B1 (ko) * 2017-09-18 2020-01-09 주식회사 덴티스 가이드스텐트를 이용하는 범용 임플란트 시술 키트
KR20200105134A (ko) *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세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200B1 (ko) * 2019-12-27 2020-04-27 전지성 임플란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2378A (ja) * 2011-07-25 2013-02-04 Kyocera Medical Corp 歯科用穿孔ドリルキット
US20140057224A1 (en) 2012-08-23 2014-02-27 Taiwan Implant Technology Company Surgical guiding device
KR101385882B1 (ko) * 2013-02-06 2014-04-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수술가이드용 유니버셜 임플란트 수술키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637B1 (ko) * 2008-11-13 2010-10-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랩리스 임플란트용 수술 키트
WO2014066332A1 (en) * 2012-10-25 2014-05-01 Biohorizons Implant Systems, Inc Depth stop for surgical instruments
KR101453775B1 (ko) * 2013-03-06 2014-10-22 이태경 임플란트 정밀유도 식립용 시술 기구 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2378A (ja) * 2011-07-25 2013-02-04 Kyocera Medical Corp 歯科用穿孔ドリルキット
US20140057224A1 (en) 2012-08-23 2014-02-27 Taiwan Implant Technology Company Surgical guiding device
KR101385882B1 (ko) * 2013-02-06 2014-04-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수술가이드용 유니버셜 임플란트 수술키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817A (ko) 2017-04-18 2018-10-26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치조골용 트리밍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키트
KR200487737Y1 (ko) 2017-04-18 2018-12-28 (주)엠지뉴턴 치아용 플래트닝 드릴
KR102064607B1 (ko) * 2017-09-18 2020-01-09 주식회사 덴티스 가이드스텐트를 이용하는 범용 임플란트 시술 키트
KR20190035012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덴티스 티슈 펀칭 기능을 가지는 이니셜드릴
KR102052693B1 (ko) * 2017-09-25 2019-12-09 주식회사 덴티스 티슈 펀칭 기능을 가지는 이니셜드릴
KR20190123145A (ko) 2018-04-23 2019-10-31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기구 세트
KR20200105134A (ko) *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세트 장치
KR102308475B1 (ko) * 2019-02-28 2021-10-06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세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573837U (zh) 2019-03-05
WO2016163579A1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US9283057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mplants
KR200476682Y1 (ko) 치아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KR101419832B1 (ko) 임플란트용 소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장치
KR200482232Y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KR101385882B1 (ko)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수술가이드용 유니버셜 임플란트 수술키트
KR101566456B1 (ko)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US8491301B2 (en) Guide block for a dental implant procedure and guide block assembly, and implant procedural technique using same
KR101705871B1 (ko) 임플란트 가이드 어셈블리
KR101166161B1 (ko) 구강 내 외과용 시술유도 장착물의 가공을 위한 천공용 드릴
JP6940735B2 (ja) 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植立のための方向確認ピンとガイドタップドリルキット
US20240023978A1 (en) Surgical Guide
US20230372060A1 (en) Guide for revising drilling path on alveolar bone
KR102212408B1 (ko) 오버덴쳐 구조물 및 오버덴쳐 구조물의 구축방법
KR102255014B1 (ko) 경사 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20160003973A (ko) 절단 안내선을 구비하는 범용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보철물 제조방법
JP5937401B2 (ja) スキャニングジグ
US20210161617A1 (en) Surgical guide for zygomatic bone implants
EP2591747A1 (en) System for implanting an artificial tooth root
KR10101519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20230355357A1 (en) One-piece dental implant guide pack based on photocuring molding
US20230000599A1 (en) Surgical tool set for implant
US20100297573A1 (en) Stent fixture for an implant for accurate guidance-insertion
EP4186463A1 (en) Artificial too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487737Y1 (ko) 치아용 플래트닝 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