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194B1 - 파절된 지대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파절된 지대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194B1
KR101098194B1 KR1020100025696A KR20100025696A KR101098194B1 KR 101098194 B1 KR101098194 B1 KR 101098194B1 KR 1020100025696 A KR1020100025696 A KR 1020100025696A KR 20100025696 A KR20100025696 A KR 20100025696A KR 101098194 B1 KR101098194 B1 KR 101098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fixture
fragments
screw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582A (ko
Inventor
김광훈
윤지훈
임진국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19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조립체의 픽스츄어(Fixture) 내부에 잔존하는 파절 지대주를 제거하기 위한 지대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픽스츄어로부터 지대주 파편을 제거하기 위한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로서, 픽스츄어로부터 지대주 파편을 제거할 때 지대주 파편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더라도 픽스츄어의 내부에 지대주 파편이 남겨지지 않도록 픽스츄어와 지대주 파편 사이의 결합 해제시 지대주 파편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파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파절된 지대주 제거 장치{REMOVING APPARUTUS FOR A BROKEN ABUTMENT SCREW}
본 발명은 파절된 지대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조립체의 픽스츄어(Fixture) 내부에 잔존하는 파절 지대주를 제거하기 위한 지대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란 상실된 인체 조직을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는데, 치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자연치근이 빠져나간 치조골에 픽스츄어(Fixture)를 매식하여 유착시킨 후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대치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공치아와 치근과의 결합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스크류의 결합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스크류 타입 임플란트가 있는데, 종래의 스크류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임플란트 조립체)은, 픽스츄어, 지대주 및 보철물 등으로 구성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에 매식되는 픽스츄어와, 이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지대주와, 이 지대주에 의해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보철물을 포함한다. 지대주와 픽스츄어 사이의 결합은, 픽스츄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지대주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 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매식되어 전체 임플란트 시스템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인체 골조직과의 융합을 위해서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티타늄 등으로 제조된다. 지대주는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보철물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철물은 인상채득, 작업모형 제작, 납형제작, 매몰 및 소환 공정 등의 공정을 통해 치아의 형태로 제작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임플란트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하부 구조물인 픽스츄어 매식단계와, 인상 채득 및 작업모형 완성단계와, 납형제작 및 내관주조단계와, 보철물 성형단계와, 보철물을 외관에 시멘트(cement)로 결합시키는 보철물 접착단계를 거쳐 시술된다.
그런데, 임플란트 시스템의 시술중 혹은 시술 후 사용중에 외력에 의해 지대주가 파절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지대주의 하단에 형성된 숫나사부는 픽스츄어 내부의 암나사부와 나사체결되어 있으므로 지대주의 파절된 부분은 자연적으로는 제거될 수 없고 전용의 제거 도구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밖에 없다.
도 1에는 종래의 제거 도구를 사용하여 파절된 지대주를 제거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거 도구(10)는 날카로운 날이나 포크와 같은 형상의 선단부(11)를 갖는 자루형 공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제거 도구(10)를 사용한 제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도 1의 (a)와 같이 픽스츄어(1)의 내부에 잔존하는 지대주 파편(3)의 파절 단면을 도 1의 (b)와 같이 제거 도구(10)의 선단부(11)에 의해 눌러 잡거나 불규칙한 파절 단면에 걸어서 핸드 피스(Hand Piece)나 손으로 역회전시킨다. 이때 힘 전달 시 흔들림의 방지와 중심을 잡기 위해서 종래의 제거 도구(10)는 가이드(13)를 포함한다.
도 1의 (c)와 같이 지대주 파편(3)이 픽스츄어(1)의 암나사부(2)로부터 분리되면 도 1의 (d)와 같이 제거 도구(10)를 꺼내고 분리된 지대주 파편(3)을 핀셋 등으로 꺼내어 제거한다.
하지만 종래의 제거 도구에 의하면, 도 1의 (d)와 같이 픽스츄어(1)의 내부에 분리된 지대주 파편(3)을 그대로 남기게 되어, 지대주 파편(3)을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또한 제거 도구(10)를 어느 정도 돌려야 지대주 파편(3)이 픽스츄어의 암나사부(2)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었는지 알 수가 없었다. 거기다 제거된 지대주 파편(3)은 픽스츄어의 암나사부(2)에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제거 과정 중 구강 내로 떨어질 위험이 커서 환자에게 또 다른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전술한 종래의 제거 도구를 사용하여서도 파절된 지대주 파편(3)이 픽스츄어(1)에 단단히 고정되어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곤 한다. 이 경우, 종래에는 드릴을 사용하여 지대주의 파절 단면에 새로운 구멍을 형성하고, 형성된 구멍에 테이퍼 형상의 막대를 삽입하여 끼워맞춤으로써 지대주 파편(3)과 막대를 결합시킨 후 지대주 파편(3)을 제거하였다.
그런데, 지대주 파편(3)에 구멍을 형성할 때 얼마나 깊게 구멍을 형성해야 할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너무 깊게 구멍을 형성하여 픽스츄어에 상처를 낼 수도 있고, 너무 얕게 구멍을 형성하여 천공 작업을 다시 실시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지대주 파편(3)을 제거하기 위한 막대는 단지 테이퍼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력이 약해 지대주 파편(3)의 제거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픽스츄어로부터 지대주 파편을 제거할 때 지대주 파편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더라도 픽스츄어의 내부에 지대주 파편이 남겨지지 않는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픽스츄어로부터 지대주 파편을 제거하기 위한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로서, 픽스츄어로부터 지대주 파편을 제거할 때 지대주 파편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더라도 픽스츄어의 내부에 지대주 파편이 남겨지지 않도록 픽스츄어와 지대주 파편 사이의 결합 해제시 지대주 파편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파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는, 날카로운 날이나 포크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를 가지는 스크류 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스크류 제거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합상태가 해제된 지대주 파편을 파지하여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와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킨 후 픽스츄어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스크류 홀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 제거기의 몸체에는 시술자에게 인식 가능한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는 지대주 파편이 픽스츄어의 암나사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결합 해제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의 위쪽으로 상기 표시부가 노출되어 시술자에게 인식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 홀더의 선단에는 부분적으로 결합 해제된 지대주 파편의 상단부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부는 지대주 파편의 숫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는, 지대주 파편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링 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를 가지는 리무벌 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리무벌 버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지대주 파편을 파지하여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와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킨 후 픽스츄어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스크류 리무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무벌 버의 몸체에는 시술자에게 인식 가능한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는 지대주 파편에 구멍이 천공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의 아래쪽으로 상기 표시부가 감추어져 시술자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 리무버의 선단에는 지대주 파편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지대주 파편을 파지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에는 테이퍼진 말단에 왼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츄어로부터 지대주 파편을 제거할 때 지대주 파편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더라도 픽스츄어의 내부에 지대주 파편이 남겨지지 않는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의 의하면, 픽스츄어에 남겨진 파절된 지대주 파편을 제거하는 과정 중 픽스츄어 암나사부의 진입부 위로 올라온 지대주 파편을 잡을 수 있는 홀더를 사용함으로써, 지대주 파편을 제거하는 종래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인, 지대주 파편을 픽스츄어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더라도 지대주 파편이 그대로 픽스츄어 내부에 남게 되어 다시 지대주 파편 제거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종래의 제거 도구에 의하면 결합 해제된 지대주 파편은 처음과 달리 픽스츄어에 고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제거 과정 중 구강 내로 떨어질 위험이 큰데 이와 같은 문제점도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에 의하면, 인지성을 부여하여 지대주 파편이 픽스츄어 암나사부의 진입부 위로 올라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홀더의 사용 시점을 쉽게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에 의하면, 리무벌 버(Removal Bur)에 구멍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형성하여 구멍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픽스츄어에 상처를 입히지 않게 하고 열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너무 얕은 드릴링으로 추가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하여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스크류 리무버(screw remover)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보다 강하게 지대주 파편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제거 도구를 사용하여 파절된 지대주를 제거하는 과정이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거 장치를 사용하여 파절된 지대주를 제거하는 과정이 도시된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거 장치를 사용하여 파절된 지대주를 제거하는 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는, 날카로운 날이나 포크 형상의 선단부(23)를 갖는 몸체(22)와, 이 몸체(22)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25)를 가지는 스크류 제거기(21)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는, 스크류 제거기(21)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합상태가 해제된 지대주 파편(3)을 파지하여 픽스츄어의 암나사부(2)와의 결합상태를 완전히 해제시킨 후 픽스츄어(1)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스크류 홀더(26)를 포함한다.
스크류 제거기(21)의 몸체(22)에는 색깔, 형태 등에 의해 시술자에게 인식 가능한 표시부(24)가 형성되며, 이 표시부(24)는 지대주 파편(3)이 픽스츄어(1)의 암나사부(2)로부터 부분적으로 결합 해제되었을 때 가이드(25)의 위쪽으로 표시부(24)가 노출되어 시술자에게 인식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 홀더(26)의 선단에는 부분적으로 결합 해제된 지대주 파편(3)의 상단부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7)가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27)는 지대주 파편(3)의 숫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를 사용하여 지대주 파편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의 (a)와 같이 픽스츄어(1)의 내부에 잔존하는 지대주 파편(3)의 파절 단면을 도 2의 (b)와 같이 스크류 제거기(21)의 선단부(23)에 의해 눌러 잡거나 불규칙한 파절 단면에 걸어서 핸드 피스(Hand Piece)나 손으로 역회전시킨다. 이때 힘 전달 시 흔들림의 방지와 중심을 잡기 위해서 선단부(23)가 형성된 몸체(22)를 가이드(25)에 의해 안내한다.
도 2의 (c)와 같이 지대주 파편(3)이 픽스츄어(1)의 암나사부(2)로부터 부분적으로 결합 해제된 것을 가이드(25)의 상단에 노출되는 표시부(24)에 의해 확인한 후, 도 2의 (d)와 같이 스크류 홀더(26)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합 해제된 지대주 파편(3)의 상단 부분을 파지하여 핸드 피스(Hand Piece)나 손으로 역회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 파편(3)의 결합상태가 완전히 해제되더라도 스크류 홀더(26)에 의해 파지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픽스츄어(1)로부터 분리된 지대주 파편(3)을 제거하는 작업을 별도로 실시할 필요가 없다.
그에 따라, 파절된 지대주 파편(3)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종래와 같은 불편함, 즉 픽스츄어(1)로부터 분리된 지대주 파편(3)이 그대로 픽스츄어(1) 내에 남게 되어 추가적인 제거작업이 필요하던 불편함이 해소된다. 더욱이 제거작업 중 지대주 파편(3)이 구강 내로 떨어질 위험이 방지된다.
지대주 파편(3)을 픽스츄어(1)로부터 부분적으로 결합 해제시킬 때, 지대주 파편(3)은 픽스츄어 암나사부(2)의 진입부에서 1산 이상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로 올라오게 하고, 그 위로 올라온 지대주 파편의 상단 부분을 스크류 홀더(26)로 잡아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거한다.
스크류 제거기(21)의 몸체(22)와 스크류 홀더(26)의 상단(도 2에서 볼 때 위쪽 말단)에는 회전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거나 회전 도구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는, 지대주 파편(3)에 구멍(4)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링 팁(33)을 갖는 몸체(32)와, 이 몸체(32)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35)를 가지는 리무벌 버(removal bur)(31)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는, 리무벌 버(31)에 의해 구멍(4)이 형성된 지대주 파편(3)을 파지하여 픽스츄어의 암나사부(2)와의 결합상태를 완전히 해제시킨 후 픽스츄어(1)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스크류 리무버(screw remover)(36)를 포함한다.
리무벌 버(31)의 몸체(32)에는 색깔, 형태 등에 의해 시술자에게 인식 가능한 표시부(34)가 형성되며, 이 표시부(34)는 지대주 파편(3)에 적절한 깊이의 구멍(4)이 천공되었을 때 가이드(35)의 아래쪽으로 표시부(4)가 감추어져 시술자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 리무버(36)의 선단에는 지대주 파편(3)에 천공된 구멍(4)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지대주 파편(3)을 파지할 수 있는 결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37)에는 테이퍼진 말단에 왼나사산을 형성하여 더욱 단단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를 사용하여 지대주 파편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의 (a)와 같이 픽스츄어(1)의 내부에 잔존하는 지대주 파편(3)의 파절 단면에 도 3의 (b)와 같이 리무벌 버(31)의 드릴링 팁(33)에 의해 구멍(4)을 천공한다. 이때 힘 전달 시 흔들림의 방지와 중심을 잡기 위해서 드릴링 팁(33)이 형성된 몸체(32)를 가이드(35)에 의해 안내한다.
도 3의 (c)와 같이 지대주 파편(3)에 구멍(4)의 천공작업이 완료된 것을 가이드(35)의 내부로 사라져 식별할 수 없게 된 표시부(34)에 의해 확인한 후, 도 3의 (d)와 같이 스크류 리무버(36)의 결합부(37)를 구멍(4) 내에 체결시키고 핸드 피스(Hand Piece)나 손으로 역회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 파편(3)의 결합상태가 완전히 해제되더라도 스크류 리무버(36)에 의해 파지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픽스츄어(1)로부터 분리된 지대주 파편(3)을 제거하는 작업을 별도로 실시할 필요가 없다.
그에 따라, 파절된 지대주 파편(3)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종래와 같은 불편함, 즉 픽스츄어(1)로부터 분리된 지대주 파편(3)이 그대로 픽스츄어(1) 내에 남게 되어 추가적인 제거작업이 필요하던 불편함이 해소된다. 더욱이 제거작업 중 지대주 파편(3)이 구강 내로 떨어질 위험이 방지된다.
리무벌 버(31)의 상단(도 3에서 볼 때 위쪽 말단)에는 드릴링 작업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 리무버(36)의 상단(도 3에서 볼 때 위쪽 말단)에는 회전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거나 회전 도구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픽스츄어(fixture), 2 : 암나사부, 3 : 지대주 파편, 4 : 구멍, 21 : 스크류 제거기, 22 : 몸체, 23 : 선단부, 24 : 표시부, 25 : 가이드, 26 : 스크류 홀더(screw holder), 27 : 파지부, 31 : 리무벌 버(removal bur), 32 : 몸체, 33 : 드릴링 팁, 34 : 표시부, 35 : 가이드, 36 : 스크류 리무버(screw remover), 37 : 결합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픽스츄어로부터 지대주 파편을 제거하기 위한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로서,
    픽스츄어로부터 지대주 파편을 제거할 때 지대주 파편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파지수단; 및
    날카로운 날이나 포크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를 가지는 스크류 제거기; 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수단은, 지대주 파편이 상기 스크류 제거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픽스츄어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 상기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의 진입부에서 1산 이상 위로 올라왔을 때, 지대주 파편을 파지하여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와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킨 후 픽스츄어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스크류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제거기의 몸체에는 시술자에게 인식 가능한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는, 지대주 파편이 상기 스크류 제거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픽스츄어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 상기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의 진입부에서 1산 이상 위로 올라왔을 때, 상기 가이드의 위쪽으로 상기 표시부가 노출되어 시술자에게 인식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홀더의 선단에는 지대주 파편의 상단부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부는 지대주 파편의 숫나사부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
  6. 삭제
  7. 픽스츄어로부터 지대주 파편을 제거하기 위한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로서,
    픽스츄어로부터 지대주 파편을 제거할 때 지대주 파편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파지수단; 및
    지대주 파편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링 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를 가지는 리무벌 버; 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리무벌 버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지대주 파편을 파지하여 픽스츄어의 암나사부와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킨 후 픽스츄어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스크류 리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무벌 버의 몸체에는 시술자에게 인식 가능한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는 지대주 파편에 구멍이 천공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의 아래쪽으로 상기 표시부가 감추어져 시술자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리무버의 선단에는 지대주 파편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지대주 파편을 파지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에는 테이퍼진 말단에 왼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절 지대주 제거장치.
KR1020100025696A 2010-03-23 2010-03-23 파절된 지대주 제거 장치 KR101098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96A KR101098194B1 (ko) 2010-03-23 2010-03-23 파절된 지대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96A KR101098194B1 (ko) 2010-03-23 2010-03-23 파절된 지대주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582A KR20110106582A (ko) 2011-09-29
KR101098194B1 true KR101098194B1 (ko) 2011-12-23

Family

ID=4495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696A KR101098194B1 (ko) 2010-03-23 2010-03-23 파절된 지대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1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457B1 (ko) 2015-03-03 2015-1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KR20210071788A (ko) * 2019-12-06 2021-06-16 허덕수 스캔 바디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6166A (zh) * 2015-01-15 2015-04-29 大连三生科技发展有限公司 种植体取出工具及取出方法
KR102261478B1 (ko) * 2019-12-12 2021-06-04 김태경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체결된 어버트먼트 취출키트
CN110897738A (zh) * 2019-12-30 2020-03-24 常州百康特医疗器械有限公司 牙科种植体系统的基台取出工具和取出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544Y1 (ko) 2003-09-05 2003-11-15 (주)프로메디 파절된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스쿠루 제거기구 및 이를 적용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544Y1 (ko) 2003-09-05 2003-11-15 (주)프로메디 파절된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스쿠루 제거기구 및 이를 적용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457B1 (ko) 2015-03-03 2015-1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WO2016140396A1 (ko) * 2015-03-03 2016-09-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KR20210071788A (ko) * 2019-12-06 2021-06-16 허덕수 스캔 바디 조립체
KR102351280B1 (ko) * 2019-12-06 2022-01-14 허덕수 스캔 바디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582A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194B1 (ko) 파절된 지대주 제거 장치
KR100946269B1 (ko) 임플란트용 천공 드릴
US8439679B2 (en) Extractor for broken tooth root
EP2255746B1 (en) Implant fixture remover
US20100190137A1 (en) Tooth-implant method and appliance
GB2483089A (en) Trephine drill with transverse saws to remove a cylinder of bone
KR101181924B1 (ko) 임플란트 시술기구
KR101720605B1 (ko) 치과용 평탄화 드릴
KR200414573Y1 (ko) 치과용 임플란트 유니트
KR100740591B1 (ko) 치과용 어버트먼트 분리용 유니트
KR100801510B1 (ko)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및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치조골 천공용 천공 부재 세트
WO2009151275A2 (ko)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KR20090051839A (ko)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KR20150003639U (ko) 인공 치아 이식술용 자가본 채취기
CN111698961A (zh) 牙科手术方法和装置
US20090098509A1 (en) Dental tooth extraction implement and method thereof
JP2013521090A (ja) インプラント摘出方法及び摘出を可能にする冠状鋸ドリルビット
KR101566457B1 (ko)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KR20110028940A (ko)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파단 스크류우 제거용 가이더
KR100881224B1 (ko) 치과용 템플릿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이식 방법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CN201617962U (zh) 牙科治疗用的失败种植体取出器
KR100923275B1 (ko) 치과용 뼈 절단공구
US20150037755A1 (en) Dental Extraction Burs for Extraction of a tooth or a portion of a Tooth
KR20100004970U (ko)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파절 제거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