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839A -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 Google Patents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839A
KR20090051839A KR1020070118254A KR20070118254A KR20090051839A KR 20090051839 A KR20090051839 A KR 20090051839A KR 1020070118254 A KR1020070118254 A KR 1020070118254A KR 20070118254 A KR20070118254 A KR 20070118254A KR 20090051839 A KR20090051839 A KR 20090051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bone
block
rotating body
block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292B1 (ko
Inventor
김수홍
Original Assignee
김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홍 filed Critical 김수홍
Priority to KR102007011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29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for taking bone, bone marrow or cartilag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7Hollow drills or saws producing a curved cut, e.g.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하여 신체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블록 본(block bone)을 채취하고, 채취된 블록 본을 치조골에 이식하는데 사용되는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는 신체의 연골조직에 일정깊이로 구멍을 파고, 뚫린 구멍 주위에 원형의 테두리부가 형성되도록 원형홈을 파는 드릴이 제공되어 중앙홀이 형성된 원형 단면의 블록 본을 일정두께로 채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잔존골이 부족한 치조골에 임플란트가 견고하고 안정되게 식립될 수 있는 블록 본이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블록 본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에 의해 블록 본과 임플란트의 치조골 고정이 동시에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임플란트 시술이 간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는 트레핀 드릴과 비틀림 드릴이 일체로 된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을 제공함으로써 신체의 연골조직에서 블록 본을 채취하는 작업이 간소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는 트레핀(trephine) 드릴형 회전체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는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블록 본 채취용 드릴에서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는 관상(冠狀)의 원통체로 이루어져 개구된 전면부 끝단 둘레를 따라 톱니가 형성된 것이고,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는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의 내측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통과하여 톱니가 형성된 전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으로 절삭날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은 신체의 연골조직 표면에 수직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블록 본의 테두리부와 중앙홀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한다.
임플란트, 블록 본, 치조골, 트레핀 드릴, 비틀림 드릴

Description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Drill tool for block bone grafting}
본 발명은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신체의 연골조직에 일정깊이로 구멍을 파고, 뚫린 구멍 주위에 원형의 테두리부가 형성되도록 원형홈을 파는 드릴이 제공되어 중앙홀이 형성된 원형 단면의 블록 본을 일정두께로 채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잔존골이 부족한 치조골에 임플란트가 견고하고 안정되게 식립될 수 있는 블록 본이 제공되는 한편, 블록 본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에 의해 블록 본과 임플란트의 치조골 고정이 동시에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임플란트 시술이 간소화되고, 트레핀 드릴과 비틀림 드릴이 일체로 된 드릴이 사용됨으로써 신체의 연골조직에서 블록 본을 채취하는 작업이 간소화되도록 한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치조골로부터 제거된 손상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하여 치조골에 식립되는 인공치근으로, 상측으로 인공치아(crown)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안정되고 견고하게 식립되어져야 인공치아가 제자리를 잡고 신체의 영구치아가 수행하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부위의 치조골에 있어서 잔존골의 양이 부족하여 치조골의 두께나 폭이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두께나 폭보다 작을 경우 이를 보충하기 위한 시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구치(어금니)가 치조골에서 발치되는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치조골의 흡수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게 되므로, 구치부에 대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수행할 시에는 부족한 치조골을 보충하기 위한 시술이 선행적으로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치조골의 잔존골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한 시술로 상악동 거상술(Sinus Lift Technique), 치조제 분리술(Ridge Split), 블록 본 이식술(Block Bone Grafting) 등이 현재 수행되고 있다.
상기 상악동 거상술은 구치부가 위치한 상악골 상측에 형성되어 코와 공기가 통하게 되는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켜 공간을 형성한 후 확보된 공간에 골 이식을 하고 여기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도록 하는 시술이고, 상기 치조제 분리술은 치아가 상실된 채 오랜 시간이 지나 폭이 좁아진 치조골에 대하여, 치조골 가운데 홈을 내고 좌우로 벌려 생긴 공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블록 본 이식술은 하악골의 Ramus 부위나 엉덩이 뼈와 같이 신체의 연골조직에서 뼈를 블록(block)으로 추출하여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고정하여 치조골을 생성시키는 방법이다.
여기서, 상악동 거상술이나, 주로 국소적인 부위에 치조골을 형성시키고자 할 때에는 분쇄골 이식이 주로 시술되는데, 이와 같은 분쇄골 이식과 달리 블록 본 이식(block bone grafting)은 광범위하게 수평적으로 치조골의 잔존골이 부족한 경우에 시술되는 것으로, 특히 극심하게 수평적으로 치조골의 잔존골이 없는 경우와 임플란트가 식립될 수 있는 치조골의 두께가 5mm 미만인 경우에는 블록 본 이식이 시술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협설측 주변 골이나 구개골측 주변 골이 흡수된 구치부의 발치와(拔齒窩), 주변 골벽은 건재하지만 구치부 발치와에 전체적으로 심한 치조골 흡수가 있는 경우, 구치부의 수직골 흡수가 심해서 골재생술이 필요한 경우에 블록 본 이식술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블록 본 이식은 신체의 연골조직에서 덩어리형태로 뼈를 추출하는 방식임에 따라 시술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웠다. 그리고, 종래의 블록 본 이식술에서는 채취된 블록 본을 별도의 본 스크류(bone screw)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에 따라 블록 본의 고정작업이 번거로웠고, 블록 본이 치조골에 제대로 이식되지 않아 블록 본이 치조골 내에 불안정하게 자리를 잡게 됨에 따라 임플란트의 식립이 불안정하게 되어 임플란트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블록 본과 이를 활용한 블록 본 이식 시술의 개발이 현재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신체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블록 본을 채취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드릴이 현재 사용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시술형태의 블록 본을 채취하기 위한 드릴기구의 구성과 개발도 현재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한편,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하여 사용되는 드릴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19145호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32216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등이 현재 출원되어 있으며,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것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539414호 "치과용 드릴세트"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에 기출원된 임플란트 시술 관련 드릴은 단순히 구멍을 천공하거나 골 표면을 절삭하는 것이어서, 현재 요구되고 있는 치조골에 안정되게 고정되어 효과적으로 이식될 수 있는 블록 본의 채취에 특정하여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새로운 형태의 블록 본의 채취 및 이식에 요구되는 드릴기구의 개발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신체의 연골조직에 일정깊이로 구멍을 파고, 뚫린 구멍 주위에 원형의 테두리부가 형성되도록 원형홈을 파는 드릴이 제공되어 중앙홀이 형성된 원형 단면의 블록 본을 일정두께로 채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잔존골이 부족한 치조골에 임플란트가 견고하고 안정되게 식립될 수 있는 블록 본이 제공되는 한편, 블록 본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에 의해 블록 본과 임플란트의 치조골 고정이 동시에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임플란트 시술이 간소화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트레핀 드릴과 비틀림 드릴이 일체로 된 드릴이 사용됨으로써 신체의 연골조직에서 블록 본을 채취하는 작업이 간소화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하여 신체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블록 본(block bone)을 채취하고, 채취된 블록 본을 치조골에 이식하는데 사용되는 드릴기구에 있어서, 관상(冠狀)의 원통체로 이루어져 개구된 전면부 끝단 둘레를 따라 톱니가 형성된 트레 핀(trephine) 드릴형 회전체와;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의 내측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톱니가 형성된 전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절삭날이 형성된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는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이 구비되어, 상기 신체의 연골조직 표면에 상기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이 수직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와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블록 본의 테두리부와 중앙홀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에서 상기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은 토크를 전달하는 기구와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측에 걸림단이 형성된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와 일체를 이루며 연결되고, 외주면 하측에 고정홀이 형성된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 및; 저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의 둘레 외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연결대의 상측 걸림단에 걸림고정되는 고무링의 상측에 저면이 밀착되며,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의 고정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과 결합홀을 관통하는 체결요소에 의해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에 고정되는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로 이루어져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와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가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에서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는 상기 걸림단에 걸림고정된 고무링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홀과 상기 고무링 사이의 간격이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의 고정홀과 상기 고무링 사이 간격보다 넓도록 하여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에 의해 상기 고무링이 눌리면서 서로 일치되는 상기 고정홀과 결합홀을 상기 체결요소가 관통하므로써 상기 체결요소에 작용하는 상기 고무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가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의 결합홀이 'ㄱ'형상을 이루어 저면으로 절개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요소는 고정핀이 사용되므로써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의 고정홀에 삽입고정된 상기 고정핀이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의 저면으로 절개된 결합홀을 통과한 후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결합홀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에서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는 외주면에 개방면이 형성되어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의 회전시 신체의 연골조직과의 마찰면적이 감소되어 열의 발생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에서 상기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는 상기 블록 본 채취용 드릴에 의해 채취된 블록 본이 이식되는 치조골 부위를 평평하게 하기 위한 피질골 제거용 드릴 및; 발치된 치조골 부위에 형성된 요입홈에 상기 블록 본 채취용 드릴에 의해 채취된 블록 본이 삽입고 정될 수 있도록 상기 요입홈을 테이퍼지게 확장시키기 위한 홈확장용 드릴을 더 구비하되, 상기 피질골 제거용 드릴은 토크를 전달하는 기구와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고 선단면에 절삭날이 형성된 절삭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확장용 드릴은 토크를 전달하는 기구와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형으로 절삭날이 형성된 테이퍼진 원통형태의 절삭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에서 상기 피질골 제거용 드릴은 절삭구 선단면의 회전중심에 가이드핀이 결합되어 치조골 표면에 상기 피질골 제거용 드릴이 수직으로 놓여 회전될 시 상기 가이드핀이 치조골에 미리 천공된 중심홀에 삽입고정되면서 상기 피질골 제거용 드릴의 회전중심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에 의하면, 신체의 연골조직에 일정깊이로 구멍을 파고, 뚫린 구멍 주위에 원형의 테두리부가 형성되도록 원형홈을 파는 드릴이 제공되어 중앙홀이 형성된 원형 단면의 블록 본을 일정두께로 채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잔존골이 부족한 치조골에 임플란트가 블록 본을 매개로 견고하고 안정되게 식립된다. 그리고, 블록 본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에 의해 블록 본과 임플란트의 치조골 고정이 동시에 간편하게 이루어져 임플란트 시술이 간소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에 의하면, 트레핀 드릴과 비틀림 드릴이 일체로 된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이 제공됨으로써 신체의 연골조직에서 블록 본을 채취하는 작업이 간소화되어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절약되고, 작업의 정밀도도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과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은 신체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블록 본을 채취하여 치조골에 임플란트와 함께 이식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을 사용하여 블록 본을 채취하여 치조골에 임플란트와 함께 이식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의 외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채 취용 드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의 단면도이고,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피질골 제거용 드릴을 사용하여 블록 본이 이식될 치조골 부위를 평평하게 하는 시술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홈확장용 드릴을 사용하여 발치된 치조골 부위의 요입홈을 테이퍼지게 확장시키는 시술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질용 제거용 드릴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질용 제거용 드릴의 선단면에 형성된 절삭날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확장용 드릴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는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하여 신체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블록 본(block bone)을 채취하고, 채취된 블록 본을 치조골에 이식하는데 사용되는 기구로서, 중앙홀(4)이 형성된 원형단면의 블록 본(2)을 일정두께로 채취하고, 상기와 같은 형태로 채취된 블록 본(2)이 이식될 치조골 부위를 블록 본(2)이 원활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정리하여 블록 본(2)이 치조골(1)에 이식되도록 하는 드릴기구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에 의해 채취되는 블록 본(2)은 중앙홀(4)이 형성됨에 따라 치조골(1)에 식립될 임플란트(6)는 먼저 도 1의 (f)나 도 2의 (e)와 같이 블록 본(2)의 중앙홀(4)에 삽입되어 블록 본(2)과 일체로 결합된 후 도 1의 (g)나 도 2의 (f)와 같이 치조골(1)에 식립됨으로써, 임플란트(6)의 치조골(1)에 대한 식립과 블록 본(2)의 치조골(1)에 대한 이식이 일회의 작업으로 동시에 진행될 수 있어 임플란트 시술이 간소화되고, 일정두께를 가진 원형단면의 블록 본(2)의 사용으로 치조골(1)이 보호되는 한편, 임플란트(6)의 식립이 견고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신체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도 1의 (e)와 같이 중앙홀(4)이 형성된 원형단면의 블록 본(2)을 일정두께로 채취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1의 (a)와 같이 포인트 드릴을 사용하여 신체의 연골조직에 센터용 홀(3)을 판다.
그리고, 도 1의 (b)와 같이 비틀림 드릴의 선단을 센터용 홀(3)에 놓고 비틀림 드릴을 회전시켜 신체의 연골조직에 구멍(4)을 파게 되는데, 구멍(4)의 크기를 크게 할 경우에는 직경이 작은 비틀림 드릴에서 직경이 큰 비틀림 드릴로 비틀림 드릴을 점차적으로 바꾸어가면서 구멍(4)이 확공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도 1의 (c)와 같이 트레핀(trephine) 드릴을 사용하여 신체의 연골조직에 뚫린 구멍 주위에 원형의 테두리부가 형성되도록 원형홈(5)을 판 후, 도 1의 (d)와 같이 핀셋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원형홈 부위를 집어서 떼어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에서 상기와 같이 신체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블록 본(2)을 채취하는데에는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은 트레핀 드릴과 비틀림 드릴이 일체를 이루어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의 회전에 따라 신체의 연골구조에 중앙홀(4)과 원형홈(5)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을 사용하게 되면, 도 1의 (b)와 (c)에서 수행되는 작업이 도 2의 (b)와 같이 한번의 작업으로 간소화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트레핀(trephine) 드릴형 회전체(20)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은 도 4와 도 5와 같이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는 별도로 제작되어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으나, 이와 달리,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가 제조과정에서 일체로 성형되어 단일의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을 이루고 있을 수도 있다.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는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것으로 관상의 원통체(22)로 이루어지는데, 개구된 전면부(24) 끝단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게 톱니(26)가 형성됨으로서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의 회전시 신체의 연골조직에 원형홈(5)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는 원 통체(22)의 외주면에 개방면(222)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의 회전으로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가 회전할 시 신체의 연골조직과의 마찰면적이 감소되고,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의 회전으로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가 회전할 시 개방면(222) 사이로 유동하는 공기량이 많아지는 한편 공기의 유동흐름이 급속해짐으로써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이 회전하면서 신체의 연골조직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발산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핀셋없이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을 사용하여 신체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블록 본(2)을 채취하는 경우 블록 본(2)의 원활한 채취를 도모할 수도 있다.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는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의 내측 중앙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의 내측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통과하여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의 전면부(24)에 형성된 톱니(26)에서 전방으로 좀더 돌출되어 있다. 이는 신체의 연골조직에 우선적으로 중앙홀(4)이 천공되면서 중앙홀(4)에 놓인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의 회전중심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홈(5)보다 중앙홀(4)이 신체의 연골조직에서 더 깊이 천공됨으로써 신체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블록 본(2)을 떼어낼 시 중앙홀(4)의 블록 본(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절삭 날(42)이 형성되어 신체의 연골조직에 일정깊이로 구멍을 팔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은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가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은 핸드피스, 전동모터 등과 같이 토크를 전달하는 기구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연결대(30)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가 일체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의 저면에는 관통공(28)이 형성되어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의 둘레 외측으로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에 착탈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대(30)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걸림단(50)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걸림단(50)에는 요입홈(52)이 형성되어 고무링(60)이 걸림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에 삽입되는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는 걸림단(50)에 걸림고정된 고무링(60)에 밀착된다.
그리고,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의 외주면 하측에 고정홀(44)이 형성되고,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의 외주면에는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의 고정홀(44)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224)이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의 고정홀(44)과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의 결합홀(224)을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요소에 의해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에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가 고정되게 된 다.
여기서,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에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요소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고정핀(70)을 사용하고 있으나, 암나사형으로 가공된 고정홀(44)과 결합홀(224)에 볼트결합되는 볼트 등 다양한 형태의 체결요소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에 삽입되어 고무링(60)에 밀착된 상태에서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의 고정홀(44)과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의 결합홀(224)에 고정핀(70)을 관통시키게 되는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는 고무링(60)을 누르고 있음에 따라 고무링(60)의 탄성에 의해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에 전방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써 고정핀(70)이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와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 사이에서 걸림고정되어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에서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는 걸림단(50)에 걸림고정된 고무링(60)에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홀(224)과 고무링(60) 사이의 간격이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의 고정홀(44)과 고무링(60) 사이 간격보다 넓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에 의해 고무링(60)이 눌리면서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의 고정홀(44)과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의 결합홀(224)이 서로 일치되고, 이와 같이 서로 일치되는 고정홀(44)과 결합홀(224)을 고정핀(70)이 관통하므로써 고정핀(70)에 작용하는 고무링(60)의 복원력에 의해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에서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는 결합홀(224)이 'ㄱ'형상을 이루어 저면으로 절개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20)의 고정홀(44)에 삽입고정된 고정핀(70)이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의 저면으로 절개된 결합홀(224)을 통과한 후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결합홀(224)에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의 조립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연결대(30)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 사이 걸림단(50)에 고무링(60)을 걸림고정한 후,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의 고정홀(44)에 고정핀(70)이 삽입고정한다. 그리고,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를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에 삽입하게 되는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의 저면으로 결합홀(224)이 절개되어 개방되어 있음에 따라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에 삽입고정된 고정핀(70)은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의 결합홀(224)을 저면에서 통과한 후 결합홀(224)의 상단에 걸리게 된다. 다음으로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을 일정각 회전시켜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결합홀(224)의 끝단으로 고정핀(70)이 위치되도록 하는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에는 고무링(60)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작동함에 따라 고정핀(70)이 결합홀(224)이 걸림고정되어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고무링(60)이 사용되어 고정핀(70)에 탄성을 부여하고 있는데, 이와 달리 스프링을 비롯하여 고정핀(70)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은 간편하게 착탈결합되는 구성임에 따라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와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의 손상에 따른 수리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더불어 유지보수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블록 본(2)의 크기와 중앙홀(4)의 크기에 맞추어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20) 또는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40)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100)에 의해 채취된 블록 본(2)은 치조골(1)에 이식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는 블록 본(2)이 이식될 치조골 부위를 블록 본(2)이 원활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정리하여 블록 본(2)이 치조골(1)이 이식되도록 하기 위한 피질골 제거용 드릴(200)과 홈확장용 드릴(3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질골 제거용 드릴(200)은 도 6의 (a)와 같이 치조골 부위를 평평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 7과 같이 토크를 전달하는 기구와 연결되는 연결대(220)와, 연결대(220)에 결합되고 선단면에 절삭날(242)이 형성된 절삭구(240) 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절삭구(240) 선단면의 회전중심에는 가이드핀(244)이 결합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치조골 표면에 피질골 제거용 드릴(200)이 수직으로 놓여 회전될 시 가이드핀(244)이 치조골에 미리 천공된 중심홀에 삽입고정되면서 피질골 제거용 드릴(200)의 회전중심이 유지됨으로써 피질골 제거용 드릴(200)이 정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피질골 제거용 드릴(200)에 의한 피질골 제거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피질골 제거용 드릴(200)에 의한 치조골의 피질골 제거작업이 진행중인 신체부위가 보호된다.
홈확장용 드릴(300)은 도 6의 (b)와 같이 발치된 치조골 부위에 형성된 요입홈에 블록 본(2)이 원활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요입홈을 테이퍼지게 확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홈확장용 드릴(300)은 도 9와 같이 토크를 전달하는 기구와 연결되는 연결대(320)와, 연결대(320)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형으로 절삭날(342)이 형성된 테이퍼진 원통형태의 절삭구(340)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홈확장용 드릴(300)을 사용하게 되면 발치된 치조골 부위에 형성된 요입홈의 측면 절삭이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 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신체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블록 본을 채취하여 치조골에 임플란트와 함께 이식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을 사용하여 블록 본을 채취하여 치조골에 임플란트와 함께 이식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의 외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의 분리 사시도;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의 단면도;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피질골 제거용 드릴을 사용하여 블록 본이 이식될 치조골 부위를 평평하게 하는 시술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홈확장용 드릴을 사용하여 발치된 치조골 부위의 요입홈을 테이퍼지게 확장시키는 시술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질용 제거용 드릴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질용 제거용 드릴의 선단면에 형성된 절삭날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확장용 드릴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치조골 2 : 블록 본
3 : 센터용 홀 4 : 중앙홀, 구멍
5 : 원형홈 6 : 임플란트
7 : 연골조직 20 :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
22 : 원통체 222 : 개방면
224 : 결합홀 24 : 전면부
26 : 톱니 28 : 관통공
30, 220, 320 : 연결대 40 :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
42, 242, 342 : 절삭날 44 : 고정홀
50 : 걸림단 52 : 요입홈
60 : 고무링 70: 고정핀
100 : 블록 본 채취용 드릴 200 : 피질골 제거용 드릴
240, 340 : 절삭구 244 : 가이드핀
300 : 홈확장용 드릴

Claims (6)

  1.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하여 신체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블록 본(block bone)을 채취하고, 채취된 블록 본을 치조골에 이식하는데 사용되는 드릴기구에 있어서,
    관상(冠狀)의 원통체로 이루어져 개구된 전면부 끝단 둘레를 따라 톱니가 형성된 트레핀(trephine) 드릴형 회전체와;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의 내측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톱니가 형성된 전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절삭날이 형성된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는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이 구비되어, 상기 신체의 연골조직 표면에 상기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이 수직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와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블록 본의 테두리부와 중앙홀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 채취용 드릴은 토크를 전달하는 기구와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측에 걸림단이 형성된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와 일체를 이루며 연결되고, 외주면 하측에 고정홀이 형성된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 및;
    저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의 둘레 외측으로 삽입 되고, 상기 연결대의 상측 걸림단에 걸림고정되는 고무링의 상측에 저면이 밀착되며,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의 고정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과 결합홀을 관통하는 체결요소에 의해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에 고정되는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로 이루어져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와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가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는 상기 걸림단에 걸림고정된 고무링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홀과 상기 고무링 사이의 간격이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의 고정홀과 상기 고무링 사이 간격보다 넓도록 하여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에 의해 상기 고무링이 눌리면서 서로 일치되는 상기 고정홀과 결합홀을 상기 체결요소가 관통하므로써 상기 체결요소에 작용하는 상기 고무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가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의 결합홀이 'ㄱ'형상을 이루어 저면으로 절개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요소는 고정핀이 사용되므로써 상기 비틀림 드릴형 회전체의 고정홀에 삽입고정된 상기 고정핀이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의 저면으로 절개된 결합홀을 통과한 후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결합홀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는 외주면에 개방면이 형성되어 상기 트레핀 드릴형 회전체의 회전시 신체의 연골조직과의 마찰면적이 감소되어 열의 발생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는 상기 블록 본 채취용 드릴에 의해 채취된 블록 본이 이식되는 치조골 부위를 평평하게 하기 위한 피질골 제거용 드릴 및, 발치된 치조골 부위에 형성된 요입홈에 상기 블록 본 채취용 드릴에 의해 채취된 블록 본이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요입홈을 테이퍼지게 확장시키기 위한 홈확장용 드릴을 더 구비하되,
    상기 피질골 제거용 드릴은 토크를 전달하는 기구와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고 선단면에 절삭날이 형성된 절삭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확장용 드릴은 토크를 전달하는 기구와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형으로 절삭날이 형성된 테이퍼진 원통형태의 절삭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질골 제거용 드릴은 절삭구 선단면의 회전중심에 가이드핀이 결합되어 치조골 표면에 상기 피질골 제거용 드릴이 수직으로 놓여 회전될 시 상기 가이 드핀이 치조골에 미리 천공된 중심홀에 삽입고정되면서 상기 피질골 제거용 드릴의 회전중심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KR1020070118254A 2007-11-20 2007-11-20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KR100936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254A KR100936292B1 (ko) 2007-11-20 2007-11-20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254A KR100936292B1 (ko) 2007-11-20 2007-11-20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839A true KR20090051839A (ko) 2009-05-25
KR100936292B1 KR100936292B1 (ko) 2010-01-13

Family

ID=4085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254A KR100936292B1 (ko) 2007-11-20 2007-11-20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2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02Y1 (ko) * 2011-08-05 2013-06-04 (주) 코웰메디 크레스탈 커터와 파일럿 커터 일체형 임플란트시술용 드릴
KR101358703B1 (ko) * 2013-06-28 2014-02-24 황적희 체인지 구조를 가진 외과 수술용 커터 장치
KR101375872B1 (ko) * 2012-05-24 2014-03-17 박병활 치과용 골 채집기
CN108081215A (zh) * 2018-01-10 2018-05-29 广州华立科技职业学院 手动式钻锯扭一体机
CN109528265A (zh) * 2018-12-19 2019-03-29 北京天星博迈迪医疗器械有限公司 直径可变钻头及电钻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6545A (en) * 1994-08-15 1997-10-14 Jones; Shedrick 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antation
DE502005003852D1 (de) 2005-09-05 2008-06-05 Straumann Holding Ag Dentalbohrvorrichtung mit einem Stoppelement
KR200436934Y1 (ko) 2006-11-15 2007-10-18 이상직 자가골 채취구
KR100759261B1 (ko) 2007-01-15 2007-09-17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02Y1 (ko) * 2011-08-05 2013-06-04 (주) 코웰메디 크레스탈 커터와 파일럿 커터 일체형 임플란트시술용 드릴
KR101375872B1 (ko) * 2012-05-24 2014-03-17 박병활 치과용 골 채집기
KR101358703B1 (ko) * 2013-06-28 2014-02-24 황적희 체인지 구조를 가진 외과 수술용 커터 장치
CN108081215A (zh) * 2018-01-10 2018-05-29 广州华立科技职业学院 手动式钻锯扭一体机
CN108081215B (zh) * 2018-01-10 2024-02-02 广州华立科技职业学院 手动式钻锯扭一体机
CN109528265A (zh) * 2018-12-19 2019-03-29 北京天星博迈迪医疗器械有限公司 直径可变钻头及电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292B1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040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탭드릴
KR100759261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0619145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KR100946269B1 (ko) 임플란트용 천공 드릴
EP2237739B1 (en) Drill for sinus membrane lift
KR101192662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0660374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KR100829243B1 (ko) 잇몸 펀칭장치
KR100936292B1 (ko)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KR101192219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067485B1 (ko) 임플란트 드릴용 스토퍼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0906692B1 (ko) 상악동 내 골막 거상술용 안전드릴조립체
KR101113306B1 (ko) 상악동 거상술용 드릴 유닛
CN108712889B (zh) 牙用整平钻头
KR101516949B1 (ko)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KR100946344B1 (ko) 임플란트 드릴
KR20150003639U (ko) 인공 치아 이식술용 자가본 채취기
EP1488745A1 (en) Osteotome Structure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JP6187862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のドリリングシステム
KR102027336B1 (ko)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JP2008188037A (ja) 歯科用デバイス、ツール及びハンドピース
KR101170895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윈도우 오프너
CN211270984U (zh) 一种用于骨屑收集的钻头
KR102264151B1 (ko) 임플란트용 티슈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