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934Y1 - 자가골 채취구 - Google Patents

자가골 채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934Y1
KR200436934Y1 KR2020060029740U KR20060029740U KR200436934Y1 KR 200436934 Y1 KR200436934 Y1 KR 200436934Y1 KR 2020060029740 U KR2020060029740 U KR 2020060029740U KR 20060029740 U KR20060029740 U KR 20060029740U KR 200436934 Y1 KR200436934 Y1 KR 200436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autologous bone
collecting
autologous
harve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직
Original Assignee
이상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직 filed Critical 이상직
Priority to KR2020060029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9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9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for taking bone, bone marrow or cartilag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7Hollow drills or saws producing a curved cut, e.g.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공구(40)에 연결된 샤프트(10)의 선단 결합부(12) 측부에 채취톱니(24)를 갖는 드릴관(20)이 끼움결합되게 구성하고, 선단결합부(23) 저부에는 선단 다수 분쇄날(32)들이 형성된 분쇄구(30)를 분리가능케 나사결합 구성한 자가골 채취구를 구현함으로써,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서 자가골 채취시 덩어리상태로 채취하거나 분쇄된 상태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가골, 채취, 드릴관, 분쇄구, 분리

Description

자가골 채취구{AUTOLOGOUS BONE HARVEST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구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드릴관과 골분쇄구를 모두 장치한 자가골 채취구 결합 단면도,
도 5는 드릴관과 골분쇄구를 모두 장치하여 자가골 채취하는 상태단면도,
도 6은 골 분쇄구를 제거한 상태의 자가골 채취구 결합 단면도,
도 7은 골분쇄구를 제거하고 드릴관만 장치하여 자가골 채취하는 상태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자가골 채취구 10: 샤프트
12: 선단결합부 20: 드릴관
24: 채취톱니 30: 골분쇄구
32: 분쇄날 32a: 첨두정점
본 고안은 자가골 채취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골에서 자가골을 채취하여 골이식 필요한 부위에 이식하는 술식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비록 합성골이나 이종골 등으로 골이식을 하는 방법도 사용되고는 있으나, 언급한 자가골 이식술이 골 이식에 있어서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자가골 이식을 위해서는 먼저 자가골 채취가 선행되어야 한다. 자가골을 채취하는 일반적인 방법의 일 예로서는 끌 처럼 생긴 기구를 이용해 골 조직의 표면에서 뼈를 긁어내는 방법과, 모터(motor)로 구동되는 일반적인 버, 트레파인 버와 같은 기구나 치즐 혹은 초음파 기구를 이용해서 뼈를 덩어리 채로 절단한 후 분쇄기로 그 덩어리 뼈를 잘게 분쇄함으로써 채취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가골 채취 방법들은 이식을 위한 골 채취하는데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골 채취중 세균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채취된 자가골의 일부가 소실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가골 채취시 소실되는 자가골의 양을 최소로 되게 하고 골채취시 세균감염도 최대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자가골 채취구로 다양한 형태의 골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가골 채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이식 사용목적에 부합하는 골 채취를 할 수 있으며 자가 골채취 및 이식의 시술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자가골 채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가골 채취구(2)는, 구동공구(40)에 연결된 샤프트(10)의 선단 결합부(12) 측부에 채취톱니(24)를 갖는 드릴관(20)이 끼움결합되게 구성하고, 선단결합부(23) 저부에는 선단 다수 분쇄날(32)들이 형성된 분쇄구(30)를 분리가능케 나사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구(2)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작업자가 하나의 자가골 채취구(2)를 이용하여 덩어리상태로 자가골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해주고, 필요에 따라서는 분쇄된 상태의 자가골도 채취할 수 있도록 구현해 줌을 그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자가골 채취구(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결합부(12)를 갖는 샤프트(10)와, 채취톱니(24)를 갖는 드릴관(30)과, 다수의 분쇄날(32)들을 갖는 분쇄구(30)로 구성하며, 상기 샤프트(10)는 구동공구(도 5 및 도 7의 40)에 연결되어 구동회전되게 구성된다.
구동공구(40)에 체결 회전되는 샤프트(10)는 타단부에 원통형 선단 결합부(12)를 갖는다. 샤프트(10)의 선단 결합부(12)는 플랜지부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서, 고무링(16)이 그 플랜지부측으로 끼움구성되고 원통측부에는 한쌍의 끼움돌기(14)가 형성되게 구성하여 드릴관(20)과 체결시 드릴관(20)의 한쌍의 끼움홈(22)에 끼움결합되게 해준다.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 봉체 외면에는 면취가공을 부분적으로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면취 평면부가 형성되게 한다.
또한 샤프트(10)의 선단결합부(12)의 원통저부에는 나사홈(18)을 형성하여 다수의 분쇄날(32)을 갖는 분쇄구(30)의 후단 나사부(34)가 나사체결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분쇄구(3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분쇄구(30) 선단에 형성된 다수의 분쇄날(32)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정도의 날편으로 구성하되 모든 날편들이 중앙 첨두정점(32a)을 중심으로 균형있게 하향 경사선형으로 펼쳐지게 구성한다. 이때 각 날편은 드릴관(20)의 내면에 닿지않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쇄날(32)의 첨두정점(32a)은 분쇄구(30)와 드릴관(20)이 함께 샤프트(10)의 선단결합부(12)에 모두 결합되었을 시의 드릴관(20)선단보다 약간 더 돌출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분쇄구(30)의 첨두정점(32a) 돌출 구성은 골채취구(2)가 구동회전될 시 분쇄날(32)의 첨두정점(32a)이 골채취면상의 스폿 위치를 잡아줌으로써 골채취구(2)의 미끄러짐이 사전에 방지되게 해준다.
한편 저부에 채취톱니(24)를 갖는 드릴관(20)은 그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22)을 경사진 'T'자형 슬롯홈으로 구성하되, 도 5 및 도 7의 구동공구(40) 회전방향측으로 약 20°각도 하향경사진 슬롯을 형성하고 그 슬롯 단부에는 선단결합부(12)의 끼움돌기(14)가 걸림고정될 수 있을 만큼 절개 형성되게 한다. 또한 드릴 관(20)의 저부에 형성된 채취톱니(24)들은 골조직을 파고 들어갈 수 있도록 톱니들을 형성된 것이며, 다이아몬드코팅이나 텡스텐 카바이드 코팅 처리를 해줌으로써 그 톱니부가 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갖도록 한다.
드릴관(20)의 측부에는 다수의 통공(28)들을 형성하고 하나 또는 두개의 정도의 절개홈공(26)을 형성하는데, 상기 절개홈공(26)은 외면에 꾸불하게 굽이치게 형성하고 하방측으로 갈수록 깊이로 경사지게 홈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어느정도의 하방부터는 절개슬롯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드릴관(20)의 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8) 및 절개홈공(26)은 자가골 채취시 냉각수가 시술부위에 잘 스며들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드릴관(20)의 측부 표면에는 저부의 채취톱니(20)로부터 상부측까지 길이방향으로 거리눈금 표시를 각인시켜주어 작업자가 드릴관(20)이 어느정도 깊이까지 들어갔는지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4는 드릴관(20)과 골분쇄구(30)를 모두 장치한 자가골 채취구(2)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와 같이 드릴관(20)과 골분쇄구(30)를 모두 장치한 자가골 채취구(2)로 치조골(50)에서 자가골 채취하는 상태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골 분쇄구(30)를 제거한 상태의 자가골 채취구(2)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과 같이 골분쇄구(30)를 제거하고 드릴관(20)만 장치한 자가골 채취구(2)를 이용하여 자가골을 채취하는 상태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드릴관(20)과 분쇄구(30)를 함께 사용하면 자가골 채취시 분쇄된 상태로 자가골을 채취할 수 있으며,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분쇄구(30)없이 드릴관(20)만을 사용하게 되면 그 자가골을 덩어리상태로 채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 자가골 채취구(2) 구조는 기존 채취방법에 비해서 자가골 채취시 소실될 수 있는 골의 양이 최소가 되게해줄 뿐만 아니라 골채취시 채취한 자가골의 오염이 최소화되므로 세균감염도 최대한 방지되게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가골 채취시 소실될 수 있는 골의 양을 최소가 되게하고 골채취시 세균감염도 최대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골 채취구로 다양한 형태의 골을 채취할 수 있으며, 골이식시 사용목적에 부합하는 골채취할 수 있도록 하여 자가 골채취 및 이식의 시술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구동공구(40)에 연결된 샤프트(10)의 선단 결합부(12) 측부에 채취톱니(24)를 갖는 드릴관(20)이 끼움결합되게 구성하고, 선단결합부(23) 저부에는 선단 다수 분쇄날(32)들이 형성된 분쇄구(30)를 분리가능케 나사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결합부(23) 저부에 나사결합된 분쇄구(30)의 분쇄날(32) 첨두정점(32a)이 드릴관(20)보다는 돌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구.
KR2020060029740U 2006-11-15 2006-11-15 자가골 채취구 KR200436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740U KR200436934Y1 (ko) 2006-11-15 2006-11-15 자가골 채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740U KR200436934Y1 (ko) 2006-11-15 2006-11-15 자가골 채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934Y1 true KR200436934Y1 (ko) 2007-10-18

Family

ID=4163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740U KR200436934Y1 (ko) 2006-11-15 2006-11-15 자가골 채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9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76B1 (ko) * 2008-11-18 2009-07-2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골수 추출기
KR100936292B1 (ko) 2007-11-20 2010-01-13 김수홍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WO2012134094A3 (ko) * 2011-03-25 2013-01-10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상악동막을 직접 조절하여 상악동막을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안전하게 거상할 수 있게 하는 안전 상악동막 거상기 및 그를 이용한 시술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292B1 (ko) 2007-11-20 2010-01-13 김수홍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KR100909476B1 (ko) * 2008-11-18 2009-07-2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골수 추출기
WO2010058882A1 (ko) * 2008-11-18 2010-05-27 원광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수 추출기
CN102215762A (zh) * 2008-11-18 2011-10-12 圆光大学校产学协力团 骨髓提取器
JP2012509095A (ja) * 2008-11-18 2012-04-19 ボーンセル バイオ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骨髓抽出器
WO2012134094A3 (ko) * 2011-03-25 2013-01-10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상악동막을 직접 조절하여 상악동막을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안전하게 거상할 수 있게 하는 안전 상악동막 거상기 및 그를 이용한 시술방법
CN103607973A (zh) * 2011-03-25 2014-02-26 因诺生物外科株式会社 直接调节上颌窦粘膜来向所需的方向安全地将上颌窦粘膜提升到所需的程度的安全上颌窦粘膜提升器及利用其的手术方法
US10357339B2 (en) 2011-03-25 2019-07-23 Innobiosurg Safety subantral membrane lift capable of directly adjusting a subantral membrane to safely lift the subantral membrane in a desired direction by a desired distan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58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bone
US56834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bone
JP4080872B2 (ja) 骨回復用冠状鋸を備えたドリル装置
US6022354A (en) Bone harvesting collection and delivery system
US8449545B2 (en) Low cost modular tapered hollow reamer for medical applications
US8523866B2 (en) Modular tapered hollow reamer for medical applications
US8357163B2 (en) Low cost modular tapered and spherical hollow reamers for medical applications
JP2019503793A (ja) 最小侵襲性組織採取装置
KR101192219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CA2402506A1 (en) Oral craniofacial bone mill
US10368883B2 (en) Bone cleaning tool
US8403931B2 (en) Modular tapered hollow reamer for medical applications
US20190350598A1 (en) Bone cleaning tool
KR200436934Y1 (ko) 자가골 채취구
KR101250032B1 (ko) 골 채취기
JP6864945B2 (ja) 低侵襲骨組織手術器具
KR100936292B1 (ko)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KR20150003639U (ko) 인공 치아 이식술용 자가본 채취기
KR101585505B1 (ko) 골 채집력이 향상된 골 채집기
US9192451B2 (en) Oscillating blade for cutting periodontal ligaments and luxating tooth roots
EP0957786B1 (en) Apparatus for harvesting bone
CN205697927U (zh) 一种新型刮骨刀
CN210009092U (zh) 微创取骨设备
TWM353727U (en) Autologous bone harvesting device
US200301586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b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