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069Y1 -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 Google Patents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069Y1
KR200255069Y1 KR2019990008591U KR19990008591U KR200255069Y1 KR 200255069 Y1 KR200255069 Y1 KR 200255069Y1 KR 2019990008591 U KR2019990008591 U KR 2019990008591U KR 19990008591 U KR19990008591 U KR 19990008591U KR 200255069 Y1 KR200255069 Y1 KR 200255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coupled
inner cylinder
drive shaft
driv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044U (ko
Inventor
장경삼
주순자
Original Assignee
장경삼
주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삼, 주순자 filed Critical 장경삼
Priority to KR2019990008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069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0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0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069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의 좁은 구강 내에서 인공치근(dental inplant)과 어버트먼트(abutment)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스크류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어버트먼트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결합스크류를 사용하여 인공치근에 어버트먼트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에 있어서, 상기 결합스크류(60)의 헤드부(61)와 대응하는 파지홈(12)이 선단 헤드부(11)에 형성된 구동축(10)과, 상기 구동축(10)의 헤드부(11)가 내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내통(20)과, 상기 내통(20)의 외주부가 그의 내주부에 삽입 결합되는 외통(30)과, 상기 어버트먼트(70)를 내통(20)에 탄성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탄성결합수단(21,25b-25d)으로 구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70)의 삽입구멍(71)을 둘러싸는 돌기부(73)가 내통(20)의 입구요홈(29)에 마찰 결합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70)를 인공치근(80)에 결합하고 상기 구동축(10)의 회전에 따라 결합스크류(70)가 어버트먼트(70)의 삽입구멍(71)을 통하여 인공치근(80)의 고정구멍(83)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Dental Screw Driving Tools}
본 고안은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의 좁은 구강 내에서 인공치근(dental inplant)과 소형의 어버트먼트(abutment)를 고정시키기위한 결합스크류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어버트먼트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치과용 어버트먼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썩거나 사고에 의해 부러질 경우 음식물 섭취시 음식물을 씹기가 어렵고 또한 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치과에서는 자연치를 대신하여 틀니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틀니는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음식물 등을 씹을 때 통증이 발생하며 음식물 찌꺼기가 틀니와 잇몸 사이에 잔류하게 되어 구취가 나게되는 등 불편한 점이 있었다.
요즈음에는 이러한 틀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연치를 뽑아낸 자리에 인체에 해가 없고 자연치 보다 더 단단한 인공치근을 이식(implant)하고, 인공치를 인공치근에 부착시키기 위한 매개물로서 상단 중앙부에 인공치가 부착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인공치근의 상부에 결합시켜 자연치와 같은 감각으로 생할할 수 있도록 시술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소형의 결합스크류를 사용하여 인공치근에 어버트먼트 결합시 L타입 드라이버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전체적인 시술이 좁은 구강내에서 이루어지며 특히 윗니를 교체할 경우에는 고정볼트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고정볼트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면 상기 고정볼트가 어버트먼트의 결합구멍으로 부터 쉽게 이탈하게 되어 시술의 지연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를 인공치근의 상단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소형의 부품인 어버트먼트를 파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핀셋을 사용하여 상기 어버트먼트를 파지한 상태로 인공치근의 상단에 안착시키는데, 이 경우 핀셋으로 소형의 어버트먼트를 제대로 파지하기가 힘들었을 뿐만 아니라 이와같이 핀셋을 이용함에 따라 시술중에 환자의 구강내부의 환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핀셋의 재질도 티타늄 등으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좁은 구강 내에서 결합스크류와 어버트먼트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결합스크류를 체결할 때 결합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을 포함하는 치과용 드라이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크류 드라이빙 툴의 구동축에 핸들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을 사용하여 인공치근에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의 구동축에 드라이버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의 구동축에 토크렌치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의 구동축에 구동로드를 직각으로 연장 형성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동축 10a: 축부
10c: 구동로드 11: 구동출 헤드부
12: 파지홈 13: 결합홈
14: 결합부 20: 내통
21: 절개홈 23: 관통구멍
25a~25d: O-링 27,35: 상부판
29: 압착요홈 30: 외통
31: 공간부 33: 파지돌기부
40: 핸들 40a: 핸들 결합구멍
41: 토크렌치 50: 앵글 드라이버
51: 제1회전부 53: 제2회전부
60: 결합스크류 61: 결합스크류 헤드부
63: 나사부 70: 어버트먼트
71: 삽입구멍 75: 하단요홈
80: 인공치근 81: 돌기부
83: 고정구멍 90: 잇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결합스크류를 사용하여 인공치근에 어버트먼트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에 있어서, 상기 결합스크류의 헤드부와 대응하는 파지홈이 선단 헤드부에 형성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헤드부가 내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외주부가 그의 내주부에 삽입 결합되는 외통과, 상기 어버트먼트를 내통에 탄성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탄성결합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구멍을 둘러싸는 돌기부가 내통의 입구요홈에 마찰 결합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를 인공치근에 결합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결합스크류가 어버트먼트의 삽입구멍을 통하여 인공치근의 고정구멍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크류 드리이빙툴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스크류를 사용하여 인공치근에 어버트먼트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에 있어서, 상기 결합스크류의 헤드부와 대응하는 파지홈이 선단 헤드부에 형성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헤드부가 내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외주부가 그의 내주부에 삽입 결합되는 외통과, 상기 어버트먼트를 내통에 탄성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탄성결합수단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스크류 드라이빙 툴의 구동축에 핸들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을 사용하여 인공치근에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은 도 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은 헤드부(11)에 결합스크류(60)의 헤드부(61)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홈(12)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1)로부터 축부(10a)를 통하여 연장된 타단에는 핸들(40)의 결합구멍(40a)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13)을 갖는 결합부(14)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헤드부(11)에는 O-링(25a)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10)은 후단부에 구동축(10)의 축부(10a)에 대응하는 관통구멍이 상부판(27)에 형성된 원통형 내통(20)에 삽입되고, 내통(20)은 후단부에 축부(10a)에 대응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부판(35)이 형성된 원통형 외통(30)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20) 선단에는 어버트먼트(70)의 헤드부(73)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압착요홈(2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10)의 헤드부(11)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관통구멍(23)을 갖는 내통(20)은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O-링(25b,25c,25d)이 소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축(10)은 헤드부(11)에 결합된 O-링(25a)에 의해 상기 내통의 관통구멍(23)에 압착된 상태로 상기 관통구멍(2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외통(30)은 내측에 상기 내통(20)을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공간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내통(20)은 O-링(25b-25d)에 의해 일단 외통(30)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면 상기 구동축(10)이 내통(20) 내에서 이동할지라도 삽입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한편 상기 외통(30)의 외주면 상부에는 상기 외통(30)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핸들(40)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핸들(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외통(3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미끄럼 방지용 파지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은 사용시에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0)을 밀어서 헤드부(11)를 내통(20)의 선단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스크류(60)의 헤드부(61)를 파지로드(10)의 파지홈(12)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파지로드(10)를 내통의 관통구멍(23)을 따라 후퇴시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 경우 헤드부(11)의 파지홈(12)은 결합스크류(60)의 헤드부(61) 형상을 수용하도록 이에 대응한 형상의 요홈으로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6각형을 이룬다.
한편 도 5와 같이 잇몸(90)에는 헤드부(81)에 결합스크류(60)의 나사부(63)가 결합되는 고정구멍(83)을 갖는 인공치근(80)이 이식되어 있다.
또한 인공치근(80)의 헤드부(81)에는 어버트먼트(70)가 결합되며, 상기 어버트먼트(70)는 인공치를 인공치근에 결합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서 내측으로 결합스크류(60)와 나사 결합되도록 삽입구멍(71)을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인공치근(80)의 상단 돌기부(81)에 삽입되는 하단요홈(7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잇몸에 이식된 인공치근(80)에 대한 어버트먼트(70)의 고정은 결합스크류(60)를 인공치근(80)의 고정구멍(83)에 체결시킴에 의해 이루어 진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내통(20)의 압착요홈(29)에 어버트먼트(70)의 돌기부(73)를 삽입시키는데 이때 상기 압착요홈(29)은 내통의 절개홈(21)에 의해 직경이 소정넓이 만큼 늘어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내통(20)에 결합된 다수의 O-링(25b-25d)에 의해상기 어버트먼트의 돌기부(73)는 압착요홈(29)에 압착 결합된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70)를 내통(20)의 압착요홈(29)에 결합한 상태를 유한 상태로 잇몸(90)에 고정된 인공치근(80)의 헤드부(81)에 어버트먼트(70)의 하단요홈(75)을 안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구동축(10)에 파지된 결합스크류(60)의 끝단이 상기 어버트먼트(70)의 삽입구멍(71) 선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지로드(10)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그 후 상기 결합스크류(60)의 나사부(63)가 상기 어버트먼트(70)의 삽입구멍(71)과 인공치근(80)의 고정구멍(83)을 순차적으로 체결시키도록 파지로드(10)에 결합된 핸들(40)을 회전시켜 상기 결합스크류(60)에 의해 어버트먼트(70)를 인공치근(80)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스크류 드라이빙 툴을 사용하면 인공치근(80)에 어버트먼트(70)를 결합시키는 결합스크류(6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내통/외통(20,30)에의해 결합스크류(6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인공치근의 윗니 또는 아랫니의 위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어버트먼트(70)를 인공치근(80)에 고정 결합시켜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의 구동축에 드라이버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의 구동축에 토크렌치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의 구동축에 구동로드를 직각으로 연장 형성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어금니와 같이 구강내의 후방에 위치한 자연치를 대체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로드(10)의 일단에 핸들(40) 대신에 주지된 앵글 드라이버(50)가 결합된 구조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앵글 드라이버(50)는 후방에 위치 설정된 제2회전부(53)를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선단부에서 제2회전부(5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회전부(53)와 직각방향으로 뻗어있는 제1회전부(51)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앵글 드라이버(50)는 제2회전부(53)의 축선단부와 제1회전부(51) 사이에 동력방향 변환을 위한 베벨기어를 내장하여 동력을 직각방향으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상기 앵글 드라이버(50)의 제1회전부(51)를 상기 구동축(10)의 타단을 연장하여 형성하는 경우 제2회전부(53)로부터 수평방향의 회전력을 구동축(10)의 제1회전부(51)에서 수직방향의 회전력으로 전달받아 도 5와 같은 과정으로 인공치근(80)에 어버트먼트(7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스크류 드라이빙 툴은 상기한 구동축(10)의 후단부에 일체형 앵글 드라이버(50)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에 대하여 직각방향에서 회전토크를 부여하기 위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공지의 토크렌치(41)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스크류 드라이빙 툴은 토크렌치(41) 대신에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축(10)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구동로드(10c)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결합스크류를 사용하여 인공치근에 어버트먼트를 고정시킬때 결합스크류와 어버트먼트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결합스크류가 이탈되는 것이 없이 좁은 구강내에서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결합스크류를 사용하여 인공치근에 어버트먼트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에 있어서,
    상기 결합스크류(60)의 헤드부(61)와 대응하는 파지홈(12)이 선단 헤드부(11)에 형성된 구동축(10)과,
    상기 구동축(10)의 헤드부(11)가 내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내통(20)과,
    상기 내통(20)의 외주부가 그의 내주부에 삽입 결합되는 외통(30)과,
    상기 어버트먼트(70)를 내통(20)에 탄성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탄성결합수단(21,25b-25d)으로 구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70)의 삽입구멍(71)을 둘러싸는 돌기부(73)가 내통(20)의 입구요홈(29)에 마찰 결합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70)를 인공치근(80)에 결합하고 상기 구동축(10)의 회전에 따라 결합스크류(70)가 어버트먼트(70)의 삽입구멍(71)을 통하여 인공치근(80)의 고정구멍(83)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크류 드리이빙 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결합수단은 상기 내통(2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홈(21)과,
    상기 내통(20)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탄성 O-링(25b-25d)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크류 드리이빙 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파지용 핸들(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크류 드리이빙 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에 대하여 직각방향에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앵글 드라이버(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크류 드리이빙 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에 대하여 직각방향에서 회전토크를 부여하기 위한 토크렌치(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크류 드리이빙 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으로 부터 직각 절곡되어 연장된 구동로드(10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크류 드리이빙 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70)를 내통(20)에 압착 결합시킨 상태로 인공치근(80)에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스크류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KR2019990008591U 1999-05-19 1999-05-19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KR200255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591U KR200255069Y1 (ko) 1999-05-19 1999-05-19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591U KR200255069Y1 (ko) 1999-05-19 1999-05-19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44U KR20000021044U (ko) 2000-12-15
KR200255069Y1 true KR200255069Y1 (ko) 2001-12-13

Family

ID=5476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591U KR200255069Y1 (ko) 1999-05-19 1999-05-19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069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341A (ko) * 2001-08-10 2003-02-17 ㈜디오 인공치아용 픽스츄어 드라이버
KR100453726B1 (ko) * 2002-05-18 2004-10-26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KR100453728B1 (ko) * 2002-05-18 2004-10-26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KR101083058B1 (ko) 2009-09-14 2011-11-16 주식회사 디오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파단 스크류우 제거용 가이더
KR101097424B1 (ko) 2009-09-18 2012-01-13 김윤자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장치
WO2015016629A1 (ko) * 2013-08-01 2015-02-05 Lee Chae-Bung 임플란트 시술용 드라이버
WO2016190587A1 (ko) * 2015-05-27 2016-12-01 주식회사 한마음 어버트먼트 캐리어
KR200487866Y1 (ko) * 2018-09-19 2018-11-15 김용서 후크 암을 포함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기구 세트
KR200487942Y1 (ko) * 2018-09-19 2018-11-26 김용서 Sma 와이어를 포함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기구 세트
KR20200020102A (ko) * 2018-08-16 2020-02-26 이호규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KR20210152751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워랜텍 나사-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의 장착 보조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610B1 (ko) * 2002-02-04 2005-04-22 김중한 치아교정용 앵커식립장치
KR100618623B1 (ko) * 2004-04-30 2006-09-08 김정문 치과용 임플랜트 시술기구의 드라이버팁
KR100740591B1 (ko) * 2005-11-03 2007-07-18 장경삼 치과용 어버트먼트 분리용 유니트
KR100919250B1 (ko) * 2007-10-11 2009-09-30 이경동 임플란트 시술용 렌치 기구
KR100918997B1 (ko) * 2007-10-26 2009-09-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어버트먼트 체결장치
KR101114735B1 (ko) * 2010-04-06 2012-02-29 김용수 임플란트 시술용 잇몸제거장치
KR101496154B1 (ko) * 2013-11-20 2015-02-2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341A (ko) * 2001-08-10 2003-02-17 ㈜디오 인공치아용 픽스츄어 드라이버
KR100453726B1 (ko) * 2002-05-18 2004-10-26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KR100453728B1 (ko) * 2002-05-18 2004-10-26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KR101083058B1 (ko) 2009-09-14 2011-11-16 주식회사 디오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파단 스크류우 제거용 가이더
KR101097424B1 (ko) 2009-09-18 2012-01-13 김윤자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장치
KR20150000629U (ko) * 2013-08-01 2015-02-11 이채붕 임플란트 시술용 드라이버
WO2015016629A1 (ko) * 2013-08-01 2015-02-05 Lee Chae-Bung 임플란트 시술용 드라이버
KR200485421Y1 (ko) 2013-08-01 2018-01-05 이채붕 임플란트 시술용 드라이버
WO2016190587A1 (ko) * 2015-05-27 2016-12-01 주식회사 한마음 어버트먼트 캐리어
KR20200020102A (ko) * 2018-08-16 2020-02-26 이호규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KR102234777B1 (ko) * 2018-08-16 2021-04-01 덴탈오케이 주식회사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KR200487866Y1 (ko) * 2018-09-19 2018-11-15 김용서 후크 암을 포함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기구 세트
KR200487942Y1 (ko) * 2018-09-19 2018-11-26 김용서 Sma 와이어를 포함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기구 세트
KR20210152751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워랜텍 나사-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의 장착 보조기구
KR102464622B1 (ko) * 2020-06-09 2022-11-08 주식회사 워랜텍 나사-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의 장착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44U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5069Y1 (ko)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US7100476B1 (en) Torque wrench for dental implants
JP3055944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に構成要素を添着する器具
US4187609A (en) Submerged functional implant and method
US4253833A (en) Submerged functional implant and method
US7249948B2 (en) Ergonomic dental instruments for small hands
US5810592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healing abutment member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AU693096B2 (en) Dental implant wrench
JP2009522038A (ja) フリーアングル型インプラントドライバー及びフリーアングルホール(孔)型インプラントアバットメント
EP3954322A1 (en) Torque wrench for implant procedure
US20160235503A1 (en) Oval section dental implant
US5290171A (en) Universal carrier for carrying various anatomical dental restorative components
US4802848A (en) Parapulper restorative pin and driver assembly
KR20230169872A (ko)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JP2003519527A (ja) 下あご等の顔面骨の骨折手術方法及び手術器具
US6511319B1 (en) Dental prophylaxis handpiece
KR100893787B1 (ko) 핸드 콘트라앵글 마이크로임플란트 토크 드라이버
KR200448454Y1 (ko) 착탈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 핸드피스의 몸체
KR20070064771A (ko)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
EP3914187A1 (en) Coupling element for dentistry applications and corresponding kit
JP2004141479A (ja)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の取り付けシステム
US20190223989A1 (en) Surgical hand drill
KR102159525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의 개질방법
KR20220050856A (ko)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US20220079715A1 (en) Tool assembly for mounting of a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of mou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