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154B1 -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 Google Patents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6154B1 KR101496154B1 KR20130141588A KR20130141588A KR101496154B1 KR 101496154 B1 KR101496154 B1 KR 101496154B1 KR 20130141588 A KR20130141588 A KR 20130141588A KR 20130141588 A KR20130141588 A KR 20130141588A KR 101496154 B1 KR101496154 B1 KR 101496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tal
- separating
- separating member
- body portion
- bo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피결합물과,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치과용 결합물을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기 위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몸체부; 상기 제1연통공 내에서 상기 제1연통공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단부가 상기 제1연통공을 통과하여 제1몸체부로부터 출몰되고, 상기 제1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하면서 치과용 결합물을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부재; 및 상기 분리부재의 단부가 제1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1위치와, 상기 분리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될 수 있는 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면이 형성되어 있는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편의성을 높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기구는 치과용 피결합물과 치과용 결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틀니와 같은 인공구조물의 경우 그 인공구조물(치과용 피결합물)을 치조골로부터 돌출된 어버트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자 고무캡(치과용 결합물)을 사용하는 일이 있다. 예를 들어 인공구조물에 고무캡을 설치하는 경우 고무캡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를 위하여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는 임플란트용 픽스쳐(치과용 피결합물)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어버트먼트(치과용 결합물)를 체결 및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100)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111)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치과용 결합물(16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몸체부(110); 상기 제1연통공(111) 내에서 상기 제1연통공(1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단부가 상기 제1연통공(111)을 통과하여 제1몸체부(110)로부터 출몰되고, 상기 제1몸체부(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160)과 접촉하면서 치과용 결합물(160)을 상기 제1몸체부(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부재(120); 및 상기 분리부재(120)의 단부가 제1몸체부(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1위치와, 상기 분리부재(120)의 단부가 상기 제1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부재(1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130); 및 일측에는 상기 위치이동수단(13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1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구조물(예를 들어, 틀니)등에 부착되어 있는 고무캡(160)을 제1몸체부(110)의 단부를 통하여 빼낸 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이동수단(130)을 회전시키면 상기 위치이동수단(130)이 제1몸체부(110) 내에서 일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위치이동수단(130)과 접촉되어 있는 분리부재(12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부재(12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분리부재(120)의 단부가 제1몸체부(1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1몸체부(1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고무캡(치과용 결합물;160)이 상기 제1몸체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어버트먼트와 같은 치과용 피결합물을 임플란트 픽스쳐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위치이동수단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1부재(140)를 상기 위치이동수단(130)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1부재(140)를 상기 위치이동수단(130)으로부터 분리한다. 양자는 서로 나사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1부재(140)를 회전시키면 상기 위치이동수단(1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상기 제1부재(140)의 장착부(142)를 상기 어버트먼트에 결합한 후에 상기 제1부재(140)를 회전시키면 임플란트 픽스쳐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어버트먼트가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고무캡과 같은 치과용 피결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위치이동수단과 제1몸체부를 서로 상대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는 시술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부재와 위치이동수단과 서로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나사 체결 및 분리를 반복해야 하는데, 이러한 횟수가 많아지면 전체적인 시술시간이 증가되고 시술이 번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체결 및 분리작업이 불편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술시간이 증가되고 시술에 드는 노력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분리부재는 대략 원기둥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대략 고무캡을 중심부를 밀게 되는데, 이와 같이 고무캡의 중심부를 밀게되면 그 고무캡이 쉽게 제1몸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 및 분리과정이 간편하고 치과용 피결합물이 쉽게 분리되어 전체적인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피결합물과,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치과용 결합물을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기 위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몸체부;
상기 제1연통공 내에서 상기 제1연통공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단부가 상기 제1연통공을 통과하여 제1몸체부로부터 출몰되고, 상기 제1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하면서 치과용 결합물을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부재; 및
상기 분리부재의 단부가 제1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1위치와, 상기 분리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될 수 있는 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부재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하는 분리부재의 단부는 분리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이 반원형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는, 치과용 피결합물과,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치과용 결합물을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기 위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몸체부;
상기 제1연통공 내에서 상기 제1연통공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단부가 상기 제1연통공을 통과하여 제1몸체부로부터 출몰되고, 상기 제1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하면서 치과용 결합물을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부재; 및
상기 분리부재의 단부가 제1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1위치와, 상기 분리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이동수단은, 분리부재의 단부가 제1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그 이동부재의 단부를 제1몸체부의 내부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서,
상기 위치이동수단은, 압축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는, 치과용 피결합물과,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치과용 결합물을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기 위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에 삽입용 홈이 마련되어 있는 손잡이부재;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부재의 삽입용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1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의 결합부에는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손잡이부재의 삽입용 홈 내에 삽입될 때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삽입용 홈의 내주면에 억지끼움되어 제1부재가 상기 삽입용 홈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는 결합 유지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서,
상기 결합 유지부재는, 상기 제1부재의 결합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금속링 또는 고무링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는, 치과용 피결합물과,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치과용 결합물을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기 위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에 삽입용 홈이 마련되어 있는 손잡이부재;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부재의 삽입용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1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의 결합부에는,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손잡이부재의 삽입용 홈 내에 삽입된 후에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삽입용 홈 내에서 자력에 의하여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성체가 마련된다.
상기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서, 상기 제1부재에는 다각기둥형태의 회전방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용 홈 내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회전방지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서,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은 임플란트 픽스쳐이며, 상기 치과용 결합물은 어버트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는, 전체적인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여 시술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는, 분리부재가 치과용 결합물의 중심이 아닌 편측을 밀도록 구성되어 있어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서 분리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리부재가 내부에 배치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서 분리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리부재가 내부에 배치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10)는, 치과용 피결합물과,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치과용 결합물을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몸체부(20), 분리부재(30) 및 위치이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20)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과 타측을 연통하는 제1연통공(20a)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몸체부(20)의 일측은 좁은 외경을 가지면서 단부에 치과용 결합물(고무캡)을 끼울 수 있는 걸림턱(211)이 형성되는 걸림부분(21)과, 상기 걸림부분(21)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분(21)보다 큰 외경을 가지면서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분(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부재(30)는, 상기 제1연통공(20a) 내에서 상기 제1연통공(20a)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단부가 상기 제1연통공(20a)을 통과하여 제1몸체부(20)로부터 출몰되고, 상기 제1몸체부(2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하면서 치과용 결합물을 제1몸체부(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부재(30)는, 대략 얇은 원기둥형태를 가지되 상기 걸림부분(21)의 내부에 삽입되는 기둥부(31)와, 상기 기둥부(3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체결부분(22)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둥부(31)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대경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분리부재(30)의 기둥부(31) 단부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면(31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분리부재(30)의 단부는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분리부재(30)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이 반원형일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수단(40)은, 상기 분리부재(30)의 단부가 제1몸체부(20)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1위치와, 상기 분리부재(30)의 단부가 상기 제1몸체부(20)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부재(30)를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위치이동수단(40)은, 상기 제1몸체부(20)의 체결부분(22)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41)와, 상기 삽입부(4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체결부분(22)의 외부에 배치되는 파지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41)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부분(22)의 내주면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체결부분(22)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분리부재(30)의 단부가 대략 원형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제1몸체부(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치과용 결합물의 중심부를 밀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을 벗어나 편측으로 치과용 결합물을 밀게 되어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반원형의 단면을 가진 분리부재(30)의 단부가 제1몸체부(20)의 단부에 결합된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하면서 상기 치과용 결합물을 분리해냄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10')는, 치과용 피결합물과,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치과용 결합물을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몸체부(20'), 분리부재(30'), 위치이동수단(40') 및 하우징(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부(20')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20a')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리부재(30')는, 상기 제1연통공(20a') 내에서 상기 제1연통공(20a')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단부가 상기 제1연통공(20a')을 통과하여 제1몸체부(20')로부터 출몰되고, 상기 제1몸체부(2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하면서 치과용 결합물을 상기 제1몸체부(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연통공(20a') 내에 삽입되는 기둥부(31')와, 상기 기둥부(3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몸체부(20)의 외측에 배치되는 대경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이동수단(40')은, 분리부재(30')의 단부가 제1몸체부(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1위치와, 상기 분리부재(30')의 단부가 상기 제1몸체부(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부재(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분리부재(30')의 단부가 제1몸체부(20')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그 이동부재의 단부를 제1몸체부(20')의 내부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위치이동수단(40')은, 상기 기둥부(31')에 끼워지되 일단은 상기 제1몸체부(20')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대경부(32')에 접촉되어 상기 제1몸체부(20')와 대경부(32') 사이에서 압축과 신장을 반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위치이동수단(40')은 압축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외력에 의하여 상기 대경부(32')를 상기 제1몸체부(20') 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탄성에너지를 흡수하고 대경부(32')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이 탄성복원되면서 상기 대경부(32')와 제1몸체부(20')를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서 분리부재(30')의 단부로서 치과용 결합물에 접촉하는 단부가 상기 제1몸체부(2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제1몸체부(20')의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50')은, 일측은 상기 제1몸체부(20')와 결합되고 타측에는 분리부재(30')를 연통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분리부재(30') 및 위치이동수단(40')이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50')은 전체적으로 통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는, 별도의 체결 및 분리작업 내지 회전동작이 없이도 용이하게 분리부재(30')의 출몰이 가능하며 시술이 간편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부재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10'')는, 치과용 피결합물과,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치과용 결합물을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10'')는, 제1부재(30'')를 손잡이부재(20'')로부터 제거한 후에 상기 제1부재(30'')를 임플란트용 픽스쳐에 결합된 어버트먼트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10'')는, 손잡이부재(20''), 제1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재(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2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에 삽입용 홈(2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삽입용 홈(22'')은 원형단면을 가진 제1홈(221'')과, 상기 제1홈(222'')으로부터 연장되며 내주면에 다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2홈(2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부재(30'')는,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부재(20'')의 삽입용 홈(2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31'')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에 장착되는 장착부(32'')가 마련된다. 상기 제1부재(30'')의 결합부(31'')에는 상기 제1부재(30'')가 상기 손잡이부재(20'')의 삽입용 홈(22'') 내에 삽입될 때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삽입용 홈(22'')의 내주면에 억지끼움되어 제1부재(30'')가 상기 삽입용 홈(22'')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는 결합 유지부재(4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유지부재(40'')는, 상기 제1부재(30'')의 결합부(31'')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금속링 또는 고무링일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유지부재(40'')는 상기 삽입용 홈(22'') 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압축 변형되면서 상기 제1부재(30'')가 상기 손잡이부재(20'')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와는 달리 결합유지부재는 자력에 의하여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자성체일 수 있다. 즉, 자석과 같은 자성체가 제1부재에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손잡이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부재에는 다각기둥 형태의 회전방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용 홈에서 상기 제2홈에는 회전방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회전방지면이 마련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는 별도의 나사결합이 없이 단순하게 제1부재를 상기 손잡이부재에 삽입하는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어서 전체적으로 시술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체결 및 분리기구 20...제1몸체부
21...걸림부분 22...체결부분
30...분리부재 31...기둥부분
311...절개면 32...대경부
40...위치이동수단 41...삽입부
42...파지부
21...걸림부분 22...체결부분
30...분리부재 31...기둥부분
311...절개면 32...대경부
40...위치이동수단 41...삽입부
42...파지부
Claims (9)
- 치과용 피결합물과,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치과용 결합물을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기 위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몸체부;
상기 제1연통공 내에서 상기 제1연통공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단부가 상기 제1연통공을 통과하여 제1몸체부로부터 출몰되고, 상기 제1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하면서 치과용 결합물을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부재; 및
상기 분리부재의 단부가 제1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1위치와, 상기 분리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될 수 있는 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하는 분리부재의 단부는 분리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이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 치과용 피결합물과, 상기 치과용 피결합물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치과용 결합물을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기 위한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몸체부;
상기 제1연통공 내에서 상기 제1연통공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단부가 상기 제1연통공을 통과하여 제1몸체부로부터 출몰되고, 상기 제1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치과용 결합물과 접촉하면서 치과용 결합물을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부재; 및
상기 분리부재의 단부가 제1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1위치와, 상기 분리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이동수단은, 분리부재의 단부가 제1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그 이동부재의 단부를 제1몸체부의 내부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바이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수단은, 압축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41588A KR101496154B1 (ko) | 2013-11-20 | 2013-11-20 |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41588A KR101496154B1 (ko) | 2013-11-20 | 2013-11-20 |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6154B1 true KR101496154B1 (ko) | 2015-02-26 |
Family
ID=5259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41588A KR101496154B1 (ko) | 2013-11-20 | 2013-11-20 |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615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0205U (ko) * | 2019-07-17 | 2021-01-27 | 주식회사세움메디 | 치과용 어테치먼트 체결 및 분리기구 |
WO2022097127A1 (en) * | 2021-12-20 | 2022-05-12 | Ghasemizadeh Tamar Faezeh | Magnetic device for dental implant surgery |
KR20230041563A (ko) * | 2021-09-17 | 2023-03-24 | 주식회사 플라즈맵 | 임플란트 파지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17249A (ja) * | 1994-03-15 | 1996-05-14 | Hartmut Stemmann | インサートのインプラント締着装置 |
KR20000021044U (ko) * | 1999-05-19 | 2000-12-15 | 장경삼 |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
KR20090042616A (ko) * | 2007-10-26 | 2009-04-30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어버트먼트 체결장치 |
-
2013
- 2013-11-20 KR KR20130141588A patent/KR1014961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17249A (ja) * | 1994-03-15 | 1996-05-14 | Hartmut Stemmann | インサートのインプラント締着装置 |
KR20000021044U (ko) * | 1999-05-19 | 2000-12-15 | 장경삼 |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
KR20090042616A (ko) * | 2007-10-26 | 2009-04-30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어버트먼트 체결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0205U (ko) * | 2019-07-17 | 2021-01-27 | 주식회사세움메디 | 치과용 어테치먼트 체결 및 분리기구 |
KR200493772Y1 (ko) | 2019-07-17 | 2021-06-03 | 주식회사세움메디 | 치과용 어테치먼트 체결 및 분리기구 |
KR20230041563A (ko) * | 2021-09-17 | 2023-03-24 | 주식회사 플라즈맵 | 임플란트 파지 장치 |
KR102682088B1 (ko) | 2021-09-17 | 2024-07-08 | 주식회사 플라즈맵 | 임플란트 파지 장치 |
WO2022097127A1 (en) * | 2021-12-20 | 2022-05-12 | Ghasemizadeh Tamar Faezeh | Magnetic device for dental implant surger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15658B2 (en) | Ultrasonic treatment apparatus, method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ultrasonic treatment apparatus, and ultrasonic treatment system | |
JP5145113B2 (ja) | 内視鏡用処置具の操作部 | |
US10039549B2 (en) | Loading unit retention clip for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 |
US10667584B2 (en) | Wearable device and main body of wearable device | |
CN110234263B (zh) | 用于内窥镜的手柄 | |
KR101496154B1 (ko) |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 |
KR20080023175A (ko) | 액세서리 및 액세서리 부착 장치 | |
WO2005013825A1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blood sampling devices | |
CA2689768C (en) | Plug and connecting structure for endoscope provided therewith | |
JP4648365B2 (ja) | 内視鏡処置システム | |
KR100814314B1 (ko) |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기능 유닛의 연결장치 | |
KR20170019221A (ko) | 무영등 손잡이의 탈부착 장치 | |
WO2020136906A1 (ja) | 結紮装置および係合方法 | |
JP5246394B2 (ja) | クリップ、クリップユニット及びクリップ装置 | |
JP2012235986A (ja) | 歯科用ハンドピース | |
JP2005323700A (ja) | 骨弁固定ねじ用工具およびその工具付き骨弁固定ねじ | |
JP2007075405A (ja) | 内視鏡の処置具固定機構 | |
JP2018198740A (ja) | アダプター | |
JP4297454B2 (ja) | 内視鏡用穿刺具 | |
US20040267244A1 (en) | Medical instrument handle | |
JP3544204B1 (ja) | 光コネクタの雌プラグ | |
JP2005509486A (ja) | デンタルフロス器具 | |
CN109561914B (zh) | 医疗装置柄部锁 | |
RU2302941C2 (ru) | Ручка для инструмента | |
JP2008194822A (ja) | 遠隔操作用ヤットコに用いるアダプ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