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314B1 -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기능 유닛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기능 유닛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314B1
KR100814314B1 KR1020037016438A KR20037016438A KR100814314B1 KR 100814314 B1 KR100814314 B1 KR 100814314B1 KR 1020037016438 A KR1020037016438 A KR 1020037016438A KR 20037016438 A KR20037016438 A KR 20037016438A KR 100814314 B1 KR100814314 B1 KR 100814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unctional unit
rod
connecting membe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1893A (ko
Inventor
아팅어위르크
마아크베르너
에글리로렌쯔
Original Assignee
알콘 그리스하버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콘 그리스하버 아게 filed Critical 알콘 그리스하버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10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1Sci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61B2017/0046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for use with different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61B2017/2913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cams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61B2017/2913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cams or guiding means
    • A61B2017/2917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cams or guiding means with flexible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61B2017/2918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flexible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61B2017/2919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details of linkages or pivot points
    • A61B2017/29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details of linkages or pivot points connection of actuating rod to handle, e.g. ball end in re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1Details of heads or jaws with releasabl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 A61B2017/305Tweezer like handles with tubular extensions, inner slidable actuating members and distal tools, e.g. microsurg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과의 기능 유닛(50)을 하우징(10), 바람직하게 손잡이의 형태를 갖는 하우징(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하우징(10)상에 배치되는 연결 부재(25), 및 장비(80)를 갖는 기능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성형 원통형 어댑터(30)를 포함한다. 개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10)은 제 1 모듈 유닛을 형성하고, 장비(80)를 포함하는 기능 유닛은 제 2 모듈 유닛을 형성한다. 2개의 모듈 유닛은 대응 형상의 수단에 의해 명확하게 잠금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제 1 모듈 유닛내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된 로드(12)는 제 2 모듈 유닛내에 배치된 슬라이딩 핀(60)에 장비(80)를 작동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기능 유닛의 연결 장치{DEVICE FOR CONNECTING A FUNCTIONAL UNIT WHICH CAN BE DETACHABLY ARRANGED ON A HOUSING}
본 출원은 35 U.S.C 119(a)-(d)에 따라서 2002년 4월 16일에 출원된 스위스 특허출원 제 2002 0634/02 호 및 2002년 12월 2일에 출원된 제 2002 2031/02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출원은 본원에 참고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과 수술에 사용되는 도구에 관한 것이고, 특히 안과 수술용의 수술 장비를 갖는 기능 유닛을 수동 수단 또는 전동 수단에 의해 하우징에 작동가능하고 제거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도구에 관한 것이다.
안과 수술용으로 적절하게 형성된 도구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공지된 도구는, 핸드 피스로서 형성되고 수동 또는 전동 작동을 위한 구동 요소를 갖는 하우징, 및 수술 장비가 연결되어 있는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데, 이 수술 장비는 상기 기능 유닛의 말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절단 요소, 파지 요소, 또는 조임 요소로서 형성되어 있다.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수술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수술 장비는 기능 유닛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하우징내에 설치된 구동 요소에 의해 작동된다.
종래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는 개선된 수술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수술 장비를 가지며 보조 부착 수단이 없이 하우징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안과 수술용의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수술 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구에 의해, 보조 수단이 없이도 장비의 안전한 취급이 가능해지고, 정확한 이동이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장비의 작용을 위한 운동의 직접 전달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수술 도구는, 하우징, 하우징에 배치된 연결 부재, 및 기능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연결 부재에 배치된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유닛은 연결 부재 또는 기능 유닛에 제공된 홈형 트랙 또는 슬롯형 트랙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또한 이 기능 유닛은, 공통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에 의해 축방향 말단 위치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경우에 로드와 작동적으로 결합하도록 어댑터에 형상 끼워맞춤식으로(form-fit manner) 보유되고, 상기 로드는 연결 부재에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하나 이상의 구동 장치와 결합가능하며 슬라이딩 핀과 작동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 핀은 기능 유닛내에 배치되어 있고 수술 장비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수술 장비가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구의 추가적인 장점 및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하우징에 기능 유닛을 제거가능하게 배치시키기 위한 핸드 피스로서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 도구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기능 유닛을 도시하는 도 1에 따른 수술 도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수술 도구의 전방을 나타낸 도면으로 연결 부재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기능 유닛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기능 유닛이 분리 위치에 있는 수술 도구의 제 2 실시형태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로서, 수술 도구용 연결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연결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분리된 위치로 도시된 기능 유닛을 갖는 도 4에 도시된 수술 도구의 실시형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수술 도구의 연결 부재의 제 2 변형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연결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그 위에 배치된 기능 유닛을 갖는 수술 도구의 제 3 실시형태의 사 시도이다.
도 11은 분리된 위치로 도시된 기능 유닛을 갖는 도 10에 따른 수술 도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수술 도구의 전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연결 부재에 배치된 기능 유닛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2에 따른 수술 도구용 연결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 13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그 위에 배치된 기능 유닛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 도구의 제 4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분리된 위치로 도시된 기능 유닛을 갖는 도 15에 따른 수술 도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선 B-B를 따라 도시한 기능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분리된 위치로 도시된 기능 유닛을 갖는 수술 도구의 제 5 실시형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하우징, 중간 부재, 및 분리된 위치의 기능 유닛을 갖는 수술 도구의 추가적인 실시형태이다.
도 20은 도 19에 따른 수술 도구용 나사체결 중간 부재를 갖는 기능 유닛의 제 1 실시예이다.
도 21은, 기능 유닛을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에 미끄러진 어댑터의 제 2 실시형태이다.
도 22는 조립된 위치의 각각의 성분을 도시하는 도 19에 따른 수술 도구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1 내지 도 22에 도시된 각각의 수술 도구용 연결 부재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내부에 배치된 안내 트랙을 갖는 도 23에 따른 연결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확대 도시된 연결 부재내의 안내 트랙의 전개도이다.
모든 도면에 대해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예시를 위해, 도 1 내지 도 25는 수술 도구의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각각의 수술 도구는 본질적으로, 핸드 피스로서 형성된 하우징(10) 및 기능 유닛(5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 1 로드(12)가 지지되어 있고, 이 제 1 로드는 축방향 이동을 위한 수동 또는 전동 수단과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로드(12)는 기능 유닛(50)내에 배치된 관형 탐침(57)을 제 2 로드(58)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핀(60)과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이 제 2 로드는 탐침(57)내에 동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작동적으로 연결된 잠금 돌기(63)과 함께 제 1 로드(12)를 이동시키는 경우, 기능 유닛(50)내에 배치된 탐침은 동축적으로 배치된 제 2 로드(58)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2 로드(58)에 대한 탐침의 축방향 상대 운동으로 인해, 수술 도구는 제 2 로드의 말단부에 연결된 장비(8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절단 요소, 파지 요소, 또는 조임 요소는 이후로 일반적으로 장비(80)로서 표시된다. 여러 도면에서 부착 위치 또는 분리 위치로 도시되어 있는 기능 유닛(50)은, 도 3에 도시된 기능 유닛(50)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이제 도면, 특히 도 1로 되돌아가면, 수술 도구(75)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구(75)는 안과 수술을 실시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도구는 핸드 피스로서 형성된 하우징(10), 하우징의 선단부에 배치된 연결 부재(25), 및 하우징(1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기능 유닛(50)을 포함한다. 기능 유닛(50)의 선단부에는 중공 바늘로서 형성된 탐침(57)이 부착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제 2 로드(58)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제 2 로드의 말단부에는 장비(80)가 배치되어 있다(도 3). 제 2 로드(58)에 대한 탐침의 축방향 상대 운동으로 인해, 공구(80)가 작동될 수 있다.
도 1의 제 1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9)에는 장비(8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6)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6)의 일단부는 캠(7)을 통해 제 1 로드(12)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제 1 로드 는 화살표(X, X')를 따라 축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구동 장치(6)의 타단부는 라인, 예를 들어 제 1 라인(4, 4')과 캠(5)을 통해 스위치(3)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풋 페달로서 형성될 수 있는 스위치(3)는 제 2 라인(2)을 통해 전원(1)에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0)내에 배치되고 또한 구동 장치(6)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 1 로드(12)는, 공압, 수압 또는 전동 수단을 통해 구동 장치(6)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변형예에서, 구동 장치(6)는 공압 작동용 압력 발생 동력원(1)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변형예에서, 구동 장치는 전기 모터(6)로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작동용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추가적인 변형예에서, 구동 장치는 공압식 구동 장치(6)로서 구성되어 있고 또한 공압 발생용 동력원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다양한 구동 장치는 스위치(3) 및 풋 페달을 통해 바람직하게 작동된다.
도 2에는, 하우징(10), 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연결 부재(25), 및 하우징으로부터 약간 거리를 두고 분리된 기능 유닛(50)을 포함하는 도구(75)의 제 1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도구(75)와 비교하면, 예를 들어 하우징(10)의 내부(9)는 제거가능한 배터리(6')를 수용한다. 배터리(6')는, 화살표(X, X')를 따라 축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한 제 1 로드(12)에 캠(7')을 통해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도구(75)의 선단부의 단면이 확대 도시되어 있고, 하우징(10)의 일부와 기능 유닛(50)이 부분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 어 있다. 동축적으로 지지된 제 1 로드(12)와 함께 연결 부재(25)는 하우징(10)의 내부(9)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25)에는, 안내 슬리브(27)내에서 제 1 로드(12)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관통 보어(26)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부분 나사부(28), 플랜지(29) 및 어댑터(30)가 제공되어 있다. 연결 부재(25)는, 하우징(10)의 선단부에 형성된 내부 나사부(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속으로 나사부(28)에 의해 나사 체결된다. 플랜지(29)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어댑터(30)에는, 기능 유닛(50)에 설치된 잠금 돌기(63)를 수용하고 또한 잠금 돌기과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는 안내 트랙(35)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 돌기(63)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안내 트랙(35)은 아래의 도 23 내지 도 25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3에 단면으로 도시된 기능 유닛(50)은 하우징(51)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에는 손잡이부(53, 5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안내 슬리브(54)도 축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 슬리브(54)에는,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부착된 캡(65)이 바람직하게 제공되어 있다. 하우징(51)에는, 어댑터(30)가 미끄러져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리세스(52), 그 내부에 배치된 시일(62), 및 제 2 리세스(55)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홈(55)에는, 관형 탐침(57) 및 가압 스프링(56)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슬라이딩 핀(60)이 배치되어 있다. 장비(80)(도 1 및 도 2)를 갖는 제 2 로드(58)는 하우징(51)에 부착되어 있고(이와 관련해서는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 슬라이딩 핀(60)은 관형 탐침(57)과 함께 제 2 로드(58)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이에 의해 장비(80)가 작동한다. 가압 스프링(56)의 일단부는 슬라이딩 핀(60)의 견부(61)에 배치되어 있고, 가압 스프링의 타단부는 안내 슬리브(54)의 내벽(54')에 지지되어 있다.
도 4에는, 하우징(10)의 일부, 그에 배치된 연결 부재(25), 및 분리된 위치로 도시된 기능 유닛(50)을 갖는 수동 작동 도구(75)를 포함하는 제 2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도구와 비교하면, 하우징(10)의 선단부에 배치된 연결 부재(25)에는 헤드피스(15)가 제공되어 있다. 헤드피스(15)에는, 하우징(10)의 원주에 위치된 2개 이상의 캐치 부재(8)를 갖는 하우징(1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레버(20)가 헤드피스(15)에 지지되어 링(22) 또는 유사한 부품에 의해 보유되고, 그 레버(20)는 캐치(21)에 의해 제 1 로드(12)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대략적으로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링(22)은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조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캐치(21)를 갖는 2개의 레버(20)는, 제 1 로드(12)상에서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원형 유지 부재(11, 1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레버(20)를 화살표(P)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경우, 제 1 로드(12)는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로드(12)가 축방향 운동을 하면, 기능 유닛(50)이 부착 위치에 있는 경우 제 1 로드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핀(60)과 결합하여, 이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 장비(80)가 작동한다.
도 5 및 도 6에는, 도 4에 따른 연결 부재(25)의 헤드피스(15)의 단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이 헤드피스는 벽(18)을 갖는 지지 피스(14)를 포함하며, 또한 이 지지 피스에는 리세스(16) 및 원형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벽(18) 에는, 축방향 보어(17) 및 안내 트랙(35)을 갖는 원통형 어댑터(30)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 피스(14)에는, 반원형 단면(도 4)을 갖는 링(22)용 원형 리세스(14'), 및 2개 이상, 바람직하게 여러개의 슬롯(19)(도 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여러개의 슬롯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레버(20)(도 4)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동 작동 도구(75)의 또 다른 변형예가, 하우징(10)의 일부, 하우징(10)에 배치된 연결 부재(25), 및 분리된 위치의 기능 유닛(50)을 도시하는 도 4에 따라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도구와 비교하면, 하우징(10)의 선단부에 배치된 연결 부재(25)에는, 헤드 피스(15)의 지지 피스(14)에서 슬롯(19)내에 지지된 단일 레버(20)가 제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우징(10)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캐치 부재(8)에 의해 헤드 피스(15)에 부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레버(20)는, 헤드 피스(15)내에 배치된 핀(24)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또한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원형 유지 피스(11, 11') 사이의 캐치(2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레버(20)를 화살표(P)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경우, 제 1 로드(12)는 화살표(X)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기능 유닛(50)은 슬라이딩 핀(60)(도 3)과 작동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연결 부재(25)용 헤드 피스(15)의 단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헤드 피스(1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헤드 피스(15)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헤드 피스는 안내 트랙(35)이 배치된 원통형 어댑터(30) 및 벽(18)을 갖는 지지 피스(14)를 포함한 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헤드 피스(15)에 대한 변형예와 비교한 본 실시예에서, 헤드 피스(15)에는 도 8 및 도 9에 따라 단지 하나의 슬롯(19), 및 핀(24)을 수용하기 위한 횡방향 보어(23)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로드(12)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레버(20)는 핀(24)에서 선회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는 제 3 실시형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수동 작동 도구(75)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구(75)는 하우징(10), 연결 부재(25), 및 기능 유닛(50)을 포함하고, 이 기능 유닛의 말단부에는 장비(80)가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핸드피스를 형성하고, 또한 이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의 2개의 기다란 하우징 부분(40, 40')으로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고, 이 하우징 부분의 일단부에는 폐쇄 캡(41)이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하우징 부분(40, 40') 사이에는 지지 암(42)이 배치되어 있고, 이 지지 암은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방법으로 하우징 부분(40, 40')과 연결되어 있다. 지지 암(42)에 부착된 연결 부재(25) 및 작동 기구(45)는 2개의 하우징 부분(40, 40') 사이의 선단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기능 유닛(50)이 분리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스프링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2개의 하우징 부분(40, 40')은 자동으로 폐쇄된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도구(75)의 선단부, 및 작동적으로 연결된 작동 기구(45)와 하우징 부분(40, 40')을 갖는 하우징 (10)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에는 지지 암(42)에 배치된 기능 유닛(50)과 연결 부재(25)가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제 1 로드(12)는 밀봉 링(62)에 대해 밀봉식으로 가압된다. 작동 기구(45)는 각각의 하우징 부분(40, 40')의 내부에 배치된 지지체(48, 48')를 포함한다. 각각의 지지체(48, 48')는, 축(43, 43')에 지지된 지지 롤러(44, 44')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25)는, 축방향 관통 보어(26) 및 원통형 어댑터(30)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29)를 갖는 안내 슬리브(27)를 포함한다. 안내 슬리브(27)내에는 제 1 로드(12)가 배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 1 로드의 일단부에는 쐐기형 슬라이딩 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수동 작동에 의해 2개의 하우징 부분(40, 40')을 화살표(P)(도 10) 또는 화살표(P')(도 1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2개의 슬라이딩 롤러(44, 44')는 슬라이딩 부재(46)의 경사 활주 표면(47, 47')을 따라 미끄러진다. 2개의 하우징 부분(40, 40')을 화살표(P')(도 1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로드(12)는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우징 부분을 화살표(P)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로드는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3은, 연결 부재(25)의 선단부에 배치된 지지 암(42)의 단면의 평면도이고, 안내 트랙(35)을 갖는 어댑터(30)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29) 및 안내 슬리브(27)를 도시한다. 슬라이딩 부재(46)가 배치된 제 1 로드(12)는 관통 보어(26)내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이 제 1 로드는 지지 암(42)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리세스(42')내에서 안내된다. 도 14는, 연결 부재(25)의 플랜지(29) 및 리세스(42')의 제어된 안내하에서 로드(12)에 배치된 슬라이딩 부재(46) 및 지지 암(42)의 단면을 도 13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작동 도구(75)의 제 4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이 도구는, 폐쇄 캡(41)을 갖는 하우징(10), 기능 유닛(50)용 연결 부재(25), 및 말단부에 배치된 장비(80)를 포함한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도구(75)의 선단부의 부분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하우징에 배치된 연결 부재(25) 및 연결 부재(25)내에 동축적으로 지지된 제 1 로드(12) 이외에 하우징(1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은 분리된 상태의 기능 유닛(50)의 정면도이다.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능 유닛(50)은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능 유닛(50)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 1 로드(12)를 지지하기 위한 축방향 관통 보어(26)를 갖는 연결 부재(25)는,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수단, 예를 들어 용접 결합의 접착제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부(9)에 부착되어 있다. 연결 부재(25)는, 플랜지(29)를 갖는 안내 슬리브(27), 및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 트랙(35)을 갖는 원통형 어댑터(30)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보어(23)를 각각 갖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2개의 지지 부재(31)는 안내 슬리브(27)의 외경에 원주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2개의 지지 부재(31) 사이에는 캐치(21)를 갖는 레버(20)가 핀(24)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로드(12)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 피스(13)와 캐치(21)가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레버(20)와 캐치(21)에 의해 발생된 제 1 로드(12)의 축방향 이동은, 관통 보어(26)의 내부에 형성된 정지부(26')에 의해 제한된다. 하우징(10)에는, 1개 또는 2개의 지지 부재(31)를 갖는 연결 부재(25)의 삽입을 위한 축방향 슬롯형 리세스(3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7은, 하우징 부분(51)을 갖는 기능 유닛(50)의 단면을 도 16의 선 B-B를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7에는 원형의 링형 부분(53) 및 잠금 돌기(63)가 도시되어 있다. 잠금 돌기(63)의 일단부는 하우징 부분(51)의 내부(52)로 연장하고, 잠금 돌기의 타단부는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링형 부분(53)의 벽에 부착된다.
도 18은, 안내 트랙(35)이 기능 유닛(50)의 하우징 부분(51)의 리세스(52)에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구(75)의 제 5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안내 트랙(35)에는 축방향 홈(36) 및 원주 방향 제 2 홈(37)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내 트랙(35)속으로 삽입되는 잠금 돌기(63)는, 플랜지(29)를 갖는 연결 부재(25)의 원통형 어댑터(30)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도구(75)의 추가적인 실시형태의 분해도이고, 또한 이 도 19는 연결 부재(25) 및 중간 부재(70)를 갖는 하우징(10)을 도시한다. 중간 부재(70)에는, 핸드피스로서 형성된 하우징(10)과 기능 유닛(50)과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외부 나사부(66)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하우징(10)과 유사하게 형성된 2개의 하우징 부분(40, 40')을 포함한다. 2개의 하우징 부분(40, 40') 사이에는, 안내 슬리브(27), 베어링 플랜지(29) 및 원통형 어댑터(30)를 갖는 연결 부재(25)가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기구(45)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로드(12)는, 안내 슬리브(27)내의 보어(26)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25)의 원통형 어댑터(30)에는 안내 트랙(35)이 또한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 트랙은 도 23 내지 도 25에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도 19에는 기능 유닛(50)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이 기능 유닛은 리세스(52)내에 지지된 시일(62) 및 캡(65)을 갖는 하우징 부분(51)을 포함한다. 상술한 기능 유닛(50)의 변형예에 있어서, 도 19에 도시된 기능 유닛(50)내에서, 리세스(52)는 내부 나사부(52')를 갖는다. 나사부(52')를 갖는 리세스(52)는, 중간 부재(7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방향 슬라이딩 핀(60)은 관형 탐침(57)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로드(58)는 관형 탐침(57)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 제 2 로드의 일단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수술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수술 장비의 작동을 위해, 슬라이딩 핀(60)은 제 2 로드(58)에 대해 관형 탐침(57)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도 19는 원통형 슬리브 본체로서 형성된 중간 부재(70)의 단면을 도시하고, 또한 이 중간 부재에는 외부 나사부(66) 및 축방향 관통 보어(67)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부재(70)의 벽(68)에는 돌기(63)가 배치되어 있고, 이 돌기는 관통 보어(67)속으로 부분적으로 연장하며 또한 이 돌기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도 20의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70)는 기능 유닛(50)의 내부 나사부(52')속으로 나사 체결된다. 도구를 하우징(10)에 부착하는 경우, 2개의 부재(50, 70)는 단일체를 형성하는데, 이 단일체는 연결 부재(25)의 원통형 어댑터(30)에 미끄러져 삽입된다. 기능 유닛(5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돌기(63)는 안내 트랙(35)내의 정지부(37')(도 24)쪽으로 가압되고, 또한 이 돌기는, 돌기(63)가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안내 트랙(35)의 리세스(39)(도 25)속으로 잠길 때까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연결 부재(25)에 대해 중간 부재(70)와 함께 회전된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부재(70)는 돌기(63)가 안내 트랙(35)의 정지부(37')에 접할 때까지 연결 부재(25)의 원통형 어댑터(30)상에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삽입되었다. 단부 위치에서, 중간 부재(70)는 돌기(63)가 리세스(39)(도 25)속으로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잠길 때까지 길이방향 축(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으로 연결 부재(25)의 원통형 어댑터(30)에 대해 회전된다. 단부 위치에서, 제 1 하우징(10)에 배치된 연결 부재(25) 및 중간 부재(70)는 단일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부 나사부(52')를 갖는 기능 유닛(50)은 중간 부재(70)에 형성된 외부 나사부(66)에 나사 체결된다.
도 22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조립된 상태의 도구(75)의 부분 단면도이고, 이 도구는,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2개의 하우징 부분(40, 40')을 갖는 부분적으로 도시된 하우징(10), 연결 부재(25), 및 기능 유닛(50)과 나사 체결된 중간 부재(70)를 포함한다. 이 위치에서, 돌기(63)는 연결 부재(25)의 원통형 어댑터(30)에 형성된 안내 트랙(35)과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 1 로드(12)는 수술 장비(80)의 작동을 위한 기능 유닛(50)의 슬라이딩 핀(60)과 연결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어댑터(30)의 정면측(30')은 기능 유닛(50)의 밀봉 링(62)에 대해 밀봉적으로 가압된다.
기능 유닛(50)에 대한 대응적인 원호 각도하에서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하우징(10)의 전방 회전 운동으로 인해(또는 그 반대로), 각각의 구성요소의 형상 끼워맞춤 및 안정한 연결이 실현되고, 그 결과 도면에 도시된 상술한 도구(75)를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다.
하우징(10)내에 배치된 작동 기구(45)에 의해 2개의 하우징 부분(40, 40')에 화살표(P) 방향으로 수동력을 가하는 경우, 슬라이딩 핀(60)과 연결된 제 1 로드(12)는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수술 과정을 위해 기능 유닛(50)에 연결된 장비(80)가 작동한다. 2개의 하우징 부분(40, 40')이 화살표(P')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로드(12)는 화살표(X')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23은, 플랜지(29)를 갖는 연결 부재(25)의 일부, 및 관통 보어(26)와 안내 트랙(35)을 갖는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어댑터(30)의 선단부(30')로부터 시작하면, 안내 트랙(35)에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제 1 홈(36), 및 그 제 1 홈을 대략적으로 가로지르는 원주 방향 제 2 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홈(37)의 단부에는 대략 돌기(63)에 대응하는 형상의 반원형 리세스(39)가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정면도는, 연결 부재(25), 및 안내 트랙(35)을 갖는 원통형 어댑터(30)를 포함한다. 플랜지(29)로부터 시작하고 정면측(30')으로 연장하는 어댑터(30)는, 6 mm의 길이(C), 및 4.5 mm의 외경(D)을 갖는다. 연결 부재(25)내의 축방향 보어(26)는 2.4 mm의 직경(D')을 갖는다. 정면측(30')으로부터 시작하는 제 1 홈(36)은 정지부(37')까지 4.5 mm의 거리(A) 및 1.5 mm의 너비(B)를 갖는다.
도 25는, 정면측(3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시작하는 제 1 홈(36) 및 그 제 1 홈을 대략적으로 가로지르는 제 2 홈(37)을 갖는 안내 트랙(35)을 포함하는 어댑터(30)의 전개도이다. 제 2 홈(37)의 단부에는 잠금 돌기(63)에 대응하는 형상의 반원형 리세스(39)가 있다. 제 1 홈(36)으로부터 제 2 홈(37)까지의 변이부에는 제 2 홈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의 제 1 잠금 캠(38)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홈(37)의 단부에는 볼록한 원호형의 제 2 잠금 캠(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 2 잠금 캠은 리세스(39)와 결합되어 있다.
도 25에는, 안내 트랙(35)속으로의 잠금 돌기(63)의 삽입의 여러 상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1 상 동안에, 잠금 돌기(63)는 제 1 홈(36)을 따라 제 2 홈(37)의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잠금 돌기(63)가 제 2 홈(37)의 내벽(37')을 가압하자 마자,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운동이 실시되고, 이에 의해 잠금 돌기(63)가 제 1 잠금 캠(38)을 경유하여 이동하고, 그 후에 제 2 홈(37)에 도달한다. 그 후에, 잠금 돌기(63)는 내벽(37'), 또는 반대쪽의 경사 내벽(37")을 따라 이동한다. 잠금 돌기(63)가 제 2 잠금 캠(38')을 경유하여 이동하자 마자, 잠금 돌기(63)는 정확하게 형성된 단부 위치에 걸려서 반원형 리세스(39)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이루게 된다. 서로 이격되어 있고 원주 방향으로 위치된 2개의 잠금 캠(38, 38') 사이, 즉, 제 2 홈(37)내에서, 잠금 돌기(63)는 2개의 내벽(37', 37") 사이에서 약간의 간극을 두고 자유롭게 안내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잠금 캠(38)으로부터 시작하여 반원형 리세스(39)의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벽(37")은, 제 1 벽(37')에 대해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연장한다. 어댑터(30)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잠금 캠(38, 38')사이에서, 잠금 돌기 (63) 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벽(37', 37") 사이에서 돌기가 뜻하지 않게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해 약간의 간극을 두고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또한 뜻하지 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2개의 잠금 캠(38, 38') 사이에서 유지된다.
기능 유닛(50)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하우징(10)을 회전시키기 때문에(또는 그 반대로), 형상 끼워맞춤 연결은 분리될 수 있고, 추가적인 수단이 없이 기능 유닛(50)은 축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또한 연결 부재(25)의 원통형 어댑터(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25를 참고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자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형 및 구조적인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질적으로, 하우징(10)은 핸드피스로서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하우징은 축방향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수단 없이 기능 유닛(50)에 대해 약 90°각도로 회전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단부 위치에 위치된다. 단부 위치에서, 수동식 또는 전기식으로 작동된 구동 수단으로 인해, 하우징(10)내에 지지된 제 1 로드(12)는 기능 유닛(50)내에 배치된 슬라이딩 핀(6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도 1, 도 2, 도 10, 도 11, 도 15 및 도 2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유닛(50)의 말단부에 연결된 수술 장비(80)를 작동 시킨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원리를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 선택 및 설명되었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으며, 다양한 변형예를 갖는 다양한 실시형태는 예상되는 특별한 용도에 적합하다.

Claims (26)

  1.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작동가능한 수술 장비를 갖는 기능 유닛을 안과 도구의 하우징에 제거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우징내에 배치된 연결 부재로서, 하우징내에 지지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에 연결된 연결 부재,
    기능 유닛과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연결 부재에 배치된 어댑터, 및
    기능 유닛내에 배치되어 수술 장비에 연결된 슬라이딩 핀을 포함하고,
    기능 유닛과 하우징과의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위해 어댑터 또는 기능 유닛중 하나에는 안내 트랙이 형성되어 있어서, 구동 장치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로드는 슬라이딩 핀과 작동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수술 장비의 작동이 시작되는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트랙은 슬롯형 안내 트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트랙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홈, 및 제 1 홈을 가로질러 연장하며 단부에는 반원형 리세스가 있는 제 2 홈으로 형성되고, 기능 유닛은 안내 트랙내에서 이동하는 잠금 돌기를 가지며, 하우징에 대한 기능 유닛의 회전 운동후에 잠금 돌기는 반원형 리세스에 잠기고, 이에 의해 기능 유닛은 하우징에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홈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내벽을 포함하고, 정면측에 면하는 제 1 내벽은, 서로 이격되며 제 2 내벽 방향으로 면하는 원호 형상의 굴곡된 2개의 잠금 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벽에 면하는 제 2 벽에 대한 제 1 내벽은 반원형 리세스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제 1 홈으로부터 시작하는 제 2 홈은 상기 리세스 방향으로 가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잠금 돌기가 안내 트랙내에서 리세스의 방향으로 안내되어 제 2 잠금 캠에 의해 보유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홈은 잠금 돌기의 간극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정면측으로부터 시작하며 연결 부재에 배치된 어댑터는 원통 형상을 갖고, 6 mm의 길이 및 4.5 mm의 외경을 가지며, 정면측으로부터 시작하는 제 1 홈은 4.5 mm의 길이를 갖고, 제 2 홈은 제 1 홈에 대해 75°내지 120°의 원호 각도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홈은 제 1 홈에 대해 90°의 원호 각도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 안내 트랙은 기능 유닛의 리세스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어댑터에서 개별적으로 형상 끼워맞춤 또는 분리를 위한 단부 위치 또는 반대 위치로의 연결 부재의 어댑터로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결합시에, 제 1 로드는 기능성 유닛내에 배치된 슬라이딩 핀 및 제 2 로드와 동시에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수술 장비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 유닛을 나사체결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중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또한 어댑터에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하기 위해 중간 부재가 하우징의 연결 부재에 대해 단부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어댑터내의 안내 트랙에 삽입되어 잠금 결합되기 위해 중간 부재에 배치된 잠금 돌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내에 배치된 구동 장치는, 제 1 로드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수술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기적, 수압적, 또는 공압적 수단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 결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내에 배치된 구동 장치는 하우징내에 배치된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어댑터에 연결된 헤드 피스, 및 헤드 피스에 지지된 하나 이상의 수동 작동 레버를 포함하고, 이 수동 작동 레버는 캐치를 포함하는데, 이 캐치에 의해 헤드 피스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로드와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헤드 피스에는 원주 방향 배치로 슬롯형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리세스는 2개 이상의 레버가 제공되는 경우에 레버를 지지하며, 서로 분리된 2개의 유지 피스 사이에 보유된 캐치와 함께 배치된 각각의 레버는 제 1 로드와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부에서 서로 연결되고 타단부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2개의 기다란 하우징 부분으로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하우징은 그 사이에 배치된 지지 암을 포함하고, 이 지지 암은 말단부에 배치된 연결 부재 및 제 1 로드를 가지며, 이 제 1 로드는 하우징내에 동축적으로 지지되고 또한 구동 기구에 연결되고, 2개의 하우징 부분이 함께 수동적으로 가압되는 경우, 축방향으로 이동가 능한 제 1 로드는 어댑터에 배치된 기능 유닛에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 수술 장비와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에 지지된 제 1 로드는 하우징에 지지된 롤러와 결합하기 위한 쐐기형 슬라이딩 부재를 갖고, 2개의 하우징 부분은 함께 가압될 때 제 1 로드를 축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 1 로드가 슬라이딩 핀과 결합되고, 제 2 로드는 어댑터에 배치된 기능 유닛에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 수술 장비와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암은, 고정된 회전 결합을 위해 쐐기형 슬라이딩 부재가 축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는 길이방향 리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하우징내에 배치된 안내 슬리브, 슬리브에 지지된 레버, 및 기능 유닛과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하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캐치를 갖고, 이 캐치는 슬라이딩 핀과 결합하는 축방향 미끄러짐 제 1 로드와 작동적으로 결합하며, 상기 슬라이딩 핀은 어댑터에 배치된 기능 유닛에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 수술 장비와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슬리브에는 정지부에서 종료되는 축방향 보어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로드는 레버의 캐치와 결합하는 헤드 피스를 포함하고, 레버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헤드 피스는 정지부상에 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전동 구동 장치, 수압 구동 장치, 및 공압 구동 장치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종류의 구동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은 제 1 서브어셈블리이고, 수술 장비를 갖는 기능 유닛은 제 2 서브어셈블리이며, 2개의 서브어셈블리는 서로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 및 제 1 로드와 슬라이딩 핀과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위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에 의해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구동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를 수용하는 제 1 서브어셈블리이고, 수술 장비를 갖는 기능 유닛은 제 2 서브어셈블리이며, 상기 2개의 서브어셈블리는 서로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 및 제 1 로드와 슬라이딩 핀과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위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에 의해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로드와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하우징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 우징은 제 1 서브어셈블리이고, 수술 장비를 갖는 기능 유닛은 제 2 서브어셈블리이며, 상기 2개의 서브어셈블리는 서로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 및 제 1 로드와 슬라이딩 핀과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위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에 의해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원통형 핸드피스를 형성하고 또한 반원 형상의 2개의 기다란 하우징 부분으로 길이방향으로 분리되고 연결 부재가 제공된 하우징은 제 1 서브어셈블리이고, 수술 장비를 갖는 기능 유닛은 제 2 서브어셈블리이며, 상기 2개의 서브어셈블리는 서로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 및 제 1 로드와 슬라이딩 핀과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위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에 의해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은 제 1 서브어셈블리이고, 수술 장비를 갖고 중간 부재에 나사체결식으로 연결되는 기능 유닛은 제 2 서브어셈블리이며, 상기 2개의 서브어셈블리는 서로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 및 제 1 로드와 슬라이딩 핀과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위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에 의해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 및 연결 부재와 형상 끼워맞춤 결합을 위해 외부 나사부를 갖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은 제 1 서브어셈블리이고, 중간 부재에 나사체결식으로 연결된 내부 나사부 및 수술 장비를 갖는 기능 유닛은 제 2 서브어셈블리이며, 상기 2개의 서브어셈블리는 서로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 및 제 1 로드와 슬라이딩 핀과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위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에 의해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 나사부를 갖는 기능 유닛은 제 1 서브어셈블리이고, 연결 부재, 및 연결 부재와 형상 끼워맞춤 나사 연결을 위해 외부 나사부를 갖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은 제 2 서브어셈블리이며, 상기 2개의 서브어셈블리는 서로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 및 제 1 로드와 슬라이딩 핀과의 형상 끼워맞춤 연결을 위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에 의해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KR1020037016438A 2002-04-16 2003-04-10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기능 유닛의 연결장치 KR100814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6342002 2002-04-16
CH634/02 2002-04-16
CH2031/02 2002-12-02
CH20312002 2002-12-02
PCT/CH2003/000234 WO2003086210A1 (de) 2002-04-16 2003-04-10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lösbar an einem gehäuse angeorneten funktions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893A KR20040101893A (ko) 2004-12-03
KR100814314B1 true KR100814314B1 (ko) 2008-03-18

Family

ID=2879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438A KR100814314B1 (ko) 2002-04-16 2003-04-10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기능 유닛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30195539A1 (ko)
EP (1) EP1404238B1 (ko)
JP (1) JP4295628B2 (ko)
KR (1) KR100814314B1 (ko)
AT (1) ATE361706T1 (ko)
AU (1) AU2003213966B2 (ko)
CA (1) CA2453313A1 (ko)
DE (1) DE50307222D1 (ko)
DK (1) DK1404238T3 (ko)
ES (1) ES2286411T3 (ko)
NZ (1) NZ529994A (ko)
WO (1) WO2003086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6662B2 (ja) * 2004-09-27 2011-10-05 スーチュ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縫合装置用ハンドル
AU2006262498B2 (en) 2005-06-20 2011-11-03 Nobles Medic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knot to a suture
US8038692B2 (en) * 2006-10-31 2011-10-18 Novartis Ag Modular design for ophthalmic surgical probe
US8246636B2 (en) 2007-03-29 2012-08-21 Nobles Medical Technologies, Inc. Suturing devices and methods for closing a patent foramen ovale
US20090182315A1 (en) * 2007-12-07 2009-07-16 Ceramoptec Industries Inc. Laser liposuction system and method
US8197501B2 (en) 2008-03-20 2012-06-12 Medtronic Xomed, Inc. Control for a powered surgical instrument
WO2009137766A1 (en) 2008-05-09 2009-11-12 Sutura, Inc. Suturing devices and methods for suturing an anatomic valve
RU2596718C2 (ru) * 2011-02-15 2016-09-10 Смит Энд Нефью,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ртроскопической резекции
US8777931B2 (en) 2011-08-19 2014-07-15 Alcon Research, Ltd. Retractable luer lock fittings
US9113901B2 (en) 2012-05-14 2015-08-25 Covidien Lp Modular surgical instrument with contained electrical or mechanical systems
WO2015085145A1 (en) 2013-12-06 2015-06-11 Med-Venture Investments, Llc Sutur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10178993B2 (en) 2014-07-11 2019-01-15 Cardio Medical Solutions, Inc.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end-to-side anastomosis
EP4115818A3 (en) 2017-06-19 2023-04-05 Heartstitch, Inc. Suturing systems and methods for suturing body tissue
JP7430726B2 (ja) 2018-12-12 2024-02-13 アルコン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作動ハンドル
WO2020223579A1 (en) * 2019-05-01 2020-11-05 Cha Bibianna Inline cutter for cutting and retrieving implanted microsurgical devices
US11540941B2 (en) 2019-12-11 2023-01-03 Alcon Inc. Adjustable support sleeve for surgical instru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0546A1 (de) * 1994-11-12 1996-05-15 Mahog Ag Operationsinstrument
US20010056286A1 (en) * 2000-10-19 2001-12-27 Heinz Etter Surgical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8716A (en) * 1978-02-06 1981-03-31 The University Of Melbourne Microsurgical instruments
US4877026A (en) * 1988-07-22 1989-10-31 Microline Inc. Surgical apparatus
US5290302A (en) * 1989-04-07 1994-03-01 The University Of Melbourne Surgical instrument
US5275607A (en) * 1991-09-23 1994-01-04 Visionary Medical, Inc. Intraocular surgical scissors
US5263958A (en) * 1992-04-08 1993-11-23 Microline Inc. Microsurgical instrument
US5431671A (en) * 1993-05-28 1995-07-11 Nallakrishnan; Ravi Surgical knife with retractable and angularly adjustable blade
US5443476A (en) * 1993-11-12 1995-08-22 Shapiro; Henry Microsurgical scissor apparatus with rotary cutting blade
DE4431561C2 (de) * 1994-09-05 1997-11-06 Univ Ludwigs Albert Medizinisches Handhabungsgerät
EP0705571A1 (en) * 1994-10-07 1996-04-10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elf-contained powered surgical apparatus
US5562693A (en) * 1995-08-11 1996-10-08 Alcon Laboratories, Inc. Cutting blade assembly for a surgical scissors
AU7518096A (en) * 1995-10-23 1997-05-15 Johns Hopkins University, The Surgical instrument
US5634819A (en) * 1996-01-16 1997-06-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DE19851268C1 (de) * 1998-11-06 1999-08-26 Wolf Gmbh Richard Einrichtung zur lösbaren Verbindung zweier zusammensteckbarer Bauteile, insbesondere zur Verbindung von Bauteilen medizinischer Geräte, Apparate und Instrumente
US6478681B1 (en) * 2000-11-27 2002-11-12 Duke University Magnetic couplings for imparting simultaneous rotary and longitudinal oscillations
US6517560B1 (en) * 2000-11-27 2003-02-11 Duke University Hand-held surgical instruments employing magnetic couplings for simultaneous rotary and longitudinal oscillations of distal workpieces
US6482198B2 (en) * 2001-04-19 2002-11-19 Duke University Hand-held surgical instruments with omni-circumferential actuation capabilit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0546A1 (de) * 1994-11-12 1996-05-15 Mahog Ag Operationsinstrument
US20010056286A1 (en) * 2000-10-19 2001-12-27 Heinz Etter Surgical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307222D1 (de) 2007-06-21
US20030195539A1 (en) 2003-10-16
ES2286411T3 (es) 2007-12-01
JP2005522261A (ja) 2005-07-28
EP1404238B1 (de) 2007-05-09
EP1404238A1 (de) 2004-04-07
JP4295628B2 (ja) 2009-07-15
NZ529994A (en) 2006-06-30
CA2453313A1 (en) 2003-10-23
KR20040101893A (ko) 2004-12-03
ATE361706T1 (de) 2007-06-15
WO2003086210A1 (de) 2003-10-23
AU2003213966B2 (en) 2008-08-14
AU2003213966A1 (en) 2003-10-27
DK1404238T3 (da) 2007-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314B1 (ko)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기능 유닛의 연결장치
US6189422B1 (en) Screwdriver
US7264625B1 (en) Surgical clip applier with remote operation
US6916314B2 (en) Medical instrument with removable tool
US5893874A (en) Surgical instrument
US6187026B1 (en) Surgical instruments
JP2003144480A (ja) 眼の中にレンズを挿入するための装置
US6261294B1 (en) Medical sliding-shaft instrument
US10206744B2 (en) Waveguide locks and counterbalances for waveguide conduits
JP2016083353A (ja) リポーザブルマルチプラットフォーム内視鏡外科手術用クリップアプライア
EP0618784A1 (en) Surgical instrument
CN110638505A (zh) 套管针保持器
WO201206445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suture thread
US10179007B2 (en) Reinforcing slider for surgical hand tool
JP4195303B2 (ja) 全周駆動能力を有する手持ち型外科用器具
US10251632B2 (en) Surgical instrument, handle, operating method, and method for dismantling same
US6102910A (en) Medical instrument
ZA200309233B (en) Device for connecting a functional unit which can be detachably arranged on a housing.
RU2108752C1 (ru) Гибкий 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JP2827778B2 (ja) 内視鏡
EP3518723B1 (en) A set comprising an endoscope and a work tool unit
EP2967753B1 (en) Waveguide locks and counterbalances for waveguide conduits
JP2000166935A (ja) 手術器具
RU20015U1 (ru) Угловой инструмент с гибким исполнительным органом
JPH0628082Y2 (ja) 内視鏡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