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102A -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102A
KR20200020102A KR1020180095403A KR20180095403A KR20200020102A KR 20200020102 A KR20200020102 A KR 20200020102A KR 1020180095403 A KR1020180095403 A KR 1020180095403A KR 20180095403 A KR20180095403 A KR 20180095403A KR 20200020102 A KR20200020102 A KR 20200020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ead
fastening screw
fixture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4777B1 (ko
Inventor
이호규
Original Assignee
이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규 filed Critical 이호규
Priority to KR1020180095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7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스츄어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스크류체를 이용하지 않으며, 간단하게 시술이 가능하면서도, 치조골의 광범위한 제거가 필요하지 않은 간편한 픽스츄어 리무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중심축, 드릴관 및 드릴관 하측에 형성된 채취톱니를 갖는 트레파인 드릴 및 트레파인 드릴을 구동하는 모터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에 있어서, 트레파인 드릴관의 내측 중앙부에 드릴관 상측면에 대해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신축 가이드부를 형성하며, 신축 가이드부의 하측에는 픽스츄어의 상부 형상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IMPLANT TREATMENT APPARATUS AND IMPLANT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체결을 위한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러한 임플란트 체결 장치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체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플란트 시술시에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기 위하여 체결나사를 고정하는 체결나사 홀더를 이용한 임플란트 체결 장치와 이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체결 고정하고자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통상적으로 티타늄 재질의 인공 치근인 픽스츄어를 식립하여 일정 기간 동안 뼈와 유착되도록 한 후,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연결장치인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키고, 어버트먼트 상부에 가공 치아인 크라운을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경우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체결나사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로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용 드라이버를 사용한다.
종래 치과에서 사용되는 임플란트용 드라이버는,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임플란트용 나사 드라이버를 직접 파지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가락을 환자의 구강 내에 넣고 조작하여야 하는 것으로, 작업자와 환자 모두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구강 내에 시술시 발생하는 이물질에 의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선행기술 1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378849호(2014. 4. 4. 공고)에는,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를 연결하는 연결나사를 체결하기 위한 작업부, 상기 작업부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작업부는 연결나사의 머리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다각형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거리를 두고 오목하게 파인 파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연결나사용 드라이버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선행기술 2로서, 등록특허공보 제919250호(2009. 9. 30. 공고)에는, 회전형 그립부와, 일단이 그립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체결공을 갖는 체결 헤드부에 연결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 내에 일단이 상기 그립부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 헤드부측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부의 회전을 상기 헤드부로 전달하는 하는 플렉시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관은 직선부 및 직선부와 곡선부의 조합형 중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통관의 직선부 내에서 상기 플렉시블 샤프트에 고정되고 그 플렉시블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그립부와 상기 체결 헤드부에 각각 고정되는 직선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렌치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선행기술들에 따르면, 드라이버에 의해 직접적으로 체결나사를 체결하는 경우에 구강 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 환경이 좋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드라이버에 의해 직접적으로 체결나사를 체결하는 경우에 강한 힘이 작용하게 되어 가느다란 체결나사의 체결홈이 마모되거나, 체결나사의 방향이 정확하게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체결나사 자체가 파절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 등록특허공보 제1378849호 : 등록특허공보 제9192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체결나사의 경우 나사부가 2mm 전후의 매우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이와 같은 임플란트 체결나사를 체결하는 경우에 체결나사의 손상을 방지하며, 작업자 및 환자가 편안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체결나사 홀더를 사용하여, 체결나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태엽 드라이버 또는 플레시블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쉽게 임플란트를 체결하고자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1] 외주면상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도 일정깊이로 나사부가 형성되어 치조골에 식립 고정되는 픽스츄어(100)와, 상기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삽입되는 어버트먼트(200)와, 상기 픽스츄어(100)에 어버트먼트(2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나사(300)와, 상기 체결나사(300)를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드라이버(500, 600)와, 상기 체결나사(300)를 드라이버(500, 600)로 체결하는 동안 체결나사(30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나사 홀더(400)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체결 장치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는, 상기 픽스츄어(100)에 삽입 고정된 어버트먼트(2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 가장자리를 고정 유지시키는 원통부(410)와, 상기 원통부(410)의 상부에 헤드부(4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체결장치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헤드부(420)는, 중앙부에 상기 원통부(410)가 상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며, 중앙부 외측은 치료 대상 치아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 상기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태엽 드라이버(500)이며, 상기 태엽 드라이버(500)는 헤드부(550), 본체(520) 및 그립부(5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550)는,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에 삽입되고, 적어도 상기 원통부(410)와 같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헤드부(550)의 헤드(551)는, 어버트먼트(200)의 내면에 삽입되어 있는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의 헤드(321)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520)는, 태엽장치를 내장하면서 헤드부(550)와 그립부(510)를 이어주며, 상기 그립부(510)는, 상기 체결나사(300)의 나선수에 맞추어 토오크를 계산하여 태엽을 감아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5] 상기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이며, 상기 플렉시블 드라이버(600)는 헤드부(650), 샤프트(620) 및 그립부(6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650)는,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에 삽입되고, 적어도 상기 원통부(410)와 같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헤드부(650)의 헤드(651)는, 어버트먼트(200)의 내면에 삽입되어 있는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의 헤드(321)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620)는, 일측 단부가 헤드부(65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그립부(610)와 연결되며, 상기 그립부(610)는 작업자(시술자)가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샤프트(620) 및 헤드부(650)를 회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로 하는 임플란트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상기 샤프트(620)는 체인으로 이루어진 체인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7] 외주면상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도 일정깊이로 나사부가 형성된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식립 고정하며, 상기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어버트먼트(200)를 삽입 고정하며,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체결나사(300)를 삽입하여 픽스츄어(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나사(300)를 체결하여 임플란트를 체결하는 임플란트 체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체결나사(300)를 삽입하고(S 1), 하부에 원통부(410)가 형성되고 상부에 헤드부(420)가 형성된 체결나사 홀더(400)를 상기 어버트먼트(200)에 삽입하여,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를 원통부(410)의 하면이 고정하며(S 2), 상기 체결나사(300)의 나선수에 맞추어 태엽 드라이버(500)의 태엽을 감아놓고(S 3), 상기 태엽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50)를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에 삽입하여, 상기 헤드부(550)의 헤드(551)와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에 형성된 헤드(321)를 맞물리게 하고(S 4), 상기 태엽 드라이버(500)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태엽 드라이버(500)가 체결나사(300)를 회전시켜(S 5), 체결나사(300)가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는 임플란트 체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8] 외주면상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도 일정깊이로 나사부가 형성된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식립 고정하며, 상기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어버트먼트(200)를 삽입 고정하며,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체결나사(300)를 삽입하여 픽스츄어(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나사(300)를 체결하여 임플란트를 체결하는 임플란트 체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체결나사(300)를 삽입하고(S 1'), 하부에 원통부(410)가 형성되고 상부에 헤드부(420)가 형성된 체결나사 홀더(400)를 상기 어버트먼트(200)에 삽입하여,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를 원통부(410)의 하면이 고정하며(S 2'), 플레시블 드라이버(600)의 헤드부(650)를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에 삽입하여, 상기 헤드부(650)의 헤드(651)와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에 형성된 헤드(321)를 맞물리게 하고(S 3'), 상기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헤드부(650)에 연결되는 샤프트(620)와, 상기 샤프트(620)에 연결되는 그립부(610)를 회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플렉시블 드라이버(600)가 체결나사(300)를 회전시켜(S 4'), 체결나사(300)가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는 임플란트 체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9] 상기 [8]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상기 샤프트(620)는, 체인으로 이루어진 체인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체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경우에 체결나사의 손상을 방지하며, 작업자 및 환자가 편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나사 홀더와, 태엽 드라이버 또는 플렉시블 드러이버를 사용하여 체결나사를 손상시키지 않고 임플란트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엽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태엽 스프링의 복원력만으로 임플란트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 드라이버의 샤프트를 체인 샤프트로 하는 것에 의하여, 체인의 작은 피치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므로, 드라이버 조작이 편리해진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특허문헌 1의 대표 도면.
도 2는 특허문헌 2의 대표 도면.
도 3은 임플란트 체결 구성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체결나사 홀더를 포함하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태엽 드라이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드라이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태엽 드라이버로 체결나사를 체결하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드라이버로 체결나사를 체결하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흐름도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체결을 위한 체결나사 홀더를 갖는 임플란트 체결 장치와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 4 내지 도 8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외주면상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도 일정깊이로 나사부가 형성되어 치조골에 식립 고정되는 픽스츄어(100)와, 상기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삽입되는 어버트먼트(200)와, 상기 픽스츄어(100)에 어버트먼트(2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나사(300)와, 상기 체결나사(300)를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드라이버(500, 600)와, 상기 체결나사(300)를 드라이버(500, 600)로 체결하는 동안 체결나사(30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나사 홀더(400)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체결 장치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체결나사(300)는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체결나사(300)의 나사부(310) 및 헤드부(320)는 본 발명에서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체결나사(300)는 나사부(310)의 직경이 통상적으로 2mm 내외이며, 헤드부(320)의 직경은 3mm 내외로 매우 작은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의 헤드(321)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태엽 드라이버(500) 또는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헤드부(550, 650)의 헤드(551, 651)와 결합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6각 또는 8각 등 다각형의 홈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상기와 같은 다각형의 홈이 아니더라도 태엽 드라이버(500) 또는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헤드부(550, 650)의 헤드(551, 651)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징적인 구성으로 체결나사 홀더(400)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픽스츄어(100)에 어버트먼트(200)를 삽입하고, 상기 체결나사(300)를 어버트먼트(200)에 끼운 상태에서, 체결나사(300)로 픽스츄어(100)에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기 전에, 체결나사 홀더(400)를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10)를 수평이 되도록 고정 유지시키는 체결나사 홀더(400)를 갖는 것이다.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를 갖는 것에 의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태엽 드라이버(500) 또는 플렉시블 드라이버(600)로 상기 체결나사(300)를 체결하는 경우에 체결나사(30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중앙부 및 하부 구조는,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내측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태엽 드라이버(500) 또는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헤드부(550, 6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통부(410)를 가진다.
또한, 상기 원통부(410)는 상기 픽스츄어(100)에 삽입 고정된 어버트먼트(200)의 내측에 삽입된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 가장자리를 고정 유지시킬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체결나사 홀더(400)의 헤드부(420)는, 중앙부에 상기 원통부(410)가 상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며, 중앙부 외측은 치료 대상 치아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자(시술자)가 임플란트 체결 작업을 하는 경우에 어버트먼트(2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체결나사 홀더(400)의 헤드부(420)의 상부 형상은, 6각 8각 등 다각형 형태로 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나사 홀더(400)의 헤드부(420) 외경을 원통부(410)의 직경보다 크게 하는 것은 작업자가 태엽 드라이버(500) 또는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헤드부(550, 650)를 원통부(410)에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면서도, 어버트먼트(200)의 흔들림을 방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체결 장치를 사용하여,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는 체결 방법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의 드라이버(500, 600)를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외주면상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도 일정깊이로 나사부가 형성된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식립 고정하며, 상기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어버트먼트(200)를 삽입 고정하며,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체결나사(300)를 삽입하여 픽스츄어(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나사(300)를 체결하여 임플란트를 체결하는 임플란트 체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체결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외주면상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도 일정깊이로 나사부가 형성된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식립 고정한 후에, 상기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어버트먼트(200)를 삽입하고,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체결나사(300)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체결나사 홀더(400)를 어버트먼트(200)의 내면에 삽입하여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를 수평이 되도록 고정 유지시킨다. 즉,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가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태엽 드라이버(500) 또는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헤드부(550, 650)를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헤드부(420)와 원통부(410)를 통해서 삽입하여, 상기 태엽 드라이버(500) 또는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헤드부(550, 650)의 헤드(551, 651)가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의 헤드(321)와 맞물리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태엽 드라이버(500) 또는 플렉시블 드라이버(600)를 작동시켜 체결나사(300)를 회전시키면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가 체결된다.
아래에서는 도 5 및 도 7을 살펴보면서 상기 태엽 드라이버(500)로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는 동작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태엽 드라이버(500)는, 태엽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나사를 조일 수 있는 것으로, 예를들면 특허 제1524698호((2015. 6. 4. 공고)에 기재된 태엽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한 드라이버 공구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태엽 드라이버(500)는 상기 특허 제1524698호에 기재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엽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태엽 드라이버(500)를 사용하여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는 동작은 아래와 같다.
먼저, 픽스츄어(100)에 어버트먼트(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나사(300)를 어버트먼트(200) 내부에 삽입한다.
상기 체결나사(300)가 어버트먼트(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를 어버트먼트(200)의 내부에 삽입하여,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 하면이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를 수평이 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여,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가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에 의해 수평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태엽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50)를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에 삽입하여, 헤드부(550)의 헤드(551)가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의 헤드(321)와 맞물리게 한 후에, 태엽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5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체결나사(300)가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태엽 드라이버(500)는, 체결나사(300)의 나선수에 맞추어지도록 토오크를 계산하여, 미리 태엽을 감아주는 것에 의하여 정밀하게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8을 살펴보면서, 상기 플렉시블 드라이버(600)로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는 동작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플렉시블 드라이버(600)는,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헤드부(650)와, 상기 헤드부(65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620)와, 상기 샤프트(620)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샤프트(620) 및 헤드부(650)를 회전시키기 위한 그립부(61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렉시블 드라이버(600)를 사용하여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는 동작은 아래와 같다.
먼저, 픽스츄어(100)에 어버트먼트(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나사(300)를 어버트먼트(200) 내부에 삽입한다.
상기 체결나사(300)가 어버트먼트(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를 어버트먼트(200)의 내부에 삽입하여,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 하면이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를 수평이 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여,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가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에 의해 수평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헤드부(650)를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에 삽입하여, 헤드부(650)의 헤드(561)가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의 헤드(321)와 맞물리게 한 후에,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그립부(61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샤프트(620)가 회전하며, 이 회전력을 헤드부(650)가 전달받아 체결나사(300)로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사프트(630)는, 체인 샤프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체인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력 전달 피치를 작게 하므로, 작업자가 체결 작업을 하는 경우에 환자의 구강 상태를 살펴보면서 플렉시블 드라이버(600)를 회전시키므로, 환자와 작업자 모두 편안한 환경에서 간편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하여 이루어졌지만, 상기 실시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청구범위 및 균등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픽스츄어
200 : 어버트먼트
C : 크라운
300 : 체결나사
310 : 나사부
320 : 헤드부
321 : 헤드
400 : 체결나사 홀더
410 : 원통부
420 : 헤드부
500 : 태엽 드라이버
510 : 그립부
520 : 본체
550 : 헤드부
551 : 헤드
600 : 플렉시블 드라이버
610 : 그립부
620 : 샤프트
650 : 헤드부
651 : 헤드

Claims (9)

  1. 외주면상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도 일정깊이로 나사부가 형성되어 치조골에 식립 고정되는 픽스츄어(100)와,
    상기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삽입되는 어버트먼트(200)와,
    상기 픽스츄어(100)에 어버트먼트(2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나사(300)와,
    상기 체결나사(300)를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드라이버(500, 600)와,
    상기 체결나사(300)를 드라이버(500, 600)로 체결하는 동안 체결나사(30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나사 홀더(400)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체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는, 상기 픽스츄어(100)에 삽입 고정된 어버트먼트(2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 가장자리를 고정 유지시키는 원통부(410)와,
    상기 원통부(410)의 상부에 헤드부(4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체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헤드부(420)는, 중앙부에 상기 원통부(410)가 상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며, 중앙부 외측은 치료 대상 치아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체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태엽 드라이버(500)이며,
    상기 태엽 드라이버(500)는 헤드부(550), 본체(520) 및 그립부(5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550)는,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에 삽입되고, 적어도 상기 원통부(410)와 같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헤드부(550)의 헤드(551)는, 어버트먼트(200)의 내면에 삽입되어 있는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의 헤드(321)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520)는, 태엽장치를 내장하면서 헤드부(550)와 그립부(510)를 이어주며,
    상기 그립부(510)는, 상기 체결나사(300)의 나선수에 맞추어 토오크를 계산하여 태엽을 감아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체결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이며,
    상기 플렉시블 드라이버(600)는 헤드부(650), 샤프트(620) 및 그립부(6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650)는,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에 삽입되고, 적어도 상기 원통부(410)와 같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헤드부(650)의 헤드(651)는, 어버트먼트(200)의 내면에 삽입되어 있는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의 헤드(321)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620)는, 일측 단부가 헤드부(65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그립부(610)와 연결되며,
    상기 그립부(610)는 작업자(시술자)가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샤프트(620) 및 헤드부(650)를 회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로 하는 임플란트 체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상기 샤프트(620)는 체인으로 이루어진 체인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체결 장치.
  7. 외주면상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도 일정깊이로 나사부가 형성된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식립 고정하며, 상기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어버트먼트(200)를 삽입 고정하며,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체결나사(300)를 삽입하여 픽스츄어(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나사(300)를 체결하여 임플란트를 체결하는 임플란트 체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체결나사(300)를 삽입하고(S 1),
    하부에 원통부(410)가 형성되고 상부에 헤드부(420)가 형성된 체결나사 홀더(400)를 상기 어버트먼트(200)에 삽입하여,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를 원통부(410)의 하면이 고정하며(S 2),
    상기 체결나사(300)의 나선수에 맞추어 태엽 드라이버(500)의 태엽을 감아놓고(S 3),
    상기 태엽 드라이버(500)의 헤드부(550)를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에 삽입하여, 상기 헤드부(550)의 헤드(551)와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에 형성된 헤드(321)를 맞물리게 하고(S 4),
    상기 태엽 드라이버(500)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태엽 드라이버(500)가 체결나사(300)를 회전시켜(S 5), 체결나사(300)가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는 임플란트 체결 방법.
  8. 외주면상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도 일정깊이로 나사부가 형성된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식립 고정하며, 상기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어버트먼트(200)를 삽입 고정하며,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체결나사(300)를 삽입하여 픽스츄어(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나사(300)를 체결하여 임플란트를 체결하는 임플란트 체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내부로 체결나사(300)를 삽입하고(S 1'),
    하부에 원통부(410)가 형성되고 상부에 헤드부(420)가 형성된 체결나사 홀더(400)를 상기 어버트먼트(200)에 삽입하여,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를 원통부(410)의 하면이 고정하며(S 2'),
    플레시블 드라이버(600)의 헤드부(650)를 상기 체결나사 홀더(400)의 원통부(410)에 삽입하여, 상기 헤드부(650)의 헤드(651)와 상기 체결나사(300)의 헤드부(320)에 형성된 헤드(321)를 맞물리게 하고(S 3'),
    상기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헤드부(650)에 연결되는 샤프트(620)와, 상기 샤프트(620)에 연결되는 그립부(610)를 회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플렉시블 드라이버(600)가 체결나사(300)를 회전시켜(S 4'), 체결나사(300)가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는 임플란트 체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드라이버(600)의 상기 샤프트(620)는, 체인으로 이루어진 체인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체결 방법.
KR1020180095403A 2018-08-16 2018-08-16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KR102234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403A KR102234777B1 (ko) 2018-08-16 2018-08-16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403A KR102234777B1 (ko) 2018-08-16 2018-08-16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02A true KR20200020102A (ko) 2020-02-26
KR102234777B1 KR102234777B1 (ko) 2021-04-01

Family

ID=6963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403A KR102234777B1 (ko) 2018-08-16 2018-08-16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7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358A (ja) * 1995-12-28 1997-07-08 Nakanishi:Kk ハンドトルクドライバー
KR200255069Y1 (ko) * 1999-05-19 2001-12-13 장경삼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KR20090042616A (ko) * 2007-10-26 2009-04-30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어버트먼트 체결장치
KR100919250B1 (ko) 2007-10-11 2009-09-30 이경동 임플란트 시술용 렌치 기구
KR101378849B1 (ko) 2012-11-19 2014-04-04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임플란트 연결나사용 드라이버
KR101524698B1 (ko) * 2013-12-30 2015-06-04 양현민 태엽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한 드라이버 공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358A (ja) * 1995-12-28 1997-07-08 Nakanishi:Kk ハンドトルクドライバー
KR200255069Y1 (ko) * 1999-05-19 2001-12-13 장경삼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KR100919250B1 (ko) 2007-10-11 2009-09-30 이경동 임플란트 시술용 렌치 기구
KR20090042616A (ko) * 2007-10-26 2009-04-30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어버트먼트 체결장치
KR101378849B1 (ko) 2012-11-19 2014-04-04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임플란트 연결나사용 드라이버
KR101524698B1 (ko) * 2013-12-30 2015-06-04 양현민 태엽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한 드라이버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777B1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8188B1 (en) Means for affixing a component to a dental implant
JP4434945B2 (ja) 補綴物取付け装置
US5944525A (en) Dental impla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same
US20060210950A1 (en) Dental devices
KR101718464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US7125250B2 (en) Screw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060056898A (ko) 보철 마운팅 장치 및 어셈블리
KR101360952B1 (ko) 임플란트용 보조장치, 임플란트용 보조기구 및 보관용기
EP3332735B1 (en) Surgical instrument for dental implant
KR20200020102A (ko) 임플란트 체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임플란트 체결 방법
TW200940035A (en) Universal contra-angle screwdriver for implantology
US20100136504A1 (en) Dual option orthodontic implant driver for placing and tightening implants
KR200386076Y1 (ko) 픽스처 드라이버
EP3745988B1 (en) Single-stage dental implant
JP2021177826A (ja) 歯科用のドライバー
KR101954016B1 (ko) 픽스츄어 리무버용 핸드피스
US20120021377A1 (en) Electric implant torque wrench
JP2019141138A (ja) 破折インプラント体取外し工具及び取外し方法
JP4133308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連結ボルト締結装置
KR20030014341A (ko) 인공치아용 픽스츄어 드라이버
CN216257510U (zh) 医用工具
KR20110089589A (ko) 치과용 수동 핸드피스
KR20090044765A (ko) 치과용 뼈 절단공구
JP2004141479A (ja)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の取り付けシステム
KR102009789B1 (ko) 의료용 수동식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