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771A -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771A
KR20070064771A KR1020050125231A KR20050125231A KR20070064771A KR 20070064771 A KR20070064771 A KR 20070064771A KR 1020050125231 A KR1020050125231 A KR 1020050125231A KR 20050125231 A KR20050125231 A KR 20050125231A KR 20070064771 A KR20070064771 A KR 20070064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implant
handpiece
shaft
implan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호
Original Assignee
송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호 filed Critical 송종호
Priority to KR102005012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4771A/ko
Publication of KR2007006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61C1/003Control of rotation of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6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electr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1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in an angled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5Drives or transmi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임플란트용 전용공구로써, 시술시 환자의 구강 내부로 불필요한 이물질(시술자의 손 및 소형 드라이버 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아울러 이러한 이물질의 투입 방지에 따라 보다 청결하고 신속하게 시술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고;
또 다른 목적으로는, 작동헤드와, 연결대 그리고 구동손잡이로 이루어진 탈,부착 교환구조로써, 기존 압축공기 및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다양한 용도의 치과용 핸드피스와 상호 호환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탈,부착 교환구조에 따라 제품이상에 따른 유지보수 관계를 편리화 되도록 하여 경제성을 극히 향상되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동축과 드라이버 핀이 내설된 작동헤드와;
상기, 작동헤드 하단부로 조립,연결되는 종동축이 내설된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 하단부로 조립, 연결되는 삽입체결관과, 조작레버와, 구동축이 구비된 교환손잡이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driving handpiece for dental impla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의 결합 작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의 또 다른 사용예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작동헤드 2 : 연결대 3 : 교환손잡이
11 : 체결너트 12 : 작동축 13 : 드라이버 핀
21 : 종동축 31 : 삽입체결관 32 : 조작레버
33 : 구동축
본 발명은 치과 치료용으로 이용되는 임플란트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정적이고 편리한 사용관계로써, 일련의 임플란트 시술관계를 보다 위생적이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s)라 함은,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근, 다시 말해 치아뿌리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인공치근은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내지 백금 등의 특수금속을 소재로 하여 성형 되는 것으로, 이러한 일련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은 오늘날 치과계에 있어, 산업혁명에 비유될 정도의 비약적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한편, 인공치근으로 사용되는 임플란트(dental implants)는 썩거나 빠진 치아를 대신하여, 그 환자의 치조골에 고정된 형태로, 심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방법(고정)은 통상 나사에 의한 조립방식을 채택하고 있음이 현실이다.
이에, 상기 나사 조립방식을 갖는 임플란트는 그 시술과정에 있어, 임플란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 즉, 드라이버 등과 같은 체결공구의 사용을 필수적 으로 요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용도로 이용되는 종래의 임플란트 체결수단은 통상적 구조의 드라이버를 구강내로 투입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축소시 킨 구성에 불과하고, 이를 사용함에 있어서 또한 시술자가 환자의 구강에 드라이버와 함께 그를 조작하기 위한 손을 함께 투입시켜 시술작업을 행하게 되는 것이었던 바;
따라서,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작업은, 환자의 경우 시술을 받기 위해 오랜 시간 입을 상당한 크기로 벌려야 하고, 시술자는 그 협소한 공간(입속)에서 작업을 행해야 하는 등, 환자 및 시술자 모두에게 매우 불편하고 힘든 시술상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다.
또 다르게, 전술한 종래의 임플란트 체결수단은 축소된 단순 구조의 드라이버 형태로써, 시술자의 사용 부주의 내지 실수로 인해 시술중 그 드라이버를 놓칠 경우, 드라이버가 사용자 구강내로 유입되어 예기치 못한 치명적 의료사고의 문제점을 발생 되게 함은 물론 심각한 위생상의 문제점 또한 상존 되게 하는 것이었다.
한편, 근래에는 전술한 임플란트 체결수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통상의 치과 치료공구인 다양한 용도의 핸드피스에 임플란트 체결수단을 접목시키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상기 임플란트 체결수단은 시술자의 미세한 손의 감각을 통해 매우 정밀한 형태로 체결력을 조절해야 하는 것임에 반해, 상기 통상의 핸드피스는 압축공기 또는 전기 등, 매우 강력한 에너지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이에 미세하고 정밀한 시술을 요하는 임플란트 체결작업에는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지 못한 체,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치과용 임플란트 체결수단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용 전용공구로써, 시술자의 정,역 레버조작에 따라 환자의 구강 외부로부터 구강 내부로 동력을 전달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전달된 동력에 의해 드라이버 핀을 회동 제어되도록 하여 일련의 임플란트 체결작업을 행하게 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시 환자의 구강 내부로 불필요한 이물질(시술자의 손 및 소형 드라이버 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이러한 이물질의 투입 방지기능에 따라 보다 청결하고 신속하게 시술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작동헤드와, 연결대 그리고 구동손잡이로 이루어진 탈,부착 교환구조로써, 기존 압축공기 및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다양한 용도의 치과용 핸드피스와 상호 호환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탈,부착 교환구조에 따라 제품이상에 따른 유지보수 관계를 편리화 되도록 하여 경제성을 극히 향상되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작동축과 드라이버 핀이 내설된 작동헤드와;
상기, 작동헤드 하단부로 조립,연결되는 종동축이 내설된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 하단부로 조립, 연결되는 삽입체결관과, 조작레버와, 구동축이 구비된 교환손잡이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의 개략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그 일련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작동헤드(1)와, 연결대(2), 그리고 교환손잡이(3)를 구비토록 함으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헤드(1)는 환자의 구강내에 투입되어 임플란트 체결작업을 실질적으로 행하게 되는 메인 구성인바, 이에 이와 같은 작동헤드(1)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의 원통형 구조로서, 그 하단부에 체결너트(11)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어 상기 체결너트(11)가 구비된 작동헤드(1) 내면으로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봉상체 구조의 작동축(12)을 직립형태로 내설시키며, 재차 상기 직립 내설된 작동축(12)의 상단부로 드라이버 핀(13)을 동력변환 구조로 수평 설치토록 하여, 그 드라이버 핀(13)을 작동헤드(1)의 외부로 소정길이 노출, 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작동축(12)은 후술하는 연결대(2)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그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드라이버 핀(13)을 정.역 회동 되게 하는 일련의 동력매개체 구성인바, 이에 상기 작동축(12)은 그 상,하 단부면이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평기어(121)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버 핀(13)은 전술한 작동축(12)으로 부터 동력을 안정적으로 변환 전달받기 위해, 그 중앙부로 베벨기어(131)를 장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대(2)는 전술한 작동헤드(1)와 후술하는 교환손잡이(3)를 상호 연결되게 하는 중간매개체로서, 이와 같은 연결대(2)는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길이의 원통형 구조를 취하며, 그 내부로 봉상체 구조의 종동축(21)을 직립 구조로 내설하게 된다.(도면 미설명 부호 22는 나사조립축)
이때, 상기 종동축(21)은 중간 동력전달 매개체로서, 그 상단부는 도 3으로도시된 바와 같이 평기어(211) 구조로 형성하고, 그 하단부는 걸림요홈(212)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환손잡이(3)는 전술한 작동헤드(1)로 임플란트 체결력을 제공하게 되는 메인 동력전달 수단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교환손잡이(3)는 원통형 구조를 취하는 본체 상단부에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은 삽입체결관(3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체결관(31)이 형성된 교환손잡이(3) 하단부로는 정,역방향을 향해 자유 회동 되는 탈,부착 조립구조의 조작레버(32)를 형성하며, 재차 교환손잡이(32)의 내측면으로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봉상체 구조의 구동축(33)을 직립형태로 내설시켜, 그 내설된 구동축(33)의 하단부를 상기 조작레버(32)에 일체로 연결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삽입체결관(31)은 원통형 구조를 취하며, 그 하단과 중앙 외경에 도 1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유도링(311)이 장착하게 되는 것이며;
또 다르게, 상기 구동축(33)은 전술한 종동축(21)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구동축(33)의 상단부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걸림돌기(331)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도 1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2) 상단부로 구성된 나사조립축(22)에 작동헤드(1)의 체결너트(11)를 조립하여, 상기 연결대(2)와 작동헤드(1)를 상호 결합되도록 하고;
이어, 상기 결합된 연결대(2)의 하단 내경으로 삽입 체결관(31)을 슬라이딩 끼움 방식을 통해 삽입하여, 재차 교환손잡이(3)를 연결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결합관계를 이룰 경우, 교환손잡이(3)로 내설된 구동축(33)과, 연결대(2)로 내설된 종동축(21)과, 작동헤드(1)로 내설된 작동축(12) 및 드라이버 핀(13)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 치합 연결구조를 이루며 하나의 동력연결 라인을 구축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관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술을 통해 환자의 구강에 임플란트를 체결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 환자의 구강내로 작동헤드(1)만을 투입시켜, 그 작동헤드(1)로 구비된 드라이버 핀 (13)을 임플란트 나사홈(도시생략)에 맞춤 되도록 한다.
이어,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환자의 구강 외부로 노출된 교환손잡이(3)의 조작레버(32)를 시술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조작레버(32)의 회전력이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3)과, 종동축(21)과, 작동축(12)을 통해 드라이버 핀(13)으로 전달되어, 임플란트에 체결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작레버(32)는 시술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이는 드라이버 핀(13)의 조임강도를 시술자로 하여금 직접 느끼게 하여, 조임력의 과다 내지 미약함을 감각적으로 판단되게 함으로써, 정밀하고 안정적인 시술작업을 행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는 치과용 치료공구로 이용되는 통상의 압축공기 및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핸드피스와 동일 규격품으로 양산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단순한 임플란트 시술용으로 그 사용관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2)로 결합된 교환손잡이(3)를 압축공기 및 전동방식의 교환손잡이(3')로 호환되게 하고, 아울러 드라이버 핀(13) 또한 다른 공구로 교환하여 또 다른 치과 치료용 핸드피스로 사용할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는 시술자의 레버 조작에 따라 환자의 구강 외부로부터 구강 내부로 동력을 전달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전달된 동력에 의해 드라이버 핀을 회동 제어되도록 하여 임플란트 체결작업을 실시되게 한 것으로, 이는 임플란트 시술시 환자의 구강 내부로 불필요한 이물질(시술자의 손 및 소형 드라이버 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여, 보다 청결하고 신속하게 시술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 다르게, 작동헤드와, 연결대 그리고 구동손잡이로 이루어진 탈,부착 교환구조로써, 기존 압축공기 및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다양한 용도의 치과용 핸드피스와 상호 호환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탈,부착 교환구조에 따라 제품이상에 따른 유지보수 관계를 편리화 되도록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작동축(12)과 드라이버 핀(13)이 내설된 작동헤드(1);
    상기, 작동헤드(1) 하단부로 조립,연결되는 종동축(21)이 내설된 연결대(2);
    그리고, 상기, 연결대(2) 하단부로 조립, 연결되는 삽입 체결관(31)과, 조작레버(32)와, 구동축(33)이 구비된 교환손잡이(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손잡이(3)로 구비된 삽입 체결관(31)은 원통형 구조를 취하며, 그 하단과 중앙 외경에 체결 유도링(311)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손잡이(3)는 삽입 체결관(31)에 의한 슬라이딩 끼움 방식에 의해 상기 연결대(2)와 탈,부착 교환 구조로 결합 되고;
    상기, 탈,부착 교환 구조에 따라 상기 연결대(2)는 또 다른 치과용 핸드피스와 호환 사용관계를 갖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
KR1020050125231A 2005-12-19 2005-12-19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 KR20070064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231A KR20070064771A (ko) 2005-12-19 2005-12-19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231A KR20070064771A (ko) 2005-12-19 2005-12-19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771A true KR20070064771A (ko) 2007-06-22

Family

ID=3836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231A KR20070064771A (ko) 2005-12-19 2005-12-19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47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630A1 (en) * 2008-10-28 2010-05-06 Jeil Medical Corporation Manual handpiece for medical treatment
KR101107830B1 (ko) * 2010-03-16 2012-01-31 정권호 치아 치료 기기
KR20190059556A (ko) * 2017-11-23 2019-05-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핸드피스
CN114209459A (zh) * 2021-12-31 2022-03-22 山东大学 一种口腔种植通用手动植入器及其应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630A1 (en) * 2008-10-28 2010-05-06 Jeil Medical Corporation Manual handpiece for medical treatment
KR101107830B1 (ko) * 2010-03-16 2012-01-31 정권호 치아 치료 기기
KR20190059556A (ko) * 2017-11-23 2019-05-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핸드피스
CN114209459A (zh) * 2021-12-31 2022-03-22 山东大学 一种口腔种植通用手动植入器及其应用
CN114209459B (zh) * 2021-12-31 2022-09-16 山东大学 一种口腔种植通用手动植入器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0476B1 (en) Torque wrench for dental implants
JP2023040019A (ja) 穿孔の深さを測定可能な手術用ハンドピースおよび関連付属品
CN110623707B (zh) 一种便于调节角度的超声骨刀
JP2010104652A (ja) 歯科用撮像装置、歯科用撮像システム及び歯科治療用インスツルメント装置
JP2009522038A (ja) フリーアングル型インプラントドライバー及びフリーアングルホール(孔)型インプラントアバットメント
KR200255069Y1 (ko)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WO2007101680A3 (de) Zahnärztliches, zahnmedizinisches oder dentaltechnisches handstück mit elektromotor
JP2012010758A (ja) 穿孔ドリル及び穿孔ドリルシステム
JP4621512B2 (ja) 口腔用光照射器
EP3954322A1 (en) Torque wrench for implant procedure
KR20070064771A (ko) 치과용 임플란트 드라이빙 핸드피스
KR101068462B1 (ko)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치과용 수동핸드피스
TWI597085B (zh) 注藥裝置
JP2016531614A (ja) 脛骨のステムのリーミング又は除去のための歯車付き器具
KR100893787B1 (ko) 핸드 콘트라앵글 마이크로임플란트 토크 드라이버
US7156659B2 (en) Contra-angle handpiece for rotary surgical instruments, in particular in dental surgery
US11992262B2 (en) Anti-contamination laser surgery device with built-in optical element
JP5857277B2 (ja) 内視鏡プローブ付き歯科用振動式ハンドピース装置
KR101027133B1 (ko) 치과용 근관 충전기
CN209933018U (zh) 一种口腔末牙远中邻面去龋挖匙
KR20210017095A (ko) 가압세라믹치아 제작을 위한 수동형 핸드피스
KR20200119701A (ko)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KR200448454Y1 (ko) 착탈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 핸드피스의 몸체
KR200345612Y1 (ko) 치석제거기
CN107049536B (zh) 微螺钉紧固手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