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350A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350A
KR20160138350A KR1020160061996A KR20160061996A KR20160138350A KR 20160138350 A KR20160138350 A KR 20160138350A KR 1020160061996 A KR1020160061996 A KR 1020160061996A KR 20160061996 A KR20160061996 A KR 20160061996A KR 20160138350 A KR20160138350 A KR 20160138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lider
pressing
linear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스즈키
타카시 노세
요시노부 사사타니
Original Assignee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8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2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4Stationary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60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no contacts
    • H01H19/635Contacts actuated by rectilinearly-movable member linked to operating part, e.g. by pin and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168Driving mechanisms using ca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Slide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을 소형화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위치 장치(100)는, 복수의 고정 접점(X)이 병설된 기판(3)과, 하면에 가동 접점(Y)이 형성된 탄성을 갖는 복수의 선형상부(7a)가 마련된 콘택트(7)와, 각 고정 접점(X)과 각 가동 접점(Y)이 대향하도록, 콘택트(7)의 근원부(7b)를 지지하고, 각 선형상부(7a)의 상방에 탄성을 갖는 복수의 들보부(5a)가 마련된 하우징(5, 6)과, 하우징(5)의 상방에 마련된 슬라이더(8)를 구비한다. 각 들보부(5a)의 하면에는 제1 가압부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피가압부(5c)가 마련되고, 슬라이더(8)에는 복수의 제2 가압부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 노브(9)의 조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더(8)가 F, B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제2 가압부가 피가압부(5c)를 가압하여, 들보부(5a)가 하방으로 휘고, 제1 가압부가 선형상부(7a)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선형상부(7a)가 하방으로 휘고, 가동 접점(Y)이 고정 접점(X)에 접촉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본 발명은,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 위를 이동함에 의해, 그 양 접점의 접리 상태가 전환되는 스위치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조작 노브의 조작에 응하여 가동 접점이 이동함에 의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리 상태가 전환되는 스위치 장치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스위치 장치에서는, 기판의 상면에 복수의 고정 접점이 마련되고, 기판상에 슬라이더가 재치되어 있다. 슬라이더는 탄성을 갖는 복수의 접편을 가지며, 각 접편의 선단에는 기판의 상면과 접하도록 가동 접점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의 직상에는,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노브가 마련되고, 조작 노브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자(突子)가 마련되어 있다. 돌자의 하단부는, 슬라이더의 상부에 계합되어 있다. 조작 노브를 요동 조작함으로써, 돌자가 회동하여, 슬라이더가 전후로 이동하고, 접편이 기판상을 활주하여,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대해 접리한다.
특허 문헌 2의 스위치 장치에서는, 인슐레이터의 상면에 복수의 고정 접점이 전후 좌우로 병설되어 있다. 각 고정 접점은, 전후 방향의 길이가 다르고, 터미널을 통하여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인슐레이터상에는, 콘택트 홀더가 재치되고, 콘택트 홀더에는, 인슐레이터와 접하도록 가동 접점이 마련되어 있다. 인슐레이터로부터 떨어진 위치에는,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노브가 마련되고, 조작 노브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자가 마련되어 있다. 돌자의 하단부는, 암의 일단부에 계합되고, 암의 타단부는, 콘택트 홀더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 노브를 요동 조작함으로써, 돌자가 회동하여, 암과 콘택트 홀더가 전후로 이동하고, 가동 접점이 인슐레이터상을 활주하여, 각 고정 접점에 대해 접리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실개소55-13613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9-245565호 공보
기판상에 고정 접점을 전후 좌우로 분산하여 복수 마련하면, 기판이 면방향으로 대형화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조작 노브가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경우는, 고정 접점의 수도 많아지기 때문에, 기판이 한층 대형화한다. 또한, 각 조작 노브의 직하(直下)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 접점을 각각 배치하여도, 기판이 한층 대형화한다. 이와 같이 기판이 대형화하는 것은,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장해가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기판을 소형화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장치는, 복수의 고정 접점이 제1 방향으로 병설된 기판과, 하면에 가동 접점이 형성된 탄성을 갖는 복수의 선형상부가 마련된 콘택트와, 각 고정 접점과 각 가동 접점이 대향하도록, 콘택트의 근원부를 유지하고, 각 선형상부의 상방에 탄성을 갖는 복수의 들보부(梁部)가 마련된 하우징과, 제1 방향과 상하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의 상방에 마련된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각 들보부의 하면에는, 각 선형상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부가 마련되고, 각 들보부의 상면에는, 피가압부가 마련되고, 슬라이더에는, 각 피가압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제2 가압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제2 가압부가 피가압부를 가압하여, 들보부가 하방으로 휘고, 제1 가압부가 선형상부를 가압하여, 선형상부가 하방으로 휘고,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한다.
상기에 의하면, 복수의 고정 접점이 기판의 제1 방향으로 병설되고, 각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대향하도록, 콘택트를 하우징으로 유지하고 있다. 즉, 복수의 고정 접점 및 복수의 가동 접점을 각각 제1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기판에 집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의 기판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슬라이더의 제2 가압부가 하우징의 피가압부를 가압하여, 하우징의 들보부가 하방으로 휘고, 하우징의 제1 가압부가 콘택트의 선형상부를 가압하여, 선형상부가 하방으로 휘고, 각 가동 접점이 각 고정 접점에 대해 접촉한다. 이 접촉시에, 각 가동 접점이 각 고정 접점에 대해 활주하기 때문에, 양 접점의 표면이 청정화되어, 양 접점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통상시는, 가동 접점을 기판과 고정 접점에 대해 이간시켜 두고, 슬라이더가 이동한 때에, 가동 접점을 기판과 고정 접점에 대해 접촉시킴으로써, 각 접점과 기판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치 장치에서, 요동 가능한 조작 노브와, 상단부가 조작 노브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슬라이더에 연결된 레버를 또한 구비하여도 좋다. 그리고,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은, 조작 노브의 직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고, 슬라이더는, 조작 노브의 직하로부터 하우징의 직상(直上)에 이르도록 마련되고, 조작 노브를 조작함에 의해, 레버가 회동하여, 슬라이더가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치 장치에서, 슬라이더의 제2 방향에의 이동길이에 응하여, 제2 가압부가 피가압부를 하방으로 가압할 때의 압하길이(押下長)가 변화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치 장치에서, 피가압부는, 슬라이더측으로 돌출한 볼록형상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제2 가압부는, 제2 방향으로 감에 따라 하우징측으로 경사하도록 돌출한 볼록형상 단부로 이루어지고, 제2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압부의 설치 위치는, 다른 제2 가압부의 설치 위치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슬라이더가 제2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함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압부가 대응하는 피가압부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더가 제2 방향으로 더욱 소정량 이동함에 의해, 상기 다른 제2 가압부가 대응하는 피가압부를 더욱 하방으로 가압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치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압부가 피가압부를 항상 가압하여, 제1 가압부가 선형상부를 항상 가압함에 의해, 적어도 한 쌍의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이 상폐(常閉) 접점으로 되어, 당해 고정 접점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그 밖의 쌍을 이루는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은 상개(常開) 접점으로 되어, 당해 고정 접점은 전원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치 장치에서, 요동 가능한 복수의 조작 노브를 구비하고, 그 복수의 조작 노브 중 조작 빈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조작 노브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폐 접점의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대해 활주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을 소형화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위치 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기판과 접점 모듈과 슬라이더의 조립 평면도.
도 4는 도 1의 기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접점 모듈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콘택트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슬라이더의 이면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스위치 장치의 전기 회로도.
도 9는 중립시와 개동작시의 도 2의 A-A 단면도.
도 10은 중립시와 개동작시의 도 3의 A'-A' 단면도.
도 11은 중립시와 개동작시의 도 3의 B-B 단면도.
도 12a는 중립시와 개동작시의 도 3의 D-D 단면도.
도 12b는 개동작시의 도 3의 D-D 단면도.
도 13은 폐동작시의 도 2의 A-A 단면도.
도 14는 폐동작시의 도 3의 A'-A' 단면도.
도 15는 중립시와 폐동작시의 도 3의 C-C 단면도.
도 16은 폐동작시의 도 3의 D-D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스위치 장치의 전기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먼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스위치 장치(100)의 구조를, 도 1∼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스위치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스위치 장치(100)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판(3)과 접점 모듈(4)과 슬라이더(8)의 조립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기판(3)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접점 모듈(4)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콘택트(7)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슬라이더(8)의 이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스위치 장치(100)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 9 및 도 1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6은, 도 3의 D-D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3의 C-C 단면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3의 A-A 단면과, 도 10 및 도 14의 A'-A' 단면은, 동일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스위치 장치(100)는, 자동 4륜차에 탑재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이다. 스위치 장치(100)는, 자동 4륜차의 운전석, 조수석, 후부(後部) 우좌석, 및 후부 좌좌석의 각 창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운전석의 근방의 암 레스트에 설치된다.
스위치 장치(100)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상케이스(1), 하커버(2), 기판(3), 접점 모듈(4), 슬라이더(8), 및 조작 노브(9)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케이스(1), 하커버(2), 접점 모듈(4)의 하우징(5, 6), 슬라이더(8), 및 조작 노브(9)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3)은, 예를 들면 유리-에폭시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접점 모듈(4)의 콘택트(7)는, 구리 등의 도전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케이스(1)는, 거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커버(2)를 상케이스(1)의 하부에 감합시킴으로써, 상케이스(1)의 개구 부분이 막혀진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커버(2)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커넥터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상케이스(1)의 상부에는, 4개의 노브 부착부(1a)가 형성되어 있다. 노브 부착부(1a)의 내측은, 상케이스(1) 내로 연통하도록, 개구하고 있다(도 9, 도 13). 4개의 조작 노브(9)는, 각 노브 부착부(1a)를 상방(U)으로부터 덮도록, 각 노브 부착부(1a)에 부착된다.
상세하게는, 각 조작 노브(9)의 좌우 측면에 마련된 축구멍(9b)에, 각 노브 부착부(1a)의 좌우 측면에 마련된 지지축(1b)을 계합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조작 노브(9)가 각 노브 부착부(1a)에 부착된다. 지지축(1b)은, 좌우 방향(L, R)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조작 노브(9)는, 지지축(1b)을 중심으로 하여 개폐 방향(도 9나 도 13 등에서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조작 노브(9)는, 도시하지 않은 클릭 기구에 의해, 비조작시에 중립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개폐 방향으로 각각 2단계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에서, 조작 노브(9(DR))는, 운전석(전부 우좌석)의 창을 개폐시킬 때에 조작된다. 조작 노브(9(AS))는, 조수석(전부 좌좌석)의 창을 개폐시킬 때에 조작된다. 조작 노브(9(RR))는, 후부 우좌석의 창을 개폐시킬 때에 조작된다. 조작 노브(9(RL))는, 후부 좌좌석의 창을 개폐시킬 때에 조작된다. 이 중, 가장 조작 빈도가 높은 것은, 운전석의 창(window)용의 조작 노브(9(DR))이다. 다음으로 조작 빈도가 높은 것은, 일반적으로는 조수석의 창(window)용의 조작 노브(9(AS))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브 부착부(1a)를 제외하고, 상케이스(1)의 상면(1c)은 평탄하게 되어 있지만, 상케이스(1)의 하부는 이단형상(二段狀)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케이스(1)의 노브 부착부(1a)가 마련된 후부(B방향측의 부분)의 하방(D)을 향하는 높이(두께)가, 상케이스(1)의 전부(F방향측의 부분)의 하방(D)을 향하는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에 맞추어서, 하커버(2)의 전부보다 후부의 쪽이 상방(U)으로 솟아올라 있다.
도 1의 기판(3)은, 상케이스(1)의 높이가 높은 전부의 내측에 수납된다(도 9, 도 13). 도 2의 조립 상태에서, 기판(3)은, 예를 들면 하커버(2)상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기판(3)의 전부에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10)(도 1)가 실장되어 있다. 각 커넥터 단자(10)는, 하커버(2)의 커넥터부(2a)에 계합한다.
기판(3)의 상면의 후단부(B방향측)에는, 복수(14개)의 고정 접점(X)이 좌우 방향(L, R)(제1 방향)으로 1열로 나열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각 고정 접점(X)은, 구리박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3)의 우측(R)부터 좌측(L)을 향하여, 최초의 3개는, 운전석의 창의 오픈용 고정 접점(X( DRO )), 클로즈용 고정 접점(X( DRC )), 및 오토용 고정 접점(X( DRA ))이다. 다음이, 제1 커먼용 고정 접점(X(CM1))이다. 그 다음의 3개가, 후부 우좌석의 창의 오토용 고정 접점(X( RRA )), 클로즈용 고정 접점(X(RRC)), 및 오픈용 고정 접점(X( RRO ))이다. 그 다음의 3개가, 후부 좌좌석의 창의 오토용 고정 접점(X( RLA )), 클로즈용 고정 접점(X( RLC )), 및 오픈용 고정 접점(X( RLO ))이다. 그 다음의 3개가, 조수석의 창의 오픈용 고정 접점(X( ASO )), 클로즈용 고정 접점(X( ASC )), 및 오토용 고정 접점(X(ASA))이다. 그리고, 가장 좌측(L)에 있는 것이, 제2 커먼용 고정 접점(X(CM2))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접점 모듈(4)은, 2피스 구조의 하우징(5, 6)과, 콘택트(7)로 구성되어 있다.
콘택트(7)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빗형상(櫛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탄성을 갖는 복수(14개)의 선형상부(빗살에 상당하는 부분)(7a)를 갖고 있다. 각 선형상부(7a)는, 편측지지 들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근원부(7b)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선형상부(7a)의 선단측은 하방(D)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고(도 10 등), 그 선단의 하면에는 가동 접점(Y)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가동 접점(Y)은, 하방(D)으로 돌출하도록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선형상부(7a) 및 가동 접점(Y)은, 기판(3)의 고정 접점(X)에 각각 1대1로 대응하도록 복수(14개씩)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7)의 우측(R)부터 좌측(L)을 향하여, 최초의 3개는, 운전석의 창의 오픈용의 선형상부(7a( DRO )) 및 가동 접점(Y( DRO )), 클로즈용의 선형상부(7a( DRC )) 및 가동 접점(Y( DRC )), 오토용의 선형상부(7a( DRA )) 및 가동 접점(Y(DRA))이다. 다음이, 제1 커먼용의 선형상부(7a(CM1)) 및 가동 접점(Y(CM1))이다. 그 다음의 3개가, 후부 우좌석의 창의 오토용의 선형상부(7a( RRA )) 및 가동 접점(Y( RRA )), 클로즈용의 선형상부(7a(RRC)) 및 가동 접점(Y(RRC)), 오픈용의 선형상부(7a( RRO )) 및 가동 접점(Y( RRO ))이다. 그 다음의 3개가, 후부 좌좌석의 창의 오토용의 선형상부(7a(RLA)) 및 가동 접점(Y( RLA )), 클로즈용의 선형상부(7a( RLC )) 및 가동 접점(Y( RLC )), 및 오픈용의 선형상부(7a( RLO )) 및 가동 접점(Y( RLO ))이다. 그 다음의 3개가, 조수석의 창의 오픈용의 선형상부(7a( ASO )) 및 가동 접점(Y( ASO )), 클로즈용의 선형상부(7a( ASC )) 및 가동 접점(Y( ASC )), 오토용의 선형상부(7a(ASA)) 및 가동 접점(Y(ASA))이다. 그리고, 가장 좌측(L)에 있는 것이, 제2 커먼용의 선형상부(7a(CM2)) 및 가동 접점(Y(CM2))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회로적으로는, 운전석의 창(DR)에 대한, 오픈 작동용 전기 스위치를 고정 접점(X( DRO ))과 가동 접점(Y( DRO ))이 구성하고, 클로즈 작동용 전기 스위치를 고정 접점(X( DRC ))과 가동 접점(Y( DRC ))이 구성하고, 오토 작동용 전기 스위치를 고정 접점(X( DRA ))과 가동 접점(Y( DRA ))이 구성한다. 또한, 후부 우좌석의 창(RR)에 대한, 오토 작동용 전기 스위치를 고정 접점(X( RRA ))과 가동 접점(Y(RRA))이 구성하고, 클로즈 작동용 전기 스위치를 고정 접점(X(RRC))과 가동 접점(Y(RRC))이 구성하고, 오픈 작동용 전기 스위치를 고정 접점(X( RRO ))과 가동 접점(Y(RRO))이 구성한다. 또한, 후부 좌좌석의 창(RL)에 대한, 오토 작동용 전기 스위치를 고정 접점(X( RLA ))과 가동 접점(Y( RLA ))이 구성하고, 클로즈 작동용 전기 스위치를 고정 접점(X( RLC ))과 가동 접점(Y( RLC ))이 구성하고, 오픈 작동용 전기 스위치를 고정 접점(X( RLO ))과 가동 접점(Y( RLO ))이 구성한다. 또한, 조수석의 창(AS)에 대한, 오픈 작동용 전기 스위치를 고정 접점(X( ASO ))과 가동 접점(Y( ASO ))이 구성하고, 클로즈 작동용 전기 스위치를 고정 접점(X( ASC ))과 가동 접점(Y( ASC ))이 구성하고, 오토 작동용 전기 스위치를 고정 접점(X(ASA))과 가동 접점(Y(ASA))이 구성한다. 또한, 고정 접점(X(CM1))과 가동 접점(Y(CM1))은 제1 커먼용 전기 스위치를 구성하고, 고정 접점(X(CM2))과 가동 접점(Y(CM2))은 제2 커먼용 전기 스위치를 구성한다.
각 가동 접점(Y)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커먼용 고정 접점(X(CM1), X(CM2))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그 밖의 고정 접점(X)는, CPU(11)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저항을 통하여 전원(VCC)에 접속되어 있다. CPU(11)는, 기판(3)상에 실장되어 있고, 각 접점(X, Y)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고 각 창의 개폐 조작 상태를 판단한다. 그리고, CPU(11)는, 각 창의 개폐 조작 상태에 의거하여, 각 창에 대응하는 전동기를 구동하여, 각 창의 창유리를 개폐 작동시킨다.
도 1에 도시하는 상하우징(5)과 하하우징(6)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합되고, 내부에서 콘택트(7)를 유지한다. 상세하게는, 도 10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우징(5)과 하하우징(6)은, 콘택트(7)의 근원부(7b)를 상하로부터 끼워 넣도록 유지한다. 이와 같이 접점 모듈(4)이 조립된 상태에서, 콘택트(7)의 각 가동 접점(Y)은, 하우징(5, 6)의 하방(D)에 개구한 개구부(6k)로부터 노출한다.
상하우징(5)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복수의 들보부(5a)가 마련되어 있다. 각 들보부(5a)는, 편측지지 들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근원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들보부(5a)는, 콘택트(7)의 각 선형상부(7a)의 상방(U)에 마련되고, 각 선형상부(7a)와 평행하게 된다(도 10 등). 즉, 들보부(5a)는, 선형상부(7a)와 1대1로 대응하도록 복수(14개)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우징(5)의 우측(R)부터 좌측(L)을 향하여, 최초의 3개는, 운전석의 창의 오픈용 들보부(5a( DRO )), 클로즈용 들보부(5a( DRC )), 및 오토용 들보부(5a(DRA))이다. 다음이, 제1 커먼용 들보부(5a(CM1))이다. 그 다음의 3개가, 후부 우좌석의 창의 오토용 들보부(5a( RRA )), 클로즈용 들보부(5a(RRC)), 및 오픈용 들보부(5a(RRO))이다. 그 다음의 3개가, 후부 좌좌석의 창의 오토용 들보부(5a(RLA)), 클로즈용 들보부(5a( RLC )), 및 오픈용 들보부(5a(RLO))이다. 그 다음의 3개가, 조수석의 창의 오픈용 들보부(5a( ASO )), 클로즈용 들보부(5a( ASC )), 및 오토용 들보부(5a(ASA))이다. 그리고, 가장 좌측(L)에 있는 것이, 제2 커먼용 들보부(5a(CM2))이다.
도 10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들보부(5a)의 선단 하면에는, 각 선형상부(7a)의 중간을 하방(D)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5b)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가압부(5b)는, 콘택트(7)측으로 돌출한 볼록형상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각 들보부(5a)의 선단 상면에는, 피가압부(5c)가 마련되어 있다. 피가압부(5c)는, 슬라이더(8) 측으로 돌출한 볼록형상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접점 모듈(4)은, 도 9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단차부(1d) 내에 수납된다. 이 수납 상태에서, 하우징(5, 6)은, 하커버(2)상에 고정된다. 콘택트(7)의 각 가동 접점(Y)은, 기판(3)의 상방(U)에서 각 고정 접점(X)에 대향한다. 각 고정 접점(X) 및 각 가동 접점(Y)은, 각 조작 노브(9)의 직하로부터 전후 방향(F, B)으로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슬라이더(8)는, 조작 노브(9)에 1대1로 대응하도록 복수(4개) 마련되어 있다. 운전석의 창용의 조작 노브(9(DR))에 대응하는 슬라이더(8(DR))와, 조수석의 창용의 조작 노브(9(AS))에 대응하는 슬라이더(8)(AS)의 각각 의 전후 방향(F, B)의 길이는, 후부 우좌석의 창용의 조작 노브(9(RR))에 대응하는 슬라이더(8(RR))와, 후부 좌좌석의 창용의 조작 노브(9(RL))에 대응하는 슬라이더(8( RL ))의 각각 의 전후 방향(F, B)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되어 있다.
각 슬라이더(8)는, 도 9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조작 노브(9)의 직하부터 상하우징(5)의 직상에 이르도록, 상케이스(1) 내에 수납된다. 짧은 슬라이더(8(DR), 8(AS))는, 상하우징(5)과 상케이스(1)에 의해 상하 방향(U, D)과 좌우 방향(L, R)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긴 슬라이더(8(RR), 8( RL ))는, 상하우징(5)과 하커버(2)와 상케이스(1)에 의해 상하 방향(U, D)과 좌우 방향(L, R)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각 슬라이더(8)는, 전후 방향(F, B)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8(DR), 8(AS))의 후단부(B방향측의 단부)에는, 노치로 이루어지는 오목부(8k)가 마련되어 있고, 슬라이더(8(RR), 8( RL ))의 후단부에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8k)가 마련되어 있다. 도 9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조작 노브(9)의 내측에는, 레버(9r)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레버(9r)는, 조작 노브(9)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레버(9r)의 상단부는, 조작 노브(9)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레버(9r)의 하단부는, 상케이스(1) 내로 돌출하여 있고, 대응하는 슬라이더(8)의 오목부(8k)에 계합함에 의해, 슬라이더(8)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9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조작 노브(9)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요동시킴에 의해, 각 레버(9r)가 지지축(1b)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 슬라이더(8)가 전후 방향(F, B)(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슬라이더(8)의 전측(F방향측)의 하면(8g)에는, 패임부(8a)가 형성되어 있다. 각 패임부(8a)에는, 상하우징(5)의 이웃하는 3개의 들보부(5a)의 피가압부(5c)가 감입한다(도 11 등).
각 패임부(8a)의 전후 방향(F, B)의 각 단부는, 각 들보부(5a)와 1대1로 대응하도록, 좌우 방향(L, R)으로 3분할되어 있다. 그 분할된 각 단부는, 도 11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임부(8a)의 중심으로부터 전후 방향(F, B)으로 감에 따라 상하우징(5)측(하측(D))으로 경사하도록 돌출한 볼록형상 단부(段部)(8c)로 되어 있다. 동일한 패임부(8a)와 연속하는 각 볼록형상 단부(8c)의 설치 위치는, 전후 방향(F, B)으로 어긋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석의 창용의 슬라이더(8(DR))에서, 볼록형상 단부(8c(DRO), 8c( DRC ), 8c( DRA ))는, 각각 운전석의 창의 오픈용 제2 가압부, 클로즈용 제2 가압부, 오토용 제2 가압부이다. 후부 우좌석의 창용의 슬라이더(8(RR)) )에서, 볼록형상 단부(8c(RRO), 8c(RRC), 8c( RRA ))는, 각각 후부 우좌석의 창의 오픈용 제2 가압부, 클로즈용 제2 가압부, 오토용 제2 가압부이다. 후부 좌좌석의 창용 슬라이더(8(RL)))에서, 볼록형상 단부(8c(RLO), 8c(RLC), 8c( RLA ))는, 각각 후부 좌좌석의 창의 오픈용 제2 가압부, 클로즈용 제2 가압부, 오토용 제2 가압부이다. 조수석의 창용의 슬라이더(8(AS))에서, 볼록형상 단부(8c(ASO), 8c(ASC), 8c(ASA))는, 각각 조수석의 창의 오픈용 제2 가압부, 클로즈용 제2 가압부, 오토용 제2 가압부이다. 상기 오픈용 제2 가압부(8c( DRO ), 8c( ASO ), 8c( RRO ), 8c( RLO )), 클로즈용 제2 가압부(8c( DRC ), 8c( ASC ), 8c(RRC), 8c( RLC )), 및 오토용 제2 가압부(8c(DRA), 8c(ASA), 8c( RRA ), 8c( RLA ))의 설치 위치는, 전후 방향(F, B)으로 어긋나 있다.
운전석과 조수석의 창용의 슬라이더(8(DR), 8(AS))의 패임부(8a)의 좌측(L)에는, 패임부(8b)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8(DR), 8(AS))의 하면(8g)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패임부(8b)의 깊이는 패임부(8a)의 깊이보다 얕게 되어 있다. 각 패임부(8b)의 전측(F)의 단부에도, 전후 방향(F, B)으로 감에 따라 상하우징(5)측(하측(D))으로 경사하도록 돌출한 볼록형상 단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볼록형상 단부와 연속하는 패임부(8b)의 저면(8d)은, 커먼용 제2 가압부(8c(CM1), 8c(CM2))이다. 커먼용 제2 가압부(8c(CM1), 8c(CM2))의 설치 위치는, 다른 제2 가압부(8c)의 설치 위치에 대해, 전후 방향(F, B)으로 어긋나 있다.
각 슬라이더(8)가 전후 방향(F, B)으로 이동함에 의해, 각 제2 가압부(8c)가 상하우징(5)의 대응하는 들보부(5a)의 피가압부(5c)를 하방으로 가압한다(도 9∼도 16).
다음에, 스위치 장치(100)의 동작을, 도 9∼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운전석의 창용의 조작 노브(9(DR)), 슬라이더(8(DR)), 들보부(5a(CM1), 5a( DRC ), 5a( DRO ), 5a( DRA )), 선형상부(7a(CM1), 7a( DRC ), 7a( DRO ), 7a( DRA )), 가동 접점(Y(CM1), Y( DRC ), Y( DRO ), Y( DRA )), 및 고정 접점(X(CM1), X( DRC ), X( DRO ), X( DRA ))의 동작을 예로 설명하는데, 타석(他席)의 창용의 각 부분의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비조작시>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노브(9(DR))가 중립(비조작) 상태에 있을 때는, 레버(9r)가 연직한 자세에 있고, 슬라이더(8(DR))가 중립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중립시에,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우징(5)의 커먼용 들보부(5a(CM1))의 피가압부(5c)가, 슬라이더(8(DR))의 패임부(8b)에 감입하여 있다. 이 때, 커먼용 들보부(5a(CM1))의 피가압부(5c)가, 커먼용 제2 가압부(8c(CM1))의 단하면(段下面)(패임부(8b)의 저면)(8d)에 가압되어, 커먼용 들보부(5a(CM1))가 하방(D)으로 휘어 있다. 그리고, 커먼용 들보부(5a(CM1))의 제1 가압부(5b)가, 콘택트(7)의 커먼용 선형상부(7a(CM1))의 중간부를 가압하여, 커먼용 선형상부(7a(CM1))가 하방(D)으로 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먼용 선형상부(7a(CM1))의 선단에 있는 커먼용 가동 접점(Y(CM1))이, 기판(3)의 커먼용 고정 접점(X(CM1))에 접촉하고 있다. 즉, 커먼용 가동 접점(Y(CM1))과 커먼용 고정 접점(X(CM1))이 폐로(閉路)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중립시에, 도 11(a), 도 15(a), 및 도 12a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우징(5)의 오픈용 들보부(5a( DRO )), 클로즈용 들보부(5a( DRC )), 및 오토용 들보부(5a(DRA))의 각 피가압부(5c)가, 슬라이더(8(DR))의 패임부(8a)에 감입하여 있다. 이 때, 그들 각 피가압부(5c)는 패임부(8a)의 저면에 접하여 있지만, 각 들보부(5a(DRO), 5a(DRC), 5a( DRA ))는 하방(D)으로 휘어 있지 않다. 또한, 각 들보부(5a(DRO), 5a(DRC), 5a( DRA ))의 제1 가압부(5b)는, 콘택트(7)의 오픈용 선형상부(7a( DRO )), 클로즈용 선형상부(7a( DRC )), 및 오토용 선형상부(7a( DRA ))의 각 중간부에 접하여 있지만, 각 선형상부(7a(DRO), 7a( DRC ), 7a( DRA ))는 하방(D)으로 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각 선형상부(7a(DRO), 7a( DRC ), 7a( DRA ))의 선단에 있는 오픈용 가동 접점(Y( DRO )), 클로즈용 가동 접점(Y( DRC )), 및 오토용 가동 접점(Y( DRA ))이, 기판(3)의 오픈용 고정 접점(X( DRO )), 클로즈용 고정 접점(X( DRC )), 및 오토용 고정 접점(X( DRA ))으로부터 이간하여 있다. 즉, 이들 각 가동 접점(Y( DRO ), Y( DRC ), Y( DRA ))과 각 고정 접점(X( DRO ), X( DRC ), X( DRA ))이 각각 개로(開路) 상태로 되어 있다.
도 8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커먼용 접점(Y(CM1), X(CM1))이 폐로 상태이고, 또한 그 밖의 접점(Y( DRO ), X( DRO ), Y( DRC ), X( DRC ), Y( DRA ), X( DRA ))이 개로 상태인 때는, CPU(11)가 운전석의 창이 개폐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CPU(11)는, 운전석의 창의 창유리를 개폐 작동시키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매뉴얼 개조작시>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노브(9(DR))의 전두부(9f)를 압하하여, 조작 노브(9(DR))를 개방향(도 9(b)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제1 단계 조작하면, 조작 노브(9(DR))의 요동에 수반하여 레버(9r)가 개방향으로 회동하여, 소정 각도만큼 앞으로 기운다. 그러면, 레버(9r)의 하단부에 의해 슬라이더(8(DR))의 후부가 후방(B)으로 끌려져서, 도 9(b), 도 10(b), 도 11(b), 및 도 12a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8(DR))가 후방(B)으로 소정량 이동한다.
이와 같은 제1 단계의 개동작시에,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먼용 들보부(5a(CM1))의 피가압부(5c)가, 커먼용 제2 가압부(8c(CM1))의 경사한 단차면(8e)에 가압되어, 커먼용 들보부(5a(CM1))가 더욱 하방(D)으로 휜다. 그리고, 커먼용 들보부(5a(CM1))의 제1 가압부(5b)가, 커먼용 선형상부(7a(CM1))의 중간부를 더욱 하방(D)으로 가압하여, 커먼용 선형상부(7a(CM1))가 더욱 하방(D)으로 휜다. 이 때문에, 커먼용 가동 접점(Y(CM1))이 커먼용 고정 접점(X(CM1))에 대해 활주하고, 양 접점(Y(CM1), X(CM1))의 접촉력이 증대한다. 또한, 양 접점(Y(CM1), X(CM1))의 폐로 상태는 계속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의 개동작시에,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픈용 들보부(5a(DRO))의 피가압부(5c)가, 오픈용 제2 가압부(8c(DRO))의 경사한 단차면(8f)를 활주하면서, 그 단차면(8f)에 가압되어, 오픈용 들보부(5a(DRO))가 하방(D)으로 휜다. 그리고, 오픈용 들보부(5a(DRO))의 제1 가압부(5b)가, 오픈용 선형상부(7a( DRO ))의 중간부를 하방(D)으로 가압하여, 오픈용 선형상부(7a( DRO ))가 하방(D)으로 휜다. 이 때문에, 오픈용 가동 접점(Y( DRO ))이 오픈용 고정 접점(X( DRO ))에 활주하면서 접촉한다. 즉, 오픈용 가동 접점(Y(DRO))과 오픈용 고정 접점(X(DRO))이 폐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1 단계의 개동작시에, 도 12a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토용 들보부(5a(DRA))의 피가압부(5c)는, 슬라이더(8(DR))의 패임부(8a)에 계속 감입하고, 오토용 제2 가압부(8c(DRA))의 경사한 단차면(8f)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즉, 오토용 들보부(5a(DRA))의 피가압부(5c)는, 오토용 제2 가압부(8c(DRA))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오토용 들보부(5a(DRA))가 하방(D)으로 휘는 일은 없고, 오토용 선형상부(7a( DRA ))도 하방(D)으로 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오토용 가동 접점(Y(DRA))은 오토용 고정 접점(X( DRA ))으로부터 계속 이간한다. 즉, 오토용 가동 접점(Y(DRA))과 오토용 고정 접점(X(DRA))이 개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의 개동작시에, 도시를 생략하지만, 클로즈용 들보부(5a(DRC))의 피가압부(5c)는, 슬라이더(8(DR))의 패임부(8a)에 계속 감입하고, 클로즈용 제2 가압부(8c(DRC))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클로즈용 가동 접점(Y(DRC))이 클로즈용 고정 접점(X( DRC ))으로부터 계속 이간하고, 그 양 접점(Y( DRC ), X(DRC))이 개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커먼용 접점(Y(CM1), X(CM1))과 오픈용 접점(Y(DRO), X( DRO ))이 폐로 상태이고, 또한 그 밖의 접점(Y( DRC ), X( DRC ), Y( DRA ), X( DRA ))이 개로 상태인 때는, CPU(11)가 운전석의 창이 매뉴얼 개조작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CPU(11)는, 접점(Y(CM1), X(CM1), Y( DRO ), X( DRO ))의 폐로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 대응하는 전동기를 구동하여, 운전석의 창의 창유리를 개작동시킨다.
<오토 개조작시(開操作時)>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노브(9(DR))의 전두부(9f)를 더욱 압하하여, 조작 노브(9(DR))를 개방향으로 제2 단계 조작하면, 레버(9r)가 개방향으로 더욱 회동하여, 더욱 소정 각도만큼 앞으로 기운다. 그러면, 레버(9r)의 하단부에 의해 슬라이더(8(DR))의 후부가 더욱 후방(B)으로 끌려져서, 도 9(c), 도 10(c), 도 11(c), 및 도 12b(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8(DR))가 후방(B)으로 더욱 소정량 이동한다.
이와 같은 제2 단계의 개동작시에,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먼용 들보부(5a(CM1))의 피가압부(5c)가, 커먼용 제2 가압부(8c(CM1))의 단상면(段上面)(슬라이더(8(DR))의 하면)(8g)을 활주하면서, 그 단상면(8g)에 가압되어, 커먼용 들보부(5a(CM1))가 하방(D)으로 휜다. 또한, 커먼용 들보부(5a(CM1))의 제1 가압부(5b)가, 커먼용 선형상부(7a(CM1))의 중간부를 가압하여, 커먼용 선형상부(7a(CM1))가 하방(D)으로 휜다. 이 때문에, 커먼용 가동 접점(Y(CM1))가 커먼용 고정 접점(X(CM1))에 계속 접촉하여, 양 접점(Y(CM1), X(CM1))의 폐로 상태가 계속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의 개동작시에,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픈용 들보부(5a(DRO))의 피가압부(5c)가, 오픈용 제2 가압부(8c(DRO))의 단상면(8g)를 활주하면서, 그 단상면(8g)에 가압되어, 오픈용 들보부(5a(DRO))가 하방(D)으로 휜다. 또한, 오픈용 들보부(5a(DRO))의 제1 가압부(5b)가, 오픈용 선형상부(7a(DRO))의 중간부를 가압하여, 오픈용 선형상부(7a( DRO ))가 하방(D)으로 휜다. 이 때문에, 오픈용 가동 접점(Y( DRO ))이 오픈용 고정 접점(X( DRO ))에 계속 접촉하고, 양 접점(Y( DRO ), X( DRO ))의 폐로 상태가 계속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의 개동작시에, 도 12b(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토용 들보부(5a(DRA))의 피가압부(5c)가, F방향측의 오토용 제2 가압부(8c(DRA))의 경사한 단차면(8f)를 활주하면서, 그 단차면(8f)에 가압되어, 오토용 들보부(5a(DRA))가 하방(D)으로 휜다. 그리고, 오토용 들보부(5a(DRA))의 제1 가압부(5b)가, 오토용 선형상부(7a(DRA))의 중간부를 하방(D)으로 가압하여, 오토용 선형상부(7a( DRA ))가 하방(D)으로 휜다. 이 때문에, 오토용 가동 접점(Y(DRA))가 오토용 고정 접점(X( DRA ))에 활주하면서 접촉한다. 즉, 오토용 가동 접점(Y(DRA))와 오토용 고정 접점(X( DRA ))이 폐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2b(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토용 들보부(5a(DRA))의 피가압부(5c)가, F방향측의 오토용 제2 가압부(8c(DRA))의 단상면(8g)에 올라타서, 그 단상면(8g)에 가압되면, 오토용 들보부(5a(DRA))가 더욱 하방(D)으로 휘고, 오토용 들보부(5a(DRA))의 제1 가압부(5b)에 가압된 오토용 선형상부(7a( DRA ))가 더욱 하방(D)으로 휜다. 이 때문에, 오토용 가동 접점(Y(DRA))가 오토용 고정 접점(X( DRA ))에 활주하면서 계속 접촉하고, 그 양 접점(Y(DRA), X(DRA))의 폐로 상태가 계속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의 개동작시에, 도시를 생략하지만, 클로즈용 들보부(5a(DRC))의 피가압부(5c)는, 슬라이더(8(DR))의 패임부(8a)에 계속 감입하고, 클로즈용 제2 가압부(8c(DRC))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클로즈용 가동 접점(Y(DRC))과 클로즈용 고정 접점(X(DRC))의 개로 상태가 유지된다.
도 8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커먼용 접점(Y(CM1), X(CM1))과 오픈용 접점(Y(DRO), X( DRO ))과 오토용 접점(Y( DRA ), X( DRA ))이 폐로 상태이고, 또한 그 밖의 접점(Y(DRC), X( DRC ))이 개로 상태인 때는, CPU(11)가 운전석의 창이 오토 개조작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CPU(11)는, 대응하는 전동기를 구동하여, 운전석의 창의 창유리를 전개(全開) 위치까지 개작동시킨다.
<매뉴얼 폐조작시>
도 1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노브(9(DR))의 전두부(9f)를 끌어올려서, 조작 노브(9(DR))를폐 방향(도 13(d)에서 시계방향)으로 제1 단계 조작하면, 레버(9r)이 폐 방향으로 회동하여, 소정 각도만큼 후경한다. 그러면, 레버(9r)의 하단부에 의해 슬라이더(8(DR))의 후부가 전방(F)으로 밀어보내져서, 도 13(d), 도 14(d), 도 15(d), 및 도 1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8(DR))가 전방(F)으로 소정량 이동한다.
이와 같은 제1 단계의 폐동작시에, 도 1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먼용 들보부(5a(CM1))의 피가압부(5c)가, 슬라이더(8(DR))의 패임부(8b)에 감입하고, 커먼용 제2 가압부(8c(CM1))의 단하면(8d)에 계속 가압된다. 이 때문에, 커먼용 들보부(5a(CM1))가 하방(D)으로 휘어진 상태와, 커먼용 선형상부(7a(CM1))가 하방(D)으로 휘어진 상태가 계속되어, 커먼용 가동 접점(Y(CM1))과 커먼용 고정 접점(X(CM1))이 계속 접촉한다. 즉, 양 접점(Y(CM1), X(CM1))의 폐로 상태가 계속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의 폐동작시에, 도 1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로즈용 들보부(5a(DRC))의 피가압부(5c)가, 클로즈용 제2 가압부(8c(DRC))의 경사한 단차면(8f)을 활주하면서, 그 단차면(8f)에 가압되어, 클로즈용 들보부(5a(DRC))가 하방(D)으로 휜다. 그리고, 클로즈용 들보부(5a(DRC))의 제1 가압부(5b)가, 클로즈용 선형상부(7a(DRC))의 중간부를 하방(D)으로 가압하여, 클로즈용 선형상부(7a( DRC ))가 하방(D)으로 휜다. 이 때문에, 클로즈용 가동 접점(Y( DRC ))이 클로즈용 고정 접점(X(DRC))에 활주하면서 접촉한다. 즉, 클로즈용 가동 접점(Y( DRC ))과 클로즈용 고정 접점(X(DRC))이 폐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의 폐동작시에, 도 1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토용 들보부(5a(DRA))의 피가압부(5c)가, 슬라이더(8(DR))의 패임부(8a)에 계속 감입하고, 오토용 제2 가압부(8c(DRA))의 단차면(8f)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즉, 오토용 들보부(5a(DRA))의 피가압부(5c)가, 오토용 제2 가압부(8c(DRA))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오토용 들보부(5a(DRA))와 오토용 선형상부(7a( DRA ))가 하방(D)으로 휘는 일은 없고, 오토용 가동 접점(Y( DRA ))이 오토용 고정 접점(X( DRA ))으로부터 계속 이간한다. 즉, 오토용 가동 접점(Y(DRA))와 오토용 고정 접점(X( DRA ))이 개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의 폐동작시에, 도시를 생략하지만, 오픈용 들보부(5a(DRO))의 피가압부(5c)는, 슬라이더(8(DR))의 패임부(8a)에 계속 감입하고, 오픈용 제2 가압부(8c(DRO))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오픈용 가동 접점(Y(DRO))이 오픈용 고정 접점(X( DRO ))으로부터 계속 이간하고, 그 양 접점(Y( DRO ), X(DRO))이 개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커먼용 접점(Y(CM1), X(CM1))과 클로즈용 접점(Y(DRC), X( DRC ))이 폐로 상태이고, 또한 그 밖의 접점(Y( DRO ), X( DRO ), Y( DRA ), X( DRA ))이 개로 상태인 때는, CPU(11)가 운전석의 창이 매뉴얼폐조작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CPU(11)는, 접점(Y(CM1), X(CM1), Y( DRC ), X( DRC ))의 폐로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 대응하는 전동기를 구동하여, 운전석의 창의 창유리를 폐작동시킨다.
<오토 폐조작시>
도 13(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노브(9(DR))의 전두부(9f)를 더욱 끌어올려서, 조작 노브(9(DR))를 폐방향으로 제2 단계 조작하면, 레버(9r)가 폐방향으로 더욱 회동하여, 더욱 소정 각도만큼 후경한다. 그러면, 레버(9r)의 하단부에 의해 슬라이더(8(DR))의 후부가 더욱 전방(F)으로 밀어보내져서, 도 13(e), 도 14(e), 도 15(e), 및 도 16(d'),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8(DR))가 전방(F)으로 더욱 소정량 이동한다.
이와 같은 제2 단계의 폐동작시에, 도 14(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먼용 들보부(5a(CM1))의 피가압부(5c)가, 슬라이더(8(DR))의 패임부(8b)에 감입하고, 커먼용 제2 가압부(8c(CM1))의 단하면(8d)에 계속 가압된다. 이 때문에, 커먼용 들보부(5a(CM1))와 커먼용 선형상부(7a(CM1))의 하방(D)으로 휘어진 상태가 계속되고, 커먼용 가동 접점(Y(CM1))과 커먼용 고정 접점(X(CM1))이 계속 접촉하고, 그 양 접점(Y(CM1), X(CM1))의 폐로 상태가 계속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의 폐동작시에, 도 15(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로즈용 들보부(5a(DRC))의 피가압부(5c)가, 클로즈용 제2 가압부(8c(DRC))의 단상면(8g)를` 활주하면서, 그 단상면(8g)에 가압되어, 클로즈용 들보부(5a(DRC))가 하방(D)으로 휜다. 또한, 클로즈용 들보부(5a(DRC))의 제1 가압부(5b)가, 클로즈용 선형상부(7a( DRC ))의 중간부를 가압하여, 클로즈용 선형상부(7a( DRC ))가 하방(D)으로 휜다. 이 때문에, 클로즈용 가동 접점(Y( DRC ))이 클로즈용 고정 접점(X( DRC ))에 계속 접촉하고, 양 접점(Y(DRC), X(DRC))의 폐로 상태가 계속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의 폐동작시에, 도 1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토용 들보부(5a(DRA))의 피가압부(5c)가, B방향측의 오토용 제2 가압부(8c(DRA))의 단차면(8f)를 활주하면서, 그 단차면(8f)에 가압되어, 오토용 들보부(5a(DRA))가 하방(D)으로 휜다. 그리고, 오토용 들보부(5a(DRA))의 제1 가압부(5b)가, 오토용 선형상부(7a(DRA))의 중간부를 하방(D)으로 가압하여, 오토용 선형상부(7a( DRA ))가 하방(D)으로 휜다. 이 때문에, 오토용 가동 접점(Y( DRA ))이 오토용 고정 접점(X( DRA ))에 활주하면서 접촉한다. 즉, 오토용 가동 접점(Y( DRA ))과 오토용 고정 접점(X( DRA ))이 폐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6(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토용 들보부(5a(DRA))의 피가압부(5c)가, B방향측의 오토용 제2 가압부(8c(DRA))의 단상면(8g)에 올라타서, 그 단상면(8g)에 가압되면, 오토용 들보부(5a(DRA))가 더욱 하방(D)으로 휘고, 오토용 들보부(5a(DRA))의 제1 가압부(5b)에 가압된 오토용 선형상부(7a( DRA ))가 더욱 하방(D)으로 휜다. 이 때문에, 오토용 가동 접점(Y( DRA ))이 오토용 고정 접점(X( DRA ))에 활주하면서 계속 접촉하고, 그 양 접점(Y(DRA), X(DRA))의 폐로 상태가 계속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의 폐동작시에, 도시를 생략하지만, 오픈용 들보부(5a(DRO))의 피가압부(5c)는, 슬라이더(8(DR))의 패임부(8a)에 계속 감입하고, 오픈용 제2 가압부(8c(DRO))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오픈용 가동 접점(Y(DRO))과 오픈용 고정 접점(X(DRO))의 개로 상태가 유지된다.
도 8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커먼용 접점(Y(CM1), X(CM1))과 클로즈용 접점(Y(DRC), X( DRC ))과 오토용 접점(Y( DRA ), X( DRA ))이 폐로 상태이고, 또한 그 밖의 접점(Y(DRO), X( DRO ))이 개로 상태인 때는, CPU(11)가 운전석의 창이 오토 폐조작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CPU(11)는, 대응하는 전동기를 구동하여, 운전석의 창의 창유리를 전폐 위치까지 폐작동시킨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고정 접점(X)이 기판(3)의 좌우 방향(L, R)으로 병설되고, 각 고정 접점(X)의 상방(U)에서 가동 접점(Y)이 대향하도록, 콘택트(7)를 하우징(5, 6)으로 유지하고 있다. 즉, 복수의 고정 접점(X) 및 복수의 가동 접점(Y)을 각각 좌우 방향(L, R)우로 나열하도록 기판(3)에 집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접점을 전후 방향(F, B)과 좌우 방향(L, R)으로 분산시켜서 기판에 마련하는 경우보다도, 스위치 장치(100)의 기판(3)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8)를 전후 방향(F, B)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슬라이더(8)의 각 제2 가압부(8c)가 상하우징(5)의 각 피가압부(5c)를 가압하여, 상하우징(5)의 각 들보부(5a)가 하방(D)으로 휜다. 그리고, 상하우징(5)의 각 제1 가압부(5b)가 콘택트(7)의 각 선형상부(7a)를 가압하여, 각 선형상부(7a)가 하방(D)으로 휘고, 콘택트(7)의 각 가동 접점(Y)이 각 고정 접점(X)에 대해 접촉한다. 이 접촉시에, 각 가동 접점(Y)이 각 고정 접점(X)에 대해 활주하기 때문에, 양 접점(Y, X)의 표면이 청정화되고, 양 접점(Y, X)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커먼용 접점(X, Y) 이외는, 통상의 중립시에, 가동 접점(Y)을 기판(3)과 고정 접점(X)에 대해 이간시켜 두고, 슬라이더(8)가 이동한 때에, 가동 접점(Y)을 기판(3)과 고정 접점(X)에 대해 접촉시키기 때문에, 이들 각 접점(X, Y)과 기판(3)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접점(X)과 가동 접점(Y)을 조작 노브(9)의 직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마련하고, 슬라이더(8)를 조작 노브(9)의 직하로부터 상하우징(5)의 직상에 이르도록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 노브(9)를 조작함에 의해, 레버(9r)가 회동하여, 슬라이더(8)를 전후 방향(F, B)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접점(X)과 가동 접점(Y)을 조작 노브(9)의 직하로부터 벗어난 임의의 위치에 일렬로 배열하여, 기판(3)을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조작 노브(9)의 직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노브(9)의 직하에 있는 상케이스(1)의 후부를 높이 방향(U, D)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X)과 가동 접점(Y)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더(8)의 전후 방향(F, B)으로의 이동길이에 응하여, 제2 가압부(8c)가 상하우징(5)의 피가압부(5c)를 하방(D)으로 누를 때의 압하길이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8)의 전후 방향(F, B)으로의 이동길이에 응하여, 상하우징(5)의 들보부(5a)의 휘는 양과 콘택트(7)의 선형상부(7a)의 휘는 양이 변화하고, 기판(3)과 고정 접점(X)에 대한 가동 접점(Y)의 접촉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8)의 전후 방향(F, B)으로의 이동에 응하여, 상하우징(5)의 들보부(5a)와 콘택트(7)의 선형상부(7a)가 하방(D)으로 휘고, 콘택트(7)의 가동 접점(Y)을 고정 접점(Y)에 꽉눌러서 활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더(8)의 제2 가압부(8c)는, 전후 방향(F, B)으로 감에 따라 상하우징(5)측으로 경사하도록 돌출한 볼록형상 단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하우징(5)의 피가압부(5c)는, 슬라이더(8) 측으로 돌출한 볼록형상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제2 가압부(8c)와 피가압부(5c)를 매끈하게 활주시키면서, 상하우징(5)의 들보부(5a)를 안정하게 하방(D)으로 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하우징(5)의 제1 가압부(5b)는, 콘택트(7)측으로 돌출한 볼록형상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제1 가압부(5b)와 콘택트(7)의 선형상부(7a)를 매끈하게 활주시키면서, 선형상부(7a)를 안정하게 하방(D)으로 휘게 하여, 가동 접점(Y)을 고정 접점(X)에 활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더(8)의 오픈용 제2 가압부, 클로즈용 제2 가압부, 오토용 제2 가압부, 및 커먼용 제2 가압부의 각 설치 위치가, 전후 방향(F, B)으로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노브(9)를 개폐 방향으로 제1 단계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더(8)가 전후 방향(F, B)으로 소정량 이동하고, 오픈용 또는 클로즈용의 제2 가압부가 오픈용 또는 클로즈용의 들보부를 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오픈용 또는 클로즈용의 들보부가 오픈용 또는 클로즈용의 선형상부를 휘게 하여, 오픈용 또는 클로즈용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노브(9)를 개폐 방향으로 제2 단계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더(8)가 전후 방향(F, B)으로 더욱 소정량 이동하여, 오토용 제2 가압부가 오토용 들보부를 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오토용 들보부가 오토용 선형상부를 휘게 하고, 오토용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접촉시킬 수 있다. 즉, 조작 노브(9)의 단계적인 조작에 의해, 복수쌍의 가동 접점(Y)과 고정 접점(X)를 순번대로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먼용 제2 가압부가 커먼용 들보부의 피가압부를 항상 가압하여, 커먼용 들보부의 제1 가압부가 커먼용 선형상부를 항상 가압함에 의해, 커먼용의 가동 접점(Y(CM1), Y(CM2))과 고정 접점(X(CM1), X(CM2))을 상폐 접점으로 하고 있다. 또한, 조작 노브(9)의 중립시는, 그 밖의 제2 가압부에서 들보부의 피가압부를 가압하지 않고, 그 들보부의 제1 가압부로 선형상부를 가압하지 않기 때문, 그 밖의 가동 접점(Y)과 고정 접점(X)은 상개 접점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커먼용 고정 접점(X(CM1), X(CM2))을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그 밖의 고정 접점(X)를 전원(VCC)에 접속하고, 각 가동 접점(Y)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 때문에, 커먼용의 고정 접점(X(CM1), X(CM2))과 가동 접점(Y(CM1), Y(CM2))을 조작 노브(9)마다 마련할 필요는 없고, 커먼용의 고정 접점(X(CM1), X(CM2))과 가동 접점(Y(CM1), Y(CM2))의 수를 감소시켜, 기판(3)을 한층 소형화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조작 노브(9)가 4개 있는 것에 대해, 커먼용의 고정 접점(X(CM1), X(CM2))과 가동 접점(Y(CM1), Y(CM2))을 2개씩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조작 노브(9) 중 가장 조작 빈도가 높은 운전석의 창용의 조작 노브(9(DR))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폐 접점인 커먼용의 가동 접점(Y(CM1))이 고정 접점(X(CM1))에 대해 활주한다. 또한, 상세 설명은 생략했지만, 다음으로 조작 빈도가 높은 조수석의 창용의 조작 노브(9(AS))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폐 접점인 커먼용의 가동 접점(Y(CM2))이 고정 접점(X(CM2))에 대해 활주한다. 이 때문에, 상폐 접점인 커먼용의 가동 접점(Y(CM1), Y(CM2))이 고정 접점(X(CM1), X(CM2))에 대해 각각 빈번하게 활주하기 때문에, 그 양 접점(Y(CM1), Y(CM2), X(CM1), X(CM2))의 표면이 청정화되고, 이들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커먼용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2쌍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일방의 커먼용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에 접촉 불량이 생겨도, 타방의 커먼용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하고 있으면, 다른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개로 상태 또는 폐로 상태를 CPU(11)에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이외에도 여러가지의 실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우징(5)의 들보부(5a)와 콘택트(7)의 선형상부(7a)를, 각각 편측지지 들보 구조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 이외에, 예를 들면, 하우징이나 콘택트를 휘기 쉬운 재료로 형성하여, 들보부나 선형상부를 양단 지지들보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가동 접점은, 선형상부의 선단 하면에 마련하는 이외에, 예를 들면 선형상부의 중간부의 하면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가압부, 들보부, 선형상부,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을 각각 1대1의 대응 관계로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 이외에, 제2 가압부, 들보부, 선형상부,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타(他)를, 1대 복수의 대응 관계로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노브(9)를 4개 마련한 스위치 장치(100)를 예에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 이외에, 예를 들면 조작 노브를 하나 또는 2개 마련한 스위치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매뉴얼 개폐 기능과 오토 개폐 기능의 양쪽을 갖는 스위치 장치(100)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매뉴얼 개폐 기능만을 갖는 스위치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커먼용의 가동 접점(Y(CM1), Y(CM2))과 고정 접점(X(CM1), X(CM2))을 2개씩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 이외에, 예를 들면 커먼용의 가동 접점(Y(CM2))과 고정 접점(X(CM2))을 생략하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먼용의 가동 접점(Y(CM1))과 고정 접점(X(CM1))만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4∼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씩 마련한 커먼용의 제2 가압부(8c(CM1), 8c(CM2)), 들보부(5a(CM1), 5a(CM2)), 및 선형상부(7a(CM1), 7a(CM2)) 중, 각각 일방의 제2 가압부(8c(CM2)), 들보부(5a(CM2)), 및 선형상부(7a(CM2))도 생략하여, 기판(3)이나 접점 모듈(4) 등을 좌우 방향(L, R)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4륜차의 운전석, 조수석, 및 후부 좌우 좌석의 각 창을 각각 개폐하는 스위치 장치(100)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들었지만, 이 이외의 스위치 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각 구성 부재의 사용 수는 이상의 실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스위치 장치의 기능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3 : 기판 5 : 상하우징
5a : 들보부 5b : 제1가압부
5c : 피가압부 6 : 하하우징
7 : 콘택트 7a : 선형상부
7b : 근원부 8 : 슬라이더
8c : 제2가압부 9 : 조작노브
9(DR) : 운전석의 창용의 조작노브
9(AS) : 조수석의 창용의 조작노브
9r : 레버 100 : 스위치장치
X : 고정접점 Y : 가동접점
F, B : 전후방향(제2방향) L, R : 좌우방향(제1방향)
U, D : 상하방향 VCC : 전원

Claims (6)

  1. 복수의 고정 접점이 제1 방향으로 병설된 기판과,
    하면에 가동 접점이 형성된 탄성을 갖는 복수의 선형상부가 마련된 콘택트와,
    상기 각 고정 접점과 상기 각 가동 접점이 대향하도록, 상기 콘택트의 근원부를 유지하고, 상기 각 선형상부의 상방에 탄성을 갖는 복수의 들보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제1 방향과 상하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마련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각 들보부의 하면에는, 상기 각 선형상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부가 마련되고, 상기 각 들보부의 상면에는, 피가압부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각 피가압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제2 가압부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상기 제2 가압부가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들보부가 하방으로 휘고, 상기 제1 가압부가 상기 선형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선형상부가 하방으로 휘고,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요동 가능한 조작 노브와,
    상단부가 상기 조작 노브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 레버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조작 노브의 직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조작 노브의 직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직상에 이르도록 마련되고,
    상기 조작 노브를 조작함에 의해, 상기 레버가 회동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길이에 응하여, 상기 제2 가압부가 상기피가압부를 하방으로 가압할 때의 압하길이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슬라이더측으로 돌출한 볼록형상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감에 따라 상기 하우징측으로 경사하도록 돌출한 볼록형상 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가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압부의 설치 위치는, 다른 제2 가압부의 설치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어긋나 있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함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압부가 대응하는 상기피가압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2 방향으로 더욱 소정량 이동함에 의해, 상기 다른 제2 가압부가 대응하는 상기 피가압부를 더욱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가압부가 상기 피가압부를 항상 가압하여, 상기 제1 가압부가 상기 선형상부를 항상 가압함에 의해, 적어도 한 쌍의 상기 가동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이 상폐 접점으로 되어, 당해 고정 접점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고,
    그 밖의 쌍을 이루는 상기 가동 접점 및 상기 고정 접점은 상개 접점으로 되어, 당해 고정 접점은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요동 가능한 복수의 조작 노브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조작 노브 중 조작 빈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조작 노브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상폐 접점의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해 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160061996A 2015-05-25 2016-05-20 스위치 장치 KR201601383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5135A JP6304770B2 (ja) 2015-05-25 2015-05-25 スイッチ装置
JPJP-P-2015-105135 2015-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350A true KR20160138350A (ko) 2016-12-05

Family

ID=5739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996A KR20160138350A (ko) 2015-05-25 2016-05-20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41510B2 (ko)
JP (1) JP6304770B2 (ko)
KR (1) KR20160138350A (ko)
CN (1) CN106206135B (ko)
DE (1) DE10201620916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6132A (en) 1979-04-04 1980-10-23 Tanaka Kikinzoku Kogyo Kk Glass melting crucible
JPH09245565A (ja) 1996-03-07 1997-09-19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700721A (nl) * 1976-03-17 1977-09-20 Tektronix Inc Schakelinrichting.
JPH02828Y2 (ko) * 1979-03-22 1990-01-10
US5065276A (en) * 1990-01-29 1991-11-12 Been-Chiu Liaw Tri-state dip switch
JP3259883B2 (ja) * 1994-12-20 2002-02-25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スイッチの組付け構造
JP3967430B2 (ja) * 1997-09-02 2007-08-29 東洋電装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用モータ制御装置
US6657316B1 (en) * 1998-12-23 2003-12-02 Johnson Contols Interiors Technology Corporation Window control apparatus
JP4047034B2 (ja) * 2002-02-27 2008-02-13 ナイル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2008004322A (ja) * 2006-06-21 2008-01-10 Omron Corp スイッチ
JP4882842B2 (ja) * 2007-04-10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5615326B2 (ja) * 2012-08-08 2014-10-29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携帯機の位置判定システム、携帯機の位置判定方法、携帯機の位置判定装置
JP6113031B2 (ja) * 2013-09-06 2017-04-12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ウスイッチ、オート開閉機能付き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2015105135A (ja) 2013-12-02 2015-06-08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用シュ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6132A (en) 1979-04-04 1980-10-23 Tanaka Kikinzoku Kogyo Kk Glass melting crucible
JPH09245565A (ja) 1996-03-07 1997-09-19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06135A (zh) 2016-12-07
US20160351361A1 (en) 2016-12-01
DE102016209166A1 (de) 2017-01-19
JP2016219336A (ja) 2016-12-22
CN106206135B (zh) 2019-06-14
JP6304770B2 (ja) 2018-04-04
US9741510B2 (en)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7090B2 (en) Switching apparatus
EP1764814B1 (en) Multidirectional switching apparatus
EP1975956B1 (en) Trigger Switch
US5689095A (en) Switching device
JP2008004322A (ja) スイッチ
JP2006338961A (ja) キースイッチ装置
EP1300859A2 (en) Switch operating mechanism
US6262379B1 (en) Switch apparatus
KR20160138350A (ko) 스위치 장치
US7525052B2 (en)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for power adjusted vehicle passenger seat
US5041703A (en) Mirror control switch for automotive vehicles
JP2007035461A (ja) 電気部品
US6756556B2 (en) Oscillating switch
US5107085A (en) Clustered push button switches having sheet metal conductors formed with contact tabs
US5111011A (en) Mirror control slide switch for automotive vehicles
EP1739792B1 (en) Circuit unit device
JP2755283B2 (ja) スイッチ装置
JP6729849B2 (ja)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KR20060112394A (ko) 자동차용 파워 시트 스위치의 컨텍트 구조
US6559400B2 (en) Switch structure for car electrical part
KR101181636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KR101271844B1 (ko) 차량 멀티 미러 스위치 유니트
GB1604432A (en) Electrical switch combination
JP2008112687A (ja) 電気機器スイッ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