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535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535A
KR20160137535A KR1020167025801A KR20167025801A KR20160137535A KR 20160137535 A KR20160137535 A KR 20160137535A KR 1020167025801 A KR1020167025801 A KR 1020167025801A KR 20167025801 A KR20167025801 A KR 20167025801A KR 20160137535 A KR20160137535 A KR 20160137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pixel
image processing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250B1 (ko
Inventor
가즈노리 가미오
다카히로 나가노
위엔 즈
히데유키 이치하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37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09G2320/029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by monitoring each display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화상의 휘도를 삭감함으로써 표시부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경우에,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결정부는,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그 화소의 휘도의 삭감량을 결정한다. 삭감부는,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삭감량만큼 입력 화상의 화소의 휘도를 삭감한다. 본 개시는, 예를 들어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그 화소의 휘도를 삭감하고, 휘도 삭감 후의 입력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본 개시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화상의 휘도를 삭감함으로써 표시부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경우에,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한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기술은,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등의 배터리로 구동하는 모바일 기기의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기술로서는, 휘도값과 백라이트의 휘도의 적산으로 관측값에 근접하도록 함으로써, 백라이트의 휘도를 최대한 낮추는 기술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기술은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등의 자발광형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는 없다.
자발광형 디스플레이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기술로서는, 화상의 휘도에 일률적으로 1보다 작은 게인을 승산함으로써 휘도를 삭감하는 기술이나, 소정의 특징을 갖는 영역의 휘도를 삭감하는 기술(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등이 있다.
그러나, 화상의 휘도에 일률적으로 1보다 작은 게인을 승산함으로써 휘도를 삭감하는 기술에서는, 화상이 전체적으로 어둡게 되어 버린다. 또한, 소정의 특징을 갖는 영역의 휘도를 삭감하는 기술에서는, 휘도의 삭감량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화질은 열화된다.
또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기술로서는, 톤 커브를 제어하는 기술도 있지만, 화면 전체의 콘트라스트가 지나치게 높아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049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520호 공보
이상과 같이, 화상의 휘도를 삭감함으로써 표시부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경우, 화질은 열화된다.
본 개시는,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화상의 휘도를 삭감함으로써 표시부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경우에,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측면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그 화소의 휘도의 삭감량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삭감량만큼 상기 화소의 휘도를 삭감하는 삭감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본 개시의 일측면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은, 본 개시의 일측면의 화상 처리 장치에 대응한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있어서는,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그 화소의 휘도의 삭감량이 결정되고, 결정된 상기 삭감량만큼 상기 화소의 휘도가 삭감된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르면, 휘도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르면, 화상의 휘도를 삭감함으로써 표시부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경우에,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개시를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이 에지도인 경우의 삭감량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이 에지도인 경우의 삭감량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를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메타데이터가 외광량인 경우의 증폭 게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효과의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입력 화상과 출력 화상의 휘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입력 화상과 휘도의 일률 삭감 후의 입력 화상의 휘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의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를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를 적용한 텔레비전 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를 적용한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를 적용한 촬상 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전제 및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제1 실시 형태: 화상 처리 장치(도 1 내지 도 4)
2. 제2 실시 형태: 화상 처리 장치(도 5 내지 도 11)
3. 제3 실시 형태: 화상 처리 장치(도 12 및 도 13)
4. 제4 실시 형태: 컴퓨터(도 14)
5. 제5 실시 형태: 텔레비전 장치(도 15)
6. 제6 실시 형태: 휴대 전화기(도 16)
7. 제7 실시 형태: 기록 재생 장치(도 17)
8. 제8 실시 형태: 촬상 장치(도 18)
<제1 실시 형태>
(화상 처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예)
도 1은, 본 개시를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의 화상 처리 장치(10)는, 추출부(11), 결정부(12), 삭제부(13) 및 표시부(14)에 의해 구성된다. 화상 처리 장치(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이하, 입력 화상이라고 함)의 휘도를 삭감함으로써,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을 저감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 장치(10)의 추출부(11)는,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을 추출한다.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으로서는, 그 화소의 콘트라스트, 휘도, 색, 주목 영역과의 위치 관계, 화면 내의 위치, 움직임량, 대역, 에지도 등이 있다. 화소의 주목 영역과의 위치 관계란, 그 화소가 주목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에지도는, 에지 영역이나 텍스처 영역인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고주파 성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추출부(11)는, 추출된 각 화소의 특징을 결정부(12)에 공급한다.
결정부(12)는, 입력 화상의 화소마다, 추출부(11)로부터 공급되는 특징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의 표시에 관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의 휘도의 삭감량을 결정한다.
메타데이터로서는, 표시부(14)에 전력을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지의 잔량, 외광량, 밝기 조정 모드, 입력 화상의 표시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입력 화상 표시 중의 유저의 최종 조작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표시 방향, 화면 내의 표시 위치, 배경색, 문자색 등이 있다. 밝기 조정 모드로서는, 입력 화상의 휘도 변화의 허용 범위에 따라, 허용 범위가 넓은 순서대로 강, 중, 약의 모드가 있다. 결정부(12)는, 각 화소의 삭감량을 삭제부(13)에 공급한다.
삭제부(13)는, 입력 화상의 화소마다, 결정부(12)로부터 공급되는 삭감량만큼 입력 화상의 휘도를 삭감한다. 삭제부(13)는, 각 화소의 휘도가 삭감된 입력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표시부(14)에 공급한다.
표시부(14)는, 삭제부(13)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화상을 표시한다. 출력 화상의 각 화소의 휘도는,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휘도보다 작기 때문에,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은, 입력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다.
(삭감량의 제1 예)
도 2는,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이 에지도인 경우의 삭감량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횡축은 에지도를 나타내고, 종축은 삭감량을 나타낸다. 또한, 실선은, 메타데이터로서의 전지의 잔량이 적은 경우의 삭감량을 나타내고, 점선은, 전지의 잔량이 많은 경우의 삭감량을 나타낸다. 이러한 것은, 후술하는 도 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의 예에서는, 범위(D1)에 있어서 에지도가 클수록 커지고, 범위(D1) 밖에 있어서 일정하게 되도록, 삭감량이 결정된다. 또한, 전지의 잔량이 적은 경우, 많은 경우에 비하여 소정량만큼 커지도록, 삭감량이 결정된다.
따라서, 입력 화상 내의 휘도의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는 에지 영역이나 텍스처 영역의 삭감량은, 휘도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평탄 영역에 비하여 커진다. 또한, 전지의 잔량이 적고,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을 보다 삭감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지의 잔량이 많은 경우에 비하여 삭감량은 커진다.
(삭감량의 제2 예)
도 3은,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이 에지도인 경우의 삭감량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예에서는,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범위(D1)에 있어서 에지도가 클수록 커지고, 범위(D1) 밖에 있어서 일정하게 되도록, 삭감량이 결정된다. 그러나, 전지의 잔량에 의한 삭감량의 차분은, 범위(D1)에 있어서 에지도가 클수록 크게 된다. 또한, 범위(D1)보다 작은 에지도의 화소의 전지의 잔량에 의한 삭감량의 차분은, 범위(D1)보다 큰 에지도의 화소의 차분에 비하여 작다.
도 3의 경우도,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입력 화상 내의 휘도의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는 에지 영역이나 텍스처 영역의 삭감량은, 휘도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평탄 영역에 비하여 커진다. 또한, 전지의 잔량이 적고,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을 보다 삭감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지의 잔량이 많은 경우에 비하여 삭감량은 커진다.
이상에 의해,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이 에지도이고, 메타데이터가 전지의 잔량인 경우, 화상 처리 장치(10)의 출력 화상에서는, 화상의 휘도에 일률적으로 1보다 작은 게인을 승산함으로써 휘도를 삭감한 화상에 비하여 평탄 영역이 밝아진다. 따라서, 전체의 인상이 밝아진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0)의 출력 화상에서는, 화상의 휘도에 일률적으로 1보다 작은 게인을 승산함으로써 휘도를 삭감한 화상에 비하여 텍스처 영역이나 에지 영역이 어두워진다. 따라서, 텍스처 영역이나 에지 영역이 선명하게 보인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이 에지도이고, 메타데이터가 전지의 잔량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특징 및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들에 기초하여 삭감량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으로서의 콘트라스트가 높고, 휘도가 작고, 색이 선명하고, 주목 영역과의 위치 관계가 주목 영역 밖에 있음을 나타내고, 화면 내의 위치가 밑이거나, 또는 움직임량이 적은 화소, 즉 휘도의 변화가 두드러지기 어려운 화소일수록, 삭감량이 크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로서의 외광량이 적은 경우나, 밝기 조정 모드가 강의 모드인 경우, 삭감량은 크게 된다.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의 설명)
도 4는, 도 1의 화상 처리 장치(10)의 화상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화상 처리는, 예를 들어 입력 화상이 화상 처리 장치(10)에 입력되었을 때, 개시된다.
도 4의 스텝 S11에 있어서, 화상 처리 장치(10)의 추출부(11)는,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각 화소의 특징을 결정부(12)에 공급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결정부(12)는, 입력 화상의 화소마다, 추출부(11)로부터 공급되는 특징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의 휘도의 삭감량을 결정한다. 결정부(12)는, 각 화소의 삭감량을 삭제부(13)에 공급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삭제부(13)는, 입력 화상의 화소마다, 결정부(12)로부터 공급되는 삭감량만큼 입력 화상의 휘도를 삭감한다. 삭제부(13)는, 각 화소의 휘도가 삭감된 입력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표시부(14)에 공급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표시부(14)는, 삭제부(13)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화상 처리 장치(10)는, 입력 화상의 화소마다, 그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삭감량을 결정하고, 그 삭감량만큼 휘도를 삭감한다.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10)는, 휘도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화소의 특징에 대응하는 삭감량을 작게 함으로써, 출력 화상의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0)는,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휘도를 삭감한 출력 화상을 표시부(14)에 표시하므로,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즉, 화상 처리 장치(10)는, 입력 화상의 휘도를 삭감함으로써 표시부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경우에,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삭제부(13)는, 화상 처리 장치(10)의 동작 모드에 따라 휘도를 삭감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삭제부(13)는, 동작 모드가,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모드인 경우에만, 휘도를 삭감하도록 해도 된다. 동작 모드는,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설정되거나, 전지의 잔량에 따라 결정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12)는, 화소마다가 아니고,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블록마다 삭감량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화상 처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예)
도 5는, 본 개시를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구성 중, 도 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한다.
도 5의 화상 처리 장치(30)는, 증폭부(31), 삭감부(32) 및 표시부(14)에 의해 구성된다. 화상 처리 장치(30)는, 입력 화상의 휘도의 AC(Alternating Current) 성분을 증폭시킨 후 삭감함으로써,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을 삭감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 장치(30)의 증폭부(3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화상의 표시에 관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는 증폭 게인으로, 입력 화상의 휘도의 AC 성분을 증폭함으로써, AC 성분을 보상한다.
AC 성분의 증폭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2차 미분 필터를 사용하여 AC 성분을 증폭하는 제1 방법, 입력 화상의 2차 미분의 극성에 기초하여 증폭 게인을 조정하면서 AC 성분을 증폭하는 제2 방법, 입력 화상의 1차 미분의 파형에 기초하여 보정량을 조정하는 제3 방법 등이 있다.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의 메타데이터와 동일하다. 증폭부(31)는,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을 삭감부(32)에 공급한다.
삭감부(32)는, 증폭부(31)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화상의 휘도에 일률적으로 1보다 작은 게인을 승산함으로써 휘도를 삭감한다. 삭감부(32)는, 휘도가 삭감된 입력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표시부(14)에 공급한다.
(증폭 게인의 예)
도 6은, 메타데이터가 외광량인 경우의 증폭 게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횡축은 외광량을 나타내고, 종축은 증폭 게인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범위(D2)에 있어서 외광량이 많을수록 커지고, 범위(D2) 밖에 있어서 일정하게 되도록, 증폭 게인이 결정된다. 따라서, 외광량이 많고, 출력 화상의 시인성이 나쁜 경우, 증폭 게인은, 외광량이 적고, 출력 화상의 시인성이 좋은 경우에 비하여 커진다.
또한, 도 6에서는, 메타데이터가 외광량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증폭 게인이 결정된다.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의 예)
도 7은,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횡축은, 화소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종축은, 그 화소의 휘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7의 점선은, 오버슈트를 부여하지 않는 증폭 방법으로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의 휘도를 나타내고, 실선은, 제1 방법으로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의 휘도를 나타낸다. 도 7의 일점쇄선은, 제2 또는 제3 방법으로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의 휘도를 나타낸다.
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방법으로 증폭된 입력 화상의 에지 영역의 다이내믹 레인지(DR2)는, 도 7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슈트를 부여하지 않는 증폭 방법으로 증폭된 입력 화상의 에지 영역의 다이내믹 레인지(DR1)에 비하여 크다. 따라서, 증폭부(31)는, 제1 방법으로 증폭을 행함으로써, 오버슈트를 부여하지 않는 방법에 비하여 입력 화상의 에지 영역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방법으로 증폭이 행해지는 경우, 에지 영역의 최대 휘도가, 오버슈트를 부여하지 않는 방법에 비하여 커지므로,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은 커진다.
한편, 도 7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또는 제3 방법으로 증폭된 입력 화상의 에지 영역의 휘도(P1)는, 도 7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슈트를 부여하지 않는 증폭 방법으로 증폭된 입력 화상의 에지 영역의 휘도(P2)에 비하여 작다. 따라서, 증폭부(31)는, 제2 또는 제3 방법으로 증폭을 행함으로써, 오버슈트를 부여하지 않는 방법에 비하여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또는 제3 방법으로 증폭된 입력 화상의 에지 영역의 휘도의 기울기는, 도 7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슈트를 부여하지 않는 증폭 방법으로 증폭된 입력 화상의 에지 영역의 휘도의 기울기에 비하여 급준하다. 따라서, 증폭부(31)는, 제2 또는 제3 방법으로 증폭을 행함으로써, 오버슈트를 부여하지 않는 방법에 비하여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효과의 설명)
도 8은, 화상 처리 장치(30)에 의한 효과의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횡축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소의 위치를 나타내고, 종축은, 그 화소의 휘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것은, 후술하는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8의 좌측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화상의 텍스처 영역에 대하여, 휘도의 AC 성분을 증폭시키지 않고, 일률적으로 1보다 작은 게인을 승산함으로써 휘도를 삭감하는 경우, 휘도의 삭감 후의 화상은, 도 8의 우측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즉, 이 경우, 1보다 작은 게인의 승산에 의해, 입력 화상의 휘도의 DC 성분인 평균값은 감소되지만, AC 성분인 국소적인 다이내믹 레인지도 감소된다. 그 결과,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은 저감되지만, 콘트라스트는 저하된다.
이에 반해, 도 8의 좌측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화상의 텍스처 영역으로부터 생성되는 출력 화상은, 도 8의 우측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즉, 이 경우, 1보다 작은 게인의 승산에 의해, 입력 화상의 휘도의 DC 성분인 평균값은 감소되지만, AC 성분의 증폭에 의해, AC 성분인 국소적인 다이내믹 레인지는 보상된다. 그 결과,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은 저감되지만, 국소적인 콘트라스트의 저하는 억제된다.
도 8의 예에서는, 증폭 게인이 휘도의 삭감 시의 게인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국소적인 다이내믹 레인지는 입력 화상에 비하여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 화상의 국소적인 콘트라스트는, 입력 화상에 비하여 높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출력 화상의 최고 휘도(PM1)는, 입력 화상의 최고 휘도(PM2)에 비하여 크게 되어 있다.
이상의 원리에 의해, 어떠한 입력 화상에 대하여 생성되는 출력 화상은,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즉, 도 9의 좌측의 파형이 나타내는 텍스처 영역에 있어서, 도 9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화상에 대하여, 국소적인 휘도의 다이내믹 레인지(DR3)가 입력 화상과 대략 동일하지만, 휘도의 평균값이 작은 도 9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출력 화상이 생성된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제1 방법으로 입력 화상의 휘도의 AC 성분이 증폭되어 있고, 도 9의 우측의 파형이 나타내는 에지 영역에 있어서, 도 9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화상에 대하여, 오버슈트가 부여된 도 9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출력 화상이 생성된다. 따라서, 에지 영역에 있어서도, 휘도의 다이내믹 레인지(DR4)가 입력 화상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은 저감되지만, 콘트라스트는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2 또는 제3 방법으로 입력 화상의 휘도의 AC 성분이 증폭되는 경우, 출력 화상의 에지 영역의 휘도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입력 화상과 동일하게는 되지 않지만, 에지 영역의 기울기는 급준하게 되므로, 제1 방법과 마찬가지로 콘트라스트는 저하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도 9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화상에 대하여 휘도의 AC 성분을 증폭시키지 않고, 일률적으로 1보다 작은 게인을 승산함으로써 휘도를 삭감한 화상은, 예를 들어 도 10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또한, 도 10의 실선은, 도 9의 실선과 동일하며, 입력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휘도의 일률 삭감 후의 입력 화상은, 도 10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화상에 대하여, 휘도의 평균값이 작다. 그러나, 휘도의 일률 삭감 후의 입력 화상의 텍스처 영역의 국소적인 다이내믹 레인지(DR5), 에지 영역의 국소적인 다이내믹 레인지(DR6)도, 입력 화상의 텍스처 영역의 국소적인 다이내믹 레인지(DR3), 에지 영역의 국소적인 다이내믹 레인지(DR4)에 비하여 작아진다. 따라서, 이 경우,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은 저감되지만, 콘트라스트도 저하된다.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의 설명)
도 11은, 도 5의 화상 처리 장치(30)의 화상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화상 처리는,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장치(30)에 입력 화상이 입력되었을 때, 개시된다.
도 11의 스텝 S31에 있어서, 화상 처리 장치(30)의 증폭부(3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하는 증폭 게인으로, 입력 화상의 휘도의 AC 성분을 증폭함으로써, AC 성분을 보상한다. 증폭부(31)는, 휘도의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을 삭감부(32)에 공급한다.
스텝 S32에 있어서, 삭감부(32)는, 증폭부(31)로부터 공급되는 휘도의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의 휘도에 일률적으로 1보다 작은 게인을 승산함으로써, 휘도를 삭감한다. 삭감부(32)는, 휘도가 삭감된 입력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표시부(14)에 공급한다.
스텝 S33에 있어서, 표시부(14)는, 삭감부(32)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화상 처리 장치(30)는, 입력 화상의 휘도의 AC 성분을 증폭하고, 증폭된 입력 화상의 휘도를 일률적으로 1보다 작은 게인으로 삭감한다. 따라서,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휘도의 삭감에 의한 국소적인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하거나, 콘트라스트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30)는, 화상 처리 장치(30)의 동작 모드에 따라 휘도의 AC 성분의 보상 및 휘도의 삭감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가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모드인 경우에만, 증폭부(31)가 휘도의 AC 성분의 보상을 행하고, 삭감부(32)가 휘도의 삭감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동작 모드는,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설정되거나, 전지의 잔량에 따라 결정되거나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화상 처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예)
도 12는, 본 개시를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구성 중, 도 1이나 도 5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한다.
도 12의 화상 처리 장치(50)의 구성은, 삭감부(13) 대신에 증폭부(31)와 삭감부(51)가 설치된다는 점이 도 1의 구성과 상이하다. 화상 처리 장치(50)는, 화상 처리 장치(10)와 화상 처리 장치(30)를 조합한 것이며, 입력 화상의 화소마다, 휘도의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의 휘도를 삭감량만큼 삭감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 장치(50)의 삭감부(51)는, 증폭부(31)에 의해 휘도의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휘도를, 결정부(12)에 의해 결정된 그 화소의 삭감량만큼 삭감한다. 삭감부(51)는, 삭감 후의 입력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표시부(14)에 공급한다.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의 설명)
도 13은, 도 12의 화상 처리 장치(50)의 화상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화상 처리는,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장치(50)에 입력 화상이 입력되었을 때, 개시된다.
도 13의 스텝 S51에 있어서, 화상 처리 장치(50)의 추출부(11)는,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각 화소의 특징을 결정부(12)에 공급한다.
스텝 S52에 있어서, 결정부(12)는, 입력 화상의 화소마다, 추출부(11)로부터 공급되는 특징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의 휘도의 삭감량을 결정한다. 결정부(12)는, 각 화소의 삭감량을 삭감부(51)에 공급한다.
스텝 S53에 있어서, 증폭부(3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메타데이터에 기초하는 증폭 게인으로, 입력 화상의 휘도의 AC 성분을 증폭함으로써, AC 성분을 보상한다. 증폭부(31)는, 휘도의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을 삭감부(51)에 공급한다.
스텝 S54에 있어서, 삭감부(51)는, 증폭부(31)로부터 공급되는 휘도의 AC 성분이 증폭된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휘도를, 결정부(12)로부터 공급되는 그 화소의 삭감량만큼 삭감한다. 삭감부(51)는, 삭감 후의 입력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표시부(14)에 공급한다.
스텝 S55에 있어서, 표시부(14)는, 삭감부(51)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화상 처리 장치(50)는, 입력 화상의 휘도의 AC 성분을 증폭하고, 증폭된 입력 화상의 각 화소의 휘도를, 그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는 삭감량만큼 삭감한다.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50)는, 화상 처리 장치(10)와 마찬가지로, 출력 화상의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50)는, 화상 처리 장치(30)와 마찬가지로, 휘도의 삭감에 의한 국소적인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하거나, 콘트라스트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50)는, 화상 처리 장치(10)나 화상 처리 장치(30)와 마찬가지로, 표시부(14)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화상의 신호계는, 화소값이 휘도에 대응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 화상은, 예를 들어 RGB 신호, YCbCr 신호, YUV 신호로 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본 개시를 적용한 컴퓨터의 설명)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여기서, 컴퓨터에는, 전용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나,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어 범용 퍼스널 컴퓨터 등이 포함된다.
도 14는,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컴퓨터(2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201), ROM(Read Only Memory)(202), RAM(Random Access Memory)(203)은, 버스(2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2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05)에는, 입력부(206), 출력부(207), 기억부(208), 통신부(209) 및 드라이브(2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2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2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기억부(208)는 하드 디스크나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2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브(2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2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200)에서는, CPU(201)가, 예를 들어 기억부(2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205) 및 버스(204)를 통하여, RAM(2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컴퓨터(200)(CPU(2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미디어(211)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200)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미디어(211)를 드라이브(2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205)를 통하여, 기억부(2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통신부(209)에서 수신하고, 기억부(2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밖에, 프로그램은, ROM(202)이나 기억부(2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또한, 컴퓨터(20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순서를 따라 시계열로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병렬로, 혹은 호출이 행해졌을 때 등의 필요한 타이밍에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또한, 컴퓨터(200)가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갖는 경우에는, 상술한 처리는 CPU(201)가 아니고, GPU에 의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텔레비전 장치의 구성예)
도 15는, 본 개시를 적용한 텔레비전 장치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텔레비전 장치(900)는 안테나(901), 튜너(902), 디멀티플렉서(903), 디코더(904), 영상 신호 처리부(905), 표시부(906), 음성 신호 처리부(907), 스피커(908), 외부 인터페이스부(909)를 갖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900)는 제어부(910), 유저 인터페이스부(911) 등을 갖고 있다.
튜너(902)는, 안테나(901)에서 수신된 방송파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여 복조를 행하고, 얻어진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서(903)에 출력한다.
디멀티플렉서(903)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시청 대상인 프로그램의 영상이나 음성의 패킷을 추출하여, 추출한 패킷의 데이터를 디코더(904)에 출력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903)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의 데이터의 패킷을 제어부(910)에 공급한다. 또한, 스크램블이 행해져 있는 경우, 디멀티플렉서 등으로 스크램블의 해제를 행한다.
디코더(904)는, 패킷의 복호화 처리를 행하고, 복호 처리화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신호 처리부(905),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 처리부(907)에 출력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905)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나 유저 설정에 따른 영상 처리 등을 행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905)는, 표시부(906)에 표시시키는 프로그램의 영상 데이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는 처리에 의한 화상 데이터 등을 생성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905)는, 항목의 선택 등의 메뉴 화면 등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것을 프로그램의 영상 데이터에 중첩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905)는,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906)를 구동한다.
표시부(906)는, 영상 신호 처리부(905)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디바이스(예를 들어 액정 표시 소자 등)를 구동하여, 프로그램의 영상 등을 표시시킨다.
음성 신호 처리부(907)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 후의 음성 데이터의 D/A 변환 처리나 증폭 처리를 행하여 스피커(908)에 공급함으로써 음성 출력을 행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909)는,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
제어부(910)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911)가 접속되어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911)는, 조작 스위치나 리모트 컨트롤 신호 수신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저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제어부(910)에 공급한다.
제어부(9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메모리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CPU가 처리를 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각종 데이터, EPG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취득된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텔레비전 장치(900)의 기동 시 등의 소정 타이밍에 CPU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된다.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텔레비전 장치(900)가 유저 조작에 따른 동작으로 되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900)에서는, 튜너(902), 디멀티플렉서(903), 영상 신호 처리부(905), 음성 신호 처리부(907), 외부 인터페이스부(909) 등과 제어부(910)를 접속하기 위해 버스(91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 장치에서는, 영상 신호 처리부(905)에 본원의 화상 처리 장치(화상 처리 방법)의 기능이 설정된다. 이로 인해, 화상의 휘도를 삭감함으로써 표시부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경우에,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휴대 전화기의 구성예)
도 16은, 본 개시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920)는 통신부(922), 음성 코덱(923), 카메라부(926), 화상 처리부(927), 다중 분리부(928), 기록 재생부(929), 표시부(930), 제어부(931)를 갖고 있다. 이들은 버스(933)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통신부(922)에는 안테나(921)가 접속되어 있고, 음성 코덱(923)에는 스피커(924)와 마이크로폰(925)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931)에는 조작부(932)가 접속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920)는, 음성 통화 모드나 데이터 통신 모드 등의 각종 모드에서, 음성 신호의 송수신, 전자 메일이나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 화상 촬영, 또는 데이터 기록 등의 각종 동작을 행한다.
음성 통화 모드에 있어서, 마이크로폰(925)에서 생성된 음성 신호는, 음성 코덱(923)에서 음성 데이터로의 변환이나 데이터 압축이 행해져 통신부(922)에 공급된다. 통신부(922)는, 음성 데이터의 변조 처리나 주파수 변환 처리 등을 행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통신부(922)는, 송신 신호를 안테나(921)에 공급하여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922)는, 안테나(92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증폭이나 주파수 변환 처리 및 복조 처리 등을 행하고,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음성 코덱(923)에 공급한다. 음성 코덱(923)은, 음성 데이터의 데이터 신장이나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의 변환을 행하여 스피커(924)에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통신 모드에 있어서, 메일 송신을 행하는 경우, 제어부(931)는, 조작부(932)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문자 데이터를 접수하여, 입력된 문자를 표시부(930)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931)는, 조작부(932)에서의 유저 지시 등에 기초하여 메일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부(922)에 공급한다. 통신부(922)는, 메일 데이터의 변조 처리나 주파수 변환 처리 등을 행하고, 얻어진 송신 신호를 안테나(921)로부터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922)는, 안테나(92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증폭이나 주파수 변환 처리 및 복조 처리 등을 행하고, 메일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 메일 데이터를 표시부(930)에 공급하여, 메일 내용의 표시를 행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920)는, 수신한 메일 데이터를, 기록 재생부(929)에서 기억 매체에 기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기억 매체는, 재기입 가능한 임의의 기억 매체이다. 예를 들어, 기억 매체는, RAM이나 내장형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하드 디스크,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이다.
데이터 통신 모드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카메라부(926)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927)에 공급한다. 화상 처리부(927)는,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 처리를 행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중 분리부(928)는, 화상 처리부(927)에서 생성된 부호화 데이터와, 음성 코덱(923)으로부터 공급된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다중화하여 통신부(922)에 공급한다. 통신부(922)는, 다중화 데이터의 변조 처리나 주파수 변환 처리 등을 행하고, 얻어진 송신 신호를 안테나(921)로부터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922)는, 안테나(92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증폭이나 주파수 변환 처리 및 복조 처리 등을 행하고, 다중화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 다중화 데이터를 다중 분리부(928)에 공급한다. 다중 분리부(928)는, 다중화 데이터의 분리를 행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927), 음성 데이터를 음성 코덱(923)에 공급한다. 화상 처리부(927)는,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화 처리를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930)에 공급하고, 수신한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 음성 코덱(923)은,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924)에 공급하고, 수신한 음성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화상 처리부(927)에 본원의 화상 처리 장치(화상 처리 방법)의 기능이 설정된다. 이로 인해, 화상의 휘도를 삭감함으로써 표시부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경우에,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예)
도 17은, 본 개시를 적용한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기록 재생 장치(940)는, 예를 들어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그 기록된 데이터를 유저의 지시에 따른 타이밍에 유저에게 제공한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940)는, 예를 들어 다른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것들을 기록 매체에 기록시킬 수도 있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940)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함으로써, 모니터 장치 등에 있어서 화상 표시나 음성 출력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기록 재생 장치(940)는 튜너(941), 외부 인터페이스부(942), 인코더(943), HDD(Hard Disk Drive)부(944), 디스크 드라이브(945), 셀렉터(946), 디코더(947), OSD(On-Screen Display)부(948), 제어부(949), 유저 인터페이스부(950)를 갖고 있다.
튜너(941)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을 선국한다. 튜너(941)는, 원하는 채널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진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셀렉터(946)에 출력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942)는, IEEE1394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USB 인터페이스, 플래시 메모리 인터페이스 등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부(942)는, 외부 기기나 네트워크, 메모리 카드 등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의 데이터 수신을 행한다.
인코더(943)는, 외부 인터페이스부(942)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을 때 소정의 방식으로 부호화를 행하여,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셀렉터(946)에 출력한다.
HDD부(944)는, 영상이나 음성 등의 콘텐츠 데이터, 각종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데이터 등을 내장의 하드 디스크에 기록하고, 또한 재생 시 등에 그것들을 당해 하드 디스크로부터 판독한다.
디스크 드라이브(945)는, 장착되어 있는 광 디스크에 대한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한다. 광 디스크, 예를 들어 DVD 디스크(DVD-Video, DVD-RAM, DVD-R, DVD-RW, DVD+R, DVD+RW 등)나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등이다.
셀렉터(946)는, 영상이나 음성의 기록 시에는, 튜너(941) 또는 인코더(943)로부터의 어느 하나의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선택하여, HDD부(944)나 디스크 드라이브(945)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한다. 또한, 셀렉터(946)는, 영상이나 음성의 재생 시에, HDD부(944)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945)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디코더(947)에 공급한다.
디코더(947)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의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디코더(947)는, 복호 처리화를 행함으로써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OSD부(948)에 공급한다. 또한, 디코더(947)는, 복호 처리화를 행함으로써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OSD부(948)는, 항목의 선택 등의 메뉴 화면 등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것을 디코더(947)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에 중첩하여 출력한다.
제어부(949)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950)가 접속되어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950)는, 조작 스위치나 리모트 컨트롤 신호 수신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저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제어부(949)에 공급한다.
제어부(949)는, CPU나 메모리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CPU가 처리를 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기록 재생 장치(940)의 기동 시 등의 소정 타이밍에 CPU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된다.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940)가 유저 조작에 따른 동작으로 되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디코더(947)에 본원의 화상 처리 장치(화상 처리 방법)의 기능이 설정된다. 이로 인해, 화상의 휘도를 삭감함으로써 표시부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경우에,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촬상 장치의 구성예)
도 18은, 본 개시를 적용한 촬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촬상 장치(960)는, 피사체를 촬상하고,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거나, 그것을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촬상 장치(960)는 광학 블록(961), 촬상부(962), 카메라 신호 처리부(963), 화상 데이터 처리부(964), 표시부(965), 외부 인터페이스부(966), 메모리부(967), 미디어 드라이브(968), OSD부(969), 제어부(970)를 갖고 있다. 또한, 제어부(970)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97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 처리부(964)나 외부 인터페이스부(966), 메모리부(967), 미디어 드라이브(968), OSD부(969), 제어부(970) 등은, 버스(972)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광학 블록(961)은, 포커스 렌즈나 조리개 기구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광학 블록(961)은, 피사체의 광학상을 촬상부(962)의 촬상면에 결상시킨다. 촬상부(962)는, CCD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광전 변환에 의해 광학상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 신호 처리부(963)에 공급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963)는, 촬상부(962)로부터 공급된 전기 신호에 대하여 니 보정이나 감마 보정, 색 보정 등의 다양한 카메라 신호 처리를 행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963)는, 카메라 신호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처리부(964)에 공급한다.
화상 데이터 처리부(964)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963)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화상 데이터 처리부(964)는, 부호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생성된 부호화 데이터를 외부 인터페이스부(966)나 미디어 드라이브(968)에 공급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 처리부(964)는, 외부 인터페이스부(966)나 미디어 드라이브(968)로부터 공급된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화상 데이터 처리부(964)는, 복호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965)에 공급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 처리부(964)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963)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965)에 공급하는 처리나, OSD부(969)로부터 취득한 표시용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에 중첩시켜 표시부(965)에 공급한다.
OSD부(969)는, 기호, 문자 또는 도형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이나 아이콘 등의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부(964)에 출력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966)는, 예를 들어 USB 입출력 단자 등으로 구성되고, 화상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프린터와 접속된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부(966)에는,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가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가 적절히 장착되고, 그것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인스톨된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부(966)는, LAN이나 인터넷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제어부(970)는,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부(97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미디어 드라이브(968)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것을 외부 인터페이스부(966)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장치에 공급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97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부호화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를, 외부 인터페이스부(966)를 통하여 취득하고, 그것을 화상 데이터 처리부(964)에 공급하거나 할 수 있다.
미디어 드라이브(968)에서 구동되는 기록 미디어로서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판독 기입 가능한 임의의 리무버블 미디어가 사용된다. 또한, 기록 미디어는, 리무버블 미디어로서의 종류도 임의이며, 테이프 디바이스여도 되고, 디스크여도 되고, 메모리 카드여도 된다. 물론, 비접촉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등이어도 된다.
또한, 미디어 드라이브(968)와 기록 미디어를 일체화하여, 예를 들어 내장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나 SSD(Solid State Drive) 등과 같이, 비가반성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제어부(970)는, CPU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부(967)는, 제어부(97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제어부(970)가 처리를 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메모리부(967)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촬상 장치(960)의 기동 시 등의 소정 타이밍에 제어부(970)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된다. 제어부(970)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촬상 장치(960)가 유저 조작에 따른 동작으로 되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장치에서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964)에 본원의 화상 처리 장치(화상 처리 방법)의 기능이 설정된다. 이로 인해, 화상의 휘도를 삭감함으로써 표시부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경우에,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하나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 공동하여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흐름도에서 설명한 각 스텝은,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텝에 복수의 처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하나의 스텝에 포함되는 복수의 처리는,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그 화소의 휘도의 삭감량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삭감량만큼 상기 화소의 휘도를 삭감하는 삭감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상기 결정부는, 상기 화상의 표시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특징에 기초하여 상기 삭감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1)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3) 상기 화상의 AC(Alternating Current) 성분을 증폭하는 증폭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삭감부는, 상기 증폭부에 의해 상기 AC 성분이 증폭된 상기 화상의 상기 화소의 휘도를 상기 삭감량만큼 삭감하도록 구성된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4) 상기 증폭부는, 상기 화상의 표시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는 게인으로 상기 AC 성분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상기 (3)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5) 상기 증폭부는, 2차 미분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AC 성분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6) 상기 증폭부는, 상기 화상의 2차 미분의 극성에 기초하여 상기 AC 성분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7) 상기 증폭부는, 상기 화상의 1차 미분의 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AC 성분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8) 상기 삭감부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삭감을 행하도록 구성된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9) 상기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을 추출하는 추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그 화소의 상기 삭감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10) 화상 처리 장치가,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그 화소의 휘도의 삭감량을 결정하는 결정 스텝과,
상기 결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결정된 상기 삭감량만큼 상기 화소의 휘도를 삭감하는 삭감 스텝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1) 컴퓨터를,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그 화소의 휘도의 삭감량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삭감량만큼 상기 화소의 휘도를 삭감하는 삭감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0: 화상 처리 장치
11: 추출부
12: 결정부
13: 삭감부
31: 증폭부
50: 화상 처리 장치

Claims (11)

  1.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그 화소의 휘도의 삭감량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삭감량만큼 상기 화소의 휘도를 삭감하는 삭감부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화상의 표시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특징에 기초하여 상기 삭감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AC(Alternating Current) 성분을 증폭하는 증폭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삭감부는, 상기 증폭부에 의해 상기 AC 성분이 증폭된 상기 화상의 상기 화소의 휘도를 상기 삭감량만큼 삭감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화상의 표시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는 게인으로 상기 AC 성분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2차 미분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AC 성분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화상의 2차 미분의 극성에 기초하여 상기 AC 성분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화상의 1차 미분의 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AC 성분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삭감부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삭감을 행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을 추출하는 추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그 화소의 상기 삭감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 장치.
  10. 화상 처리 장치가,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그 화소의 휘도의 삭감량을 결정하는 결정 스텝과,
    상기 결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결정된 상기 삭감량만큼 상기 화소의 휘도를 삭감하는 삭감 스텝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1. 컴퓨터를,
    화상의 각 화소의 특징에 기초하여, 그 화소의 휘도의 삭감량을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삭감량만큼 상기 화소의 휘도를 삭감하는 삭감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167025801A 2014-03-31 2015-03-17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88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73505 2014-03-31
JP2014073505 2014-03-31
PCT/JP2015/057838 WO2015151792A1 (ja) 2014-03-31 2015-03-17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535A true KR20160137535A (ko) 2016-11-30
KR102288250B1 KR102288250B1 (ko) 2021-08-11

Family

ID=5424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801A KR102288250B1 (ko) 2014-03-31 2015-03-17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63402B2 (ko)
EP (1) EP3128506A4 (ko)
JP (1) JP6729368B2 (ko)
KR (1) KR102288250B1 (ko)
CN (1) CN106133817B (ko)
WO (1) WO2015151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3408B1 (en) * 2014-09-05 2018-12-25 Pixelworks, Inc. LCD image compensation for LED backlighting
WO2016157670A1 (ja) * 2015-03-27 2016-10-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14447B2 (en) * 2015-12-10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in low-power mode
CN107169938B (zh) * 2017-05-24 2019-05-3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亮度调节系统
JP2023519933A (ja) * 2020-04-02 2023-05-15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メタデータ・ベースの電力管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1719A (ja) * 2008-10-07 2010-04-22 Sony Corp 表示装置、表示データ処理装置、表示データ処理方法
JP2011002520A (ja) 2009-06-16 2011-01-06 Sony Corp 自発光表示装置、消費電力削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04912A (ja) 2011-11-10 2013-05-30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41A (ja) 1991-05-30 1993-01-22 Omron Corp エツジ画像生成装置
TWI285872B (en) * 1999-05-10 2007-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JP3649043B2 (ja) * 1999-06-07 2005-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1119610A (ja) 1999-08-10 2001-04-27 Alps Electric Co Ltd 輪郭検出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7114579A (ja) * 2005-10-21 2007-05-10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システム及び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1152064B1 (ko) * 2005-11-02 2012-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상 구현 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4984694B2 (ja) 2006-07-10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低消費電力パターン生成装置、自発光表示装置、電子機器、低消費電力パターン生成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JP5292682B2 (ja) * 2006-09-13 2013-09-18 ソニー株式会社 消費電力削減装置、視認性向上装置、自発光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電子機器、消費電力削減方法、視認性向上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151921A (ja) 2006-12-15 2008-07-03 Hitachi Ltd 携帯型情報端末機及び携帯型情報端末機用のプログラム
CN102204240A (zh) * 2008-07-16 2011-09-28 Gvbb控股股份有限公司 视频制作装置的多预览性能
JP5304211B2 (ja) * 2008-12-11 2013-10-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輝度調整装置、バックライト装置、輝度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72697B2 (ja) 2008-12-15 2013-08-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データ処理装置、表示データ処理方法
JP2011017997A (ja) * 2009-07-10 2011-01-27 Sony Corp 自発光表示装置及び自発光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5903283B2 (ja) * 2012-01-25 2016-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1719A (ja) * 2008-10-07 2010-04-22 Sony Corp 表示装置、表示データ処理装置、表示データ処理方法
JP2011002520A (ja) 2009-06-16 2011-01-06 Sony Corp 自発光表示装置、消費電力削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04912A (ja) 2011-11-10 2013-05-30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51792A1 (ja) 2015-10-08
EP3128506A4 (en) 2017-12-06
KR102288250B1 (ko) 2021-08-11
CN106133817A (zh) 2016-11-16
CN106133817B (zh) 2020-10-27
US20170103711A1 (en) 2017-04-13
JPWO2015151792A1 (ja) 2017-04-13
US10163402B2 (en) 2018-12-25
JP6729368B2 (ja) 2020-07-22
EP3128506A1 (en)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268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7018573B2 (ja) 輝度変換装置および輝度変換方法
US1063802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6133817B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和程序
JP5221745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105932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color conversion of an image by selecting an electricity consumption minimum value
US10121265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o calculate luminosity of an environmental light of an image
JP6868797B2 (ja) 変換方法及び変換装置
KR101087927B1 (ko) 영상의 노이즈 저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