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521A -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521A
KR20160134521A KR1020160057662A KR20160057662A KR20160134521A KR 20160134521 A KR20160134521 A KR 20160134521A KR 1020160057662 A KR1020160057662 A KR 1020160057662A KR 20160057662 A KR20160057662 A KR 20160057662A KR 20160134521 A KR20160134521 A KR 20160134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ephthalate
ethylhexyl
succinate
mixture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434B1 (ko
Inventor
김현규
이미연
문정주
김주호
정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60134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4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지 조성물의 가소제로서 사용시 용도에 적합하게 친환경적이면서도 투명성 및 점착성이 우수하고, 기본적인 인장강도, 신율 및 경도 등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소제 및 이들을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PLASTICIZER,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M}
본 발명은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소제는 알코올이 프탈산 및 아디프산과 같은 폴리카복시산과 반응하여 이에 상응하는 에스터를 형성한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국내외 규제를 고려하여, 테레프탈레이트계, 트리멜리테이트계, 기타 고분자계 등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대체할 수 있는 가소제 조성물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PVC)등의 수지와 충진재, 안정제, 안료, 방담제 등 여러가지 첨가제를 적절하게 첨가하여 다양한 가공물성을 부여하여 압출성형, 사출성형, 캘린더링 등의 가공법에 의하여 전선, 파이프, 바닥재, 벽지, 시트, 인조가죽, 타포린, 테이프 및 식품 포장재 업종의 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들의 소재로 사용된다.
현재 가소제 시장 상황은 프탈레이트 가소제에 대한 환경 이슈로 인해 친환경 가소제의 개발이 업계에서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친환경 가소제 중에서 범용 제품으로 사용중에 있는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DEHTP)의 가소화 효율, 이행성 등의 품질 열세를 극복하기 위한 신규 제품들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상기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보다 우수한 제품, 혹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 신규 조성물의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염화비닐계 수지에 대한 가소제로서 최적 적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계속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식품 포장용 Wrap Film의 경우 식품을 그대로 육안 관찰할 수 있는 투명도와 포장시 용이성을 줄 수 있는 신율, 인장강도, 풀림성, 가열감량 및 점착성이 요구된다. 현재 식품 포장용 Wrap 시장에서 사용되는 가소제는 테레프탈레이트계, 화학물질이 치환된 글리세라이드계, 글리콜계 등이 사용되고 있고, 이는 기존에 사용되던 아디페이트계 제품인 디옥틸 아디페이트의 대체를 위해 출시된 제품들이며, 앞으로도 환경친화적인 제품들의 요구가 있으며, 환경친화적이면서 만족할만한 수준의 품질을 갖는 가소제 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소제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던 중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발생되던 불량한 물성들을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로서 랩 필름에 사용될 수 있고, 점착성과 투명성이 개선되고 인장강도나 신율 등의 기본 물성이 개선된 가소제 조성물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 조성물의 가소제로서 사용시 시트 및 필름 등의 처방에서 요구되는 가소화 효율, 이행성, 인장강도, 신율, 가열감량, 풀림성 및 점착성 등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소제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들을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 및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 대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99 내지 99:1 인 것인 가소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 대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95:5 내지 30:7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 대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90:10 내지 50:5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DEHTP),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DINTP),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DBTP), 부틸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BINTP), 부틸(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BEHTP) 및 (2-에틸헥실)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EHINT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일 화합물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이 혼합된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일 화합물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부틸(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가 혼합된 제1혼합물이거나,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부틸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가 혼합된 제2혼합물이거나,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2-에틸헥실)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가 혼합된 제3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혼합물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3.0 내지 99.0 몰%; 부틸(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혼합물은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3.0 내지 99.0 몰%; 부틸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혼합물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3.0 내지 99.0 몰%; (2-에틸헥실)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 및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내지 10의 직쇄 알킬기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다.
상기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은 디(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디이소노닐 숙시네이트 및 디(2-프로필헵틸)숙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과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 및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을 중량비가 1:99 내지 99:1이 되도록 블렌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은 단일 화합물 또는 혼합물인 것인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이 단일 화합물인 경우, 2-에틸헥실 알코올, 이소노닐 알코올, 부틸 알코올 및 이소부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알코올과, 테레프탈산이 반응하는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하여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이 혼합물인 경우, 2-에틸헥실 알코올, 이소노닐 알코올, 부틸 알코올 및 이소부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 이상의 알코올과, 테레프탈산이 반응하는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테레프탈레이트와, 부틸 알코올 또는 이소부틸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알코올이 반응하는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하여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틸렌 초산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케톤,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타이렌, 폴리우레탄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전술한 가소제 조성물을 5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인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전선, 바닥재, 자동차 내장재, 필름, 시트, 벽지 및 튜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제조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소제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친환경성을 확보하면서, 우수한 점착 특성 및 투명 특성을 얻을 수 있고, 우수한 가소화 효율 및 인장강도와 신율 등 우수한 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발생되던 불량한 물성들을 개선할 수 있는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이 포함된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99 중량%, 20 내지 99 중량%, 40 내지 99 중량%, 50 내지 95 중량% 또는 60 내지 90 중량% 등의 범위에서 선택된 함량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은 일례로,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3 내지 11, 탄소수 4 내지 10, 탄소수 8 내지 10, 탄소수 8 내지 9, 혹은 탄소수 8인 알킬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말단 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DEHTP),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DINTP),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DBTP), 부틸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BINTP), 부틸(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BEHTPP) 및 (2-에틸헥실)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EHINT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일 화합물일 수 있고, 1 이상의 화합물이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이 단일 화합물인 경우에는,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고,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이 혼합물인 경우에는 3 종의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이 혼합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부틸(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게 혼합된 제1혼합물,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부틸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가 혼합된 제2혼합물,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2-에틸헥실)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가 혼합된 제3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혼합물의 경우, 특정 조성 비율을 가질 수 있으며, 제1혼합물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3.0 내지 99.0 몰%; 부틸(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일 수 있고, 상기 제2혼합물은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3.0 내지 99.0 몰%; 부틸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일 수 있으며, 상기 제3혼합물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3.0 내지 99.0 몰%; (2-에틸헥실)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 및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일 수 있다.
상기 조성 비율은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생성되는 혼합 조성 비율일 수 있고, 특정 화합물을 부가적으로 더 혼합하여 의도된 조성 비율일 수 있으며, 원하는 물성에 맞도록 혼합 조성 비율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소제 조성물은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내지 10의 직쇄 알킬기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은 양 말단의 치환기가 알킬기일 수 있고, 직쇄와 분지쇄가 모두 가능하며, 탄소수가 4 내지 10일 수 있다. 또한 R1과 R2는 서로 동일한 탄소수를 갖는 알킬기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탄소수가 상이하거나, 가지의 형태가 상이한 서로 다른 알킬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혼성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이라고 표현될 수 있다.
즉,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혼성 숙시네이트계 화합물 및 비혼성 숙시네이트계 화합물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비혼성으로서, 탄소수가 6 내지 10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8 내지 10인 알킬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2-에틸헥실기, 이소노닐기 또는 2-프로필헵틸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숙시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숙시네이트, 디이소노닐숙시네이트, 또는 디(2-프로필헵틸)숙시네이트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소제 조성물 내에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과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은 중량비로 1:99 내지 99:1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20:80 내지 99:1, 또는 40:60 내지 99:1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50 내지 95:5, 또는 60:40 내지 90:10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은 친환경적인 가소제로서 식품 포장재용 PVC에 적합한 가소제일 수 있으나, 단독 가소제로 적용할 경우 열악한 인장강도와 가열감량 및 투명도 등과 같은 문제 등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면 여전히 친환경성을 유지하면서도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의 인장강도, 신율, 가열감량, 투명도 및 점착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취하여 식품 포장재에 더욱 적합한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소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식은, 블렌딩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블렌딩 제조 방식은 일례로 다음과 같다.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과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과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을 중량비로서, 1:99 내지 99:1의 비율로 블렌딩하여 상기 가소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은 단일 화합물 또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이 단일 화합물인 경우, 2-에틸헥실 알코올, 이소노닐 알코올, 부틸 알코올 및 이소부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알코올과, 테레프탈산이 반응하는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하여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은, 알코올에 테레프탈산을 투입한 다음 촉매를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미반응 알코올을 제거하고, 미반응 산을 중화시키는 단계; 및 감압증류에 의해 탈수 및 여과하는 단계;로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렌딩 제조 방식에 사용되는 상기 알코올은, 테레프탈산 100 몰% 기준으로 150 내지 500 몰%, 200 내지 400 몰%, 200 내지 350 몰%, 250 내지 400 몰%, 혹은 270 내지 330 몰% 범위 내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블렌딩 제조 방식에 사용되는 상기 알코올은, 테레프탈산 100 몰% 기준으로 150 내지 500 몰%, 200 내지 400 몰%, 200 내지 350 몰%, 250 내지 400 몰%, 혹은 270 내지 330 몰% 범위 내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렌딩 제조 방식에서 사용하는 촉매는 일례로, 황산, 염산, 인산, 질산, 파라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프로판술폰산, 부탄술폰산, 알킬 황산 등의 산 촉매, 유산 알루미늄, 불화리튬, 염화칼륨, 염화세슘, 염화칼슘, 염화철, 인산알루미늄 등의 금속염, 헤테로폴리산 등의 금속 산화물, 천연/합성 제올라이트, 양이온 및 음이온 교환수지, 테트라알킬 티타네이트(tetra alkyl titanate) 및 그 폴리머 등의 유기금속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촉매는 테트라알킬 티타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촉매의 사용량은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일례로 균일 촉매의 경우에는 반응물 총 100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 0.01 내지 3 중량%, 1 내지 5 중량% 혹은 2 내지 4 중량% 범위 내, 그리고 불균일 촉매의 경우에는 반응물 총량의 5 내지 200 중량%, 5 내지 100 중량%, 20 내지 200 중량%, 혹은 20 내지 150 중량% 범위 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응 온도는 180 내지 280℃, 200 내지 250℃, 혹은 210 내지 230℃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이 혼합물인 경우, 전술한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서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이 제조된 후 혼합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알코올을 2 종 이상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이 혼합물인 경우,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과, 부틸 알코올 또는 이소부틸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알코올이 반응하는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하여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알코올과 에스테르가 반응하여 이하 반응식 1에서 나타나듯이 에스테르의 R"가 알코올의 R'와 서로 상호교환되는 반응을 의미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이 이루어지면 알코올의 알콕사이드가 에스테르계 화합물에 존재하는 두 개의 에스테르(RCOOR")기의 탄소를 공격할 경우; 에스테르계 화합물에 존재하는 한 개의 에스테르(RCOOR")기의 탄소를 공격할 경우;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은 미반응인 경우;와 같이, 세 가지의 경우에 수에 의해서 3 종의 에스테르 조성물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은 산-알코올간 에스테르화 반응과 비교하여 폐수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무촉매하에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산촉매 사용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와 부틸 알코올은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부틸(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3 종의 테레프탈레이트는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해 각각 3.0 중량% 내지 70 중량%, 0.5 중량% 내지 50 중량%, 및 0.5 중량% 내지 85 중량%의 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중량% 내지 50 중량%, 0.5 중량% 내지 50 중량%, 및 35 중량%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는 공정 효율이 높고 가공성 및 흡수속도가 우수한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혼합물)을 수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은 알코올의 첨가량에 따라 상기 혼합물의 조성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의 첨가량은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89.9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3 내지 5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5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는 화합물은 알코올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에 참여하는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의 몰분율(mole fraction)이 커질 것이므로, 상기 혼합물에 있어서 생성물인 두 개의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미반응으로 존재하는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응물인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과 알코올의 몰비는 일례로 1:0.005 내지 5.0, 1:0.05 내지 2.5, 혹은 1:0.1 내지 1.0이고, 이 범위 내에서 공정 효율이 높으며 가공성 개선 효과가 뛰어난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수득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 3 종의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의 혼합물의 조성 비율이 상기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 종의 테레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추가 투입하여 그 조성비를 변경할 수 있으며, 가능한 혼합 조성 비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은 120 내지 190 ,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1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41 내지 179 의 반응 온도 하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8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시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 내에서 원하는 조성비의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인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응 시간은 반응물을 승온 후 반응 온도에 도달한 시점부터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은 산 촉매 또는 금속 촉매 하에서 실시될 수 있고, 이 경우 반응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산 촉매는 일례로 황산, 메탄설폰산 또는 p-톨루엔설폰산 등일 수 있고, 상기 금속 촉매는 일례로 유기금속 촉매, 금속 산화물 촉매, 금속염 촉매 또는 금속 자체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성분은 일례로 주석, 티탄 및 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 후 미반응 알코올과 반응 부산물, 예를 들면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증류시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류는 일례로 상기 알코올과 반응 부산물의 끊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따로 분리하는 2단계 증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증류는 혼합증류일 수 있다. 이 경우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원하는 조성비로 비교적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혼합증류는 부탄올과 반응 부산물을 동시에 증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과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은 전술한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을 제조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과 마찬가지로 숙시네이트계 화합물 역시 소정 비율의 혼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고, 반응 원료로서의 알코올의 함량 조절에 따라 생성되는 혼합물의 조성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을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을 제조하는 데에 적용된 내용과 동일하게 그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같이 제조된 가소제 조성물은 에틸렌 초산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타이렌, 폴리우레탄,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에서 선택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0 중량부, 40 내지 100 중량부, 혹은 40 내지 50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하여 컴파운드 처방, 시트 처방 및 플라스티졸 처방에 모두 효과적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소제 조성물은 전선, 바닥재, 자동차 내장재, 필름, 시트, 벽지 혹은 튜브 제조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
냉각기, 콘덴서, 디캔터, 환류 펌프, 온도 컨트롤러, 교반기 등을 갖춘 4구의 3 리터 반응기에 정제 테레프탈산(purified terephthalic acid; TPA) 498.0 g, 2-에틸헥실 알코올(2-EH) 1170 g (TPA: 2-EH의 몰비 (1.0): (3.0)), 촉매로써 티타늄계 촉매 (TIPT, tetra isopropyl titanate)를 1.54 g(TPA 100 중량부에 대해 0.31 중량부)을 투입하고, 약 170℃까지 서서히 승온시켰다. 약 170℃ 근처에서 생성수 발생이 시작되었으며, 반응 온도 약 220℃, 상압 조건에서 질소 가스를 계속 투입하면서 약 4.5 시간 동안 에스테르 반응을 수행하고 산가가 0.01에 도달하면 반응을 종결한다.
반응 완료 후, 미반응 원료를 제거하기 위해서 감압하에서 증류추출을 0.5 내지 4시간 동안 실시한다. 일정 함량 수준 이하로 미반응 원료를 제거하기 위해 스팀을 사용하여 감압하에서 0.5 내지 3 시간 동안 스팀추출을 시행하고, 반응액 온도를 약 90℃로 냉각하여, 알카리 용액을 이용하여 중화 처리를 실시한다. 추가로, 수세를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이후 반응액을 탈수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수분이 제거된 반응액에 여재를 투입하여 일정시간 교반한 다음,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1326.7 g(수율: 99.0 %)을 얻었다.
제조예 2: DEHTP / BEHTP / DBTP의 TP 혼합물의 제조
교반기, 응축기 및 데칸터가 설치된 반응기에 제조예 1에서 얻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2000g 및 n-부탄올 340g (DEHTP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7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질소 분위기 하 160의 반응온도에서 2 시간 동안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시켜,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DBTP), 부틸(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BEHTP) 및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DEHTP)를 각각 4.0 중량%, 35.0 중량% 및 61.0 중량% 범위로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반응 생성물을 혼합 증류하여 부탄올 및 2-에틸헥실 알코올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제1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디(2-에틸헥실) 숙시네이트의 제조
반응 원료로서 숙신산 354g과 2-에틸헥산올 585 g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디(2-에틸헥실) 숙시네이트(이하, DEHS) 1007g(수율: 98%)을 얻었다.
제조예 4: 디(2-프로틸헵틸) 숙시네이트의 제조
반응 원료로서 숙신산 354 g과 2-프로틸헵탄올 712 g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디(2-프로필헵틸) 숙시네이트(이하, DPHS) 1172g(수율: 98%)을 얻었다.
제조예 5: 디이소노닐 숙시네이트의 제조
반응 원료로서 숙신산 354 g과 이소노닐알코올 649g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디이소노닐 숙시네이트(이하, DINS) 1089g(수율: 98%)을 얻었다.
실시예 1-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DEHS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DEHS를 90: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3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DEHS를 70: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4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DEHS를 30:7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5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된 DINS를 30:7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6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된 DINS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7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된 DPHS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1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TP 혼합물과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DEHS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2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TP 혼합물과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DEHS를 90: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3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TP 혼합물과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DEHS를 70: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4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TP 혼합물과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DEHS를 30:7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5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TP 혼합물과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된 DINS를 30:7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6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TP 혼합물과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된 DINS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7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TP 혼합물과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된 DPHS를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가소제로서 DEHTP: (주)LG화학의 제품명 GL300을 단독으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2
가소제로서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DEHS를 단독으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3
가소제로서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DPHS를 단독으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4
가소제로서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된 DINS를 단독으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5
가소제로서 친환경성 제품에 사용되는 제품명 AMG(Rikevita사, acetylated monoglyceride)를 단독으로 이용하였다.
<시험 항목>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대하여 하기의 시험 항목대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경도(hardness) 측정
ASTM D2240을 이용하여, 25℃에서의 쇼어(shore)경도, 3T 10s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측정
ASTM D638 방법에 의하여, 테스트 기기인 U.T.M (제조사; Instron, 모델명; 4466)을 이용하여 크로스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를 200 ㎜/min(1T)으로 당긴 후, 시편이 절단되는 지점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인장 강도(kgf/㎟) = 로드 (load)값(kgf) / 두께(㎜) x 폭(㎜)
신율 (elongation rate) 측정
ASTM D638 방법에 의하여, 상기 U.T.M을 이용하여 크로스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를 200 ㎜/min(1T)으로 당긴 후, 시편이 절단되는 지점을 측정한 후, 신율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신율 (%) = 신장 후 길이 / 초기 길이 x 100으로 계산하였다.
이행 손실(migration loss) 측정
KSM-3156에 따라 두께 2 mm 이상의 시험편을 얻었고, 시험편 양면에 PS Plate를 붙인 후 1kgf/cm2 의 하중을 가하였다. 시험편을 열풍 순환식 오븐(80℃)에서 7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서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그런 후 시험편의 양면에 부착된 PS를 제거한 후 오븐에 방치하기 전과 후의 중량을 측정하여 이행손실량을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이행손실량(%) = {(상온에서의 시험편의 초기 중량 - 오븐 방치후 시험편의 중량) / 상온에서의 시험편의 초기 중량} x 100
가열 감량(volatile loss) 측정
상기 제작된 시편을 80℃에서 72시간 동안 작업한 후,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가열 감량 (중량%) = 초기 시편 무게 - (80, 72시간 작업 후 시편 무게) / 초기 시편 무게 x 100으로 계산하였다.
투명도
Haze Meter를 이용하여 Haze값을 측정하였다.
점착성 평가
손으로 직접 접촉하여 점착의 우수 정도를 5 Scale로 평가하였으며, 1이 우수하고 5가 열악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예 1: 시편 제작 및 성능 평가
실시예 1-1 내지 1-7 및 비교예 1 내지 5의 가소제를 실험용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편 제작은 ASTM D638을 참조하여, PVC 100 중량부에 가소제 52.5 중량부, 보조안정제인 ESO 22.5 중량부, 방담제 2.55 중량부 및 안정제(LTX 630 p) 1.8 중량부를 핸드 믹싱으로써 배합한 다음 롤 밀을 160℃에서 4 분간 작업하였고, 프레스(press)를 이용하여 165에서 2.5분(저압) 및 2분(고압)으로 작업하여 wrap film을 제작하였다. 각 시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물성 시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가소제 경도
(Shore "A")
인장
강도
kg/cm2
신율
(%)
이행
손실
(%)
가열
감량
(%)
Haze
(%)
점착성
실시예 1-1 DEHTP+DEHS
(50:50)
82.1 235.9 356.2 0.53 3.52 5.6 2
실시예 1-2 DEHTP+DEHS
(90:10)
84.0 248.7 361.3 0.32 1.25 3.2 2
실시예 1-3 DEHTP+DEHS
(70:30)
83.1 241.2 360.4 0.45 2.13 3.5 2
실시예 1-4 DEHTP+DEHS
(30:70)
81.2 231.3 318.9 0.67 3.88 3.6 1
실시예 1-5 DEHTP+DINS
(30:70)
83.0 245.6 356.7 0.78 1.43 8.6 1
실시예 1-6 DEHTP+DINS
(50:50)
83.9 247.1 342.1 0.15 0.88 6.7 2
실시예 1-7 DEHTP+DPHS
(50:50)
82.8 236.6 348.9 0.62 1.12 4.8 2
비교예 1 DEHTP 84.8 249.1 360.9 0.31 1.08 3.5 5
비교예 2 DEHS
80.7 182.4 340.6 0.95 7.18 9.5 3
비교예 3 DPHS
83.7 175.3 315.2 0.30 1.44 34.0 4
비교예 4 DINS
82.5 173.4 334.0 1.02 2.05 14.6 3
비교예 5 AMG
83.5 202.3 336.6 2.56 3.64 8.7 4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2 내지 5는 친환경 가소제로서 랩 필름용 PVC에 가소제로서 사용이 가능한 물질 또는 제품으로서, 친환경성 측면을 강조하여 기본적인 물성이 저하되는 경우라도 실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상기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인장강도와 신율 특성이 낮고, 점착성이 우수하지 못하며, 가열감량 및 이행손실량이 상당하여 내이행성이 우수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DEHTP와의 혼합 조성물로서 적용된 실시예 1-1 내지 1-7의 시편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점착성과 투명성이 비교예들의 제품에 비해 상당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고, 신율 및 인장강도 특성 역시 비교예들보다 양호하며, 내이행성 역시 상당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친환경 제품인 비교예 1과 물성을 비교해 보더라도, 가소화 효율 및 점착성이 상당히 개선됨을 알 수 있어, 실시예들의 가소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친환경 제품이면서도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시트 또는 필름 등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친환경성 측면을 강조한 가소제 조성물만을 이용할 경우, 점착성이나 투명도가 우수하지 않으면서도 기본적인 물성인 인장강도나 신율이 뒷받침해 주지 못하는 문제를 본 발명에서와 같이 DEHTP 제품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친환경성은 유지하면서도 기본 물성을 뒷받침할 수 있고 점착성과 투명성 또한 우수함을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시편 제작 및 성능 평가
실시예 2-1 내지 2-7 및 비교예 1 내지 5의 가소제를 실험용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편 제작은 ASTM D638을 참조하여, PVC 100 중량부에 가소제 52.5 중량부, 보조안정제인 ESO 22.5 중량부, 방담제 2.55 중량부 및 안정제(LTX 630 p) 1.8 중량부를 핸드 믹싱으로써 배합한 다음 롤 밀을 160℃에서 4 분간 작업하였고, 프레스(press)를 이용하여 165에서 2.5분(저압) 및 2분(고압)으로 작업하여 wrap film을 제작하였다. 각 시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물성 시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가소제 경도
(Shore "A")
인장
강도
kg/cm2
신율
(%)
이행
손실
(%)
가열
감량
(%)
Haze
(%)
점착성
실시예 2-1 TP혼합+DEHS
(50:50)
81.0 235.9 351.3 0.48 4.03 4.8 1
실시예 2-2 TP혼합+DEHS
(90:10)
80.9 242.3 350.8 0.35 1.76 3.0 2
실시예 2-3 TP혼합+DEHS
(70:30)
81.0 240.7 348.2 0.42 2.51 3.2 1
실시예 2-4 TP혼합+DEHS
(30:70)
80.8 233.5 345.2 0.83 4.45 3.1 2
실시예 2-5 TP혼합+DINS
(30:70)
82.3 256.7 365.1 0.84 1.68 5.6 2
실시예 2-6 TP혼합+DINS
(50:50)
81.8 260.5 368.9 0.46 1.48 3.9 1
실시예 2-7 TP혼합+DPHS
(50:50)
82.6 261.7 364.1 0.26 1.06 4.8 1
비교예 1 DEHTP 84.8 249.1 360.9 0.31 1.08 3.5 5
비교예 2 DEHS
80.7 182.4 340.6 0.95 7.18 9.5 3
비교예 3 DPHS
83.7 175.3 315.2 0.30 1.44 34.0 4
비교예 4 DINS
82.5 173.4 334.0 1.02 2.05 14.6 3
비교예 5 AMG
83.5 202.3 336.6 2.56 3.64 8.7 4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비교예 2 내지 5는 친환경 가소제로서 랩 필름용 PVC에 가소제로서 사용이 가능한 물질 또는 제품으로서, 친환경성 측면을 강조하여 기본적인 물성이 저하되는 경우라도 실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인장강도와 신율 특성이 낮고, 점착성이 우수하지 못하며, 가열감량 및 이행손실량이 상당하여 내이행성이 우수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DEHTP/BEHTP/DBTP의 TP 혼합물과의 혼합 조성물로서 적용된 실시예 2-1 내지 2-7의 시편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점착성과 투명성이 비교예들의 제품에 비해 상당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고, 신율 및 인장강도 특성 역시 비교예들보다 양호하며, 내이행성 역시 상당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친환경 제품인 비교예 1과 물성을 비교해 보더라도, 가소화 효율 및 점착성이 상당히 개선됨을 알 수 있어, 실시예들의 가소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친환경 제품이면서도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시트 또는 필름 등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친환경성 측면을 강조한 가소제 조성물만을 이용할 경우, 점착성이나 투명도가 우수하지 않으면서도 기본적인 물성인 인장강도나 신율이 뒷받침해 주지 못하는 문제를 본 발명에서와 같이 DEHTP/BEHTP/DBTP의 TP 혼합 제품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친환경성은 유지하면서도 기본 물성을 뒷받침할 수 있고 점착성과 투명성 또한 우수함을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Claims (17)

  1.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 및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 대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99 내지 99:1 인 것인 가소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 대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95:5 내지 30:70인 것인 가소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 대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90:10 내지 50:50인 것인 가소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DEHTP 또는 DEHTP),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DINTP),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DBTP), 부틸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BINTP), 부틸(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BEHTP 또는 BEHTP) 및 (2-에틸헥실)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EHINTP 또는 OINT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일 화합물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이 혼합된 혼합물인 것인 가소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화합물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인 가소제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부틸(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가 혼합된 제1혼합물이거나,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부틸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가 혼합된 제2혼합물이거나,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2-에틸헥실)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가 혼합된 제3혼합물인 것인 가소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혼합물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3.0 내지 99.0 몰%;
    부틸(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를 포함하는 것인 가소제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혼합물은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3.0 내지 99.0 몰%;
    부틸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 및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를 포함하는 것인 가소제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혼합물은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3.0 내지 99.0 몰%;
    (2-에틸헥실)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 및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0.5 내지 96.5 몰%;를 포함하는 것인 가소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가소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내지 10의 직쇄 알킬기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은 디(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디이소노닐 숙시네이트 및 디(2-프로필헵틸)숙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가소제 조성물.
  12.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과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 및 숙시네이트계 화합물을 중량비가 1:99 내지 99:1이 되도록 블렌딩하여 가소제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은 단일 화합물 또는 혼합물인 것인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이 단일 화합물인 경우,
    2-에틸헥실 알코올, 이소노닐 알코올, 부틸 알코올 및 이소부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알코올과, 테레프탈산이 반응하는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하여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인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물질이 혼합물인 경우,
    2-에틸헥실 알코올, 이소노닐 알코올, 부틸 알코올 및 이소부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 이상의 알코올과, 테레프탈산이 반응하는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디(2-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테레프탈레이트와, 부틸 알코올 또는 이소부틸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알코올이 반응하는 트랜스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하여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인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수지 100 중량부; 및 제1항의 가소제 조성물 5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에틸렌 초산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타이렌, 폴리우레탄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인 수지 조성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전선, 바닥재, 자동차 내장재, 필름, 시트, 벽지 및 튜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제조하는 데에 적용되는 것인 수지 조성물.
KR1020160057662A 2015-05-15 2016-05-11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742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280 2015-05-15
KR20150068280 2015-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521A true KR20160134521A (ko) 2016-11-23
KR101742434B1 KR101742434B1 (ko) 2017-05-31

Family

ID=5754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662A KR101742434B1 (ko) 2015-05-15 2016-05-11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4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573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삼양사 착색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WO2019240418A1 (ko)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CN110832020A (zh) * 2017-12-04 2020-02-21 株式会社Lg化学 增塑剂组合物和包含该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US10851220B2 (en) 2017-12-04 2020-12-01 Lg Chem, Ltd. Plasticizer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985B1 (ko) 2007-05-30 2010-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벽지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2020A (zh) * 2017-12-04 2020-02-21 株式会社Lg化学 增塑剂组合物和包含该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US10851220B2 (en) 2017-12-04 2020-12-01 Lg Chem, Ltd. Plasticizer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CN110832020B (zh) * 2017-12-04 2021-07-23 株式会社Lg化学 增塑剂组合物和包含该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KR20190080573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삼양사 착색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WO2019240418A1 (ko)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190140754A (ko) *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JP2021519850A (ja) * 2018-06-12 2021-08-1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可塑剤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樹脂組成物
US11795299B2 (en) 2018-06-12 2023-10-24 Lg Chem, Ltd. Plasticizer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434B1 (ko)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252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674317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994251B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982191B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180028035A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742434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260897B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122466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70020282A (ko) 가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소제 조성물
KR20170142894A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80129153A (ko)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405076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899655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784100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899656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N110832019B (zh) 增塑剂组合物和包含该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KR101784099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846066B1 (ko)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236924B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160119616A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60119615A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