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446A -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알부틴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알부틴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446A
KR20160134446A KR1020150170097A KR20150170097A KR20160134446A KR 20160134446 A KR20160134446 A KR 20160134446A KR 1020150170097 A KR1020150170097 A KR 1020150170097A KR 20150170097 A KR20150170097 A KR 20150170097A KR 20160134446 A KR20160134446 A KR 20160134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butin
skin
microneedles
microneed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169B1 (ko
Inventor
강현종
심우선
김기영
황영민
이선화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6013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66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부틴을 안정하게 함침하고,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알부틴의 피부 투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세바늘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미세바늘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부틴의 피부 투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알부틴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Soluble microneedle patch for delivery arbutin which has skin whitening effect}
본 발명은 미세바늘 및 미세바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바늘(microneedle)은 생체 내 약물, 백신 등의 활성 물질의 전달, 체내 분석물질의 검출 및 생검(biopsy)에 사용된다. 미세바늘을 이용한 약학적 또는 화장학적 활성 성분의 전달은 혈관 또는 림프관과 같은 생체 순환계가 아닌 피부를 통한 활성 물질의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미세바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미세바늘이 부착된 롤러(roller) 등의 미세바늘 장치(device)를 사용하여 피부에 일정 수 이상의 구멍을 형성한 후 약물을 덧바르는 형태, 미세바늘 표면에 활성성분(유효성분)을 코팅함으로써 피부 천공과 동시에 활성성분이 투여되도록 하는 형태 등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제제에 있어 피부의 표면에서 작용하여 그 효과를 나타내는 색조 화장품과는 달리 양모, 육모, 탈모 방지, 주름 개선, 미백, 피부 보습, 제모, 피부 영양 등의 효과는 피부 표면에서의 작용보다는 경피 및 진피와 같은 피부 내부에서 작용하여 그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미세바늘을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피부 자극이 발생하게 되며, 그 정도가 심한 경우 피부에 홍반 등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최근 미백 개선을 위해 알부틴(arbutin)을 활용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주는 화장품이 개발되고 있다.
알부틴은 하이드로퀴논에 베타-D-글루코스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하이드로퀴논의 배당체로 현재 일부 미백용 화장품에 알부틴이 이용되고 있으나, 피부 흡수가 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J. Pharm. Exp. Therap.1996; 276(2):765-769).
알부틴(arbutin)의 높은 친수성(hydrophilicity)으로 인하여 피부 각질층의 지질막을 통과하여 피부 속까지 잘 전달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피부 속까지 알부틴이 도달할 수 있는 전달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6027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알부틴을 용해성 미세바늘에 안정하게 함침하여, 알부틴을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하는 시스템, 이러한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알부틴을 피부에 투여하는 화장학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부틴을 포함하는 용해성 미세바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세바늘을 포함하는 미세바늘 패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세바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세바늘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부틴을 안정하게 함침하고, 알부틴을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알부틴의 화장학적 피부 투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부틴(Arbutin)을 포함하는 용해성 미세바늘을 제공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세바늘을 형성하는 물질은 피부 내에서 용해되어 미세바늘의 피부 적용 시 미세바늘이 용해 또는 붕괴됨으로써 알부틴이 피부 내로 방출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오랜 기간 연구 끝에 용해성 미세바늘 내에 알부틴을 함침시켜 알부틴이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미세바늘 적용에 따른 피부 자극 문제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해성 미세바늘 내에 알부틴을 함침시켜 알부틴이 피부 내부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며, 알부틴이 미세바늘에 함침됨에 따라 종래 미세바늘의 적용에 따른 상처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현저히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자극 완화"란, 피부 자극 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여 피부에 나타나는 가려움, 따끔거림, 화끈거림 등의 자극감과 홍반 및 부종 등의 염증성 자극 반응을 예방, 완화, 및 치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부틴(Arbutin)의 분자식은 C12H16O7, 몰질량은 272.25 g/mol이며,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라면 알부틴을 함유한 시료에서 분리된 알부틴, 인공적으로 합성된 알부틴, 상업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알부틴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투여 시스템을 연구하였으며 어떠한 시스템도 상기 알부틴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 쉽지 않았으며, 특히, 종래 미세바늘을 적용함에 따라 발생할 수 밖에 없는 피부 자극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자들은 여러 노력 끝에 용해성 미세바늘에 알부틴을 함침함으로써 미세바늘을 피부에 적용함에 따른 피부 자극을 현저히 완화시키고, 알부틴을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명을 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함침"은 알부틴이 미세바늘에 함유될 수 있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i) 미세바늘을 형성하는 용해성 물질과 함께 알부틴을 함유, 또는 ii) 미세바늘에 구멍을 내어 상기 구멍 내에 알부틴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i) 또는 ii)의 형태로 미세바늘을 제조하는 경우, 알부틴이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으며, 특히 i)의 형태로 미세바늘을 제조하는 경우, 알부틴의 경피 투과도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바늘을 형성하는 물질이 생체 내에서 용해되어 미세바늘에 함유된 알부틴이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방출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미세바늘에 포함된 알부틴이 피부내에서 미세바늘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양태에서, 상기 미세바늘을 형성하는 물질은 피부 내에서 용해되어 미세바늘의 피부 적용시 미세바늘이 용해 또는 붕괴됨으로써 미세바늘의 내부에 포함된 알부틴이 피부 내부에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세바늘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내에서 용해성일 수 있으며, 용해성 미세바늘을 형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소듐-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Na-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 등의 수용성 고분자; 자일로즈(Xylose), 수크로스(Sucrose), 말토오스(Maltose), 락토오스(Lactose), 트레할로스(Trehalose) 등의 당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미세바늘의 피부 투과 강도, 피부 내에서의 용해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소듐-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Na-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및 당류(saccharide)(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Trehalose))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글리세린(Glycerin)까지 혼합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미세바늘은 미세바늘을 형성하는 상기 성분들 이외에 가소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항염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plasticizer)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e),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등의 폴리올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바늘의 길이는 특정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부틴은 미세바늘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유효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수 있으며, 1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미세바늘의 물성 및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바늘을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종래 다른 피부 투여 시스템과 비교하여 피부 투과량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바늘은 피부 미백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세바늘을 포함하는 미세바늘 패치를 제공하며, 즉 상기 미세바늘이 부착되어 있는 알부틴 투여용(또는 전달용) 미세바늘 패치(patch)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치는 상기 본 발명의 알부틴이 함침된 미세바늘이 하나 이상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미세바늘이 부착되어 있는 면이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된 시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시트의 크기는 특정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부에 흡수될 알부틴의 양 또는 부착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시트의 면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미세바늘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패치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는 면에도 알부틴을 함유시켜 미세바늘에 의해 형성된 구멍에 알부틴이 침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우수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알부틴은 미세바늘에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S1) 알부틴 및 피부 내 용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바늘을 형성하는 물질을 몰드에 채워 혼합하는 단계; 및 S2) 상기 몰드를 가온하고 건조한 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세바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알부틴을 미세바늘에 함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함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i) 미세바늘을 형성하는 피부 내 용해성 물질과 함께 알부틴을 함유하거나, ii) 미세바늘에 구멍을 내어 상기 구멍 내에 알부틴을 함유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알부틴을 미세바늘 내에 함침하기 위하여 미세바늘의 구조를 형성하는 물질과 알부틴을 함께 미세바늘 형성용 몰드(mold)에 채워 혼합한 후, 상기 몰드를 가온하고 이를 건조한 후 분리하여 미세바늘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내 용해성 물질은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소듐-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Na-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 등의 수용성 고분자; 자일로즈(Xylose), 수크로스(Sucrose), 말토오스(Maltose), 락토오스(Lactose), 트레할로스(Trehalose) 등의 당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바늘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부틴을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알부틴의 화장학적 피부 투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 "적용"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바늘을 피부에 부착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바늘 패치를 피부에 부착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다.
본 발명은 알부틴의 효과적인 피부전달을 통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알부틴의 투여 시스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미세바늘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부틴의 피부 투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바늘을 제조하는 여러 방법 중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용해성 미세바늘은 solution casting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solution을 몰드에 캐스팅(casting)하여 진공 및/또는 원심분리로 미세 몰드에 액을 채운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미세바늘 구조체를 형성하는 물질은 일반적인 합성 및 천연 수용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바늘의 알부틴의 방출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Franz diffusion cell을 나타낸다.
도 3은 돼지 피부를 장착한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평가한, 미세바늘로부터의 알부틴 방출 평가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알부틴이 머쉬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시키는 결과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5는 알부틴 크림과 알부틴이 함침된 미세바늘을 사용한 시험군의 색차계를 이용한 멜라닌 지수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붉은색, 실험예) 및 비교예 2(푸른색)의 피부 자극 평가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용해성 미세바늘의 제조>
용해성 미세바늘은 solution casting 방법으로 제조되며(도 1 참고), solution 을 몰드 (mold)에 캐스팅(casting) 하여 진공 혹은 원심분리로 미세 몰드에 액을 채운 후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미세바늘 구조체를 형성하는 물질은 일반적인 합성 및 천연 수용성 고분자가 사용되었다.
<알부틴을 함유하는 용해성 미세바늘 제조(실시예 1)>
성분 실시예 1
(단위: 중량%)
oligo-HA 6
Na-CMC 6
Trehalose 10
Glycerin 5
HCO-40 0.2
Arbutin 1
water To 100
Oligo-HA(Hyaluronic acid), Na-CMC(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및 트레할로스(Trehalose)를 정제수에 용해한 후, 글리세린(Glycerin), HCO-40(Hydrogenated castor oil) 및 알부틴(Arbutin)을 첨가하여 알부틴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용액을 실리콘 미세바늘 몰드에 캐스팅(casting) 한 후, 3000 rpm 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미세 몰드에 액을 충진하였다. 용액 충진 후 건조 오븐(70℃)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고, 점착 필름을 이용하여 미세바늘을 실리콘 몰드로부터 분리해 냈다(실시예 1).
<알부틴 함유 수중유화제형 크림 제조(비교예 1)>
성분 비교예 1
(단위: 중량%)
C14-22알코올,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80:20)
(MONTANOV-L)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50:50)
(LIPOMULSE 165)
1.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9
세테아릴알코올 1.5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4.5
사이클로헥사실록산 3.5
카보머 0.2
트로메타민 0.2
글리세린 3
디프로필렌글라이콜 5
1,2-헥산디올 2
알부틴 1
정제수 To 100
미세바늘에 함침된 유효성분과 수중유 크림에 적용한 유효성분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알부틴이 함유된 수중유화제형(oil-in-water) 크림을 제조하였다(비교예 1).
<실험예 1>
약물 방출 거동
본 발명자들은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돼지피부 조직 및 acceptor solution(30 중량%의 DPG가 함유된 PBS 용액)의 알부틴 함량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돼지 피부에 실시예 1을 부착 및 비교예 1을 도포(시간: 2시간, 온도: 32℃)하여 돼지 피부 내에 침투하여 녹게 한 후, 미세바늘 및 크림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해 알부틴이 흡수된 돼지 피부를 franz diffusion cell에 넣어(도 2), 시간에 따른 알부틴의 피부 투과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교예 1은 피부를 통해 투과되는 양이 약 1μg 이하로 그 양이 미미하였으나, 미세바늘에 함침된 알부틴은 니들에 의해 피부로 직접 투과하여 그 투과량이 약 20μg 이상으로 약 20배 이상 크림 대비 높은 피부 투과량을 나타내었다.
< 실험예 2>
In Vitro 머쉬룸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확인
본 발명자들은 머쉬룸 티로시나아제의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적 분광학적인 방법의 하나인 바니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Vanni A. at al., Annali di Chimica, 80(35), 1990). 즉, 0.1M 포타슘 포스페이트 완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8) 1.0㎖, 0.3㎎/㎖ L-티로신(L-tyrosine)수용액 1.0㎖ 및 1250 unit/㎖ 머쉬룸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0.1㎖를 혼합한 후 여기에 시료용액을 농도에 따라 각각 0.2㎖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효소반응을 진행 시켰다.
반응용액의 흡광도를 480nm에서 측정하여 시료의 효소 저해활성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하였다.
머쉬룸 티로시나아제 억제율 (%) = [(A-B)/A] x 100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480nm에서의 흡광도, B: 시료를 첨가한 반응용액의 480nm에서의 흡광도)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부틴이 머쉬룸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농도에 비례하여 저해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색차계를 이용한 멜라닌 지수 측정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지수 측정을 위하여, 알부틴 크림(비교예 1)과 알부틴이 함침된 미세바늘(실시예 1)을 눈가 주름에 6주간 매일 처리하여, 색차계(MPA-580)를 이용하여 멜라닌 지수 측정을 통해 피부색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고, 시험군과 대조군의 멜라닌 지수를 각 시점별로 평가한 결과를 다음 표와 그래프에 나타내었다(N=20).
그 결과, 하기 표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이 약 2배 가량 우수한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알부틴이 미세바늘에 의해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피부 미백 효과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각 시점별 멜라닌 지수 분석 결과, 실시예 1을 사용한 시험군이 비교예 1을 사용한 시험군에 비해 멜라닌 지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멜라닌 지수 (N=20)
0주 1주 2주 4주 6주
비교예 1 213.63 203.98 199.99 197.57 195.53
실시예 1 207.04 197.21 193.96 185.22 171.03
< 실험예 4>
피부 자극 평가
본 발명자들은 피부 자극 평가를 위해 하기 표 4의 조성을 갖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미세바늘을 제작하였다.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세바늘(실시예 1)과 알부틴을 포함하지 않는 미세바늘(비교예 2)을 팔 안쪽 부위 피부에 매일 적용하였다. 250 ㎛ 니들 크기의 미세바늘을 기준으로 하여 알부틴 유무에 따른 피부 자극을 평가하였으며, 7일간 10명의 피험자에 대하여 반복 개방형 적용시험을 하였다. 상세한 시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시험방법
피험자: 여성 10 명
1) 시험 부위: Elbow Flex(antecubital fossa: 주전와)
2) 시험 면적: 가로 5cm x 세로 5cm
3) 제품 적용 횟수: 2회/1일(오전, 오후)
4) 제품 적용 양: 1개/1회
5) 적용 기간: 1주일(7일)
6) 시험 물질의 제거: 수세(washing)
7) 판독 시간: 오전 제품 적용 전 판독
성분(단위: 중량%) 실시예 1 비교예 2
oligo-HA 6 6
Na-CMC 6 6
Trehalose 10 10
Glycerin 5 5
HCO-40 0.2 0.2
Arbutin 1 0
water To 100 To 100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이 비교예 2에 비해 피부 자극이 약 2배 더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알부틴(Arbutin)을 포함하는 용해성 미세바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바늘을 형성하는 물질은 피부 내에서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바늘을 형성하는 물질은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소듐-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소듐-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Na-CMC,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 당류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바늘은 미세바늘을 형성하는 물질 이외에 가소제(plasticizer)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부틴은 미세바늘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바늘은 알부틴의 피부 투과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바늘은 피부 미백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바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세바늘을 포함하는 미세바늘 패치.
  9. S1) 알부틴 및 피부 내 용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바늘을 형성하는 물질을 몰드에 채워 혼합하는 단계; 및
    S2) 상기 몰드를 가온하고 건조한 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세바늘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세바늘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부틴을 피부 내로 전달하는 알부틴의 화장학적 피부 투여 방법.
KR1020150170097A 2015-05-13 2015-12-01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알부틴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594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66833 2015-05-13
KR1020150066833 2015-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446A true KR20160134446A (ko) 2016-11-23
KR102594169B1 KR102594169B1 (ko) 2023-10-25

Family

ID=5754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097A KR102594169B1 (ko) 2015-05-13 2015-12-01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알부틴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1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275A (ko) 2001-01-10 2002-07-18 장동일 알부틴과 글루코시다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미백제
KR20110112643A (ko) * 2010-04-07 2011-10-13 한국메카투라주식회사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1260A (ko) * 2013-07-22 2015-01-30 (주)아모레퍼시픽 패치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용 키트 및 미용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275A (ko) 2001-01-10 2002-07-18 장동일 알부틴과 글루코시다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미백제
KR20110112643A (ko) * 2010-04-07 2011-10-13 한국메카투라주식회사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1260A (ko) * 2013-07-22 2015-01-30 (주)아모레퍼시픽 패치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용 키트 및 미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169B1 (ko)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adon et al. Enhancement strategie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Current trends and applications
Sharma et al.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a review
KR101174786B1 (ko)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
TW200539907A (en) Delivery of polymer conjugates of therapeutic peptides and proteins via coated microprojections
CN101027045A (zh) 基于芬太尼药物的透皮释放装置和方法
KR20160128888A (ko) 트라넥삼산 약물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60122046A (ko) 폴리페놀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KR20170124322A (ko) 알러지 질환 치료제 전달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000747A (ko) 트러블 개선 및 피부 재생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509435B1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전달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CN101160117A (zh) 依泊汀-基药物的透皮释放装置和方法
CN113056268A (zh) 纤溶酶原激活物抑制剂1(pai-1)抑制剂和其用途
CN100566669C (zh) 甲状旁腺激素药物的透皮释放装置
KR20170032808A (ko) 멘톨 또는 멘톨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60134446A (ko)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알부틴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132570A (ko) 탈모 방지제 및 발모 치료제 전달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WO2019088315A1 (ko) 탈모 방지제 및 발모 치료제 전달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399484B1 (ko) 건선 치료제 전달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60145470A (ko) 하이드로퀴논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139964A (ko) 타박상 치료제 전달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60128896A (ko) 옥시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032806A (ko) 상처 치유 및 2차 감염 예방을 위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20170000740A (ko) 리그닌퍼옥시다아제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525629B1 (ko) 하이드록시산을 함유한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493996B1 (ko) 항염 효과의 성분을 포함하는 저자극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