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424A - 단자 커버 및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단자 커버 및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424A
KR20160134424A KR1020150106446A KR20150106446A KR20160134424A KR 20160134424 A KR20160134424 A KR 20160134424A KR 1020150106446 A KR1020150106446 A KR 1020150106446A KR 20150106446 A KR20150106446 A KR 20150106446A KR 20160134424 A KR20160134424 A KR 20160134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cover
top plate
fix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유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20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Breaker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과제] 충전부의 상태에 대한 적응성과 신뢰성을 양립한 단자 커버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결 수단] 단자부(12)에 감합되었을 때에, 단자부(12)의 조작면(1ft)측을 덮는 천판부(21t)와, 측벽부(21wS)와, 복수의 단자(12r) 사이를 가로막는 중간벽부(21wM)가 일체 형성된 고정부(21)와, 고정부(21)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선(50)을 덮는 길이(Lc)를 조정하기 위한 가동부(22)를 구비하며, 가동부(22)에는, 이동시에 고정부(21)의 천판부(21t)와 측벽부(21wS) 및 중간벽부(21wM)의 각각과 슬라이딩 하는 천판부(22t)와 측벽부(22wS) 및 중간벽부(22wM)가 일체 형성됨과 아울러, 고정부(21)의 중간벽부(21wM)와 가동부(22)의 중간벽부(22wM) 중 어느 하나는, 천판부(21t)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타방의 중간벽부를 끼워 넣도록, 단면 형상이 U자 모양을 이룬다.

Description

단자 커버 및 개폐 장치{TERMINAL COVER and SWITCH}
본 발명은, 전선이 접속되는 개폐 장치 중 적어도 충전부를 덮는 단자 커버, 및 그것을 구비한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개폐 장치는, 일반적으로 벽면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선(配線) 작업이 이루어지며, 그 후, 노출된 도전(導電) 부분(충전부)을 덮기 위한 단자 커버가 장착된다. 그 때, 배선 작업자는, 압착 단자나 현장 상황에 의해서 바뀌는 배선 형상 등의 충전부의 상태에 따라서, 예를 들면, 길이가 다른 단자 커버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작업 대상의 개폐 장치수를 상회하는, 수(數) 종류의 단자 커버를 미리 준비해 둘 필요가 있고, 충전부의 상태에 따라 그때마다 선정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개폐 장치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한 어댑터(adaptor)를 이용하여, 충전부의 길이에 대응시키는 단자 커버나, 길이 방향으로 이어서 덧붙일 수 있는 연결용 커버를 마련한 단자 커버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실용신안공고 소59-34040호 공보(제2란 제25행 ~ 제4란 제17행, 제1도~ 제3도)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08-96688호 공보(단락 0016~0017, 도 1, 단락 0020~0021, 도 6~도 7)
그렇지만, 상술한 슬라이딩 가능한 어댑터를 이용한 단자 커버에서는, 외부에 대해서 충전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은 가지지만, 극(極) 사이에 간극이 있기 때문에, 충분히 절연 거리를 유지할 수 없었다. 한편, 이어서 덧붙일 수 있는 단자 커버는, 절연 거리에 대해서는 확보되어 있지만, 배선 상태가 변화할 때에는, 연결용 커버를 떼어내거나, 혹은 새롭게 장착하거나 할 필요가 있어, 작업성에 문제가 있었다. 즉, 충전부의 상태에 대한 적응성과 신뢰성을 양립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충전부의 상태에 대한 적응성과 신뢰성을 양립한 단자 커버 및 그것을 구비한 개폐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단자 커버는, 상자 모양의 기기(機器) 본체의 설치면의 반대측인 조작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세로 방향의 단부에 복수의 단자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단자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전선을 접속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한 단자 커버로서, 상기 단자부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기 위한 감합부와, 상기 감합부가 상기 단자부에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단자부의 상기 조작면측을 덮는 천판부(天板部)와, 상기 천판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설치면측을 향해 연신(延伸)하는 측벽부와, 상기 복수의 단자 사이를 가로막도록 상기 천판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측을 향해 연신하는 중간벽부가 일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세로 방향에서의 상기 전선을 덮는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가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부에는, 상기 세로 방향의 이동시에 상기 고정부의 천판부와 측벽부 및 중간벽부의 각각과 슬라이딩하는 천판부와 측벽부 및 중간벽부가 일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의 중간벽부와 상기 가동부의 중간벽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천판부로부터 보았을 때에, 타방의 중간벽부를 끼워 넣도록, 단면 형상이 U자 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 단자 커버는, 상자 모양의 기기 본체의 조작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단부에 단독 혹은 복수의 단자가 배치된 단자부에 대해, 전선이 접속된 상태의 단자의 각각에 대해 착탈 가능한 단자 커버로서, 상기 단자의 각각에 대해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단자의 각각에 감합되었을 때에, 해당 단자에 접속된 전선을 둘러싸는 4방향 중, 상기 조작면의 반대측인 설치면측을 개방하여 나머지의 3방향으로부터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고정부와, 상기 설치면측을 개방하여 나머지의 3방향으로부터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상태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속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설치면에 평행한 면내에서의 변형이 가능한 가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자 커버에 의하면, 극(極) 사이의 격벽을 중간에서 끊어지지 않고 충전부를 커버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충전부의 상태에 대한 적응성과 신뢰성을 양립한 단자 커버 및 그것을 구비한 개폐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장치에서의 단자 커버의 신축 상태의 차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장치의 본체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장치의 단자부와 단자 커버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커버의 주구성 부재의 하나인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커버의 주구성 부재의 하나인 가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커버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마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커버의 신축 상태마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개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개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단자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개폐 장치에 배선을 접속했을 때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개폐 장치에 배선을 접속했을 때의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端子) 커버 및 그것을 구비한 개폐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1은 개폐 장치의 단자 커버를 최대한으로 신장시킨 경우로부터 최소한으로 축소시킨 경우까지의 단계마다 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자부 근방 부분의 평면도, 도 2는 개폐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개폐 장치로부터 단자 커버를 떼어낸 본체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개폐 장치의 단자부와 단자 커버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자부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와 그 중의 영역 B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도이며, 각각 도 1의 A-A선에 의한 절단면에 대응한다. 그리고, 도 5는 단자 커버의 분리 가능한 주구성 부재의 일방인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그 중의 영역 C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도, 도 6은 단자 커버의 주구성 부재의 다른 일방인 가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그 중의 영역 D에 대응하는 부분 확대도, 도 7은 상술한 고정부와 가동부를 조합시켜 단자 커버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조립 개시 직후와 조립 완료시의 사시도, 도 8은 조립 후의 단자 커버를 신장시키고 있던 경우의 신축 상태마다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개폐 장치(1)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 모양의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전선(50)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12, 13)가 배치되며, 단자부(12, 13) 중, 적어도 단자부(12)에는, 전선의 연신하는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단자 커버(20)가 감합(嵌合, 끼워 맞춤)되어 있다. 또, 개폐 장치(1)는, 수직면에 대해서 설치면(1fb)을 맞추어 설치되는 것이 상정(想定)되며, 실제의 설치 상황에서는, 길이 방향(도 1, 도 3에서는 좌우 방향)이 연직 방향이 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길이 방향을 세로 방향(y방향)이라고 칭한다. 또, 도 1과 도 3에서의 상하 방향을 가로 방향(x방향), 도 1과 도 3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도 2에서는 상하 방향)을 두께 방향(z방향)이라고 칭하고, 설치면(1fb)의 반대측의 면을 조작면(1ft)이라고 칭한다.
또, 단자 커버에 관련하는 부분 이외의 구성(예를 들면, 본체(10)에 내장된 회로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나 핸들(14) 등의 구성)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개폐 장치와 동일하며,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개폐 장치(1)로서는, 간단히 개폐를 행하는 개폐기라고 칭해지는 것이라도 좋지만, 과전류나 누전을 검지하여 단로(斷路)하는 차단기나 누전 차단기라고 칭해지는 것이라도 괜찮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장치(1)에서는, 공급측(단자부(13)), 부하측(단자부(12)) 모두, 3개의 전선(50)을 접속하는 타입(3극(極))을 예로 기재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는 않고, 2극(極) 이상이 인접하는 것이면 좋다. 게다가, 단자 커버(20)는 단자부(13)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단자부(12)만에 대해 기재한다.
본체(10)의 단자부(12)에는, 전선(50)(의 선단에 형성된 단자)을 접속하기 위한 3개의 단자(12r)가, 두께 방향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 단면(端面)(12fu)측에는, 단자 커버(20)를 끼워 넣기 위한 홈부(12gz)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자(12r)는, 중간벽부(12wM)나 측벽부(12wS)와 본체(10)측의 배면(12fb)에 의해서, 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면방향 중, 3방향을 둘러싸게 된다.
단자 커버(20)는, 단자(12r)에 전선(50)이 접속된 상태에서, 충전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플라스틱 등의 비도전성재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단자 커버(20)는, 단자부(12)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고정부(21)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한 가동부(22)로 구성되며, 단자(12r)의 중심으로부터의 세로 방향 길이(Lc)를 배선 상황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인 단자 커버와 마찬가지로, 전선(50)의 연신 방향에서의 단면(端面)(20ff)에는, 전선(50)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22a)가 단자(12r)마다 형성되어 있다. 또, 배선후에 커버를 장착하기 위해, 설치면(1fb)측은, 상술한 개구부(22a)와 연통하도록,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12r)마다 개방되어 있다. 게다가, 신축의 어느 단계에서도, 인접하는 전선(50) 사이(극(極) 사이)에는, 절연재(중간벽부(22wM) 또는 중간벽부(21wM))가 개재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21), 가동부(22)는, 이하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고정부(2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부에 대해서 개폐 장치(1)의 조작면(1ft)측을 덮는 판 모양의 천판부(天板部)(21t)와, 외부와 충전부를 가로 방향으로 격리하기 위해, 천판부(21t)의 가로 방향에서의 양단으로부터 설치면(1fb)측을 향하여 연신하는 2개의 측벽부(21wS)와, 극(極) 사이를 격리하기 위해, 천판부(21t)의 가로 방향에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측벽부(21wS)와 평행하게 설치면(1fb)측을 향하여 연신하는 2개의 중간벽부(21wM)가 형성되어 있다. 극(極) 사이를 격리하는 2개의 중간벽부(21wM)의 단자부(12)에 대향하는 측단에는, 단자부(12)의 홈부(12gz)를 따라서 슬라이딩함과 아울러, 홈부(12gz)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물려 들어가도록, 가로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줄기(21cz)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가로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벽부(21wS)의 단자부(12)에 대향하는 측단(側端)에는, 내측으로만 돌출하는 돌출 줄기(21cz)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 줄기(21cz)를 단자부(12)의 홈부(12gz)에 대해, 조작면(1ft)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끼워 넣는 것에 의해, 고정부(21)는, 단자부(12)에 대해서 고정되고, 또한, 단자부(12)에서의 극(極) 사이 및 외부와의 격리 상태를 단자 커버(20) 부분까지 연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극(極) 사이를 격리하는 중간벽부(21wM)는, 돌출 줄기(21cz)가 형성된 측 이외의 영역은, 후술하는 가동부(22)의 홈부(22gz) 내로 들어가도록 판 두께가 얇은 박판부(21wt)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박판부(21wt) 중, 돌출 줄기(21cz)의 반대측의 측단부(21we)는, 홈부(22gz) 내에 들어가지만, 다른 부분보다 판 두께가 두껍게 되도록 가로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게다가, 설치면(1fb)측의 단부 근방에는, 박판부(21wt)로부터 측단부(21we)까지 세로 방향으로 연신하는 홈부(21gy)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벽부(21w) 중, 가로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벽부(21wS)의 내측의 측면(21fs)의 설치면(1fb)측의 단부에는, 복수의 오목부(21dy)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천판부(21t)에는, 세로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21ay)가 형성됨과 아울러, 조작면(1ft)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개구부(21ay)를 가로 방향으로 걸치는 아치부(21ky)가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편, 가동부(2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부(22t)의 단자부(12) 측에는, 고정부(21)의 박판부(21wt)가 들어가도록 잘린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12)의 대향면의 반대측, 즉, 최선단이 되는 단면(端面)(20ff)에는, 전선(50)이 통과하기 위해 개구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와 충전부를 가로 방향으로 격리하기 위해, 천판부(22t)의 가로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설치면(1fb)측을 향하여 연신하는 2개의 측벽부(22wS)와, 극(極) 사이를 격리하기 위해, 천판부(22t)의 가로 방향에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측벽부(22wS)와 평행하게 설치면(1fb)측을 향하여 연신하는 2개의 중간벽부(22wM)가 형성되어 있다. 극(極) 사이를 격리하는 2개의 중간벽부(22wM)는, 천판부(22t)의 잘린 부분에 대응하여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박판부(21wt)를 끼워 넣도록, 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 형상이 U자 모양이 되는 홈부(22gz)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조립후의 단자 커버(20)는, 단자부(12)에서의 극(極) 사이 및 외부와의 격리 상태를 단자 커버(20) 부분까지 연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면 형상이 U자 모양의 중간벽부(22wM)의 홈부(22gz)의 내측면의 설치면(1fb)측의 단부 근방에는, 고정부(21)의 홈부(21gy)에 대응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신하는 돌출 줄기(22cy)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 줄기(22cy)는, 고정부(21)의 측단부(21we) 부분의 세로 방향의 길이인 폭(Wy)에 대응하고, 홈부(22gz)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간격(Sy)을 두도록 연신하고 있다. 또, 내측면의 단자부(12)측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조립후에, 고정부(21)의 측단부(21we)가 빠져 나가지 않도록, 두께 방향을 따라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빠짐 방지용 돌출 줄기(22cz)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가로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벽부(22wS)의 외측의 측면(22fs)의 설치면(1fb)측, 또한 단자부(12)측의 단부(모서리부)에는, 고정부(21)의 복수의 오목부(21dy) 중 어느 하나에 끼워넣기 위한 돌기(22cp)가 형성되어 있다. 또, 천판부(22t)에는, 고정부(21)의 개구부(21ay)를 빠져 나가, 아치부(21ky) 중 어느 하나에 겹칠 수 있는 아치부(22ky)가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고정부(21)와 가동부(22)를 조합시켜 단자 커버(20)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22)의 U자 모양의 홈부(22gz)의 설치면(1fb)측에, 고정부(21)의 박판부(21wt)를 천판부(22t)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때, 박판부(22wt)에서의 단자부(12)측의 단부에, 홈부(22gz)의 단자부(12)측의 단부가 닿도록 하여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박판부(21wt)의 측단부(21we)가, 홈부(22gz)의 빠짐 방지용 돌출 줄기(22cz) 보다도 홈부(22gz)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게다가, 박판부(21wt)의 측단부(21we)가, 돌출 줄기(22cy)와 홈부(22gz)의 저면과의 간극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의 하단과 같이, 가동부(22)를 고정부(21)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힘껏 밀어넣으면, 가동부(22)의 돌출 줄기(22cy)가, 고정부(21)의 홈부(21gy)에 감입(嵌入)한다. 게다가, 가동부(22)의 돌기(22cp)가, 고정부의 복수의 오목부(21dy) 중, 가장 단자부(12)측 근처의 오목부(21dy)에 감입한다. 이것에 의해, 단자 커버(20)가 조립된다.
이 조립된 상태의 단자 커버(20)를 그대로 단자부(12)에 장착하면,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21)로부터 단면(端面)(22ff)으로의 연장 길이(Le)가 최소가 되며, 단자(12r)의 중심으로부터의 세로 방향 길이(Lc)가 최단 상태가 된다. 또, 고정부(21)의 아치부(21ky) 중 적어도 하나와, 가동부(22)의 아치부(22ky) 중 적어도 하나(도 1의 (c)에서는 3개 모두)가 겹쳐진 상태가 된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8의 (c)의 상태로부터, 고정부(21)에 마련된 반달형의 절입부(切入部)(21m)에 손가락을 대면, 가동부(22)를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 때, 가동부(22)의 돌출 줄기(22cy)가 고정부(21)의 홈부(21gy)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입하고 있으며, 고정부(21)의 천판부(21t)의 내벽에 가동부(22)의 천판부(22t)가 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어떠한 인출 위치(도 1 혹은 도 8의 (a) 내지 (c))에서도, 고정부(21)와 가동부(22)의 평행 관계가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어떠한 인출 위치라도, 고정부(21)의 박판부(21wt)는, 가동부(22)의 홈부(21gy) 내에 들어가 있으며, 또한, 최대의 인출 위치라도, 절입부(21m) 부분과 충전부와의 사이에는, 가동부(22)의 벽부(22w)가 개재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자 커버(20)는, 어떠한 인출 위치라도, 단자부(12)에서의 극(極) 사이 및 외부와의 격리 상태를 단면(20ff)부분까지 연속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인출 상태에 따라 가동부(22)의 돌기(22cp)가, 고정부의 복수의 오목부(21dy) 중 어느 하나에 감입함으로써, 수 단계의 인출 위치에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유지)할 수 있다. 또, 그 때에, 가동부(22)의 아치부(22ky) 중 어느 하나가, 고정부의 아치부(21ky)에 겹쳐지도록, 세로 방향의 배치를 설정하고 있으면, 예를 들면, 와이어 등의 고정구에 의해, 단자부(12)로의 장착후라도, 락을 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배선 작업자는, 길이가 다른 수 종류의 단자 커버를 그때마다 구입하거나, 다수의 종류를 준비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 배선 상태에 따라 최적인(연장 길이(Le)의) 단자 커버(20)를 가지는 개폐 장치(1)를 얻는(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부(22)의 천판부(22t)가 고정부(21)의 천판부(21t) 보다도 설치면(1fb)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가동부(22)의 중간벽부(22wM)의 단면 형상을 U자 모양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고정부(21)의 천판부(21t)가 가동부(22)의 천판부(22t) 보다도 설치면(1fb)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경우, 반대로 고정부(21)의 중간벽부(21wM)를 U자 모양으로 해도 괜찮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커버(20)에 의하면, 상자 모양의 기기 본체(본체(10))의 설치면(1fb)의 반대측인 조작면(1ft)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세로 방향(y방향)의 단부에 복수의 단자(12r)가 가로 방향(x방향)으로 배치된 단자부(12)에 대해, 복수의 단자(12r) 중 어느 하나에 전선(50)을 접속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한 단자 커버(20)로서, 단자부(12)(의 홈부(12gz))에 감합하기 위한 감합부(돌출 줄기(21cz))와, 감합부(돌출 줄기(21cz))가 단자부(12)에 감합되었을 때에, 단자부(12)의 조작면(1ft)측을 덮는 천판부(21t)와, 천판부(21t)의 가로 방향(x방향)에서의 양단으로부터 설치면(1fb)측을 향해 연신하는 측벽부(21wS)와, 복수의 단자(12r) 사이를 가로막도록 천판부(21t)로부터 설치면(1fb)측을 향해 연신하는 중간벽부(21wM)가 일체 형성된 고정부(21)와, 고정부(21)에 대해서 세로 방향(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로 방향(y방향)에서의 전선(50)을 덮는 길이(Lc)를 조정하기 위한 가동부(22)를 구비하며, 가동부(22)에는, 세로 방향(y방향)의 이동시에 고정부(21)의 천판부(21t)와 측벽부(21wS) 및 중간벽부(21wM)의 각각과 슬라이딩하는 천판부(22t)와 측벽부(22wS) 및 중간벽부(22wM)가 일체 형성됨과 아울러, 고정부(21)의 중간벽부(21wM)와 가동부(22)의 중간벽부(22wM) 중 어느 하나(본 실시 형태에서는, 22wM)는, 천판부(21t)(또는 천판부(22t))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타방의 중간벽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21wM)를 끼워 넣도록, 단면 형상이 U자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했으므로, 1종류의 단자 커버(20)로, 극(極) 사이의 절연을 해치지 않고, 충전부의 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즉, 충전부의 상태에 대한 적응성과 신뢰성을 양립한 단자 커버(20) 및 그것을 구비한 개폐 장치(1)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가동부(22)는, 고정부(21)에 대해서 서로의 천판부(21t, 22t)를 평행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서로의 천판부(21t, 22t)에 수직인 방향으로 감합시켜 장착되도록 구성했으므로, 세로 방향의 어느 길이로 조절해도, 극(極) 사이에는, 중간벽부(22wM)와 중간벽부(21wM) 중 어느 하나가 반드시 개재하게 된다. 또, 세로 방향으로 최대한 인출해도 빠지거나 하지는 않는다.
고정부(21)와 가동부(22)에는, 세로 방향(y방향)에서의 소정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고,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구조(예를 들면, 돌기(22cp)와 복수의 오목부(21dy)의 조합)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로 방향 길이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 용이하게 해제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단자부의 모든 극(極)을 한꺼번에 커버하는 단자 커버에 대해 설명했다. 본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단자 커버는, 극(極)마다 덮음과 아울러, 길이 뿐만 아니라 형상도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도 9~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단자 커버 및 그것을 구비한 개폐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9는 하나의 극(極)에 단자 커버를 마련한 개폐 장치의 단자부 근방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와 동일한 상태의 개폐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단자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설치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또, 도 12는 만곡한 배선 상태에 대해서 단자 커버를 배선의 휨에 맞추어 만곡(灣曲)시킨 상태에서의 개폐 장치의 단자부 근방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2개의 극(極)에 단자 커버를 마련한 개폐 장치의 단자부 근방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본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개폐 장치에서도, 단자 커버에 관련하는 부분 이외의 구성(예를 들면, 본체(10)의 내부 구성이나 핸들(14) 등의 구성)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개폐 장치와 동일하고,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개폐 장치(1)에서도, 공급측, 부하측과 아울러, 3개의 전선(50)을 접속하는 3극(極) 타입을 예로 기재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단극(單極) 타입에도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단자 커버는 공급 측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부하측만에 대해 기재한다.
본 실시 형태 2에 관한 개폐 장치(1)에 이용한 단자 커버(23)는,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1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3b)와, 전선(50)에 맞추어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 형상을 이루는 가요부(23f)로 구성된다. 또, 도 9~도 11에서는, 단자 커버(23)의 세로 방향 길이(가요부(23f)의 길이(Lf))가 최대가 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자 커버(23)도, 단자(12r)에 전선(50)이 접속된 상태에서, 충전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플라스틱 등의 비도전성재로 고정부(23b)와 가요부(23f)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고정부(23b)에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단자 커버(2)의 고정부(21)와 마찬가지로, 충전부에 대해서 개폐 장치(1)의 조작면(1ft)측을 덮는 판 모양의 천판부(23t)와, 극(極) 사이 혹은 외부와 충전부를 가로 방향으로 격리하기 위해, 천판부(23t)로부터 설치면(1fb)측을 향하여 연신하는 벽부(23w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요부(23f)도, 가요성을 가지기 위해서 벨로우즈 모양으로는 되어 있지만, 천판부(23tf) 및 벽부(23wf)는, 각각 고정부(23b)의 천판부(23tb), 벽부(23wb)와 연속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돌출 줄기(23cz)를 단자부(12)의 홈부(12gz)의 조작면(1ft)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끼워 넣는 것에 의해, 단자 커버(23)는, 단자부(12)에 대해서 고정되고, 또한, 단자부(12)에서의 극(極) 사이 및 외부와의 격리 상태를 단면(23ff)부분까지 연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요부(23f)는, 산부(山部)와 골부(谷部)가 교호로 형성된 이른바 벨로우즈 형상이며, 골부 및 산부의 휨 각도를 예각측으로 변화시키면, 단자 커버(23)를 짧게 조정할 수 있고, 반대로 둔각측으로 변화시키면, 단자 커버(23)를 길게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좌측의 휨 각도를 예각측, 우측의 휨 각도를 둔각측으로 변화시키면, 좌측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다. 반대 방향, 즉 우측 방향도 반대로 하면 될 뿐이다.
또, 단자 커버(23)는, 극(極)마다 장착, 이른바 단극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선을 행하지 않은 개소에서는 이 단자 커버(23)는 장착하지 않고, 배선이 필요한 개소에만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단자 커버(23)의 돌출 줄기(23cz)(및 벽부(23wb))는, 홈부(12gz)의 가로 방향의 절반까지 밖에 메워지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인접하는 극(極)에 대해서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인접하는 극(極)만은 아니라,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떨어진 극(極)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 때, 극(極)마다 다른 형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한편,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단면(23ff)에는, 전선(50)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23h)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배선후에 커버를 장착하기 위해, 설치면(1fb)측은, 개구부(23h)와 연통하도록,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가요부(23f)의 양단, 즉 단면(23ff) 부분과 고정부(23b)와의 경계 부분에는, 각각 돔(dome)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23sf, 23sb)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요부(23f)의 신축 상태, 만곡 상태를 어떻게 변화시킨 경우에도, 설치면(1fb)측을 개방하고, 또한 다른 3방향에 대해서는, 충전부와 외부 또는 극(極) 사이에는, 절연재가 개재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가요부(23f)에 대해서는, 산부와 골부 각각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두께가 두꺼운 형상으로 하고 있다. 재료로서는, 상술한 플라스틱 외,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 유기 재료라도 좋고, 흡습성 등이 없고,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 무기 재료나 가죽이나 종이 등의 천연 소재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단자 커버(23)에 의하면, 상자 모양의 기기 본체(본체(10))의 조작면(1ft)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세로 방향(y방향)의 단부에 단독 혹은 복수의 단자(12r)가 배치된 단자부(12)에 대해, 전선(50)이 접속된 상태의 단자(12r)의 각각에 대해 착탈 가능한 단자 커버(23)로서, 단자(12r)의 각각에 대해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단자(12r)의 각각에 감합되었을 때에, 해당 단자(12r)에 접속된 전선(50)을 둘러싸는 4방향 중, 조작면(1ft)의 반대측인 설치면(1fb)측을 개방하여 나머지의 3방향으로부터 전선(50)을 둘러싸는 고정부(23b)와, 설치면(1fb)측을 개방하여 나머지의 3방향으로부터 전선(50)을 둘러싸는 상태를 고정부(23b)로부터 연속하도록 고정부(23b)로부터 연장되며, 설치면(1fb)에 평행한 면내에서의 변형이 가능한 가요부(23f)를 구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1종류의 단자 커버(23)로, 극(極) 사이의 절연을 해치지 않고, 충전부의 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즉, 충전부의 상태에 대한 적응성과 신뢰성을 양립한 단자 커버(23) 및 그것을 구비한 개폐 장치(1)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각, 배선을 좌우 방향으로 구부리고 싶은 경우에도, 단자 커버(23) 부분으로부터 구부릴 수 있으므로, 커버로부터 나온 부분으로부터 구부리기 시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배선 스페이스가 적어도 되어, 개폐 장치(1) 등의 공간 실장 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극(極)마다 다른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공간절약성이 더 향상한다.
가요부(23f)를 벨로우즈 모양으로 형성했으므로, 상술한 작용 효과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가요부(23f)와 고정부(23b)를 일체 형성하면, 절연 신뢰성이 더 향상된다. 또는, 가요부(23f)에서의 고정부(23b)측의 단부와, 고정부(23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단면(23ff) 부분에는, 설치면(1fb)측을 개방하여 나머지의 3방향으로부터 전선(50)을 둘러싸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23sb, 23sf)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요부(23f)를 어떠한 형태로 변형시켜도, 장착성, 신뢰성을 해치지는 않는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의 단자 커버(20, 23)는, 개폐 장치(1)의 일부로서 예시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전력계 등의 계측 기기 등, 배선용 단자가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1:개폐 장치 1fb:설치면
1ft:조작면 10:본체
12:단자부 12gz:홈부
13:단자부 20:단자 커버
20a:개구부 20ff:단면
21:고정부 21ay:개구부
21cz:돌출 줄기 21dy:오목부
21fs:측면 21gy:홈부
21ky:아치부 21t:천판부
21we:측단부 21wM:중간벽부
21wS:측벽부 21wt:박판부
22:가동부 22cp:돌기
22cy:돌출 줄기 22cz:빠짐 방지용 돌출 줄기
22fs:측면 22gz:홈부
22ky:아치부 22wM:중간벽부
22wS:측벽부 23:단자 커버
23b:고정부 23cz:돌출 줄기
23f:가요부 23ff:단면
23h:개구부 23sb:지지체
23sf:지지체 23t:천판부
23tb:(고정부의) 천판부
23tf:(가요부의) 천판부
23wb:(고정부의) 벽부
23wf:(가요부의) 벽부
50:전선

Claims (13)

  1. 상자 모양의 기기(機器) 본체의 설치면의 반대측인 조작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세로 방향의 단부에 복수의 단자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단자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전선을 접속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한 단자 커버로서,
    상기 단자부에 감합(嵌合)하기 위한 감합부와, 상기 감합부가 상기 단자부에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단자부의 상기 조작면측을 덮는 천판부(天板部)와, 상기 천판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설치면측을 향해 연신(延伸)하는 측벽부와, 상기 복수의 단자 사이를 가로막도록 상기 천판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측을 향해 연신하는 중간벽부가 일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세로 방향에서의 상기 전선을 덮는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가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부에는, 상기 세로 방향의 이동시에 상기 고정부의 천판부와 측벽부 및 중간벽부의 각각과 슬라이딩하는 천판부와 측벽부 및 중간벽부가 일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의 중간벽부와 상기 가동부의 중간벽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천판부로부터 보았을 때에, 타방의 중간벽부를 끼워 넣도록, 단면 형상이 U자 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서로의 천판부를 평행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서로의 천판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감합시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에는, 상기 세로 방향에서의 소정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고,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에는, 상기 세로 방향에서의 소정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고,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5. 상자 모양의 기기 본체의 조작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단부에 단독 혹은 복수의 단자가 배치된 단자부에 대해, 전선이 접속된 상태의 단자의 각각에 대해 착탈 가능한 단자 커버로서,
    상기 단자의 각각에 대해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단자의 각각에 감합되었을 때에, 해당 단자에 접속된 전선을 둘러싸는 4방향 중, 상기 조작면의 반대측인 설치면측을 개방하여 나머지의 3방향으로부터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고정부와,
    상기 설치면측을 개방하여 나머지의 3방향으로부터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상태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속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설치면에 평행한 면내에서의 변형이 가능한 가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요부는 벨로우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요부와 상기 고정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요부와 상기 고정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요부에서의 상기 고정부측의 단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단면(端面) 부분에는, 상기 설치면측을 개방하여 나머지의 3방향으로부터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요부에서의 상기 고정부측의 단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단면(端面) 부분에는, 상기 설치면측을 개방하여 나머지의 3방향으로부터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요부에서의 상기 고정부측의 단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단면(端面) 부분에는, 상기 설치면측을 개방하여 나머지의 3방향으로부터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요부에서의 상기 고정부측의 단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단면(端面) 부분에는, 상기 설치면측을 개방하여 나머지의 3방향으로부터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버.
  13. 상기 기기 본체로서, 회로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를 내장하고, 상기 조작면측에 조작용 핸들이 마련된 개폐 장치 본체와,
    상기 단자부에 장착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단자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KR1020150106446A 2015-05-13 2015-07-28 단자 커버 및 개폐 장치 KR201601344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98378 2015-05-13
JP2015098378A JP6468067B2 (ja) 2015-05-13 2015-05-13 端子カバーおよび開閉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424A true KR20160134424A (ko) 2016-11-23

Family

ID=5734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446A KR20160134424A (ko) 2015-05-13 2015-07-28 단자 커버 및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68067B2 (ko)
KR (1) KR20160134424A (ko)
CN (1) CN106158526B (ko)
TW (1) TWI58129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401B1 (ko) * 2018-12-28 2019-09-03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4241B2 (ja) * 2018-06-13 2019-12-25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配線用接続器具、電気機器及び回路遮断器
JP7041101B2 (ja) * 2019-08-07 2022-03-2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040A (ja) 1982-08-13 1984-02-24 Honda Motor Co Ltd 油圧緩衝器
JPH0896688A (ja) 1994-09-27 1996-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端子部を有した電気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連結用端子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040Y2 (ja) * 1979-08-15 1984-09-21 松下電工株式会社 回路しや断器の端子カバ−
JPS5652829U (ko) * 1979-09-30 1981-05-09
JPH05250977A (ja) * 1992-03-06 1993-09-28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端子台取付け構造
JPH10189082A (ja) * 1996-12-24 1998-07-21 Toshiba Corp 電気機器の端子装置
JP2000067728A (ja) * 1998-08-17 2000-03-03 Fuji Electric Co Ltd 回路しゃ断器の端子カバー
CH695404A5 (de) * 2001-09-24 2006-04-28 Rockwell Automation Ag Klemmenabdeckkappe für die Anschlussklemmen eines mehrphasigen elektrischen Schaltgerätes.
JP4492210B2 (ja) * 2004-05-19 2010-06-3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および端子カバー
DE102010033236A1 (de) * 2010-07-29 2012-02-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Schalter
EP2546932A3 (en) * 2011-07-15 2015-06-24 Hosiden Corporation Terminal box and terminal box fixing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040A (ja) 1982-08-13 1984-02-24 Honda Motor Co Ltd 油圧緩衝器
JPH0896688A (ja) 1994-09-27 1996-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端子部を有した電気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連結用端子カ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401B1 (ko) * 2018-12-28 2019-09-03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68067B2 (ja) 2019-02-13
TWI581292B (zh) 2017-05-01
CN106158526B (zh) 2018-06-19
CN106158526A (zh) 2016-11-23
JP2016213142A (ja) 2016-12-15
TW201640552A (zh)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0020B2 (en) Circuit breaker and terminal cover
CN103229267B (zh) 开关装置和端子侧附件
US8331081B2 (en) Electrical syste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hutter assembly therefor
KR20160134424A (ko) 단자 커버 및 개폐 장치
US10541097B2 (en) Electromechanical relay, terminal block, and electromechanical relay assembly
CN103887087A (zh) 具有可翻转的受保护接线端子的通用安装接触块
PT1504508E (pt) Instalação de comutação equipada com uma barreira para isolamento eléctrico
EP2690638B1 (en) Circuit breaker
CA2863251A1 (en) Electric coupling element
CA2576767C (en) Electrical service device
US20140307366A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CN107078417B (zh) 接线盒
EP2738880B1 (en) Connecting terminal
US10122160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WO2019123926A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6583493B2 (ja) 端子カバーおよび開閉装置
EP1768149B1 (en) Multi circuit selecting switchgear
FI59314B (fi) Beroeringsskyddsskaerm foer stroemskenor i elektriska foerdelningssystem
WO2015020785A1 (en) Hidden/sliding door system for field-installed accessory access
KR101047492B1 (ko) 가변식 스위치 박스
KR102166906B1 (ko) 링메인유닛
US20020027489A1 (en) Circuit breaker support and assembly
EP2738879B1 (en) Connecting terminal
KR890004343B1 (ko)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US4517405A (en) Compact conductor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