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107A -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107A
KR20160134107A KR1020150067570A KR20150067570A KR20160134107A KR 20160134107 A KR20160134107 A KR 20160134107A KR 1020150067570 A KR1020150067570 A KR 1020150067570A KR 20150067570 A KR20150067570 A KR 20150067570A KR 20160134107 A KR20160134107 A KR 20160134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quality
quality measurement
measurement data
inform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희
김돈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7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4107A/ko
Publication of KR2016013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현재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가,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METHOD FOR DATA PROCESSING USING AIR QUALITY DATA,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FOR}
본 발명은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현재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생활수준이 점점 향상되면서, 공기질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여 보다 쾌적하고 깨끗한 공기를 원하는 시대가 되었다.
특히, 공기는 사람이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물질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할 경우, 폐질환, 심장질환, 순환계 질환 등 각종 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최근의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공기질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공기질에 대응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공기질 측정 장치들은 각 센서의 성능 차이를 보완할 방법이 없이 동일한 공간 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더라도 서로 다른 공기질을 측정함으로써 공기질을 고려한 정확한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기질 측정 장치들간의 센서 성능 차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하여, 현재까지의 공기질 제어 시스템은 특정 구역에 고정된 형태로 존재하며 지정된 일 구역 내의 공기질만 감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용이한 공기질 측정 장치를 구비하고, 이동에 따라 실시간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동에 따라 실시간 공기질 측정 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등을 판단하여, 보다 정확한 공기질을 고려한 서비스 제공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휴대가 용이한 형태의 공기질 측정 장치를 통해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일 경우,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연동 가능한 외부 기기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외일 경우, 하나 이상의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 또는 기상청이 제공하는 공기질 데이터를 함께 고려하여 공기질 측정 장치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은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가,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 경우,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각 정보와 상기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거나 제어 정보를 지정된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외인 경우,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에 대한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고려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보정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에 도달하거나,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일정 범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상기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어느 하나의 공기질 측정 장치로부터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실내인 경우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한 제어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실외인 경우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에 대한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상기 공기질 측정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는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기질 측정 모듈;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 모듈; 및 상기 위치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에 대한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고려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보정 파라미터를 상기 공기질 측정 모듈로 전달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보정되도록 제어하는 보정 파라미터 산출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휴대가 용이한 형태의 공기질 측정 장치를 통해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일 경우,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연동 가능한 외부 기기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실내의 공기 상황에 적합한 사용자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외일 경우, 하나 이상의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와 기상청이 제공하는 공기질 데이터를 함께 고려하여 공기질 측정 장치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공기질을 측정하고 공기질 측정 장치의 사양이 낮더라도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 또는 외부의 공기질 데이터를 고려하여 보다 정확하게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를 시스템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를 기능 상의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석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처 처리 장치가 시스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를 시스템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데이터 처리 장치(1000)는 시스템 형태로 공기질 측정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분석 서버(300) 및 외부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질 데이터 처리 장치(1000)를 구성하는 각 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휴대가 용이한 형태로 구현되며, 일정 주기 단위, 예컨대 15초 단위로 일정 반경 내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메탄, NOx, 이산화황, 일산화탄소, 벤젠, 톨루엔, 자일렌, 오준,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온도, 습도 부유세균, 황사, 미세먼지와 같이 공기 중에 분포될 수 있는 각종 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아날로그 형태로 측정되는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사전에 사용자 단말(200)과의 등록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등록 과정은 사용자 단말(200)로 미리 제공된 공기질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뤄지거나 별도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서로 연동되도록 등록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0)은 공기질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공기질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기질 측정 장치(100)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등록이 완료되면, 해당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생성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기질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분석 서버(300)와 연동하여 공기질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분석 서버(300)와 연동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 파라미터를 공기질 측정 장치(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공기질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0)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하나의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할 수도 있다.
분석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하여 공기질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사용자 단말(200)의 일 동작을 분석 서버(300)가 수행할 수 있으며, 분석 서버(300)의 일 동작을 사용자 단말(200)이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분석 서버(300)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복수 개의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공공기관, 예컨대 기상청 등에서 전문적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통계화하여 구축한 대기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10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블루투스, 지그비,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전달하고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별도로 제공되는 케이블을 통해 유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0) 및 분석 서버(300) 그리고 외부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통신망(50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50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에 대해 기능 상의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를 기능 상의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1000)는 공기질 측정 모듈(10), 공기질 판단 모듈(20), 위치 판단 모듈(30), 보정 파라미터 산출 모듈(40) 및 정보 제공 모듈(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질 측정 모듈(10)은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공기질 판단 모듈(20)은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의 공기질 상태를 판단하거나 기 저장된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의 공기질 상태가 우수한지, 위험한 지 여부 등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치 판단 모듈(30)은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측정 일시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위치 판단 모듈(3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거나 AP(Access Point) 장치를 이용한 실내 위치 측위 기술을 적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측위 방식으로는 현재 위치 정보는 확인할 수 있으나, 현재 위치 정보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기질 측정 모듈(10)이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즉, 위치 판단 모듈(30)은 현재 위치 정보 및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측정 일시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 예컨대 외부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정 파라미터 산출 모듈(40)은 공기질 측정 모듈(10)을 통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에 대해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고려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보정 파라미터를 상기 공기질 측정 모듈(10)로 전달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보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판단 모듈(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정보 제공 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1000)를 구성하는 각 모듈은 하나의 독립된 장치 내에 존재할 수 있으나, 도 1을 예시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개별 장치 내에 존재하여 개별 장치 간의 연동을 통해 본 발명의 동작이 이뤄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센서부(110), 통신부(120), 출력부(130), 제어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센서부(110)는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센서부(110)는 이산화탄소, 메탄, NOx, 이산화황, 일산화탄소, 벤젠, 톨루엔, 자일렌, 오준,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온도, 습도 부유세균, 황사, 미세먼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기타 필요에 따라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 지식을 가진 자가 인간에게 유요한 정보로서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창문이나 문이 열려있는지 닫혀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접속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 지그비, WIFI와 같은 범용화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별도의 안테나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출력부(130)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고,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연관되는 각종 제어 메시지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제어 메시지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현재 공기질 상태가 위험 상태임을 알리는 제어 메시지가 전달되면, 빨간색을 점등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하여 위험 상태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공기질 측정 모듈(1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의 공기질 측정 모듈(141)은 기 설정된 주기, 예컨대 15초 단위로 센서부(110)에 요청하여 공기 상태와 관련된 신호가 측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공기 상태와 관련된 신호를 제어부(140)에 의해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제어부(140)는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공기 상태에 대한 신호를 증폭하거나 감쇄하여 공기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과 등록을 위한 각종 필요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공기질 측정 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을 비휘발성으로 저장하거나,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50는 통신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이 전달한 보정 파라미터가 전송되면 이를 저장하고, 저장된 보정 파라미터(151)에 따라 제어부(140)의 공기질 측정 모듈(141)이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보정하여 생성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 파라미터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다음 보정 파라미터가 전송되기 이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장치 구동을 위한 전원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의 전원부(미도시)는 사용 편의성을 위해 충전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시계 형태로 착용할 수 있으며, 목걸이 형태로 목에 걸거나 팔뚝에 밴드를 이용하여 착용하는 형태와 같은 웨어러블(wearable) 기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일정 반경 내 공기질을 측정하고 이를 연동 가능한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되나, 구현 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내의 일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200)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직접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질 측정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이 독립적인 장치 형태로 구현되어 동작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단말 통신부(210), 단말 입력부(220), 단말 제어부(230), 단말 저장부(240) 및 단말 출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단말 통신부(210)는 공기질 측정 장치(100) 및 분석 서버(3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통신부(210)는 공기질 측정 장치(1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통신부(210)는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공기질 측정 장치(100)로부터 전달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확인된 현재 위치 정보를 분석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말 통신부(210)는 분석 서버(300)로부터 공기질 측정 장치(100)로 전달되어야 하는 보정 파라미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보정 파라미터를 공기질 측정 장치(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 외에도 단말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제어 정보를 공기질 측정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사용자 단말(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입력부(220)는 본 발명의 공기질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241) 조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질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24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기질 측정 장치(100)를 등록하는 과정, 개별 구역별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질 정도를 입력하는 과정, 공기질 정도에 따라 특정 외부 기기를 조작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과정 등 공기질 모니터링 및 공기질 제어와 관련된 각종 사용자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입력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로딩 데이터가 로딩되는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정의된 기능(예컨대, 공기질 모니터링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기능 중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 요소를 단말 제어부(230)의 기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 제어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제어하는 각 구성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단말 통신부(210), 단말 입력부(220), 단말 저장부(240) 및 단말 출력부(25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 제어부(230)는 공기질 판단 모듈(231), 위치 판단 모듈(232), 보정 파라미터 산출 모듈(233) 및 정보 제공 모듈(2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질 판단 모듈(231)은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전달되면, 전달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의 공기질 상태를 판단하거나 기 저장된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의 공기질 상태가 기준 정보 이상인 지, 이하인지 등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질 판단 모듈(231)은 위치 판단 모듈(232)에 의해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장소가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위부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부터 또는 분석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아 실내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기질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의 공기질 상태가 기준 정보 이상인지 이하인지 등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정보 제공 모듈(234)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판단 모듈(232)은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측정 일시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위치 판단 모듈(232)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거나 AP(Access Point) 장치를 이용한 위치 측위 기술을 적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측위 방식으로는 현재 위치 정보는 확인이 가능하나 현재 위치 정보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즉, 위치 판단 모듈(232)은 현재 위치 정보 및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측정 일시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 예컨대 외부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한다.
측정일시 CO2 온도 습도 미세먼지
7월 1일, 14시 30분 13ppm 23℃ 30% 30
위치판단모듈(232)은 GPS 측위 또는 AP를 이용한 측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위치 판단 모듈(232)은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곳의 공간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거나 분석 서버(300)와 연동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로, 시청역 등과 같이 특정 공간 정보의 이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실내인지 실외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위치판단모듈(232)은 현재 위치 정보와 측정 일시를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단말 통신부(210)를 거쳐 분석 서버(300)로 전달하여 분석 서버(300)에 의해 공기질 측정 장소에 대한 판단이 이뤄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분석 서버(30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위치판단모듈(232)이 직접 판단할 수 있는데, 예컨대 분석 서버(300)로 현재 위치 정보와 측정 일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이를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서버(300)로부터 전달된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한다.
일시 CO2 온도 습도 미세먼지
7월 1일, 14시 30분 10ppm 29℃ 10% 20
위치판단모듈(232)은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수신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판단하게 되는 데, 이때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필드를 순차적으로 비교하거나, 동시에 비교하여 판단하게 된다. 즉 전술한 예에서, 일반적으로 실외보다 실내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게 되는 데,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이산화탄소가 분석 서버(300)가 제공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이산화탄소 농도보다 더 높으므로 공기질 측정 장소가 실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측정된 일시가 여름이고, 한낮으로 평균적으로 온도가 높은 편이나,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온도는 낮은 편이므로, 공기질 측정 장소가 실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판단모듈(232)은 위치 판단을 위한 각 요소를 순차적으로 비교 판단하거나 동시에 판단하여 공기질 측정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위치판단모듈(232)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구역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공기질 값이 존재할 경우, 해당 값과 비교하여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다음과 같은 특정 개소별로 공기질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구역 CO2 온도 습도 미세먼지
사무실 20ppm 21℃ 30% 20
아이방 5ppm 23℃ 40% 10
환자방 3ppm 23℃ 60% 3
위치판단모듈(232)은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공기질 측정 장치(10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공기질 값과 비교하여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사무실지, 아이방인지, 환자방인지 등과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정보제공모듈(234)로 제공하여 보다 세밀한 제어가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위치판단모듈(232)은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값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특정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 해당 값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보정 파라미터 산출 모듈(233)은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에 대해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고려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보정 파라미터를 공기질 측정 장치(100)로 전달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보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정 파라미터 산출 모듈(2330)은 분석 서버(300)로부터 복수의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보정 파라미터 산출 모듈(233)은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M은 상기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의미하며, N은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의 개수를 의미하며, Mi는 상기 공기질 측정 장치(100)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분석 서버(300)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보정 알고리즘에 따라 보정 파라미터가 산출되면 보정 파라미터 산출 모듈(233)은 산출된 보정 파라미터를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공기질 측정 장치(100)로 전송하여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상기 전달된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보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정보 제공 모듈(234)은 공기질 판단 모듈(231) 또는 위치 판단 모듈(232)을 통해 판단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위치 판단 모듈(232)을 통해 현재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질 판단 모듈(231)로 공기질을 판단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질 판단 모듈(231)의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공기질 판단 모듈(231)로부터 현재 공기질이 기 설정된 공기질보다 낮을 경우 기 설정된 공기질에 맞춰 상태가 변경되도록 사용자에게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미리 등록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미리 등록된 보일러 기기로 온도를 높이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저장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저장부(240)는 본 발명의 동작 수행을 위한 공기질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241)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저장부(2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 단말(20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사용자 단말(20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질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241)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저장부(2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출력부(250)는 사용자 단말(2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단말 출력부(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입력부(22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단말 입력부(220)와 함께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4를 통해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를 통해 도시된 사용자 단말(200)의 주요 구성요소의 위치는 얼마든지 편의상 또는 다른 이유로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며, 공기질 판단 모듈(231), 위치 판단 모듈(232), 보정 파라미터 산출 모듈(233) 및 정보 제공 모듈(234)이 단말 제어부(230)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현 방식에 따라 보정 파라미터를 분석 서버(300)가 산출하는 경우 보정 파라미터 산출 모듈(233)은 생략될 수 있으며, 위치 판단 모듈(232)은 현재의 위치 정보 측위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0)로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석 서버(3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석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석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10), 서버 제어부(320) 및 서버 저장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200) 및 외부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와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통신부(310)은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20)는 공기질 판단 모듈(321), 위치 판단 모듈(322), 보정 파라미터 산출 모듈(323) 및 정보 제공 모듈(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즉,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은 분석 서버(300)에서도 이뤄질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서버 제어부(320)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은 미리 등록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서버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 가능한 공기질 측정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200) 및 공기질 측정 장치(100)에 대한 인증 및 과금 처리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200)로 공기질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200)이 요청하는 각종 정보를 서버 저장부(330)에서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보정 파라미터 산출 요청이 전달되면, 서버 제어부(32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포함되는 기지국 식별 정보 등을 확인한 후 사용자 단말(200) 일정 반경 내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10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200)에서 직접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서버 제어부(320)가 직접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한 후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공기질 측정 장소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의 요청이 전달되면,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332)에 저장된 정보와 함께 외부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 요청하여 수신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서버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정보 추출 시 일정 범위 내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및 측정 일시 정보에 매핑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요청이 수신되더라도, 상기 측정 일시 정보에 정확하게 매핑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측정 일시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 내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 저장부(330)는 분석 서버(300)의 동작 수행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저장부(330)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신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함께 수신된 위치 정보 및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측정 일시에 대응하여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332)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석 서버(3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분석 서버(30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웹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 서버(30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석 서버(30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100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실내외 위치 측위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1000)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10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단계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 상의 관점에서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질 측정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분석 서버(300) 간의 독립된 각 장치 간의 연동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은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가 먼저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S101).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주기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사용자 요청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는 현재의 공기질 측정이 완료되어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측정 일시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는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생성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와 비교를 수행하게 된다(S103).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는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측정된 일시에 해당하는 대기 환경 정보를 확인한 후 대기 환경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 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5). 그리고,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는 판단된 결과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107).
상기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은 어느 하나의 일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 공기질 측정 장치와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 간의 센서 성능 또는 외부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의해 측정된 대기 환경 정보와 비교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 파라미터를 공기질 측정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먼저,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구비된 각종 센서를 통해 공기 상태를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다(S301). 이때,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메탄, NOx, 이산화황, 일산화탄소, 벤젠, 톨루엔, 자일렌, 오준,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온도, 습도 부유세균, 황사, 미세먼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생성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측정 일시 정보를 포함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303).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은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위치 정보와 함께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분석 서버(300)로 전송한다(S305 ~ S307).
분석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위치 정보 및 측정 일시 정보와 함께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S309),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 가능한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S311).
여기서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경우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외부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 저장된 대기 환경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범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또는 상기 공기질 측정 장치(100)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와 비교하여 일정 범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또는 기 설정된 주기에 도달한 경우를 의미하며, 분석 서버(300)는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게 된다(S313).
여기서 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와의 성능을 비교하여 산출될 수 있는데, 앞에서 설명한 수학식 1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보정 알고리즘에 따라 보정 파라미터가 산출되면 분석 서버(300)는 산출된 보정 파라미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S315), 사용자 단말(200)은 공기질 측정 장치(100)로 보정 파라미터를 전송하게 된다(S317).
이후에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보정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보정하게 된다(S319). 예를 들어 분석 서버(300)가 산출한 보정 파라미터가 온도 정보를 1도 올리기 위한 파라미터라면,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자신의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 정보에 1을 추가한 보정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정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보정되기 이전 자신이 측정한 원래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함께 보정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보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보정 파라미터는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은 분석 서버(300)가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200)이 직접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이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경우, 분석 서버(300)로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 후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은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생성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기질 측정 장소가 실내 인지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공기질 측정 장소가 실내일 경우,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은 먼저,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구비된 각종 센서를 통해 공기 상태를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다(S401). 그리고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생성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측정 일시 정보를 포함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403).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은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위치 정보와 함께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분석 서버(300)로 전송한다(S405 ~ S407).
분석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위치 정보 및 측정 일시 정보와 함께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S409), 공기질 측정 장소가 실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11).
이후에 분석 서버(300)는 공기질 측정 장소가 실내일 경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한 후 확인된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S413 ~ S415).
이때, 분석 서버(300)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각 요소와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각 요소를 비교하여 분석하게 되는 데, 예컨대 이산화탄소가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나쁜 것으로 판단되면, 분석 서버(300)는 이를 사용자 단말(200)로 안내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석 서버(300)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공기 상태에 대한 등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상일 경우 녹색이 점등되도록 사용자 단말(200)로 요청하고, 하일 경우 빨간색이 점등되도록 사용자 단말(200)로 요청하는 등과 같은 제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로 공기 상태에 대한 등급을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200)이 공기 상태에 대한 등급에 대응하여 지정된 색상으로 상기 등급이 표시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구현을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질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질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 중, 도 9a는 현재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공기질 상태, 공기질 상태를 고려한 제어 메시지의 일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도 9b는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에 대한 통계치를 그래프 형태로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현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주변 공기질을 시각화하여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공기질에 대한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현재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가 용이한 형태의 공기질 측정 장치를 통해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이를 통해 환경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공기질 측정 장치 110: 센서부
120: 통신부 230: 출력부
240: 제어부 150: 저장부
200: 사용자 단말 210: 단말 통신부
220: 단말 입력부 230: 단말 제어부
240: 단말 저장부 250: 단말 출력부
300: 분석 서버 310: 서버 통신부
320: 서버 제어부 330: 서버 저장부
400: 외부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 서버
500: 통신망

Claims (8)

  1.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가,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인 경우,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각 정보와 상기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거나 제어 정보를 지정된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외인 경우,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에 대한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고려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보정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에 도달하거나,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일정 범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상기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6. 어느 하나의 공기질 측정 장치로부터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실내인 경우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한 제어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실외인 경우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에 대한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상기 공기질 측정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기질 측정 모듈;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구축된 대기 환경 데이터베이스의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 모듈; 및
    상기 위치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정보 제공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에 대한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 보정 파라미터 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공기질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고려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보정 파라미터를 상기 공기질 측정 모듈로 전달하여 공기질 측정 데이터가 보정되도록 제어하는 보정 파라미터 산출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 처리 장치.
KR1020150067570A 2015-05-14 2015-05-14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134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570A KR20160134107A (ko) 2015-05-14 2015-05-14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570A KR20160134107A (ko) 2015-05-14 2015-05-14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107A true KR20160134107A (ko) 2016-11-23

Family

ID=5754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570A KR20160134107A (ko) 2015-05-14 2015-05-14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4107A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588A (ko) * 2016-12-08 2018-06-18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센서를 이용한 기상 정보 관리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80133158A (ko) * 2017-06-05 2018-12-13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대기 지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8225986A1 (ko) * 2017-06-08 2018-12-13 (주)한국해양기상기술 항공 안전 지원 방법 및 서버
KR20190055949A (ko) * 2017-11-16 2019-05-24 주식회사 세스코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91059B1 (ko) * 2018-03-29 2019-06-20 한국기계연구원 먼지센서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먼지센서
KR20190075629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대기 환경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KR20190075513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대기 환경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WO2019212139A1 (ko) *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라돈 저감을 위한 실내라돈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7074A (ko)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케이티 공기질 측정 센서의 배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62814A (ko)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에스프렉텀 기상데이터 활용을 위한 스마트 레시피 시스템
KR102130497B1 (ko) * 2019-05-17 2020-07-06 조흔우 실내 오염을 예측하는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00135674A (ko) * 2019-05-24 2020-12-03 (주)엠텍정보 대기환경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기환경 데이터 처리방법
KR102224573B1 (ko) * 2019-09-05 2021-03-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KR20210081577A (ko) 2019-12-24 2021-07-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대기의 질 상태에 기반한 보일러 연소량 제어방법
KR20210085772A (ko) * 2019-12-31 2021-07-08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멀티 센서 기반 모바일 대기 상태 상황인지 고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3932A (ko) * 2020-11-11 2022-05-18 케이웨더(주)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0688A (ko) * 2020-12-07 2022-06-14 이정아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
KR102434000B1 (ko) * 2021-09-13 2022-08-19 주식회사 나인 실 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스마트 홈 시스템
KR102438384B1 (ko) * 2022-04-12 2022-08-31 주식회사 에어콕 실내 공기질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467146B2 (en) 2019-04-09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for measuring air quality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ir quality
KR20230027695A (ko) * 2021-08-19 2023-02-28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질 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588A (ko) * 2016-12-08 2018-06-18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센서를 이용한 기상 정보 관리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80133158A (ko) * 2017-06-05 2018-12-13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대기 지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231521B2 (en) 2017-06-08 2022-01-25 Korea Oceanic And Atmospheric System Technology (Koast) Method and server for supporting aviation safety
WO2018225986A1 (ko) * 2017-06-08 2018-12-13 (주)한국해양기상기술 항공 안전 지원 방법 및 서버
KR20190055949A (ko) * 2017-11-16 2019-05-24 주식회사 세스코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5513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대기 환경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20190075629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대기 환경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KR101991059B1 (ko) * 2018-03-29 2019-06-20 한국기계연구원 먼지센서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먼지센서
WO2019212139A1 (ko) *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라돈 저감을 위한 실내라돈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7074A (ko)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케이티 공기질 측정 센서의 배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62814A (ko)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에스프렉텀 기상데이터 활용을 위한 스마트 레시피 시스템
US11467146B2 (en) 2019-04-09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for measuring air quality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ir quality
KR102130497B1 (ko) * 2019-05-17 2020-07-06 조흔우 실내 오염을 예측하는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00135674A (ko) * 2019-05-24 2020-12-03 (주)엠텍정보 대기환경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기환경 데이터 처리방법
KR102224573B1 (ko) * 2019-09-05 2021-03-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KR20210081577A (ko) 2019-12-24 2021-07-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대기의 질 상태에 기반한 보일러 연소량 제어방법
KR20210085772A (ko) * 2019-12-31 2021-07-08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멀티 센서 기반 모바일 대기 상태 상황인지 고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3932A (ko) * 2020-11-11 2022-05-18 케이웨더(주)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2836A (ko) * 2020-11-11 2022-07-04 케이웨더(주)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2838A (ko) * 2020-11-11 2022-07-04 케이웨더(주)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2839A (ko) * 2020-11-11 2022-07-04 케이웨더(주)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0688A (ko) * 2020-12-07 2022-06-14 이정아 위생정보 관리장치 및 위생정보 관리방법
KR20230027695A (ko) * 2021-08-19 2023-02-28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질 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434000B1 (ko) * 2021-09-13 2022-08-19 주식회사 나인 실 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스마트 홈 시스템
KR102438384B1 (ko) * 2022-04-12 2022-08-31 주식회사 에어콕 실내 공기질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4107A (ko)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0234162B2 (en) Controller, indoor environment adjustment system, and indoor environment adjustment method
US10871478B2 (en) Tracking exposure to air pollution
US116892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in a mobile-based crowdsourcing platform
KR20140078518A (ko) 외부 기기 관리 방법, 외부 기기의 동작 방법, 호스트 단말, 관리 서버 및 외부 기기
CN106310472B (zh) 呼吸机校准设备及呼吸机校准系统
CN107720469A (zh) 一种通过温度气压传感器测量电梯楼层的方法及系统
JP2018048749A (ja) 推定装置、推定システム、推定方法及び推定プログラム
JP2008304124A (ja) 二酸化炭素濃度測定用センサーシステム
CN108140221A (zh) 基于调查的空气质量预测系统和方法,以及空气质量预测服务器
WO2013171833A1 (ja) 省電力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装置、および、省電力制御方法
JP5377577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二酸化炭素濃度測定用センサーシステム
CN104702772A (zh) 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WO2022142471A1 (zh) 移动终端获取环境温度的方法、装置、移动终端及介质
KR101694606B1 (ko) 사용자 모니터링을 위한 착용형 장치 및 시스템
CN115461580A (zh) 空调系统、建筑物以及程序
KR20160045241A (ko)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9791061B (zh) 移动体信息检测用终端
JP2012002504A (ja) 二酸化炭素濃度測定用センサーシステム及び二酸化炭素センサー
CN110967446B (zh) 参数对标的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40008602A (ko) 선형회귀분석법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기의 성능개선 장치
KR101863185B1 (ko) 기울기 보정 가능한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시스템
WO2023181778A1 (ja) 推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推定システム
WO2018016834A1 (ko)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시스템
KR20160004512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