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241A -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241A
KR20160045241A KR1020140140446A KR20140140446A KR20160045241A KR 20160045241 A KR20160045241 A KR 20160045241A KR 1020140140446 A KR1020140140446 A KR 1020140140446A KR 20140140446 A KR20140140446 A KR 20140140446A KR 20160045241 A KR20160045241 A KR 20160045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uide
indoor air
unit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리노
Priority to KR102014014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5241A/ko
Priority to PCT/KR2014/011633 priority patent/WO2016060326A1/ko
Publication of KR2016004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6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 G06K19/071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the sensor being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istory or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는 건물 실내에 있는 센싱 장치로부터 센싱되어 전송된 실내 공기 정보와, 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건물 외부의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합하는 대기 정보 처리부;상기 실내 공기 정보와 상기 실외 대기 정보를 비교하는 대기 정보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가이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의 가이드 노출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SENSING APPARATUS, ENVIRONMENT RESPOND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환경 오염이 갈수록 심각해짐에 따라 환경 오염으로부터 건강을 지키기 위한 노력 역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나 VOCs 등의 공기 오염 물질이 많아짐에 따라 아동이나 아기를 둔 부모의 입장에서 실내와 실외의 공기나 대기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고민거리이다.
현재까지는 실내 공기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거나 실외 대기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뿐 실내외의 공기나 대기 상태에 대한 정보가 통합되어 제공되는 서비스는 없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20-0409121 (공고일 : 2006년 02월 20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센싱 장치 주변의 대기 상태를 체크하여 사용자에게 이에 따른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건물 실내에 있는 센싱 장치로부터 센싱되어 전송된 실내 공기 정보와, 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건물 외부의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합하는 대기 정보 처리부;상기 실내 공기 정보와 상기 실외 대기 정보를 비교하는 대기 정보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가이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의 가이드 노출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환경 대응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환경 대응 장치는, 상기 실내 공기 정보와 상기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하여 대기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예측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가이드 정보 생성부는 상기 대기 예측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예측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 및 상기 예측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가이드 노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가이드 노출 장치로부터 특정 인물의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가이드 정보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 및 상기 건강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센싱 장치는 건물 실내의 실내 공기 요인을 센싱하여 상기 실내 공기 요인에 해당되는 센싱 정보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실내 공기 요인에 해당되는 실내 공기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상기 실내 공기 정보를 환경 대응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환경 대응 장치로부터 상기 건물 외부의 실외 대기 정보를 전송받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 정보 및 상기 실외 대기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실내 공기 정보와 상기 실외 대기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환경 대응 장치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환경 대응 장치로부터 전송된 건물 실내의 실내 공기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 상기 환경 대응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건물 외부의 실외 대기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 및 상기 환경 대응 장치로부터 상기 실내 공기 정보와 상기 실외 대기 정보의 비교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실내 공기 정보와 상기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하여 생성된 대기 예측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예측 가이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가능한 특정 인물의 건상 상태 정보를 환경 대응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환경 대응 장치로부터 상기 건강 상태 정보에 따라 변경된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센싱 장치로 실내의 공기 상태를 체크하고 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외 대기 정보를 전송받아 이들을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사용자에 따라 통합된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의 가이드 정보 및 예측 가이드 정보 생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의 예측 정보 생성부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변형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동작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100)는 대기 정보 처리부(110), 대기 정보 비교부(120), 가이드 정보 생성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대기 정보 처리부(110)는 건물 실내에 있는 센싱 장치(200)로부터 센싱되어 전송된 실내 공기 정보와, 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건물 외부의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합한다.
센싱 장치(200)는 건물 실내에 설치되며,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 Volatile Organic Compounds)과 같은 건물 실내의 실내 공기 요인을 센싱할 수 있다.
건물 실내의 실내 공기 요인으로서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싱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대기 정보 처리부(110)는, 도 2에서와 같이,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를 사용자 별로 통합할 수 있으며, 정기적으로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 정보 처리부(110)가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합함으로써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에 대한 실내외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합은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가 통합될 수 있으나, 건물의 위치에 따라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가 통합될 수도 있다.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는 숫자로 표시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좋음, 보통, 나쁨과 같이 실내 공기나 실외 대기의 상태로 나타낼 수도 있다.
실외 대기 정보는 네트워크에 연결가능한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통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환경 대응 장치(100)가 공공데이터 포털의 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에 접속하여 실외 대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공데이터 포털의 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실외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기관, 단체 및 회사에서 제공되는 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300)가 사용될 수 있다.
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지역별 실외 대기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사용자의 건물이 서울 동북권 강북구에 위치한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100)는 서울 동북권 강북구에 해당되는 실외 대기 정보를 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외 대기 정보에 해당되는 지역은 구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주소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의 대기 정보 비교부(120)는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를 비교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외 대기 정보가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건물이 위치한 지역에 해당되므로 건물 내부의 실내 공기 정보와 건물 외부의 실외 대기 정보가 비교가능하다.
가이드 정보 생성부(13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 정보로서 실내 온도, 실내 습도, 실내 먼지 및 실내 VOCs가 각각 23 ℃, 45%, 90 ㎍/m3 및 745 ppm이고, 실외 대기 정보로서 실외온도, 실외습도,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가 29 ℃, 85%, 120 ㎍/m3 및 45 ㎍/m3 인 경우, 대기 정보 비교부(120)는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 실내 습도와 실외 습도 및 실내먼지와 미세먼지를 비교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 생성부(130)는 비교 결과에 따라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데, 가이드 정보는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등일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예에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 습도차 및 먼지농도가 각각 6 ℃, 40% 및 30 ㎍/m3로서 온도차, 습도차 및 먼지 농도차가 크게 나므로 가이드 정보 생성부(130)는 "창문을 닫아주세요" 및 "외출을 하지 마세요"와 같은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정보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 정보생성부(130)는 다양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의 가이드 노출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가이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통신부(140)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가이드 정보를 가이드 노출 장치(400)로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블루투스와 같은 단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가이드 정보를 가이드 노출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가이드 정보의 송신뿐만 아니라 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와의 통신 역시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 노출 장치(400)는 가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또는 사운드 생성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디스플레이부는 LCD, OLED 또는 LED와 같은 것일 수 있으며, 사운드 생성부는 스피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노출 장치(400)는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100)는 센싱 장치(200)가 설치된 건물의 내부와 외부의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는 건물의 실내 환경 및 실외 환경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행동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100)는 예측 정보 생성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측 정보 생성부(150)는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하여 대기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정보 생성부(130)는 대기 예측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예측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정보 처리부(110)는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합하여 실내외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구축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 정보 생성부(150)는 소정 기간의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를 실내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예측 정보 생성부(150)는 추세선을 이용하여 추출된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에 대한 추세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대기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실내의 VOCs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실내의 VOCs의 농도가 1000 ppm 이상이 되면 실내의 환기가 필요할 수 있다. 도 4에서 실내의 VOCs의 농도가 800 ppm 이상이 되면, 예측 정보 생성부(150)의예측 알고리즘이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예측 정보 생성부(150)는 최초로 800 ppm 이상이 되는 VOCs 농도와 시간(tON)을 저장할 수 있다.
실내의 VOCs의 농도가 900 ppm 이상이 되면,예측 정보 생성부(150)는 최초로 900 ppm 이상이 되는 VOCs 농도와 시간(tALERT)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측 정보 생성부(150)는 두 점 (tON, P1)과 (tALERT, P2)을 잇는 추세선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P1, P2는 각각 최초로 800 ppm 이상이 되는 실내 VOCs 농도 및 최초로 900 ppm 이상이 되는 실내 VOCs 농도일 수 있다.
두 점을 이용하여 직선을 계산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과정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두 점을 이용하여 직선을 계산하면, y=ax+b와 같은 추세선의 식이 계산되며, 이 때 a는 (P2-P1) / (talert- ton) 이고, b는 P2 - [(P2-P1) / (P2-P1)] * talert일 수 있다.
예측 정보 생성부(150)는 a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예를 들어, 1.9) 이상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기가 나빠 질 것으로 예측하여 환기시키거나 청정기를 동작시키도록예측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대기 예측 정보는, 예를 들어, 현재로부터 설정 기간(예를 들어, 30 분) 이후의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공기 정보에 대한 것으로, 가이드 정보 생성부(130)는 대기 예측 정보에 대응 하는 예측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 가이드 정보는 대기 예측 정보에 따라 "미리 문을 열고 요리하세요" 또는 "30 분 안에 습도가 낮아져요" 같이 설정된 기간 이후의 사용자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측 가이드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100)는 통신부(140)를 통하여 예측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의 가이드 노출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대응 장치(100)의 통신부(140)는 가이드 노출 장치(400)로부터 특정 인물의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특정 인물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인물(예를 들어, 아기나 가족)의 정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이드 노출 장치(400)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다. 가이드 노출 장치(400)의 입력 수단은 키보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건강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특정 인물의 체온, 협압, 질병 유무, 질병이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가이드 정보 생성부(130)는 비교 결과 및 건강 상태 정보에 따라 가이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공기 정보로서 실내 온도와 미세먼지 PM 10의 농도가 각각 24℃ 및 100㎍/m3이고, 실외 대기 정보로서 실외온도와 미세먼지 PM 10의 농도가 18℃ 및 80㎍/m3인 경우, 가이드 정보 생성부(130)는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창문을 열어 환기해주세요"와 같은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아기의 건강 상태 정보가 '감기에 걸림'으로 설정된 경우, 가이드 정보 생성부(130)는 동일한 실내외 온도 및 미세먼지 PM 10의 농도에서도 실외의 온도가 낮아 아기에게 해로우므로 "창문을 닫아주세요"와 같이 가이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200)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210), 제어부(220), 무선통신부(230) 및 표시부(240)를 포함한다.
센싱부(210)는 건물 실내의 실내 공기 요인을 센싱하여 실내 공기 요인에 해당되는 센싱정보를 출력한다. 실내 공기 요인은 실내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VOCs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내 공기 요인은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VOCs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중에서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10)는 실내 공기 요인을 센싱하는 온도 측정 센서(211), 습도 측정 센서(212), 미세먼지 측정 센서(213), VOCs 측정 센서(214), 일산화탄소 측정 센서(215),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216)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10)는 이와 같은 센서들 중 일부만을 포함하거나, 앞서 언급된 요인들 이외의 실내 공기 요인 측정을 위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센싱 정보를 처리하여 실내 공기 요인에 해당되는 실내 공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각각의 센서로부터 입력된 센서값들을 사용자별 또는 건물의 위치별로 통합하여 실내 공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30)는 실내 공기 정보를 환경 대응 장치(100)로 전송하고, 환경 대응 장치(100)로부터 건물 외부의 실외 대기 정보를 전송받는다. 무선통신부(230)의 동작은 제어부(220)의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230)는 Wi-Fi 접속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24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실내 공기 정보 및 실외 대기 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표시부(240)는 제1 발광부(241)와 제2 발광부(2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발광부(241)와 제2 발광부(242)는 각각 서로 다른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표시부(240)는 LCD나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발광부(241)는 실내 공기 정보의 표시를 위한 것이고, 제2 발광부(242)는 실외 대기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 정보에 따라 제1 발광부(241)가 서로 다른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도 6의 좌측은 실내 공기 정보가 "나쁨"일 때 제1 발광부(241)가 적색광을 방출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6의 우측은 실내 공기 정보가 "보통" 일 때 제1 발광부(241)가 녹색광을 방출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장치(200)와 가이드 노출 장치(400)가 별도의 기기일 수 있으나, 도 5의 센싱부(210)가 사용자의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에 구비되거나 USB와 같은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210)는 가이드 노출 장치(400)에 구비되거나 USB와 같은 외부기기 인터페이스(225)를 통하여 가이드 노출 장치(400)에 연결됨으로써 센싱 장치(200)가 가이드 노출 장치(40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싱 장치(200)가 가이드 노출 장치(40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무선통신부(230)는,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환경 대응 장치(100)로부터 전송받고, 표시부(24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240)는 LCD나 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센싱 장치(200)가 가이드 노출 장치(40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경우, 센싱 장치(200)는 예측 가이드 정보의 표시와, 건강 상태 정보에 따라 변경된 가이드 정보의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장치(200)가 가이드 노출 장치(40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경우, 센싱 장치(200)는 메모리 컨트롤러(255)와 메모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55)는 제어부(220)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250)로 쓰기를 대행하거나 메모리(250)로부터 읽기를 대행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센싱부(210)의 드라이버나 OS 또는 응용 프로그램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하드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램 등과 같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환경 대응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건물 실내의 실내 공기 정보를 표시부(240)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환경 대응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건물 외부의 실외 대기 정보를 표시부(240)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 및 환경 대응 장치(100)로부터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의 비교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부(240)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을 기반으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가이드 노출 장치(400)의 역할을 하는 컴퓨터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240)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애플 앱마켓이나 안드로이드 앱마켓과 같은 온라인 앱마켓으로부터 가이드 노출 장치(400)로 전송되어 가이드 노출 장치(40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하여 생성된 대기 예측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예측 가이드 정보를 표시부(240)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측 가이드 정보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가능한 특정 인물의 건상 상태 정보를 환경 대응 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 환경 대응 장치(100)로부터 건강 상태 정보에 따라 변경된 가이드 정보를 표시부(24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력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가이드 노출 장치(400)의 터치 스크린이나 키보드 등일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환경 대응 장치(100)
대기 정보 처리부(110)
대기 정보 비교부(120)
가이드 정보 생성부(130)
통신부(140)
예측 정보 생성부(150)
센싱 장치(200)
센싱부(210)
온도 측정 센서(211)
습도 측정 센서(212)
미세먼지 측정 센서(213)
VOCs 측정 센서(214)
일산화탄소 측정 센서(215)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216)
제어부(220)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225)
무선통신부(230)
표시부(240)
제1 발광부(241)
제2 발광부(242)
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300)
가이드 노출 장치(400)

Claims (9)

  1. 건물 실내에 있는 센싱 장치로부터 센싱되어 전송된 실내 공기 정보와,대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건물 외부의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합하는 대기 정보 처리부;
    상기 실내 공기 정보와 상기 실외 대기 정보를 비교하는 대기 정보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가이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의 가이드 노출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환경 대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대응 장치는, 상기 실내 공기 정보와 상기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하여 대기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예측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 생성부는 상기 대기예측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예측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 대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 및 상기 예측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가이드 노출 장치로 전송하는 환경 대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가이드 노출 장치로부터 특정 인물의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가이드 정보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 및 상기 건강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정보를 변경하는 환경 대응 장치.
  5. 건물 실내의 실내 공기 요인을 센싱하여 상기 실내 공기 요인에 해당되는 센싱 정보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실내 공기 요인에 해당되는 실내 공기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실내 공기 정보를 환경 대응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환경 대응 장치로부터 상기 건물 외부의 실외 대기 정보를 전송받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실내 공기 정보 및 상기 실외 대기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실내 공기 정보와 상기 실외 대기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환경 대응 장치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센싱 장치.
  7. 환경 대응 장치로부터 전송된 건물 실내의 실내 공기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
    상기 환경 대응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건물 외부의 실외 대기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 및
    상기 환경 대응 장치로부터 상기 실내 공기 정보와 상기 실외 대기 정보의 비교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 정보와 상기 실외 대기 정보를 통하여 생성된 대기 예측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예측 가이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7항에 있어서,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가능한 특정 인물의 건상 상태 정보를 환경 대응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환경 대응 장치로부터 상기 건강 상태 정보에 따라 변경된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0140446A 2014-10-17 2014-10-17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45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46A KR20160045241A (ko) 2014-10-17 2014-10-17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14/011633 WO2016060326A1 (ko) 2014-10-17 2014-12-01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46A KR20160045241A (ko) 2014-10-17 2014-10-17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241A true KR20160045241A (ko) 2016-04-27

Family

ID=5574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446A KR20160045241A (ko) 2014-10-17 2014-10-17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45241A (ko)
WO (1) WO201606032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19A (ko) * 2017-05-24 2018-12-04 (주)엘지하우시스 정보표시부가 구비된 창호
KR20200061205A (ko) * 2018-11-23 2020-06-02 (주)엘지하우시스 히든 디스플레이를 갖는 창호용 핸들
KR20210128081A (ko) * 2020-04-16 2021-10-26 전진우 실내 공기 오염도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KR20220082717A (ko) * 2020-12-10 2022-06-17 유한회사 호원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의 사용자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6335A (zh) * 2018-04-23 2018-08-21 广州市设计院 通风建筑、通风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121Y1 (ko) 2005-12-09 2006-02-20 강소기 오염 검출센서를 구비한 전화기 및 그것을 이용하여 실내의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실내 공기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863A (ko) * 2005-08-17 2007-02-22 강소기 실내 공기 환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환기방법
KR100813679B1 (ko) * 2007-06-01 2008-03-14 장건우 학교시설의 공기질 측정 및 제어 시스템
KR20100086781A (ko) * 2009-01-23 2010-08-02 모건에프앤씨(주) 날씨정보를 이용한 실내 환기 자동 제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10097001A (ko) * 2010-02-24 2011-08-31 경민대학산학협력단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1811B1 (ko) * 2010-04-05 2013-08-29 (주)엘지하우시스 창호형 환기장치를 활용한 실내 공기 환기장치 및 환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121Y1 (ko) 2005-12-09 2006-02-20 강소기 오염 검출센서를 구비한 전화기 및 그것을 이용하여 실내의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실내 공기 환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19A (ko) * 2017-05-24 2018-12-04 (주)엘지하우시스 정보표시부가 구비된 창호
KR20200061205A (ko) * 2018-11-23 2020-06-02 (주)엘지하우시스 히든 디스플레이를 갖는 창호용 핸들
KR20210128081A (ko) * 2020-04-16 2021-10-26 전진우 실내 공기 오염도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KR20220082717A (ko) * 2020-12-10 2022-06-17 유한회사 호원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의 사용자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0326A1 (ko)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karia et al. Wireless internet of things-based air quality device for smart pollution monitoring
KR20160045241A (ko) 센싱 장치,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234162B2 (en) Controller, indoor environment adjustment system, and indoor environment adjustment method
JP2017527051A (ja) 空気質測定装置と無線端末機とを連動した空気質報知装置及びその空気質報知方法
US9188574B2 (en) Mobile gas detection cart with wireless transceiver
WO2012101762A1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72462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190278310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nd improving comfort, health and productivity
KR20160073754A (ko) 공기질 평가 장치, 공기질 평가 시스템 및 공기질 평가 방법
CN104702772A (zh) 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Shaharuddin et al. The role of IoT sensor in smart building context for indoor fire hazard scenario: A systematic review of interdisciplinary articles
US20210231336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60479A (ko) 환경 대응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nyfantis et al. A low cost, mobile e-nose system with an effective user interface for real time victim localization and hazard detection in USaR operations
Heng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Recommendations for a Smart Weather Monitoring System
US94915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interactions
US10823590B2 (en) Environmental sensor
US20140176721A1 (en) Mobile command system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101448461B1 (ko) 비상정보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상정보 표시방법
JP2023029017A (ja) 保守点検通知システム、保守点検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80978B2 (ja) プラントの保守点検システム
JP6390886B2 (ja) 見守り装置
KR102488637B1 (ko)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공기 정화 장치의 위치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74731A (ko) 공기청정기,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 및 공기청정기 제어 방법
US20220307709A1 (en) Risk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risk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risk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