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512A -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512A
KR20160004512A KR1020140082885A KR20140082885A KR20160004512A KR 20160004512 A KR20160004512 A KR 20160004512A KR 1020140082885 A KR1020140082885 A KR 1020140082885A KR 20140082885 A KR20140082885 A KR 20140082885A KR 20160004512 A KR20160004512 A KR 20160004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ir quality
space
ventil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희
Original Assignee
전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희 filed Critical 전성희
Priority to KR1020140082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512A/ko
Publication of KR2016000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공기질(air quality)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공간에서 제 1 수치(numerical value)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제 1 공기질 측정부,제 2 공간에서 제 2 수치(numerical value)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제 2 공기질 측정부, 상기 제 1 공기질 측정부 및 상기 제 2 공기질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기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공기질 측정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부, 및 환기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수신된 공기질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 모드를(ventilation mode)를 설정하고, 상기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The System and Method for Air quality managing}
본 명세서는 실내외의 공기질(Air quality)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근무 환경 변화 등의 이유로 실내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지하철이나 다른 교통 수단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밀폐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일 예로, 가습기 및 제습기의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
또한, 최근 실외 공기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미세 먼지 및 황사 등과 같은 다양한 오염원에 의해 대기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대기 오염에 의해 생기는 질병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실내외 공기질을 수치화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통해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0001) 한국 공개 특허 10-2012-0048350
본 명세서는 실내외 공기질(air quality)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실내외 공기에 포함된 각종 성분을 수치화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수치에 기초하여 환기 모드를 설정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환기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외 공기질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실내 또는 실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질을 분석하고, 분석된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기질(air quality)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제 1 공간에서 제 1 수치(numerical value)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제 1 공기질 측정부,제 2 공간에서 제 2 수치(numerical value)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제 2 공기질 측정부, 상기 제 1 공기질 측정부 및 상기 제 2 공기질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기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공기질 측정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부, 및 환기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수신된 공기질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 모드를(ventilation mode)를 설정하고, 상기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기질(air quality)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 1 공간에서 제 1 수치(numerical value)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제 2 공간에서 제 2 수치(numerical value)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공기질 측정부 및 상기 제 2 공기질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기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공기질 측정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환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질 측정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공기질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 모드를(ventilation mode)를 설정하고, 상기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실내외 공기질(air quality)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실내외 공기에 포함된 각종 성분을 수치화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수치에 기초하여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환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외 공기질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실내 또는 실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질을 분석하고, 분석된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부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공기질 측정부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공기질 측정부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환기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일 수 있으며,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명확히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부(100), 제 1 공기질 측정부(200), 제 2 공기질 측정부(300) 및 출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되는 하나의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 서버부(100), 제 1 공기질 측정부(200), 제 2 공기질 측정부(300) 및 출력부(400)는 개별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통신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공유된 정보에 기초하여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하나의 시스템일 수 있다.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실내외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공기질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환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환기 정보를 출력부(400)를 통해 유저에게 전달함으로서 유저로 하여금 실내외 공기질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환기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문, 창문, 환풍기 및 그 밖에 환기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과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오퍼레이션을 제어 장치에 전달하고, 제어 장치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는 자외선 살균기, 기체 분사장치, 공기청정기, 산소발생기, 가습기, 분무기, 디스펜서, 공조기, 알칼리 생성기, 음이온 발생기, 에어커튼, 오존 발생기, 공기 세정기, 전광판, 핸드폰, 온습도 제어장치, 환풍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부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부(100)는 하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 서버부(100)는 제어부(110) 및 통신부(120)를 포함한 하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관리 서버부(100)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디바이스로 정보를 전달하는 서버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 서버부(100)는 통신부(120)를 통해서 제 1 공기질 측정부(200) 및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로부터 공기질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공기질 측정 정보는 제 1 공기질 측정부(200) 및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를 통해서 측정된 정보로서, 수치화된 값일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후술한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공기질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환기 모드는 상술한 공기질 측정 정보에 포함된 수치값 및 기설정된 스레스홀드 수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스레스홀드 수치는 실내 공기인지 여부 및 실외 공기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20)는 제 1 공기질 측정부(200)로부터 제 1 수치를 갖는 실내 공기질에 대한 공기질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제 1 수치를 제 1 스레스홀드 수치와 비교하여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통신부(120)는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로부터 제 2 수치를 갖는 실외 공기질에 대한 공기질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제 2 수치를 제 2 스레스홀드 수치와 비교하여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스레스홀드 수치는 제 2 스레스홀드 수치와 다를 수 있다. 즉, 측정된 공기질 정보가 실내외인지 여부에 따라 스레스홀드 수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2b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부(100)는 빅데이터(Big data) 정보를 이용하여 스레스홀드 수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빅데이터 정보는 방대한 데이터 양에 기초하여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 서버부(100)는 복수의 공기질 측정부로부터 공기질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복수의 공기질 측정부는 방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만큼의 다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관리 서버부(100)는 동일한 속성을 갖는 복수의 공기질 측정부로부터 공기질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속성이란 실내 공간의 특성일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아파트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공기질 측정부는 동일한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동일한 속성은 실내 공간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동일한 속성은 실외 공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특징일 수 있다. 일 예로, 주택가에 설치된 공기질 측정부들은 동일한 속성을 가진 공기질 측정부일 수 있고, 주택가 및 공장 주변에 설치된 공기질 측정부는 다른 속성을 가진 공기질 측정부일 수 있다. 즉, 동일한 속성은 실외 공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특징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관리 서버부(100)는 상술한 속성에 기초하여 빅데이터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스레스홀드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 서버부(100)는 동일한 환기 모드를 설정하는 스레스홀드 수치에 대해서 주택가 및 공장 주변에서 다른 스레스홀드 수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관리 서버부(100)는 동일한 환기 모드를 설정하는 스레스홀드 수치에 대해서 아파트 내부 및 지하철 내부에서 다른 스레스홀드 수치를 적용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부(100)는 빅데이터 정보를 활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스레스홀드 수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유저의 상황에 맞게 공기질을 측정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어부(120)는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환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생성된 환기 정보를 출력부(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어부(120)는 환기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문, 창문, 환풍기 및 그 밖에 환기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과 연동될 수 있으며, 생성된 환기 정보를 통해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어부(120)는 제어장치를 통해 오퍼레이션이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어 장치는 자외선 살균기, 기체 분사장치, 공기청정기, 산소발생기, 가습기, 분무기, 디스펜서, 공조기, 알칼리 생성기, 음이온 발생기, 에어커튼, 오존 발생기, 공기 세정기, 전광판, 핸드폰, 온습도 제어장치, 환풍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공기질 측정부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공기질 측정부(200)는 하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공기질 측정부(200)는 센서부(210), 위치 정보 수신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한 하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공기질 측정부(200)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측정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공기질 측정부(200)는 제 1 공간에서 제 1 수치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공간은 실내 공간일 수 있다. 즉, 제 1 공간은 대기 공기가 차단된 공간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공간은 아파트, 주택, 지하철, 버스 등과 같이 실내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제 1 공기질 측정부(200)는 센서부(210)을 이용하여 제 1 수치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수치는 공기에 포함된 성분에 대한 수치일 수 있다. 일 예로, 센서 유닛(210)은 산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메탄, 오존, 암모니아, 포름, NOx, 이산화황, 벤젠, 톨루엔, 자일렌, 알데히드, 온도, 습도, 부유세균, 황사, 미세먼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제 1 수치는 상술한 성분 중 특정 성분의 농도를 나타내는 수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수치는 상술한 성분들에 기초하여 분석된 정보를 반영한 종합적인 수치일 수 있다. 즉, 제 1 수치는 공기에 포함된 복수의 성분을 고려하여 설정된 수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공기질 측정부(200)는 위치 정보 수신부(220)를 이용하여 제 1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위치 정보 수신부(220)는 GPS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위치 정보 수신부(220)는 주변 통신망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 수신부(220)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공기질 측정부(200)는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공기질 측정부(200)는 센서부(210)를 통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정보 및 위치 정보 수신부(220)를 통해 측정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부(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 서버부(10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한 공기질 측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 서버부(100)는 빅데이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통신부(230)는 다른 공기질 측정부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공기질 측정부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는 하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는 센서부(310), 위치 정보 수신부(320) 및 통신부(330)를 포함한 하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측정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는 제 2 공간에서 제 2 수치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공간은 실외 공간일 수 있다. 즉, 제 2 공간은 대기 공기가 차단되지 않은 공간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2 공간은 주택가, 공장 주변, 또는 교통이 혼잡한 지역 등으로 나누어지는 공간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공간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는 센서부(310)을 이용하여 제 2 수치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 2 수치는 공기에 포함된 성분에 대한 수치일 수 있다. 일 예로, 센서 유닛(310)은 산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메탄, 오존, 암모니아, 포름, NOx, 이산화황, 벤젠, 톨루엔, 자일렌, 알데히드, 온도, 습도, 부유세균, 황사, 미세먼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제 2 수치는 상술한 성분 중 특정 성분의 농도를 나타내는 수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2 수치는 상술한 성분들에 기초하여 분석된 정보를 종합하여 설정된 수치일 수 있다. 즉, 제 2 수치는 공기에 포함된 복수의 성분을 고려하여 설정된 수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는 위치 정보 수신부(320)를 이용하여 제 2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위치 정보 수신부(220)는 GPS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위치 정보 수신부(320)는 주변 통신망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 수신부(320)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는 통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는 센서부(310)를 통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정보 및 위치 정보 수신부(320)를 통해 측정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부(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 서버부(10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한 공기질 측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빅데이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통신부(330)는 다른 공기질 측정부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일 예로, 출력부(400)는 하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출력부(400)는 디스플레이부(410), 오디오부(420) 및 통신부(430)를 포함한 하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부(40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컴퓨터,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출력부(400)는 기체 분사장치, 공기청정기, 산소발생기, 가습기, 분무기, 디스펜서, 공조기, 알칼리 생성기, 음이온 발생기, 에어커튼, 오존 발생기, 공기 세정기, 환풍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출력부(400)는 관리 서버부(100)로부터 환기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출력부(400)는 통신부(430)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부(100)로부터 환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환기 정보는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환기 정보는 출력부(400)가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커맨드 정보일 수 있다. 즉, 출력부(400)는 환기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서버부(100)에서 처리된 정보는 출력하거나 오퍼레이션을 수행하여 유저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400)는 디스플레이부(410) 및 오디오부(4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0)는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환기 정보를 비주얼 정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부(420)는 오디오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환기 정보를 오디오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b를 참조하면, 출력부(400)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410)를 통해 "공기를 환기 시키세요"라는 메시지를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메시지는 환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거나 환기 정보 자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오디오부(410)를 통해 "공기를 환기 시키세요"라는 음성 메시지를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는 환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거나 환기 정보 자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환기 정보에 기초하여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에어컨, 환풍기, 창문, 문 등을 개폐할 수 있는 신호를 환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러한 환기 정보를 상술한 디바이스들로 전송함으로서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환기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환기 모드는 제 1 공기질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제 1 수치를 갖는 공기질 정보 및 제 2 공기질 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제 2 수치를 갖는 공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a를 참조하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부(100)에서 공기질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수치를 제 1 스레스홀드 수치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수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특정 성분에 대한 수치일 있다. 또는 제 1 수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성분을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설정된 수치일 수 있다. 관리 서버부(100)는 제 1 수치가 제 1 스레스홀드 수치 이하이면 제 1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수치가 높을수록 실내 공기 상태가 양호할 수 있다. 즉, 실내 공기가 나빠지고,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제 1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부(100)는 제 1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환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환기 정보는 제 2 공간의 공기를 제 1 공간으로 흡입되도록하는 환기 정보일 수 있다. 즉, 실외 공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 정보는 그 자체로 출력되거나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커맨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환기 정보에는 제 1 공간의 공기를 제 2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레스홀드 수치는 제 1 공간의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동일한 속성을 갖는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제 2 수치를 제 2스레스홀드 수치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수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특정 성분에 대한 수치일 수 있다. 또한, 제 2 수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성분을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설정한 수치일 수 있다. 관리 서버부(100)는 제 2 수치가 제 2 스레스홀드 수치 이상이면 제 2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2 수치가 높을수록 실외 공기 상태는 양호할 수 있다. 즉, 실외 공기 상태가 양호해지고,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되면 제 2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미세먼지 농도 또는 황사 농도에 대한 수치가 낮아지면 제 2 수치가 높아질 수 있다. 즉, 제 2 수치가 제 2 스레스홀드 수치 이상이면 실외 공기 상태가 양호해진 것으로 판단하여 제 2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이때, 관리 서버부(100)는 제 2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환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환기 정보는 제 2 공간의 공기를 제 1 공간으로 흡입되도록하는 환기 정보일 수 있다. 즉, 실외 공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 정보는 그 자체로 출력되거나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커맨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환기 정보에는 제 1 공간의 공기를 제 2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스레스홀드 수치는 제 2 공간의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동일한 속성을 갖는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부(100)는 제 1 수치와 제 2 수치를 비교할 수 있다. 즉,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제 1 수치 및 제 2 수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동일한 성분에 기초하여 설정된 수치일 수 있다. 또한, 제 1 수치 및 제 2 수치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도출한 수치일 수 있다. 이때, 제 1 수치가 제 2 수치를 초과하면 제 3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수치 및 제 2 수치는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등 공기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치일 수 있다. 따라서, 제 3 환기 모드는 상기 제 1 공간의 공기를 제 2 공간으로 배출하고, 제 2 공간의 공기를 제 1 공간으로 흡입하는 상기 환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는바, 실외 공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관리 서버부(100)는 제 1 수치가 제 2 수치와 작거나 같으면 제 4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4 환기 모드는 제 2 공간의 공기가 제 1 공간으로 흡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환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외 공기가 양호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고,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실내외 공기질을 판단하여 환기 모드를 설정하고, 환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실내외 공기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공기질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제 1 공간에서 제 1 수치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S710) 이때,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제 1 공기질 측정부(200)를 이용하여 제 1 공간에서 제 1 수치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공간은 실내 공간일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제 2 공간에서 제 2 수치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S720) 이때,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를 이용하여 제 2 공간에서 제 2 수치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공간은 실외 공간일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기질 측정 시스템은 공기질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730) 이때,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부(100)를 이용하여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빅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환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740) 다음으로,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환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750) 이때,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출력부(400)를 이용하여 환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환기 정보를 이용하여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오퍼레이션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공기질 측정부(200) 및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는 위치 정보, 기기정보 및 공기질 측정 정보를 관리 서버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부(100)는 이상 발생 또는 공기질 측정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부(100)는 상술한 수치값들을 비교하여 공기질을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관리 서버부(100)는 분석된 정보 및 행동 지침을 제 1 공기질 측정부(200) 및 제 2 공기질 측정부(300)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공기질 측정부(200)는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는 상술한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속성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치값 및 스레스홀드 값에 대한 업데이트가 가능한다. 그 후,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환기 정보를 출력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제 1 공기질 측정부(200) 및 제 2 공기질 측정부(300)는 출력부(400)와 동일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공기질을 측정하고, 환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관리 서버부 110 : 제어부
120 : 통신부 200 : 제 1 공기질 측정부
210 : 센서부 220 : 위치 정보 수신부
230 : 통신부 300 : 제 2 공기질 측정부
310 : 센서부 320 : 위치 정보 수신부
330 : 통신부 400 : 출력부
410 : 디스플레이부 420 : 오디오부
430 : 통신부

Claims (14)

  1. 공기질(air quality)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공간에서 제 1 수치(numerical value)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제 1 공기질 측정부;
    제 2 공간에서 제 2 수치(numerical value)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제 2 공기질 측정부;
    상기 제 1 공기질 측정부 및 상기 제 2 공기질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기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공기질 측정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부; 및
    환기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수신된 공기질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 모드를(ventilation mode)를 설정하고, 상기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 정보를 생성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제 1 수치가 제 1 스레스홀드 수치 이하이면 제 1 환기 모드를 설정하되,
    상기 제 1 환기 모드는 상기 제 2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상기 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 1 스레스홀드 수치는 상기 제 1 공간의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의 공간 정보는 대기 공기가 차단된 실내 공간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제 1 공간의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스레스홀드 수치를 결정하는 경우, 동일한 속성을 갖는 상기 제 1 공간의 빅데이터(big data)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스레스홀드 수치를 결정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제 1 환기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제 1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상기 환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제 2 수치가 제 2 스레스홀드 수치 이상이면 제 2 환기 모드를 설정하되,
    상기 제 2 환기 모드는 상기 제 2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상기 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 2 스레스홀드 수치는 상기 제 2 공간의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의 공간 정보는 실외 공간에 대한 정보이되, 상기 공간 정보는 상기 제 2 공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제 2 공간의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스레스홀드 수치를 결정하는 경우, 동일한 속성을 갖는 상기 제 2 공간의 빅데이터(big data)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스레스홀드 수치를 결정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제 2 환기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제 1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상기 환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제 1 수치가 상기 제 2 수치를 초과하면 제 3 환기 모드를 설정하되,
    상기 제 3 환기 모드는 상기 제 1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으로 배출하고, 상기 제 2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으로 흡입하는 상기 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모드인, 공기질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제 1 수치가 상기 제 2 수치와 작거나 같으면 제 4 환기 모드를 설정하되,
    상기 제 4 환기 모드는 상기 제 제 2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 1 공간으로 흡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상기 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모드인, 공기질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부는,
    상기 관리 서버부는 공기질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 모드를(ventilation mode)를 설정하고, 상기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환기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공기질 측정부 및 상기 제 2 공기질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공기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로 상기 환기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공기질 측정부는,
    상기 제 1 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제 1 공간의 공간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측정된 공기 정보 및 상기 제 1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공기질 측정부는,
    상기 제 2 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제 2 공간의 공간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수신 유닛;
    상기 측정된 공기 정보 및 상기 제 2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관리서버부에서 생성된 상기 환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환기 정보를 비주얼 정보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된 환기 정보를 오디오 정보로 출력하는 오디오부;를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4. 공기질(air quality)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 1 공간에서 제 1 수치(numerical value)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
    제 2 공간에서 제 2 수치(numerical value)를 갖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공기질 측정부 및 상기 제 2 공기질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기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공기질 측정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환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질 측정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공기질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 모드를(ventilation mode)를 설정하고, 상기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 정보를 생성하는, 공기질 관리 방법.
KR1020140082885A 2014-07-03 2014-07-03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4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885A KR20160004512A (ko) 2014-07-03 2014-07-03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885A KR20160004512A (ko) 2014-07-03 2014-07-03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512A true KR20160004512A (ko) 2016-01-13

Family

ID=5517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885A KR20160004512A (ko) 2014-07-03 2014-07-03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5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5754A (zh) * 2017-09-29 2019-04-09 李在燮 基于物联网的室内空气质量改善系统
WO2021225305A1 (ko) * 2020-05-04 2021-11-11 주식회사 아모센스 인공지능 공기정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5754A (zh) * 2017-09-29 2019-04-09 李在燮 基于物联网的室内空气质量改善系统
WO2021225305A1 (ko) * 2020-05-04 2021-11-11 주식회사 아모센스 인공지능 공기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387B1 (ko) 센서 장치 및 시스템
KR101108543B1 (ko) 개별적으로 환경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
CA2966338C (en) Indoor air quality sense and control system
KR101785357B1 (ko) 미세먼지, 온도, 습도 측정센서를 기반으로 한 공기질 검출 시각화 장치
US10619873B2 (en) Intelligent ventilation system
KR101677651B1 (ko) 공기질 센싱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90931B1 (ko) 실내 환경 모니터링 센서 장치
WO2018109924A1 (ja) 制御装置、換気システム、換気装置、換気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759387A (zh) 一种能控制室内空气品质的空调机组/器控制器及系统
WO2016051733A1 (ja) 換気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63328A (ko)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 시스템
KR101593979B1 (ko)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자동 환기 시스템
US11302174B1 (en) Heat-not-burn activity dete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60073754A (ko) 공기질 평가 장치, 공기질 평가 시스템 및 공기질 평가 방법
KR20160004512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2013478B (zh) 空调系统、空调系统的控制方法以及加装作业方法
KR20160008925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40046A (ko) 공기오염도의 원격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618224B1 (ko) 실내 환기 스케줄 안내 시스템
KR20230040577A (ko) 사물인터넷과 연동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유해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6288166A (zh) 一种室内湿度监测调控装置及方法
KR20190103501A (ko) 사물인터넷에 기반하여 환기장치를 제어하는 관제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 시스템
KR20190062175A (ko) 대기환경 정보 제공 시스템
JP2022076676A (ja) 換気システム
JP2023081025A (ja) 施設内環境の遠隔集中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