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932A -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932A
KR20220063932A KR1020200149898A KR20200149898A KR20220063932A KR 20220063932 A KR20220063932 A KR 20220063932A KR 1020200149898 A KR1020200149898 A KR 1020200149898A KR 20200149898 A KR20200149898 A KR 20200149898A KR 20220063932 A KR20220063932 A KR 20220063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quality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specific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131B1 (ko
Inventor
김민수
장소리
Original Assignee
케이웨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웨더(주) filed Critical 케이웨더(주)
Priority to KR102020014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1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932A/ko
Priority to KR1020220076359A priority patent/KR102468816B1/ko
Priority to KR1020220076331A priority patent/KR102634339B1/ko
Priority to KR1020220076356A priority patent/KR102468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3Visualisation of programs or trac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및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며,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로부터 공기질 데이터를 전송받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공기질 상태를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상기 공기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의 개수를 표시하는 공기질 종합 정보,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로부터의 공기질 데이터 수신 현황을 표시하는 데이터 수신 정보, 및 상기 공기질 데이터를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별로 종합하여 표시하는 측정기 데이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AIR QUALITY INFORMATION}
본 발명은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질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로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질은 인간의 건강과 직결되어 있어 공기질을 적절히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지하 역사와 지하도, 여객 자동차 터미널 대합실, 공항의 여객 터미널, 도서관, 박물관, 대형 의료기관과 같은 다중 이용 시설은 이용자가 많아 공기질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으며, 다양한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쉽게 공기질이 오염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공기질 측정장치가 대다수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공기질 측정장치에 의한 공기질 데이터의 경우 별도의 가공없이 사용자에게 단순 제공됨으로써 그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를 통합 관리 가능한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질 측정장치에 의한 공기질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로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및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며,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로부터 공기질 데이터를 전송받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공기질 상태를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상기 공기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의 개수를 표시하는 공기질 종합 정보,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로부터의 공기질 데이터 수신 현황을 표시하는 데이터 수신 정보, 및 상기 공기질 데이터를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별로 종합하여 표시하는 측정기 데이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는, 다수의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 다수의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 다수의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종합 정보는, 상기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의 유형별 개수, 및 상기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의 총 개수를 함께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정보는, 단위 기간 동안의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의 유형별 공기질 데이터 수신율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기 데이터 정보는,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별 식별정보, 최근 공기질 데이터 수신 시각, 공기질 세부 정보, 및 공기질 데이터 수신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세부 정보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공기질 측정장치에 대한 상세 정보 조회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특정 공기질 측정장치의 식별정보, 유형, 설치 주소, 설치 높이, 및 관리자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기 상세 정보, 및 특정 기간 동안의 공기질 정보를 그래프화하여 표시하는 기간별 공기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질 데이터는, 미세먼지 농도, 초미세먼지 농도,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 중 특정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 또는 특정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에 대한 공기질 분석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특정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 또는 상기 특정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가 배치된 실외의 공기질 상태에 대한 실외 공기질 분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 중 특정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에 대한 공기질 분석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특정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가 배치된 실내의 공기질 상태에 대한 실내 공기질 분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 공기질 분석 정보는, 상기 특정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 또는 상기 특정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와 초미세먼지 농도를 기반으로 하여 산출되는 통합실외청정지수, 및 상기 통합실외청정지수에 상기 특정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 또는 상기 특정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추가 적용하여 산출되는 통합실외쾌적지수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공기질 분석 정보는, 상기 특정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초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를 기반으로 하여 산출되는 통합실내청정지수, 및 상기 통합실내청정지수에 상기 특정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추가 적용하여 산출되는 통합실내쾌적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 공기질 분석 정보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통합실외청정지수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의 빈도, 및 상기 통합실외쾌적지수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의 빈도를 함께 표시하고, 상기 실내 공기질 분석 정보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통합실내청정지수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의 빈도, 및 상기 통합실내쾌적지수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의 빈도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질 정보 시각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및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며,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로부터 공기질 데이터를 전송받는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방법으로, 공기질 상태를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상기 공기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의 개수를 표시하는 공기질 종합 정보,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로부터의 공기질 데이터 수신 현황을 표시하는 데이터 수신 정보, 및 상기 공기질 데이터를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별로 종합하여 표시하는 측정기 데이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를 통합 관리 가능한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질 측정장치에 의한 공기질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로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공기질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질 종합 정보 및 데이터 수신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측정기 데이터 정보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측정기 상세 정보 및 기간별 공기질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 공기질 분석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내 공기질 분석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연결", "결합" 또는 "접속"의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 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공기질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은 공기질 측정장치(1) 및 사용자 단말기(2)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관리 서버(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질 측정장치(1)는 설치된 지점의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3)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질 측정장치(1)는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지점의 공기질 측정값을 포함하는 공기질 데이터를 관리 서버(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질 측정장치(1)는 사용 형태에 따라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는 실외에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공기질 측정장치를 의미하며, 해당 실외 지점의 공기질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는 실외 지점의 공기질 측정을 수행하되, 주기적으로 설치 장소가 변경되거나 차량 등에 부착되어 이동 가능한 형태의 공기질 측정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는 실내 지점의 공기질 측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비교적 작은 크기로 제작된 공기질 측정장치로, 사용자는 공기질 측정을 원하는 실내 공간에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를 배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내 공간의 공기질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는 미세먼지 센서(11),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12), 이산화탄소 센서(13), 온도 센서(14), 습도 센서(15), 및 통신 모듈(16)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먼지 센서(11)는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가 위치한 실내 지점의 미세먼지 농도(PM10)와 초미세먼지 농도(PM2.5)를 측정할 수 있으며,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12)는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가 위치한 실내 지점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센서(13)는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가 위치한 실내 지점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14)는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가 위치한 실내 지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습도 센서(15)는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가 위치한 실내 지점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은 상술한 센서(11, 12, 13, 14, 15)을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초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온도, 및 습도와 같은 공기질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와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는 상술한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실외 공기질을 측정하는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와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는 각각 미세먼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와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는 측정된 실외 지점의 미세먼지 농도, 초미세먼지 농도, 온도, 및 습도와 같은 공기질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3)는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1)를 통합 관리하고, 또한 공기질 측정장치(1)로부터 전송된 공기질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로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리 서버(3)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1) 및 사용자 단말기(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지점에 위치한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1)로부터 공기질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가공하여 시각화된 공기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를 통해 관리 서버(3)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 서버(3)가 제공하는 다양한 공기질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공기질 종합 정보, 데이터 수신 정보, 측정기 데이터 정보 등을 통합적으로 조회하거나, 필요한 경우 특정 공기질 측정장치(1)와 관련된 공기질 분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는 네트워크 연결되는 통신 기능과 이미지나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는,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모니터(monitor), TV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질 종합 정보 및 데이터 수신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측정기 데이터 정보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측정기 상세 정보 및 기간별 공기질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3)는 공기질 상태를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공기질 측정장치(1)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1)의 개수를 표시하는 공기질 종합 정보(31)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농도의 경우 해당 측정값의 범위에 따라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 단계로 공기질 상태를 등급화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좋음'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1)의 개수가 해당 등급(좋음)과 함께 표시되고,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보통'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1)의 개수가 해당 등급(보통)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1)의 개수가 해당 등급(나쁨)과 함께 표시되고,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1)의 개수가 해당 등급(매우나쁨)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질 측정장치(1)의 유형은 고정형, 이동형, 휴대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합 관리하는 관리 서버(3)는 각 유형별 현황을 구체적으로 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3)는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1)의 유형별 개수, 및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1)의 총 개수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좋음' 등급에 해당하는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의 개수(예를 들어, 50건),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의 개수(예를 들어, 32건),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의 개수(예를 들어, 12건), 및 이들의 총 개수(예를 들어, 94건)가 해당 등급(좋음)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보통' 등급에 해당하는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의 개수(예를 들어, 30건),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의 개수(예를 들어, 32건),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의 개수(예를 들어, 12건), 및 이들의 총 개수(예를 들어, 74건)가 해당 등급(보통)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등급에 해당하는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의 개수(예를 들어, 10건),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의 개수(예를 들어, 5건),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의 개수(예를 들어, 12건), 및 이들의 총 개수(예를 들어, 27건)가 해당 등급(나쁨)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나쁨' 등급에 해당하는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의 개수(예를 들어, 5건),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의 개수(예를 들어, 3건),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의 개수(예를 들어, 2건), 및 이들의 총 개수(예를 들어, 10건)가 해당 등급(매우나쁨)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미세먼지 농도를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초미세먼지 농도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a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3)는 공기질 종합 정보(31)와 함께 공기질 측정장치(1)로부터의 공기질 데이터 수신 현황을 표시하는 데이터 수신 정보(32a, 32b)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오류 등에 의하여 공기질 측정장치(1)와 관리 서버(3)의 통신이 끊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 단절 기간 동에는 공기질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으므로 공기질 측정장치(1)로부터의 공기질 데이터 수신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는 단위 기간 동안의 공기질 측정장치(1)의 유형별 공기질 데이터 수신율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제1 데이터 수신 정보(32a)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데이터 수신 정보(32a)에는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의 공기질 데이터에 대한 수신율,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의 공기질 데이터에 대한 수신율,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의 공기질 데이터에 대한 수신율, 및 전체 공기질 측정장치(1)의 공기질 데이터에 대한 수신율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는 이러한 공기질 데이터 수신율을 시간대별로 표시하는 제2 데이터 수신 정보(32b)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데이터 수신 정보(32b)에는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의 공기질 데이터에 대한 시간대별 수신율,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의 공기질 데이터에 대한 시간대별 수신율,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의 공기질 데이터에 대한 시간대별 수신율, 및 전체 공기질 측정장치(1)의 공기질 데이터에 대한 시간대별 수신율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3)는 공기질 종합 정보(31) 및 데이터 수신 정보(32a, 32b)와 함께 공기질 데이터를 공기질 측정장치(1) 별로 종합하여 표시하는 측정기 데이터 정보(33)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 데이터 정보(33)는 공기질 측정장치별 식별정보(예를 들어, 시리얼 넘버), 최근 공기질 데이터 수신 시각, 공기질 세부 정보, 및 공기질 데이터 수신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기질 세부 정보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는 측정기 데이터 정보(33)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에 대한 측정기 데이터 정보 요청이 전송되면, 관리 서버(3)는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의 데이터 정보만을 취합하여 사용자 단말기(2)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 또는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에 대한 측정기 데이터 정보 요청이 전송되면, 관리 서버(3)는 해당 요청에 대응되는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 또는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의 데이터 정보만을 취합하여 사용자 단말기(2)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3)는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특정 공기질 측정장치(1)에 대한 상세 정보 조회 요청이 전송되면, 해당 특정 공기질 측정장치(1)의 측정기 상세 정보(34) 및 기간별 공기질 정보(35)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 상세 정보(34)는 사용자가 상세 정보 조회를 원하는 특정 공기질 측정장치(1)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시리얼 넘버), 유형(예를 들어, 고정형, 이동형, 휴대형), 설치 주소, 설치 높이, 관리자 정보(예를 들어, 관리자명, 관리자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간별 공기질 정보(35)는 사용자가 상세 정보 조회를 원하는 특정 공기질 측정장치(1)의 공기질 정보를 특정 기간 단위로 그래프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공기질 정보는 미세먼지 농도 및 초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조회가 가능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 공기질 분석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내 공기질 분석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공기질 측정장치(1) 중 실외 공기질을 측정하는 특정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 또는 특정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에 대한 공기질 분석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관리 서버(3)는 상기 특정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 또는 상기 특정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가 배치된 실외의 공기질 상태에 대한 실외 공기질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실외 공기질 분석 정보는 특정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 또는 특정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와 초미세먼지 농도를 기반으로 하여 산출되는 통합실외청정지수(COPI), 및 상기 통합실외청정지수(COPI)에 상기 특정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1a) 또는 상기 특정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1b)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추가 적용하여 산출되는 통합실외쾌적지수(COC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질 분석 정보는 특정 기간 동안 통합실외청정지수(COPI)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예를 들어,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 등)의 빈도, 및 통합실외쾌적지수(COCI)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의 빈도(예를 들어,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 등)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공기질 측정장치(1) 중 특정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에 대한 공기질 분석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관리 서버(3)는 상기 특정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가 배치된 실내의 공기질 상태에 대한 실내 공기질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실내 공기질 분석 정보는 특정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초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를 기반으로 하여 산출되는 통합실내청정지수(CIPI), 및 상기 통합실내청정지수(CIPI)에 상기 특정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1c)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추가 적용하여 산출되는 통합실내쾌적지수(CIC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기질 분석 정보는 특정 기간 동안 통합실내청정지수(CIPI)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예를 들어,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 등)의 빈도, 및 통합실내쾌적지수(CICI)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의 빈도(예를 들어,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 등)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관리 서버(3)를 통하여 공기질 정보 시각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질 정보 시각화 방법은 공기질 상태를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공기질 측정장치(1)의 공기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1)의 개수를 표시하는 공기질 종합 정보(31),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1)로부터의 공기질 데이터 수신 현황을 표시하는 데이터 수신 정보(32a, 32b), 및 공기질 데이터를 공기질 측정장치(1)별로 종합하여 표시하는 측정기 데이터 정보(33)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질 정보 시각화 방법에서는 상술한 관리 서버(3)의 다양한 기능 제공 동작 등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공기질 측정장치
1a: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
1b: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
1c: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
2; 사용자 단말기
3: 관리 서버

Claims (9)

  1. 사용자 단말기 및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며,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로부터 공기질 데이터를 전송받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공기질 상태를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상기 공기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의 개수를 표시하는 공기질 종합 정보,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로부터의 공기질 데이터 수신 현황을 표시하는 데이터 수신 정보, 및 상기 공기질 데이터를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별로 종합하여 표시하는 측정기 데이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는,
    다수의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 다수의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 다수의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종합 정보는,
    상기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의 유형별 개수, 및 상기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의 총 개수를 함께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정보는,
    단위 기간 동안의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의 유형별 공기질 데이터 수신율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 데이터 정보는,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별 식별정보, 최근 공기질 데이터 수신 시각, 공기질 세부 정보, 및 공기질 데이터 수신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세부 정보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공기질 측정장치에 대한 상세 정보 조회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특정 공기질 측정장치의 식별정보, 유형, 설치 주소, 설치 높이, 및 관리자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기 상세 정보, 및 특정 기간 동안의 공기질 정보를 그래프화하여 표시하는 기간별 공기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데이터는, 미세먼지 농도, 초미세먼지 농도,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 중 특정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 또는 특정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에 대한 공기질 분석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특정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 또는 상기 특정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가 배치된 실외의 공기질 상태에 대한 실외 공기질 분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 중 특정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에 대한 공기질 분석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특정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가 배치된 실내의 공기질 상태에 대한 실내 공기질 분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질 분석 정보는,
    상기 특정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 또는 상기 특정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와 초미세먼지 농도를 기반으로 하여 산출되는 통합실외청정지수, 및 상기 통합실외청정지수에 상기 특정 고정형 공기질 측정장치 또는 상기 특정 이동형 공기질 측정장치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추가 적용하여 산출되는 통합실외쾌적지수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공기질 분석 정보는,
    상기 특정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초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를 기반으로 하여 산출되는 통합실내청정지수, 및 상기 통합실내청정지수에 상기 특정 휴대형 공기질 측정장치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추가 적용하여 산출되는 통합실내쾌적지수를 포함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질 분석 정보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통합실외청정지수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의 빈도, 및 상기 통합실외쾌적지수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의 빈도를 함께 표시하고,
    상기 실내 공기질 분석 정보는,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통합실내청정지수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의 빈도, 및 상기 통합실내쾌적지수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등급의 빈도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9. 사용자 단말기 및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질 측정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며,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로부터 공기질 데이터를 전송받는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방법에 있어서,
    공기질 상태를 복수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상기 공기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각 공기질 상태 등급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장치의 개수를 표시하는 공기질 종합 정보,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로부터의 공기질 데이터 수신 현황을 표시하는 데이터 수신 정보, 및 상기 공기질 데이터를 상기 공기질 측정장치별로 종합하여 표시하는 측정기 데이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질 정보 시각화 방법.
KR1020200149898A 2020-11-11 2020-11-11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415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898A KR102415131B1 (ko) 2020-11-11 2020-11-11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76359A KR102468816B1 (ko) 2020-11-11 2022-06-22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76331A KR102634339B1 (ko) 2020-11-11 2022-06-22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76356A KR102468812B1 (ko) 2020-11-11 2022-06-22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898A KR102415131B1 (ko) 2020-11-11 2020-11-11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356A Division KR102468812B1 (ko) 2020-11-11 2022-06-22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76359A Division KR102468816B1 (ko) 2020-11-11 2022-06-22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76331A Division KR102634339B1 (ko) 2020-11-11 2022-06-22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932A true KR20220063932A (ko) 2022-05-18
KR102415131B1 KR102415131B1 (ko) 2022-07-14

Family

ID=8180046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898A KR102415131B1 (ko) 2020-11-11 2020-11-11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76359A KR102468816B1 (ko) 2020-11-11 2022-06-22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76356A KR102468812B1 (ko) 2020-11-11 2022-06-22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76331A KR102634339B1 (ko) 2020-11-11 2022-06-22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359A KR102468816B1 (ko) 2020-11-11 2022-06-22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76356A KR102468812B1 (ko) 2020-11-11 2022-06-22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76331A KR102634339B1 (ko) 2020-11-11 2022-06-22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15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725B1 (ko) * 2022-11-04 2023-10-10 케이웨더(주) 도로변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660A (ko) * 2012-10-16 2014-04-24 전자부품연구원 IoT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KR20160134107A (ko) * 2015-05-14 2016-11-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80003750A (ko) * 2016-07-01 2018-01-10 우연정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KR20180116695A (ko) * 2017-04-17 2018-10-25 한봉조 단말기를 이용한 공기질 알림장치
KR101912625B1 (ko) * 2018-05-18 2018-10-29 케이웨더(주) 다지점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20190097911A (ko) * 2018-02-13 2019-08-21 (주)포인트엔지니어링 공기청정도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공기청정도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KR102008855B1 (ko) * 2018-12-11 2019-10-21 주식회사 에어콕 실내외 공기질 측정 및 환기 제어 공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03251B1 (ko) * 2019-07-31 2020-04-22 안태형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660A (ko) * 2012-10-16 2014-04-24 전자부품연구원 IoT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KR20160134107A (ko) * 2015-05-14 2016-11-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80003750A (ko) * 2016-07-01 2018-01-10 우연정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KR20180116695A (ko) * 2017-04-17 2018-10-25 한봉조 단말기를 이용한 공기질 알림장치
KR20190097911A (ko) * 2018-02-13 2019-08-21 (주)포인트엔지니어링 공기청정도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공기청정도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KR101912625B1 (ko) * 2018-05-18 2018-10-29 케이웨더(주) 다지점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102008855B1 (ko) * 2018-12-11 2019-10-21 주식회사 에어콕 실내외 공기질 측정 및 환기 제어 공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03251B1 (ko) * 2019-07-31 2020-04-22 안태형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339B1 (ko) 2024-02-06
KR102468812B9 (ko) 2023-02-23
KR102468812B1 (ko) 2022-11-18
KR102415131B1 (ko) 2022-07-14
KR102468816B9 (ko) 2023-02-23
KR20220092836A (ko) 2022-07-04
KR102468816B1 (ko) 2022-11-18
KR20220092838A (ko) 2022-07-04
KR20220092839A (ko) 202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625B1 (ko) 다지점 공기질 관리 시스템
US11910265B2 (en) Hyper-localization based edge-converged telemetry
US7627453B2 (en) Power distribution network performance data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JP6448906B2 (ja) 電子機器と情報提供サーバとを含むシステムの情報提供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た電子機器
MXPA05006358A (es) Sistema y metodo para visualizar disenos de red y caracteristicas de ejecucion en una red inalambrica.
WO2002051053A2 (en) Textual and graphical demarcation of location, and interpretation of measurements
JP2009212630A (ja) 人気度調査装置、人気度調査方法、人気度調査用プログラムおよび人気度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468816B1 (ko) 공기질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WO2010079649A1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30064953A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21446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utility consumption
CN105794150A (zh) 用于测量端对端互联网应用性能的方法
KR100792240B1 (ko) 멀티 비전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945239A (zh) 影音节目收视信息的实时记录与分析系统及方法
US119019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potential net service impairments
CN104994560A (zh) 显示屏关注度统计方法及系统
Hooker et al. The pollution e-sign
WO2020240669A1 (ja) 品質推定装置、モデル構築方法、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86725B1 (ko) 도로변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TWI597952B (zh) Broadband Internet service quality monitoring system
JP4202192B2 (ja) 受信装置
WO2022083718A1 (zh) 收看历史解析装置及非易失性存储介质
Minhas et al. QoE rat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ITU-T recommended video quality metrics in the context of video freezes
CN116383297A (zh) 一种美甲大数据可视化平台
KR20240020334A (ko)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