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953A -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953A
KR20130064953A KR1020110131594A KR20110131594A KR20130064953A KR 20130064953 A KR20130064953 A KR 20130064953A KR 1020110131594 A KR1020110131594 A KR 1020110131594A KR 20110131594 A KR20110131594 A KR 20110131594A KR 20130064953 A KR20130064953 A KR 20130064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error
information
cont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570B1 (ko
Inventor
임형진
김윤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5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7Alarm or error messag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5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if the computing system is on, off, available, not avai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러를 관리/처리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일 예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로 분배 및 전송하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에러 관리/처리를 위한 제1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 에러 발생 유무 확인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응답에 따라 에러 표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고 화면상에 출력하며, 에러 표시 UI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에러를 관리 및 처리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제어 방법의 일 예는, 에러 관리/처리를 위한 제1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로 에러 발생 유무 확인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에 따라 에러 표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고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에러 표시 UI를 이용하여 에러 관리 및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SIGNA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digital signage system)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고 방식은, 광고 컨텐트가 게시된 전단지를 오프라인(off-line)으로 제공하거나 인터넷, TV나 라디오 등에 온라인(on-line)으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이러한 종래 광고 방식은, 이용자에게 고정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광고 컨텐트에 대한 소유자와 제작자가 상이하여 기 제작된 광고 컨텐트의 빠른 수정, 변경, 업데이트 등이 용이하지 않다. 이로 인해 이용자에게 오히려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여 이용자와 광고주간에 오해의 소지도 있다.
한편, 마트(mart), 공항(airport) 등 동시에 다수가 이용하는 장소에서는, 광고 컨텐트 출력을 위해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미리 제작된 광고 컨텐트를 단순 반복 재생할 뿐 이용자의 정보 접근(access)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한편, 관리자는, 광고 컨텐트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에러나 오작동 등이 있는 경우, 이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하지 않으면 알 수 없어 실시간으로 에러나 오류에 대처하기 힘들며, 에러나 오류의 원인 및 현재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태도 직접 현장에서 눈으로 확인하여야만 이를 파악할 수 있어 에러나 오작동의 발생 이후 후속 조치까지의 시간, 비용 등이 많이 들어 비효율적인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상황은, 이용자들의 불만을 초래하여 마트나 공항 등에 대한 선입견을 초래할 수 있으며,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거나 그 이용의 불편을 끼칠 수도 있고, 시설물의 미관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인터랙셔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interactional digital signage system)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인터랙셔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에러 관리/처리(error management/process)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러를 관리/처리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일 예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로 분배 및 전송하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에러 관리/처리를 위한 제1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 에러 발생 유무 확인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응답에 따라 에러 표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고 화면상에 출력하며, 에러 표시 UI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에러를 관리 및 처리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제어 방법의 일 예는, 에러 관리/처리를 위한 제1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로 에러 발생 유무 확인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에 따라 에러 표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고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에러 표시 UI를 이용하여 에러 관리 및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인터랙셔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광고주, 광고 제작자 및 광고 컨텐트 이용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광고주는 광고의 제작 및 제어 과정 등에 직접 참여하여 자신의 의도에 보다 부합한 컨텐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용자의 만족, 구매 욕구 등을 유발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이용자는 인터랙셔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출력되는 광고 컨텐트에 대한 접근이 보다 용이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관리 특히, 에러나 오작동 등에 대해 실시간으로 보다 쉽고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관리/처리할 수 있어 그에 따른 부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구성 블록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생성한 메타데이터 구조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errorEvent의 상세 메타데이터 구조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기기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에게 알리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1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기기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에게 알리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와 디스플레이 기기 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모바일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 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1 또는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셔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interactional digital signage system) 및 상기 인터랙셔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의 에러 관리/처리(error managing/processing)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예컨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라 함은, 하드웨어(hardware), 소프트웨어(software), 컨텐츠(contents), 네트워크(network) 등 다양한 IT 기술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정보와 광고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광고 게시판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터미널, 관공서, 버스 정류장, 백화점, 지하철, 공항, 호텔, 병원 등 유동 인구가 많은 대형 건물 및 업소, 엘리베이터, 영화관, 식당, 쇼핑몰, 상점 등 일정 시간 머무르는 장소에 설치 운영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중 하나인 독립형 디지털 사이니지(Stand-alone Digital Signage)는, 간판이나 빌보드(bill-board)를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로 구성하고, 미리 제작된 정보 및 광고 컨텐츠를 저장부에 담아 수동 재생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인 네트워크형 디지털 사이니지(Networked Digital Signage)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로 정보 및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고, 중앙에서 컨텐츠의 전송 및 장치의 상태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 예로써, 이하에서는 경우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와 디스플레이 기기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 컴퓨터 지원 기능, 및 인터넷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원 가능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기는 또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 가능하여 인터넷 또는/및 다른 디지털 기기와 접속하여, 이메일(e-mail), 웹브라우징(web-browsing), 뱅킹(banking) 또는 게임(gaming)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술한 기능이나 지원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추가하거나 삭제 가능하여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user-friendl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는 예컨대, 휴대용 통신 장치,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단말장치로서, 일반적으로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및 터치 입력 또는/및 소형 키보드를 구비하여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바일 기기 역시 전술한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이, 무선 인터넷 기능을 통하여 인터넷 및 다른 디지털 기기와 접속하여,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범용 OS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그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예시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 둔다.
관련하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러를 관리/처리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일 예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로 분배 및 전송하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에러 관리/처리를 위한 제1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 에러 발생 유무 확인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응답에 따라 에러 표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고 화면상에 출력하며, 에러 표시 UI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에러를 관리 및 처리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모바일 기기는, 상기 서버 및 연계된 디스플레이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 인증하고 등록,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웹 또는 서버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요청 및 상기 웹 또는 서버로 시스템 관리를 위한 제2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식별 표시하며, 식별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기 발생한 에러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에러 상세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에러 상태 스크린 샷, 에러 상태 내역, 상기 에러 상태를 처리를 위한 컨택 포인트 및 그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 및 응답은, 메시지 또는 패킷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시지 또는 패킷은 상기 요청 및 응답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타데이터는,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기기, 플레이어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에러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 errorEvent 엘레멘트(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타데이터는, 기기 식별을 위한 기기 명칭 또는 식별자를 포함한 name 엘레멘트, 기기 기본 정보에 관한 playerInfo 엘레멘트,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한 locationInfo 엘레멘트, 컨텐츠 기본 정보를 포함한 contentInfo 엘레멘트, 컨텐츠 송수신 채널 정보를 포함한 contentChannel 엘레멘트, 컨텐츠 재생 여부의 로그 정보를 포함한 contentplayLog 엘레멘트, 컨텐츠와 관련된 플레이어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 playerEvent 엘레멘트 및 기타 데이터 또는 향후 사용을 위한 reserved 엘레멘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rrorEvent 엘레멘트는,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식별자 정보, 에러 발생에 관한 시간 정보, 해당 에러 원인 정보,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에러 원인 정보에 따른 컨택 포인트 정보 서브-엘레멘트(sub-elemen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엘레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에러 원인에 따라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검색 또는 리프레쉬하여 대응 정보를 출력하고, 대체 네트워크로 전환하여 전환된 대체 네트워크에 따라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의 출력 상태를 확인한 후 에러 관리/처리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tool)로서, 공항이나 호텔, 병원 등 공공 장소에서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특정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디지털 기기를 통칭한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업용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나 관리 플랫폼(management platform)까지 종합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일 예는, 제1 서버(1010), 제2 서버(1030), 디스플레이 기기(1040) 및 모바일 기기(10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는 서로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서버(1010 or/and 1030)와 모바일 기기(1050)는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네트워크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유/무선 네트워크(1020)로 예를 들어, 인터넷 망을 들 수 있으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메시지 서비스 및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망(1060)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위하여 메시지 서비스 센터(10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예시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서버(1010)와 제2 서버(1030)는 각각 컨텐츠 서버와 중앙 서버라고 명명되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모듈화되어 하나의 구성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양자를 기능에 따라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서버(1010)는, 광고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 즉, 컨텐츠를 생성, 관리 및 처리한다. 이를 위해, 제1 서버(1010)는, 광고메시지 전송부(1012), 컨텐츠 생성부(1014), 컨텐츠 관리부(1016) 및 컨텐츠 분배/전송 처리부(101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1010)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기기(104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 관리 및 처리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제1 서버(1010)는, 도시된 구성에서 일부 구성을 제외하거나 일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구성이 하나로 모듈화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광고메시지 전송부(1012)는, 디스플레이 기기(104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광고 메시지나 소정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발생되는 에러 등에 대한 메시지 등을 모바일 기기(10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메시지는 예를 들어,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 정보, 할인 정보, 이벤트 정보, 모바일 쿠폰, 모바일 티켓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러 메시지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텐츠 생성부(1014)는, 디스플레이 기기(1040)를 통해 출력할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컨텐츠 생성부(1014)는, 컨텐츠를 직접 생성할 수도 있고, 다른 시스템에서 기 생성된 컨텐츠를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1040)의 출력 포맷에 맞게 가공, 변형 등을 통해 생성할 수도 있다.
컨텐츠 관리부(1016)는, 생성된 컨텐츠를 예컨대,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이용하여 관리한다. 다시 말해, 컨텐츠 관리부(1016)는 디스플레이 기기(1040)를 통해 출력될 컨텐츠에 관한 정보, 스케줄 정보 등 서비스 타입에 따른 다수의 컨텐츠를 관리한다. 한편, 컨텐츠 관리부(1016)는, 각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기기(1040)로의 전송 여부뿐만 아니라 전송 이후 디스플레이 기기(1040)의 상태 관리 등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 관리부(1016)는 해당 컨텐츠가 적절한 시간에 실행되고, 실행된 결과에 대한 정보를 리포팅(reporting)함으로써 컨텐츠를 효율적인 통합 관리, 광고 효과 측정 및 에러 상태 관리도 가능하다.
관련하여, 컨텐츠 스케줄 정보라 함은, 컨텐츠와 디스플레이 기기(1040) 간의 전송, 수신, 출력 및 상태 보고 등 관련 스케쥴에 대한 관리를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기기(1040)에서 출력될 컨텐츠의 시간 관리가 주요 목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스케쥴 정보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식별정보, 시간 정보, 시스템 호환성을 고려한 버전 정보 등을 기본 정보로 포함하고, 컨텐츠의 실행 순서, 실행 규정에 대한 정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컨텐츠 스케줄 정보를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1040)에서 컨텐츠 실행 여부 검증, 광고 지표 분석 정보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스케줄 정보는, 사용 중인 네트워크 정보(망 사업자 정보, 유선, 무선 등을 구별하는 네트워크 연결 타입 등), 컨텐츠 실행 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다수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포함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더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컨텐츠 분배/전송 처리부(1018)는, 컨텐츠 생성부(1014)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각 디스플레이 기기(1040)로 분배되도록 전송한다.
한편, 컨텐츠 전송 방식에 따라, 소정 주기로 디스플레이 기기(1040)에서 서버로 컨텐츠를 요청하는 폴링(polling) 방식과, 서버에서 주기 또는 비주기로 디스플레이 기기(1040)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송(broadcasting) 방식이 있다. 전자의 폴링 방식의 경우, 관리자가 별도로 스케쥴 관리가 없더라도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기기(10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음에 반해 다수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폴링하는 경우 서버의 트래픽 집중으로 인해 문제가 될 수 있어 트래픽 로드 밸런싱(traffic load balancing)이 필요하다. 한편, 후자의 방송 방식의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제한된 대역폭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네트워크 이용률이 낮은 밤 시간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분배시킬 수 있어 트래픽 집중을 방지할 수 있으나, 잦은 컨텐츠의 업데이트나 빠른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대역폭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전송을 위하여 전술한 두 가지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을 혼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2 서버(1030)는, 여기서는 중앙 서버 즉,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서버(1010)의 기능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1050)와 디스플레이 기기(1040) 간의 통신 및 제어를 위한 링크 즉, 연결 고리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서버(1030) 또는 제1 서버(1010)는, 웹을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040) 및 모바일 기기(1050)를 관리하고, 컨텐츠와 관련한 정보를 저장/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서버, 디스플레이 기기(1040) 및 모바일 기기(1050)는, 서로 1:1 또는 1:N(N은 양의 정수로 적어도 2 이상)으로 대응되도록 구축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기기(1040)는, 제2 서버(1030)의 제어에 따라 제1 서버(101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1050)는, 디스플레이 기기(1040)와 인터랙션(interaction)을 통하여 능동적인 고객 참여형 광고가 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기기(1040)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와 관련한 메시지를 서버(101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광고 마케팅 툴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는 제1 서버(1010)를 통하여 생성 및 관리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040)로 분배/전송됨으로써 출력된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컨텐츠 분배장치(1018), 디스플레이 기기(1040) 및 출력되는 컨텐츠를 로컬 매니저가 관리함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서버(1010 or 1030)를 통해야 한다. 그에 따라, 현장에서 즉석 할인 판매, 행사 정보 안내 등 매장 관리자의 로컬 핸들링이 중요한 사항의 경우 실시간 대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서버(1030)를 통하여 컨텐츠를 생성 및 관리하고, 디스플레이 기기(1040)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으나, 특정 디스플레이 기기로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전송하여 출력하거나 현장 관리자가 직접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모바일 기기(1050)를 지원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1040)는 상기 제1 서버(10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재생 스케줄에 따라,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디지털 정보 및 광고 관련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통신 가능한 모바일 기기(1050)로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광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서버(1010), 디스플레이 기기(1040) 및 컨텐츠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 별도로 접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1010)의 전원을 켜기 위해서는 별도로 접속해야 하고, 디스플레이 기기(1040)의 전원을 켜거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기기(1040)에 별도로 접근해야 하고,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1010 or 1030)에 접속해야 하므로, 매장 관리자의 불편함이 클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모바일 기기(1050)를 통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일부인 컨텐츠 분배장치(1018), 디스플레이 기기(1040) 및 출력되는 컨텐츠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의 이동성과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 예는, 방송수신부(2010), 통신부(20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30), 메모리(2040), 매칭부(2052), 제어부(2054), 광고메시지 전송부(2056), 스케줄러(2058), 디스플레이부(2060), 오디오출력부(2070), 전원공급부(2080), 유저 인터페이스(2090) 및 원격 컨트롤러(2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서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삭제, 추가 또는 복수의 구성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는바 이러한 구성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의 컨텐츠를 표현하도록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들을 사용할 수 있다. 종종 이러한 시스템은 광고 자료들을 디스플레이하고, 광고주가 디스플레이 시간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방송수신부(2010)를 포함하여 컨텐츠를 출력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송수신부(2010)를 구비함으로써 광고를 출력할 시간이 아닌 경우에는, 일반적인 TV 시청을 가능토록 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방송수신부(1010)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튜너, 복조부, 디코더 등을 포함한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부(2020)는, 유선 네트워크를 위한 이더넷(Ethernet) 단자,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02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30)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기기를 연결한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30)를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플레이어,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PC,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30)는 인접한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2054) 또는 메모리(20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통신부(2020) 또는/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30)를 통하여 도 1의 제1 서버(1010) 또는/및 제2 서버(1030)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2040)는, 서버 또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컨텐츠,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2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신호를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나아가, 메모리(20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30) 또는 통신부(2020)를 통해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04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209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054)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4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209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 컨트롤러(21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를 원격 컨트롤러(21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60)는, 모바일 기기(21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60)는, 제어부(2054)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0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206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090)는, 제어부(2054)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5.1 채널 신호 또는 6 채널 등을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공급부(2080)는, 도 2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위한 각 구성에 필요한 전원 공급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부(208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2054)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206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출력부(20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원격 컨트롤러(2100)는, 사용자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209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 컨트롤러(2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RS-232, RS-485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원격 컨트롤러(2100)는 모바일 기기를 일 예로 설명한다.
특히, 모바일 기기(2100)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관심 정보 및 광고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부(2020)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근거리에 있는 모바일 기기(2100)로부터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부(2054)는 기 설정된 주기로 모바일 기기가 통신 가능한 거리 또는 상태에 있는지 감지하여 통신부(202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기기와 모바일 기기(2100)는 이동통신망,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신호 세기 측정 등 통신 방법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2100)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 감지하는 방법은 다르지만, 특정 통신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 방법에 따라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감지하는 것은 공지의 방법이므로 이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가능한 모바일 기기(2100)가 감지되면, 통신부(2020)는 제어부(2054)로부터 감지된 모바일 기기(2100)에 대한 정보를 받아, 모바일 기기(2100)로부터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수신한다. 모바일 기기(2100)는, 저장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2100)의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관련 데이터는, 사용자의 위치, 연령, 성별, 관심 상품, 관심 분야 및 구매 내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관련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용자별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편, 사용자 관련 데이터는 모바일 기기(210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메모리(2040)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광고 메시지를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2040)는, 컨텐츠가 광고인 경우, 해당 광고의 타켓 사용자에 대한 연령, 성별 등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는, 매칭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관련 데이터와 연관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100)는 사용자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2090)를 통해 송신한다. 제어부(2054)는, 모바일 기기(2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54)는, 모바일 기기(2100) 또는 서버로부터 컨텐츠 배포 현황 정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2040)를 참조하여 수신한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 대응 수신 정보를 모바일 기기(2100) 또는 서버로 송신하도록 통신부(20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구성 블록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과 4에서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삭제, 추가 또는 복수의 구성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는바 이러한 구성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3과 4의 결합 또는 조합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일 예는, 디스플레이부(3010), 유저 인터페이스(3060), 컨텐츠생성부(3020), 통신부(3040), 컨트롤러(3030) 및 배포현황부(30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10)는, 컨트롤러(303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또는 외부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01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1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를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일 예는, 통신부(4010), 모드변경부(4030), 디스플레이부(4050), 유저 인터페이스(4060), 컨트롤러(4020), 메모리(4070) 및 권한설정부(40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0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부(401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012)는, 모바일 기기와 기지국 간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에 따라 송수신 기능을 분리하는 듀플렉서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하는 송신부와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태블릿 PC 등과 같이 통화 기능이 구비하지 않는 모바일 기기는 무선 통신부(4012)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4010)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4010)는,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이용하여 등록된 특정 디스플레이 기기들이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010)는, 복수의 IP 주소, MAC 주소 등을 저장해두고,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저장된 복수의 IP 주소, MAC 주소 등에 순차로 접속을 시도하여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010)는, 모바일 기기가 기 저장된 GPS에 의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으면, 근거리에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위치 정보를 이용하면 특정 디스플레이 기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통신부(4010)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을 통해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4010)는, 소정 범위 내의 다른 디스플레이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40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데이터는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등 기기에 저장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의미하고, 컨텐츠 및 컨텐츠 메타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는 기기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분류될 수 있는 종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진, 음악, 문서, 동영상 등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 중, 사진에 관련된 데이터는 사진 컨텐츠로, 음악에 관련된 데이터는 음악 컨텐츠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4014)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RFID, NFC 및 wi-fi 등 다양한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검색함으로써,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접근할 때에 자동으로 제어 대상 리스트 및 그와 관련된 그래픽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에 따라, 모드변경부(4030)는,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검색되면,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한다. 제어 모드로 변경하면, 디스플레이부(4050)는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컨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분배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50)는, 컨트롤러(402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또는 외부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405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데이터 구조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errorEvent의 상세 메타데이터 구조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위한 메타데이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메타데이터(5000)는 서버, 모바일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 중 적어도 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포맷(data format)의 일 예이다. 이러한 메타데이터(5000)는, 미리 약속된 것으로 컨텐츠에 관한 모든 저장, 관리, 재생 등 처리뿐만 아니라 각 기기의 제어에 이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 기기 간 에러 정보의 공유 및 처리 등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에 기기 간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타데이터(5000)의 일 예는, 기기 식별을 위하여 기기 명칭 등을 포함한 name 엘레멘트(element)(5010), 기기 기본 정보를 포함한 playerInfo 엘레멘트(5020),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한 locationInfo 엘레멘트(5030), 컨텐츠 기본 정보를 포함한 contentInfo 엘레멘트(5040), 컨텐츠 송수신 채널 정보를 포함한 contentChannel 엘레멘트(5050), 컨텐츠 재생 여부 등 로그 정보를 포함한 contentplayLog 엘레멘트(5060), 컨텐츠와 관련된 플레이어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 playerEvent 엘레멘트(5070), 네트워크, 기기, 플레이어, 컨텐츠 등과 관련된 에러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errorEvent 엘레멘트(5080) 및 기타 데이터 또는 향후 사용을 위한 reserved 엘레멘트(50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엘레멘트는 상위 개념으로 이용되고, 하위 개념으로 해당 엘레멘트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포함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브-엘레멘트(sub-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errorEvent 엘레멘트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6과 같은 서브-엘레멘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메타데이터(5000) 포맷과 엘레멘트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실시 예 뿐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테면, 도 5에 도시된 메타데이터(5000) 중 일부 엘레멘트가 제외되거나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른 엘레멘트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기기 간에 메타데이터는, 반드시 도 5와 같은 엘레멘트들이 포함되어 송/수신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이벤트에 따라 필요한 엘레멘트(들)만을 포함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기타 데이터 또는 향후 사용을 위한 reserved 엘레멘트(5090)는, 타겟에 따라 변경되는 컨텐츠 정보나 관련된 상품의 종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reserved 엘레멘트(5090)는 변경 정보나 수정이 빈번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도록 융통성을 보장함으로써 정보의 삽입, 변경 및 확장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타데이터(5000)를 이용하면, 생성된 컨텐츠가 어느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실행되는지(5010), 어떤 플레이어(하드웨어 타입, 소프트웨어 타입 등)에 의해 실행되는지(5020), 네트워크 전송 경로(5050) 등에 대한 데이터를 쉽게 송수신할 수 있고, 서버에서도 컨텐츠의 분배 및 전송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메타데이터(5060)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단말에서의 실제 출력 여부를 쉽게 수집할 수 있어, 광고 효과 측정 등 다양한 목적 또는 용도에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특히,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에러 관리/처리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6은 전술한 도 5의 메타데이터(5000) 내 errorEvent 엘레멘트(5080)의 서브 엘레멘트(sub-element)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errorEvent 엘레멘트(5080)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또는 그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에러 이벤트에 대한 정의를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이러한 에러 이벤트는 네트워크, 기기, 플레이어, 컨텐츠 등과 관련된 에러 이벤트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errorEvent 엘레멘트(5080)는, 에러가 발생한 기기 식별을 위한 해당 기기의 식별자를 포함한 DeviceID 서브-엘레멘트(6010), 해당 기기에서 에러가 발생한 시각에 대한 startTime 서브-엘레멘트(6020), 에러의 타입, 원인 등 에러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errorCause 서브-엘레멘트(6030), 에러가 발생한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Location 서브-엘레멘트(6040), 및 에러가 발생한 기기를 담당하는 관리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Contact 서브-엘레멘트(60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러 엘레멘트(5080)는, ErrorCause 서브-엘레멘트 이외에 에러에 관한 추가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는 AdditionalData 서브-엘레멘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Contact 서브-엘레멘트(5050)는 예컨대, 해당 기기의 관리자의 성명, 휴대폰 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이메일,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전송을 위한 정보, 관련 링크 정보 등 에러와 관련된 컨택 포인트(contact point)에 대한 다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데이터의 사용 시나리오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이하 특히, 에러와 관련한 메타데이터 사용 시나리오의 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서버에서 연결된 각 디스플레이 기기로 주기 또는 비주기로 에러 발생 유무 체크를 위한 메시지를 전달하면, 각 디스플레이 기기는 자신의 상태를 체크하여 에러 발생 유무를 확인한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확인 결과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그에 대한 값을 서버로 리턴(return)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확인 결과,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6과 같은 메타데이터 엘레멘트들을 수집하여 이를 도 5와 같은 메타데이터에 포함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메타데이터를 파싱하여 errorEvent 엘레멘트(5080)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체적인 에러 원인을 파악하여 그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서 서버의 역할을 모바일 기기가 대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관리자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들의 에러 유무를 체크할 수도 있으며,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직접 액세스하여 구체적인 에러 원인 파악을 위해 이용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유사한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 서버 및 디스플레이 기기 간에도 에러 유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도 1 내지 6의 내용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에러 관리/처리를 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에러 관리/처리를 위한 방법 내지 사용 시나리오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히,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발생한 에러를 관리/처리하는 방법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UI 내지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발생한 에러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관리/처리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 담당 관리자에게 에러 내용을 소정 방식 자동 전송하여 관리 및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에러 내용은 예컨대, 에러가 발생한 기기의 위치, 에러의 원인, 에러 발생 시각, 담당 관리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 한편, 담당 관리자라 함은 예를 들어,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의 로컬 담당자, 센터 담당자, 해당 에러 원인에 따라 미리 약속된 담당자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정 방식이라 함은, 전화(call), 문자 메시지(MMS), 이메일(E-mail),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러 정보 전송시 해당 모바일 기기로 기기 상태를 구간별로 한눈에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위치 정보, 맵 정보와 같은 인터페이스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술한 다양한 내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단순 결합 또는 조합에 의한 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크게 기기 에러 발생시 로컬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는 방법과 관리자가 CCTV를 보듯이 기기 현황을 파악하여 에러를 관리하는 방법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그 우선순위가 정해진 것은 아니고 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전자와 후자가 병행하거나 그 순서가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기기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에게 알리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11은 기본적으로 소정 디스플레이 기기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에러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에러 관리 체계는, 하나의 서버,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기기 그리고 다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시스템 전용 기기 중 어느 하나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계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는, 서버와 디스플레이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계 정보와 해당 모바일 기기의 고유 정보를 미리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연계 정보라 함은 예컨대, 기기 1-10이 존재할 때, 기기 1-5는 모바일 기기 1과, 기기 6-10은 모바일 기기 2와 연계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말한다. 한편, 연계라 함은 예를 들어,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가 해당 모바일 기기의 관리/제어를 받는다는 것으로, 등록된 기기 간 식별자 정보 등에 기초하여, 상호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이의 처리도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송/수신되는 데이터로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메타데이터 및 에러 관련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유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해당 모바일 기기의 식별 정보, 연계된 디스플레이 기기 또는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정보 등을 포함한다. 한편, 모바일 기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 및 연계된 디스플레이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식별자 정보, 네트워크 정보 등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여 미리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연계된 디스플레이 기기를 관리 또는/및 제어하기 위해 위젯 애플리케이션(widget application)을 미리 다운로드(download) 받아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자신의 상태 정보 수집 결과,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도 5 내지 6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를 연계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 기기로부터 전송된 메타데이터를 파싱(parsing)하고 이로부터 도 7과 같은 UI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제공한다.
상술한 내용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서버를 거치지 않고 연계된 모바일 기기로 직접 전송하는 경우이다. 한편, 상술한 메시지 전송 방식 외에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단지 에러 관련 메시지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도 5 내지 6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생성한 후 미리 등록된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모바일 기기로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에러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든 디스플레이 기기든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서버 이외에 별도의 통신 서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의 에러 발생 유무 체크는, 자발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바일 기기 또는 서버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크는 주기 또는 비주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서버 또는 모바일 기기는, 폴링 방식 즉, 소정 주기로 계속하여 에러 유무 체크 요청을 위한 메시지나 패킷(packet)을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기 요청 메시지나 패킷에 대응하여 에러 발생 유무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응답에 포함하여 메시지나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로컬 관리자는 모바일 기기 화면상에 제공되는 에러 메시지 UI(7010)로부터,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실행 중이었던 컨텐츠의 이름, 에러의 원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에러 메시지 UI는, 에러에 대한 보다 상세 정보를 요청하는 상세보기 버튼(7012)과 해당 에러 메시지를 확인하였음을 나타내는 확인 버튼(70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로컬 관리자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 보기 버튼(7012)을 탭 아이콘(7020)을 이용하여 누른 경우 또는 선택한 경우, 모바일 기기는 로컬 관리자의 선택을 확인한 후 그에 따른 응답으로 도 7에 비해 더욱 상세한 정보가 포함된 도 8의 UI를 화면상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의 화면상에 제공되는 UI는, 도 7에 비해 더욱 상세한 정보 예컨대, 에러 영상에 대한 스크린 샷(screen shot), 에러 상태 내역, 기기의 위치 정보, 담당자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8010)은, 해당 모바일 기기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영역으로, 모바일 기기의 통신 상태, 통신 모드, 케이블 연결 유무, 배터리 잔량, 시간 등을 표시하는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영역(8020)은, 모바일 화면상에 제공된 화면에 대한 식별을 위한 타이틀 내지 카테고리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기기 화면상에 제공되는 정보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위젯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임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8020)의 소정 부분에서는 리프레쉬(refresh) 버튼을 구비하여 정보의 변경 또는 수정, 업데이트 또는 오류에 따라 재실행 등을 요청할 수도 있다.
제3 영역(8030)은, 도 7의 상세 보기 버튼(7012) 선택에 따른 상세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 영역으로, 에러의 원인, 해당 기기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의 타이틀, 카테고리, 해상도 등에 대한 정보(8034)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제4 영역(8040)은, 도 7의 상세 보기 버튼(7012) 선택에 따른 상세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 영역으로 특히,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그래픽 이미지 또는 맵 형태(8044)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공된 그래픽 이미지 또는 맵 형태(8044)에서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정보 예컨대, 도 8에서는 ‘3F Woman Wear>ID0012’라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3층 여성복 매장의 ID 0012 기기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관리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모바일 기기는, 도 8의 그래픽 이미지 또는 맵(이하 맵) 형태(8044)의 정보 제공과 더불어, GPS, CCTV 등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현재 관리자 또는 모바일 기기의 위치로부터 에러가 발생한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경로 또는 최단 경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는 계속하여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현재 모바일 기기의 위치와 목적지 즉,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 사이의 이동 경로를 계속하여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제4 영역(8040)에서 제공되는 맵 정보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임의의 선택에 의해 확대 또는 축소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기기 인식 편의를 위해, 하이라이트, 컬러 변경, 깜빡거림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5 영역(8050)은, 도 7의 상세 보기 버튼(7012) 선택에 따른 상세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 영역으로, 에러와 관련된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8에서는 해당 에러에 대한 담당자임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8052)와 그에 대한 이미지 정보(8054), 해당 담당자의 소속, 직책 등에 대한 정보(8056), 해당 담당자와의 연락을 위한 연결 버튼(8058)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버튼(8058)에는 예를 들어, 전화 연결을 위한 call 버튼, 문자 메시지 전달을 위한 MMS 버튼, 이메일 전송을 위한 E-mail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에러 관련 담당자라 함은, 서버 측 관리자 또는 그 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에러 원인에 따라 미리 등록된 담당자일 수 있다.
로컬 관리자는 도 7 내지 8의 정보를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소정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로컬 관리자는 상기와 같이 에러를 확인하면, 에러 문제를 조기에 해결하기 위하여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로컬 관리자의 조치의 일 예가 도 9 내지 11과 같이, 해당 에러의 관련 담당자에게 전화, MMS, 이메일 등을 전송하는 것이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로컬 관리자는 도 8과 같이 에러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였으면, 이의 해결을 위하여 해당 에러 담당자에게 MMS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한다.
이 경우, 로컬 관리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 버튼(9010)을 이용하여 MMS를 선택한다. 로컬 관리자가 도 9와 같이, 해당 에러 담당자에게 MMS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도 10과 같이, 상기 에러 담당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작성을 위한 윈도우(10022)가 모바일 기기의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제공된다. 또한, 로컬 관리자는, 메시지 작성을 위해 탭 아이콘(10024)를 상기 윈도우(10022)에 위치시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소정 영역(11020)에 메시지 입력을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수단은 예컨대, 가상의 키보드 자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단은 상기 윈도우(11010)에 비해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로컬 관리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제공된 윈도우(11010)를 액세스하여 메시지 입력 수단(11020)이 제공되면, 탭 아이콘(11030)을 이용하여 원하는 메시지(“빠른 조치바랍니다.”)를 작성하고 엔터 버튼을 통해 해당 에러 담당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는 로컬 관리자의 메시지 작성시 화면 상단 영역에 작성된 메시지가 전송되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로컬 관리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내용은 모바일 기기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에러 상황을 파악하여 해당 담당자에게 조기에 에러 해결을 위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상술한 내용의 이전 단계 또는 이후 단계이거나 그와는 별개의 과정으로서, 모바일 기기의 소유자 즉, 로컬 관리자가 보다 CCTV를 보듯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태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한 번에 파악하도록 하며, 에러 관리 역시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12 내지 1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기기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에게 알리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기기는, 이동 간에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고정된 기기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작다. 한편, 로컬 관리자는 자신이 담당하는 구역이나 각 구역 내 디스플레이 기기가 다수 존재하면, 이를 모바일 기기의 한 화면상에 모두 출력하기에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기기는 소정 단위로 구분하여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단점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예컨대, 이하에서는 소정 단위를 예를 들어, 층 단위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층 단위의 범위가 넓은 경우에는 이를 다시 세분화하여 사용자의 식별에 문제가 없도록 제공하면 족하다.
도 12는 전술한 도 8 내지 11과 같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각각 정보가 제공되는 부분을 구분하기 위하여 영역으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제1 영역은, 화면의 최상단 영역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관련 정보가 제공되는 영역이라기보다는 해당 모바일 기기의 기본 정보가 제공되는 영역이다.
제2 영역(12010)은, 해당 위젯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타이틀 정보가 제공되고, 별도로 선택 윈도우과 리프레쉬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윈도우는 예컨대, 로컬 관리자의 층 선택 편의, 디스플레이 기기 선택 편의 등 관련 정보의 선택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리프레쉬 버튼은 예컨대, 현재 실행된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거나 실시간 업데이트를 위한 리프레쉬 기능 수행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3 영역(12020)은, 메인 영역으로 제2 영역(12010)의 선택 윈도우에 의해 선택된 층(도 12에서는 4층 여성복 매장) 및 그를 식별할 수 있는 텍스트 메시지 등이 제공되고(12022), 해당 층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UI(12024)를 제공한다.
이 경우, 만약 모바일 기기 화면상에 여유 공간이 남아 있거나 설정에 따라 제4 영역(12030)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영역(12030)은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의 층과 인접한 층에 대한 UI(12032,12034) 또는 별도의 제3 영역(12020)을 위한 정보 영역, 기능 키 영역 등일 수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3 영역(12020) 또는 제4 영역(12030)을 상하좌우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에 따른 층의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제3 영역(12020)의 각 디스플레이 기기를 나타내는 화면은, 이미지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일 수 있다. 예컨대,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들로부터 사용자의 도 12와 같은 화면 요청에 따라 수신한 현재 출력 화면에 대한 캡쳐 이미지 또는 스크린 샷일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소정 디스플레이 기기가 에러가 아니라 아무런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디스플레이를 대표하는 화면을 블랙 화면으로 대체하거나 미리 정한 이미지 또는 그와 함께 현재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고 있음을 식별할 수 있는 텍스트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는 로컬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직접 또는 서버를 통해 간접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예컨대, UI가 블랙 화면을 제공하면, 로컬 관리자가 이를 에러로 오인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13에서는 전술한 내용에 따라 4층 여성복 매장의 소정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에러가 발생한 화면 UI(13010)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는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 또는 서버로부터 도 5 내지 6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도 13과 같은 화면을 구성하여 로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관리자가 탭 아이콘(13012)을 이용하여 해당 화면(13010)을 클릭 또는 선택하면, 모바일 기기는 도 14의 화면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는 전술한 도 8과 동일한 방식으로 화면을 구성한 것이다. 다만, 그 경로가 도 8과 14는 서로 상이하며,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파악하여 그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는 취지는 동일하다. 물론 화면 구성이 도 8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5 역시, 도 9와 동일한 방식으로 화면을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도 14와 1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9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5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탭 버튼(15010)을 이용하여 해당 에러 담당자에게 전화를 요청한 경우, 모바일 기기는 도 16과 같은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하며, 부가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6에서 제1 영역(16010)은 해당 에러 담당자의 연락처와 이름 등의 정보와 함께 현재 전화 연결 중임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영역(16020)은 상기 담당자의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담당자의 사진이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대체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제3 영역(16030)은 기능 키를 제공한다. 여기서, 기능 키라 함은 통화 종료 기능을 위한 키가 될 수 있다. 한편, 기능 키는 도 16과 같이 통화 종료뿐만 아니라, 전화 연결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기능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제어 방법의 일 예는, 에러 관리/처리를 위한 제1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로 에러 발생 유무 확인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에 따라 에러 표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고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에러 표시 UI를 이용하여 에러 관리 및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에서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서버와 모바일 기기에 연계된 디스플레이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 인증하는 단계 및 상호 인증된 서버 및 디스플레이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웹 또는 서버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제어 방법은, 상기 웹 또는 서버로 시스템 관리를 위한 제2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 결과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식별 표시하는 단계 및 식별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기 발생한 에러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에러 상세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에러 상태 스크린 샷, 에러 상태 내역, 상기 에러 상태를 처리를 위한 컨택 포인트 및 그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 및 응답은, 메시지 또는 패킷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시지 또는 패킷은 상기 요청 및 응답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기기, 플레이어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에러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 errorEvent 엘레멘트(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는, 기기 식별을 위한 기기 명칭 또는 식별자를 포함한 name 엘레멘트, 기기 기본 정보에 관한 playerInfo 엘레멘트,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한 locationInfo 엘레멘트, 컨텐츠 기본 정보를 포함한 contentInfo 엘레멘트, 컨텐츠 송수신 채널 정보를 포함한 contentChannel 엘레멘트, 컨텐츠 재생 여부의 로그 정보를 포함한 contentplayLog 엘레멘트, 컨텐츠와 관련된 플레이어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 playerEvent 엘레멘트 및 기타 데이터 또는 향후 사용을 위한 reserved 엘레멘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rrorEvent 엘레멘트는,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식별자 정보, 에러 발생에 관한 시간 정보, 해당 에러 원인 정보,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에러 원인 정보에 따른 컨택 포인트 정보 서브-엘레멘트(sub-elemen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엘레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어 방법은,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의 에러 원인에 따라 대응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검색 또는 리프레쉬(refresh)하는 단계, 대체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단계, 전환된 대체 네트워크에 따라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의 출력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에러 관리/처리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와 디스플레이 기기 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모바일 기기와 디스플레이 기기 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모바일 기기에서 소스 기기의 리스트 정보를 출력한다(S110). 상기 소스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할 기기로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중앙 서버 및 상기 모바일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스 기기의 리스트 정보 중에서 특정 소스 기기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고(S120). 상기 선택된 특정 소스 기기가 상기 모바일 기기인 경우 컨텐츠를 생성한다(S130). 상기 컨텐츠는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그림 파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텍스트 등의 추가 및 편집을 통하여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다양한 데이터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생성한 컨텐츠를 배포할 디스플레이 기기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140). 상기 컨텐츠를 배포할 디스플레이 기기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기기 개별 선택 외에도 복수 개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그룹별 선택도 가능하다.
컨텐츠를 배포할 디스플레이 기기가 선택되면, 생성한 컨텐츠를 선택된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한다(S150). 컨텐츠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기기는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S160). 컨텐츠,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및 수신 정보를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배포 현황 정보를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S170). 상기 배포 현황 정보에는 전송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언제 전송이 완료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배포 현황 정보 등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대한 컨텐츠 배포 현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80). 상기 수집된 정보는 광고 효과 측정, 향후 컨텐츠 배포 일정 등을 설정하는데 참조 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배포 현황 정보를 모바일 기기에서 출력할 수 있다(S190).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로, 도 18을 참조하여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모바일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로 컨텐츠를 배포하는 전체 시스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제1 소스 기기 및 제2 소스 기기를 포함하는 리스트 정보를 출력한다(S210). 소스 기기는 컨텐츠를 제공할 기기로서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소스 기기는 모바일 기기, 상기 제2 소스 기기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중앙 서버일 수 있다.
모바일 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소스 기기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220). 선택된 특정 소스 기기를 판단하는데(S230), 특정 소스 기기가 제1 소스 기기인 경우(S230-Yes), 제1 소스 기기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그룹화하여, 상기 그룹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 또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각각에 대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한다(S240). 소스 기기 별로 그룹을 출력할 수 있고, 그룹 없이 디스플레이 기기를 바로 출력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그룹 또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S250),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기기로 배포할 컨텐츠를 생성한다(S260). 사진, 그림, 음악, 동영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고, 모바일 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쉽게 편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편리한 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S260)는 S240 및 S25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지만,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생성된 컨텐츠를 선택한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한다(S270). 이처럼, 제1 소스 기기인 모바일 기기에서 간단하게 컨텐츠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컨텐츠 생성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기기가 배치된 현장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소스 기기에서 생성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한 후에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 없이 제1 소스 기기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소스 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를 요청하면, 제1 소스 기기의 모드를 원격 제어 모드로 변경한다. 모드가 변경되면,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상기 선택한 디스플레이 기기로 무선으로 전송하여 제1 소스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S280).
한편, 특정 소스 기기가 제1 소스 기기가 아닌 경우(S230-No), 특정 소스 기기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중앙 서버 즉, 제2 소스 기기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소스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배포할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다(S290). 물론, 상기 중앙 서버에 새로운 컨텐츠를 요청하여 새롭게 생성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소스 기기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그룹화하여, 상기 그룹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 또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각각에 대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S300),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한 컨텐츠를 배포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선택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S310).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기기로 선택한 컨텐츠를 전송한다(S320). 이때, 상기 중앙 서버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로 직접 전송하도록 중앙 서버로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모바일 기기에서 중앙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기기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바일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컨텐츠가 배포된 현황 정보를, 중앙 서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수신한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그에 대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처럼, 컨텐츠 배포 현황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에서 쉽게 배포 현황을 알 수 있고, 배포가 원활하지 못한 경우에 빨리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모바일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 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모바일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 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모바일 기기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검색한다(S410).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검색되면,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고(S420), 제어 대상 리스트를 출력한다(S430). 이와 같이,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있을 때 자동으로 제어 모드로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 근방으로 왔을 때 자동으로 제어 대상 리스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어 대상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대상 중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기기를 선택하는 신호를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한다(S440).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하여 커맨드 데이터가 모바일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서버에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요청한다(S450).
서버는 모바일 기기의 관리자에 대한 권한 정보를 조회하고(S460), 권한이 있는 경우라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전송한다(S470). 권한이 없는 경우라면 권한 부여를 결정하여 권한을 부여한 후에 관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 데이터는, 서버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되어 실행될 컨텐츠 정보, 실행될 스케줄 정보 및 컨텐츠의 전송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수신한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480). 커맨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기 위한 제어 메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도 포함한다. 따라서, 커맨드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특정 커맨드 데이터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S490), 특정 커맨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메모리를 참조하여 추출한다(S500). 제어 신호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하고(S510),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어 신호에 따라 컨트롤된다(S520).
상기 소정의 프로토콜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신호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광통신,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컨트롤러는 커맨드 데이터를 프로토콜에 적합한 제어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통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로, 도 20을 참조하여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모바일 기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디스플레이 기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한다(S610). 이때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는데, 위치 정보는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IP 주소, MAC 주소 등을 저장해두고,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저장된 복수 개의 IP 주소, MAC 주소 등에 순차적으로 접속을 시도하여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가 기 저장된 GPS에 의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으면, 근거리에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다만, 위치 정보가 아니더라도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있는지 판단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경우 모바일 기기의 모드를 제어 모드로 변경하는데(S620), 변경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알림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 모드로 변경되면,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컨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분배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리스트를 출력한다(S630).
제어 대상 리스트 중 특정 제어 대상을 선택(S640)하는 신호를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면(S650), 특정 제어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 데이터를 출력한다(S660).
커맨드 데이터는 제어 대상을 제어하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어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제어 대상이 디스플레이 기기인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해주는 컨텐츠 분배장치의 선택 커맨드,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원 조절 커맨드, 디스플레이 기기의 볼륨 조절 커맨드 및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재생 조절 커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제어 대상이 컨텐츠 분배장치인 경우, 컨텐츠 분배장치의 전원 조절 커맨드, 컨텐츠 분배장치에서 분배할 컨텐츠 선택 커맨드, 컨텐츠 분배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컨텐츠 전송 커맨드 및 컨텐츠를 전송할 디스플레이 기기 선택 커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제어 대상이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를 재생하는 플레이어에 대한 제어도 포함하며, 컨텐츠 재생 조절 커맨드, 컨텐츠 리스트 선택 커맨드, 특정 컨텐츠 선택 커맨드 및 특정 컨텐츠 삭제 커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커맨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는 서버로 특정 제어 대상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커맨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데이터는 서버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되어 실행될 컨텐츠 정보, 실행될 스케줄 정보 및 컨텐츠의 전송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서버로 상기 특정 제어 대상을 제어할 권한이 있는지 권한 정보를 조회하고, 권한 정보 조회 결과, 권한이 없는 경우에 서버로부터 권한 설정을 부여받을 수도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의 메모리에 여유가 있다면, 제어대상, 제어대상 별 커맨드 데이터 및 커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고, 필요에 따라 메모리를 참조하여 커맨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 데이터 중 특정 커맨드 데이터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S660), 상기 특정 커맨드 데이터를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S670). 제어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커맨드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매칭시키기 위한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외 커맨드 데이터 및 커맨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특정 커맨드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제어 대상에 따라, 커맨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메모리에 별도로 저장해두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특정 제어 대상으로 전송한다(S680). 그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기기, 컨텐츠 분배장치 또는 컨텐츠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자 즉,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로컬 관리가 편리하고 빨라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랙셔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광고주, 광고 제작자 및 광고 컨텐트 이용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고주는, 광고의 제작 및 제어 과정 등에 직접 참여하여 자신의 의도에 보다 부합한 컨텐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용자의 만족, 구매 욕구 등을 유발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인터랙셔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출력되는 광고 컨텐트에 대한 접근이 보다 용이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관리 특히, 에러나 오작동 등에 대해 실시간으로 보다 쉽고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관리/처리할 수 있어 그에 따른 부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10: 제1 서버 1030: 제2 서버
1040: 디스플레이 기기 1050: 모바일 기기
2010: 방송수신부 2020: 통신부
20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2040: 메모리
2052: 매칭부 2054: 제어부
2056: 광고메시지 전송부 2058: 스케줄러
2060: 디스플레이부 2070: 오디오 출력부
2080: 전원공급부 2090: 유저 인터페이스
2100: 원격 컨트롤러
3010: 디스플레이부 3020: 컨텐츠생성부
3030: 컨트롤러 3040: 통신부
3050: 배포현황부 3060: 유저 인터페이스

Claims (20)

  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에러 관리/처리를 위한 제1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로 에러 발생 유무 확인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에 따라 에러 표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고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에러 표시 UI를 이용하여 에러 관리 및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서버와 모바일 기기에 연계된 디스플레이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 인증하는 단계; 및
    상호 인증된 서버 및 디스플레이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웹 또는 서버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웹 또는 서버로 시스템 관리를 위한 제2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 결과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식별 표시하는 단계; 및
    식별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기 발생한 에러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상세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에러 상태 스크린 샷, 에러 상태 내역, 상기 에러 상태를 처리를 위한 컨택 포인트 및 그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및 응답은,
    메시지 또는 패킷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시지 또는 패킷은 상기 요청 및 응답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기기, 플레이어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에러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 errorEvent 엘레멘트(element)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기기 식별을 위한 기기 명칭 또는 식별자를 포함한 name 엘레멘트, 기기 기본 정보에 관한 playerInfo 엘레멘트,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한 locationInfo 엘레멘트, 컨텐츠 기본 정보를 포함한 contentInfo 엘레멘트, 컨텐츠 송수신 채널 정보를 포함한 contentChannel 엘레멘트, 컨텐츠 재생 여부의 로그 정보를 포함한 contentplayLog 엘레멘트, 컨텐츠와 관련된 플레이어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 playerEvent 엘레멘트 및 기타 데이터 또는 향후 사용을 위한 reserved 엘레멘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rrorEvent 엘레멘트는,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식별자 정보, 에러 발생에 관한 시간 정보, 해당 에러 원인 정보,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에러 원인 정보에 따른 컨택 포인트 정보 서브-엘레멘트(sub-elemen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엘레멘트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의 에러 원인에 따라 대응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검색 또는 리프레쉬(refresh)하는 단계;
    대체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단계;
    전환된 대체 네트워크에 따라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의 출력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에러 관리/처리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
  11. 에러를 관리/처리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로 분배 및 전송하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에러 관리/처리를 위한 제1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 에러 발생 유무 확인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응답에 따라 에러 표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고 화면상에 출력하며, 에러 표시 UI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에러를 관리 및 처리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서버 및 연계된 디스플레이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 인증하고 등록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웹 또는 서버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웹 또는 서버로 시스템 관리를 위한 제2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식별 표시하며, 식별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기 발생한 에러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상세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에러 상태 스크린 샷, 에러 상태 내역, 상기 에러 상태를 처리를 위한 컨택 포인트 및 그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및 응답은,
    메시지 또는 패킷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시지 또는 패킷은 상기 요청 및 응답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기기, 플레이어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에러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 errorEvent 엘레멘트(element)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기기 식별을 위한 기기 명칭 또는 식별자를 포함한 name 엘레멘트, 기기 기본 정보에 관한 playerInfo 엘레멘트, 기기 위치 정보를 포함한 locationInfo 엘레멘트, 컨텐츠 기본 정보를 포함한 contentInfo 엘레멘트, 컨텐츠 송수신 채널 정보를 포함한 contentChannel 엘레멘트, 컨텐츠 재생 여부의 로그 정보를 포함한 contentplayLog 엘레멘트, 컨텐츠와 관련된 플레이어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 playerEvent 엘레멘트 및 기타 데이터 또는 향후 사용을 위한 reserved 엘레멘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errorEvent 엘레멘트는,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식별자 정보, 에러 발생에 관한 시간 정보, 해당 에러 원인 정보,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에러 원인 정보에 따른 컨택 포인트 정보 서브-엘레멘트(sub-elemen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엘레멘트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에러 원인에 따라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검색 또는 리프레쉬하여 대응 정보를 출력하고, 대체 네트워크로 전환하여 전환된 대체 네트워크에 따라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의 출력 상태를 확인한 후 에러 관리/처리 과정을 종료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1020110131594A 2011-12-09 2011-12-09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594A KR101984570B1 (ko) 2011-12-09 2011-12-09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594A KR101984570B1 (ko) 2011-12-09 2011-12-09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953A true KR20130064953A (ko) 2013-06-19
KR101984570B1 KR101984570B1 (ko) 2019-05-31

Family

ID=4886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594A KR101984570B1 (ko) 2011-12-09 2011-12-09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57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964B1 (ko) * 2015-09-16 2016-02-01 주식회사 디지털전광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55778A1 (en) * 2014-08-22 2016-02-25 Lg Electronics Inc. Self-diagnosing system and method of self-diagnosing of a display device
KR20160082322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코이노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6139502A1 (en) * 2015-03-04 2016-09-09 Otis Elevator Company Interactive billboard system for an elevator
WO2016140393A1 (ko) * 2015-03-04 2016-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7073820A1 (ko) * 2015-10-30 2017-05-04 주식회사 노크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제어 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7073804A1 (ko) * 2015-10-28 2017-05-04 주식회사 노크 디지털 사이니지 이상 검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088660A1 (en) * 2016-11-10 2018-05-17 Lg Electronics Inc. Digital sign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57477A (ko) * 2016-11-21 2018-05-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구동되는 컨텐츠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시스템
US20200019826A1 (en) * 2018-07-11 2020-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95246A (ko) * 2020-01-22 2021-08-0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영상 광고 송출을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8738A1 (en) * 2008-03-07 2009-09-10 Dennis Michaelson Fault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single and multiple media players connected to electronic displays, and related devices, methods and systems
JP2010501128A (ja) * 2006-06-26 2010-01-14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順方向および逆離散コサイン変換の効率的な固定小数点近似
KR20100101648A (ko) * 2008-01-15 2010-09-17 치 멩 림 인터랙티브 정보 처리 및 전달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10050217A (ko) * 2009-11-06 2011-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10083174A (ko) * 2010-01-13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1128A (ja) * 2006-06-26 2010-01-14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順方向および逆離散コサイン変換の効率的な固定小数点近似
KR20100101648A (ko) * 2008-01-15 2010-09-17 치 멩 림 인터랙티브 정보 처리 및 전달 시스템과 그 방법
US20090228738A1 (en) * 2008-03-07 2009-09-10 Dennis Michaelson Fault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single and multiple media players connected to electronic displays, and related devices, methods and systems
KR20110050217A (ko) * 2009-11-06 2011-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10083174A (ko) * 2010-01-13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0877B2 (en) 2014-08-22 2018-06-05 Lg Electronics Inc. Self-diagnosing system and method of self-diagnosing of a display device
US20160055778A1 (en) * 2014-08-22 2016-02-25 Lg Electronics Inc. Self-diagnosing system and method of self-diagnosing of a display device
WO2016028025A1 (en) * 2014-08-22 2016-02-25 Lg Electronics Inc. Self-diagnosing system and method of self-diagnosing of a display device
KR20160023418A (ko) * 2014-08-22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
KR20160082322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코이노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6139502A1 (en) * 2015-03-04 2016-09-09 Otis Elevator Company Interactive billboard system for an elevator
WO2016140393A1 (ko) * 2015-03-04 2016-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40798B2 (en) 2015-03-04 2020-08-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1589964B1 (ko) * 2015-09-16 2016-02-01 주식회사 디지털전광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073804A1 (ko) * 2015-10-28 2017-05-04 주식회사 노크 디지털 사이니지 이상 검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70301271A1 (en) * 2015-10-28 2017-10-19 Knowck Co., Ltd. Digital signage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WO2017073820A1 (ko) * 2015-10-30 2017-05-04 주식회사 노크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제어 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8088660A1 (en) * 2016-11-10 2018-05-17 Lg Electronics Inc. Digital sign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402250B2 (en) 2016-11-10 2019-09-03 Lg Electronics Inc. Digital sign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52315A (ko) * 2016-11-10 2018-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7477A (ko) * 2016-11-21 2018-05-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구동되는 컨텐츠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시스템
US20200019826A1 (en) * 2018-07-11 2020-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013636A1 (en) * 2018-07-11 2020-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170277B2 (en) 2018-07-11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95246A (ko) * 2020-01-22 2021-08-0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영상 광고 송출을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570B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570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402250B2 (en) Digital sign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595360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086421B2 (ja)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管理装置、広告配信管理方法、及び広告配信管理プログラム
CN102299955B (zh) 图像装置和服务器
US201301741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identity/presence of a mobile device user for control and interaction in content distribution
CN105872813A (zh) 热点视频展示方法及装置
US9832509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for customizing advertisement messages displayed on signage device
CN103581757A (zh) 提供信息的方法及其显示设备
KR20130022023A (ko)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공유 방법 및 시스템
JP2012098598A (ja)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提供管理装置、広告提供管理方法および広告提供管理プログラム
CN103959825A (zh) 使得能够回忆感兴趣内容以便随后回顾的方法、装置及系统
CN107016574A (zh) 广告展示交互实现方法及相应装置、用户终端、后台系统
CN102158522A (zh) 信息处理装置和方法、控制目标设备和信息处理系统
JP2014086955A (ja) プログラム、携帯端末、視聴分析システム、及び視聴分析方法
CN101138202A (zh) 通信连接方法、通信连接装置以及存储了程序的存储介质
CN114217961A (zh) 校园信息的获取系统、获取方法、教学服务器及移动终端
CN101868959A (zh) 使用消息服务在内容分发环境内进行控制和交互的方法和系统
CN102736881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101873742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TWI571119B (zh) 顯示控制方法及系統、廣告破口判斷裝置、影音處理裝置
US202000925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701173B1 (ko) 디지털 광고 수신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812173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91128A (ko) 콘텐츠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