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128A - 콘텐츠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128A
KR20190091128A KR1020180010196A KR20180010196A KR20190091128A KR 20190091128 A KR20190091128 A KR 20190091128A KR 1020180010196 A KR1020180010196 A KR 1020180010196A KR 20180010196 A KR20180010196 A KR 20180010196A KR 20190091128 A KR20190091128 A KR 20190091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user
reserv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은
윤동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1128A/ko
Publication of KR2019009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콘텐츠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로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예매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콘텐츠 정보, 상기 콘텐츠의 예매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선택 정보에 따라 상이한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Server and system of providing content reservation service}
본 발명은 콘텐츠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 정보 및 예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발달에 따라 최근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인터넷의 발달 및 콘텐츠의 개발로 사용자들은 다양한 문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영화, 연극, 뮤지컬, TV 드라마, 소설, 애니메이션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각 장르에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음악, 영상, 작가, 감독, 연기자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문화 콘텐츠는 문화를 담고 생산되는 콘텐츠를 지칭하는 말로서, 문화유산, 생활양식, 창의적 아이디어, 가치관 등 문화적 요소들이 창의력과 상상력을 원천으로 구체화되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로,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도록 문화 콘텐츠를 예매하는 예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한 개발되었다. 이러한 예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이용자에게 최신 업데이트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거나 실시간으로 예매 현황을 알려주며, 이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예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콘텐츠 예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빠른 콘텐츠 예매가 가능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편의 기능은 특정 콘텐츠를 시청하기로 결정한 이용자의 경우에는 효율적이지만, 그렇지 않은 이용자의 경우 다양하고 많은 콘텐츠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선택 과정에서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 예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자에게 콘텐츠 선택을 위한 다양하고 많은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제안해주고, 아울러 더 편리한 예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 개별 특성에 적합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콘텐츠를 예매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직관적인 콘텐츠 예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콘텐츠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는,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예매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콘텐츠 정보, 상기 콘텐츠의 예매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선택 정보에 따라 상이한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분류 기준을 제공하는 키워드 설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분류 기준 중 하나의 기준을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콘텐츠 이미지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 이미지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이미지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상영 스케줄 정보, 예매 정보, 관련 영상 정보, 이벤트 정보, 관람평, 시놉시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점의 시계열적 특징, 상기 콘텐츠를 관람한 관람객의 평가 지수, 상기 콘텐츠를 상영하는 상영관의 종류,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 목록을 제공하는 콘텐츠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와 사용자 간의 추천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추천지수를 상기 콘텐츠 추천 목록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선택 정보가 콘텐츠 예매 불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 목록 및 상기 유사한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관심분야, 콘텐츠 구매 이력, 콘텐츠 선호 장르,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 로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는,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영상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정보와 함께 예매 정보를 상기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가 제공하는 정보 영역의 최상단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는, 상기 새로운 영상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와 함께, 해당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함께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안 상기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예매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일정한 영역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은, 콘텐츠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이한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 이미지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상영 스케줄 정보, 예매 정보, 관련 영상 정보, 이벤트 정보, 관람평, 시놉시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분류 기준을 제공하고, 상기 분류 기준에 따라 상이한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 및 콘텐츠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점의 시게열적 특징, 상기 콘텐츠를 관람한 관람객의 평가 지수, 상기 콘텐츠를 상영하는 상영관의 종류,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와 상기 사용자 간의 추천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추천지수와 함께 콘텐츠 추천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예매 불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 목록 및 상기 유사한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관심분야, 콘텐츠 구매 이력, 콘텐츠 선호 장르,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 로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안 상기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예매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일정한 영역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예매와 바로 연계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언제든지 콘텐츠 예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콘텐츠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콘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콘텐츠 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를 예매하고 이에 따른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많은 콘텐츠들에 대한 다양한 분류 기준을 제공하여 콘텐츠를 예매하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과정에서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관적인 콘텐츠 이미지 정보 배치로 콘텐츠 소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와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콘텐츠 예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 콘텐츠 예매 화면이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정보의 일부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 콘텐츠와 관련된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 콘텐츠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가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8b는 본 발명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이벤트 정보 목록의 일부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콘텐츠와 연계된 서비스 목록이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가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예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와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10)은 콘텐츠 예매 서버(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콘텐츠는, 영화/드라마, 다큐멘터리 등을 포함한 방송콘텐츠/만화, 웹툰, 애니메이션, 캐릭터, 문화원형을 이용한 콘텐츠/대중음악, 뮤지컬, 오페라, 연극 등의 공연/ 컴퓨터 게임, 모바일 게임 등의 게임/인터넷, 모바일,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전시기획, 테마파크, 축제 등의 공간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콘텐츠가 영화인 경우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200)에는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되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 예매 서버(100)와 연결되고,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대한 사항들을 공유할 수 있다.
콘텐츠 예매 서버(100)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200) 식별 정보 및 이들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예매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에 가입된 사용자 정보, 복수의 콘텐츠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콘텐츠 예매 서버(100, 이하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장치(server device)에 해당할 수 있다. 서버(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데이터 베이스(120),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부(210)를 비롯하여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 또는 서버(100)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 단말(200)로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와 연계된 콘텐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20)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보를 관리한다. 콘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콘텐츠 관련 정보는, 콘텐츠를 상영하는 상영관, 상영관의 콘텐츠 상영 스케줄, 콘텐츠의 포스터 이미지, 콘텐츠 개봉일, 콘텐츠 연출, 각본 등의 제작에 참여한 제작자, 콘텐츠의 등장인물, 콘텐츠에 대한 SNS 페이지, 콘텐츠 관련 이벤트 정보, 콘텐츠를 상영하는 상영관 및 상영 시간, 콘텐츠 상영 서비스 비용, 콘텐츠의 트레일러, 사용자들의 콘텐츠 관심지수, 콘텐츠와 연계된 엔터테인먼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0)는 콘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관심분야, 콘텐츠 구매 이력, 콘텐츠 선호 장르, 어플리케이션 이용 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130)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콘텐츠 선택에 따라 예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130)는 키워드 설정부(131), 콘텐츠 이미지 제공부(133) 및 콘텐츠 추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설정부(1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에 대한 분류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에 대한 분류 기준은, 콘텐츠 예매율,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점의 시계열적 특징, 콘텐츠를 관람한 관람객의 평가 지수, 콘텐츠를 상영하는 상영관의 종류, 콘텐츠 제공 특성, 콘텐츠와 관련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점의 시계열적 특징은,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점, 제작 완료 시점, 배급 개시 예정일 시점, 개봉일 이후 시점일 수 있다. 다만, 시계열적 특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구체적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를 관람한 관람객의 평가 지수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텍스트, 연출, 줄거리, 연기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기초로 사용자들이 평가하고, 이에 따라 산출된 점수 값일 수 있다.
또한, 상영관의 종류는 4D 콘텐츠 상영관, 멀티 스크린 상영관, 와이드 스크린 상영관, 음향 진동 상영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 특성은, 콘텐츠의 영상 비율, 영상 내 특수 효과와 같은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이미지 제공부(133)는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는 콘텐츠의 포스터와 같이, 콘텐츠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이미지는 세로방향 길이보다 가로방향 길이가 더 크거나 같은 파노라마 이미지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1:1.3의 비율로 제공한 세로 포스터 이미지 사이에 가로 포스터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할 있다. 또한, 이러한 가로 포스터 이미지는 배급사나 서버(100)의 관리자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이미지 제공부(133)는 사용자의 가로 포스터 이미지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별로 상이한 가로 포스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 정보 값의 변화로, 콘텐츠 포스터 이미지 페이지로 돌아오는 경우마다 상이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단일 포스터 이미지만을 제공하거나, 일단위로 상이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이미지 제공부(133)는 사용자 단말(200)이 키워드 설정부(131)에서 제공한 분류 기준 중 하나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콘텐츠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류 기준이 숫자로 정의될 수 있는 경우에는 해당 숫자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의미의 지표인지에 따라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류 기준이 상영관의 종류나, 콘텐츠 제공 특성인 경우, 대분류로 해당 분류 기준을 설정하고, 소분류로 콘텐츠 예매율, 콘텐츠 개봉일 등의 숫자 기준으로 콘텐츠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콘텐츠 이미지 제공부(133)는 복수 개의 콘텐츠 이미지 하단에 각각의 콘텐츠를 예매할 수 있는 예매 아이콘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키워드 설정부(131)에서 제공한 분류 기준 중 원하는 기준을 선택하고, 콘텐츠 이미지 제공부(133)가 그에 따른 이미지를 제공하면, 곧바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예매를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추천부(135)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콘텐츠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 입력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또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이용 로그를 분석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추천부(135)는 복수 개의 콘텐츠들과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지수는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으며, 추천 콘텐츠 목록과 함께 추천지수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추천 목록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개봉 예정 또는 현재 상영 중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콘텐츠를 예매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과정에서의 혼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추천부(135)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선택 정보가 콘텐츠를 예매할 수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사한 콘텐츠 목록은 팝업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콘텐츠 목록과 함께 예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데이터베이스(120) 및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예매할 수 없는 경우에도, 유사한 콘텐츠 목록을 제공하여, 콘텐츠 선택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버(100)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입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프로세서(240) 및 메모리(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입력부(22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통신부(210)를 통해 서버(100)로 전송한다. 통신부(210)는 2G/3G,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와 같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Wi-Fi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통신부(210)는 서버(1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RF(Radio Frequency) 칩(chip)이나 회로(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에 해당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음성 및 영상 입력을 수신하거나 터치, 버튼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20)가 수신하는 정보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회원 정보, 콘텐츠 분류 기준 정보, 콘텐츠 예매 정보, 콘텐츠 할인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출력 장치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ED), AMOLED(Active Matrix OLED), PDP(Plasma Display Panel)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입력부(220)와 디스플레이부(230)는 하나의 물리적 구성요소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전자 펜에 의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30)는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230)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별히 배제하지 않는 한,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프로세서(24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및 메모리(250)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AP(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연산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GPU(Graphical Processing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U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출력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다양한 연산 장치가 통합된 SoC(System on Chip)와 같은 통합 칩(Integrated Chip (I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 칩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 외에도 통신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50)에는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250)에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255)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255)은 프로세서(240)에 의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부(23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통신부(210)로 하여금 적절한 메시지(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 또는 요청하도록 하는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콘텐츠 예매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콘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30)를 이용하여 서버(100)가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버(100)가 제공하는 콘텐츠는 복수 개의 영역(31, 33, 35, 37, 39)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영역은 사용자 단말(200)과 접촉한 손가락의 스와이프 또는 위/아래, 좌/우의 롤링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영역(31, 33, 35, 37, 39)은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255) 설정에 따라 가변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30) 영역에 맞게 복수 개의 영역(31, 33, 35, 37, 39) 중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가 제공하는 복수 개의 영역(31, 33, 35, 37, 39)은 콘텐츠 영상(31), 콘텐츠 포스터 이미지(33), 콘텐츠와 연계된 이벤트 목록(35), 콘텐츠와 연계된 SNS 서비스 이미지 및 링크(37, 3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 개의 영역(31, 33, 35, 37, 39)의 각각에는 콘텐츠 예매를 위한 예매 아이콘(31a, 33a, 33b, 37a)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콘텐츠 예매를 위해 콘텐츠 예매 어플리케이션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관람을 원하는 콘텐츠를 발견하는 즉시 해당 콘텐츠를 예매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와 연계된 이벤트 목록은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운영사와 연계된 서비스 목록으로, 예를 들어, 운영사에서 단독으로 개봉하는 콘텐츠, 운영사가 제공하는 상영관, 운영사와 제휴한 콘텐츠의 예매 이벤트, 게임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콘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것 외에도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콘텐츠와 연계된 SNS 서비스 이미지 및 링크(37, 39)는 서버(100)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한 사용자와 관련도 높은 콘텐츠 정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표하는 동작(예. 콘텐츠 좋아요 클릭, 링크 저장, 스크랩)을 수행하면, 서버(100)는 이러한 사용 로그를 저장하고, 해당 콘텐츠에 대한 실시간 새로운 정보 및 예매 정보(37, 37a)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장르에 대한 추천 목록 및 링크를 제공(39)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와 연계된 SNS 서비스 이미지 및 링크(37, 39)는 어플리케이션(255)의 이용 편의를 위해 제한된 개수가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콘텐츠 이미지 이동에 따라, SNS 서비스 이미지 및 링크(37, 39)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00)가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추천하고 예매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 및 예매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매를 위한 정보 영역들의 배치는 사용자 단말(200)로 입력되는 출력 제어 정보에 따라 사용자 별로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어, 지나친 콘텐츠 홍보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 콘텐츠 예매 화면이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 5b는 본 발명의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정보의 일부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도 4와 같은 정보 영역이 도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이미지(333)가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순서는 복수 개의 콘텐츠는 콘텐츠 이미지(333) 상단에 배치된 분류 기준(33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이미지(333)의 최상단에는 선택된 분류 기준(331)과 해당 기준이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한 것인지에 대한 일자 정보(331a)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이미지(333)가 특정 콘텐츠 배급사와 연계되는 경우, 콘텐츠 이미지(333) 내에 소정의 이미지(333a)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및 콘텐츠 배급사의 홍보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225)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다양한 기준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빠르게 예매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에 대한 분류 기준은, 콘텐츠 예매율,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점의 시계열적 특징, 콘텐츠를 관람한 관람객의 평가 지수, 콘텐츠를 상영하는 상영관의 종류, 콘텐츠 제공 특성, 콘텐츠와 관련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255)을 운영하는 운영자는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분류 기준(331)을 추가로 배치 및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분류 기준(331) 내의 콘텐츠들의 순위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예매율의 업데이트 시간은 콘텐츠들의 평균 상영 시간을 고려하여 3시간 단위일 수 있으며, 이외의 분류 기준(331)에서는 상이한 시간대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류 기준(331)에 따른 콘텐츠들의 순위는 사용자들의 이용 편의를 위해 1위부터 20위까지 제공될 수 있으며, 더보기(미도시)를 선택하는 경우 이 후의 순위 목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분류 기준(331)이 콘텐츠를 관람한 관람객의 평가 지수와 같이, 숫자로 정의될 수 있는 경우, 해당 숫자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의미의 지표인지에 따라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분류 기준(331)이 상영관의 종류나, 기획전 등의 콘텐츠 제공 특성인 경우, 대분류로 해당 분류 기준을 설정하고, 소분류로 콘텐츠 예매율, 콘텐츠 개봉일 등의 숫자 기준으로 콘텐츠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본 발명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이미지(333)의 하단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분류 기준(331)과는 별도로 개봉된 콘텐츠의 경우, 관람객의 평가 지수(3331) 및 예매율(3333)이 고정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미개봉인 콘텐츠의 경우, 개봉 예정일까지 남은 일자(3335)와 예매율(3335)이 고정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이미지(333) 영역에 콘텐츠와 연계된 광고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고 정보는 일반적인 콘텐츠 비율인 1:1.3의 세로 포스터 형식으로 제공하여, 어플리케이션(255)을 이용하는 과정에서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선택한 분류 기준에 따른 실시간 순위 정보 또는 콘텐츠 이미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예매할 수 있다. 아울러, 콘텐츠 이미지 제공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하나의 콘텐츠 이미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상영 정보, 예매 정보, 관련 영상 정보, 이벤트 정보, 관람평, 시놉시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이미지(333)는 서버(100)의 설정에 따라 세로 길이(B)보다 가로 길이(A)가 더 큰 파노라마 형식의 포스터 이미지(3337)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서버(100)를 운영하는 운영사가 특정 콘텐츠를 부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를 홍보하는 다양한 사이즈의 포스터 이미지는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콘텐츠 홍보 회사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콘텐츠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파노라마 형식으로 제공되는 콘텐츠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영상으로도 제공될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이목을 끌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영상 재생은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255) 설정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130)가 제공한 콘텐츠 이미지(333)에서 예매할 콘텐츠를 선택하지 못한 사용자는 콘텐츠 이미지(333) 아래에 표시된 콘텐츠 추천 목록(335)을 활용할 수 있다.
콘텐츠 추천 목록(335)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추천부(135)가 산출한 추천 목록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추천 지수가 가장 높은 콘텐츠가 도시될 수 있으며, 드롭 다운 아이콘(3351)을 선택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체 콘텐츠 추천 목록(335)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콘텐츠 추천 목록(335)은 사용자가 해당 영역을 특정 주기(예. 3초, 1분)로 롤링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추천 목록(335)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기준으로 개봉 예정 또는 현재 상영 중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해당 추천 목록 선정 기준을 설명하는 문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콘텐츠 추천 목록(335) 상에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면, 해당 콘텐츠의 예매 정보가 제공될 수 있어, 콘텐츠를 예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혼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추천 목록은 앞서 언급한 콘텐츠의 분류 기준(331)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와 유사한 추천 목록이 없는 경우, 해당 정보 영역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콘텐츠 추천 목록(335)에는 사용자의 이름 외에 닉네임(3355)을 사용자의 식별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 콘텐츠와 관련된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00)의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이에 대한 첫 화면으로 영상 정보 영역(31)을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영상 정보 영역(31)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255) 로그인 시,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영상의 재생은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255) 설정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이 제공되는 영역(313)의 상단에는 콘텐츠 예매 홈, 이벤트 정보, 스토어, 사용자 개인 정보 설정 등으로 전환할 수 있는 탭 메뉴(311)가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탭 메뉴(311)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고정적으로 표시될 수 있어, 예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이 제공되는 영역(313)에는 사용자가 해당 영상을 보고 관람을 원하는 경우, 즉시 예매가 가능할 수 있도록 예매 아이콘(31a)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영상 정보(313)는 서버(100)가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영상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노출 빈도가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 콘텐츠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가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 8b는 본 발명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이벤트 정보 목록의 일부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콘텐츠 예매 정보 어플리케이션(255)의 상단에는 콘텐츠 예매 홈, 이벤트 정보, 스토어, 사용자 개인 정보 설정이 포함된 탭 메뉴(311)가 고정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255)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일부 영역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벤트 정보를 선택한 경우, 도 7과 같은 정보 영역들(71, 73, 75)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정보 영역들(71, 73, 75)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부가 노출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정보의 최상단에는 현재 상영중이거나, 상영이 임박한 콘텐츠의 이벤트 정보(7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정보 영역의 최상단에 제공되는 이미지는 콘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홍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벤트 정보 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검색하거나 이용하고 있는 이벤트 정보(73)가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드롭 다운 아이콘(731)을 선택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체 실시간 인기 이벤트 정보들(733)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정보(73) 역시 사용자가 해당 영역을 특정 주기(예. 3초, 1분)로 롤링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이벤트 분류 기준과 분류 기준에 따른 이벤트 정보가 중간 영역(75)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분류 기준(751)은 콘텐츠, 상영관, 제휴사, 이벤트 당첨자, 참여율이 높은 이벤트, 지난 이벤트, 특정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이벤트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이벤트 분류 기준(751)을 통해 쉽게 콘텐츠 관련 이벤트에 참여가 가능하고, 콘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는 발명의 콘텐츠와 연계된 서비스 목록이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탭 메뉴(311)가 고정적으로 표시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토어를 선택한 경우, 도 9와 같은 정보 영역들(91, 93, 95, 97, 99)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정보 영역들(91, 93, 95, 97, 99)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부가 노출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와 연계된 서비스 목록은 콘텐츠를 상영하는 상영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물품 구매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토어 정보의 최상단에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가장 가까운 상영관에서 제공하는 물품의 이벤트 정보 또는 새로 출시된 물품 정보들(91)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255)에 로그인 되어있는 상태일 경우, 현재 사용 가능한 물품 티켓 정보 또는 물품 구매 이력에 관한 정보(93)가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최상단 정보영역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시간으로 사용자들이 많이 구매 또는 검색하고 있는 물품 정보(95), 물품 분류 기준(97) 및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추천하는 물품 정보(99)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어플리케이션(255)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정보 영역들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많이 찾는 물품 정보(95)는 특정 주기(예. 3초, 1분)를 가지고 업데이트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물품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드롭 다운 아이콘(951)을 통해, 전체 인기 물품 정보들이 도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품 정보(95)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동안의 구매 건수와 구매 금액을 조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해당 순위는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상영관을 설정한 경우, 해당 상영관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물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255)을 이용하여 판매하는 다양한 종류의 물품들이 물품 분류 기준(97)에 따라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분류 기준(97)은 콘텐츠 관람권, 기프트 카드, 콘텐츠와 제휴한 다양한 판매 상품, 스낵 상품 등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255) 이용 로그, 사용자 정보, 최다 구매 상품 등을 기초로 하는 추천 물품 정보(99)가 가격 및 이미지 정보와 함께 제공되어, 사용자의 구매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정보가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탭 메뉴(311)가 고정적으로 표시되고,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개인 정보 목록들(1001, 1003, 1005, 1007, 1009, 1011)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정보 영역들(1001, 1003, 1005, 1007, 1009, 1011)은 전부가 노출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 별로 어플리케이션(255) 이용 이력에 따라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이용 정보의 최상단에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1001)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프로필 이미지, 닉네임, 마지막 접속 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예매 티켓을 소지한 사용자의 경우, 모바일 티켓(1003)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쉽게 구매한 티켓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티켓은 구매 매수와 함께 관람 예정인 콘텐츠의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콘텐츠 예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55)을 통하여 콘텐츠를 관람하게 되면, 해당 콘텐츠 배급사와 제휴된 포인트 목록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0에는 사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목록(1007)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 자주 방문하는 상영관 정보, 기타 제휴사 카드, 쿠폰 정보등을 등록하여 콘텐츠 예매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255)을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관람한 콘텐츠 개수 및 전체 어플리케이션(255) 이용자의 평균 콘텐츠 관람 개수 등을 인포그래픽(inforgaphics) 형태(1009)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기간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기간에 관람한 콘텐츠 목록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개인 정보 영역 하단에는 결제 내역 조회, 어플리케이션(255) 이용과 관련된 공지사항, 고객 센터, 설정과 같은 기타 사항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예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예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바뀌더라도 예매 아이콘(33b)이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30) 상에 지속적으로 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매 아이콘(33b)을 선택하면, 예매 목록(33c)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매 목록(33c)에는 상영관별 예매, 콘텐츠별 예매, 단체 관람 문의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 정보를 제공받는 동안 언제든지 원하는 콘텐츠를 바로 예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10)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다양한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추천 받아 이를 관람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
100: 콘텐츠 예매 서버
110: 통신 인터페이스 120: 데이터베이스
130: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
131: 키워드 설정부 133: 콘텐츠 이미지 제공부
135: 콘텐츠 추천부
200: 사용자 단말
210: 통신부 220: 입력부
230: 디스플레이부 240: 프로세서
250: 메모리 255: 어플리케이션

Claims (19)

  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콘텐츠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로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예매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콘텐츠 정보, 상기 콘텐츠의 예매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선택 정보에 따라 상이한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분류 기준을 제공하는 키워드 설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분류 기준 중 하나의 기준을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콘텐츠 이미지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이미지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이미지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상영 스케줄 정보, 예매 정보, 관련 영상 정보, 이벤트 정보, 관람평, 시놉시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점의 시계열적 특징, 상기 콘텐츠를 관람한 관람객의 평가 지수, 상기 콘텐츠를 상영하는 상영관의 종류,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추천 목록을 제공하는 콘텐츠 추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와 사용자 간의 추천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추천지수를 상기 콘텐츠 추천 목록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선택 정보가 콘텐츠 예매 불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 목록 및 상기 유사한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관심분야, 콘텐츠 구매 이력, 콘텐츠 선호 장르,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 로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는,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영상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정보와 함께 예매 정보를 상기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가 제공하는 정보 영역의 최상단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는,
    상기 새로운 영상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와 함께, 해당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함께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예매 정보 제공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안 상기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예매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일정한 영역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12. 콘텐츠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는 콘텐츠 예매 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며,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이한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 이미지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상영 스케줄 정보, 예매 정보, 관련 영상 정보, 이벤트 정보, 관람평, 시놉시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분류 기준을 제공하고, 상기 분류 기준에 따라 상이한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 및 콘텐츠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점의 시게열적 특징, 상기 콘텐츠를 관람한 관람객의 평가 지수, 상기 콘텐츠를 상영하는 상영관의 종류,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와 상기 사용자 간의 추천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추천지수와 함께 콘텐츠 추천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예매 불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 목록 및 상기 유사한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관심분야, 콘텐츠 구매 이력, 콘텐츠 선호 장르,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 로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동안 상기 콘텐츠의 예매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예매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일정한 영역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예매 서비스 시스템.
KR1020180010196A 2018-01-26 2018-01-26 콘텐츠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KR20190091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96A KR20190091128A (ko) 2018-01-26 2018-01-26 콘텐츠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96A KR20190091128A (ko) 2018-01-26 2018-01-26 콘텐츠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128A true KR20190091128A (ko) 2019-08-05

Family

ID=6761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196A KR20190091128A (ko) 2018-01-26 2018-01-26 콘텐츠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11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027A (ko) 2019-12-11 2021-06-21 편재식 상영관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027A (ko) 2019-12-11 2021-06-21 편재식 상영관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4409B2 (ja) 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TWI479340B (zh) 伺服器裝置、電子裝置、電子書提供系統、電子書提供方法、電子書顯示方法及程式
US9674576B2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a supplemental experience based on concurrently viewed content
EP3783508A1 (en) Customizable data management system
US201200848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teractive Advertising and Metadata Into Real Time Video Content
US201200787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ual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across multiple devices of content delivery
US201200848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teractive Advertising Into Real Time Video Content
US9043831B2 (en) Advertisement delivering system based on digital televis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380332B1 (en) Video advertisement caching
WO2014021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managing multiple content feeds and supplemental content by information provider using an on-screen interactive interface
JP2013513304A (ja) 3dメディア環境においてメディアオブジェクトの近接度を決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2247220A9 (zh) 界面处理方法及装置
KR101775640B1 (ko)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1903898A (zh) 广告空间的锥体结构
US11687985B2 (en) Movie or television title rating system
CN112883263B (zh) 信息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849682A (zh) 视频搜索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110107219A1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ervice thereof
JP5805134B2 (ja) 端末装置および装置のプログラム
KR101813901B1 (ko) 광고 웹사이트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KR20190091128A (ko) 콘텐츠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KR101849262B1 (ko) 광고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36946B1 (en) Presenting options for selecting content via navigation bars and designated content spaces
CN115481344A (zh) 直播页面的布局配置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7016359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