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573B1 -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573B1
KR102224573B1 KR1020190110071A KR20190110071A KR102224573B1 KR 102224573 B1 KR102224573 B1 KR 102224573B1 KR 1020190110071 A KR1020190110071 A KR 1020190110071A KR 20190110071 A KR20190110071 A KR 20190110071A KR 102224573 B1 KR102224573 B1 KR 102224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information
user terminal
concentration
dust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규
민태기
김형진
정원녕
장재원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2001/006Main server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several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부를 연결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여러 장소에서 측정한 미세먼지농도에 관한 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에 전송하면, 플랫폼 관리서버는 수집된 복수의 미세먼지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의 세부적인 장소에 대한 미세먼지농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지도정보를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한된 관측소에서 측정된 미세먼지농도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기상청의 미세먼지농도 정보 보다 더 정확한 미세먼지농도 정보를 측정하도록 하기 위해, 전국 각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미세먼지 측정부를 일종의 이동형 관측소로 활용하여 측정하여 수집된 지역별 미세먼지농도를 바탕으로 신뢰성 높은 전국의 미세먼지농도를 표시하는 지도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A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fine dust informa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부를 연결하여 측정한 미세먼지농도에 관한 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플랫폼 관리서버는 수집된 미세먼지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적인 미세먼지농도가 반영된 지역별 미세먼지농도에 관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발명이다.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어 과거에 비교해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많은 생활기술들이 개발되어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우리 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 중에는 청결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통해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기 오염과 미세먼지로 인해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면 두통과 현기증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대기 중에 부유하는 각종 세균들로 인해 2015년 초여름 국내에서 크게 유행한 '메르스'와 같은 호흡기 질환의 전염병도 감염 될 수 있다.
최근에는 중국발 미세먼지로 인해 심각한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는데, 미세먼지가 인체에 계속적으로 축적되면 기관지 및 폐에 악영향을 끼쳐 호흡기 질환, 뇌졸중, 심근경색,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 고혈압과 같은 질병으로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가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을 위해서는 미세먼지가 없는 청결한 공기를 흡입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외부의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전부 제거할 수는 없기 때문에, 건물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차단하거나 외출 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여 미세먼지를 대비해야 한다.
한편, 기상청에서는 매일 날씨정보와 함께 미세먼지농도 정보도 제공하고 있는데, 기상청에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관측소는 지역마다 지정된 소수의 관측소에 불과하기 때문에, 수집되는 데이터 표본 집단이 작아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가 부정확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수집되는 데이터 표본 집단이 작아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가 부정확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6660호 먼지 농도 측정을 위한 모바일 단말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7597호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2345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부를 연결하여 측정한 미세먼지농도에 관한 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플랫폼 관리서버는 수집된 복수의 미세먼지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적인 미세먼지농도가 반영된 지역별 미세먼지농도에 관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상청에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관측소가 특정 지역에 한정됨으로 인해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 표본 집단이 작아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가 부정확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세먼지 측정부가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일종의 이동형 미세먼지 관측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미세먼지농도를 표시하는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200)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220)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기(200)가 주기적으로 전송한 제1 측정신호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미세먼지 측정부(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보호를 위한 보호케이스(220)가 결합되고,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제1 측정신호를 주기적으로 미세먼지 측정부(100)로 전송하고, 제1 측정신호에 의해 미세먼지 측정부(100)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들이 전송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연계된 인터넷 사이트에 제공하는 플랫폼 관리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할 때, 측정된 시간과 측정된 위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부를 연결하여 측정한 미세먼지농도에 관한 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플랫폼 관리서버는 수집된 복수의 미세먼지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적인 미세먼지농도가 반영된 지역별 미세먼지농도에 관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지역별 정확하고 상세한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지역 보건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부가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일종의 이동형 미세먼지 관측소로 활용하기 때문에 기상청에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관측소가 특정 지역에 한정됨으로 인해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 표본 집단이 작아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가 부정확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의 미세먼지 측정부와 사용자 단말기의 정면과 배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1
도 5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2
도 6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의 전용앱을 실행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의 전용앱에서 실행한 사용자 노출 미세먼지 지도정보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의 전용앱에서 실행한 특정 지점의 미세먼지 농도 평균값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공한 미세먼지 지도정보 예시도 1
도 10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공한 미세먼지 지도정보 예시도 2
도 11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공한 미세먼지 지도정보 예시도 3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이하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200)기에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부(100)를 연결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여러 장소에서 측정한 미세먼지농도에 관한 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전송하면,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수집된 복수의 미세먼지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별 세부적인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하여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연계된 인터넷 사이트에 제공하는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에 연결된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부(100)를 통해 수집된 미세먼지 정보를 이용하여 플랫폼 관리서버(300)가 미세먼지농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복수의 미세먼지 측정부(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 플랫폼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최근에 중국발 미세먼지로 인해 사회적인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인데, 미세먼지로 인한 각종 질병을 방지하려면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Figure 112019091569813-pat00001
표 1. 우리나라의 대기환경기준표
상기 표 1의 우리나라의 대기환경기준표를 참조하면, 환경기준은 일평균 PM2.5는 35㎍/㎥, PM10은 100㎍/㎥까지가 허용되는 미세먼지농도(보통 등급)이고,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의 예보 등급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기상청에서 측정한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각종 포털에서 제공하고는 있으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관측소의 설치 개수가 한정 적이고 그 설치 위치도 제한적이다 보니 포털에서 제공하는 미세먼지 정보는 특정 관측소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이다.
따라서 포털을 통해 미세먼지 정보를 확인하는 사람이 관측소 근처라면 정확한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받게 되지만, 관측소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포털을 통해 미세먼지 정보를 확인하는 사람은 현재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와는 다른 부정확한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미세먼지 측정부가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일종의 이동형 미세먼지 관측소로 활용하여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관측소가 특정 지역에 한정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인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 표본 집단이 작아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가 부정확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200)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220)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기(200)가 주기적으로 전송한 제1 측정신호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미세먼지 측정부(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보호를 위한 보호케이스(220)가 결합되고,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제1 측정신호를 주기적으로 미세먼지 측정부(100)로 전송하고, 제1 측정신호에 의해 미세먼지 측정부(100)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들이 전송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연계된 인터넷 사이트에 제공하는 플랫폼 관리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할 때, 측정된 시간과 측정된 위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2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일종의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기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가 위치한 정면이 아닌 보호케이스(220)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1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주기적으로 전송한 제1 측정신호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주기적으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도 1,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주기적으로 전송한 제1 측정신호는 미세먼지 측정부(100)가 현재 위치한 장소에서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신호로서, 상기 제1 측정신호에 의해 미세먼지 측정부(100)가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전송되는 정보로서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에서 생성하는 미세먼지 지도정보 생성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서 활용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가 미세먼지 측정부(1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제1 측정신호와는 상관없이, 사용자가 자신이 현재 위치한 장소의 미세먼지농도를 알기 원할 때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탑재된는 전용앱(210)을 통해 제2 측정신호를 미세먼지 측정부(10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현재 위치한 장소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미세먼지 농도 측정은 2원적으로 이루어진다. 주기적이며 자동적인 제1 측정신호에 의한 측정(사용자 의지와는 상관없이 사용자 단말기(200)와 미세먼지 측정부(100)간의 상호 기능에 의한 주기적 측정)과 불규칙적이고 수동적인 제2 측정신호에 의한 측정(사용자가 원할 때 측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제1 측정신호 또는 제 2측정신호에 의해 미세먼지 측정부(100)가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정보와 함께 측정위치정보(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지점의 GPS 위치정보)도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100)는 미세먼지 측정센서(110), 통신모듈(120), 전원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4를 참조하면,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110)는 통신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제1 측정신호가 수신되면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거나,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불규칙적으로 제2 측정신호가 수신되면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110)의 측정원리는 광산란법(light scattering method)에 의해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미세먼지와 같은 입자상 물질(PM)에 빛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산란되는 빛을 검출하여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입자상 물질의 양을 구하는 방법이다.
상기 통신모듈(120)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미세먼지 측정부(100)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 단말기(200)와 미세먼지 측정부(10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120)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제1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미세먼지 측정센서(110)가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전원모듈(130)은 미세먼지 측정센서(110)와 통신모듈(120)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이다.
도 2,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전용앱(210)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로서, 가장 많이 보급되면서 휴대성, 편리성, 기능성이 우수하고 인터넷과 블루투스 같은 통신이 가능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고 스피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테블릿 PC, 스마트 워치, 노트북, PDA와 같은 전자기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200) 보호를 위한 보호케이스(220)가 결합되고,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제1 측정신호를 주기적으로 미세먼지 측정부(100)로 전송하고, 제1 측정신호에 의해 미세먼지 측정부(100)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다.
상기 전용앱(210)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미세먼지 측정부(100)간의 자동적인 상호 기능에 의한 주기적 측정 이외에 사용자가 자신이 현재 위치한 장소의 미세먼지농도를 알기 원할 때 실행시키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이다.
상기 보호케이스(220)는 미세먼지 측정부(1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외부에 결합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200)를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일종의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이다.
본 발명에서 미세먼지 농도 측정은 2원적으로 이루어진다. 주기적이며 자동적인 제1 측정신호에 의한 자동 측정(사용자 의지와는 상관없이 사용자 단말기(200)와 미세먼지 측정부(100)간의 자동적인 상호 기능에 의한 주기적 측정)과 불규칙적이고 수동적인 제2 측정신호에 의한 수동 측정(사용자가 원할 때 측정)이다.
상기 자동 측정은 사용자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미세먼지 측정부(100)간의 자동적인 상호 기능에 의한 주기적 측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미세먼지 측정부(100)로 제1 측정신호를 전송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1 측정신호에 따라 미세먼지 측정부(100)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는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가 표시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전송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는 후술하게 될 미세먼지 지도정보 생성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서 활용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가 미세먼지 측정부(100)로 전송하는 상기 제1 측정신호의 전송 주기는 10분, 30분과 같은 분 단위 또는 1시간, 2시간과 같은 시간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수동 측정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미세먼지 측정부(100)간의 자동적인 상호 기능에 의한 주기적 측정과는 상관없이 사용자가 현재 자신이 위치한 지점의 미세먼지 농도를 알고 싶을 때의 측정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탑재된 전용앱(210)을 실행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용앱(210)은 제어모듈(211), 제1 처리모듈(212), 제2 처리모듈(2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전용앱(210)이 실행되면, 도 6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는 전용앱(210)의 세부 메뉴인 측정, 제1처리, 제2처리 메뉴가 아이콘 형식으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도 6의 '측정' 아이콘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모듈(211)이 동작한다.
제어모듈(211)은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 하도록 하는 제2 측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0)가 미세먼지 측정부(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미세먼지 측정부(100)는 제2 측정신호에 따라, 현재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제2 측정신호에 따라 측정된 현재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미세먼지 측정부(1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200)로 수신되면, 도 6과 같이, 제어모듈(211)은 수신된 현재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 다음, 수신된 현재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6의 '제1처리' 아이콘을 터치하면, 상기 제1 처리모듈(212)이 동작한다.
상기 제1 처리모듈(212)은 제1 측정신호와 제2 측정신호에 의해 측정되고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의 사용자 단말기(200)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도 7과 같이, 사용자 동선과 사용자 동선에 있는 특정 지점(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된 지점)마다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매칭(matching) 된 사용자 노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1 처리모듈(212)은 생성된 사용자 노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준치 이상으로 미세먼지에 노출 되었을 경우, 도 7과 같이, 경고 알림(예 : “당신의 미세먼지 노출상태는 나쁨입니다. 외출시 주의하세요.”)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경고 알림은 사용자 동선에 있는 특정 지점들의 미세먼지 농도를 평균처리하고, 그 평균값을 상기 표 1의 미세먼지에 대한 우리나라 대기환경 기준표와 비교하여 경고 알림 하는 것으로, 산출한 평균값이 나쁨, 매우 나쁨 등급일 경우에 경고 알림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도 6의 '제2처리' 아이콘을 터치하면, 제2 처리모듈(213)이 동작한다.
상기 제2 처리모듈(213)은 제2 처리모듈(213)이 생성된 사용자 노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선에 있는 특정 지점마다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도 8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표시한다.
특히, 상기 제2 처리모듈(213)이 생성한 특정 지점마다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 정보는 특정 지점별 측정된 시간별로 해당 지점의 미세먼지 농도를 그래픽적으로 표시한 정보이다.
즉, 동일 지점이라도 여러 번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될 수 있으며, 그 경우 측정된 시간별로 해당 지점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그래픽적으로 표시하여 특정 지점의 미세먼지 농도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처리모듈(213)은 도 8과 같이 사용자 동선상에 있는 특정 지점별로 미세먼지 농도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균값이 기준치 이상인 지점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 사용자 자신이 자주 다니는 지점 중 미세먼지 농도가 나쁜 지점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전국의 각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들이 전송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GPS 정보)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연계된 인터넷 사이트에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미세먼지 측정부(100)가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를 일종의 이동형 미세먼지 관측소로 활용하여 수집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신뢰성 높은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미세먼지 지도생성부(310), 통신부(320), 마일리지부(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미세먼지 지도생성부(310)는 전국에 있는 수많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해당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200)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도 9와 같이, 지역별로 미세먼지 정도를 색깔(청색 : 좋음, 녹색 : 보통, 주황 : 나쁨)로 표시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미세먼지 지도정보는 그래픽 기반의 실시간 지역 및 위치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미세먼지 지도정보는 전국에 있는 수많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이용한 지도정보이어서 종래의 제한적으로 설치된 미세먼지 관측소의 문제점(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관측소의 설치 개수가 한정 적이고 그 설치 위치도 제한적이다 보니 포털에서 제공하는 미세먼지 정보는 특정 관측소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대한 세부적인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알고자 원할 때는, 도 9와 같이, 생성된 전국지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예 : 서울시)을 터치한다.
도 10의 상단 그림과 같이, 시 단위의(예: 서울시) 지도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위 행정 구역(예 : 구로구)을 터치하면, 도 10의 하단 그림과 같이 선택한 하위 행정 구역(예:구로구)에 포함된 행정동들이 표시되며, 표시된 행정동들 중 특정 동(예: 구로1동)을 선택하면 선택된 행정동(예: 구로1동)이 도 11과 같이 지도기반으로 표시되고 지도기반으로 표시된 선택된 행정동(예: 구로1동)의 특정 지점(예: 구로1동 주민센터)을 선택하면 해당 지점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도 11과 같이 표시된다.
종래에는 동 단위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포털 등을 통해 제공되었으나 본 발명을 통하면 동 단위가 아닌 지점 단위별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통신부(3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가 전송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세먼지 지도생성부(310)가 생성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연계된 인터넷 사이트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마일리지부(330)은 사용자 단말기(200)를 식별자로 하는 사용자별 마일리지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즉, 특정 사용자 단말기(200)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전송하면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마일리지를 적립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200)를 일종의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이동형 관측소로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국 각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가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권장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 단말기(200)에 마일리지 혜택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들의 참여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시스템
20 : 인터넷 사이트
100 : 미세먼지 측정부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플랫폼 관리서버

Claims (6)

  1. 수집된 미세먼지 정보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농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200)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220)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기(200)가 주기적으로 전송한 제1 측정신호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미세먼지 측정부(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보호를 위한 보호케이스(220)가 결합되고,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제1 측정신호를 주기적으로 미세먼지 측정부(100)로 전송하고, 제1 측정신호에 의해 미세먼지 측정부(100)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들이 전송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연계된 인터넷 사이트에 제공하는 플랫폼 관리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전용앱(210)이 탑재되고,
    상기 전용앱(210)은,
    사용자에 의한 전용앱(210) 실행 시, 현재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 하도록 하는 제2 측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0)가 미세먼지 측정부(100)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측정신호에 의해 측정된 현재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미세먼지 측정부(1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현재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표시하고, 수신된 현재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모듈(211)과,
    제1 측정신호와 제2 측정신호에 의해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의 사용자 단말기(200)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동선과 사용자 동선에 있는 특정 지점마다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매칭 된 사용자 노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표시하고, 생성된 사용자 노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준치 이상으로 미세먼지에 노출 되었을 경우 경고 알림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표시하는 제1 처리모듈(212)과,
    생성된 사용자 노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동선에 있는 특정 지점마다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표시하고, 미세먼지 농도 평균값이 기준치 이상인 특정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30) 화면에 표시하는 제2 처리모듈(213)을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100)는 제2 측정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할 때, 측정된 시간과 측정된 위치 정보를 함께 표시하고,
    상기 특정 지점마다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 정보는 측정된 시간별로 해당 지점의 미세먼지 농도를 그래픽적으로 표시한 정보이고,
    상기 경고 알림은 사용자 동선에 있는 특정 지점들의 미세먼지 농도를 평균이하고, 그 평균값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경고 알림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100)는,
    통신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제1 측정신호가 수신되면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센서(110)와,
    사용자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제1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미세먼지 측정센서(110)가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20)과,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110)와 통신모듈(120)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통신부(320)을 통해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미세먼지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별로 세부적인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표시되는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생성하는 미세먼지 지도생성부(310)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가 전송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세먼지 지도생성부(310)가 생성한 미세먼지 지도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연계된 인터넷 사이트로 전송하는 통신부(320)와,
    사용자 단말기(200)를 식별자로 하는 사용자별 마일리지 정보를 저장 관리하되, 특정 사용자 단말기가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전송하면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전송한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에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마일리지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 지도정보는 그래픽 기반의 실시간 지역 및 위치별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KR1020190110071A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KR102224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071A KR102224573B1 (ko)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071A KR102224573B1 (ko)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573B1 true KR102224573B1 (ko) 2021-03-05

Family

ID=7516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071A KR102224573B1 (ko) 2019-09-05 2019-09-05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5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334A (ko) * 2022-08-04 2024-02-15 경기도 부천시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8199A (ko) * 2011-05-17 2012-11-27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 공기질 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70692A (ko) * 2013-12-17 2015-06-25 주식회사 엔비레즈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폰과 결합된 미세먼지 센서 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 방법
KR101556660B1 (ko) 2014-11-03 2015-10-01 주식회사 위메이트 먼지 농도 측정을 위한 모바일 단말
KR20160020745A (ko) * 2014-08-14 2016-02-24 영진기술 주식회사 초미세먼지정보 제공 장치 및 시스템
KR20160134107A (ko) * 2015-05-14 2016-11-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57597A (ko) 2015-11-17 2017-05-25 주식회사 오픈잇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KR20170080894A (ko) * 2015-12-30 2017-07-1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주변 미세먼지 농도 측정 시스템, 이를 이용한 사용자 주변 미세먼지 농도 제공 방법
KR20180041828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에스에이티 미세먼지농도 측정, 보정 및 예측을 통한 미세먼지정보 구축장치 및 그 방법
KR101892345B1 (ko) 2016-07-01 2018-08-27 우연정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KR20180133158A (ko) * 2017-06-05 2018-12-13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대기 지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97911A (ko) * 2018-02-13 2019-08-21 (주)포인트엔지니어링 공기청정도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공기청정도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8199A (ko) * 2011-05-17 2012-11-27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 공기질 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70692A (ko) * 2013-12-17 2015-06-25 주식회사 엔비레즈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폰과 결합된 미세먼지 센서 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 방법
KR20160020745A (ko) * 2014-08-14 2016-02-24 영진기술 주식회사 초미세먼지정보 제공 장치 및 시스템
KR101556660B1 (ko) 2014-11-03 2015-10-01 주식회사 위메이트 먼지 농도 측정을 위한 모바일 단말
KR20160134107A (ko) * 2015-05-14 2016-11-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57597A (ko) 2015-11-17 2017-05-25 주식회사 오픈잇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KR20170080894A (ko) * 2015-12-30 2017-07-1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주변 미세먼지 농도 측정 시스템, 이를 이용한 사용자 주변 미세먼지 농도 제공 방법
KR101892345B1 (ko) 2016-07-01 2018-08-27 우연정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KR20180041828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에스에이티 미세먼지농도 측정, 보정 및 예측을 통한 미세먼지정보 구축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33158A (ko) * 2017-06-05 2018-12-13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대기 지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97911A (ko) * 2018-02-13 2019-08-21 (주)포인트엔지니어링 공기청정도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공기청정도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334A (ko) * 2022-08-04 2024-02-15 경기도 부천시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36578B1 (ko) 2022-08-04 2024-02-16 경기도 부천시 빅데이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7651B2 (en) Real-time monitoring of health hazards during hydraulic fracturing
CN109166141A (zh) 危险提醒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2008855B1 (ko) 실내외 공기질 측정 및 환기 제어 공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am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low-cost IoT based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CN110019626B (zh) 一种人口分布信息的确定方法及相关装置
KR20120128199A (ko) 스마트폰 기반 공기질 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8431596A (zh) 暴露于空气污染物的跟踪
Zappatore et al. A crowdsensing approach for mobile learning in acoustics and noise monitoring
KR102224573B1 (ko)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CN110278324A (zh) 检测地铁进出站状态的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KR102439917B1 (ko) 공기 오염 표시 단말
CN107179103A (zh) 一种室内环境检测方法及装置
US20230395257A1 (en) Environmental exposure and lung health monitoring device
CN107144305A (zh) 一种空气质量检测方法、及移动终端
Chang et al. Smart iAIR System with Integr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Mobile Applications.
CN106706854A (zh) 一种空气检测系统
JP2020034341A (ja) 空気質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Ríos-Aguilar et al. A mobile business information system for the control of local and remote workforce through reactive and behavior-based monitoring
KR20200059532A (ko)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Hooker et al. The pollution e-sign
WO2013118837A1 (ja) 測定データ表示装置
Katsiri Sensor networks with edge intelligence for reliable air quality monitoring in the Covid-19 Era
Lampe et al. Halo: A personal IoT air monitor
KR20220114670A (ko)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
JP201316748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及び情報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