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532A -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532A
KR20200059532A KR1020180144381A KR20180144381A KR20200059532A KR 20200059532 A KR20200059532 A KR 20200059532A KR 1020180144381 A KR1020180144381 A KR 1020180144381A KR 20180144381 A KR20180144381 A KR 20180144381A KR 20200059532 A KR20200059532 A KR 20200059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portable
measuring device
lower cover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묵
김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기술
김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기술, 김은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기술
Priority to KR1020180144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532A/ko
Publication of KR20200059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가져서 별도의 전원 공급부 없이도 휴대가 간편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보조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포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A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THE FINE DUST}
본 발명은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가져서 별도의 전원 공급부 없이도 휴대가 간편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는 물론 이웃 나라인 중국의 급격한 산업화에 따라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가 큰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즉, 1년 중 상당 기간이 미세먼지 농도가 위험 수준 이상을 유지할 정도로 우리나라의 대기 중 미세먼지 고농도 문제는 심각하다. 특히, 미세먼지 뿐만아니라 초미세먼지의 심각한 건강 위협이 현실화되면서 일기예보에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에 대한 예보 내용이 일상화되었을 정도로 관심이 높다.
이에 따라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도 실내 공기질 즉, 실내 공기 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초미세먼지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따른 저감 대책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미세먼지 측정 센서는 그 크기가 크거나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휴대가 어렵고 필요시에 실시간으로 측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가져서 별도의 전원 공급부 없이도 휴대가 간편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하부 커버(110); 상기 하부 커버(110)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130); 상기 하부 커버(1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상부 커버(120); 상기 상부 커버(12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130)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13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40); 상기 하부 커버(11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보조 배터리(10)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130) 및 디스플레이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 연결 포트(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상부 커버(120)의 일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42); 상기 하부 커버(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2)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2)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14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130)는 광산란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에는, 상기 하부 커버(110)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10)를 충전시키는 충전 포트(17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 상기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저장하는 미세먼지 관리 서버(200);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200)에 의하여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거리에서 확인하는 휴대용 단말기(300);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200)에 의하여 저장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시설물 관리에 이용하는 관리측 단말(400);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200)에 의하여 저장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책수립 및 대응 방안을 연구하는 연구측 단말(500);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1)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의하면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가져서 별도의 전원 공급부 없이도 휴대가 간편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서로 다른 전원 공급부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가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110), 상부 커버(120), 미세먼지 측정 센서(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보조배터리 연결 포트(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부 커버(11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하부 커버(110)의 내부 공간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커버(12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커버(110)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하부 커버(1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구성요소이다. 이렇게 상기 하부 커버(110)와 상부 커버(120)가 결합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룬다.
다음으로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커버(110)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130)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간단한 구성과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광산란 방식 미세먼지 측정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130)는 미세먼지 기준인 10㎛나 초미세먼지 기준인 2. 5㎛ 중 어느 하나로 정해질 수 있으며, 초미세먼지도 측정할 수 있는 규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12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130)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13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42)과 인쇄회로기판(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2)은 상기 상부 커버(120)의 일 부분 즉, 패널 설치공(122)을 관통하여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13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 및 보조 배터리(10)의 배터리 잔량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커버(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2)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2)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배터리 연결포트(15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커버(11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보조 배터리(10)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130) 및 디스플레이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배터리(10)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아서 작동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배터리 연결 포트(150)가 상기 보조배터리(10)에 일반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포트(도면에 미도시)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며, 표준 USB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에는, 상기 하부 커버(110)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10)를 충전시키는 충전 포트(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110)의 일측에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13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파워 스위치(160)이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 미세먼지 관리 서버(200), 휴대용 단말기(300), 관리측 단말(400) 및 연구측 단말(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는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가 채용되며, 다른 구조의 미세먼지 측정장치도 채용가능하다. 상기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는 사회 구성원 다수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미세먼지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무수하게 많은 상기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다양한 시설의 실내 공기 및 다양한 지역의 실외 공기에 대한 미세먼지 측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저장하고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100)에서 측정되는 모든 미세먼지 농도 측정자료는 해당 위치 정보와 함께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하여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렇게 얻어지는 미세먼지 관련 데이터는 빅데이터로 축적되며, 장소별 및 시간별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200)에 의하여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거리에서 확인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는 일반 사회 구성원이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이며,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200)와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하여 특정한 지역의 현재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개별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관리측 단말(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200)에 의하여 저장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시설물 관리에 이용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관리측 단말(400)은 공공 기관 및 학교 등의 관리 기관에 설치되며,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200)와 유무선 통신 방법에 의하여 연결되어 실시간 데이터 및 일정 기간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받아서 해당 시설 및 특정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관리 대책을 세우고 시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구측 단말(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200)에 의하여 저장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책수립 및 대응 방안을 연구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연구측 단말(500)은 연구기관 등에 설치되며, 상기 미세먼지 서버(200)에 유무선통신 방법에 의하여 상기 미세먼지 서버(200)에 저장되는 미세먼지 관련 빅데이터 전체 및 분석 자료를 전달받아서 오염원 원인 파악, 공기 정화기 설치 및 개선 방안, 가습 및 제습 관리 더 나아가서는 냉난방 개선 등의 정책을 연구하고 개발하는데 사용한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110 : 하부 커버 120 : 상부 커버
130 : 미세먼지 측정 센서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보조배터리 연결포트 160 : 파워 스위치
170 : 충전 포트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
200 : 미세먼지 관리 서버 300 : 휴대용 단말기
400 : 관리측 단말 500 : 연구측 단말

Claims (5)

  1.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하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
    상기 하부 커버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보조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 연결 포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상부 커버의 일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하부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센서는,
    광산란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포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상기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저장하는 미세먼지 관리 서버;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에 의하여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원거리에서 확인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에 의하여 저장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시설물 관리에 이용하는 관리측 단말;
    상기 미세먼지 관리 서버에 의하여 저장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책수립 및 대응 방안을 연구하는 연구측 단말;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
KR1020180144381A 2018-11-21 2018-11-21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KR20200059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381A KR20200059532A (ko) 2018-11-21 2018-11-21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381A KR20200059532A (ko) 2018-11-21 2018-11-21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532A true KR20200059532A (ko) 2020-05-29

Family

ID=7091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381A KR20200059532A (ko) 2018-11-21 2018-11-21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95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278B1 (ko) * 2022-06-28 2023-08-29 주식회사 원포유 센서 플랫폼 장치
KR20240000688A (ko) 2022-06-23 2024-01-03 주식회사 센트리 이동식 공기질 측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688A (ko) 2022-06-23 2024-01-03 주식회사 센트리 이동식 공기질 측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차량
KR102572278B1 (ko) * 2022-06-28 2023-08-29 주식회사 원포유 센서 플랫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4088A1 (en) Air quality pole module and lamp post comprising such a module
US9876692B2 (en) Cloud-based monitoring apparatus
KR101874443B1 (ko) 미세먼지 신호등을 이용해 대기질의 상태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342906B (zh) 多功能局部放电检测系统及方法
KR20200059532A (ko)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CN102736130A (zh) 手持气象站及其监测方法
KR20160073754A (ko) 공기질 평가 장치, 공기질 평가 시스템 및 공기질 평가 방법
KR20210012714A (ko) 차량을 이용한 대기의 미세먼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포집 장치
KR20200106266A (ko) 인접 사회기반시설을 활용한 스마트 클린 시티용 환경정보 제공시스템
CN206656763U (zh) 微型多参数大气污染物监测仪及大气污染物监测系统
CN103063088B (zh) 一种声光弹特性测量系统及测量方法
KR102439917B1 (ko) 공기 오염 표시 단말
KR102101640B1 (ko)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KR101195995B1 (ko) 입자상 대기오염물질 측정과 대기질 모니터링을 위한 파티클 카운팅 장치
CN208443442U (zh) 大气环境监测设备及其系统
KR102224573B1 (ko)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KR20200039313A (ko) 보조배터리 겸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CN213422245U (zh) 环境监测站
CN110987073A (zh) 一种电力计量实验室监测系统
US20200053497A1 (en) System for the detection of noise
CN209783613U (zh) 一种便携式环境检测装置
CN219122236U (zh) 一种带有显示结构的静电传感器
KR20200058830A (ko) 보조배터리 겸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CN208238833U (zh) 一种空气环境监测装置
CN108827450B (zh) 噪声检测电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