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670A -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 - Google Patents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670A
KR20220114670A KR1020210017963A KR20210017963A KR20220114670A KR 20220114670 A KR20220114670 A KR 20220114670A KR 1020210017963 A KR1020210017963 A KR 1020210017963A KR 20210017963 A KR20210017963 A KR 20210017963A KR 20220114670 A KR20220114670 A KR 20220114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ollution
app
measuring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수
이제욱
김강오
손민우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670A/ko
Publication of KR20220114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16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with means for out-of-range ale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폰 오염도 측정 어플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은, 휴대폰에 오염 및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앱(App)설치단계(S10); 상기 휴대폰의 카메라를 통해 피측정체의 오염 및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하는 오염측정단계(S20); 상기 오염측정단계(S20)의 측정결과를 분석하여 오염 및 세균의 종류와 분포 상태를 시각 데이터화하는 시각데이터 변환단계(S30); 상기 데이터의 반복 측정 결과를 누적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 센터로 실시간 통지하는 정보저장 및 통지단계(S40); 저장된 오염 및 세균 종류 및 분포 상태에 따른 경보를 상기 앱의 초기화면에 표출하는 정보표출단계(S50); 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상기 앱을 설치한 후 피측정체인 인체 또는 물체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이를 표출하여 경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Pollution Level Measurement App Using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오염도 측정용 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인체 및 사물의 오염상태와 세균의 번식상태를 자가 측정할 수 있는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공지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의료 장치 감시를 위한 휴대폰의 사용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은 실시간으로 측정된 미세먼지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현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실외 또는 실내에 장착 설치되며, 장착 설치된 주변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세먼지정보를 생성시켜 전송하기 위한 다수 개의 측정장치; 앱 다운로드를 요청한 후에 미세먼지 측정 서비스 앱을 다운로딩 받아 설치하며, 미세먼지 측정 서비스 앱을 실행시켜 미세먼지정보요청버튼의 클릭을 확인하여 미세먼지정보를 요청한 후에 미세먼지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해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받은 미세먼지정보를 상기 건물의 위치정보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앱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미세먼지 측정 서비스 앱을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다운로딩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미세먼지정보의 요청에 따라 미세먼지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측정서버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공지된 의료 장치 감시를 위한 휴대폰의 사용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휴대용 의료 장치(1)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휴대폰(2)에 관련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a) 휴대폰(2)이 한 시점(제1 시점)에 휴대폰(2)의 지리적 위치를 파악하여 휴대폰(2)이 지리적 위치와 제1 시점을 데이터 연결을 통해 서버(4)에 제공하거나, 휴대폰(2)이 한 시점에 이동 통신망(3)에 의해 파악된 위치를 가지고 이동 통신망(3)이 위치와 제1 시점을 서버(4)에 제공하는 단계와, 이어서 b) 서버(4)가 이 위치와 시점을 사용하여 그 시점에 대한 위치 특정 데이터를 조회하는 단계와, 이어서 c) 서버(4)가 단계 b)로부터의 위치 특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그 의료 장치(1)가 수리 또는 교체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은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의료 장치 감시를 위한 휴대폰의 사용에 대해 분리하여 기술을 구성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휴대폰(스마트폰) 사용자는 그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해당 기술을 용이하게 사용하여 오염을 측정하거나 세균 등의 분포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은 복잡한 후단의 시스템이 요구되지만 일반 사용자는 편리하게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기가 위치한 곳에서 손이나 물체에 묻은 오염정도를 자가 측정하고 위험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번호(일자) : 1020160132717 (2016.10.13),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및 방법 특허출원번호(일자) : 1020197001172 (2017.06.09),의료 장치 감시를 위한 휴대폰의 사용
본 발명은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일반적인 휴대폰(스마트폰) 사용자인 경우에도 간단한 구성의 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인체 주변의 오염을 측정하거나 세균 등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기가 위치한 곳에서 손이나 물체에 묻은 오염정도를 자가 측정하고 위험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상황에 대비하거나 회피할 수 있도록 측정가능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은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인체 및 물체에 함유된 오염 물질의 종류와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하여, 그것의 강도를 표시하고 원격지에 지정된 관리센터에 측정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은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으로써,
휴대폰에 오염 및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앱(App)설치단계(S10);
상기 휴대폰의 카메라를 통해 피측정체의 오염 및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하는 오염측정단계(S20);
상기 오염측정단계(S20)의 측정결과를 분석하여 오염 및 세균의 종류와 분포 상태를 시각 데이터화하는 시각데이터 변환단계(S30);
상기 데이터의 반복 측정 결과를 누적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 센터로 실시간 통지하는 정보저장 및 통지단계(S40);
저장된 오염 및 세균 종류 및 분포 상태에 따른 경보를 상기 앱의 초기화면에 표출하는 정보표출단계(S50); 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상기 앱을 설치한 후 피측정체인 인체 또는 물체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이를 표출하여 경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각데이터 변환단계(S30)는,
상기 측정의 분석결과가 인체에 무해한 기준범위 이내인 경우에(S32), 1단계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상기 휴대폰 상에 녹색상태를 표출하는 단계(S33)와;
상기 측정의 분석결과가 상기 1단계 기준을 초과하였으나 인체에 해로운 기준을 벗어나지 아니하였을 경우에(S34), 2단계 기준에 도달한 것을 판정하고, 상기 휴대폰 상에 예비경고를 의미하는 황색상태를 표출하는 단계(S35)와;
상기 측정의 분석결과가 상기 2단계 기준을 초과하였거나 인체에 해로운 기준에 해당된 경우에(S36), 3단계 기준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휴대폰 상에 강력경고를 의미하는 적색상태를 표출하는 단계(S37); 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반적인 휴대폰(스마트폰) 사용자인 경우에도 간단한 구성의 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인체 주변의 오염을 측정하거나 세균 등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을 구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기가 위치한 곳에서 손이나 물체에 묻은 오염정도를 자가 측정하고 위험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상황에 대비하거나 회피할 수 있도록 측정가능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공지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의료 장치 감시를 위한 휴대폰의 사용 기술을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의 구성과 절차를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의 처리 절차에 있어서, 시각데이터 변환단계의 구체적인 세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나 형태 등을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은 아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은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인체 및 물체에 함유된 오염 물질의 종류와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하여, 그것의 강도를 표시하고 원격지에 지정된 관리센터에 측정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은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에 있어서,
휴대폰에 오염 및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앱(App)설치단계(S10);
상기 휴대폰의 카메라를 통해 피측정체의 오염 및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하는 오염측정단계(S20);
상기 오염측정단계(S20)의 측정결과를 분석하여 오염 및 세균의 종류와 분포 상태를 시각 데이터화하는 시각데이터 변환단계(S30);
상기 데이터의 반복 측정 결과를 누적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 센터로 실시간 통지하는 정보저장 및 통지단계(S40);
저장된 오염 및 세균 종류 및 분포 상태에 따른 경보를 상기 앱의 초기화면에 표출하는 정보표출단계(S50); 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상기 앱을 설치한 후 피측정체인 인체 또는 물체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이를 표출하여 경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의 단계 구성 및 작용을 도 3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의 구성과 절차를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재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 19 바이러스 뿐만 아니라 유행하는 독감 및 주변의 환경 오염 등의 환경에서 스스로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휴대폰)을 사용하여 오염도를 체크하고 이를 표출하도록 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주변환경을 점검할 수 있고, 오염 및 세균의 침투를 예방할 수 있는 개념을 갖는 휴대폰용 앱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앱(App)설치단계(S10)는 사용자의 휴대폰에 오염 및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특정한 앱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전세계의 다양한 개발자들의 새로운 검색방법을 채용한 앱을 다운로드 받아 활용할 수 있다.
오염측정단계(S20)는 상기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피측정체인 인체 및 물체에 포함된 오염 및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이것은 스마트폰의 기본 장치로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오염균을 촬영하거나 주변의 상태를 근접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시각데이터 변환단계(S30)는 상기 오염측정단계(S20)의 측정결과를 분석하여 오염 및 세균의 종류와 분포 상태를 시각 데이터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시각데이터 변환단계(S30)에서는 측정결과를 분석하여 그래프나 색으로 표출하는 것을 구현하였으나, 그에 앞서 데이터를 측정, 수집하고 정리하는 프로세스를 당연히 포함한다.
정보저장 및 통지단계(S40)는 상기 데이터의 반복 측정 결과를 누적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 센터로 실시간 통지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인체 및 물체의 오염 정보 및 세균분포 상태 등을 측정하여 본인의 휴대폰에 표출하는 것과 함께 미리 지정된 원격지의 관리센터에 자동으로 통지하는 것을 말한다. 어린이 또는 노약자 뿐만 아니라 표출되는 데이터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보호자 또는 관리기관 등에서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화함으로써 특정 지역 또는 인물의 주변 환경의 오염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표출단계(S50)는 상기 저장된 오염 및 세균 종류 및 분포 상태에 따른 경보를 상기 앱의 초기화면에 표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은 상기의 단계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상기 앱을 설치한 후 피측정체인 인체 또는 물체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이를 표출하여 경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표출하여 경고하는 기능으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색상으로 오염정도를 표출할 수 있고, 숫자 또는 정리된 데이터값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은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에 있어서, 상기 시각데이터 변환단계(S30)는,
상기 측정의 분석결과가 인체에 무해한 기준범위 이내인 경우에(S32), 1단계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상기 휴대폰 상에 녹색상태를 표출하는 단계(S33)와;
상기 측정의 분석결과가 상기 1단계 기준을 초과하였으나 인체에 해로운 기준을 벗어나지 아니하였을 경우에(S34), 2단계 기준에 도달한 것을 판정하고, 상기 휴대폰 상에 예비경고를 의미하는 황색상태를 표출하는 단계(S35)와;
상기 측정의 분석결과가 상기 2단계 기준을 초과하였거나 인체에 해로운 기준에 해당된 경우에(S36), 3단계 기준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휴대폰 상에 강력경고를 의미하는 적색상태를 표출하는 단계(S37); 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시각데이터 변환단계(S30)에 있어서,
녹색상태를 표출하는 단계(S33)는 상기 측정의 분석결과가 인체에 무해한 기준범위 이내인 경우(S32)라고 판단되면, 1단계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상기 휴대폰 상에 녹색표시를 하거나 녹색 점등을 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정상적으로 생활을 할 수 있으며 오염 및 세균의 분포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황색상태를 표출하는 단계(S35)는 상기 측정의 분석결과가 상기 1단계 기준을 초과하였으나 인체에 해로운 기준을 벗어나지 아니하였을 경우에(S34), 2단계 기준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휴대폰 상에 예비경고를 의미하는 황색표시를 하거나 황색LED를 점등하여 주의를 환기하도록 한다.
적색상태를 표출하는 단계(S37)는 상기 측정의 분석결과가 상기 2단계 기준을 초과하였거나 인체에 해로운 기준에 해당된 경우에(S36), 3단계 기준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휴대폰 상에 강력경고를 의미하는 적색표시를 표출하거나 적색 LED를 점등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주변의 환경을 본인이 원할 때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정상, 예비경보, 및 경고 상태임을 직접확인하여 경고 또는 예비경고 표시시에는 관리기관이나 병원 등의 진단을 신속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고 인명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기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의 단계 구성 및 작용을 도 4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의 처리 절차에 있어서, 시각데이터 변환단계의 구체적인 세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반적인 휴대폰(스마트폰) 사용자인 경우에도 간단한 구성의 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인체 주변의 오염을 측정하거나 세균 등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을 구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기가 위치한 곳에서 손이나 물체에 묻은 오염정도를 자가 측정하고 위험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상황에 대비하거나 회피할 수 있도록 측정가능한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일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해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기술적인 사상이 동일함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형, 및 부가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것들은 모두 본원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S10): 앱(App)설치단계
(S20): 오염측정단계
(S30): 시각데이터 변환단계
(S40): 정보저장 및 통지단계
(S50): 정보표출단계

Claims (3)

  1.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인체 및 물체에 함유된 오염 물질의 종류와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하여, 그것의 강도를 표시하고 원격지에 지정된 관리센터에 측정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
  2.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에 있어서,
    휴대폰에 오염 및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앱(App)설치단계(S10);
    상기 휴대폰의 카메라를 통해 피측정체의 오염 및 세균분포 상태를 측정하는 오염측정단계(S20);
    상기 오염측정단계(S20)의 측정결과를 분석하여 오염 및 세균의 종류와 분포 상태를 시각 데이터화하는 시각데이터 변환단계(S30);
    상기 데이터의 반복 측정 결과를 누적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 센터로 실시간 통지하는 정보저장 및 통지단계(S40);
    저장된 오염 및 세균 종류 및 분포 상태에 따른 경보를 상기 앱의 초기화면에 표출하는 정보표출단계(S50); 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상기 앱을 설치한 후 피측정체인 인체 또는 물체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이를 표출하여 경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데이터 변환단계(S30)는,
    상기 측정의 분석결과가 인체에 무해한 기준범위 이내인 경우에(S32), 1단계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상기 휴대폰 상에 녹색상태를 표출하는 단계(S33)와;
    상기 측정의 분석결과가 상기 1단계 기준을 초과하였으나 인체에 해로운 기준을 벗어나지 아니하였을 경우에(S34), 2단계 기준에 도달한 것을 판정하고, 상기 휴대폰 상에 예비경고를 의미하는 황색상태를 표출하는 단계(S35)와;
    상기 측정의 분석결과가 상기 2단계 기준을 초과하였거나 인체에 해로운 기준에 해당된 경우에(S36), 3단계 기준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휴대폰 상에 강력경고를 의미하는 적색상태를 표출하는 단계(S37); 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



KR1020210017963A 2021-02-09 2021-02-09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 KR20220114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63A KR20220114670A (ko) 2021-02-09 2021-02-09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63A KR20220114670A (ko) 2021-02-09 2021-02-09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670A true KR20220114670A (ko) 2022-08-17

Family

ID=8311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963A KR20220114670A (ko) 2021-02-09 2021-02-09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6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717A (ko) 2015-05-11 2016-11-21 심용섭 페인트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717A (ko) 2015-05-11 2016-11-21 심용섭 페인트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ques et al. Indoor air quality assessment using a CO2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Ruge et al. Soundofthecity-continuous noise monitoring for a healthy city
US8085145B2 (en) Personal environmental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and portable monitor for use therein
US20120297028A1 (en) Integrated remote pollution monitoring and index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5006821A1 (en) Method of and/or apparatus for monitoring a characteristic of a liquid sample
CN105657030B (zh) 灾后数据收集及传输方法
CN109426206A (zh) 一种实验室环境管理系统、设备和方法
CN106341446A (zh) 一种基于云计算和大数据的可视化环保设备监管服务系统
CN111488955A (zh) 消防终端、消防服务器及消防监控装置
KR20150051041A (ko) 실시간 교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CN109060034A (zh) 一种环境监测物联网系统
CN109521067A (zh) 具有环境感测功能的便携式设备及方法
CN103325218A (zh) 一种无线气体报警控制系统
CN111951390A (zh) 一种警情显示方法、系统、装置和存储介质
US201903734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per-local testing and personalized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KR101627788B1 (ko)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KR20220114670A (ko) 휴대폰을 이용한 오염도 측정용 앱
CN108170060A (zh) 危险源及环境监测报警系统及方法
KR1006003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냄새 식별 장치
KR101096593B1 (ko) 원격 측정 시스템 운영을 위한 센서네트워크 미들웨어 시스템
Ríos-Aguilar et al. A mobile business information system for the control of local and remote workforce through reactive and behavior-based monitoring
KR20200082445A (ko) 위치 정보를 활용한 건강 및 생활안전 관리 시스템
KR102638693B1 (ko) 위치 기반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224573B1 (ko) 미세먼지 정보 제공 플랫폼 시스템
CN114646735A (zh) 一种空气中二氧化碳浓度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