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823A -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823A
KR20160133823A KR1020150066856A KR20150066856A KR20160133823A KR 20160133823 A KR20160133823 A KR 20160133823A KR 1020150066856 A KR1020150066856 A KR 1020150066856A KR 20150066856 A KR20150066856 A KR 20150066856A KR 20160133823 A KR20160133823 A KR 20160133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bending plate
frame
light
blind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준
Original Assignee
전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준 filed Critical 전상준
Priority to KR1020150066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3823A/ko
Publication of KR2016013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외부 시선은 차단하면서도 내부로의 통풍 및 채광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블라인드 장치가 제공된다. 블라인드 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 상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열되며 적어도 일부가 굴절된 복수 개의 굴절판, 및 굴절판의 양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포함하되, 복수 개의 굴절판 사이로는 직진광이 직접 통과하지 않으며 반사면에 반사되는 반사광을 통과시킨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장치{Blind apparatus}
본 발명은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가를 향하는 외부 시선은 차단하면서도 내부로의 통풍 및 채광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 장치는 거실, 방안, 사무실 등의 창가에 설치된다. 블라인드 장치는 유리창을 통해 입사하는 직사광을 막거나, 외부의 불필요한 시선을 차단하거나, 광량을 조절하여 실내 분위기를 개선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블라인드 장치는 실내 공간을 구성하는 하나의 디자인적 요소로 파악되기도 한다.
블라인드 장치는 스크린이나 슬래트(slat)등 빛을 차단하기 위한 부재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부재들은 창가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연장되거나,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창 전체를 덮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사용자는 구동부를 조작하여 스크린의 열리거나 닫힌 정도, 슬래트의 열리거나 닫힌 정도 등을 조절하고 블라인드 장치가 설치된 창 전체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블라인드 장치는 스크린 또는 슬래트 등을 닫아 창을 폐쇄하는 경우 통풍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즉,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거나 광량을 줄이기 위해 창을 폐쇄하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 역시 함께 차단되어 실내로 공기 등이 유통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스크린이나 슬래트가 열려 창이 개방되면 통풍은 용이하나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기 어려웠다.
특히, 반 지하 형식의 폐쇄성이 높은 거주구역의 경우에는, 채광 및 통풍이 어려워 창가를 개방하고자 하여도 보행자의 시선 때문에 마음대로 창을 개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블라인드 장치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매우 곤란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88520호, (2010.08.0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가를 향하는 외부 시선은 차단하면서도, 내부로의 통풍 및 채광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열되며 적어도 일부가 굴절된 복수 개의 굴절판; 및 상기 굴절판의 양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 사이로 직진광이 직접 통과하지 않으며 상기 반사면에 반사되는 반사광을 통과시킨다.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은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굴절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은 각각 일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가 인접한 굴절판의 상기 오목부 내측을 향해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 사이로 통과하는 직진광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은 각각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면은 상기 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은 적어도 한번 휨 방향이 반전되어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연속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은 각각 경사진 평면을 포함하여 상기 반사면이 상기 평면 상에 형성되되, 서로 인접한 굴절판의 상기 평면은 경사각이 불일치할 수 있다.
상기 굴절판은 상기 프레임에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되어, 상기 굴절판이 움직여 상기 반사면의 정렬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장치는, 상기 굴절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상기 굴절판의 일 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을 따라 평행 이동하여 상기 굴절판에 회전력을 가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를 들여다보려는 등의 불쾌한 외부 시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채광 및 통풍 등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직사광은 차단하고 반사광을 실내로 유입하여 부드러운 채광이 가능하며,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특히, 채광 및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외부시선은 차단되므로 반 지하 형식의 폐쇄성이 높은 거주구역 등에도 본 발명을 매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생활 침해를 막고 빛과 공기를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 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블라인드 장치의 굴절판 사이로 빛이 반사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블라인드 장치의 굴절판의 변형례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의 블라인드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블라인드 장치의 굴절판이 움직여 정렬상태가 변경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 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1)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 상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열되고 적어도 일부가 굴절된 복수 개의 굴절판(200), 및 굴절판(200)의 양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20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1)는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200) 사이로 직진광이 직접 통과하지 않으며 상기 반사면(201)에 반사되는 반사광(도6의 A2 참조)을 통과시킨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1)는 굴절판(200)에 반사면(201)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반사면(201)의 반사작용에 의해 굴절판(200) 사이로 광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굴절판(200)은 서로 이격되어 있어 그 사이로 외기 등을 자유롭게 통과시킬 수 있다. 반면, 블라인드 장치(1)는 굴절판(200)의 굴절된 부분에 의해 블라인드 장치(1)를 향하는 직사광이나 외부시선은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1)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경로 및 채광이 가능한 광 경로를 동시에 확보하되, 광선이 직진하여 블라인드 장치(1)를 직접 통과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나. 따라서, 채광이나 통풍이 필요하나 외부 시선이 신경 쓰여 창을 개방하지 못하는 장소 등에 이를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블라인드 장치(1)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형의 틀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창의 크기에 대응하여 너비나 폭, 전체적인 크기 등이 그에 알맞게 변경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창을 따라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굴절판(200)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장소의 형태나 창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직선 상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이나, 적어도 일부분이 굴절된 형상 등으로 프레임(100)을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프레임(100)은 굴절판(200)을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창틀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창틀의 적어도 일부를 직접 프레임(100)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1)는 별도의 프레임(100)에 굴절판(200)을 결합하여 제작한 후, 창가에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이미 창에 형성되어 있는 창틀을 프레임(100)으로 활용하여 창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의 프레임(100)을 활용하여 가장 적합한 형태의 블라인드 장치(1)를 설치할 수 있다.
굴절판(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프레임(100) 상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열된다. 굴절판(200)은 복수 개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굴절판(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굴절되어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굴절판(200)은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굴절될 수 있다.
굴절판(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00)을 따라 서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굴절판(200)은 각각 일면에 볼록부(210)가 형성되고 반대편 타면에는 오목부(220)가 형성되며, 볼록부(210)는 인접한 굴절판(200)의 오목부(220) 내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볼록부(210)가 인접한 굴절판(200)의 오목부(220) 내측을 향해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오목부(220)와 볼록부(210)의 사이의 진입공간이 줄어들고, 동시에 오목부(220)와 볼록부(210) 사이의 공간이 굴절되어 오목부(220)와 볼록부(210) 사이로 진입하는 직진광의 경로가 굴절판(200)에 의해 적어도 한번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굴절판(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면에 오목부(220)와 볼록부(210)를 모두 포함하여 자신의 볼록부(210)는 인접한 굴절판(200)의 오목부(220)를 향하고, 인접한 굴절판(200)의 볼록부(210)는 자신의 오목부(22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한 굴절판(200)의 사이에서 볼록부(210)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직선(도 2의 상방에서 하방 또는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는 수직하거나 경사진 직선일 수 있다)상에 놓이는 서로 다른 볼록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직진광의 경로를 역시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반사면(201)은 이와 같이 배치되는 굴절판(200)의 양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반사면(20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판(200)의 양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오목부(220) 및 볼록부(210)가 형성하는 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굴절판(200)이 각각 곡면을 포함하고 굴절판(200)이 포함하는 곡면 상에 반사면(201)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면(201)은 굴절판(200)의 표면에 반사체를 부착하거나, 표면을 연마하거나, 표면에 반사도가 높은 물질을 도포 및 코팅하는 등의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굴절판(200) 자체를 표면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제작하여 별도의 처리 없이 자연스럽게 반사면(201)을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굴절판(200) 표면에 형성된 반사면(201)은 경로가 차단된 상기 직진광을 반사시켜 경로를 변경시킨다. 특히, 곡면 상에 형성된 반사면(201)은 굴절판(200) 사이로 평행하게 입사한 직진광의 광선이라도 반사면(201)의 곡면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난반사시킬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굴절판(200) 사이로 직진광은 통과하지 못하며 굴절판(200) 사이의 반사면(201)에서 반사되어 경로가 변경된 반사광만이 통과된다. 반사광은 서로 다른 반사면(201)의 사이에서 진행경로가 반복적으로 바뀌어 정렬되지 않은 서로 다른 여러 방향으로 분산된 형태로 굴절판(200)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하, 굴절판과 반사면의 구조, 배치상태, 및 반사광의 진행경로 등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블라인드 장치의 굴절판 사이로 빛이 반사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블라인드 장치의 굴절판의 변형례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빛(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판(200)의 반사면(201) 사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됨으로써만 블라인드 장치(1)를 통과 가능한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블라인드 장치(1)를 향해 입사된 직진광은 굴절판(200) 사이로 진입되되, 굴절판(200)들에 의해 형성된 굴절된 공간을 직접 통과하지 못하고 적어도 한번 굴절판(200)과 만나 경로를 변경하게 된다. 전술한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의 간격, 오목부와 볼록부의 크기, 굴절판(200) 전체의 굴절된 정도 또는 곡률 등을 변경하여 반사되는 빛(A)의 경로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굴절판(200)의 형태는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으로 굴절판(200)의 형태는 이와 다른 형태로도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201)이 곡면 상에 형성되는 경우, 곡면은 적어도 한번 휨 방향이 반전되어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굴절판(200)의 사이로 반사되는 빛(A)은 서로 다른 굴절판(200)에 형성된 반사면(201)의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광 경로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경로가 변경되는 반사광의 적어도 일부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로를 통해서 굴절판(200) 사이를 통과하여 블라인드 장치(1)의 일 측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이로써 굴절판(200)의 반사면(201) 사이로 반사되어 통과된 빛(A)을 블라인드 장치(1) 일 측에서 용이하게 채광할 수 있다.
외부에서 블라인드 장치(1)를 바라보는 시선(B)은 일직선 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전술한 직진광과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판(200)의 굴절된 부분으로 인해 모두 차단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어느 방향으로 블라인드 장치(1)를 들여다 보더라도 굴절판(200)을 보게 될 뿐이며, 굴절판(200)의 반사면(201)에 형성된 크게 왜곡된 상이나 오히려 반사면(201)을 통해 반사된 외부의 상을 인지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블라인드 장치(1) 반대편의 실내공간을 외부로 노출하지 않으면서도 반사광을 통해 외부광을 용이하게 채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굴절판(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부분 또는 볼록한 부분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굴절판(200)의 표면에 곡면으로 형성되는 반사면(201) 사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빛(A)이 반사되어 광 경로를 형성하고 블라이든 장치(1)의 일 측으로 통과하여 나올 수 있다. 따라서, 빛(A)을 용이하게 채광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부분은 오목한 부분의 내측을 향해 배치되므로 굴절판(200) 사이로 직진하는 직진광이나 일직선 상으로 형성되는 시선(B)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두 차단이 가능하다.
굴절판(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경사진 평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 때 반사면(201)은 평면 상에 형성되되 서로 인접한 굴절판(200)의 평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이 불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경사진 정도가 불일치하는 서로 다른 평면 사이에서 빛(A)이 반복적으로 반사됨으로써 빛(A)의 반사경로가 반복적으로 변경되고, 반사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가 굴절판(200)의 사이를 통과하여 블라인드 장치(1)의 일 측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이와 같이 굴절판(200)의 반사면(201) 사이로 반사되어 통과되어 나온 빛(A)을 블라인드 장치(1)의 일 측에서 역시 용이하게 채광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블라인드 장치(1)를 바라보는 시선(B)은 굴절판(200)의 경사진 평면 사이에 형성된 굴절된 공간을 통과하지 못하고 굴절판(200)과 만나 모두 차단되게 된다. 경사진 평면의 길이, 경사각의 크기, 서로 인접한 평면의 경사각이 불일치하는 정도, 경사진 평면의 연결패턴, 경사각이 변화하는 정도 등을 변경하여 반사되는 빛(A)의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굴절판(200)의 형태 역시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으로 굴절판(200)의 형태는 이와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서로 경사각이 불일치하는 평면 사이에서 반사되는 빛(A)은 평면 사이에서 반사되었다 하더라도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평면을 지날 때마다 입사각과 반사각이 바뀌어 실질적으로 난반사에 가까운 광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블라인드 장치(1)를 들여다 보더라도 역시 굴절판(200)을 보게 될 뿐이며, 굴절판(200)의 반사면(201)에 형성된 크게 왜곡된 상이나 오히려 반사면(201)을 통해 반사된 외부의 상을 인지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블라인드 장치(1) 반대편의 실내공간을 외부로 노출하지 않으면서도 반사광을 통해 외부광을 용이하게 채광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블라인드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와 같은 블라인드 장치(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창가 외벽(2)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블라인드 장치(1)의 외부에서 입사되는 직진광(A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블라인드 장치(1)를 통과하지 못하고 모두 차단되며, 블라인드 장치(1)의 굴절판(200) 사이에서 반사된 반사광(A2)만이 블라인드 장치(1)를 통과한다. 따라서, 직사광이나 일직선 상으로 형성되는 외부시선을 용이하게 차단하면서도 실내에서 용이하게 채광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 개의 굴절판(200)은 모두 서로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도 2 내지 도 5참조), 굴절판(200) 사이의 굴절된 공간을 통해서 외기(C)가 자유롭게 유입되고 순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라인드 장치(1)를 설치하여 직진광(A1)은 차단하면서도 채광 및 통풍이 매우 용이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명확하고 간결하도록, 전술한 부분과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을 진행하고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전술한 설명사항으로 설명을 대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블라인드 장치의 굴절판이 움직여 정렬상태가 변경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1-1)는 굴절판(200)이 프레임(100)에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된다. 따라서, 굴절판(200)이 움직여 반사면(201)의 정렬상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반사면(201)의 정렬상태를 변경하여 채광량을 알맞게 조절하거나, 통풍량을 조절하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블라인드 장치(1-1)는 굴절판(200)이 움직이는 정도나 움직이는 방식 등을 필요에 따라 알맞게 형성하여 창 전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굴절판(200)은 예를 들어, 프레임(10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결합방식을 조합하여 복수 개의 굴절판(200)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조작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1-1)는 굴절판(200)이 프레임(100)상에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블라인드 장치(1-1)는 굴절판(200)과 프레임(100)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300)과, 회전축(300)으로부터 이격되어 굴절판(200)의 일 측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400)는 프레임(100)을 따라 평행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굴절판(200)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다.
링크부재(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연장방향을 따라 프레임(10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재(400)와 굴절판(200)은 힌지축(4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일 측에 유동홈(420)을 형성하여 힌지축(410)을 삽입할 수 있다. 유동홈(420)은 굴절판(200)의 회전에 의한 힌지축(410)의 위치변화를 감안하여 장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00)은 굴절판(2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재(400)를 움직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판(20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굴절판(200)의 정렬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즉, 링크부재(400)를 슬라이딩시켜 힌지축(410)으로 외력을 전달하고, 힌지축(410)에 전달된 외력이 회전축(300)에 고정된 굴절판(20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부재(400)를 조절하여 링크부재(400)에 힌지 결합된 복수 개의 굴절판(200) 전체를 용이하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링크부재(400) 일 측으로 돌출된 조작핸들(430)을 파지하여 링크부재(400)를 슬라이딩 시키고 굴절판(20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굴절판(200) 표면에 형성된 반사면(201)의 정렬상태를 원하는 상태로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블라인드 장치 2: 외벽
100: 프레임 200: 굴절판
201: 반사면 210: 볼록부
220: 오목부 300: 회전축
400: 링크부재 410: 힌지축
420: 유동홈 430: 조작핸들
A: 빛 B: 시선
A1: 직진광 A2: 반사광
C: 외기

Claims (8)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열되며 적어도 일부가 굴절된 복수 개의 굴절판; 및
    상기 굴절판의 양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 사이로 직진광이 직접 통과하지 않으며 상기 반사면에 반사되는 반사광을 통과시키는 블라인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은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굴절되는 블라인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은 각각 일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가 인접한 굴절판의 상기 오목부 내측을 향해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 사이로 통과하는 직진광을 차단하는 블라인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은 각각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면은 상기 곡면 상에 형성되는 블라인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적어도 한번 휨 방향이 반전되어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연속되는 반지하용 블라인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굴절판은 각각 경사진 평면을 포함하여 상기 반사면이 상기 평면 상에 형성되되, 서로 인접한 굴절판의 상기 평면은 경사각이 불일치하는 블라인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판은 상기 프레임에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되어, 상기 굴절판이 움직여 상기 반사면의 정렬상태가 변경되는 블라인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상기 굴절판의 일 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을 따라 평행 이동하여 상기 굴절판에 회전력을 가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KR1020150066856A 2015-05-13 2015-05-13 블라인드 장치 KR20160133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856A KR20160133823A (ko) 2015-05-13 2015-05-13 블라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856A KR20160133823A (ko) 2015-05-13 2015-05-13 블라인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823A true KR20160133823A (ko) 2016-11-23

Family

ID=5754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856A KR20160133823A (ko) 2015-05-13 2015-05-13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38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9143A (zh) * 2017-02-27 2017-05-17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有利于防雨的通风百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520A (ko) 2009-01-30 2010-08-09 (주)한국윈텍 이중 블라인드시트 및 이중 롤 유닛을 갖는 블라인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520A (ko) 2009-01-30 2010-08-09 (주)한국윈텍 이중 블라인드시트 및 이중 롤 유닛을 갖는 블라인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9143A (zh) * 2017-02-27 2017-05-17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有利于防雨的通风百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3733A (en) Venetian blind having prismatic reflective slats
US6435683B1 (en) Optical components for daylighting and other purposes
US5999316A (en) Light valve with rotating polarizing element
US9784030B2 (en) Louvered light re-directing structure
KR101219095B1 (ko)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KR20160133823A (ko) 블라인드 장치
WO2006002184A2 (en) Window shutter system with operas a louvers
JP2011060714A (ja) 昼光照明及びその他用途のための工学部品
US20110192551A1 (en) Window blind assembly
US5765307A (en) Window blind systems
US6176289B1 (en) Blind system for windows
JP7006919B2 (ja) ブラインド
JP6360772B2 (ja) 建具
KR20160116073A (ko) 태양광 패널이 구비되는 차광 전환형 광선반 장치 및 상기 광선반 장치가 구비된 건축물
KR101083772B1 (ko) 내측틀과 외측틀을 갖는 창틀
KR101736295B1 (ko) 차광 전환형 광선반 장치 및 상기 광선반 장치가 구비된 건축물
WO2011064765A2 (en) Light guiding venetian blinds with prism-shaped slat surfaces
JP2007239387A (ja) ブラインドおよび建具
JP3098637U (ja) ルーバー装置とこれに用いるルーバー。
JP2003263909A (ja) 柱状構造体による採光装置
US20120193039A1 (en) Window shade with reflective and aesthetic features
JP6173417B2 (ja) 導光手段を設けたスライド扉
TWI660111B (zh) 具通風、防窺視以及提升採光功能之門或窗結構
RU2374414C2 (ru) Петля
JP3914515B2 (ja) 窓枠およびこれを備えた複合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