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557A - 다단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 Google Patents

다단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557A
KR20160133557A KR1020167029003A KR20167029003A KR20160133557A KR 20160133557 A KR20160133557 A KR 20160133557A KR 1020167029003 A KR1020167029003 A KR 1020167029003A KR 20167029003 A KR20167029003 A KR 20167029003A KR 20160133557 A KR20160133557 A KR 20160133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upling
coupler
coupler housing
pat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크 바이스
Original Assignee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filed Critical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13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H01P5/183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at least one of the guides being a coaxial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H01P5/184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the guides being strip lines or microstrips
    • H01P5/187Broadside coupled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01P5/085Coaxial-line/strip-line transitio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개선된 다단계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는, 특히, 다음과 같은 특징들, 즉 두 개의 연속하는 결합부들(21a, 21b, 21c; 23a, 23b, 23c)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접합부(27)가 a) 선 두께(LD)의 변화 및/또는 b) 선 폭(LB)의 변화 및/또는 c) 두 개의 결합 라인(21, 23)의 인접한 결합부들(21a, 21b, 21c; 23a, 23b, 23c) 사이의 결합 거리(KA)의 변화를 가지며, 결합기 하우징(1)에 연결된 전기 도전성 커버(29)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인 접합부(27)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특징들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Description

다단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MULTI-STAGE BROADBAND DIRECTIONAL COUPLE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다단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시스템에서, 신호를, 예를 들어 전력 P의 신호를 임의의 소정의 동력 분할 시에 두 신호로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별한 경우에서, 동력을 각각의 경우로 50%를 분할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대체적으로 하이브리드 링 결합기가 사용된다. 이 유형의 하이브리드 링 결합기는 특히 진케 브룬스윅(Zinke Brunswig)저, "고주파 기술(Hochfrequenztechnik)", 스프링거-출판사, 6판, 2000년, 특히 192쪽에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링 결합기는 마이크로스트립 도전체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빈번하다.
그러나, 더 나아가, 결합의 정도가 일반적으로 단부 면들 또는 종방향 면들에 결합된 라인을 통해 설정되는 고주파 결합기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더 높은 결합 레벨을 위해서는, 그러한 고주파 결합기들이 전력 분배기에 필요하고, 그 고주파 결합기들의 거리는 대체적으로 아주 작거나, 혹은 심지어는 그 고주파 결합기들을 더 이상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작다.
따라서, 예를 들면, 현수식 기판(suspended substrate)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된 방향성 결합기도 미국 특허 US 6,946,927 B2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즉, 결합 경로가 스트립라인 기술을 이용하여 기판의 한쪽에 설치되어, 두 개의 제1 및 제2 단자에 연결되고, 또한 스트립라인 기술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구성된다. 기판의 반대 측에는 제3 및 제4 출력부 또는 단자로 이어지는 제 2 결합 경로가 추가로 배치된다. 평면도에서 보면, 두 개의 결합 경로가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배열된다.
더욱 개선된 고주파 결합기, 특히 협대역 결합기 또는 전력 분배기의 형태의 고주파 결합기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공보 EP 1 867 003 B9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르면, 개선은 또한 두 개의 결합 경로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 경로와 접지 사이에 각각 결합된 인터디지털 커패시터들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동일 평면 라인(coplanar line) 기술을 이용하는 방향성 결합기의 주요 단점들은, 특히, 종방향 면들에 결합된 도전성 경로들 사이에 필요한 최소 거리와, 이에 따라 역시 제한되는 결합 계수에 관련된다. 또한, 결합 계수는 공차에 크게 의존한다(에칭 공차와 기판 재료의 유전 상수의 변동은 불리하게 영향을 미친다). 또한, 동일 평면 라인 기술을 이용하는 결합기는 유전 손실과 관련하여서는 최적이 아니다.
TEM 파의 전파를 허용하는 방향성 결합기를 사용하게 되면 순방향 파와 역방향 파의 이상적인 분리도 추가로 가능해진다. 마이크로스트립 또는 동일 평면 라인 기술을 이용한 방향성 결합기는 순수 TEM 파의 전파를 가능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동축 라인 기술을 이용한 방향성 결합기가 사용된다.
그러나, 동축 라인 기술을 이용한 방향성 결합기 또는 전력 분배기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종래의 방향성 결합기에서는, 결합기의 상이한 스테이지들을 위해 아주 다른 하우징 내부 폭들을 가져야 하는 하우징을, 매우 정밀하게 밀링 가공해서 제조해야 한다. 따라서, 특히 스테이지로부터 그 다음의 스테이지까지의 전이부에서의 배치가 아주 중요한데, 왜냐하면 결합 라인과 관련해서 보고 그리고 내부 하우징 벽들로부터의 거리와 관련해서 보면, 그 전이부에는 정밀한 치수가 고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곳에서는 심지어 최소 편차도 비교적 강하게 바뀌는 전기 특성 값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 손실 및 제조 공차의 관점에서 종래의 해결책과 비교하여 개선된, 개선된 방향성 결합기, 특히 3dB 결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 따른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기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는 종래 기술에 비해 중요한 장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는 매우 우수한 전기적 값을 유지하면서 낮은 공차 민감도를 갖는다는 점에 의해 주로 구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기의 하우징은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결합기는 제조 및 보정이 간단하고, 종래의 해결책보다 전반적으로 더 비용 효율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는 사출 성형 부품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외부 도전체로서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형태의 사출 성형 부품은 하우징 내부와 관련하여 후속 가공을 거치거나 혹은 거쳐야 하지만, 이 형태의 사출 성형 하우징의 제조는,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전에 밀링 가공되어야 하는 하우징에 비해, 훨씬 더 비용 효율적이다. 하우징은 사전에 밀링 가공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이 유형의 방향성 결합기는 공차에 크게 의존하며 필요한 정밀도는 밀링 가공된 하우징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고수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는 다단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의 두 결합 경로의 결합부가 전이 영역 - 이 전이부는 정확하게 단열(斷裂)될 필요는 없고 오히려 어떤 거리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생길 수 있지만, 간결성을 위해 불연속부라고도 칭함 - 에 의해 서로에 대해 한정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이러한 전이 지점들에서, 결합부들은 변경된 선 단면을, 즉 결합부의 선 두께 및/또는 선 폭의 변화 및/또는 결합 거리, 즉 두 개의 인접하지만 동전기적으로 분리된 결합 라인들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갖는다. 이어서, 용량성으로 작용하는 차폐부가 그 전이 영역의 결합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전이 영역을 위한 보정 장치로서 제공된다.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결합기 하우징이 결합 경로에 걸쳐서 다소 동일한 하우징 내부의 폭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또는 이 하우징 내부 폭만 하우징의 길이에 걸쳐 비교적 약간 변화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의 다단 방향성 결합기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 폭은 각 결합부와 관련해서 크게 변한다. 초기 결합부로부터 후속 또는 중앙 결합부까지는 하우징 내부 폭을 2배 내지 3배 더 크게 구성해야 하는 것이 더할 나위 없이 정상적이었다. 내부의 비율과 치수는 특히 한 결합부로부터 그 다음의 결합부까지의 전이 영역들에서는 여전히 극히 정확하게 고수되어야 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거리, 특히 서로 가장 가까이 위치된 결합부들 사이의 결합 거리가, 작은 치수일 수 있는 유전성 스페이서들(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플레이트 등의 형태)을 서로 가장 가까이 위치된 상기 결합부들 사이에 삽입 및/또는 고정할 수 있는 가능성에 의해, 후속해서 약간 미세 조정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맥락에서의 하나 또는 다수의 추가 이점은 결합기 하우징이 분리 면을 따라 두 개의 동일한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들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 각각은 기본적으로 두 개의 결합 경로 중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우징 절반부 각각이 그와 연관된 결합 경로를 따라 장착될 수 있고, 이어서 그 두 개의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들을 조립함으로써 완전한 결합기 하우징이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들, 세부 사항들, 및 특징들은 아래에서 다음과 같은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묘사되는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
도 1은 닫힌 방향성 결합기 하우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의 제1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를 관통해서 도시한 수직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중심에서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하우징 절반부의 높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를 관통해서 도시한 수평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응하지만 도 4와는 다르며 다르게 형성된 차폐부를 갖는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선 C-C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다단 방향성 결합기는 예를 들어 3dB 방향성 결합기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결합 경로는 50:50 이외의 전력 분할도 언제든지 가능하도록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은 결합기 하우징(1)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결합기 하우징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크기 측면에서 동일하게 형성된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를 포함한다.
즉, 두 개의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는 그들의 분리면(3)을 가로지르는 길이, 폭, 및 높이가 동일하다.
두 개의 인접한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는 이들의 개방면(5)에서 볼 때에 동일하게 형성(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180° 회전을 통해 그 절반부들의 개방면(5)과 함께 서로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되되, 두 개의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의, 분리면(3)에 위치된 하우징 절반부 접촉면들(7) 각각이 하우징 내부(9) 내부에 제공된 결합 경로(이하에서 설명됨)를 포함해서 서로에 대해 배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어떠한 방향성 결합기와 마찬가지로, 방향성 결합기는 적어도 세 개의 포트를,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네 개의 포트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동축 인터페이스(11, 13, 15, 17)가 각 포트에 설치되어, 각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가 두 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면(19) 상에 동축 인터페이스(11, 13 또는 15, 17)를 구비한다. 그러나, 하우징의 내부에 연결된 대응하는 라인들, 특히 동축 케이블들도, 동일하게, 하우징의 밖으로 안내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역시 이 경우의 포트들을 참조한다. 두 개의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 중 하나와 연관된 두 개의 동축 인터페이스(11, 13)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결합 경로들 중 하나에 연결되는 두 개의 포트를 형성하는 반면에, 다른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b)에 제공되는 다른 두 개의 동축 플러그 커플링(15, 17)은 제2 결합 경로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그의 단부들에 있는 결합 경로들의 연결은 궁극적으로는 동축 라인 시스템에 의해 일례로 동축 라인의 형태로 제공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전기 작동 모드는, 하나의 동축 결합 플러그의 전자파 입력이 대응하는 전력 분할부를 갖는 출력부들을 형성하는 두 개의 대향 동축 플러그 결합부들에서 결합 비에 따라 출력되도록 하는 반면에 이상적으로는 입력 측의 나머지 네 개의 포트에서는 에너지가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하우징과 결합 경로를 종방향으로 관통해서 연장되는 단면도인 도 2와, 분리면(3)에서의 종방향 단면도인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의 구성을, 특히 내부를 포함해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상부의 방향성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를, 내부 도시를 포함해서 도시하고 있는데, 제2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b)는 이와 관련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은 하나의 결합 경로를 갖는 하나의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만 도시하고 있지만, 제1 하우징 절반부(1a)와 제2 하우징 절반부(1b) 모두의 연관된 결합 경로, 결합부 등에 대응하는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면에서, 두 개의 결합 경로(21, 23)는 다단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결합부들로, 구체적으로는 제1 결합 경로(21)에 있어서는 결합부들(21a, 21b, 21c)로, 제2 결합 경로(23)에 있어서는 결합부(23a, 23b, 23c)로 세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결합 경로(21, 23)의 제1 결합부와 제3 결합부 각각은 적어도 그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중앙 수직면(E)에 대해서 대칭되게 구성된다.
결합부들 각각은 (수직 방향에서 면(3)에 대해 수직한) 선 폭 LB 및 선 두께 LD를, 즉 특정의 재료 단면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서 세 개의 결합부 각각은 두 개의 인접한 결합부들(21a와 23a, 또는 21b와 23b, 또는 21c와 23c) 사이의 결합 거리 KA로 특징지어진다.
결합 경로(21, 23)의 재료 단면, 즉 두 개의 인접한 결합부들 사이의 결합 폭 및/또는 결합 높이 및/또는 결합 거리가 변화하는 전이 영역들(27)이 두 개의 결합 경로(21, 23) 각각의 연속하는 결합부들(21a, 21b, 21c; 또는 23a, 23b, 23c) 사이에 형성된다.
각 결합부의 길이는 결합기의 중간 대역 작동 주파수를 위해 적어도 대략 λ/4에 실질적으로 해당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폐부들(29)이 각각의 연속하는 결합부들 사이의 전이 영역(27)에서 하우징 내부(9)에 형성된다. 이 차폐부들(29)은, 하우징 내부(9)의 종방향 내면(31)에 대해 횡 방향으로, 특히 수직으로 연장되게 배향되고, 이에 따라 결합기 하우징(1)의 종방향이고 그래서 결합 경로(21, 23)의 종방향이 되는 종방향(L)에 대해 다소 수직으로 연장되게 배향되는 차폐 웨브(29')로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전이 영역(27)에 두 개의 차폐 웨브(29')가 제공되고, 그 차폐 웨브 각각은 하우징 내부(9)의 두 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내면(31)으로부터 결합 경로(21, 23) 방향으로 돌출하고,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내면(31)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고, 관련된 결합 경로의 측부 측면들(측벽부들)로부터 짧은 거리를 두고 전이 영역(27)에서 끝난다.
이러한 차폐 웨브(29') 각각은 하우징 내부(9)를 한정하는 관련된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의 기부(33)까지 연장되고, 여기서 상기 차폐 웨브들은 연관된 하우징 절반부(1a, 1b)의 재료에, 특히 재료 삽착부에 연결된다. 그러나, 차폐부들(29) 또는 차폐 웨브들(29')을 기부(33) 전에서, 혹은 기부에 의해 형성된 기부면(33) 전에서 끝나게 해서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차폐부(29), 즉 차폐 웨브(29')는, 두 개의 하우징 절반부들이 그의 하우징 주변 가장자리(3')에서 서로에 대해 놓여서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분리면(3) 바로 전에서, 즉 하우징 주변 가장자리(3') 전에서 끝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차폐부(29)는 또한, 차폐 웨브들(29')이 (도 2, 도 3,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의 위에 배열된 결합 경로(21, 23)의 측면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고 대신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와는 다르게 하부 및 상부 결합 경로(21, 23) 위와 아래로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차폐부(29)와 차폐 웨브(29')가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의 내부 측면(31)에 대해 횡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되고, 이에 따라 내부(9)의 전체 폭에 걸쳐서 각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에 일체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이 차폐부들은 두 개의 하우징 절반부들 사이의 분리면(3)에 걸쳐서 연장되지 않고, 오히려 각각의 하우징 절반부에서만 연장된다.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 각각의 평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 각각의 하우징 내부(9)는 그 하우징 내부(9)의 길이에 걸쳐서 다소간에 동일한 내부 폭 IB을 가지게 구성된다. 하우징 내부(9)를 한정하는 내부의 종방향 면(31)은 하우징 내부의 단부 면 영역들에서,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둥근 벽부(34)를 통하여 내부 단부 면(32) 안으로 단지 전이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은, 대체로, 그의 전체 내부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된 하우징 내부 폭 IB를 가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는 주조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우징의 내면과 기부면을 필요에 따라 후가공할 수 있다. 이 결과, 또한 종래의 해결책에서보다 공차 민감도가 낮아진 결과, 주조 부품의 형태로 제조된 결합기 하우징을 사용할 수 있다.
결합 높이는, 결합 경로의 형성에 의해, 즉 각각의 결합부의 대응하는 단면 변화에 의해, 그리고/또는 특히 서로 가장 근접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결합부들 사이의 결합 거리,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중심 결합부들(21a, 23b) 사이의 결합 거리 KA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고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정확한 거리 조정 및/또는 결합 계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절연체 또는 유전체(35)가 그 지점에 개재되거나, 선택적으로는 구멍에 고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1b, 23b)의 구멍(37)을 넘어 돌출하는 절연체의 스페이서 림이 두 개의 결합부들(21b, 23b) 사이의 최소 거리를 한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결합 경로(21, 23) 각각은 절연체 또는 유전체 형태의 두 개의 스페이서 또는 지지 장치에 의해서 유지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제1 결합 경로(21)는 스페이서 또는 지지 장치(39a, 39b)에 의해서, 제2 결합 경로(23)는 스페이서 또는 지지 장치(41a, 41b)에 의해서 유지된다. 유지 및 조정을 위한 이들 지지 요소들(39a, 39b 및 41a, 41b)은 예를 들어 핀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대응하는 결합부 구멍들(45)에 맞물리는 결합 지지 요소들의 견부에 대향하는, 대응하는 내부 하우징 구멍들(43) 안으로 삽입된다. 결국,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멍의 직경을 넘어 돌출하는 재료 견부(45a)가 제공되는데,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의 각각 인접하는 기부(33)의 바닥면과, 이에 인접한 결합부 기부면(25)에 위치된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두 개의 결합 경로들이 내부 도전체 연결편(47, 도 6참조)을 거쳐서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은 바람직하게는 수나사가 구비된 연결 축(48)을 구비하고, 각각의 연관된 결합부(21a, 21c 또는 23a, 23c)의 단부에서, 암나사가 구비된 가로 구멍(49)에 도 6의 도면에 따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후속해서, 이 내부 도전체 연결편(47)은 연관된 동축 인터페이스(11)의 외부 도전체(53)가 배열된 축 방향 연장부에서 하우징 구멍(51)에 대해서 절연체 판(50)에 의해 떠받쳐지게 유지되고, 바람직하게는, 연관된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 즉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에 일체로 연결된 하우징 견부(1'a 또는 1'b) 상의 나사 연결부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 외향 동축 인터페이스(11)의 영역에서, 연관된 내부 도전체 연결편(47)은, 동축 플러그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종래의 내부 도전체(55) 방식으로, 동축 플러그 커플링의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로부터 벗어나서, 동축 케이블 연결은,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가 형성되지 않은 채로 하우징(9) 또는 하우징 절반부(1a, 1b)의 내부로부터 바로 외측으로 안내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서 완전히 다른 구성들 및 해결책들도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배치의 결과로서, 원칙적으로, 두 개의 결합 경로(21, 23) 각각은 상기 스페이서 또는 지지 요소들(39a, 39b 또는 41a, 41b)이 없어도 연관된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 안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결합기는, 각각이 세 개의 결합부로 세분된 두 개의 결합 경로와, 두 개의 연속하는 결합 영역들 사이마다의 두 개의 전이 영역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로부터 벗어나서 더 많거나 더 적은 결합부들이 결합 경로들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고려하면서, 예를 들어, 두 개의 결합 경로 - 이 결합 경로 각각은 하나의 개재된 전이 영역을 오로지 구비하는 두 개의 연속하는 결합부로 세분됨 - 를 오로지 포함하는 결합기도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합 경로들은 또한 세 개 초과한 결합부들, 예를 들어 네 개, 다섯 개 등의 연속 결합부들 - 이 결합부들은 마찬가지로 재료 단면이 변화하는 대응하는 전이 영역들에 의해 구별되고 그리고/또는 두 개의 연속하는 결합부들 사이의, 이러한 효과로 전환되는, 결합 거리에 의해 구별되는 것이 바람직함 -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의 이점은 동일한 치수의 두 개의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가 바람직하게는 주조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결합 경로들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의 결합기 하우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결합기 하우징도 바람직하게는 주조 부품으로, 예를 들어 알루미늄 주물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남아 있는 일은 상자형 결합기 하우징의 개방면(9)에 편평한 것일 수 있는 커버를 배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이러한 유형의 커버는 반드시 주조 부품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Claims (17)

  1. 다단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로서,
    - 당해 방향성 결합기가, 적어도 두 개의 연속하는 결합부(21a, 21b, 21c; 23a, 23b, 23c)를 각각이 구비하고 있는 두 개의 결합 경로(21, 23)를 포함하고,
    - 상기 두 개의 결합 경로(21, 23) 각각이 적어도 두 개의 결합부(21a, 21b, 21c; 23a, 23b, 23c)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결합부들(21a, 21b, 21c; 23a, 23b, 23c) 사이에 라인 전이부(27)가 마련되고,
    - 상기 두 개의 결합 경로(21, 23)가 하우징 내부(9)에 수용되는 특징들을 갖는, 다단 광대역 결합기에 있어서,
    - 두 개의 연속하는 결합부들(21a, 21b, 21c; 23a, 23b, 23c)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라인 전이부(27)가,
    a) 선 두께(LD)의 변화 및/또는
    b) 선 폭(LB)의 변화 및/또는
    c) 두 개의 결합 라인(21, 23)의 인접한 결합부들(21a, 21b, 21c; 23a, 23b, 23c) 사이의 결합 거리(KA)의 변화를 가지고,
    - 결합기 하우징(1)에 연결되는 전기 도전성 차폐부(29)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인 전이부(27)에 인접하게 마련된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다단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29)는 라인 전이부(27)에 각각 인접한 두 개의 차폐 웨브(29')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 웨브 각각은 결합기 하우징(1)의 내부 종방향 면(31)에 배치 및/또는 배열되고, 서로의 위에 배열된 두 개의 결합 경로(21, 23)를 지나 그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그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29)는, 결합기 하우징(1)의 연관된 기부(33)에 각각 연결되고 결합 경로(21, 23) 위 또는 아래에서 각각의 인접한 결합 경로(21, 23)를 지나 연장되는 차폐 웨브(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차폐 웨브(29')는 각각의 연관된 기부(33) 및/또는 연관된 내부 종방향 면(31)에서 결합기 하우징(1)에 오로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라인 전이부(27)는 결합 경로(21, 23)의 종방향(L)의 길이가 연관된 결합부(21, 21b, 21c; 23a, 23b, 23c)의 1%보다 크고, 특히 2%, 3%, 4%, 5%, 6%, 7%, 8%, 9%, 10%보다 길고, 그리고/또는 연관된 결합부(21a, 21b, 21c; 23a, 23b, 23c)의 30%보다 짧고, 특히 28%, 26%, 24%, 22%, 20%, 18%, 16%, 14%, 12%, 10%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결합기 하우징(1)의 내부 폭(IB)이 상기 연속하는 결합부들(21a, 21b, 21c; 23a, 23b, 23c)의 영역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내부 폭(IB)이 대향하는 결합 경로 단부들에 마련된 연결 지점들을 적어도 포함하는 하우징 내부(9)의 길이(L)에 걸쳐서 30% 미만으로, 특히 20% 미만 또는 10% 미만으로, 특히 5% 미만으로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결합기 하우징에 있어서,
    결합기 하우징(1)이 분리면(3)을 따라 두 개의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기 하우징.
  8. 청구항 7에 있어서,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가 동일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한 결합 경로(21)가 제1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내에 수용되어 유지되고, 다른 결합 경로(23)가 제2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b) 내에 수용되어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각 결합 경로(21)가 그의 단부에서 동축 라인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각 결합 경로(21, 23)의 대향 단부들 각각이 내부 도전체 연결편(47)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은 결합기 하우징(1)을 통해, 특히 연관된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를 통해 연장되고, 결합기 하우징(1)의 영역에 동축 라인 시스템의 내부 도전체 단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전체 연결편(47)이 절연체 편(50)에 의해, 특히 절연체 판 형태의 절연체 편에 의해, 결합기 하우징(1)의, 바람직하게는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의 하우징 구멍(51) 안에 떠받쳐지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두 결합 경로(21, 23) 각각이 결합 경로 단부들에 연결된 내부 도전체 연결편(47)과 절연체 편(50)에 의해서 결합기 하우징(1)에 대해, 특히 연관된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에 대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두 결합 경로(21, 23)를 떠받치기 위해, 그 각각에, 결합 경로(21, 23)를 따라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 장치(39a, 39b; 41a, 41b)가 결합기 하우징(1)의, 특히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의 하우징 내부(9) 및 연관된 결합부(21a, 21c, 23a, 23c) 내에 마련되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유전체로 구성되고 결합 거리(KA)를 최소치와 관련하여 제한하는 스페이서(35)가 서로 가장 근접하게 배열된 결합부들(21b, 23b) 사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9)가 구비되며 두 결합 경로(21, 23)를 안에 수용하는 결합기 하우징(1)이 주물 부품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결합기 하우징(1)이 두 개의 동일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1b)를 포함하고, 한 결합 경로(21)가 한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a) 내에 수용되어 기계식으로 유지되고, 다른 결합 경로(23)가 다른 결합기 하우징 절반부(1b) 내에 수용되어 기계식으로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결합 경로들(21, 23)이 절연 지지 요소(39a, 39b; 41a, 41b; 50)에 의해 결합기 하우징(1)에 대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KR1020167029003A 2014-03-20 2015-02-26 다단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KR201601335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4007.0 2014-03-20
DE102014004007.0A DE102014004007A1 (de) 2014-03-20 2014-03-20 Mehrstufiger Breitband-Richtkoppler
PCT/EP2015/000451 WO2015139813A1 (de) 2014-03-20 2015-02-26 Mehrstufiger breitband-richtkopp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557A true KR20160133557A (ko) 2016-11-22

Family

ID=5262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003A KR20160133557A (ko) 2014-03-20 2015-02-26 다단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43249B2 (ko)
EP (1) EP3120410B8 (ko)
KR (1) KR20160133557A (ko)
CN (1) CN106165194B (ko)
DE (1) DE102014004007A1 (ko)
WO (1) WO20151398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090A (ko) 2017-11-29 2019-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층형 방향성 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6858B (zh) * 2017-04-18 2017-11-07 西安科技大学 一种宽带定向耦合器
CN107492702A (zh) * 2017-07-12 2017-12-19 西安空间无线电技术研究所 一种低pim同轴功分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3277A (en) * 1960-05-02 1963-12-03 Narda Microwave Corp Multi-section asymmetrical coupler
US3166723A (en) * 1961-03-06 1965-01-19 Micro Radionics Inc Variable directional coupler having a movable articulated conductor
US3617952A (en) * 1969-08-27 1971-11-02 Ibm Stepped-impedance directional coupler
US4139827A (en) * 1977-02-16 1979-02-13 Krytar High directivity TEM mode strip line coupl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459568A (en) * 1982-02-02 1984-07-10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Air-stripline overlay hybrid coupler
US4797643A (en) 1987-10-23 1989-01-10 Hughes Aircraft Company Coaxial hybrid coupler and crossing element
JPH05191113A (ja) 1992-01-10 1993-07-30 Fujitsu Ltd ストリップライン回路
US5499001A (en) * 1994-02-24 1996-03-12 Degun; Joginder S. Cavity matched hybrid coupler
US5613859A (en) 1995-11-28 1997-03-25 Watkins-Johnson Company Connector asembly for detachably connecting a printed wiring board to a coaxial transmission lines connector
US6822532B2 (en) * 2002-07-29 2004-11-23 Sage Laboratories, Inc. Suspended-stripline hybrid coupler
US6946927B2 (en) 2003-11-13 2005-09-20 Northrup Grumman Corporation Suspended substrate low loss coupler
DE102005016054A1 (de) 2005-04-07 2006-10-12 Kathrein-Werke Kg Hochfrequenzkoppler oder Leistungsteiler, insbesondere schmalbandiger und/oder 3dB-Koppler oder Leistungstei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090A (ko) 2017-11-29 2019-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층형 방향성 커플러
US10700404B2 (en) 2017-11-29 2020-06-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directional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43249B2 (en) 2019-03-26
WO2015139813A1 (de) 2015-09-24
US20170141451A1 (en) 2017-05-18
EP3120410A1 (de) 2017-01-25
EP3120410B8 (de) 2020-06-17
CN106165194A (zh) 2016-11-23
CN106165194B (zh) 2020-06-19
EP3120410B1 (de) 2020-05-06
DE102014004007A1 (de)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3447B1 (en) Directional coupler having an adjustment means
US20170179559A1 (en) Multi resonator non-adjacent coupling
US90770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changeable dielectric filter within a waveguide
KR20160133557A (ko) 다단 광대역 방향성 결합기
CN111384474A (zh) 超宽带加脊正交模耦合器(omt)
US10644373B2 (en) Ridge waveguide to a partial H-plane waveguide transition
US9184485B2 (en) Directional coupler
JP2014192690A (ja) 方向性結合器
KR101002624B1 (ko) 고주파 전력 분배기
KR101590907B1 (ko) 새로운 강 결합 방법을 이용한 방향성 결합기
JP2014123831A (ja) ループ方向性結合器
WO2014132657A1 (ja) 有極型帯域通過フィルタ
KR101665589B1 (ko) 인공전송선로를 이용한 결합선로 방향성 결합기
KR101713769B1 (ko) 동축 도파관 기반의 공간 전력 결합기
US8314664B2 (en) Microstrip technology hyperfrequency signal coupler
KR101619173B1 (ko) 가변도파기가 구비된 방향성커플러
US9941568B2 (en) Transition device between a printed transmission line and a dielectric waveguide, where a cavity that increases in width and height is formed in the waveguide
US8779871B2 (en) Forward coupler with strip conductors
JP2014022864A (ja) 導波管フィルタ及びデュプレクサ
WO2019111353A1 (ja) 導波管方向性結合器及び偏波分離回路
CN211670303U (zh) 超宽带加脊正交模耦合器(omt)
CN104091999B (zh) E面十字形功分器
JP2012124645A (ja) 方向性結合器
US9368855B2 (en) Planar circuit to waveguide transition having openings formed in a conductive pattern to form a balance line or an unbalance line
US11114735B2 (en) Coaxial to waveguide transducer including an L shape waveguide having an obliquely arranged conduct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