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276A - 높낮이 조절 베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276A
KR20160132276A KR1020150064689A KR20150064689A KR20160132276A KR 20160132276 A KR20160132276 A KR 20160132276A KR 1020150064689 A KR1020150064689 A KR 1020150064689A KR 20150064689 A KR20150064689 A KR 20150064689A KR 20160132276 A KR20160132276 A KR 20160132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orting
height
lower member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956B1 (ko
Inventor
장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to KR1020150064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956B1/ko
Priority to PCT/KR2016/004175 priority patent/WO2016182222A1/ko
Publication of KR2016013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베개가 개시된다. 높낮이 조절 베게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에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를 이동시켜서 상기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하부부재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종동평기어와, 상기 제1 종동평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하부부재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종동평기어와, 상기 제2 종동평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종동평기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종동평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하부부재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종동평기어와, 상기 제1, 3종동평기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종동평기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3종동평기어가 회전하면 회전부재의 경사부에 의해 승 하강 하며 상기 상부부재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베개 {Height-Adjustable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낮이 조절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사용자가 눕거나 수면을 취할 때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것인바, 일반적으로 일정한 높이와 적정한 쿠션(cushion)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베개는, 안에 베갯속이 충전된 베개 몸체(베갯주머니) 및 베개 몸체의 겉에 씌워진 베개 승강패널(베갯잇)로 이루어진다. 베갯속으로는 메밀껍질이나 왕겨, 라텍스(latex)나 스펀지(sponge), 솜이나 털, 기능성 함유물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사이즈 및 자신이 선호하는 기능의 베개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람이 수면을 취할 때 한 가지 자세로만 수면을 취하기는 어렵다. 즉, 수면 중 정자세를 취하기도 하고, 양쪽을 번갈아가면서 옆방향으로 누워서 수면을 취하기도 하며, 때로는 엎드려서 수면을 취하기도 한다.
여기서, 일정 높이를 갖는 베개를 정자세로 베는 경우, 인체의 뒷머리와 경추 및 등부위가 대략 일직선을 이룸으로써, 비교적 높지 않은 베개를 베더라도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나, 동일 높이의 베개를 옆으로 베는 경우, 인체의 한쪽 어깨와 한쪽 얼굴면의 간격차로 인해 경추부위가 휘게 되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수면 자세에 따라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기도 하고, 반대로 낮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기도 한다.
예컨대, 수면 중 정자세를 많이 취하는 사람은 비교적 낮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고, 수면 중 옆으로 누운 자세를 많이 취하는 사람은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선호하게 된다.
일례로, 비교적 낮은 높이의 베개를 벨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자세에서는 뒷머리 면과, 경추 및 등부위가 일직선 상태를 이룸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나, 자세를 바꾸어 옆방향으로 눕게 되면 한쪽 어깨가 바닥(방바닥, 이불면, 매트리스면 등)에 밀착됨에 따라 머리가 상대적으로 바닥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낮은 베개가 머리를 제대로 지지해주지 못하여 경추가 옆으로 휘게 되고, 더욱이 바닥에 밀착되는 어깨부위에 압박이 가해져 편안한 수면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비교적 높은 높이의 베개를 벨 경우, 옆으로 누워 수면을 취하는 상태에서는, 바닥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진 머리부위를 제대로 지지해줌에 따라 경추가 옆으로 휨에 따른 압박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이에 바닥에 밀착되는 어깨 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이 분산되어 상대적으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나, 자세를 바꾸어 정자세로 눕게 되면, 머리가 위로 들려져서 경추부위에 압박이 심해져 결국 편안한 수면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은 자신에게 맞는 높이의 베개를 선택하여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는데, 아무리 자신에 맞는 베개라 할지라도 상기와 같이 눕는 자세에 따라 편안함과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특히,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집에서 자신에 맞는 베개를 베고 수면을 취하기는 하지만, 병원이나 호텔, 콘도와 같이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도 종종 있게 되는데, 이의 경우 다중이용시설에는 일률적인 크기와 쿠션의 베개가 비치되어 있는바, 그 높이가 맞지 않아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베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에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를 이동시켜서 상기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하부부재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종동평기어와, 상기 제1 종동평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하부부재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종동평기어와, 상기 제2 종동평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종동평기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종동평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하부부재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종동평기어와, 상기 제1, 3종동평기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종동평기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3종동평기어가 회전하면 회전부재의 경사부에 의해 승 하강 하며 상기 상부부재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상기 제2 종동평기어에 형성,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한쪽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역회전 방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역회전 방지수단은 상기 제2 종동평기어의 상면에 형성되며 한쪽방향은 경사면이, 반대방향은 걸림턱이 종동평기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레칫기어 및, 상기 레칫기어에 내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한쪽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한쪽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스톱바가 외주연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상기 승강장치에 의하여 이동됨에 따른 상기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상부부재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래크와; 상기 래크와 맞물린 피니언과; 상기 하부부재의 외부에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높낮이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안락한 숙면을 취할 수 있다.
특히, 병원이나 호텔, 콘도와 같이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 적용하면 사용자마다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고객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에 적용된 승강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승강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에 적용된 높이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하부부재인 베이스(20) 및 상부부재인 승강패널(30)을 포함한다. 베이스(20)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된 구조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승강패널(30)은 베이스(2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베이스(20)와 승강패널(30)은 베개 몸체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베이스(20)에 대하여 승강패널(3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승강패널(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100)를 더 포함한다.
승강패널(30) 상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탄력성 있게 받치기 위한 쿠션(40)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쿠션(40)은 승강패널(30)이 승강장치(100)의 작동으로 승강되면 승강패널(30)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이동된다.
승강장치(100)는, 베이스(20)의 벽체(예를 들어, 앞벽)를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기어(110), 상기 구동기어(110)와 치합된 단수 또는 복수의 제1 종동평기어(120), 제1 종동평기어(120)와 치합되도록 설치된 제2 종동평기어(130), 제2 종동평기어(130)를 기준으로 제1 종동평기어(120)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제2 종동평기어(130) 치합되는 제3 종동평기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기어(110), 제1 종동기어(120), 제2 종동평기어(130) 및 제3 종동평기어(140)는 각각 베이스(20) 바닥에 형성된 축(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구동기어(110)는 베이스(20)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기어(110)는 베이스(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동기어(110)는 회전력을 제1 종동평기어(1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종동평기어(120)는 베이스(20)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종동평기어(120)는 구동기어(110)와 치합되며, 구동기어(11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종동평기어(12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종동평기어(130)는 제1 종동평기어(120)의 주위에 배치되며, 베이스(20)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종동평기어(130)는 제1 종동평기어(120)와 치합될 수 있다. 제2 종동평기어(130)는 제2 종동평기어(13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2 종동평기어(130)의 상면에는 원형의 홈(h)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홈(h)의 내주면을 따라 래칫기어(171)가 형성되고 홈(h)의 중심부에는 스토퍼(172)가 형성되어 회전부재(150)의 회전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제3 종동평기어(140)는 제2 종동평기어(130)의 주위에 배치되며 베이스(20)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 종동평기어(140)는 제2 종동평기어(130)와 치합될 수 있다. 제3 종동평기어(140)는 제2 종동평기어(13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3 종동평기어(14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종동평기어(120), 제2 종동평기어(130), 제3 종동평기어(140)가 구동기어(110)에서 제동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기어(110)가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구동기어(110)와 치합된 단수 또는 복수의 제1 종동평기어(120)가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종동평기어(120)와 치합된 제2 종동평기어(130)도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2 종동평기어(130)와 치합된 단수 또는 복수의 제3 종동평기어(140)도 축선을 기준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승강장치(100)는, 제1, 3 종동평기어(120, 140)들의 상부에 각각 제1, 3 종동평기어(120, 140)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 회전부재(150), 승강패널(30)로부터 회전부재(150)들 쪽으로 각각 돌출된 접촉부재(160) 및 회전부재(150)가 회전하는 방향을 제어하는 역회전 방지수단(170)을 더 포함한다.
각 회전부재(150)는 제1 종동평기어(120) 및 제3 종동평기어(140)의 상부에 형성된다. 각 회전부재(150)는 제1 종동평기어(120) 및 제3 종동평기어(14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도면을 기준으로는 반시계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부(151)가 마련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경사부(151)의 오르막 경사는 나선 형태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재(160)는 회전부재(150)의 경사부(151)에 접촉된다. 접촉부재(160)는 승강패널(30)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접촉부재(160)는 승강패널(3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재(160)는 회전부재(150)가 회전하고 회전부재(150)를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경사부(151)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며 승강패널(3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킨다. 이때, 접촉부재(160)는 회전부재가 회전 시 경사부(15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회전 방지수단(170)은 제2 종동평기어(130)에 형성되며 회전부재(150)가 한쪽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회전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역회전 방지수단(170)은 래칫기어(171)와 스토퍼(172)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칫기어(171)는 제2 종동평기어(130)의 상면에 형성된 원형의 홈(h)에 형성될 수 있다. 레칫기어(171)는 홈(h)의 내주면을 따라 톱니 형상의 기어 이(gear tooth)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래칫기어(171)의 기어 이(gear tooth)의 한쪽방향은 경사면(171a)이 형성되고, 경사면(171a)과 마주보는 반대방향은 걸림턱(171b)으로 형성된다. 래칫기어(171)의 경사면(171a)과 걸림턱(171b) 구성되는 기어 이(gear tooth)는 홈(h)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72)는 래칫기어(171)에 내접하도록 배치된다. 스토퍼(172)는 회전부재(150)가 한쪽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회전부재(15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한한다. 스토퍼(172)는 제2 종동평기어(13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스토퍼(172)는 제2 종동평기어(130)를 따라 회전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스토퍼(172)는 제2 종동평기어(130)와 하나의 축이 아닌 서로 다른 축에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종동평기어(130)는 베이스(20) 바닥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축(도시되지 않음)에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결합하고 스토퍼(172)는 축(도시되지 않음)의 상면에 고정 또는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172)는 스톱바(172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톱바(172b)는 한쪽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스톱바(172a)는 스토퍼(172)의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톱바(172b)는 래칫기어(171)의 경사면(171a) 또는 걸림턱(171b)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톱바(172b)는 도 4에서와 같이 회전부재(1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경사면(171a)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변형되고 경사면(171a)이 끝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가며 다음 경사면(171a)에 밀착된다. 만약 회전부재(170)의 회전이 계속되면 스톱바(172b)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스톱바(172b)는 회전부재(170)가 상술한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부재(17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톱바(172b)는 도 4를 기준으로 회전부재(1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부재(170)의 회전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스톱바(172b)는 회전부재(1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하게되면 스톱바(172b)의 끝단이 걸림턱(171b)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역회전 방지수단(170)의 레칫기어(171)와 스토퍼(172)를 통해 회전부재(170)가 한쪽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할 수 있으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승강패널(30)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수단은, 승강패널(3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도시되지 않음), 베이스(20)에 마련되며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한 핀 삽입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핀과 핀 삽입부재(50)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 베개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촉부재(160)들이 경사부(151) 사이에 형성된 제1 종동평기어(120) 및 제3 종동평기어(140)의 상면에 위치되면, 승강패널(30)은 가장 낮은 위치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기어(110)를 도 4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기어(110)와 치합된 제1 종동평기어(120)가 축선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종동평기어(120)와 치합된 제2 종동평기어(130)는 축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2 종동평기어(130)와 치합된 제3 종동평기어(140)는 축선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도 4를 기준으로 구동기어(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종동평기어(120)와 제3 종동평기어(1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종동평기어(1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접촉부재(160)들은 최하단의 경사부(151)에 접촉하며 회전이 지속되면 경사부(151)를 따라 점점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승강패널(130)도 접촉부재(160)와 함께 상승된다.
이때, 역회전 방지수단(170)은 회전부재(15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을 제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스톱바(172b)가 제2 종동평기어(130)에 형성된 레칫기어(171)의 경사면(171a)에 슬라이딩 되며 변형되었다가 경사면(171a)이 끝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오며 다음 경사면(171a)에 밀착되는 과정을 회전부재(150)의 회전에 따라 반복한다.
계속하여 구동기어(110)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경사부(151)를 따라 접촉부재(160)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승강패널(30) 또한 높이가 계속적으로 상승되다가 접촉부재(160)가 경사부(151)의 경사가 형성된 부분을 넘어가면 자연스럽게 접촉부재(160)는 처음 위치인 제1 종동평기어(120) 및 제3 종동평기어(140)의 상면까지 하강한다. 물론 승강패널(30)도 접촉부재(160)를 따라 하강한다.
반면에, 구동기어(110)를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역회전 방지수단(170)은 회전부재(150)가 자유롭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회전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구동기어(110)를 도 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기어(110)와 치합된 제1 종동평기어(120)가 축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종동평기어(120)와 치합된 제2 종동평기어(130)는 축선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스톱바(172b)의 끝단이 래칫기어(171)의 걸림턱(171b)에 걸려 더 이상 회전부재(150)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즉 제2 종동평기어(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톱바(172b)는 경사면(171a)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변형과 복원을 반복하며 제2 종동평기어(13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제1 종동평기어(120)와 제3 종동평기어(1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부재(150)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접촉부재(160)를 경사부(151)를 따라 상승시킨다.
반면에, 제2 종동평기어(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톱바(172b)의 끝단이 걸림턱(171b)에 걸려 제2 종동평기어(130)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물론, 제2 종동평기어(130)가 회전하지 못하므로 제2 종동평기어(130)와 치합된 제1 종동평기어(120)와 제3 종동평기어(140)도 함께 회전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제1 종동평기어(120)와 제3 종동평기어(14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부재(150)도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도 7의 도면부호 200은 승강장치(100)에 의하여 승강된 승강패널(30)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도 7과 함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200)는, 승강패널(3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베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래크(210), 래크(210)와 맞물리며 베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된 피니언(220), 피니언(220)과 맞물리며 베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된 작동기어(230), 베이스(20)의 외부에 배치되고 작동기어(230)의 축 상에 장착되어 작동기어(230)와 함께 회전되며 높낮이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재(24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베이스(20)에서 표시부재(240)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지시부가 마련되고 표시부재(240)의 높낮이 표시부가 나타내는 높낮이를 지시부가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200)는, 승강패널(30)이 승강되면 래크(210)가 동일방향으로 함께 승강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220) 및 작동기어(230)가 회전됨과 아울러 표시부재(240)가 회전되면서 승강된 승강패널(30)의 높낮이가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는 표시부재(240)의 높낮이 표시부를 통하여 승강된 승강패널(30)의 높낮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승강패널(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20 : 베이스
30 : 승강패널
100 : 승강장치
110 : 구동기어
120 : 제1 종동평기어
130 : 제2 종동평기어
140 : 제3 종동평기어
150 : 회전부재
151 : 경사부
160 : 접촉부재
170 : 역회전 방지수단
171 : 레칫기어
171a : 경사면
171b : 걸림턱
172 : 스토퍼
172a : 스톱바
200 : 표시장치
210 : 래크
220 : 피니언
230 : 작동기어
240 : 표시부재

Claims (4)

  1.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에 상기 하부부재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를 이동시켜서 상기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하부부재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종동평기어;
    상기 제1 종동평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하부부재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종동평기어;
    상기 제2 종동평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종동평기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종동평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하부부재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종동평기어;
    상기 제1, 3종동평기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3종동평기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3종동평기어가 회전하면 회전부재의 경사부에 의해 승 하강 하며 상기 상부부재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동평기어에 형성,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한쪽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역회전 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역회전 방지수단은,
    상기 제2 종동평기어의 상면에 형성되며 한쪽방향은 경사면이, 반대방향은 걸림턱이 종동평기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레칫기어 및;
    상기 레칫기어에 내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한쪽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한쪽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스톱바가 외주연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베게.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에 의한 상기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상부부재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래크와;
    상기 래크와 맞물린 피니언과;
    상기 하부부재의 외부에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높낮이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KR1020150064689A 2015-05-08 2015-05-08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86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689A KR101686956B1 (ko) 2015-05-08 2015-05-08 높낮이 조절 베개
PCT/KR2016/004175 WO2016182222A1 (ko) 2015-05-08 2016-04-21 높낮이 조절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689A KR101686956B1 (ko) 2015-05-08 2015-05-08 높낮이 조절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276A true KR20160132276A (ko) 2016-11-17
KR101686956B1 KR101686956B1 (ko) 2016-12-19

Family

ID=5754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689A KR101686956B1 (ko) 2015-05-08 2015-05-08 높낮이 조절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9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387B1 (ko) * 2017-05-10 2018-05-08 주식회사 모텍스 저부 장착형 핸들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CN114166806A (zh) * 2021-11-13 2022-03-11 安徽工程大学 一种对生物试样进行荧光分析的紫外灯交互实验台
KR102516616B1 (ko) * 2022-11-23 2023-03-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변환기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한 높이 가변 교체형 베개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783B1 (ko) 2021-12-06 2023-06-16 티티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628A (ko) * 1997-01-27 1998-10-15 한상언 후라이 팬
KR20010067979A (ko) * 2001-04-12 2001-07-13 이계식 머리자세에 따른 베개높이 자동조절방법 및 그 베개 높이자동 조절 기구
KR100463881B1 (ko) * 2002-02-26 2005-01-03 바이오메디아 주식회사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CN201822426U (zh) * 2010-04-27 2011-05-11 谢发连 可调式枕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628A (ko) * 1997-01-27 1998-10-15 한상언 후라이 팬
KR20010067979A (ko) * 2001-04-12 2001-07-13 이계식 머리자세에 따른 베개높이 자동조절방법 및 그 베개 높이자동 조절 기구
KR100463881B1 (ko) * 2002-02-26 2005-01-03 바이오메디아 주식회사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CN201822426U (zh) * 2010-04-27 2011-05-11 谢发连 可调式枕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387B1 (ko) * 2017-05-10 2018-05-08 주식회사 모텍스 저부 장착형 핸들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CN114166806A (zh) * 2021-11-13 2022-03-11 安徽工程大学 一种对生物试样进行荧光分析的紫外灯交互实验台
KR102516616B1 (ko) * 2022-11-23 2023-03-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변환기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한 높이 가변 교체형 베개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956B1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95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EP2629647B1 (en) Motorised bed base with slat module and bed
US20120137444A1 (en) Adjustable Contour Mattress System
CA3024620C (en) Pillow lifting structure
JP6253799B2 (ja) 高低調節枕
CN105853097A (zh) 一种智能床
KR10152043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07997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86953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72363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JP2020182544A (ja) 枕及び枕装置、並びに寝具及び寝具装置
KR101520432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JP2001340198A (ja) 高低自動可変枕
KR101686954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JP2998130B1 (ja) ベッド硬さ選好装置
KR200466415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베개
JP6968518B2 (ja) ベッド装置
CN211433768U (zh) 一种精神疾病用防护床
CN215874177U (zh) 一种调节式枕芯及设有该调节式枕芯的调节式枕头
CN215271584U (zh) 升降椅
CN207613475U (zh) 一种具有底座电动调节装置的座椅
CN209474211U (zh) 弹性可调模块及家居产品
CN207679164U (zh) 一种具有扶手电动调节装置的座椅
KR101518235B1 (ko) 베개용 높낮이 조절장치
CN207613491U (zh) 一种具有扶手升降调节装置的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