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784A - 자동차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784A
KR20160131784A KR1020150064832A KR20150064832A KR20160131784A KR 20160131784 A KR20160131784 A KR 20160131784A KR 1020150064832 A KR1020150064832 A KR 1020150064832A KR 20150064832 A KR20150064832 A KR 20150064832A KR 20160131784 A KR20160131784 A KR 20160131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or
light source
len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호
Original Assignee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4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784A/ko
Publication of KR2016013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24
    • F21S48/22
    • F21S48/23
    • F21S48/232
    • F21W2101/14

Abstract

렌즈의 발광면이 증대되어 시인성이 향상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빛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유효반사면과, 상기 유효반사면의 외측에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무효반사면을 가지는 제1 리플렉터와, 상기 유효반사면이 반사하는 빛에 의해 발광하는 유효발광면과, 상기 유효발광면의 외측에 상기 무효반사면이 반사하는 빛에 의해 발광하는 무효발광면을 가지는 렌즈와,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상기 무효반사면으로 반사하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다수의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바, 자동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헤드 램프(Head Lamp;전조등)와, 자동차의 후미에 배치되는 테일 램프(Tail Lamp; 후미등)과, 안개가 있을 때 점등시키는 포그 램프(Fog Lamp; 안개등) 등이 있다.
이중에서, 상기 테일 램프는, 야간에 자기차량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점등되는 포지션 램프(Position Lamp)와, 자기차량이 후진할 것임을 알리기 위해 점등되는 백업 램프(Backup lamp)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제동등)와, 자동차의 방향전환을 알리기 위해 스위치 온 상태에서 점멸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방향지시등)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들은 각각, 빛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가 반사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렌즈의 발광면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어두워지게 되며, 상기 렌즈의 발광면 외측에는 발광되지 않고 어두운 부분인 암부가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렌즈를 통해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발광면이 증대되어 시인성이 향상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빛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유효반사면과, 상기 유효반사면의 외측에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무효반사면을 가지는 제1 리플렉터와, 상기 유효반사면이 반사하는 빛에 의해 발광하는 유효발광면과, 상기 유효발광면의 외측에 상기 무효반사면이 반사하는 빛에 의해 발광하는 무효발광면을 가지는 렌즈와,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상기 무효반사면으로 반사하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광원이 생성한 빛을 제2 리플렉터가 제1 리플렉터의 무효반사면으로 반사하여 주기 때문에, 렌즈의 무효발광면이 상기 무효반사면이 반사하는 빛에 의해 발광되어서, 렌즈의 발광면이 증대되므로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가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지션 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브레이크 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가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미등으로서, 상기 후미등은 포지션 램프(100)와, 백업 램프(200)와, 브레이크 램프(300)와, 턴 시그널 램프(400)를 포함한다. 포지션 램프(100)와, 백업 램프(200)와, 브레이크 램프(300)와, 턴 시그널 램프(400)에 대한 기능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설명은 생략한다.
포지션 램프(100)는 백업 램프(200)의 상측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램프(300)는 턴 시그널 램프(400)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자동차의 후방 중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 포지션 램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램프(300)의 좌측에 배치된다. 물론, 자동차의 후방 중 좌측에 설치되는 경우 포지션 램프(100)는 브레이크 램프(300)의 우측에 배치된다.
포지션 램프(100)와, 백업 램프(200)와, 브레이크 램프(300)와, 턴 시그널 램프(400)은 각각 모듈화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램프 하우징(1) 내에 수용된 후, 램프 하우징(1)에 결합되는 아우터 렌즈(3)에 의해 차폐되어, 램프 하우징(1) 및 아우터 렌즈(3)가 이루는 내부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후미등은 상기 자동차의 후방으로 빛을 비추게 된다. 이하 설명에서 전방은 자동차의 후방을 의미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지션 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포지션 램프(100)는 광원(10)과, 제1 리플렉터(20)와, 렌즈(30)를 포함한다.
광원(10)은 소켓(5)에 장착되는 벌브로 형성되어 빛을 생성한다.
제1 리플렉터(20)는 전방이 개구되고, 내측면이 후방으로 함입된 오목한 형상을 이룬다. 이 오목한 제1 리플렉터(20)의 내측면에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물질인 알루미늄이 증착된다. 광원(10)은 제1 리플렉터(20)의 오목한 내부로 삽입되어 제1 리플렉터(20)의 중심에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10)이 생성한 빛은 제1 리플렉터(20)의 내측면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30)로 비춰지게 된다.
렌즈(30)는 제1 리플렉터(20)의 개구된 전방에 결합되어, 제1 리플렉터(20)의 오목한 내부공간을 차폐한다. 따라서, 제1 리플렉터(20)로 삽입된 광원(10)은 제1 리플렉터(20) 및 렌즈(30)가 이루는 내부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광원(10)의 전방에는 광원(10)이 렌즈(30)로 직접 비추는 빛을 차단하는 광차단부재(7)가 배치된다. 당업계에서 광차단부재(7)는 베젤 또는 쉴드라고 불리어진다. 광차단부재(7)는 광원(10) 및 렌즈(3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광차단부재(7)는 렌즈(30)의 가운데에 배치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서, 렌즈(30)를 두 개로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즉, 렌즈(30)는 광차단부재(7)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렌즈(32)와, 광차단부재(7)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렌즈(34)를 포함한다. 제1 렌즈(32) 및 제2 렌즈(34)는 각각, 테두리의 상하측 및 일측이 제1 리플렉터(20)에 결합되고, 상기 테두리의 타측은 광차단부재(7)에 결합된다.
광차단부재(7)에는 광원(10)을 향하는 내측면에 제2 리플렉터(40)가 배치된다. 제2 리플렉터(40)는 광원(10)이 생성한 빛을 제1 리플렉터(20)로 반사한다. 제2 리플렉터(40)는 광원(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2 리플렉터(40)는 광원(10)의 광축이 지나는 직선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광원(10), 제1 리플렉터(20), 렌즈(30) 및 제2 리플렉터(40)는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 모듈화 된다. 이후, 모듈화 된 광원(10), 제1 리플렉터(20), 렌즈(30) 및 제2 리플렉터(40)을 램프 하우징(1) 내에 수용한 후, 램프 하우징(1)의 개구된 전방에 아우터 렌즈(3)를 결합함으로써, 모듈화 된 광원(10), 제1 리플렉터(20), 렌즈(30) 및 제2 리플렉터(40)는 램프 하우징(1) 및 아우터 렌즈(3)가 이루는 내부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램프 하우징(1)은 모듈화 된 광원(10), 제1 리플렉터(20), 렌즈(30) 및 제2 리플렉터(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되고 후방으로 함입된 형상의 오목한 공간을 가지고 있다. 램프 하우징(1)에는 소켓(5)이 삽입되는 홀이 중심에 형성되어, 소켓(5)은 램프 하우징(1)의 후방에서 상기 홀로 삽입되어 램프 하우징(1)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렌즈(3)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렌즈(30)를 통해 배광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램프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화 된 광원(10), 제1 리플렉터(20), 렌즈(30) 및 제2 리플렉터(4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1 리플렉터(20)는 유효반사면(A)과, 무효반사면(B)을 가지고 있다. 또한, 렌즈(30)는 유효반사면(A)이 반사하는 빛(실선 화살표)에 의해 발광하는 유효발광면(a)과, 무효반사면(B)이 반사하는 빛(점선 화살표)에 의해 발광하는 무효발광면(b)을 가지고 있다.
유효반사면(A)은 광원(10)으로부터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고, 무효반사면(B)은 광원(10)으로부터 먼 부분인 유효반사면(A)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유효발광면(a)은 광원(10)으로부터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고, 무효발광면(b)은 광원(10)으로부터 먼 부분인 유효발광면(a)의 외측에 위치한다.
만약, 제2 리플렉터(40)가 없다면, 광원(10)이 생성한 빛은 제1 리플렉터(20)에 형성된 유효반사면(A)만을 통해 유효발광면(a)으로 반사된다. 따라서, 렌즈(30)는 무효발광면(b)은 발광되지 않고 어두운 부분인 암부로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제2 리플렉터(40)가 광원(10)이 생성한 빛을 무효반사면(B)으로 반사한다. 따라서, 렌즈(30)는 무효발광면(b)이 무효반사면(B)이 반사하는 빛에 의해 발광되기 때문에, 발광면적이 증대되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리플렉터(40)에는 제1 반사면(42)과 제2 반사면(44)이 형성된다. 제1 반사면(42)은 광원(10)이 생성한 빛을 광원(10)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무효반사면(B)으로 반사하고, 제2 반사면(44)은 광원(10)이 생성한 빛을 광원(10)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무효반사면(B)으로 반사한다. 제1 반사면(42) 및 제2 반사면(44)에는 각각 무효반사면(B)을 향해 경사진 복수의 반사부(4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브레이크 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레이크 램프(300)는 도 2에 도시된 포지션 램프(100)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광원(10)이 제1 리플렉터(20)의 중심에 배치되었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광원(10)이 제1 리플렉터(20)에 편심되어 배치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리플렉터(40)가 광원(10)의 전방에 배치된 광차단부재(7)에 결합되었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리플렉터(40)가 제1 리플렉터(20)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1 리플렉터(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본 제2 실시예에서 제2 리플렉터(40)는 제1 리플렉터(20)의 일측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물론, 본 제2 실시예에서 제2 리플렉터(40)는 제1 리플렉터(20)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광원(10)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서 제1 리플렉터(20)는 광원(10)을 기준으로 타측면에만 유효반사면(A) 및 무효반사면(B)을 가진다. 따라서, 본 제2 실시예에서 제2 리플렉터(40)는 광원(10)이 생성한 빛을 광원(10)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무효반사면(B)으로 반사함으로써, 렌즈(30)의 무효발광면(b)이 무효반사면(B)이 반사하는 빛에 의해 발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램프 하우징(1) 및 아우터 렌즈(3)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을 생략하였다. 즉, 본 제2 실시예에서도 광원(10), 제1 리플렉터(20), 렌즈(30) 및 제2 리플렉터(40)는 모듈화 된 후,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램프 하우징(1) 및 아우터 렌즈(3)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광원(10)이 생성한 빛을 제2 리플렉터(40)가 제1 리플렉터(20)의 무효반사면(B)으로 반사하여 주기 때문에, 렌즈(30)의 무효발광면(b)이 무효반사면(B)이 반사하는 빛에 의해 발광되어서, 렌즈(30)의 발광면이 증대되므로 시인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램프 하우징 3: 아우터 렌즈
5: 소켓 7: 광차단부재
10: 광원 20: 제1 리플렉터
30: 렌즈 32: 제1 렌즈
34: 제2 렌즈 40: 제2 리플렉터
42: 제1 반사면 44: 제2 반사면
A: 유효반사면 B: 무효반사면
a: 유효발광면 b: 무효발광면

Claims (11)

  1. 빛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유효반사면과, 상기 유효반사면의 외측에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반사하는 무효반사면을 가지는 제1 리플렉터;
    상기 유효반사면이 반사하는 빛에 의해 발광하는 유효발광면과, 상기 유효발광면의 외측에 상기 무효반사면이 반사하는 빛에 의해 발광하는 무효발광면을 가지는 렌즈; 및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상기 무효반사면으로 반사하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상기 렌즈로 직접 비추는 빛을 차단하는 광차단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광차단부재에 결합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광차단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리플렉터 및 상기 광차단부재에 결합되는 제1 렌즈와,
    상기 광차단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리플렉터 및 상기 광차단부재에 결합되는 제2 렌즈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상기 광원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상기 무효반사면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면과,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상기 광원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상기 무효반사면으로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리플렉터의 중심에 배치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제1 리플렉터의 측면에 배치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제1 리플렉터와 일체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상기 광원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상기 무효반사면으로 반사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리플렉터에 편심되어 배치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상기 제1 리플렉터, 상기 렌즈 및 상기 제2 리플렉터가 수용되는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의 개구된 전방을 차폐하며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통해 배광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아우터렌즈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0150064832A 2015-05-08 2015-05-08 자동차의 조명장치 KR20160131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832A KR20160131784A (ko) 2015-05-08 2015-05-08 자동차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832A KR20160131784A (ko) 2015-05-08 2015-05-08 자동차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784A true KR20160131784A (ko) 2016-11-16

Family

ID=5754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832A KR20160131784A (ko) 2015-05-08 2015-05-08 자동차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7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671A (ko) * 2019-08-13 2021-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백업램프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671A (ko) * 2019-08-13 2021-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백업램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8776B2 (en) Vehicular light unit with multiple light sources
CN110360525B (zh) 车辆用灯具
JP2013008674A (ja) 隠れた光源を備えるリフレクタ信号ランプ
US11168860B1 (en) Automotive lamp
KR20140083807A (ko) 차량용 라이트 가이드 유닛
EP2075501B1 (en) Vehicle headlamp
US8485704B2 (en) Lamp unit and vehicle lamp
CN110805871B (zh) 车用照明装置
CN109578932B (zh) 车辆用灯具
KR101621077B1 (ko) 차량용 램프
JP2013149553A (ja) 異なる機能の灯具ユニットを備えた車両用灯具
JP5030284B2 (ja) 車両用灯具
KR20160131784A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1500387B1 (ko) 헤드 라이트 모듈
KR101416469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20150070551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871487B1 (ko) 자동차의 미등 장치
KR101615546B1 (ko) 차량용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KR101416471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622095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2076543B1 (ko) 배광특성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헤드램프
KR20100114802A (ko) 차량용 안개등
JP7131186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7324090B2 (ja) 車両用標識灯
KR102326048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