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275A - 와치 타입 단말기 - Google Patents

와치 타입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275A
KR20160131275A KR1020150063248A KR20150063248A KR20160131275A KR 20160131275 A KR20160131275 A KR 20160131275A KR 1020150063248 A KR1020150063248 A KR 1020150063248A KR 20150063248 A KR20150063248 A KR 20150063248A KR 20160131275 A KR20160131275 A KR 20160131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display unit
output
screen informa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현
조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275A/ko
Priority to EP15003119.3A priority patent/EP3091401B1/en
Priority to US14/931,120 priority patent/US20160327911A1/en
Priority to CN201610020969.4A priority patent/CN106125968B/zh
Publication of KR20160131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7/00Mechanical devices for setting the time indicating means
    • G04B27/002The setting apparatus being crown shaped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01Electromechanical switches for setting or display
    • G04C3/005Multiple switch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밴드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바디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부에 회전 및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 및 인출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용두부 및 상기 용두부의 인출에 근거하여 출력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회전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와치타입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치 타입 단말기 {WATCH TYP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가능한 형태의 와치 타입 단말기에 관한 발명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글래스타입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글래스타입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사람의 신체의 일부에 장착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웨어러블형(wearable-type) 글래스타입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와치 타입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터치입력 또는 마이크로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 등에 의하여 제어된다. 다만, 신체에 착용되어야 하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수행하여 정확한 제어명령을 형성하는 것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제어명령을 형성하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용두부를 포함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를 제공하는 넥밴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타입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밴드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바디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부에 회전 및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 및 인출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용두부 및 상기 용두부의 인출에 근거하여 출력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회전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용두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출력모드에 근거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로 다른 화면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출력모드에서 상기 용두부의 회전에 근거하여 서로 구별되는 기능이 실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복수 번의 제어명령(터치입력)을 인가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용두부의 상기 제1 내지 제3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용두부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어명령은 서로 다른 제어범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용두부의 상태가 전환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화면정보와 관련된 기능이 실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사용자 입력부에 제어명령을 인가하지 아니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두부의 회전에 의하여 다른 제어명령 없이 디스플레이부 상에 서로 다른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용두부가 인출 및 삽입되는 동작에 의하여 서로 다른 출력모드에 근거하여 화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터치, 특히 출력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아니하고 원하는 화면정보를 원하는 방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구조를 갖는 와치 타입 이동단말기를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용두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b 내지 도 3d는 도 3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 및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출력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용두부를 이용하여 선택된 정보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a 내지 도 6c는 용두부의 상태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a 및 도 7b는 용두부의 푸쉬동작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a 및 도8b는 용두부의 상태 변경에 근거한 와치 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용두부의 회전 속도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용두부의 상태 변경에 근거하여 출력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a 및 도 11b는 용두부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용두부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a 및 도 14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용두부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1)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본체(101) 및 본체(1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102)를 포함한다.
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101a) 및 제2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1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제1 케이스(1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1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1)에는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마이크로폰(122), 사용자 입력부(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1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2)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1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102)에는 파스너(fastener; 1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1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1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는 제어명령을 형성하도록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용두부(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용두부(100)는 상기 본체(101)의 일 영역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용두부(100)은 상기 본체(101)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123)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두부(100)는 상기 본체(101)에 연결된 상태로 인출되거나 상기 본체(10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용두부(1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용두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용두부는 캡부(310), 하우징(320), 탄성부(331), 오링(332), 톱니부(350), 돔스위치(361) 및 누름부(36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1)는 상기 용두부(300)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캡부(31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캡부(310)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캡부(310)의 외면에는 함몰패턴(310')이 형성된다. 상기 함몰패턴(310')에 의하여 사용자는 캡부(310)의 회전 및 인출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함몰패턴(310')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캡부(310)는 외부로 노출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제1 영역(310a)과 상기 제1 영역(301a)으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수납되는 제2 영역(310b)를 포함한다. 상기 함몰패턴(310')은 상기 제1 영역(310a)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20)의 일단부에 상기 캡부(310)가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320)은 상기 제2 영역(31b)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내부홀을 포함한다. 상기 캡부(310)의 제1 영역(310a)의 내주면이 상기 하우징(310)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영역(310a)은 상기 제2 영역(310b)의 일부와 중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영역(310a, 310b) 사이에 상기 하우징(320)이 끼워진다.
상기 하우징(320)은 상기 제1 영역(310a)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3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310a)의 내주면은 상기 돌기(321)가 끼워지는 함몰부(311)를 포함한다. 상기 함몰부(311)는 돌출구조에 의하여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310a)에 상기 하우징(310)의 돌기(321)에 걸리도록 돌출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320)과 상기 캡부(310)가 분리되지 아니한다.
상기 하우징(320)과 상기 제2 영역(310b) 사이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하기 위한 오링(332) 및 상기 캡부(310)와 상기 하우징(320)을 탄성지지하기 위한 탄성부(331)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331)에 의하여 상기 캡부(310)는 상기 본체(101)로부터 돌출되려는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하우징(320)은 상기 캡부(310)의 인출에 의하여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1)의 수납공간에 상기 하우징(32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부(310)의 제2 영역(310b)의 타단부에 톱니부(350)가 장착된다. 상기 톱니부(350)는 상기 제2 영역(310b)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톱니부(350)는 상기 하우징(320)과 이격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캡부(310)의 인출 및 삽입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한다. 또한, 상기 캡부(3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톱니부(350)도 회전한다.
도 2d는 상기 톱니부(350)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363)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회로기판(182)은 상기 하우징(320)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182) 상에 상기 제1 감지부(36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감지부(363)는 상기 톱니부(35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회전립(363a) 및 상기 회로기판(18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립(363a)의 움직임에 따라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스위치(363b)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립(363a)은 상기 톱니부(350)의 일 영역에 맞물리고, 상기 톱니부(350)의 회전에 근거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회전립(363a)은 상기 톱니부(3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감지스위치(363a)는 서로 다른 방향에 따라 구별되는 제어명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82) 상에 상기 용두부(300)의 인출 및 누름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36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감지부(360)는 상기 톱니부(350)의 중앙에 배치되는 누름부(362) 및 상기 회로기판(182) 상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362)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형성하는 돔스위치(361)가 형성된다.
상기 용두부(300)가 상기 하우징(320)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돔스위치(361)는 상기 누름부(362)에 의하여 눌리게 되며, 상기 용두부(300)의 인출은 상기 돔스위치(361)에 의하여 감지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돔스위치(361)은 단계별로 인가되는 누름을 구별하는 2단 돔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돔 스위치(361)은 상기 용두부(300)가 완전히 삽입된 제1 상태, 상기 용두부(300)가 1단계로 인출된 제2 상태, 상기 용두부(300)가 더 인출되어 2단계로 인출된 제3 상태를 구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용두부(300)가 사용자의 외력에 근거하여 깊숙히 삽입된 제4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상기 회전립(363a)은 상기 톱니부(35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어떠한 상태에서도 용두부(30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1)에 삽입된 용두부의 움직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 용두부에 의한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b 내지 도 3d는 도 3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b 및 도 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화면정보를 출력한다(S301). 여기에서 화면정보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시간을 나타내는 시각정보 화면,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홈 스크린 페이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잠금화면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부(360)에 근거하여 용두부의 회전 및 인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S302). 상기 용두부(300)의 인출 정도에 근거하여 출력모드를 변경하고(S303),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형성한다(S304).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화면정보(411)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정보(411)는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이미지 중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화면정보(411)는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이를 출력하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중 일부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용두부(300)의 제1 상태에서(즉, 인출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상태와 대응되는 제1 출력모드에서 상기 제1 화면정보(411)를 제2 화면정보(412)로 전환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출력모드는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체적으로 출력하고 나머지 시각정보의 출력을 배제하는 클린뷰(clean view)모드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전체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정도에 근거하여(회전이 천천히되는 경우) 상기 제1 화면정보(411)가 상기 제2 화면정보(412)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정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정보(411)가 점차적으로 사라지고 상기 제2 화면정보(412)가 점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출력모드가 변경된다. 상기 용두부(300)가 1단계 인출되어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1 출력모드에서 제2 출력모드로 변경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출력모드는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날짜별로 구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특정 날짜에 해당되는 제1 그룹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그룹이미지(421)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특정 날짜는 상기 용두부(300)가 인출되는 때 출력되는 이미지가 저장된 날짜에 해당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이미지(421)에 포함되는 복수의 이미지의 크기는, 상기 제1 그룹이미지(421)에 포함되는 이미지의 개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이 감지되면 이에 따라 상기 제1 그룹이미지(421)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 정도에 근거하여 결정된 다른 날짜의 제2 그룹이미지(42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회전 정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그룹이미지(421)의 특정 날짜로부터 먼 날짜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그룹이미지를 출력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화면정보(411)가 출력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가 2단계 인출되어 제3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출력모드에서 제3 출력모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출력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특정 기준에 의하여 분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그룹 이미지를 출력한다. 특정 기준은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태깅된 정보, 저장되는 때의 위치정보, 이미지가 저장된 때 수행된 기능의 정보,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그룹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의 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3 상태로 전환되면, 특정 그룹에 해당되는 제3 그룹이미지(431)를 출력한다.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다른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4 그룹이미지(432)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용두부의 회전에 의하여 다른 제어명령 없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서로 다른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용두부가 인출 및 삽입되는 동작에 의하여 서로 다른 출력모드에 근거하여 화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터치, 특히 출력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아니하고 원하는 화면정보를 원하는 방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구조를 갖는 와치 타입 이동단말기를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1 모드의 제1 화면정보(411)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를 1단계 인출하는 경우, 상기 제1 화면정보(411)가 포함된 제2 모드 화면(420)을 출력한다. 상기 제2 모드 화면(420)은 상기 제1 화면정보(411)가 저장된 날짜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특정 그룹에 해당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2 모 화면(420)에 포함되는 제1 화면정보(411)를 하이라이트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정보(411)에 포함되는 정보(예를 들어, 저장된 날짜, 위치, 저장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제1 화면정보가 기 저장된 폴더, 포함된 인물정보, 태깅정보, 함께 저장된 추가정보 등)을 이용하여 나머지 이미지들을 그룹핑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두부(300)를 2단계 인출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드를 제3 모드로 변경하고, 제3 모드 화면(430)을 출력한다. 상기 제3 모드 화면(430)은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분류된 그룹 이미지에 해당된다. 상기 제3 모드 화면(430)에 상기 제1 화면정보(411)가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화면정보(411)가 나머지 이미지들과 구별되도록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출력모드에서 제1 상태에서의 화면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용두부(300)의 삽입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및 제1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출력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용두부(300)가 1단계 인출되어 있는 제2 상태의 상기 제2 출력모드에서 제2 그룹이미지(421)가 출력된다. 상기 제2 그룹이미지(421)는 특정 날짜(2015/04/20)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로 이루어지며,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출력될 수 있고, 가장 중앙에 배치된 이미지가 가장 크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모드에서 상기 용두부(300)가 회전하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이 출력되는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가운데 표시되는 이미지도 변경된다.
상기 용두부(300)를 삽입하여 제1 상태로 전환하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전체적으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가장 가운데 출력된 이미지를 상기 제1 출력모드의 화면정보(413)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용두부(300)가 2단계 인출되어 있는 제3 상태의 제3 그룹이미지(431)가 출력된다. 상기 제3 그룹이미지(431)는 특정 기준에 의하여 분류된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가 회전하면 또 다른 그룹의 그룹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용두부(300)를 삽입하여 제1 상태로 전환하면, 상기 제3 그룹이미지(431)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가 제1 화면정보(411)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된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제1 화면정보(411)로 선택된 이미지는 특정 기준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이미지는 가장 먼저 또는 가장 나중에 저장된 이미지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정보(411)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3 그룹이미지(431)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가 모두 출력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다른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그룹에 무관하게 저장된 시점순으로 배열된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의 정보가 포함된 그룹상태의 화면정보를 제공받다가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용두부를 이용하여 선택된 정보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b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캡부(310)의 제1 영역(310a)에 형성되는 터치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제1 화면정보(411)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센서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화면정보(411)를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정보(411)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때 출력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화면정보를 선택한다. 상기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아이콘(511) 및 현재까지 선택된 화면정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512)을 상기 제1 화면정보(411) 상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에 인가되는 외력에 근거하여 용두부(300)의 누름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정보와 함께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3 아이콘(521)을 출력한다. 상기 제3 아이콘(521)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화면정보(411)와 오버랩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아이콘(511, 512)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361)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가 더 깊게 삽입되는 제4 상태인 push) 동작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용두부(300)는 상기 외력이 해지되면 상기 탄성부(331)에 의하여 상기 제1 상태로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선택될 아이콘(521)은 하이라이트 처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의하여 선택될 아이콘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선택될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수신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될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531)을 상기 제1 화면정보(411)와 대응되는 이미지(411')와 함께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411')는 상기 제1 화면정보(411)가 변형되거나 사이즈가 변경된 상태로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정보(411)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화면정보(411)를 타 단말기와 공유하거나, 특정 서버에 업로드 하는 등의 기능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따르면 서로 구별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용두부의 상태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범위로 상기 용두부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용두부(300)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범위에 해당되는 제어명령을 형성한다. 이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화면정보를 확대하는 제어방법을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출력모드의 화면정보(413)가 출력되는 동안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화면정보의 확대 및 축소 기능(Zoom in / Zoom out)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화면정보 상에 터치입력이 인가된 기준영역(413')을 기준으로 상기 화면정보를 변형시킬 수 있다.
도 6a는 제1 상태에서 용두부의 회전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준영역(413')에 터치가 인가된 후에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정보(413)을 확대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제1 방향으로 상기 용두부(3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413)가 확대되어 제1 확대 이미지(413a)가 출력된다. 또한,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용두부(3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413)가 축소될 수 있다.
도 6b는 제2 상태에서 용두부의 회전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c는 제3 상태에서 용두부의 회전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범위만큼 상기 용두부가 회전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범위로 상기 용두부(30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화면정보(413)가 확대된 정도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화면정보(413)가 확대된 정도보다 크다.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제2 확대 이미지(412b)는 상기 제3 상태에서의 제3 확대 이미지(412c)보다 상기 화면정보(413)의 많은 영역을 작게 표시한다.
화면정보를 축소하는 기능도 상기 확대 기능과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상태에서 동일한 회전범위에 근거한 축소범위가 가장 크게 제어된다.
화면의 확대 및 축소기능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제어범위가 설정된 기능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량의 조절, 페이지의 변경, 날짜/시간의 변경, 3D 입체영상의 깊이(depth)조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용두부의 인출정도에 근거하여 동일한 기능을 서로 다른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용두부의 푸쉬동작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용두부(30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눌려(푸쉬(push) 동작)상기 본체(101)의 내부방향으로 더 삽입되고, 상기 외력이 해지되면 상기 탄성부(331)에 의하여 다시 제1 상태로 복원된다. 이하, 상기 푸쉬동작에 따른 기능을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상기 시간화면(400)을 출력한다. 상기 시간화면(400)은 시각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와 시침, 분침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특정 제어명령이 인가되지 아니한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상기 시간화면(40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시간화면(400)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동작이 감지되면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화면(54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푸쉬동작이 해지되어 상기 용두부(300)가 복원되면 상기 메뉴화면(54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메뉴화면(540)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은 와치타입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거나,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서로 다른 형태 및 크기로 출력될 수 있으며, 서로 중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아이콘들의 배열을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뉴화면(540)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동작이 다시 감지되면 상기 메뉴화면(540)을 다시 상기 시간화면(400)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시간화면(400)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는 토글(toggle)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용두부(300)는 상기 푸쉬입력에 의하여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푸쉬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복원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여 나타내는 시각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시간화면(400)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시각편집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용두부(300)가 복원되어 시각편집모드가 활성화 되면 이를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400')를 상기 시간화면(400)과 함께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이미지(4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를 따라 표시되거나, 상기 시간화면(400)의 밝기나 색의 변경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시간편집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시침 및 분침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가 기 설정된 시간(몇 초) 동안 푸쉬상태(제4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의하여 시침을 변경하고, 짧은 시간동안 푸쉬상태에서 복원되는 경우 상기 회전에 의하여 분침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에 푸쉬동작이 다시 인가되면, 상기 시각편집모드를 비활성화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시간화면(400)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푸쉬동작을 이용하여 특정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8a 및 도8b는 용두부의 상태 변경에 근거한 와치 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여, 용두부의 인출 및 삽입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시간화면(400)이 출력된다. 상기 용두부(300)에 인가되는 외력에 근거하여 상기 용두부(300)가 1단계만큼 인출되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시간화면(400)을 메뉴화면(541)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메뉴화면(541)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아이콘은 특정 레이아웃에 의하여 배열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아이콘은 일 영역이 서로 중첩되며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서로 다른 크기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콘의 배열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근거하여 가장 가운데 위치하는 아이콘이 변경될 수 있다. 가장 가운데 위치하는 아이콘은 가장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도 8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제1 아이콘(541a)이 가장 가운데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아이콘(541a)과 다른 제2 아이콘(541b)이 가장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아이콘의 배열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의하여 선택될 아이콘에 특정 시각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를 삽입하여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 가장 가운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2 아이콘(541b)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가운데 영역에 표시된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아이콘(541b)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532)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두부의 인출 및 삽입에 따른 상태변경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을 통하여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을 출력하고 터치하는 제어명령이 불필요하다.
도 8b를 참조하여, 수신된 이벤트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시간화면(40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3 상태로 전환되면, 발행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제1 노티화면(461)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하여 확인되지 아니한 이벤트로 제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노티화면(461)은 상기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상태에서 용두부(300)가 다시 삽입되어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노티화면(461)을 다시 상기 시간화면(400)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의 회전이 감지되면 다른 이벤트에 대한 제2 노티화면(462)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2 노티화면(462)이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노티화면(462)에 대응되는 애플레케이션의 일 실행화면(463)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터치입력의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터치입력이 롱 터치(long touch)입력에 해당되는 경우, 드래깅(dragging)방식의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추가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실행화면(463)은 상기 제2 노티화면(462)의 이벤트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노티화면(462)이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실행화면(463)은 상기 메시지에 대한 회신화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상태에서 수신된 이벤트들을 확인 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수신된 이벤트에 대한 노티 이미지들을 출력할 필요가 없는 바, 상대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부(151)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9는 용두부의 회전 속도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D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감지부(363)는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범위뿐만 아니라 회전속도도 감지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회전핀(363a)의 이동의 주기를 이용하여,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명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속도는 상기 용두부(300)가 상기 제1 내지 제3 상태인 경우 모두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순차적으로 나열된 목록을 포함하는 화면정보(551)가 출력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정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화면정보(551)를 변경한다. 여기에서 화면정보의 변경은 나열된 목록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며, 출력된 목록은 순차적으로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가 회전되는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회전정도와 무관하게 상기 화면정보(551)를 빠른 속도록 변경시킨다. 즉, 상기 순차적으로 나열된 목록이 빠른 속도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빠른 속도는 상기 용두부(300)가 기준 속도 이하로 회전하는 경우 화면정보가 변경되는 속도보다 빠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정보의 변경 속도를 줄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이 감지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기 설정된 기준속도로 상기 화면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용두부(300)의 회전속도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많은 양의 화면정보를 빠른 속도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용두부의 상태 변경에 근거하여 출력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그룹 이미지(421)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그룹 이미지(421)는 특정 그룹으로 분류된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날짜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근거하여 가장 가운에 위치하는 이미지를 변경 및 이미지들의 배열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전체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가운데 표시되는 이미지(412)가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하나의 이미지의 클린뷰(clean view)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용두부(300)의 회전이 감지되면 다른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의 인출에 따라 제3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412)의 확대 이미지(41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확대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확대 이미지(41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412)는 상기 이미지의 중앙영역을 중심으로 확대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용두부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순차적으로 나열된 목록을 포함하는 화면정보(551)를 출력한다. 상기 화면정보(551)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가 제4 상태로 변경되는 것(즉, 푸쉬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복수의 목록 중 하나를 하이라이트 처리하고,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선택된 목록을 변경하는 제어명령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가 푸쉬 되는 때 하이라이트 처리되는 목록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선택된 목록에 대응되는 세부정보(552)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세부정보(552)는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 수신 시각, 송신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의 푸쉬동작이 추가적으로 감지되면 다시 상기 화면정보(55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용두부의 상태에 근거하여 출력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1a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제1 출력모드에서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근거하여 복수의 목록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출력모드가 활성화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상에 포함된 목록정보가 구분된 폴더들을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출력되는 폴더를 변경하는 제어명령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폴더에 대응되는 목록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구분된 폴더들은 각각 복수의 탭(tap, 예를 들어, 대화, 수신, 발신, 회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가 회전하면 상기 복수의 폴더들에 대응되는 제2 내지 제4 화면정보(553, 554, 555)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화면정보(553)는 메시지를 입력 및 발송하기 위한 화면, 제3 화면정보(554)는 발신된 메시지 목록을 포함하고, 제4 화면정보(555)는 수신된 메시지 목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1 상태에서는 모든 목록을 순차적으로 제공받고, 제2 상태에서는 특정 기준에 의하여 분류된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용두부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을 일 예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용두부(30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눌려(푸쉬(push) 동작) 상기 본체(101)의 내부방향으로 더 삽입되고, 상기 외력이 해지되면 상기 탄성부(331)에 의하여 다시 제1 상태로 복원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용두부(300)의 제1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출력모드가 활성화된다. 상기 제1 출력모드에서 특정 미디어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재생화면(561)을 출력한다. 상기 재생화면(561)은 재생되는 미디어 파일의 정보, 재생정보 및 제어아이콘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의 푸쉬동작에 근거하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용두부(300)의 푸쉬동작에 근거한 제4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에 대응한 제어아이콘의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미디어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따라 음량을 변경하는 제어명령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조절된 음량을 나타내는 이미지(501)를 출력한다.
도 12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2 출력모드로 활성화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에 의하여 다른 기능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의하여 재생되는 미디어 파일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가 회전하는 경우 또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2d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용두부가 제2 상태가 되면 미디어 파일의 재생목록화면(562)을 출력한다. 상기 재생목록화면(562)은 현재 재생되는 파일 및 다음에 재생될 파일의 목록을 순차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 한 번씩 회전하는 것이 감지되면 출력되는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가장 가운데 출력되는 목록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선택된 목록을 하이라이트 처리한다. 이 경우,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다른 미디어 파일을 재생 중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상기 선택된 목록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목록의 미디어 파일을 재생한다. 상기 선택된 미디어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용두부(300)가 제2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재생목록화면(562)을 계속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가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재생 중인 미디어 파일의 재생화면(562a)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애플리케이션이 포함하는 재생목록화면을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재생될 미디어 파일들을 제어할 수 있고, 제1 상태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파일의 재생화면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현재 재생 중인 미디어 파일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날짜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달력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도 13a는 용두부가 제1 상태인 경우, 제1 출력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1 출력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날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화면정보(571)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은 달(month)에 해당되며, 상기 제1 화면정보(571)는 한 달에 포함되는 달력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달)을 변경하는 제어명령을 형성한다.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근거하여 다음달(또는 이전 달)의 달력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3b는 용두부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출력모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출력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력된 이벤트정보(572)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2 출력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시점에서 가장 가까운 날짜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가 회전하면 출력되는 이벤트 정보에 포함되는 날짜를 변경하는 제어명령이 형성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다음 이벤트정보(572a)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근거하여 서로 순차적으로 입력된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가 읽지 않은 이벤트(572b)인 경우 시각효과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특정 이미지를 추가하여 출력하거나, 화면의 밝기를 밝게 하거나, 특정 색의 바탕이미지를 포함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3d는 제3 상태에서 상기 제3 출력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3 출력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전 출력모드의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화면정보(571)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출력모드에서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출력방식에 따른 달력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방식에는 날짜에 따른 이벤트 목록을 포함하는 제1 달력화면(573a, Agenda view), 하루를 시간으로 구획한 제2 날짜화면(573b, Day view), 한 달을 날짜 별로 구획한 제3 날짜화면(573c, Month view) 및 일 년을 월별로 구획한 제4 날짜 화면(57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정보(571)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날짜화면(573a, 573b, 573c, 573d)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용두부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복수의 카드의 정보를 사용하여 카드의 사용을 대체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일 예로 설명한다.
도 14a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저장된 복수의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카드 목록화면(581)을 출력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300)의 회전이 감지되면 복수의 카드 목록화면(581)이 다른 카드목록을 포함하도록 변경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의 푸쉬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카드목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선택된 카드에 대한 세부정보(582)를 출력한다.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300)의 인출에 의하여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2 출력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제2 출력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중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1 화면정보(583)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화면정보(583)는 지급된 쿠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두부의 2단계 인출에 의하여 상기 제3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3 출력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화면정보(583)과 다른 제2 화면정보(584)를 출력한다. 상기 제2 화면정보(584)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수신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용두부의 상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HMD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4)

  1.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밴드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면에 배치되어,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에 회전 및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 및 인출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용두부; 및
    상기 용두부의 인출에 근거하여 출력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회전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두부는,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외력을 인가 받는 제1 영역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캡부;
    상기 제1 영역과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제2 영역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바디부;
    상기 제2 영역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캡부의 회전과 연동하는 톱니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바디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톱니부에 걸려 움직이는 회전핀을 포함하는 제1 감지유닛; 및
    상기 인출을 감지하도록, 상기 톱니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에 의하여 눌려 전기신호를 형성하는 돔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제2 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유닛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돔스위치는 상기 용두부의 제1 상태, 제1 단계만큼 인출되는 제2 상태 및 제2 단계만큼 인출되는 제3 상태를 구별하여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 출력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정보를 전체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출력모드와 다른 제2 출력모드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분류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에 대응되는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모드에서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모드에서에서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모드에서 상기 용두부의 삽입에 따라 상기 제1 출력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 상의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전체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두부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가 상기 화면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두부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가 상기 제1 상태로 다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는 재생되는 복수의 재생목록에 해당되거나, 추가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두부가 상기 제2 상태에서 다시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재생목록 중 하나를 재생하거나, 상기 추가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13. 제6항에서,
    상기 용두부가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용두부가 가장 많이 인출된 제3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3 출력모드로 전환되고 수신된 이벤트에 관한 화면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3 출력모드에서 상기 제어명령은 다른 이벤트와 관련된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용두부가 가장 많이 인출된 제3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다른 기준에 근거하여 분류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제2 및 제3 상태에서의 상기 화면정보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일부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출력모드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용두부가 동일한 회전범위로 회전되는 경우, 동일한 종류에 해당되고 서로 다른 범위의 제어명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정보가 확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출력모드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된 경우, 형성되는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각각 서로 다른 확대범위로 상기 화면정보를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용두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더 삽입되는 제4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상태가 감지되면,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4 상태가 다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현재시각을 나타내는 시간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현재시각을 나타내는 시간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4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시간화면을 변경하기 위한 시간편집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2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출력모드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두부의 회전에 근거하여 화면정보를 다른 화면정보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유닛에 의하여 상기 용두부의 회전이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감지되기 전까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상기 화면정보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일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에 인가되는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화면정보를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이용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KR1020150063248A 2015-05-06 2015-05-06 와치 타입 단말기 KR20160131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48A KR20160131275A (ko) 2015-05-06 2015-05-06 와치 타입 단말기
EP15003119.3A EP3091401B1 (en) 2015-05-06 2015-10-30 Watch type terminal
US14/931,120 US20160327911A1 (en) 2015-05-06 2015-11-03 Watch type terminal
CN201610020969.4A CN106125968B (zh) 2015-05-06 2016-01-13 手表型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48A KR20160131275A (ko) 2015-05-06 2015-05-06 와치 타입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275A true KR20160131275A (ko) 2016-11-16

Family

ID=5442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248A KR20160131275A (ko) 2015-05-06 2015-05-06 와치 타입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327911A1 (ko)
EP (1) EP3091401B1 (ko)
KR (1) KR20160131275A (ko)
CN (1) CN106125968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019A (ko) * 2018-08-30 2020-03-10 애플 인크. 햅틱 회전가능 입력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CN113485086A (zh) * 2021-06-30 2021-10-0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
WO2022215869A1 (ko) * 2021-04-07 2022-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756392B2 (en) 2020-06-17 2023-09-12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haptic button assembly
US11762470B2 (en) 2016-05-10 2023-09-1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 input device having a haptic eng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39445C (en) 2009-09-04 2019-05-07 Nike Innovate C.V. Monitoring and tracking athletic activity
TWI439960B (zh) 2010-04-07 2014-06-01 Apple Inc 虛擬使用者編輯環境
US9547425B2 (en) 2012-05-09 2017-01-17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US10613743B2 (en) 2012-05-09 2020-04-0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US10990270B2 (en) 2012-05-09 2021-04-27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0275117B2 (en) 2012-12-29 2019-04-3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1513675B2 (en) * 2012-12-29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9753436B2 (en) * 2013-06-11 2017-09-05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JP6345782B2 (ja) 2013-08-09 2018-06-20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デバイス用のタクタイルスイッチ
US10503388B2 (en)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AU2014315234A1 (en) 2013-09-03 2016-04-2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US10001817B2 (en) * 2013-09-03 2018-06-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US10048802B2 (en) 2014-02-12 2018-08-14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WO2015183367A1 (en) 2014-05-30 2015-12-03 Apple Inc. Continuity
US10313506B2 (en) 2014-05-30 2019-06-04 Apple Inc. Wellness aggregator
CN116243841A (zh) 2014-06-27 2023-06-09 苹果公司 尺寸减小的用户界面
US10190891B1 (en) 2014-07-16 2019-01-29 Apple Inc. Optical encoder for detecting rotational and axial movement
US10452253B2 (en) *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WO2016036510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WO2016036416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0073590B2 (en) 2014-09-02 2018-09-11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KR102340088B1 (ko) * 2014-09-02 2021-12-15 애플 인크.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WO2016036413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lti-dimensional object rearrangement
EP3998762A1 (en) 2015-02-02 2022-05-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and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KR101940943B1 (ko) 2015-03-05 2019-01-21 애플 인크. 방향 종속 광학 특성을 갖는 광학 인코더
KR102163612B1 (ko) 2015-03-08 2020-10-08 애플 인크. 회전 및 병진 가능한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시계
WO2016144385A1 (en) * 2015-03-08 2016-09-15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US10018966B2 (en) 2015-04-24 2018-07-10 Apple Inc. Cover member for an input mechanism of an electronic device
US9916075B2 (en) 2015-06-05 2018-03-13 Apple Inc. Formatting content for a reduced-size user interface
US10275116B2 (en) 2015-06-07 2019-04-30 Apple Inc. Browser with docked tabs
EP4321088A3 (en) 2015-08-20 2024-04-24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US11036318B2 (en) * 2015-09-30 2021-06-15 Apple Inc. Capacitive touch or proximity detection for crown
US10671222B2 (en) 2015-09-30 2020-06-02 Apple Inc. Touch sensor pattern for edge input detection
US11429199B2 (en) * 2015-12-14 2022-08-30 Pixart Imaging Inc. Optical sensor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motion/rotation of object having long shape and/or flexible form
TWI585371B (zh) * 2015-12-14 2017-06-0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9891651B2 (en) 2016-02-27 2018-02-13 Apple Inc. Rotatable input mechanism having adjustable output
US10025399B2 (en) * 2016-03-16 2018-07-17 Lg Electronics Inc.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203261B (zh) * 2016-03-16 2022-05-24 Lg电子株式会社 手表型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0551798B1 (en) 2016-05-17 2020-02-04 Apple Inc. Rotatable crown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637986B2 (en) 2016-06-10 2020-04-28 Apple Inc. Displaying and updating a set of application views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DK201670580A1 (en) 2016-06-12 2018-01-02 Apple Inc Wrist-based tactile time feedback for non-sighted users
US10873786B2 (en) 2016-06-12 2020-12-22 Apple Inc. Recording and broadcasting application visual output
US10649529B1 (en) 2016-06-28 2020-05-12 Apple Inc. Modification of user-perceived feedback of an input device using acoustic or haptic output
US10061399B2 (en) 2016-07-15 2018-08-28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0019097B2 (en) 2016-07-25 2018-07-10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0372214B1 (en) 2016-09-07 2019-08-06 Apple Inc. Adaptable user-selectable input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CN106873354B (zh) * 2017-02-21 2019-07-02 广东乐源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防金属指针误触亮屏的学习方法
KR102576802B1 (ko) 2017-02-24 2023-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이의 잠금 해제 방법
US10437359B1 (en) 2017-02-28 2019-10-08 Apple Inc. Stylus with external magnetic influence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20180329586A1 (en) * 2017-05-15 2018-11-15 Apple Inc. Displaying a set of application views
US10664074B2 (en) 2017-06-19 2020-05-26 Apple Inc. Contact-sensitive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0962935B1 (en) 2017-07-18 2021-03-3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US10768747B2 (en) 2017-08-31 2020-09-08 Apple Inc. Haptic realignment cues for touch-input displays
US11054932B2 (en) 2017-09-06 2021-07-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force sensor, and haptic actuator in an integrated module
US10556252B2 (en) 2017-09-20 2020-02-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tuned resonance haptic actuation system
US10768738B1 (en) 2017-09-27 2020-09-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haptic actuator with magnetic augmentation
DK180171B1 (en) 2018-05-07 2020-07-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HAR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DK180078B1 (en) 2018-05-07 2020-03-3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VATAR CREATION
US11722764B2 (en) 2018-05-07 2023-08-08 Apple Inc. Creative camera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WO2019232712A1 (zh) 2018-06-06 2019-12-12 高驰运动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交互方法、智能手表以及光电旋钮组件
US11360440B2 (en) 2018-06-25 2022-06-1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0942571B2 (en) 2018-06-29 2021-03-09 Apple Inc. Laptop computing device with discrete haptic regions
CN115129196A (zh) * 2018-07-31 2022-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图标的显示方法及终端
US11561515B2 (en) * 2018-08-02 2023-01-2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CN109254624A (zh) * 2018-08-22 2019-01-22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及其界面操作方法
US11181863B2 (en) 2018-08-24 2021-11-23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CN211293787U (zh) 2018-08-24 2020-08-18 苹果公司 电子表
US20200064779A1 (en) * 2018-08-24 2020-02-27 Apple Inc. Watch crown having a conductive surface
US11194298B2 (en) 2018-08-30 2021-12-07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CN209625187U (zh) 2018-08-30 2019-11-12 苹果公司 电子手表和电子设备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0712824B2 (en) 2018-09-11 2020-07-14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0613678B1 (en) 2018-09-17 2020-04-07 Apple Inc. Input device with haptic feedback
US10966007B1 (en) 2018-09-25 2021-03-30 Apple Inc. Haptic output system
CN109656455B (zh) * 2018-12-21 2021-11-2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及其输入方法
US20200218198A1 (en) * 2019-01-04 2020-07-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vement control of holographic objects with crown movement of a watch device
US11194299B1 (en) * 2019-02-12 2021-12-07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CN111752138A (zh) * 2019-04-19 2020-10-0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具有多功能表冠的智能主机、智能手表及控制方法
CN110109568B (zh) * 2019-04-29 2023-09-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20227330A1 (en) 2019-05-06 2020-11-12 Apple Inc. Restricted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DK201970533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US10996761B2 (en) 2019-06-01 2021-05-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non-visual output of time
US11172298B2 (en) * 2019-07-08 2021-11-09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headphone fit adjustment and audio output control
CN110501897B (zh) * 2019-08-30 2021-08-17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智能手表及其触控方法
DK180684B1 (en) 2019-09-09 2021-11-25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CN111124240B (zh) * 2019-12-09 2021-04-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可穿戴设备
EP3835886B1 (fr) * 2019-12-10 2022-08-10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ontre pourvue d'un organe de commande
US11921998B2 (en) 2020-05-11 2024-03-05 Apple Inc. Editing features of an avatar
DK202070625A1 (en) 2020-05-11 2022-01-04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WO2021231345A1 (en) 2020-05-11 2021-11-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US11722178B2 (en) 2020-06-01 2023-08-08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audio routing
US11550268B2 (en) 2020-06-02 2023-01-10 Apple Inc. Switch module for electronic crown assembly
US11269376B2 (en) 2020-06-11 2022-03-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11941319B2 (en) 2020-07-20 2024-03-26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electing audio output modes of wearable audio output devices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CN112860062B (zh) * 2021-01-28 2022-12-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指环
CN113238695B (zh) * 2021-04-28 2023-06-30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可穿戴式设备的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11747919B1 (en) * 2021-05-14 2023-09-05 Apple Inc. Multi-input for rotating and translating crown modules
EP4323992A1 (en) 2021-05-15 2024-02-2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group workouts
US11907605B2 (en) 2021-05-15 2024-02-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449188B1 (en) 2021-05-15 2022-09-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776190B2 (en) 2021-06-04 2023-10-03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an avatar on a lock screen
US11630559B2 (en) 2021-06-06 2023-04-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weather information
US11893212B2 (en) 2021-06-06 2024-02-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pplication widgets
CN113281986A (zh) * 2021-06-30 2021-08-20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5291A (en) * 1993-09-22 1994-04-19 Timex Corporation Alarm setting and actuating mechanism for analog timepiece
GB2285149B (en) * 1993-10-28 1997-03-12 Wellgain Precision Products Li Watch
TW552605B (en) * 2001-08-23 2003-09-11 Primax Electronics Ltd Switch mechanism for determining a rotational direction of a ratchet on a pointing device
KR100754674B1 (ko) * 2006-03-10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의 메뉴 선택 방법 및 장치
CH702862A1 (fr) * 2010-03-30 2011-09-30 Comme Le Temps Sa Montre bracelet à affichage électronique.
TWI489227B (zh) * 2013-05-06 2015-06-21 巨擘科技股份有限公司 腕錶結構、腕錶用的電子旋鈕以及顯示器型腕錶
KR102040426B1 (ko) * 2013-06-11 2019-11-04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회전 입력 메커니즘
US10545657B2 (en) *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KR102111452B1 (ko) * 2013-09-03 2020-05-15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AU2013404001B2 (en) * 2013-10-30 2017-11-30 Apple Inc. Displaying relevant user interface objects
EP3015925B1 (en) * 2014-10-28 2020-07-15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Optical position detection of a timepiece crown stem
US11036318B2 (en) * 2015-09-30 2021-06-15 Apple Inc. Capacitive touch or proximity detection for crow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2470B2 (en) 2016-05-10 2023-09-1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 input device having a haptic engine
KR20200026019A (ko) * 2018-08-30 2020-03-10 애플 인크. 햅틱 회전가능 입력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US11756392B2 (en) 2020-06-17 2023-09-12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haptic button assembly
WO2022215869A1 (ko) * 2021-04-07 2022-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3485086A (zh) * 2021-06-30 2021-10-0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1401A1 (en) 2016-11-09
CN106125968A (zh) 2016-11-16
US20160327911A1 (en) 2016-11-10
CN106125968B (zh) 2019-09-10
EP3091401B1 (en)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1275A (ko) 와치 타입 단말기
US10534535B2 (en) Watch-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708319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US20160283020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060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26446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018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97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139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3784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634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46296A (ko) 이동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394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9160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0493B1 (ko)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원버튼을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70140702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99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1441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192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2249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44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3120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38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444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2036A (ko) 이동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