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319B1 - 와치 타입 단말기 - Google Patents

와치 타입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319B1
KR101708319B1 KR1020150142345A KR20150142345A KR101708319B1 KR 101708319 B1 KR101708319 B1 KR 101708319B1 KR 1020150142345 A KR1020150142345 A KR 1020150142345A KR 20150142345 A KR20150142345 A KR 20150142345A KR 101708319 B1 KR101708319 B1 KR 10170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icon
event
notification
watch
importanc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윤미
이서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319B1/ko
Priority to US15/068,869 priority patent/US10503353B2/en
Priority to EP16855583.7A priority patent/EP3362875B1/en
Priority to PCT/KR2016/002638 priority patent/WO201706536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는, 외부단말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외부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판단에 기초하여,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때, 알림 아이콘은, 디스플레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출력된다.

Description

와치 타입 단말기{WATCH TYP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최근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하나로, 와치 타입 단말기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와치 타입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데, 그러한 예로 이동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와치 타입 단말기를 통해서 이를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와치 타입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작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할때마다 동일한 형태로 알림 정보가 출력될 경우, 표시가 복잡해지고 배터리 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일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 차별화된 알림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와치 타입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는, 외부단말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외부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알림 아이콘이 출력될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소정 면적을 갖는 기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기준레벨을 초과하면, 상기 기준영역에서 소정범위 확장된 영역에 상기 알림 아이콘을 출력하고,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기준레벨 이하이면, 상기 기준영역 또는 상기 기준영역에서 소정범위 축소된 영역에 상기 알림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아이콘의 크기에 따라, 알림 아이콘에 표시되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알림 아이콘의 크기에 대응되는 영역만 활성화하여 상기 알림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별로 대응되는 알림 레벨을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출력된 알림 아이콘의 크기에 대응되는 알림 레벨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은,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발신자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미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기준레벨을 초과하면, 사용자의 확인이 있을 때까지 상기 알림 아이콘의 표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의 중요도가 기준레벨을 초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상기 알림 아이콘을 표시하고, 기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기준레벨 이하이면, 기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알림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에서 사라지거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외부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변경하고, 변경된 중요도 레벨을 기초로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은, 상기 알림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패턴이나 기설정된 텍스트의 검출 여부에 기초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아이콘에 대한 긍정 응답이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증진하고, 상기 알림 아이콘에 대한 부정 응답이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아이콘에 제1터치제스처가 가해지면,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변경되면, 이벤트의 중요도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가 소정 시간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아이콘에 제2터치제스처가 가해지면,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2터치제스처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알림 아이콘의 이미지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터치제스처가 기준 시간 이내에 종료되면, 상기 변경된 이미지가 이전의 크기로 복원되도록 알림 아이콘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터치제스처가 기준 시간 이내에 종료되면, 상기 변경된 이미지를 이전의 크기로 복원하고, 대응되는 이벤트를 확인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에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기초로 메시지의 중요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중요도를 기초로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하고, 알림 아이콘에 기설정된 터치제스처가 가해지면, 상기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하면서 상기 알림 아이콘에 메시지가 노출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주변을 감싸고,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베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아이콘에서 상기 베젤부로 향하는 드래그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상기 드래그 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에 밀어 넣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드래그 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심으로 향하는 드래그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이 당겨지면서 상기 알림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는 차별화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가 간단하고 사용자 맞춤형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중요도가 낮은 이벤트는 표시를 최소화하여 보여주고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는 크게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알림 아이콘에 대한 터치제스처를 이용하여, 현재 화면을 유지하면서 이벤트에 대한 세부정보를 확인하거나 이벤트의 중요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호의 발신자에 따라 알림 아이콘이 다르게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알림 아이콘이 다르게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위치에 따라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이 다르게 출력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제스처에 근거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알림 아이콘의 표시를 변경하는 방법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알림 아이콘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이벤트 발생시 알림 아이콘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알림 아이콘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나중에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연동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거나, 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일 수 있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은 주변에 통신 가능한 단말기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모듈은 주변에 통신가능한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BT)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을 통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가 근접 거리내에 위치하여, 연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적어도 즉시 연결가능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겠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와치 타입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와치 타입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다른 와치 타입 단말기(100) 사이, 또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와치 타입 단말기 내 정보, 와치 타입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와치 타입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와치 타입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다른 와치 타입 단말기(100) 사이, 또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다른 와치 타입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와치 타입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와치 타입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와치 타입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와치 타입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와치 타입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와치 타입 단말기 내 정보, 와치 타입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와치 타입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조도 센서(142)는 소정의 검출면에 대한 빛의 양 또는 빛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조도 센서(142)는 터치 스크린에 의하여 감싸지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내부영역이나 터치 스크린의 근접에 배치될 수 있다. 조도 센서(142)에 의해 검출된 빛의 양 또는 빛의 변화량은 제어부(180)에 전달되어 대응되는 제어동작이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와치 타입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를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와치 타입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와치 타입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와치 타입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와치 타입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일 예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본체(101) 및 본체(1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1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도 1a의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101a) 및 제2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1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는 제1 케이스(1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1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1)에는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마이크로폰(122), 사용자 입력부(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1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2)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1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102)에는 파스너(fastener)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1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1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주변을 감싸는 베젤부(151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젤부(151a)에는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외부단말과 연결되고, 외부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대응되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이벤트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알림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에 설정된 중요도 레벨이 낮은 경우, 와치의 시침 및 분침이 노출될 수 있도록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작게 하고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노출하지 않도록 하거나 최소한으로 제한할 수 있다. 반면, 이벤트에 설정된 중요도 레벨이 높은 경우,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크게 하고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부 노출하거나 관련된 부가정보를 함께 출력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차별화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벤트'는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발생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데이터 파일)의 항목을 변경시키는 일이 발생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전송 또는 송신하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콜(call) 수신' 또는 '메시지(message) 수신' 등이 상기 이벤트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이벤트의 중요도'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발생된 이벤트가 중요한 정도를 미리 등급으로 분류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레벨이 설정되거나, 발신자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등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패턴에 따라 기설정된 중요도 레벨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call)이나 메시지의 수신시, 발신자별로 중요도 레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이 다양한 크기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알림 아이콘의 크기는 알림 아이콘에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이벤트의 중요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패턴에 따라 변경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벤트의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이 출력되는 영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가상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A)에 알림 아이콘이 표시되거나, 발신자별로 설정된 중요도 레벨이 높거나 경우에 따라 레벨 증진되는 경우, 제2영역(B)이나 제3영역(C)에 크기 확장된 알림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알림 아이콘의 크기가 확장되면, 알림 아이콘내에 표시되는 정보의 양과 표시범위도 증가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인 상태에서, 연결된 외부단말에 메시지가 착신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영역(A)이 활성화되고, 외부 단말에 메시지가 착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제1알림 아이콘(210)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1알림 아이콘(210)은 알림 레벨이 최소인 경우에 대응된다. 제어부(180)는 제1알림 아이콘(210)의 출력시 제1영역(A)만 활성화하고, 제1영역(A)을 벗어난 영역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알림 아이콘(210)에는 착신된 메시지와 관련된 최소 정보, 예를 들어 발신자 정보(211)만 표시될 수 있다.
다음, 연결된 외부단말(200)에서 이전보다 중요도 레벨이 높은 메시지가 착신되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제2영역(B)까지 활성화되면서, 제2알림 아이콘(220)이 출력된다. 이때, 제1알림 아이콘(210)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라지거나, 또는 제2알림 아이콘(220)이 출력되는 동안 숨겨질 수 있다. 또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알림 아이콘(210)은 나타나지 않고 제2알림 아이콘(220)만 출력될 수도 있다.
제2알림 아이콘(220)에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로, 발신자 정보(221)와 함께, 착신된 메시지 내용('Where R U?')(222)과, 설정된 중요도 레벨을 알려주는 이미지객체('★')(223)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의 양이 많으면, 제2알림 아이콘(220)의 적어도 일 측에서는 표시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롤 바가 생성될 수 있다.
또, 제2알림 아이콘(220)은,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제1알림 아이콘(210)보다 더 높음을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제1알림 아이콘(210)과 다른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미지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알림 아이콘이 표시되는 면적, 길이, 색상, 투명도, 하이라이팅의 적용 여부가 다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알림 아이콘(220)에 기설정된 터치제스처, 예를 들어 핀치-인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어부(180)는 알림 아이콘이 제1영역(A)에 출력되도록, 제2알림 아이콘(220)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220"). 이때, 제2알림 아이콘(220)의 크기가 축소되는 정도는 핀치-인 터치입력의 정도에 대응된다. 한편, 크기 축소된 제2알림 아이콘(220")에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의 표시도 제한된다. 즉, 변경된 제2알림 아이콘(220")에는 발신자 정보(221")와 중요도 레벨을 알려주는 객체(222)만 표시되고, 착신된 메시지의 내용의 적어도 일부는 사라지거나 또는 숨겨질 수 있다.
이때, 제2알림 아이콘(220)에 대응되는 이벤트에 설정된 중요도 레벨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유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다음에 동일 발신자('Tom')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메시지가 착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이 다시 제2영역(B)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제2알림 아이콘(220)에 대응되는 이벤트에 설정된 중요도 레벨이 감소되어, 다음에 동일 발신자('Tom')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이 제1영역(A)에 출력되거나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만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 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메시지가 착신되면, 메시지의 발신자별로 중요도를 판단하여, 이동 단말기와는 차별화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흐름도이다.
먼저,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이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로 연결(connection)되는 단계가 수행된다(S10). 예를 들어,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단말은 블루투스 통신(BT)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음, 연결된 외부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20).
여기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는,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와 이벤트의 내용을 알려주는 세부 정보로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일 예로, 이동 단말기에서 메시지가 착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신자 정보, 메시지 내용, 착신된 시간, 그리고 메시지 착신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동작 상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단말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이거나 또는 외부단말과의 연결되지 않은 경우라도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단계들(S10, S20)이 생략되고,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중요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된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출력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선택한다(S30).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서로 크기가 다른 복수의 영역들이 포함되며, 제어부(18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알림 아이콘이 출력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영역들은 디스플레이부(151)의 기준영역에서 점진적으로 확장되거나 축소된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일 수 있다. 또한, 기준영역은 디스플레이부(15)의 중심으로부터 소정범위 확장된 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된다. 따라서, 이벤트의 중요도가 기준레벨 이하이면, 기준영역 또는 기준영역보다 축소된 영역(이하, '최소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이벤트의 중요도가 기준레벨을 초과하면, 기준영역보다 확장된 영역(이하, '최대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최소영역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고 있던 화면의 가림을 최소화하고, 최대영역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고 있던 화면을 대부분 또는 전부 가리게된다. 즉, 이벤트의 중요도가 낮은 경우에는 화면 가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소영역을 선택하고, 이벤트 중요도가 높은 경우에는 화면을 가리더라도 이벤트를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므로 최대영역을 선택한다.
또한, 여기에서, 이벤트의 중요도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발신자 정보, 이벤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발신자별로 중요도 레벨이 다르게 설정되었더라도 그룹 채팅과 같은 상황에서는 중요도 레벨이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노출되는 정도는, 알림 아이콘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 정보의 량,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나 이미지의 크기, 선명도 등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제어부(180)는 선택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크기로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한 다음,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S40). 즉, 제어부(180)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에 비례하도록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의 중요도가 기준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알림 아이콘이 출력될 영역으로 '최대영역'이 선택될 수 있고, 제어부(180)는 선택된 최대영역에 면적에 대응되도록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이벤트의 중요도가 기준레벨 이하인 경우, 알림 아이콘이 출력될 영역으로 '기준영역' 또는 '최소영역'이 선택될 수 있고, 제어부(180)는 선택된 영역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유지하거나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착신되는 메시지가 발신자별로 중요도 레벨이 다르게 설정되고, 제1발신자는 최소레벨(예, 레벨1)로 제2발신자는 최대레벨(예, 레벨3)로 중요도 레벨이 설정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제1발신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이 기준영역 또는 최소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알림 아이콘의 크기가 최소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반면, 제2발신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이 최대영역 전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알림 아이콘의 크기가 최대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알림 아이콘의 크기가 결정되면, 제어부(180)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알림 아이콘에 노출되는 정도를 대응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시에서, 제1발신자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에는 이벤트와 관련된 최소 정보, 예를 들어 발신자 정보(예, '이름')만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제2발신자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에는 이벤트와 관련된 상세 정보, 예를 들어 메시지 내용, 착신된 시간, 응답 작성 하기 영역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별로 대응되는 가상의 영역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결정된 크기에 대응되는 영역에 알림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에 소정의 원 영역(A)과, 이를 기준으로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복수의 영역들(B, C)들 중 어느 하나에 알림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영역들 중 영역(B)를 기준영역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한편, 제어부(180)는 연결된 외부 단말로부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결정된 알림 아이콘의 크기에 대응되는 영역만 활성화하여 알림 아이콘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결정된 알림 아이콘의 크기에 따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표시 상태, 예를 들어 형상, 투명도, 색상 등을 다르게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화면의 표시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아이콘이 기준영역(B)이나 최소영역(A)에 표시되는 경우, 알림 아이콘의 투명도를 증가시켜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알림 아이콘이 최대영역(C)에 표시되는 경우, 알림 아이콘의 투명도를 '0'으로 하고 배경 이미지의 색상과 구별되는 색상으로 출력함으로써, 알림 아이콘의 표시를 강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51)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중요도 레벨이 가장 높은 메시지가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재생중인 동영상을 일시중단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알림 아이콘은 수초(second)동안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기준레벨을 초과하면, 이벤트에 대한 응답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아이콘을 알림 아이콘에 함께 표시하고, 사용자의 확인이 있을 때까지 알림 아이콘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레벨은 중요도가 중간인 등급에 대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서 제2영역(B)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기준레벨 이하이면, 기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알림 아이콘의 표시가 사라지거나 또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영역은 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에 크기에 따라, 차별화된 알림 신호나 알림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영역(A)에 알림 아이콘이 표시되는 경우 화면 켜짐만 제공하고, 제2영역(B)에 알림 아이콘이 표시되는 경우 기준 세기의 소리 및/또는 진동을 출력하고, 제3영역(C)에 알림 아이콘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기준 세기보다 큰 소리 및/또는 진동으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치 타입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하여 차별화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중요도가 낮은 이벤트의 알림은 표시를 최소화하고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의 알림은 관련된 세부정보를 함께 보여줌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에 따라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이 다르게 출력되는 실시 예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통화 호의 발신자에 따라 알림 아이콘이 다르게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5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알림 아이콘이 다르게 출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와치 타입 단말기와 통신중인 이동 단말기에 호(call) 신호가 수신되면, 호(call)가 착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이 와치 타입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에도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수신된 호(call)에 설정된 중요도 레벨을 기초로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결정하거나, 또는 수신된 호(call)에 대응되는 발신자 정보를 기초로 중요도 레벨을 판단하여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된 호(call)의 중요도 레벨이 최소레벨인 경우, 최소 크기를 갖는 제1알림 아이콘(410)이 디스플레이부(151)의 기준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1알림 아이콘(4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정보(예, 전화번호)만 표시되거나 또는 단순히 호(call)의 수신을 알려주는 정보(예, 전화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호(call)에 대한 응답과 관련된 메뉴객체들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함께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는 출력된 메뉴객체를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호(call)에 응답하거나 또는 호(call)를 거절할 수 있다.
수신된 호(call)의 중요도 레벨이 중간레벨인 경우, 보다 크기가 확장된 제2알림 아이콘(420)이 디스플레이부(151)의 기준영역으로부터 확장된 영역까지 출력될 수 있다. 제2알림 아이콘(42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로 주소록에 저장된 이미지(421)가 더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2알림 아이콘(420)은 제1알림 아이콘(410)보다 낮은 투명도나, 눈에 띄는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2알림 아이콘(420)의 배경 이미지가 소정의 투명도를 갖도록 표시될 수 있다.
수신된 호(call)의 중요도 레벨이 최대레벨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호(call)의 수신을 알려주는 제3알림 아이콘(430)이 출력될 수 있다. 제3알림 아이콘(430)내에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소록에 저장된 이미지(431)외에, 발신자와 관련된 최근 통화 기록, 최근 주고받은 메시지 기록, 관련된 메모 등이 출력영역(432)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알림 아이콘(430)에는 중요도 레벨을 알려주는 이미지객체(예, '★')와, 호(call)에 대한 응답과 관련된 메뉴들이 더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과 이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의 표시영역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보다 적거나 많은 개수로 구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80)는, 결정된 알림 아이콘의 크기별로 대응되는 알림 신호, 예를 들어 소리, 진동, 화면 깜빡임, 및 이들의 동작 패턴 등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벤트의 발생시,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에 대응되는 알림 신호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호(call)의 중요도 레벨이 최소레벨인 경우이면 무음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화면 깜빡임만 제공하고, 수신된 호(call)의 중요도 레벨이 최대레벨인 경우에는 정해진 진동 및 소리를 함께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에 따라, 알림 아이콘이 사라지는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수신된 호(call)에 미응답하였음을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이 이후에 출력된 경우, 알림 아이콘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알림 아이콘이 표시되는 시간도 증가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별로 중요도 레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설정된 중요도 레벨에 따라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가 다르게 표시되며, 그에 따라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노출되는 정도가 달라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에서 제1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510)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발신자 정보, 및 수신된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 제2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520)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만 표시될 수 있다. 또, 제3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530)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발신자 정보, 수신된 메시지 이외에도 응답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영역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별로 중요도 레벨이 설정된 경우에도, 개별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알림을 차단하거나 또는 다른 중요도 레벨을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알림 아이콘(530)의 표시는 제3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인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로 제한할 수 있다. 또, 도 5에서 알림 아이콘(520)의 표시는 특정 웹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키워드와 관련된 게시물이 업로드된 경우로 제한하고, 제1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다른 이벤트에 대해서는 알림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이 다르게 출력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를 위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거나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80)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변경하고, 변경된 레벨을 기초로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와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노출되는 정도가 달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알림 아이콘이 표시될 디스플레이 영역, 즉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위치와 연관시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장소별로 특정 그룹에 속하는 발신자에 대한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위치가 'Home' 인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록에서 Home과 관련된 그룹, 예를 들어 가족이나 친구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최대 크기로 알림 아이콘을 출력한다. 반면, 다른 그룹, 예를 들어 회사 동료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생활 보호를 위해, 최소 크기로 알림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긴급 상황(예, '메시지 내용에 긴급을 요하는 텍스트, 문구 등이 포함된 경우')에서는 최대 크기로 알림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면, 변경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발신자의 중요도 레벨이 업데이트된다. 즉, 제어부(180)는 단말의 위치에 따라, 동일 이벤트에 대하여 중요도 레벨을 다르게 변경하거나, 특정 장소에서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일시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 회사 동료 'MIKE'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장소에 따라 중요도 레벨이 변경되어, 알림 아이콘의 크기가 다르게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ompany'에서 회사 동료 'MIKE'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알림 아이콘(611)이 표시되고, 'home'에서 회사 동료 'MIKE'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최소 크기로 알림 아이콘(631)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제스처에 근거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의 표시를 변경하는 방법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 알림 아이콘이 출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알림 아이콘에 대한 응답 패턴에 따라 이벤트에 설정된 중요도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출력된 알림 아이콘에 대한 터치제스처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변경하거나, 알림 아이콘에 대하여 누적된 응답을 분석하여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변경되면, 다음의 이벤트 발생시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가 다르게 출력된다.
도 7a는 출력된 알림 아이콘에 대한 터치제스처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즉시 변경하는 예시이다.
연결된 외부단말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에 근거하여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와, 여기에 표시되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의 노출 정도를 다르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알림 아이콘이 출력된 상태에서, 알림 아이콘의 테두리영역에 기설정된 터치제스처, 예를 들어 핀치-인/핀치-아웃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출력된 알림 아이콘의 이미지를 변경하고, 변경된 이미지내에 표시되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가 변경된다는 것은, 주로 이미지의 면적이 변경되는 것을 의미하나, 필요한 경우 터치제스처를 따라 이미지의 색상, 길이, 형상이 함께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설정된 터치제스처에 이어,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알림 아이콘에 추가적인 터치제스처가 가해지거나, 위와 다른 터치제스처(예, 알림 아이콘의 테두리에서 시작된 터치지점을 아래로 드래그하는 터치입력)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알림 아이콘에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즉시 변경할 수 있다.
추가적인 터치제스처에 따라 알림 아이콘에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이벤트의 중요도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영역(B, 도 2)에 알림 아이콘(711)이 출력된 상태에서, 제2터치제스처, 예를 들어 알림 아이콘(711)의 테두리영역에 핀치-인 터치입력이 가해지고 소정 시간 내에 추가적인 터치제스처, 예를 들어 알림 아이콘(711)에 인가된 터치가 아래쪽으로 드래그되면, 알림 아이콘(711)에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즉시 다운(down)된다. 다음,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다운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포함된 윈도우(712)가 디스플레이부에 팝업된다. 이어서,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다운됨에 따라, 알림 아이콘(713)이 최소영역(A, 도 2)에 표시된다. 변경된 알림 아이콘(713)에는 이전 레벨의 표시가 사라지고, 발신자 정보와 같은 최소 정보만 표시된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알림 아이콘(711)에 핀치-아웃 터치입력이 가해지고 소정 시간 내에 추가적인 터치제스처, 예를 들어 알림 아이콘(711)에 인가된 터치가 위쪽으로 드래그되면, 알림 아이콘(711)에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즉시 업(up)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이벤트의 발생시 터치제스처를 이용하여 알람의 정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도 7b 및 도 7c는 출력된 알림 아이콘에 대한 누적된 응답을 분석하여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변경되는 예시들이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알림 아이콘에 대한 긍정 응답이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증진되면, 다음의 이벤트 발생시 출력되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가 이전보다 확장된다.
예를 들어, 도 7b를 참조하면, 연결된 외부단말에서 중요도 레벨이 최소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최소영역(A, 도 2)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721)이 출력된다. 출력된 아이콘(721)에 기설정된 터치제스처, 예를 들어 핀치-아웃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아이콘(721)의 크기가 확장되고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예, 수신된 메시지 내용)가 더 노출된다(722). 추가적인 핀치-아웃 터치입력이 가해짐에 따라, 아이콘(721)의 크기가 최대가 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723)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터치제스처의 패턴이 소정 횟수 누적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동일인('Tom')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전보다 확장된 크기의 알림 아이콘(730)이 표시된다.
또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한번이라도 출력된 아이콘(721)에 핀치-아웃 터치입력을 가하여 응답을 작성한 경우, 그 즉시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증진되는 것으로도 구현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80)는 알림 아이콘에 대한 부정 응답이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감소되면, 다음의 이벤트 발생시 출력되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가 이전보다 축소된다.
예를 들어, 도 7c를 참조하면, 연결된 외부단말에서 중요도 레벨이 중간 레벨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제2영역(B, 도 2)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741)이 출력된다. 소정 시간 이내에, 출력된 아이콘(741)에 기설정된 터치제스처, 예를 들어 핀치-인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아이콘(741)의 크기가 축소되어 최소영역(A, 도 2)에만 표시된다. 그에 따라, 아이콘(741)에 표시된 메시지 내용은 사라지거나 일부만 표시된다(742). 이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 없이 아이콘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터치제스처의 패턴이 소정 횟수 누적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동일인('Jane')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전보다 축소된 크기의 알림 아이콘(750)이 표시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알림 아이콘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80)는 이벤트에 설정된 중요도 레벨에 근거하여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알림 아이콘의 크기에 따라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노출되는 정도를 다르게 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알림 아이콘이 출력되고, 출력된 알림 아이콘에 기설정된 터치제스처, 예를 들어 드래그 터치입력, 핀치-인/핀치-아웃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출력된 알림 아이콘의 이미지를 변경하고, 변경된 이미지내에 표시되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알림 아이콘에 인가된 터치제스처가 기준시간내에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변경된 알림 아이콘의 이미지가 이전의 크기로 복원되도록 알림 아이콘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a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기준영역(A, 도 2)에 알림 아이콘(801)이 표시된 경우, 알림 아이콘(801)에 인가된 터치입력을 제1영역(A)을 벗어나도록 드래그하면, 드래그된 길이 및 방향에 대응되는 제2영역(B, 도 2)만큼 크기 확장된 상태로 알림 아이콘(802)이 표시된다.
이때, 드래그 경로를 따라, 알림 아이콘(801)의 크기가 제1영역(A)에서 제2영역(B, 도 2)으로 점진적으로 사방으로 확장됨에 따라, 이벤트와 관련된 다른 정보 예를 들어 알림 아이콘에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이 점진적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이 알림 아이콘의 이미지가 점진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보기 형태로 출력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수신된 메시지가 드래그 경로를 따라 점진적으로 펼쳐지는 이미지 형태로 메시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드래그된 터치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드래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에 따라 알림 아이콘의 표시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이 제1영역(A)을 벗어나서 제2영역(B)에 존재하는 경우 제2영역(B)만큼 확장된 크기의 알림 아이콘(802)의 표시가 유지될 수 있다(도 8a). 반면, 터치입력이 제1영역(A)내에서 종료된 경우 변경된 알림 아이콘(802)이 다시 이전의 크기로 복원된다(801)(도 8b). 이 경우에는 알림 아이콘(802)이 사방에서 종이가 말리는 형태로 축소되는 효과가 추가로 출력될 수 있으며, 복원된 알림 아이콘(802)에는 발신자 정보('Tom')와 같은 최소정보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변경된 알림 아이콘의 이미지가 확장되었다가 이전의 크기로 복원되면, 알림 아이콘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확인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와치 타입 단말기(100) 및 이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이나 이동 단말기의 상단에 표시되는 상태 아이콘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는다.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알림 아이콘이 최소 크기로 출력되는 경우에도, 이벤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진입하지 않고도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이벤트 발생시 알림 아이콘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특히, 복수의 이벤트가 서로 다른 중요로 레벨을 갖는 경우,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을 출력하는 예시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중간 레벨의 중요도를 갖는 메시지가 수신됨에 발생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제2영역(B, 도 2)만큼의 크기를 갖는 제1알림 아이콘(901)이 출력된다. 제1알림 아이콘(901)에는 제1알림 아이콘(901)의 크기에 대응되는 양만큼,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예,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된다.
이후, 제1알림 아이콘(901)에 대한 확인이 있기 전, 이전보다 낮은 레벨의 중요도를 갖는 메시지가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기준영역(A, 도 2)만큼의 크기를 갖는 제2알림 아이콘(902)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제1알림 아이콘(901)은 정해진 영역, 예를 들어 베젤부(151a)와 인접한 디스플레이부(151)의 경계영역으로 이동되어, 대응되는 이미지객체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객체는 제1알림 아이콘(901)의 형태, 색상, 길이, 면적 등이 변경된 이미지일 수 있다(도 9a에서는 원 이미지에서 반원이미지로 변경됨).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알림 아이콘(901)이 표시되는 경계영역의 지점은 제1알림 아이콘(901)에 대응되는 메시지가 수신된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알림 아이콘(901)에 대응되는 메시지가 '오후 3시 30분'에 수신된 경우, 시침이 3시를 가리키는 시간 영역에 제1알림 아이콘(901)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알림 아이콘(902)에 대응되는 이미지객체는, 제2알림 아이콘(902)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기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2알림 아이콘(902)이 사라진 후에도, 디스플레이부(151)의 경계영역에 계속 표시된다.
다음, 도 9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영역(B, 도 2)만큼의 크기를 갖는 제1알림 아이콘(901)이 출력된 상태에서, 이전보다 낮은 중요도 레벨을 갖는 메시지가 이동 단말기에 수신된 경우, 기준영역(A, 도 2)만큼의 크기를 갖는 제2알림 아이콘(902)이 제1알림 아이콘(901)위에 출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알림 아이콘(902)의 적어도 일부가 제1알림 아이콘(901)에 의하여 가려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좌우방향으로 드래그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1알림 아이콘(901)과 제2알림 아이콘(902)의 레이어(layer) 순서가 전환된다. 한편, 제1알림 아이콘(901)위에 제2알림 아이콘(902)이 레이어된 상태로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요도 레벨이 낮은 제2알림 아이콘(902)이 사라지고 제1알림 아이콘(901)만 남겨진다.
또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중요도 레벨이 높은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면, 중요도 레벨이 낮은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을 이어서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해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테두리나 베젤영역에 소정의 표시(예, 테두리 색상 변경, 소정의 객체표시)가 출력됨으로써, 확인하지 않은 중요도 레벨이 낮은 이벤트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출력된 복수의 알림 아이콘들(901, 902)에 대응되는 개별 애플리케이션에 진입하려면,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이 상위에 레이어되도록 터치제스처를 인가한 다음, 이어서 추가적인 터치입력(예, 롱 터치입력, 더블-숏 터치입력)을 알림 아이콘에 인가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출력된 알림 아이콘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나중에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알림 아이콘은 기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중요도 레벨이 낮은 순서대로 사라질 수 있다. 특히, 중요도 레벨이 낮은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빨리 사라진다. 한편, 사용자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나중에 확인하거나 대응되는 응답을 나중에 처리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51)의 주변을 감싸고,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베젤부(151a)에 대한 터치제스처를 이용하여, 알림 아이콘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나중에 처리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알림 아이콘에서 베젤부(151a)로 향하는 드래그 터치입력이 알림 아이콘에 가해지면,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상기 드래그 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에 밀어 넣기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기준영역(A, 도 2)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1001)이 표시된 경우, 사용자가 알림 아이콘(1001)에 인가된 터치입력을 베젤부(151a)로 드래그한 다음 터치-업을 수행하면, 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경계영역에 밀어넣기 표시된 알림 아이콘(1002)이 출력된다. 이때, 알림 아이콘(1002)이 표시되는 지점은 드래그 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에 대응된다. 알림 아이콘(10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이벤트의 개수, 및 발신자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가 간단하도록, 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에 저장된 정보(예, 이벤트 발생)가 있음을 알려주는 다른 객체(예, 점 이미지 등)로 대체될 수 있다.
다음, 드래그 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다시 디스플레이부(151)로 향하는 드래그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밀어넣기 표시된 알림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밀어넣기 표시된 알림 아이콘에는 드래그 경로를 따라서 점진적으로 당겨지는 이미지 효과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디스플레이 경계영역에 표시된 알림 아이콘(1002)에 인가된 터치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을 향해 드래그되면, 알림 아이콘(1002)에 대응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수신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대화화면(1003)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다. 대화화면(1003)에서 '답장'메뉴가 선택되면, 팝업된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답장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1004). 한편, 이와 같은 응답 패턴이 기준횟수(예, 3회)이상 반복되면, 대응되는 이벤트(예, 'Jane'으로부터 메시지 수신)에 설정된 중요도 레벨이 레벨 업(up)된다. 그에 따라, 다음 메시지가 도착할 때, 제2영역(B)만큼 확장된 알림 아이콘(1005)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고, 알림 아이콘(1005)에 표시되는 정보량도 많아진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비밀모드로 설정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80)는 출력되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와 관계없이 알림 아이콘에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노출되는 정도를 최소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출력되는 실행화면의 크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뮤직 플레이(music play)를 실행하는 경우, 현재 듣고 있는 뮤직이 즐겨찾기 설정되었는지, 얼마나 자주 들었는지 여부 등과 같은 사용 패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실행화면의 크기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에 따라 알림 아이콘의 크기가 다르게 출력되거나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외부단말에서는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이 동일한 형태(예, 동일한 알림 아이콘의 크기 또는 동일한 알림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는 차별화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가 간단하고 사용자 맞춤형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중요도가 낮은 이벤트는 표시를 최소화하여 보여주고 중요도가 높은 이벤트는 세부정보까지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알림 아이콘에 대한 터치제스처를 이용하여, 현재 화면을 유지하면서 세부정보를 확인하거나 이벤트의 중요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외부단말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외부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에 따라 크기가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복수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기준레벨 이하이면, 기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알림 아이콘을 소거하거나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확장된 소정 면적을 갖는 기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상기 기준레벨을 초과하면, 상기 기준영역에서 소정범위 확장된 영역에 상기 알림 아이콘을 출력하고,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상기 기준레벨 이하이면, 상기 기준영역 또는 상기 기준영역에서 소정범위 축소된 영역에 상기 알림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아이콘의 크기에 따라, 알림 아이콘에 표시되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알림 아이콘의 크기에 대응되는 영역만 활성화하여 상기 알림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알림 아이콘의 크기별로 대응되는 알림 레벨을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출력된 알림 아이콘의 크기에 대응되는 알림 레벨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은,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발신자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미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상기 기준레벨을 초과하면, 사용자의 확인이 있을 때까지 상기 알림 아이콘의 표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의 중요도가 상기 기준레벨을 초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상기 알림 아이콘을 표시하고, 기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외부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연관시켜서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다르게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은, 상기 알림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패턴이나 기설정된 텍스트의 검출 여부에 기초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아이콘에 대한 긍정 응답이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증진하고, 상기 알림 아이콘에 대한 부정 응답이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아이콘에 제1터치제스처가 가해지면,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이 변경되면, 이벤트의 중요도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가 소정 시간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아이콘에 제2터치제스처가 가해지면, 대응되는 이벤트의 중요도 레벨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2터치제스처에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알림 아이콘의 이미지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터치제스처가 기준 시간 이내에 종료되면, 상기 변경된 이미지를 이전의 크기로 복원하고, 대응되는 이벤트를 확인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에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기초로 메시지의 중요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중요도를 기초로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하고,
    알림 아이콘에 기설정된 터치제스처가 가해지면, 상기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하면서 상기 알림 아이콘에 메시지가 노출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주변을 감싸고,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베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아이콘에서 상기 베젤부로 향하는 드래그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알림 아이콘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상기 드래그 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에 밀어 넣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심으로 향하는 드래그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대응되는 알림 아이콘이 당겨지면서 상기 알림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KR1020150142345A 2015-10-12 2015-10-12 와치 타입 단말기 KR101708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345A KR101708319B1 (ko) 2015-10-12 2015-10-12 와치 타입 단말기
US15/068,869 US10503353B2 (en) 2015-10-12 2016-03-14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6855583.7A EP3362875B1 (en) 2015-10-12 2016-03-16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6/002638 WO2017065365A1 (en) 2015-10-12 2016-03-16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345A KR101708319B1 (ko) 2015-10-12 2015-10-12 와치 타입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319B1 true KR101708319B1 (ko) 2017-02-20

Family

ID=5826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345A KR101708319B1 (ko) 2015-10-12 2015-10-12 와치 타입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03353B2 (ko)
EP (1) EP3362875B1 (ko)
KR (1) KR101708319B1 (ko)
WO (1) WO2017065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3459B2 (en) * 2009-05-29 2014-04-29 Jason Philip Yanchar Graphical planner
KR102497720B1 (ko) 2014-09-02 2023-02-10 애플 인크. 가변 햅틱 출력을 위한 시맨틱 프레임워크
US10386941B2 (en) * 2015-06-16 2019-08-20 Intel Corporation Gyratory sensing system to enhance wearable device user experience via HMI extension
KR20170082349A (ko)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788535B (zh) * 2016-03-22 2019-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屏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10911255B2 (en) * 2016-05-31 2021-02-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hands free facility status alerts
DK201670737A1 (en) 2016-06-12 2018-01-2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DK179823B1 (en) 2016-06-12 2019-07-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EP3531250B1 (en) * 2016-09-06 2021-02-24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haptic mixing
DK201670720A1 (en) 2016-09-06 2018-03-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Generating Tactile Outputs
DK179278B1 (en) 2016-09-06 2018-03-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haptic mixing
CN107870653B (zh) * 2016-09-27 2021-08-06 冠捷投资有限公司 穿戴式装置
WO2018066810A1 (en) * 2016-10-05 2018-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on in wearable device with a curved periphery
KR20180055364A (ko) * 2016-11-17 2018-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3563234B1 (en) * 2017-01-31 2021-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K201770372A1 (en) 2017-05-16 2019-01-08 Apple Inc. TACTILE FEEDBACK FOR LOCKED DEVICE USER INTERFACES
JP6806627B2 (ja) * 2017-05-18 2021-01-06 マレリ株式会社 情報制御装置
US20180367492A1 (en) * 2017-06-19 2018-12-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notification based on dynamic group
KR102349681B1 (ko) * 2017-07-28 2022-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여된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기록하는 전자 장치
US10498688B2 (en) 2018-04-25 2019-1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oritizing notifications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EP3598259B1 (en) * 2018-07-19 2021-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521194B1 (ko) * 2018-08-08 2023-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223596B2 (en) * 2018-11-19 2022-01-11 Stubhub, Inc. Generation of composite messages using qualifying events and actions
US11675477B2 (en) * 2021-10-06 2023-06-13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curity events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44375A1 (en) * 2013-05-20 2014-11-20 ConnecteDevice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Activity Monitoring with Notifications
US20150002304A1 (en) * 2013-06-26 2015-01-01 Sap Ag Maximizing information gain for continuous events
KR20150033902A (ko) * 2013-09-25 2015-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3340B2 (en) * 2000-03-16 2010-06-22 Microsoft Corporation Positioning and rendering notification heralds based on user's focus of attention and activity
US20100073160A1 (en) * 2008-09-25 2010-03-25 Microsoft Corporation Alerting users using a multiple state status icon
KR101529921B1 (ko) * 2008-11-04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단말기
US8923824B1 (en) * 2012-08-28 2014-12-30 Amazon Technologies, Inc. Mobile notifications based upon location
US9402167B2 (en) 2013-03-14 2016-07-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Notification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9448755B2 (en) * 2013-12-28 2016-09-20 Intel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eterogeneous display screens
US9639231B2 (en) 2014-03-17 2017-05-02 Google Inc. Adjusting information depth based on user's attention
US20150286391A1 (en) * 2014-04-08 2015-10-08 Olio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mart watch navigation
US20150378320A1 (en) * 2014-06-25 2015-12-3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timepiece having electronic watch dial display with countdown to scheduled event
US8954521B1 (en) * 2014-07-22 2015-02-10 Google Inc. Management and presentation of notification content
WO2016036545A1 (en) * 2014-09-02 2016-03-10 Apple Inc. Reduced-size notification interface
US9922357B2 (en) * 2014-09-18 2018-03-20 Adobe Systems Incorporated Interactive notifications for mobile commerce applications
US9734779B2 (en) * 2015-02-12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operation of wearable displays
US10254911B2 (en) * 2015-03-08 2019-04-09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US9462570B1 (en) * 2015-10-02 2016-10-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ly sending notifications to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44375A1 (en) * 2013-05-20 2014-11-20 ConnecteDevice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Activity Monitoring with Notifications
US20150002304A1 (en) * 2013-06-26 2015-01-01 Sap Ag Maximizing information gain for continuous events
KR20150033902A (ko) * 2013-09-25 2015-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2875B1 (en) 2020-12-09
EP3362875A1 (en) 2018-08-22
US10503353B2 (en) 2019-12-10
WO2017065365A1 (en) 2017-04-20
US20170102855A1 (en) 2017-04-13
EP3362875A4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319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KR20150142933A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13641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211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94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90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356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634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349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27606A (ko) 와치 타입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609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165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1441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8006785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85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586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444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27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55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564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108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92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4149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75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71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