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542A - 크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542A
KR20160126542A KR1020150057714A KR20150057714A KR20160126542A KR 20160126542 A KR20160126542 A KR 20160126542A KR 1020150057714 A KR1020150057714 A KR 1020150057714A KR 20150057714 A KR20150057714 A KR 20150057714A KR 20160126542 A KR20160126542 A KR 20160126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vacuum
lift
vacuum adsorption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원
김형식
정규동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7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6542A/ko
Publication of KR20160126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37Multiple lifting units; More than one suction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크레인 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몸체; 리프트 몸체에 연결되는 리프트 헤더; 리프트 헤더에 배치되어 강판에 자기력을 가하는 마그네트부; 및 리프트 헤더에 배치되어 강판에 진공 흡착력을 가하는 진공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 장치{CRANE APPARATUS}
본 발명은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철광석으로부터 용선을 제조하여 제강공정으로 이송한다. 제강공정에서는 용선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 또는 크기의 강판이 제조된다. 제조된 강판은 크레인에 의해 저장소나 적재소에 적재된다. 크레인은 수요가, 강판의 종류 및 크기 등에 따라 일정한 장소에 강판을 분류하여 적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3559호(2013. 02. 06 공개, 발명의 명칭: 천장 크레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몸체; 상기 리프트 몸체에 연결되는 리프트 헤더; 상기 리프트 헤더에 배치되어 강판에 자기력을 가하는 마그네트부; 및 상기 리프트 헤더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에 진공 흡착력을 가하는 진공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레인 장치는 상기 진공 흡착부가 상기 강판에 진공 흡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마그네트부가 상기 강판에 자기력을 제공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강판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진공 흡착부와 상기 마그네트부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 장치는 상기 강판이 상승된 후에 자기력과 진공 흡착력을 상기 강판에 작용하도록 상기 마그네트부와 상기 진공 흡착부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부는 상기 리프트 헤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 흡착부는 상기 리프트 헤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흡착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헤더는 상기 리프트 헤더의 하면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리프트 헤더의 승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도록 주름지게 형성되는 진공 벨로우즈일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리프트 헤더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진공 흡착컵일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진공 오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트부와 진공 흡착부가 리프트 헤더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리프트 헤더의 하면부에서 자기력과 진공 흡착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또한, 리프트 헤더에서 자기력이 작용하는 영역과 진공 흡착력이 작용하는 영역이 중첩되므로, 단위 면적당 발생되는 흡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트 헤더의 하면부를 둘러싸도록 실링부재가 설치되므로, 리프트 헤더의 하면부에서 진공 흡착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판이 진공 흡착력에 의해 상승된 후에 마그네트부의 자기력이 강판에 작용하므로, 2개 이상의 강판이 자기력에 의해 한꺼번에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판이 이송될 때에 강판에 진공 흡착력과 자기력이 동시에 가해지므로, 강판이 이송될 때에 크레인 장치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리프트 헤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리프트 헤더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리프트 헤더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리프트 헤더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가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진공 흡착부가 진공 흡착력을 강판에 작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진공 흡착부가 진공 흡착력에 의해 강판을 상승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진공 흡착부와 마그네트부를 구동하여 진공 흡착력과 자기력을 강판에 작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가 강판을 적재소로 이송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크레인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리프트 헤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리프트 헤더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리프트 몸체(110), 리프트 헤더(120), 마그네트부(130) 및 진공 흡착부(140)를 포함한다.
리프트 몸체(110)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리프트 몸체(110)는 체인과 같은 연결부재(113)에 연결되어 3축 방향(도 1에서 높이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리프트 헤더(120)는 리프트 몸체(110)에 연결된다. 리프트 몸체(110)는 하면부가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때, 리프트 몸체(110)에는 복수의 리프트 헤더(120)가 일렬로 배열된다.
마그네트부(130)는 리프트 헤더(120)에 배치되어 강판(10: 도 6 참조)에 자기력을 가한다. 마그네트부(130)는 리프트 헤더(120)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전자석(131)을 포함한다. 이때, 리프트 몸체(110)에는 전원 공급부(135)가 배치되고, 전원 공급부(135)는 전선 등에 의해 복수의 전자석(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공급부(135)에서 전자석(131)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자석(131)에서 자기력이 발생된다. 마그네트부(130)는 복수의 전자석(131)을 포함하므로, 강판(10)의 복수의 지점에 자기력이 작용될 수 있다.
진공 흡착부(140)는 리프트 헤더(120)에 배치되어 강판(10)에 진공 흡착력을 가한다. 이때, 리프트 몸체(110)에는 진공 펌프(145)가 설치되고, 진공 펌프(145)에는 진공 흡착부(140)가 연결된다. 진공 흡착부(140)는 리프트 헤더(1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흡착 포트(141)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흡착 포트(141)가 리프트 헤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복수의 흡착 포트(141)가 리프트 헤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므로, 강판(10)의 복수의 지점에 진공 흡착력이 작용될 수 있다. 진공 펌프(145)가 구동되면, 진공 유로부(122)의 공기가 진공 펌프(145)로 흡입됨에 따라 리프트 헤더(120)의 하면부에 진공 흡착력이 형성된다.
마그네트부(130)와 진공 흡착부(140)가 리프트 헤더(120)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리프트 헤더(120)의 하면부에서 자기력과 진공 흡착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또한, 리프트 헤더(120)에서 자기력이 작용하는 영역과 진공 흡착력이 작용하는 영역이 중첩되므로, 단위 면적당 발생되는 흡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프트 헤더(120)에 마그네트부(130)와 진공 흡착부(140)가 같이 설치되므로, 흡착력 발생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크레인 장치가 강판(10)을 상승시킬 경우, 진공 흡착부(140)는 강판(10)에 진공 흡착력을 가하고, 마그네트부(130)는 강판(10)에 자기력을 가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마그네트부(130)는 강판(10)을 상승시킬 때에 강판(10)에 자기력을 가하지 않으므로, 자기력에 의해 2장 이상의 강판(10)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 장치가 강판(10)을 상승시킬 때에 강판(1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그네트부(130)와 진공 흡착부(140)는 강판(10)이 상승된 후에 자기력과 진공 흡착력을 강판(10)에 작용한다. 예를 들면, 진공 흡착부(140)에 의해 최상층 강판(10)이 아래 강판(10)과 약간 이격되었을 때에 마그네트부(130)가 강판(10)에 자기력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흡착부(140)에 의해 최상층 강판(10)이 완전히 상승된 후에 마그네트부(130)가 강판(10)에 자기력을 작용할 수 있다. 마그네트부(130)가 강판(10)에 자기력을 작용하는 시점은 최상층 강판(10)이 아래의 강판(10)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마그네트부(130)의 자기력이 아래의 강판(10)을 상승시키지 못하는 시점을 경과한 이후이면 충분하다.
또한, 크레인 장치가 강판(10)을 상승시킬 때에 2개 이상의 강판(10)이 상승되지 않도록 마그네트부(130)의 자기력을 저하시키고, 강판(10)이 충분히 상승되었을 때에 마그네트부(130)의 자기력을 상승시키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마그네트부(130)의 자기력을 조절하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크레인 장치의 운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강판(10)이 적재소로 이송될 때에 진공 흡착부(140)와 마그네트부(130)가 강판(10)에 진공 흡착력과 자기력을 동시에 가한다. 강판(10)이 이송될 때에 강판(10)에 진공 흡착력과 자기력이 동시에 가해지므로, 강판(10)이 이송될 때에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진공 흡착부(140)와 마그네트부(130)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크레인 장치에서 강판(1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판(10)이 적재소로 이송될 때에, 마그네트부(130)는 강판(10)에 자기력을 작용하고, 진공 흡착부(140)는 강판(10)에 가해지는 진공 흡착력을 해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강판(10)이 상승될 때에는 진공 흡착부(140)의 진공 흡착력이 이용되고, 강판(10)이 적재소로 이송될 때에는 마그네트부(130)의 자기력만이 강판(10)에 작용할 수 있다.
진공 펌프(145)와 전원 공급부(135)는 제어부(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6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진공 흡착부(140)와 마그네트부(13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진공 펌프(145)를 제어하여 진공 흡착부(140)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전원 공급부(135)를 제어하여 마그네트부(130)에서 자기력이 형성되도록 제어한다.
리프트 헤더(120)의 하면부를 둘러싸도록 실링부재(150)가 설치된다. 실링부재(150)가 리프트 헤더(120)의 하면부를 둘러싸므로, 리프트 헤더(120)의 하면부가 외부와 차폐되어 진공이 용이하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150)는 진공 흡착부(140)의 진공 흡착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실링부재(150)는 리프트 헤더(120)의 승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도록 주름지게 형성되는 진공 벨로우즈(151)일 수 있다. 진공 벨로우즈(151)가 주름지게 형성되므로, 리프트 헤더(120)가 강판(10)으로 하강될 때에 진공 벨로우즈(151)가 강판(10)에 의해 수축되므로, 리프트 헤더(120)가 강판(1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흡착부(140)가 진공 흡착력을 작용할 때에 진공 벨로우즈(151)가 수축되므로, 강판(10)에 작용되는 진공 흡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리프트 헤더(120)의 하면부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하나의 진공 벨로우즈(15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흡착 포트(141)마다 진공 벨로우즈(151)가 하나씩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리프트 헤더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링부재(150)는 리프트 헤더(120)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진공 흡착컵(153)일 수 있다. 진공 흡착컵(153)이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진공 흡착부(140)에서 진공이 발생될 때에 진공 흡착컵(153)이 강판(10)이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진공 흡착컵(153)이 강판(10)에 밀착됨에 따라 진공 흡착컵(153)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므로, 진공 흡착부(140)의 진공 흡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리프트 헤더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링부재(150)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진공 오링(155)일 수 있다. 진공 오링(155)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므로, 진공 오링(155)이 강판(10)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흡착부(140)의 진공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가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진공 흡착부가 진공 흡착력을 강판에 작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진공 흡착부가 진공 흡착력에 의해 강판을 상승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에서 진공 흡착부와 마그네트부를 구동하여 진공 흡착력과 자기력을 강판에 작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가 강판을 적재소로 이송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리프트 몸체(110)가 하강하여 리프트 헤더(120)를 최상층 강판(10)에 접촉시킨다(도 6 참조). 리프트 헤더(120)가 최상층 강판(10)에 접촉되면, 리프트 몸체(110)가 정지된다.
제어부(160)에 의해 진공 펌프(145)가 구동되면, 진공 흡착부(140)가 강판(10)에 진공 흡착력을 가하여 강판(10)을 리프트 헤더(120)에 부착한다(도 7 참조). 이때, 제어부(160)는 전원 공급부(135)를 정지시키므로, 마그네트부(130)에는 자기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진공 흡착부(140)가 강판(10)에 진공 흡착력을 작용할 때에 실링부재(150)가 강판(10)에 밀착되므로, 진공 흡착부(140)의 진공 흡착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강판(10)이 리프트 헤더(120)에 보다 밀착될 수 있다.
리프트 몸체(110)가 상승되면, 강판(10)이 진공 흡착부(140)의 진공 흡착력에 의해 상승된다(도 8 참조). 이때, 마그네트부(130)에는 자기력이 발생되지 않고, 진공 흡착부(140)의 진공 흡착력만으로 강판(10)이 상승되므로, 최상층 강판(10)에 아래의 강판(10)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강판(10)이 기 설정된 높이만큼 상승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높이는 최상층 강판(10)이 아래의 강판(10)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마그네트부(130)의 자기력이 아래의 강판(10)을 상승시키지 못하는 거리 이상을 의미한다.
진공 흡착부(140)가 강판(10)을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시킨 후 마그네트부(130)를 구동하여 강판(10)에 자기력을 가한다(도 9 참조). 강판(10)이 진공 흡착력에 의해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된 후에 마그네트부(130)의 자기력이 강판(10)에 작용하므로, 2개 이상의 강판(10)이 자기력에 의해 한꺼번에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흡착부(140)와 마그네트부(130)가 리프트 헤더(120)에 동시에 설치되므로, 리프트 헤더(120)의 하면부에서 진공 흡착력과 자기력이 동시에 작용한다. 따라서, 강판(10)이 리프트 헤더(120)에 보다 안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자기력이 작용하는 영역에서 진공 흡착력도 작용하므로, 리프트 헤더(120)에서 단위 면적당 발생되는 흡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크레인 장치가 강판(10)을 상승시킬 때에 마그네트부(130)에서 자기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2장의 강판(10)이 부착되지 않을 정도로 마그네트부(130)의 자기력을 약하게 조절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크레인 장치가 강판(10)을 상승시킬 때에 2개 이상의 강판(10)이 한꺼번에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강판(10)이 상승되거나 이송되는 도중에 강판(10)이 낙하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자기력이 발생되는 마그네트부(130)가 해칭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리프트 몸체(110)를 이동하여 강판(10)을 적재소로 이송시킨다(도 10 참조). 이때, 진공 흡착부(140)와 마그네트부(130)는 강판(10)에 진공 흡착력과 자기력을 동시에 가할 수 있다. 강판(10)이 이송될 때에 강판(10)에 진공 흡착력과 자기력이 동시에 가해지므로, 강판(10)이 이송될 때에 크레인 장치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흡착부(140)와 마그네트부(130)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크레인 장치에서 강판(1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그네트부(130)와 진공 흡착부(140)가 리프트 헤더(120)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리프트 헤더(120)의 하면부에서 자기력과 진공 흡착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또한, 리프트 헤더(120)에서 자기력이 작용하는 영역과 진공 흡착력이 작용하는 영역이 중첩되므로, 리프트 헤더(120)의 하면부에서 단위 면적당 발생되는 흡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헤더(120)의 하면부를 둘러싸도록 실링부재(150)가 설치되므로, 리프트 헤더(120)의 하면부에서 진공 흡착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강판(10)이 진공 흡착력에 의해 상승된 후에 마그네트부(130)의 자기력이 강판(10)에 작용하므로, 2개 이상의 강판(10)이 자기력에 의해 한꺼번에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 장치가 강판(10)을 상승 및 이동시킬 때에 마그네트부(130)의 자기력의 세기를 조절하지 않아도 되므로, 마그네트부(130)의 자기력 세기를 조절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크레인 장치의 운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강판(10)이 이송될 때에 강판(10)에 진공 흡착력과 자기력이 동시에 가해지므로, 강판(10) 이송될 때에 크레인 장치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흡착부(140)와 마그네트부(130) 중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크레인 장치에서 강판(1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강판 110: 리프트 몸체
113: 연결부재 120: 리프트 헤더
130: 마그네트부 131: 전자석
135: 전원 공급부 140: 진공 흡착부
141: 흡착 포트 145: 진공 펌프
150: 실링부재 151: 진공 벨로우즈
153: 진공 흡착컵 155: 진공 오링
160: 제어부

Claims (8)

  1.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몸체;
    상기 리프트 몸체에 연결되는 리프트 헤더;
    상기 리프트 헤더에 배치되어 강판에 자기력을 가하는 마그네트부; 및
    상기 리프트 헤더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에 진공 흡착력을 가하는 진공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착부가 상기 강판에 진공 흡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마그네트부가 상기 강판에 자기력을 제공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강판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진공 흡착부와 상기 마그네트부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이 상승된 후에 자기력과 진공 흡착력을 상기 강판에 작용하도록 상기 마그네트부와 상기 진공 흡착부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부는 상기 리프트 헤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 흡착부는 상기 리프트 헤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흡착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헤더의 하면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리프트 헤더의 승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도록 주름지게 형성되는 진공 벨로우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리프트 헤더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진공 흡착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진공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치.
KR1020150057714A 2015-04-24 2015-04-24 크레인 장치 KR20160126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714A KR20160126542A (ko) 2015-04-24 2015-04-24 크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714A KR20160126542A (ko) 2015-04-24 2015-04-24 크레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542A true KR20160126542A (ko) 2016-11-02

Family

ID=5751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714A KR20160126542A (ko) 2015-04-24 2015-04-24 크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65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7007A (zh) * 2018-12-17 2019-03-08 上海艾港风电科技发展有限公司 风电叶片主梁起吊装置
JP2020082243A (ja) * 2018-11-20 2020-06-04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搬送設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2243A (ja) * 2018-11-20 2020-06-04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搬送設備
CN109437007A (zh) * 2018-12-17 2019-03-08 上海艾港风电科技发展有限公司 风电叶片主梁起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2266B (zh) Transfer method, holding device and transfer system
KR20160126542A (ko) 크레인 장치
JPWO2018003287A1 (ja) 搬送システム
KR20160140272A (ko) 차량의 배터리 커버용 알루미늄 판재 적재장치
KR102173869B1 (ko) 그리퍼 장치
KR20140107982A (ko) 다이 이젝터 및 다이 분리 방법
KR101569180B1 (ko) 자재 접착 장치
KR20160126541A (ko) 크레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7124884A (ja) 走行設備
JP2009040563A (ja) 押さえ機構及び搬送装置
KR20160126543A (ko) 크레인 장치
KR20180110490A (ko) Mlcc 리니어 피더
JP2006008354A (ja) 天井走行車
KR100746913B1 (ko) 자동차 제조용 소형 부품 공급 장치
CN107628445A (zh) 一种板材堆垛装置
KR20160126363A (ko) 크레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5739A (ko) 출력제어형 영구자석척
JP2021094626A (ja) 物品搬送システム
EP3193023A1 (en) Vacuum generator device
JP5662791B2 (ja) 板状ワークの取扱方法
KR101167076B1 (ko) 기판 이송장치
KR101567462B1 (ko) 중량물 이송정렬장치
JP2015199162A (ja) 非接触搬送装置
JP2012206853A (ja) ヤードクレーンの給電装置
US10207907B1 (en) High visibility load clamp with asymmetrical gus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