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029A -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029A
KR20160125029A KR1020150055631A KR20150055631A KR20160125029A KR 20160125029 A KR20160125029 A KR 20160125029A KR 1020150055631 A KR1020150055631 A KR 1020150055631A KR 20150055631 A KR20150055631 A KR 20150055631A KR 20160125029 A KR20160125029 A KR 20160125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heet
release paper
mask pack
typ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377B1 (ko
Inventor
김회기
Original Assignee
(주)화니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니핀코리아 filed Critical (주)화니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5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37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화장료와 수소수를 이용하는 시트형 마스크 팩을 페이스트 상태로 부직포 등의 시트에 적용하여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얼굴 등의 피부에 보습 및 영양공급뿐만 아니라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에 의한 충분한 원적외선 효과, 노폐물 제거 및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수소의 큰 항산화력을 이용한 노화방지 효과와 작은 분자를 이용하여 피부 침투기능을 향상시킨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은 제1이형지와, 상기 제1이형지와 일면이 합지되고, 타면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가 도포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화장료가 도포된 타면에 합지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되, 상기 화장료는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 35 내지 45 중량부와, 분산제 3 내지 6 중량부와, 점증제 0.1 내지 8 중량부 및 수소수 4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는 황토분말, 머드분말, 화산재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소수는 -600mV의 산화환원전위를 가지고, 1000~1650ppb의 수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Sheet-Type Mask Pack Using Hydrogen Water}
본 발명은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수소수를 이용하여 페이스트 상태로 하여 부직포에 도포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황토, 머드, 화산재 등의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이용하는 다양한 미용 팩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미용 팩이 개발되어 왔는데,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878,56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황토와 숯가루를 혼합하여 크림 또는 젤 형태로 제형화한 것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 등록특허 제787,105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황토와 바다갯벌 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마사지 황토팩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 2와 같이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주성분으로 이용하는 미용 팩은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제형화하여 튜브나 용기에 담겨 제품화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튜브나 용기 내의 제형화된 팩을 얼굴 등 피부에 펴서 바르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이를 떼어낸 후 세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페이스트 상태의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화장료를 얼굴 등의 피부에 직접 펴서 바르는 경우, 피부의 노폐물제거, 보습,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얼굴 등의 피부에 화장료를 고르게 도포하여 바르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사용하는 양의 조절이 어려워 마사지 화장료의 낭비를 초래하는 등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팩을 한 후에 잔여물의 처리에도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주성분으로 이용하는 미용 팩 조성물을 부직포 등의 시트에 적용함으로써 편리성을 도모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05-0067110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에서는, 이러한 천연원료 중 황토를 현탁시킨 겔 형성 물을 부직포 면에 부어 겔화 시킨 황토를 첨가한 겔형 팩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겔(gel)화시킨 화장료는 온도가 높아지면(즉 인체의 온도에서) 겔이 녹으면서 화장료가 피부에 적용되는 것으로, 황토의 유용한 성분을 이용하여 안면 등의 피부에 보습이나 영양을 공급하는 효과는 있으나, 종래의 황토를 페이스트 상태로 하여 직접 안면 등의 피부에 발라서 팩을 할 때의 노폐물의 제거나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또한 온도가 높아지면 겔이 녹기 때문에 보관 중 또는 사용 중 황토가 함께 함유된 물과 함께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황토, 머드, 화산재 등의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이용한 화장료를 페이스트(paste) 상태로 부직포 등의 시트에 직접 적용하지 못한 이유는 화장료를 페이스트 상태로 부직포 등의 시트에 직접 적용하는 경우 화장료에 포함된 물에 의하여 화장료가 흘러내리기 때문에 보관이나 사용이 곤란하여 제품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주성분으로 이용하는 미용 팩들은 주로 물(정제수)를 이용하여 제형화 하고 있는데, 이러한 물은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를 반죽하는 것 외에 특별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수소수가 활성산소 제거에 효과가 있다는 점이 알려져 음용수 등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용분야에 특히 마스크 팩 분야에는 아직 수소수를 이용한 상품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878,563호 공보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787105호 공보 특허문헌 3 : 한국공개특허 제2005-006711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화장료를 이용하는 마스크 팩을 페이스트 상태로 부직포 등의 시트에 적용하여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얼굴 등의 피부에 보습 및 영양공급뿐만 아니라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에 의한 충분한 원적외선 효과, 노폐물 제거 및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수소의 큰 항산화력을 이용한 노화방지 효과와 작은 분자를 이용한 피부 침투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은, 제1이형지와, 상기 제1이형지와 일면이 합지되고, 타면에 수소수를 이용하여 페이스트 상태로 한 화장료가 도포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화장료가 도포된 타면에 합지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의 상기 수소수는 최초 산화환원전위가 -500 내지 600mV 이고, 수소농도가 1,000 내지 1650pp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의 상기 화장료는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 35 내지 45 중량부와, 분산제 3 내지 6 중량부와, 점증제 0.1 내지 8 중량부 및 수소수 4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는 황토분말, 머드분말, 화산재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의 상기 부직포는 셀룰로오스를 용융하여 연속적으로 방사한 장섬유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의 상기 부직포는, 극세사로 된 멜트 블로우 부직포를 중간층으로 하고, 양면에 스펀본드 장섬유 부직포를 적층한 3층 구조의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의 상기 부직포는, 표면을 코로나 방전에 의한 표면 처리 후에 친수화제 의한 친수화 처리를 하여 표면의 친수성 및 접착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의 상기 제1이형지 및 제2이형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투명색의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화장료를 이용하는 미용 팩을 페이스트 상태로 장섬유 부직포 시트에 적용하고, 수소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얼굴 등의 피부에 보습 및 영양공급뿐만 아니라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에 의한 충분한 원적외선 효과, 노폐물 제거 및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 그리고 수소의 큰 항산화력을 이용한 노화방지 효과와 작은 분자를 이용한 피부 침투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기미와 주근깨, 여드름 등은 피부 표피와 진피층 사이의 멜라닌 세포를 만들어내는 세포층이 독성산소로 인해 자극을 받아 생기기 때문에 수소수를 이용하여 이 독성산소를 제거하면 미용에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장섬유 부직포와 단섬유 부직포의 표면 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사진으로, (a) 장섬유 부직포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b) 단섬유 부직포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의 부직포의 종류에 따른 사용 후 시트 상태를 비교한 것으로서 (a)는 장섬유 부직포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b) 단섬유 부직포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에 있어서 3층 구조 부직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장섬유 부직포와 단섬유 부직포의 표면 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사진으로, (a) 장섬유 부직포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b) 단섬유 부직포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의 부직포의 종류에 따른 사용 후 시트 상태를 비교한 것으로서 (a)는 장섬유 부직포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b) 단섬유 부직포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에 있어서 3층 구조 부직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이하, "시트형 마스크 팩"이라 함.)은, 제1이형지(200)와, 상기 제1이형지(200)와 일면이 합지되고, 타면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400)가 도포된 부직포(100)와, 상기 부직포(100)의 화장료(400)가 도포된 타면에 제2이형지(300)가 합지된 3중 합지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형지(200)에 일면이 합지된 상기 부직포(100)의 타면에 페이스트 상태로 도포된 상기 화장료(400)는,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의 합지 과정에서 압입에 의하여 상기 부직포(100)의 공극으로 스며드는 한편 상기 부직포(100)에 고르게 분포하여 발라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화장료(400)는 페이스트 상태로 도포되어 흐르지 않도록 적절하게 유동성이 제한될 필요가 있으며, 화장료 내 수소수를 이용하여 미용 효과와 침투효과를 극대화 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400)의 유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적 수단을 상기 화장료(400), 부직포(100) 및 이형지(200, 300) 각각의 측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장료(40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400)는, 시트형 마스크 팩으로서의 기능성뿐만 아니라 상기 화장료(400)를 페이스트 상태로 상기 부직포(100)에 적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물리적 특성(예를 들면, 부직포(100)에 대한 발림성, 부착력, 점성, 이형지(200, 300)에 대한 이형성)을 고려하여 그 조성비 및 도포량이 면밀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400)는 분말상(粉末狀)의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 30 내지 45 중량부와, 분산제 3 내지 6 중량부와, 점증제 0.1 내지 8 중량부와, 수소수 45 내지 55 중량부 및 향료나 비타민 등 기타 첨가제를 적정량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는 분말상의 황토, 바다갯벌 머드(이하, "머드"라 함.) 또는 화산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황토, 머드 또는 화산재 등은 미네랄 등의 무기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즉, 황토는 미세한 다공성 물질로서 흡착성이 우수하고 각종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으며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황토를 피부에 바르면, 원적외선에 의해 세포조직이 활성화되어 혈액순환과 노폐물배출이 촉진되며 황토의 흡착성에 의해 피부 모공 속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이물질이나 노폐물이 흡착·제거되어, 미백, 보습, 해독 등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머드는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사되고 각종 무기물질 및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기미ㆍ죽은깨ㆍ잡티제거, 피부재생 촉진 및 잔주름 예방, 모공축소와 더불어 노폐물제거 등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화산재는 피부에 다량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대사기능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여 피부에 생겨나는 곰팡이 등을 제거시켜 피부 트러블을 완화하고 피부의 주름을 완화하는 동시에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피부손상을 방지하고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들이 방출하는 원적외선은 인체의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열을 만드는데, 이러한 열작용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며,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는 분말상의 황토, 머드 또는 화산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숯가루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숯은 원적외선 효과뿐만 아니라 다공질 구조로 되어 있어 흡착력이 우수하여 피부의 미세한 모공의 피지까지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함유량은 30 내지 4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천연원료가 30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수소수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데, 수소수의 양이 증가하면 전체 화장료(400)의 상태가 묽게 되어 유동성이 증가하게 되고, 유동성 제한을 위해 점증제나 다른 첨가제의 양을 늘리면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천연원료가 가지는 기능이나 효능을 충분하게 활용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천연원료가 45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포함되는 수소수의 양이 줄게 되어 상기 부직포(100)에 대한 상기 화장료(400)의 발림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화장료의 점도가 높아져 상기 이형지(200, 300)의 이형성이 저하되고 사용시 끈적임에 의한 불쾌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황토, 머드 또는 화산재 등은 물에 대한 분산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분산제 3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산제는 서로 잘 혼합되지 않는 액체나 고체를 액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소르베이트80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증제는 상기 화장료(400)가 부직포(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적절한 점도로서 유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잔탄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0.1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 중 황토나 머드와 같이 그 자체로 점성이 큰 경우에는 별도의 점증제가 불필요한 경우도 있으나, 천연원료 자체가 점성이 균일하지 않다는 점에서 0.1 내지 8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첨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점증제가 8 중량부 이상인 경우 상기 화장료(400)의 점도가 높아져, 상기 이형지(200, 300) 제거시 상기 이형지(200, 300)에 상기 화장료(400)가 지나치게 많이 묻어 나오거나 안면 등의 피부에 사용시 끈적임 등의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수는 기존의 수소가 물에 녹아 용존하는 물로서, 용존하는 수소에 의해 마이너스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이하, "ORP"라 함.)를 갖기 때문에 환원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소는 항산화력이 매우 크면서도 분자는 매우 크기가 작기 때문에. 피부세포를 쉽게 뚫고 들어갈 수 있으며, 세포 내의 활성 산소 중 특히 하이드록실 래디칼(Hydroxyl Radicals, ·OH-)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피부 내로 흡수된 수소분자는,
H2 + ·OH- → H2O + ·H
의 매커니즘에 의해 활성 산소종 중 하나인 ·OH-(하이드록실 래디칼)과 선택적으로 반응함으로써 활성산소를 제거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한 물이 생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활성산소에 기인하는 피부의 기미, 주름, 얼룩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콜라겐이 산화하여 경화됨으로써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없는 피부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여 보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소수를 이용하여 피부 내에 적절한 수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수소수의 ORP는, 산화환원전위가 -100mV 내지 -400mV 범위로 알려져 있는 생체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한국 등록특허 제803,832호 공보 참조).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마스크 팩을 얼굴에 부착하는 시간, 즉 수소수가 서서히 증발되어 완전히 건조되는 시간이 40분 정도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적어도 상기 마스크 팩의 수소수의 ORP는 개봉 직후부터 30분까지는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마스크 팩의 포장지를 개봉하여 마스크 팩을 피부에 적용한 상태에서 수소수의 ORP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가 다음의 [표 1]과 같았다.

실시예 1(-500mV) 실시예 2(-600mV)
산화환원전위(mV) 산화환원전위(mV)
개봉직후 -497 -596
10분경과후 -438 -542
20분경과후 -392 -484
30분경과후 -345 -431
즉, [표 1]에서와 같이, 수소수의 최초 ORP를 -500mV로 한 경우(실시예 1), 마스크 팩을 개봉하여 피부에 적용했을 때 20분이 경과한 후에는 ORP가 -392mV, 30분이 경과한 후에는 ORP가 -345mV로서 적정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수소수의 최초 ORP를 -600mV로 한 경우(실시예 2)에는 마스크 팩을 피부에 적용했을 때, 30분이 경과한 후에도 ORP가 -431mV로서 매우 바람직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수의 최초 ORP는 -500 내지 -600mV가 바람직하며, -600mV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조건에서 수소수에 더 많은 수소를 용존시키기 위해서는 수소수 내의 용존 수소량의 농도가 중요하다. 다만, 상온·상압에서 물에 최대로 용해할 수 있는 수소분자는 약 0.8mM 즉 1650ppb이라는 점에서 농도의 최대치가 1650ppb가 넘어서기 어렵다.
다만, 마스크 팩을 부착하였을 때, 화장료 내 수소수의 수소의 약 40%가 피부로 흡수되고, 일반적으로 수소수로서 기능하기 위하여 400ppb 이상은 되어야 한자는 점을 고려할 때, 수소수 자체의 수소의 농도는 1000ppb 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소의 용존 농도는 1000ppb 이상 1650ppb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화장수나 시트형 미용 팩에 포함하는 정제수에 있어서, 전체 중량에 대한 함량비는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화장료(400)가 페이스트 상태에서 적절하게 유동성이 제한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정제수를 대신하여 포함되는 수소수의 함량비가 중요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함유되는 수소수의 양이 많으면 페이스트 상태의 상기 화장료(400)가 지나치게 묽어져 쉽게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고, 함유되는 수소수의 양이 적으면 상기 화장료(400)의 상기 부직포(100)에 대한 발림성, 상기 이형지(200, 300)와의 이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사용시 끈적임에 의한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마스크 팩을 얼굴 등의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화장료(400)에 포함된 수분이 서서히 증발하면서(즉, 건조되면서)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유용한 성분이 피부에 작용하게 되는 한편 피부의 노폐물 제거 및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게 된다. 즉, 상기 시트형 마스크 팩을 피부에 부착한 후 상기 화장료(400)가 완전히 건조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적어도 20분 이상 소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20분 이상의 시간 동안 상기 화장료(400)가 서서히 건조되면서 천연원료의 유용한 성분이 피부에 작용하는 한편 피부의 노폐물 제거 및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 개선의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화장료(400)의 기능적,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상기 수소수의 양은 45 내지 5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100)]
상기 부직포(100)는 페이스트 상태의 상기 화장료(400)를 부착하는 지지체로서 상기 부직포(100) 상에서 상기 화장료(40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부직포는 장섬유 부직포와 단섬유 부직포로 분류되는데, 종래의 시트형 팩에서 주로 이용되는 단섬유 부직포는 보통 2.5~3.8㎝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단섬유(short staple)를 방사하여 시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평량(단위 면적당 무게)이 일정하지 않고, 표면이 평탄하지 않으며 보풀이 형성되어 있다(도 2의 (a) 참조). 반면,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방사된 필라멘트(filament)를 단일 연속공정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단섬유 부직포에 비해 평량의 편차가 크지 않고, 표면이 평탄하며, 보풀이 형성되지 않는다(도 2의 (b)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와 같이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400)를 단섬유 부직포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발림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부직포(100) 상에 도포되는 화장료(400)를 부착하는 부착력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장섬유 부직포는 단섬유 부직포와 달리 평량의 편차가 크지 않고, 표면이 평탄하며, 보풀이 없기 때문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400)를 장섬유 부직포에 도포하는 경우에도 발림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부직포(100) 상에 도포되는 화장료(400)를 부착하는 부착력도 좋다.
또한, 실제 장섬유 부직포와 단섬유 부직포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마스크 팩을 제조하여 사용한 경우, 도 3의 (a)에서와 같이 장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경우에는 피부에 부착하여 서서히 건조된 후에 건조된 시트형 마스크 팩의 표면이 매끄럽게 나타나지만, 도 3의 (b)에서와 같이 단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경우에는 피부에 부착하여 서서히 건조된 후에 건조된 시트형 마스크 팩의 표면(특히, 턱 부분)에 잔주름이 많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마스크 팩을 피부에 부착하면 미용 팩의 화장료가 서서히 건조되면서 피부를 수축시켜 리프팅으로 하게 되는데, 이때 단섬유 부직포에 상기 화장료(400)를 도포한 경우에는 잔주름이 형성되면서 충분한 리프팅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마스크 팩에 사용되는 부직포(100)는 장섬유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실크 등의 천연 장섬유를 방사시켜 웹(섬유를 거듭해 맞춘 상태)을 형성하거나, 또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분자 원료나 셀룰로오스를 액체로 변화시켜 연속적으로 방사 제조되는 스펀본드(Spun Bond) 방법에 의한 부직포가 이용될 수 있다. 스펀본드 방법에 의한 부직포는 압출기에서 방사된 필라멘트가 연신된 후에 적층하여 웹을 형성하는 것으로, 섬유 길이가 길기 때문에 실용상의 강도를 가지며, 통기성이 우수하고, 유제(油劑) 처리 등을 행하지 않고 섬유가 그대로 시트화 되기 때문에 섬유 특유의 발수성(撥水性) 등의 성질을 살릴 수 있다.
한편, 셀룰로오스는 천연에서 산출되는 유기화합물 중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셀룰로오스는 수산기에 의한 수소결합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그 자체는 열가소성이 전혀 없으나, 셀룰로오스 수산기를 봉쇄하고 유도체화함으로써 열가소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열가소성이 부여된 셀룰로오스를 용융 방사하여 장섬유 부직포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시트형 마스크 팩의 부직포(100)가 피부에 직접 닿는다는 점에서 천연원료로서 실크를 이용한 장섬유 부직포나 셀룰로오스를 용융 방사한 장섬유 부직포가 바람직하며, 특히 면린터(면화씨에 붙어 있는 솜털)에서 얻은 셀룰로오스를 용융방사한 장섬유 부직포가 경제적으로 우수하다는 점에서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직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장섬유층(110), 열가소성 극세섬유층(120), 열가소성 장섬유층(130)의 3층 구조의 부직포로 할 수 있으며, 이때 3층 구조 부직포의 총 두께는 15 내지 300㎛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간층을 열가소성 극세섬유층(120)으로 함으로써 상기 부직포(100)에 도포된 화장료(400)가 이면(즉, 제1이형지(120)와 합지되는 면)까지 스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도포되는 화장료(400)의 양을 경제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층 구조의 부직포의 표면층을 이루는 열가소성 장섬유층(110, 130)은 상기한 스펀본드법에 의해 용융한 열가소성 수지를 원형의 모세관형 방적 돌기로부터 압출함으로써 용융 방사하여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제조된 장섬유 부직포이고, 중간층을 이루는 열가소성 극세섬유층(120)는 멜트블로운(Melt Blown)법에 의한 부직포이다.
상기 멜트블로운법은 폴리프로핀렌과 같이 열가소성 수지를 방사 노즐의 출구에 고온·고압의 공기류를 유입하여 섬유를 연신 및 개섬한 다음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극세섬유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100)는 상기 화장료(400)가 도포되는 면을 친수화 처리함으로써, 상기 화장료(400)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직포(100)의 친수화 처리는 희석한 친수화제 용액을 사용하여, 침지법, 분무법, 코팅법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친수화 처리에 앞서,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하는 것도 친수화 정도를 향상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직포(100)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으로 조사하면 친수성이 올라가고, 더욱 접착력이 향상되게 된다.
[이형지(200, 300)]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은 상기 화장료(400)가 도포된 부직포(100)의 양 측면에 합지함으로써, 상기 부직포(100) 상에 도포된 화장료(400)를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부직포(100)에 도포하여 부착된 상기 화장료(40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후술하는 제조과정에서와 같이, 상기 제1이형지(200)에 상기 부직포(100)를 합지한 후 상기 부직포(100) 상에 상기 화장료(400)를 도포한 후에 상기 제2이형지(300)를 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형지의 합지과정에서 상기 부직포(100) 상에 도포된 상기 화장료(400)가 상기 부직포(100)의 공극을 통해 스며들게 됨과 동시에 상기 화장료(400)의 점성에 의하여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가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합지된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는 사용자가 시트형 마스크 팩을 사용하기 위하여 제거되는데, 이때 제거되는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특히, 제2이형지(300))에 붙어서 떨어져 나오는 상기 화장료(400)의 양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는 표면장력이 작은 비극성고분자,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등이 바람직하며, 특히 적어도 상기 제1이형지(200) 및 상기 제2이형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도가 높은 폴리에틸렌으로 함으로써 상기 부직포(100) 상에 도포된 상기 화장료(40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마스크 팩은 조성물의 성분과 함량을 페이스트 상태로 치밀하게 설계함으로써 적절하게 유동성이 제어된 화장료(400)와, 상기 화장료(400)에 대한 발림성 및 부착력을 개선한 부직포(100)와, 상기 부직포(100)에 도포된 화장료(400)에 부착하여 상기 화장료(400)의 유동성을 제한하는 제1이형지(200) 및 제2이형지(300)에 의하여, 상기 부직포(100)에 도포된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400)가 보관이나 운반 및 사용 중에도 흘러내리지 않는 미용 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미용 팩의 제조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부직포 공급부(S1)에서 공급되는 부직포(100)와 제1 이형지 공급부(S2)에서 공급되는 제1이형지(200)가 한 쌍의 합지롤러(R1, R2)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부직포(100)의 일면에 제1이형지(200)가 합지되는데, 이때 상기 부직포(100) 쪽의 합지롤러(R1)가 화장료공급부(S4) 내의 화장료(400)를 묻혀 상기 부직포(100)에 도포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합지롤러(R1, R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화장료(400)가 상기 부직포(100)로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이형지(200)와 합지된 상기 부직포(100) 상의 도포된 상기 화장료(400) 위로 제2이형지 공급부(S3)에서 공급된 제2이형지(300)가 공급되면서 한 쌍의 합지롤러(R3, R4)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부직포(100)의 화장료가 도포된 면에 상기 제2이형지(300)가 합지됨과 동시에 재차 가압에 의해 상기 부직포(100)에 도포된 상기 화장료(400)가 상기 부직포(100) 내의 공극을 채우면서 상기 부직포에 고르게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이형지(200), 부직포(100) 및 제2이형지(300) 3중 합지로 된 시트형 마스크 팩은 포밍부(F)에서 사람의 얼굴 형상 등으로 재단된 후에 포장된다.
100 부직포 200 제1이형지
300 제2이형지 400 화장료
S1 부직포 공급부 S2 제1이형지 공급부
S3 제2이형지 공급부 S4 화장료공급부
F 포밍부 R1, R2, R3, R4 합지롤러

Claims (7)

  1. 제1이형지와,
    상기 제1이형지와 일면이 합지되고, 타면에 수소수를 이용하여 페이스트 상태로 한 화장료가 도포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화장료가 도포된 타면에 합지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는 최초 산화환원전위가 -500 내지 600mV 이고, 수소농도가 1,000 내지 1650pp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 35 내지 45 중량부와, 분산제 3 내지 6 중량부와, 점증제 0.1 내지 8 중량부 및 수소수 4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는 황토분말, 머드분말, 화산재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셀룰로오스를 용융하여 연속적으로 방사한 장섬유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극세사로 된 멜트 블로우 부직포를 중간층으로 하고, 양면에 스펀본드 장섬유 부직포를 적층한 3층 구조의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표면을 코로나 방전에 의한 표면 처리 후에 친수화제 의한 친수화 처리를 하여 표면의 친수성 및 접착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형지 및 제2이형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투명색의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KR1020150055631A 2015-04-21 2015-04-21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KR101692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31A KR101692377B1 (ko) 2015-04-21 2015-04-21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31A KR101692377B1 (ko) 2015-04-21 2015-04-21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29A true KR20160125029A (ko) 2016-10-31
KR101692377B1 KR101692377B1 (ko) 2017-01-03

Family

ID=5744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631A KR101692377B1 (ko) 2015-04-21 2015-04-21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545B1 (ko) 2018-08-17 2021-04-07 박영근 수소수기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미용 팩
KR20200048380A (ko)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아르미유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200048382A (ko) 2018-10-30 2020-05-08 이재용 미스트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스트 용기
KR102364955B1 (ko) 2018-12-18 2022-02-18 박영근 미용팩용 수소수기.
KR102213116B1 (ko) 2018-12-27 2021-02-05 수소탑스 주식회사 수소파스
KR20220010873A (ko)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킥더허들 수소수 마스크팩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904B1 (ko) * 1993-11-22 2002-09-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고강도미세스펀본드섬유및직물
JP2005089432A (ja) * 2003-09-12 2005-04-07 Hiroshima Kasei Ltd 皮膚調整剤含浸繊維質材料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KR20050067110A (ko) 2005-05-09 2005-06-30 방계룡 솔잎 정유와 황토를 첨가한 겔형 팩 및 그 제조방법.
JP2006288604A (ja) * 2005-04-08 2006-10-26 Kuraray Co Ltd スキンケア用シート
KR100787105B1 (ko) 2006-12-15 2007-12-21 호형철 미용마사지황토팩 및 그 제조방법
KR100878563B1 (ko) 2007-06-04 2009-01-19 변산 황토 함유 미용팩
JP2014213064A (ja) * 2013-04-26 2014-11-17 水素健康医学ラボ株式会社 肌用シート及び肌用シートキッ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904B1 (ko) * 1993-11-22 2002-09-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고강도미세스펀본드섬유및직물
JP2005089432A (ja) * 2003-09-12 2005-04-07 Hiroshima Kasei Ltd 皮膚調整剤含浸繊維質材料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JP2006288604A (ja) * 2005-04-08 2006-10-26 Kuraray Co Ltd スキンケア用シート
KR20050067110A (ko) 2005-05-09 2005-06-30 방계룡 솔잎 정유와 황토를 첨가한 겔형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0787105B1 (ko) 2006-12-15 2007-12-21 호형철 미용마사지황토팩 및 그 제조방법
KR100878563B1 (ko) 2007-06-04 2009-01-19 변산 황토 함유 미용팩
JP2014213064A (ja) * 2013-04-26 2014-11-17 水素健康医学ラボ株式会社 肌用シート及び肌用シート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377B1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377B1 (ko)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AU702300B2 (en) Sheet pack
DE69919957T2 (de) Pflaster, Anordnung bestehend aus einem Pflaster und einem Behälter, und Verfahren
CN1196502C (zh) 除臭吸收性片材
EP1541155B1 (en) Material for formation of carbon dioxide external preparation
KR101692376B1 (ko) 마스크 팩
US10682257B2 (en) Biological fiber composite dressing
WO2013187404A1 (ja) 保液シート及びフェイスマスク
EP3187195B1 (en) A medical multi-layer product comprising nanofibrillar cellulos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CN1323573A (zh) 具有含油成分层的薄片
DE60202171T2 (de) Dampf erzeugendes Gerät
DE102008017746A1 (de) Haut- oder Wundauflage zur feuchten Wundheilung
CN206355237U (zh) 一种预防褥疮的医用护理垫
JP4988838B2 (ja) 創傷被覆材
KR101561032B1 (ko) 시트형 미용 팩
CN1226976C (zh) 吸收性物品
CN211835009U (zh) 一种一次性吸收制品及其制备装置
KR102274598B1 (ko) 수용성 고분자 및 비수용성 고분자가 복합된 나노섬유 마스크 시트
CN110916902A (zh) 一种一次性吸收制品及其制备装置和方法
CN213911439U (zh) 一种抗菌抗病毒湿巾
CN215080845U (zh) 一种纳米纤维素创可贴
EP2694001A1 (de) Wasserdichte, schnelltrocknende und wasserdampfdurchlässige gewebepflaster
RU2197272C1 (ru) Абсорбирующий медицинский материал и изделия на его основе
EP1653933B1 (de) Dermales oder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enthaltend ein ormocer mit barrierewirkung auf eine abdeckfolie
KR20180134598A (ko) 다층 미용 마스크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