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545B1 - 수소수기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미용 팩 - Google Patents

수소수기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미용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545B1
KR102237545B1 KR1020180095867A KR20180095867A KR102237545B1 KR 102237545 B1 KR102237545 B1 KR 102237545B1 KR 1020180095867 A KR1020180095867 A KR 1020180095867A KR 20180095867 A KR20180095867 A KR 20180095867A KR 102237545 B1 KR102237545 B1 KR 102237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water
pouch
pack
water
inn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310A (ko
Inventor
박영근
Original Assignee
박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근 filed Critical 박영근
Priority to KR102018009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5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K99/0001Microvalves
    • F16K99/0003Constructional types of microvalves; Details of the cutting-off member
    • F16K99/0017Capillary or surface tension valves, e.g. using electro-wetting or electro-capillarity ef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수기를 미용팩에 연결하여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미용팩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소수기와 연결되는 미용팩이 한 쌍의 시트가 겹쳐진 상태에서 테두리에 융착부가 형성되면서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된 파우치에, 수소수를 함유하기 위한 팩체와 함께, 상기 시트가 타공되었을 때 압력차에 의해 인가된 수소수가 팩체로 흘러가 충전되게 하는 충전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 일단 절취부가 형성됨으로써,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오래 있더라도 변질될 위험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미용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소수기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미용 팩 {A COSMETIC PACK}
본 발명은 수소수기를 미용팩에 연결하여 파우치 내측에 수소수를 충전시켜 사용하는 미용팩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오래 있더라도 변질될 위험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용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20대 이후에 지속적인 노화 과정이 진행되어 시각적인 아름다움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러한 피부노화의 원인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연스럽게 진행되기도 하나, 외부적 요인에 의해 피부노화의 진행 속도가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대표적인 피부노화의 원인으로는 피부에 생성되는 활성산소(活性酸素, oxygen free radical)의 영향과 자외선 등을 들 수 있다.
참고로, 활성산소는 우리가 호흡한 산소가 에너지로 대사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산소찌꺼기로써, 몸속에서 발생하기도 하나 자외선에 노출되어도 피부에 활성산소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활성산소는 인체의 정상적인 DNA와 세포 조직을 공격하여 DNA의 유전정보를 파괴하고 세포막을 붕괴시키며 비정상적인 세포단백질을 형성하고,
특히 얼굴은 자외선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활성산소가 쉽게 발생하여 세포막의 지방질을 산화시켜 과산화 지방질로 만들고,
이것이 단백질과 결합하여 리보호수친이라는 노인성 색소로 변하여 노인성 검버섯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색소에 영향을 주어 기미나 주근깨를 발생시키고, 피부의 탄력섬유인 콜라겐을 변질시켜 주름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물질로 다양한 항산화물질 등이 개발되었지만, 일반적으로 수소가 가장 유용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확산이 빠르고 사용에 의한 유해작용이 보고된 적이 없기 때문이다.
참고로 확산이 빠른 이유는 수소는, 지구상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항산화물질이기 때문이며, 식품 중에도 폴리페놀, 후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C와 E 등의 항산화물질이 있는데 이러한 항산화물질의 분자크기는 수소의 176배 내지 863배로 알려졌다.
즉, 상기와 같은 항산화물질은 인체의 여러 조직을 통과하는데 한계를 가지는 반면에, 수소는 그 크기가 작아 아무런 제약 없이 인체의 각 부분을 빠르게 침투하여 항산화 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부과에서는 수소 토닝(Toning) 또는 하이드로임팩트(Hydro Impact)라고 하여 필터링된 깨끗한 물에 수소 캡슐을 첨가하여 수소수를 발생시킨 후 이를 공기압을 이용해 피부조직에 직접 침투시키는 방법 등이 등장하게 되었지만,
이는 고가의 장비를 요구하는 데다가, 1회 시술받는데 대략 10만원 정도하고, 특히 미용사가 시술봉을 잡고 얼굴에 접촉시킨 다음 공기압으로 수소수를 가압하여 피부에 침투시키면서, 시술자의 불편한 조작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받기 위한 수단과, 이를 전기 분해하기 위한 수단과, 수소수를 안면에 분사하기 위한 수단 등을 포함하고 있는 마스크(공개특허 제10-2017-0099261호, 등록특허 제10-1796274호)가 개발되었지만,
이는 얼굴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사용하고 난 후에는 마스크의 내측을 청결하게 하여 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상기 마스크가 고정된 형상을 가지면서 일부 사용자의 경우에는 사이즈가 맞지 않아 답답함을 느낄 수밖에 없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여성보다 얼굴 크기 때문에 사이즈가 맞지 않아 사용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단점이 해소된 1회용 수소수를 함유하고 있는 마스크 팩(등록특허 제10-1692377호)이 개발되기도 하였지만,
이는 부직포가 함유하고 있는 수소가 매우 작아 공기 중으로 쉽게 증발하면서 보관기일이 매우 짧을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수소수와 함께 함유된 화장 원료가 변질될 위험이 있어 저온 보관하여만 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KR 10-2017-0099261 A KR 10-1796274 B1 KR 10-1692377 B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오래 있더라도 변질될 위험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용팩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시트가 겹쳐진 상태에서 테두리에 융착부가 형성되면서,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된 파우치에,
수소수를 함유하기 위한 팩체와 함께,
상기 시트가 타공되었을 때 압력차에 의해 수소수기로부터 인가된 수소수가 팩체로 흘러가 충전되게 하기 위한 충전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의 일단에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변질될 위험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절취부를 통해 파우치 안쪽에 위치한 수소수를 함유하고 있는 팩체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시트에 의해 감싸여지는 파우치 내측에 팩과 충전연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충전연결구에 수소수기를 연결하여,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평상시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통기간이 오래되더라도 변질될 위험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용팩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용팩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용팩의 사용상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미용팩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미용팩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미용팩과 수소수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미용팩과 수소수기의 결합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단면도.
도 12와 도 13은 제3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용팩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미용팩을 분해하였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충전시 파우치가 부풀어 올라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용팩(1)은, 평상시 가정이나 업소에서 수소수를 복용하기 위한 만들어진 수소수기(100)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써,
특히 상기 미용팩(1)은 한 쌍의 시트(2a,2b)가 겹쳐진 상태에서 테두리에 융착부(11)를 형성하면서, 내측에 수용부(12)가 형성된 파우치(2)에,
수소수를 함유하기 위한 팩체(3)와 함께,
상기 시트(2a,2b)가 천공되었을 때, 압력차에 의해 내측으로 인가된 수소수가 팩체(3)로 흘러들어가게 가이드하는 충전연결부(14)를 형성하고,
상기 파우치의 일단에는 시트를 절단하여 수용부 안쪽에 위치한 팩을 꺼낼 수 있는 절취부(15)를 형성하여,
필요한 때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 용이하게 보관하고, 오래 있더라도 변질될 위험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용팩(1)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충전연결부(14)는 시트(2a)의 일면에 고주파/초음파 융착이나 접착제 혹은 열 융착 방식 등을 통해 접착고정 후, 상기 시트(2a) 테두리에 융착부(11)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작업공정을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파우치(2)의 테두리에 충전연결부(14)를 장착한 후, 테두리에 융착부(11)를 형성할 때 같이 융착 고정되어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우치(2)는 용이하게 충전연결부(14)를 장착하는 한편, 수소수기(100)의 내입부(110) 안쪽으로 용이하게 끼움되도록 일측 테두리에 돌출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3)에 충전연결부(14)가 장착된 상태로 융착 고정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충전연결부(14)는 일정한 두께를 가짐으로써 내입부(110) 안쪽으로 끼움되어졌을 때 밀착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바디(14a)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바디(14a)의 테두리에는 일측 또는 타측에 시트가 융착되는 융착면(14b)을 형성하고,
상기 융착면(14b)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통공된 관통홀(14c)을 형성하여, 내입부(110) 안쪽의 타공핀(125)이 파우치(2)의 시트(2a,2b)를 천공시키면서 내입되게 구성하는 한편,
상기 관통홀(14c)에는 수직하면서 시트(2a,2b)와 수평한 방향으로 수용부(12)와 연결되는 가이드홀(14d)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홀(14c)을 통해 유입된 수소수가 가이드홀(14d)을 따라 수용부(12) 안쪽으로 충전되면서, 내측에 위치한 팩체(이하, 팩이라고도 함.)이 수소수를 함유하고 있도록 함으로써,
개봉 후 파우치 안쪽에 있는 팩(3)을 꺼내어 피부에 부착함으로써 수소수가 피부에 침투하여 항산화 작용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충전연결부(14)의 가이드홀(14d)은 관통홀(14c)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압력차에 의해 관통홀(14c)에 내측에 들어와 버퍼링하고 있는 물이 가이드홀(14d)을 통해 좀더 빠르게 내측으로 유입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연결부(40)는, 실시 예에 따라 바디(41)의 일측에만 시트(2a)가 융착되는 융착면(42)을 형성하는 한편 이에 수직한 관통홀(4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관통홀(43)을 통해 수직하게 밀려들어온 수소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바디(41)와 타측 시트(2b)가 서로 이격되면서 생긴 틈새(44)사이로 수소수가 이동되면서,
수용부의 팩이 수소수를 함유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연결부(20)는, 실시 예에 따라 스파우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테두리에 융착면이 형성된 바디(21)에,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관통홀(23)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21) 상부에는, 파우치(2) 밖으로 돌출되어 나사방식으로 캡(30)이 장착되어, 상기 관통홀(23)이 개방되거나 폐쇄되게 하는 주입부(22)가 형성된 것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캡(30)은 테두리에 위변조 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개런티 시일이 형성되고, 내캡 외측에 측벽에 의해 외캡과 연결되면서 내캡과 외캡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통공되어 있는 안전캡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우치 안쪽에 위치한 팩체(3)는 건조된 상태로 파우치 안쪽에 내장되어 있다가 수소수가 주입되었을 때 이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며, 상기 팩체(이하, 팩이라고도 함.)는 실시 예에 따라 천연 원료 등(예, 황토, 녹차가루 등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 7은 미용팩과 수소수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수소수기의 내입부에 끼움되어져 있는 미용팩의 모습 및 이의 내부구 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전기분해된 수소가스가 물통 내부로 들어가 수소수를 형성하는 한편 물통 내부의 압력을 증대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수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수소수기(100)는, 정수가 담긴 음료용 물병(101)이 역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함체(102)에 체결되어, 상기 함체(102)가 전기 분해하였을 때에 생성된 수소가스가 다시 물병(101) 내부로 들어가 수소수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음료용 물병(101)을 함체(102)로부터 분리하였을 때, 이의 안쪽에 위치한 수소수를 복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물병(101)은 일회용 물병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텀블러 형태로 이루어져 하단은 물병처럼 체결부가 형성되어 함체에 결합되고 상부는 밀폐 가능한 마개가 달려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물병은 실시 예에 따라 함체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마개가 형성되어 물주입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함체(102)는, 전기 분해시 생성된 수소가스에 의해 물병(101) 내부의 압력이 일정량 이상 증대되면서 물병(10) 내부에 존재하는 수소수가 연결관(138) 밖으로 배출되게 하는 체결구(130)를 형성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상기 파우치(2)의 돌출부(13)가 장착홈(111) 안쪽으로 내입되었을 때, 물병의 수소수를 파우치 안쪽으로 주입하기 위한 내입부(110)를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머리부(122)가 눌려졌을 때 탄성 지지대되는 받침대(124)의 천공핀(125)이 내입부(120) 안쪽에 위치한 파우치(2)의 시트(2a,2b)를 천공시키면서 내측에 수소수가 유입되게 하는 버튼부(120)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130)는 관체로 이루어진 원형 바디(131)에,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관(13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138)는 내측은 원형 바디(131) 안쪽에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장착되는 물병(101)의 체결부(101a)와 전극판(135,136)이 각각 걸림 장착되도록 하는 걸림턱(13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원형 바디(131)는 상하방향으로 통공되어 지도록, 상부에는 물통(101)의 체결부(101a)가 나사방식으로 회전 결합되는 체결홈(13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분리판(134)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양극 전극판(135)과 음극 전극판(136)이 위치되어 걸림턱(138a)에 걸림되었을 때, 외측에 조임구(137)가 나사방식으로 회전 결합되는 조임홀(133)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에 체결된 물병의 물이 대기압에 의해 하방향으로 내려와, 전기 분해되어 되었을 때 분리막 하단에 위치한 산소가스는 밖으로 배출되고, 분리막 상부에 위치한 수소가스는 다시 물병 내부로 들어가 수소수를 형성하는 한편 물병 내부의 압력을 증대시켜, 일정 압력 이상되면 연결관 밖으로 수소수가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내입부(110)는 파우치(2)의 돌출부(13)가 끼움되어지는 장착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홈(111)의 상부 또는 하부 테두리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버튼부(120)의 동작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받침대(124)와 밀착되거나 혹은 파우치(2)와 밀착되는 고정편(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편(112)에는 연결호스(114)가 장착되는 공급관(113)이 형성되어 있어,
평상시 받침대(124)가 고정편과 밀착되면서 천공핀(125)이 공급관(113) 안쪽으로 내입되어 있다가 버튼부(120)의 동작에 따라 이격되면서
내입부(110) 안쪽에 위치한 파우치(2)의 시트(2a,2b)를 타공하여 주면서 수소수를 파우치(2) 안쪽으로 공급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연결호스(114)는 일방향으로만 수소수가 흘러가도록 하는 체크밸브나, 일정 압력 이상 되었을 때에만 일측으로 수소수가 흘러가도록 하는 모세관필터(115)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부(120)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통(121)을 중심으로 외경에 전후방향으로 통공된 개구부(123)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23)에는 바닥면에 설치된 탄성체(126)에 의해 받침대(124)가 승하강하면서 개구부(123) 안쪽에 위치한 고정편(112)과 밀착되거나 이격되게 구성하고,
상기 받침대(124)에는 천공핀(125)이 형성되어, 머리부(122)의 누름 동작 및 이에 대응하는 탄성체(126)의 동작에 따라, 상기 천공핀(125)이 공급관(112) 안쪽으로 내입되거나 혹은 이격되면서, 내입부(110) 안쪽으로 장착된 돌출부(14)의 시트(2a,2b)를 찢으면서 충전연결부(14)의 관통홀(14c) 안쪽으로 내입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고정편(112) 또는 받침대(124)에는, 각각의 공급관(113)과 천공핀(125)을 중심으로 테두리에 오링(127)이 장착되어, 상기 파우치(2)의 돌출부(13)가 내입되었을 때 긴밀하게 밀착되어 수소수가 밖으로 누출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승하강하는 받침대(124)의 전면에는, 하방향으로 절곡된 가이드벽(124a)이 형성되어, 함체와 밀착된 상태로 안전하게 승하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받침대(124)는 고정편과 밀착되면서 공급관의 하단을 막아 수소수의 유출을 단속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는 실시 예에 따라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통의 외경에, 전후방향으로 통공된 개구부(360)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바닥면에 설치된 탄성체(370)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개구부 안쪽에 위치한 고정편(350)과 밀착되거나 혹은 이격되는 받침대(320)를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받침대(320)에는 수용홈(330)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편(350)의 공급관(300)에는 내측에 사이드 유로(311)를 형성한 체로 천공핀(310)을 고정설치하여,
평상시 천공핀(310)이 받침대(320)의 수용홈(330)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가 버튼부에 의해 고정편(350)과 밀착되어 있던 받침대(320)가 하강하게 되면, 내입부(340) 안쪽으로 파우치의 돌출부가 들어오 왔을 때,
상기 천공핀(310)이 상방향에서 시트를 관통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천공핀(310)은 한쪽 시트만 관통하여 수소수가 안전하게 파우치 쪽으로 들어가 누수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와 도 13은 수소수기에 장착되는 어댑터(200)와 이와 연결된 연결구(210)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이때의 수소수기(100)는 정수가 담겨져 있는 음료용 물병(101)이 역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함체(102)에 체결되고, 상기 함체(102)는 전기분해 능력을 통해 생성된 수소가스를 다시 물병 내부로 유입되게하여 물병의 물을 수소수로 만들어주는 것으로써,
이때의 수소수기(100)에는, 일측으로 물병(101)의 체결부가 결합되는 체결홈(201)을 형성하고 있고, 타측은 함체(102)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202)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측에는 수소가스에 의해 물병 내부의 압력이 증대되면서 연결관(203) 밖으로 수소수를 밀어내는 어댑터(200)가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어댑터(200)는, 상부에 버튼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외벽에는 파우치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내입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210)가 연결호스(204)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연결구(210)는 내공간을 가진 일정한 크기의 케이스에 파우치(2)의 돌출부(13)가 내입되었을 때, 내측에 위치한 고정편의 공급관이 수소수를 파우치 안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내입부(230)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내입부(230) 테두리에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통의 머리부가 눌려졌을 때 탄성 지지대되는 받침대의 천공핀이 내입부 안쪽으로 삽입되면서 돌출부의 시트를 천공시키면서 파우치 내측에 수소수가 유입되게 하는 버튼부(220)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220)와 내입부(230)는, 각각 함체(102)의 버튼부(120)와 내입부(1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내입부(110)의 장착홈(111)은, 실시 예에 따라 내경 안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파우치(2)의 스파우트(20)가 나사방식으로 회전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미용팩 2:파우치
2,2b:시트 3:팩
11:융착부 12:수용부
13:돌출부 14:충전연결부
14a:바디 14b:융착면
14c:관통홀 14d:가이드홀
20:충전연결부 21:바디
22:주둥이부 23:관통홀
30:캡 40:충전연결부
41:바디 42:융착면
43:관통홀 44:틈새
100:수소수기
101:물병 102:함체
110:내입부 111:장착홈
112:고정편 113:공급관
114:연결호스 115:모세관필터
120:버튼부 121:몸통
122:머리부 123:개구부
124:받침부 124a:가이드벽
125:천공핀 126:탄성체
128:오링 130:체결구
131:원형바디 132:체결홈
133:조임홀 134:분리판
135:양극 전극판 136:음극 전극판
137:조임구 200:어댑터
201:체결홈 202:조임홀
203:연결관 204:연결호스
210:연결구 220:버튼부
230:내입부 300:공급관
310:천공핀 320:받침대
330:수용홈 340:내입부
350:고정편

Claims (15)

  1. 한 쌍의 시트가 겹쳐진 상태에서 테두리에 융착부가 형성되면서,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된 파우치에,
    수소수를 함유하기 위한 팩체와 함께,
    상기 시트가 타공되었을 때 압력차에 의해 수소수기로부터 인가된 수소수가 팩체로 흘러가 충전되게 하기 위한 충전연결부가, 파우치의 테두리에 장착된 후 융착부 형성시 같이 융착 고정되고,
    상기 파우치의 일단에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변질될 위험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절취부를 통해 파우치 안쪽에 위치한 수소수를 함유하고 있는 팩체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미용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수소수기 또는 연결구의 내입부 안쪽으로 내입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충전연결부가 융착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연결부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내입부 안쪽으로 삽입되는 바디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테두리에는 일측에는 일측 시트와 융착되는 융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융착면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내입부의 타공핀이 파우치의 시트를 찢으면서 내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수직하게 밀려들어온 수소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바디와 타측 시트가 서로 이격되면서 생긴 틈새로 사이로 상기 수소수가 수용부쪽으로 이동되어져 팩체가 임의로 수소수를 함유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연결부는 일정한 두께를 가짐으로써 내입부 안쪽으로 끼움되어져 밀착 고정되게 하는 바디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테두리에는 일측 혹은 타측에 각각의 시트가 융착되는 융착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융착면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내입부의 타공핀이 파우치의 시트를 찢으면서 내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관통홀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파우치의 수용부와 연결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수직하게 밀려들어온 수소수가 가이드홀을 따라 수용부 안쪽으로 이동되어 팩체가 임의로 수소수를 함유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연결부는 테두리에 융착면이 형성된 바디에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 상부에는 파우치 밖으로 돌출되어 나사방식으로 캡이 체결되면서 상기 관통홀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주둥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기는, 미용팩과 연결되어 전기분해시 생성된 수소수를 파우치에 공급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기는 상부에 체결부를 형성하고 있는 물병과, 수소수를 생성하기 위한 함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함체는 내부에 정수가 담긴 음료용 물병이 역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기분해시 생성된 수소가스가 다시 물병 내부로 들어가 수소수를 형성하는 한편 물병 내부의 압력을 증대시켜 연결관 밖으로 수소수가 배출되게 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입부는, 파우치의 돌출부가 내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홈의 상부 테두리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져, 버튼부의 동작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받침대와 밀착되거나 혹은 파우치와 밀착되는 고정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편에는 평상시 받침대의 천공핀이 내입되어 있다가 버튼부의 동작에 따라 이격되게 되면, 체결구의 연결관에 연결된 연결호스를 통해 고정편에 밀착된 파우치 안쪽으로 수소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호스에는 일방향으로만 수소수가 흘러가도록 하는 체크밸브나 모세관밸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버튼부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통의 외경에, 전후방향으로 통공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바닥면에 설치된 탄성체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개구부 안쪽에 위치한 고정편과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받침대를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받침대에는 받침대의 동작에 따라 고정편의 공급관 안쪽으로 내입되거나 이격되면서 내입부 안쪽으로 삽입된 파우치의 시트를 찢는 천공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과 받침대는 공급관과 천공핀을 중심으로 외측에 오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버튼부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통의 외경에, 전후방향으로 통공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바닥면에 설치된 탄성체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개구부 안쪽에 위치한 고정편과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받침대를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받침대에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편의 공급관에는 사이드에 유로를 형성하고 있는 천공핀을 고정 설치하여,
    평상시 천공핀이 받침대의 수용홈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가 고정편과 밀착되어 있던 받침대가 하강하게 되면, 내입부 안쪽으로 파우치의 돌출부가 들어왔을 때,
    상기 천공핀이 상방향에서 한쪽 시트만 관통하여 수소수를 주입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내공간을 가진 케이스에 파우치의 돌출부가 내입되었을 때, 내측에 위치한 고정편의 공급관이 수소수를 파우치 안쪽으로 공급하는 내입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내입부 테두리에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통의 머리부가 눌려졌을 때 탄성 지지대되는 받침대의 천공핀이 내입부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는 파우치의 시트를 찢으면서 파우치 내측에 수소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버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연결호스에 의해 어댑터와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은 수소수기의 결합홈에 끼움장착되고, 타측은 음료용 물병이 역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회전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수소수기에 의해 생성된 수소가스가 물병 안쪽으로 유입되어 수소수를 형성할 때, 물병 내부의 압력을 증대되면서 연결관 밖으로 수소수를 배출하는 어댑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팩.
KR1020180095867A 2018-08-17 2018-08-17 수소수기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미용 팩 KR102237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67A KR102237545B1 (ko) 2018-08-17 2018-08-17 수소수기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미용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67A KR102237545B1 (ko) 2018-08-17 2018-08-17 수소수기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미용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310A KR20200020310A (ko) 2020-02-26
KR102237545B1 true KR102237545B1 (ko) 2021-04-07

Family

ID=6963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867A KR102237545B1 (ko) 2018-08-17 2018-08-17 수소수기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미용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97749A (zh) * 2021-03-02 2022-11-04 韩国科玛株式会社 内装物容器
KR102279627B1 (ko) 2021-03-02 2021-07-21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460B2 (ja) * 1995-12-01 2001-01-3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中空経路の内部検査方法
KR101609674B1 (ko) * 2015-09-25 2016-04-06 주식회사 우주스킨사이언스 마스크팩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460U (ja) * 2007-01-12 2007-03-29 株式会社メディカルパートナーシップ 水素水含浸毛管シートパック
KR101692377B1 (ko) 2015-04-21 2017-01-03 (주)화니핀코리아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
KR20170099261A (ko)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용 마스크
KR101796274B1 (ko) 2017-03-22 2017-12-01 (주)닥터스텍 수소수를 이용한 수분공급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460B2 (ja) * 1995-12-01 2001-01-3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中空経路の内部検査方法
KR101609674B1 (ko) * 2015-09-25 2016-04-06 주식회사 우주스킨사이언스 마스크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310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545B1 (ko) 수소수기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미용 팩
ES2373774T3 (es) Septo que forma crema para su instalación por debajo de una cámara que contiene una sustancia en polvo para extraer una bebida, como café molido.
KR102161372B1 (ko) 휴대용 미용 수소살균수 미스트 장치
JP5043113B2 (ja) 飲料を浸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
JP7025115B2 (ja) 水素供給システム
TW200817253A (en) Capsule with reduced dripping
KR101694148B1 (ko) 주름관이 형성된 이액 혼합 용기
KR101930255B1 (ko) 휴대용 충전식 산소미스트 용기
KR101494616B1 (ko) 피부용 자가 주입기구
KR20130141464A (ko) 캡슐로부터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캡슐 및 음료 준비 시스템
ES2354695T3 (es) Aparato y método para dispensar espuma.
JPWO2006040981A1 (ja) 噴霧装置
CN105232331B (zh) 混药器、硬双接口及输液软袋
US8585633B2 (en) Gas mist pressure bath system
CN208925919U (zh) 一种用于咖啡机的胶囊冲泡器
KR20160080779A (ko) 파우치 리필 팩트
KR101312410B1 (ko)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KR101982787B1 (ko) 휴대용 살균수 생성 기기
KR20210113115A (ko) 미용팩용 수소수기.
KR20200000168U (ko) 피부 미용기기
CN204233552U (zh) 一种多功能美容喷雾仪
JP2001070168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CN202637432U (zh) 便携式蒸脸美容器
KR101781465B1 (ko) 감압시 기체만 방출되는 휴대용 수소수 생성용기
KR102584841B1 (ko) 마스크팩 가스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