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842A - 혈액 정화 장치 및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프라이밍 방법 - Google Patents

혈액 정화 장치 및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프라이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842A
KR20160124842A KR1020167025785A KR20167025785A KR20160124842A KR 20160124842 A KR20160124842 A KR 20160124842A KR 1020167025785 A KR1020167025785 A KR 1020167025785A KR 20167025785 A KR20167025785 A KR 20167025785A KR 20160124842 A KR20160124842 A KR 20160124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lood
dialysis
dialysis liquid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448B1 (ko
Inventor
요코 가토
리앙 장
마사토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메테크
아사히 가세이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07456A external-priority patent/JP651392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메테크, 아사히 가세이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메테크
Publication of KR20160124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43Priming, rins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21Constructional aspects thereof
    • A61M1/165Constructional aspects thereof with a dialyser bypass on the dialysis fluid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2Adding solutions to the blood, e.g. substitution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43Priming, rinsing before or after use
    • A61M1/3644Mode of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43Priming, rinsing before or after use
    • A61M1/3644Mode of operation
    • A61M1/3646Expelling the residual body fluid after use, e.g. back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43Priming, rinsing before or after use
    • A61M1/3644Mode of operation
    • A61M1/3649Mode of operation using dialysate as priming or rins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43Priming, rinsing before or after use
    • A61M1/3644Mode of operation
    • A61M1/365Mode of operation through membranes, e.g. by inverted trans-membrane pressure [T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Abstract

프라이밍에 알맞은 송액 유량과 유량 정밀도를 갖는 펌프를 이용하여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이나 보액을 적합하게 행한다.
혈액 정화막(30)을 구비한 혈액 정화기(20)와, 혈액 펌프(40)에 의해 채혈부(21)의 혈액을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이송하고 상기 1차 측으로부터 반혈부(23)에 복귀시키는 혈액 회로(10)와, 투석액을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하는 투석액 공급 회로(91)와, 상기 2차 측으로부터 투석액을 배출하는 투석액 배출 회로(92)와, 보액·프라이밍 회로를 구비한 혈액 정화기에 의해, 채혈부(21)와 반혈부(23)를 접속하여 혈액 회로(10)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보액 펌프(170)에 의해,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막(30)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혈액 회로(10)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막(30)을 통과시키지 않고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배출한다.

Description

혈액 정화 장치 및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프라이밍 방법{BLOOD PURIFICATION DEVICE AND FLUID REPLACEMENT/PRIMING METHOD FOR BLOOD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혈액 정화 장치 및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프라이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혈액 투석 등의 혈액 정화 치료를 행하는 혈액 정화 장치는, 중공사막 등의 혈액 정화막을 갖는 혈액 정화기를 구비하고 있다. 혈액 정화 장치는, 혈액 펌프에 의해 환자의 혈액을 혈액 정화기에 이송하고 혈액 정화기로부터 환자에게 복귀시키는 혈액 회로와,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에 이송하고 혈액 정화기로부터 배출하는 투석액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혈액 정화 장치에서는, 혈액 회로에 있어서 혈액을 체외 순환시키면서, 투석액 회로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에 공급하고, 혈액 정화기에 있어서 혈액을 혈액 정화막의 1차 측을 통과시키고 투석액을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을 통과시켜, 혈액 정화막을 통해 혈액 중의 불필요 성분을 투석액 내에 거두어들여 혈액을 정화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혈액 정화 장치에서는, 혈액 정화 치료의 개시 전에, 혈액이 통과하는 혈액 회로 내를 세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혈액 정화 치료의 전에는, 혈액 회로 내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혈액 회로 내를 세정하는 소위 프라이밍이 행해지고 있다. 이 프라이밍에서는, 최근 세정액으로서 생리 식염수 대신에 투석액이 이용되고, 투석액 회로의 새로운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투석액 측)으로부터 혈액 정화막을 통과시켜 1차 측(혈액 측)에 유입(역여과)시켜, 그 투석액으로 혈액 회로 내를 세정하고 있다.
또한, 혈액 정화 처리시에 있어서 환자의 혈압이 급격히 저하된 경우 등에, 환자에게 보액이 행해지고 있다. 이 보액으로서 최근 생리 식염수 대신에 투석액이 이용되고, 투석액 회로의 새로운 투석액을 혈액 회로 내에 공급하여, 환자에게 보액을 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인용문헌 1에서는, 투석액 회로의 환자의 제수량을 조정하는 제수 펌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투석액 회로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막을 통하여 혈액 회로에 공급하고 있다. 또한, 인용문헌 2에서는, 투석액 회로의 투석액 공급 펌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투석액 회로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막을 통하여 혈액 회로에 공급하고 있다.
또한, 예컨대 인용문헌 3에서는, 보액 펌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투석액 회로의 투석액을 혈액 회로를 통해 환자에게 긴급 보액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25837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10098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84029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제수 펌프는, 환자의 제수량을 엄밀히 제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저유량이며 유량 정밀도가 높은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프라이밍에 있어서, 투석액을 혈액 회로측에 이송하는 펌프로서 제수 펌프를 사용하면, 송액 유량이 적어지고, 프라이밍에 시간이 걸린다. 또한, 제수 펌프를 성능 한계의 유량으로 운전시키면 펌프에 부담이 가해져 펌프가 열화되고, 그 후의 혈액 정화 치료에 있어서의 제수량의 조정이 적절히 행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전술한 투석액 공급 펌프는, 다량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유량이며 유량 정밀도가 낮은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프라이밍에 있어서 투석액을 혈액 회로측에 이송하는 펌프로서 투석액 공급 펌프를 사용하면, 송액 유량이 많아 혈액 정화막에 부담이 가해짐으로써, 혈액 정화막이 파손되고, 그 후의 혈액 정화 요법이 적절히 행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본 출원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프라이밍에 알맞은 송액 유량과 유량 정밀도를 갖는 펌프를 이용하여 프라이밍을 적합하게 행함과 동시에, 긴급 보액을 행할 수 있는 혈액 정화 장치 및,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프라이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는, 혈액 정화막을 구비한 혈액 정화기와, 혈액 펌프에 의해 채혈부의 혈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1차 측에 이송하고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1차 측으로부터 반혈부에 복귀시키는 혈액 회로와,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에 공급하는 투석액 공급 회로와,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으로부터 배출하는 투석액 배출 회로와, 보액 펌프에 의해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혈액 회로에 공급하는 보액 공정과, 상기 채혈부와 상기 반혈부를 접속하여 상기 혈액 회로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보액 펌프에 의해,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막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상기 혈액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에 배출하는 프라이밍 공정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액·프라이밍 회로를 갖는 혈액 정화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보액·프라이밍 회로는, 상기 채혈부와 상기 반혈부를 접속하여 상기 혈액 회로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보액 펌프에 의해,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막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상기 혈액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에 복귀시키는 프라이밍 제2 공정을 더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보액·프라이밍 회로는, 상기 혈액 회로에 대하여 접속되고,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보액·프라이밍 회로는,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를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혈액 회로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도중에 접속되는 접속 회로를 갖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1 유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2 유량 조정 수단을 갖고, 상기 보액 펌프는, 정·역회전 가능하고, 상기 접속 회로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보액·프라이밍 회로는,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를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도중으로부터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에 접속되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혈액 회로로부터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의 도중에 접속되는 접속 회로를 갖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1 유량 조정 수단과,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2 유량 조정 수단을 갖고, 상기 보액 펌프는, 정·역회전 가능하고,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접속부와,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접속 회로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에는,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3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보액·프라이밍 회로는,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를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도중으로부터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에 접속되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혈액 회로로부터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의 도중에 접속되는 접속 회로를 갖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와의 접속부의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1 유량 조정 수단과,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의 접속부의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2 유량 조정 수단을 가지며, 상기 보액 펌프는, 정·역회전 가능하고,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접속부와,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접속 회로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에는,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3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보액·프라이밍 회로는,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를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혈액 회로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도중에 접속되는 접속 회로를 갖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1 유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2 유량 조정 수단 및 제3 유량 조정 수단을 갖고, 상기 제2 유량 조정 수단은, 상기 제3 유량 조정 수단보다 상기 제1 유량 조정 수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액 펌프는, 정·역회전 가능하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상기 제2 유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제3 유량 조정 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는, 상기 보액 펌프와 상기 제2 유량 조정 수단 사이로부터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로 통하는 서브 회로가 접속되고, 상기 서브 회로에는,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4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에는, 상기 바이패스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서브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5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는, 상기 보액 펌프와 상기 제3 유량 조정 수단 사이로부터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로 통하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가 접속되고,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에는,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6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혈액 회로는, 상기 채혈부와 상기 혈액 정화기를 접속하는 채혈 회로와, 상기 혈액 정화기와 반혈부를 접속하는 반혈 회로를 갖고, 상기 접속 회로는, 상기 채혈 회로 또는 상기 반혈 회로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혈액 정화 장치는, 상기 혈액 회로의 혈액 펌프보다 채혈부 측과 상기 접속 회로를 접속하는 반혈용 회로를 더 갖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혈액 정화 장치는, 상기 혈액 정화막의 1차 측 또는 2차 측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압력을 검출 가능한 압력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혈액 정화막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범위에 수용되도록 상기 보액 펌프의 유량을 조정하는 제어 수단을 더 갖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혈액 정화 장치는, 상기 프라이밍 공정에서 상기 혈액 펌프의 유량을 상기 보액 펌프의 유량보다 적게 조정하는 제어 수단을 갖고 있어도 좋다.
다른 관점에 의한 본 발명에는,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혈액 회로의 채혈부와 반혈부를 접속하여 혈액 회로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보액 펌프에 의해,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혈액 회로의 투석액을 투석액 배출 회로에 배출하는 제1 공정을 갖는,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 방법이 포함된다.
상기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 방법은, 상기 제1 공정 후에, 상기 채혈부와 상기 반혈부를 접속하여 상기 혈액 회로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보액 펌프에 의해,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막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상기 혈액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에 복귀시키고, 상기 투석액을 재차 혈액 정화기에 공급하는 제2 공정을 더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 방법은, 상기 혈액 정화막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범위에 수용되도록 상기 보액 펌프의 유량을 조정하는 공정을 더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보액 펌프에 의해 상기 혈액 회로의 채혈 회로로부터 투석액 배출 회로로 투석액을 배출하는 경우에, 상기 채혈 회로의 혈액 펌프를 정회전시키고, 상기 혈액 펌프의 유량을 상기 보액 펌프의 유량보다 적게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보액 펌프에 의해 상기 혈액 회로의 반혈 회로로부터 투석액 배출 회로로 투석액을 배출하는 경우에, 혈액 회로의 채혈 회로의 혈액 펌프를 역회전시키고, 상기 혈액 펌프의 유량을 상기 보액 펌프의 유량보다 적게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는,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보액 펌프에 의해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혈액 회로와 투석액 배출 회로에 분배 공급하는 공정을 갖는,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 방법이 포함된다.
상기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 방법은,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혈액 회로에 공급해도 좋다.
또한 본 출원에는, 혈액 정화막을 구비한 혈액 정화기와, 채혈부의 혈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1차 측에 이송하고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1차 측으로부터 반혈부에 복귀시키는 혈액 회로와,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에 공급하는 투석액 공급 회로와,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으로부터 배출하는 투석액 배출 회로를 갖고,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한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보다 적은 수의 필터를 구비한 제2 유로를 갖고,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혈액 정화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한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보다 적은 수의 필터를 구비한 제2 유로를 갖고,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혈액 정화 장치는,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에 공급된 투석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혈액 정화막을 통하여 1차 측에 공급하는 역여과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로를 통하여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에 공급하고, 상기 역여과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유로를 통하여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에 공급하도록,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혈액 정화 장치는, 상기 제1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필터의 하류측과 상기 혈액 회로를 접속하는 보액 회로를 더 갖고,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는, 상기 제1 유로를 통하여 투석액을 상기 보액 회로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혈액 정화 장치는, 상기 보액 회로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를 접속하는 접속 회로를 더 갖고, 상기 보액 회로의 상기 제1 유로와의 접속과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와의 접속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의 일부의 필터가 공통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공통의 필터는, 다른 필터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최상류의 필터에 공급되는 투석액의 유량이 700 mL/min 미만인 경우에는, 투석액을 상기 제1 유로에 유통시키고, 상기 유량이 700 mL/min 이상인 경우에는, 투석액을 상기 제2 유로에 유통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는,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혈액 회로의 채혈부와 반혈부를 접속하여 혈액 회로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투석액 공급 회로에 있어서 투석액을 필터를 통과시켜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에 공급하고, 상기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막을 통하여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혈액 회로의 투석액을 투석액 배출 회로에 배출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공정의 투석액 공급 회로에 있어서 투석액이 통과하는 필터의 수가, 혈액 정화 처리시의 투석액 공급 회로에 있어서 투석액이 통과하는 필터의 수보다 많게 되어 있는 것인 프라이밍 방법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라이밍에 알맞은 송액 유량과 유량 정밀도를 갖는 펌프를 이용하여 보액·프라이밍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혈액 정화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프라이밍 제1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프라이밍 제1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의 프라이밍 제2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장치의 혈액 정화 처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장치의 긴급 보액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반혈용 회로를 갖는 혈액 정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혈액 정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장치의 프라이밍 제1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장치의 프라이밍 제2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장치의 혈액 정화 처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장치의 긴급 보액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혈액 정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장치의 프라이밍 제1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장치의 프라이밍 제2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장치의 혈액 정화 처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장치의 긴급 보액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혈액 정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장치의 프라이밍 제1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장치의 프라이밍 제2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장치의 혈액 정화 처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18의 장치의 긴급 보액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혈액 정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장치의 프라이밍 제1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장치의 프라이밍 제2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3의 장치의 혈액 정화 처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도 23의 장치의 긴급 보액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혈액 정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장치의 프라이밍 제2 공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장치의 혈액 정화 처리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장치의 긴급 보액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2는, 혈액 정화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3은, 프라이밍시의 혈액 정화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4는, 혈액 정화 처리시의 혈액 정화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5는, 다른 혈액 정화 처리시의 혈액 정화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6은, 제2 투석액 공급 회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도면의 상하좌우 등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의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취지는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혈액 정화 장치(1)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혈액 정화 장치(1)는, 예컨대 혈액 회로(10)와, 투석액 회로(11)와, 보액·프라이밍 회로(12)와, 제어 수단(13)을 갖고 있다.
혈액 회로(10)는, 예컨대 채혈부(21)와 혈액 정화기(20)를 접속하는 채혈 회로(22)와, 혈액 정화기(20)와 반혈부(23)를 접속하는 반혈 회로(24)를 갖고 있다.
혈액 정화기(20)는, 원기둥형의 모듈 내에 중공사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혈액 정화막(30)을 갖고 있다. 혈액 정화기(20)는,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혈액 측)으로 통하는 입구부(20a)와 출구부(20b)와,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투석액 측)으로 통하는 입구부(20c)와 출구부(20d)를 갖고 있다.
채혈 회로(22)는, 연질의 튜브로 구성되고, 혈액 정화기(20)의 입구부(20a)에 접속되어 있다. 채혈 회로(22)에는, 혈액 펌프(40)와 드립 챔버(41)가 설치되어 있다. 혈액 펌프(40)에는, 예컨대 정·역회전 가능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혈액 펌프(40)에는, 예컨대 유량 범위가 0∼600 mL/min 정도이며, 1회전당 약 10 mL 정도의 튜빙 펌프가 이용된다.
반혈 회로(24)는, 예컨대 연질의 튜브로 구성되고, 혈액 정화기(20)의 출구부(20b)에 접속되어 있다. 반혈 회로(24)에는, 예컨대 드립 챔버(50)와, 압력 센서(51)가 설치되어 있다.
채혈 회로(22)와 반혈 회로(24)에는, 클램프 밸브(60, 61)가 설치되고, 채혈부(21)와 반혈부(23) 부근이 개폐 가능하다.
투석액 회로(11)는, 예컨대 정량 펌프(70)를 구비하고 있다. 정량 펌프(70)는, 일정 용적의 본체 내에 변위 가능한 격벽(80)을 갖고 있다. 격벽(80)에 의해 투석액 공급실(81)과 투석액 배출실(82)로 나누어져 있다.
투석액 회로(11)는,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투석액 공급원으로부터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공급실(81)로 통하는 제1 투석액 공급 회로(90)와,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혈액 정화기(20)의 2차 측의 입구부(20c)로 통하는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를 갖고 있다. 또한 투석액 회로(11)는, 혈액 정화기(20)의 2차 측의 출구부(20d)로부터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로 통하는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와,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로부터 장치 외부로 통하는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를 갖고 있다. 이들 제1 투석액 공급 회로(90),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 및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는, 예컨대 연질의 튜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투석액 공급 회로(90)에는, 예컨대 상류측부터 순서대로 투석액 공급 펌프(100), 유량 센서(101) 및 개폐 밸브(102)가 설치되어 있다. 투석액 공급 펌프(100)에는, 예컨대 유량 범위가 0∼1500 mL/min 정도이며 토출압에 의해 유량 변동하는 기어 펌프가 이용된다.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는, 예컨대 상류측부터 순서대로 개폐 밸브(110), 유량 센서(111) 및 개폐 밸브(11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는, 예컨대 상류측부터 순서대로 개폐 밸브(120), 압력 센서(121), 배액 펌프(122) 및 개폐 밸브(123)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에는, 예컨대 개폐 밸브(130)가 설치되어 있다.
투석액 회로(11)는,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와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를 정량 펌프(7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접속하는 제수 회로(140)를 갖고 있다. 제수 회로(140)는, 예컨대 제수 펌프(141)를 구비한 제1 회로(142)와, 개폐 밸브(143)를 구비한 제2 회로(144)를 갖고 있다. 제1 회로(142)와 제2 회로(144)는, 병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수 펌프(141)에는, 예컨대 유량 범위가 0∼90 mL/min 정도이며, 1 스트로크당 0.5∼1.0 mL 정도의 피스톤 펌프가 이용된다.
보액·프라이밍 회로(12)는, 예컨대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150)와, 채혈 회로(22)의 드립 챔버(41)로부터 바이패스 회로(150)의 도중에 접속되는 접속 회로(151)를 갖고 있다. 바이패스 회로(150)와 접속 회로(151)는, 예컨대 연질의 튜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바이패스 회로(150)에는, 접속 회로(151)와의 접속부(A)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개폐 밸브(제1 유량 조정 수단)(160)와 개폐 밸브(제2 유량 조정 수단)(161)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량 조정 수단으로서, 개폐 밸브 외에, 예컨대, 니들 밸브나 로터리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해도 좋다. 바이패스 회로(150)의 접속부(A)와 개폐 밸브(160) 사이에는,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측으로부터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202)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회로(151)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보액 펌프(170)가 설치되어 있다. 보액 펌프(170)에는, 예컨대 유량 범위가 0∼600 mL/min 정도이며, 1회전당 10 mL 정도의 튜빙 펌프가 이용된다.
제어 수단(13)은, 예컨대 혈액 투석 장치(1)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이고, 예컨대 펌프(40, 100, 122, 141, 170), 밸브(102, 110, 112, 120, 123, 130, 143, 160, 161)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후술하는 프라이밍이나 혈액 정화 처리를 실행하도록 혈액 정화 장치(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혈액 정화 장치(1)를 이용한 프라이밍에 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혈액 정화 장치(1)에 혈액 정화기(20)가 세트되고, 각 회로가 접속되면, 처음에 프라이밍이 행해진다. 프라이밍에서는, 우선 혈액 회로(1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의 입구부(20c)로부터 투석액이 충전되고, 액 치환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예컨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석액 회로(11)에 있어서, 배액 펌프(122)의 구동에 의해 정량 펌프(70)의 격벽(80)이 구동하고, 투석액이,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을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고, 상기 혈액 정화기(20)의 2차 측으로부터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배출된다. 또, 투석액 공급실(81)에 투석액이 없어지면, 제1 투석액 공급 회로(90)를 통하여 투석액이 보충된다.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서는, 개폐 밸브(160)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1)가 폐쇄되고, 보액 펌프(170)가 투석액 회로(11)측(보액 방향과 반대)으로 역회전된다. 또한, 혈액 회로(10)에서는, 채혈부(21)와 반혈부(23)를 접속한 상태에서, 혈액 펌프(40)가 정회전(혈액 처리 방향과 동일)된다. 이때, 제어 수단(13)에 의해, 혈액 펌프(40)의 유량이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적게 조정된다. 이에 따라,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의 투석액이, 혈액 정화막(30)을 통과하여 1차 측에 유입되고, 혈액 정화기(20)의 입구부(20a)와 출구부(20b)의 양측으로부터 채혈 회로(22)와 반혈 회로(24)에 각각 유출된다. 그리고, 투석액은, 채혈 회로(22)의 드립 챔버(41)로부터 보액·프라이밍 회로(12)의 접속 회로(151) 및 바이패스 회로(150)를 통과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배출된다(프라이밍 제1 공정). 이 결과, 혈액 회로(10) 및 보액·프라이밍 회로(12) 내가 새로운 투석액에 의해 치환 및 세정되고, 또한 혈액 회로(10) 및 보액·프라이밍 회로(12) 내의 기포가 제거된다.
상기 프라이밍 제1 공정에서, 제거된 기포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배액 펌프(122)에서 압축되어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배출됨으로써,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가 무너져, 투석액 회로(11) 내가 부압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 예컨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20)가 폐쇄되고, 개폐 밸브(16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수 회로(140)의 개폐 밸브(143)도 개방되고, 압축된 기포의 용적분이 예컨대 제2 회로(144)를 역류하여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프라이밍 제1 공정시의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유량이 소정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유량 센서(111) 등의 유량 센서의 검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역지 밸브(202)에 의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를 역류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120)가 폐쇄됨으로써,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공정은, 프라이밍 제1 공정이 행해질 때마다 행해져도 좋고, 프라이밍 제1 공정이 행해질 때마다는 행해지지 않고 필요에 따라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
소정 시간, 상기 프라이밍 제1 공정을 행한 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60)가 폐쇄되고, 개폐 밸브(161)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보액 펌프(170)에 의해 접속 회로(151)를 통하여 바이패스 회로(150)에 공급된 투석액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복귀되고, 다시 혈액 정화기(20)에 공급되고, 순환한다(프라이밍 제2 공정). 이 프라이밍 제2 공정에서는, 보액 펌프(170) 및 혈액 펌프(40)에 의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이 혈액 정화막(30)을 통과하여 혈액 회로(10)의 채혈 회로(22)와 반혈 회로(24)에 유입되고, 혈액 회로(10) 내를 통과하여 드립 챔버(41)로부터 접속 회로(151)에 배출되고, 접속 회로(151) 및 바이패스 회로(150)를 통과하여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복귀되고, 그 일부가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을 통과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혈액 회로(10) 및 보액·프라이밍 회로(12) 내가 계속해서 세정된다.
또, 이들 프라이밍 공정에서는, 클램프 밸브(60, 61)를 개폐하는 플러싱 동작을 행하여, 혈액 회로(10)의 튜브나 혈액 정화막(30)의 내벽에 부착된 기포를 박리하고, 기포의 제거를 촉진시켜도 좋고,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변경하여, 기포의 제거를 촉진시켜도 좋다. 또한,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많게 해도 좋고, 혈액 펌프(40)를 역회전(혈액 처리 방향과 반대)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프라이밍 공정 중에는, 예컨대 압력 센서(51)에 의해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의 압력을 모니터링해도 좋다. 그리고, 예컨대 제어 수단(13)이, 압력 센서(51)에 의한 압력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혈액 정화막(30)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범위에 수용되도록 보액 펌프(170)의 유량을 조정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의 압력이 예컨대 -300 mmHg를 하회하지 않도록 보액 펌프(170)의 유량을 피드백 제어해도 좋다. 또,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51)는, 드립 챔버(50)에 한정되지 않고, 혈액 회로(10)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의 압력을 검출하고, 그 압력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혈액 정화막(30)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범위에 수용되도록 보액 펌프(170)의 유량을 조정해도 좋다.
상기 프라이밍 제1 공정과 프라이밍 제2 공정을 각각 소정 시간 행한 후, 프라이밍이 종료된다.
다음으로, 혈액 정화 장치(1)에서 행해지는 혈액 정화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채혈부(21)와 반혈부(23)에 도시하지 않은 천자침이 접속되고, 환자에게 천자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회로(10)에서는, 혈액 펌프(40)의 정회전(화살표 방향)에 의해 환자의 혈액이 채혈 회로(22)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이송되고,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을 통과한 혈액이 반혈 회로(24)를 통하여 환자에게 복귀된다.
한편, 투석액 회로(11)에서는, 배액 펌프(122)에 의해 정량 펌프(70)의 격벽(80)이 구동하고,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공급실(81)의 투석액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고,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을 통과한 투석액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배출된다.
혈액 정화기(20)에서는,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혈액이 흐르고, 2차 측에 투석액이 흐름으로써, 혈액 정화막(30)을 통해 혈액 중의 노폐물이 투석액 측에 배출되어, 혈액이 정화된다.
제수 회로(140)에서는, 제수 펌프(141)가 구동하고,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제수 회로(140)를 통하여 정량 펌프(70)를 통하지 않고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에 배출된다. 이때의 제수 회로(140)를 통과하는 투석액의 양은, 혈액으로부터 제수되는 환자의 제수량에 따라 조정된다.
또한,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서는,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0)가 폐쇄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화살표 방향)하고,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일부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 및 접속 회로(151)를 통하여 혈액 회로(1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환자에 대하여 보액이 행해진다(보액 공정).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혈액 회로(10)에 있어서의 혈액의 순환과, 투석액 회로(11)에 있어서의 투석액의 급배출이 행해지고, 그 후 혈액 정화 처리가 종료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 있어서, 보액 펌프(170)에 의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막(30)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혈액 회로(10)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막(30)을 통과시키지 않고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배출하여 프라이밍 제1 공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프라이밍에 알맞은 송액 유량과 유량 정밀도를 갖는 보액 펌프(170)를 이용하여 프라이밍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밍 제1 공정 후에, 보액 펌프(170)에 의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막(30)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혈액 회로(10)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막(30)을 통과시키지 않고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복귀시키고, 상기 투석액을 재차 혈액 정화기(20)에 공급하는 프라이밍 제2 공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프라이밍시의 투석액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포는, 젖은 혈액 정화막(30)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혈액 회로(10)로부터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 배출된 기포가 재차 혈액 정화막(30)을 통하여 혈액 회로(10)에 들어가는 경우도 없다.
또한, 혈액 정화막(30)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커지지 않도록 보액 펌프(170)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액 정화막(30)에 과잉의 부하가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라이밍시에 채혈 회로(22)의 혈액 펌프(40)를 정회전시키고,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적게 하기 때문에,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유출된 투석액이, 채혈 회로(22)측과 반혈 회로(24)측의 양측에 유출된다. 이에 따라 청정한 투석액을 항상 혈액 정화막(30)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유출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액 정화막(30)의 세정이나 기포의 제거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보액·프라이밍 회로(12)가,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회로를 이용하여 보액과 프라이밍을 적절히 전환할 수 있다.
보액·프라이밍 회로(12)가, 바이패스 회로(150)와 접속 회로(151)를 갖고, 바이패스 회로(150)가 개폐 밸브(160, 161)를 갖고, 보액 펌프(170)가, 정·역회전 가능하고, 접속 회로(151)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액 펌프(170)를 이용하여 보액과 프라이밍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혈액 정화 처리시에 있어서 환자의 혈압이 급격히 저하된 경우 등에, 긴급한 보액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긴급 보액 공정에서는, 예컨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60),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 및 접속 회로(151)를 통하여 채혈 회로(22)에 직접적으로 공급되어, 투석액이 혈액 내에 긴급하게 보액된다. 즉, 이때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은, 보액 펌프(170)에 의해 혈액 회로(10)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분배 공급되고 있다.
또한, 이때, 제수 회로(140)의 개폐 밸브(143)도 개방되고,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로부터 바이패스 회로(150)에 유입된 일부의 투석액과,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 내의 투석액이,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의 투석액은, 예컨대 제2 회로(144)를 역류하여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긴급 보액시의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유량이 소정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유량 센서(111) 등의 유량 센서의 검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역지 밸브(202)에 의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를 역류하여 혈액 내에 보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정화 장치(1)가 반혈용 회로(180)를 갖고 있어도 좋다. 반혈용 회로(180)는, 예컨대 보액·프라이밍 회로(12)의 접속 회로(151)의 보액 펌프(170)보다 드립 챔버(41)측과 채혈 회로(22)의 혈액 펌프(40)보다 채혈부(21)측을 접속한다. 반혈용 회로(180)에는, 개폐 밸브(18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라이밍을 행할 때에는, 예컨대 클램프 밸브(60 또는 61)가 폐쇄되고, 개폐 밸브(181)가 개방되고,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보액 펌프(170)를 역회전함으로써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유출된 투석액을, 혈액 펌프(40)를 역회전시켜, 반혈용 회로(180) 내에도 공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혈용 회로(180) 내도 프라이밍할 수 있다. 또, 혈액 정화 처리 종료 후에, 혈액 회로(10) 내의 잔존 혈액을 환자에게 반혈할 때에는, 개폐 밸브(181)가 개방되고, 채혈부(21)측에는, 보액 펌프(170)를 정회전시키고, 혈액 펌프(40)를 정지시킴으로써, 투석액을 반혈용 회로(180)를 통해 공급하여 혈액을 복귀시키고, 반혈부(23)측에는, 보액 펌프(170)와 혈액 펌프(40)를 정회전시킴으로써, 투석액을 반혈용 회로(180)를 통해 공급하여 혈액을 환자에게 복귀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액·프라이밍 회로(12)의 접속 회로(151)가, 채혈 회로(22) 대신에 반혈 회로(24)에 접속되어도 좋다. 접속 회로(151)는, 예컨대 드립 챔버(50)에 접속된다.
이러한 경우, 프라이밍 제1 공정에서는, 개폐 밸브(160)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1)가 폐쇄된 상태에서, 보액 펌프(170)가 역회전된다. 또한, 혈액 회로(10)에서는, 채혈부(21)와 반혈부(23)를 접속한 상태에서, 혈액 펌프(40)도 역회전된다. 혈액 펌프(40)의 유량은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적게 조정된다. 이에 따라,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된 투석액이, 혈액 정화막(30)을 통하여 1차 측에 유입되고, 혈액 정화기(20)의 입구부(20a)와 출구부(20b)의 양측으로부터 채혈 회로(22)와 반혈 회로(24)에 유출된다. 그리고, 투석액은, 반혈 회로(24)의 드립 챔버(50)로부터 보액·프라이밍 회로(12)의 접속 회로(151) 및 바이패스 회로(150)를 통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배출된다.
상기 프라이밍 제1 공정에서, 제거된 기포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배액 펌프(122)에서 압축되어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배출됨으로써,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가 무너져, 투석액 회로(11) 내가 부압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 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20)가 폐쇄되고, 개폐 밸브(16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수 회로(140)의 개폐 밸브(143)도 개방되고, 압축된 기포의 용적분이 예컨대 제2 회로(144)를 역류하여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프라이밍 제1 공정시의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유량이 소정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유량 센서(111) 등의 유량 센서의 검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역지 밸브(202)에 의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를 역류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120)가 폐쇄됨으로써,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밍 제2 공정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60)가 폐쇄되고,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보액 펌프(170)에 의해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 유입된 투석액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복귀되고, 다시 혈액 정화기(20)에 공급된다.
또, 이들 프라이밍 공정에서는, 클램프 밸브(60, 61)를 개폐하는 플러싱 동작을 행해도 좋고,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변경하여, 기포의 제거를 촉진시켜도 좋다. 또한,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많게 해도 좋고, 혈액 펌프(40)를 정회전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프라이밍 공정 중에는, 예컨대 제어 수단(13)이, 압력 센서(51)에 의한 압력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혈액 정화막(30)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보액 펌프(170)의 유량을 조정해도 좋다.
혈액 정화 처리시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회로(10)에서는, 혈액 펌프(40)가 정회전하여 혈액이 순환한다. 투석액 회로(11)에서는, 투석액이, 정량 펌프(70)로부터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고,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을 통과한 투석액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정량 펌프(70)에 배출된다. 혈액 정화기(20)에서는,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혈액이 흐르고, 2차 측에 투석액이 흐름으로써, 혈액 정화막(30)을 통해 혈액 중의 노폐물이 투석액 측에 배출되어, 혈액이 정화된다.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서는,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0)가 폐쇄된 상태에서,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하고, 투석액이 반혈 회로(24)에 적절히 공급되어, 환자에 대하여 보액이 행해진다.
또한, 혈액 정화 처리시에 있어서 환자의 혈압이 급격히 저하된 경우 등에, 긴급한 보액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긴급 보액 공정에서는, 예컨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60),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 및 접속 회로(151)를 통하여 반혈 회로(24)에 직접적으로 공급되어, 투석액이 혈액 내에 긴급하게 보액된다. 또한, 이때, 제수 회로(140)의 개폐 밸브(143)도 개방되고,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로부터 바이패스 회로(150)에 유입된 일부의 투석액과,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 내의 투석액이,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의 투석액은, 예컨대 제2 회로(144)를 역류하여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긴급 보액시의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유량이 소정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유량 센서(111) 등의 유량 센서의 검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역지 밸브(202)에 의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를 역류하여 혈액 내에 보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액·프라이밍 회로(12)의 접속 회로(151)가 채혈 회로(22)의 드립 챔버(41)와 반혈 회로(24)의 드립 챔버(50)의 양쪽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접속 회로(151)의 분기로에 각각 개폐 밸브(190, 191)가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프라이밍 제1 공정에서는, 개폐 밸브(160)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1)가 폐쇄되고, 또한 개폐 밸브(190, 191)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보액 펌프(170)가 역회전된다. 또한, 혈액 펌프(40)는 정회전된다. 혈액 펌프(40)의 유량은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적게 조정된다. 이에 따라,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된 투석액이, 혈액 정화막(30)을 통하여 1차 측에 유입되고, 혈액 정화기(20)의 입구부(20a)와 출구부(20b)의 양측으로부터 채혈 회로(22)와 반혈 회로(24)에 유출된다. 그리고, 투석액은, 채혈 회로(22)의 드립 챔버(41)와 반혈 회로(24)의 드립 챔버(50)로부터 보액·프라이밍 회로(12)의 접속 회로(151) 내에 유입되고, 접속 회로(151) 및 바이패스 회로(150)를 통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배출된다.
상기 프라이밍 제1 공정에서, 제거된 기포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배액 펌프(122)에서 압축되어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배출됨으로써,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가 무너져, 투석액 회로(11) 내가 부압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 예컨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20)가 폐쇄되고, 개폐 밸브(16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수 회로(140)의 개폐 밸브(143)도 개방되고, 압축된 기포의 용적분이 예컨대 제2 회로(144)를 역류하여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프라이밍 제1 공정시의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유량이 소정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유량 센서(111) 등의 유량 센서의 검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역지 밸브(202)에 의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를 역류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120)가 폐쇄됨으로써,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밍 제2 공정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0)가 폐쇄되고,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 유입된 투석액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복귀되고, 다시 혈액 정화기(20)에 공급된다.
또, 이들 프라이밍 공정에서는, 클램프 밸브(60, 61)를 개폐하는 플러싱 동작을 행해도 좋고,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변경하여, 기포의 제거를 촉진시켜도 좋다. 또한,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많게 해도 좋고, 혈액 펌프(40)를 역회전시켜도 좋다. 또한, 개폐 밸브(190, 191) 중 어느 한쪽만을 개방해도 좋다.
또한, 상기 프라이밍 공정 중에는, 예컨대 제어 수단(13)이, 압력 센서(51)에 의한 압력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혈액 정화막(30)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범위에 수용되도록 보액 펌프(170)의 유량을 조정해도 좋다.
혈액 정화 처리시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회로(10)에서는, 혈액 펌프(40)가 정회전하여 혈액이 순환한다. 투석액 회로(11)에서는, 투석액이, 정량 펌프(70)로부터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고,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을 통과한 투석액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정량 펌프(70)에 배출된다. 혈액 정화기(20)에서는,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혈액이 흐르고, 2차 측에 투석액이 흐름으로써, 혈액 정화막(30)을 통해 혈액 중의 노폐물이 투석액 측에 배출되어, 혈액이 정화된다.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서는,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0)가 폐쇄되고, 개폐 밸브(190, 191)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된 상태에서,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하고, 투석액이 채혈 회로(22)나 반혈 회로(24)에 적절히 공급되어, 환자에 대하여 보액이 행해진다.
또한, 혈액 정화 처리시에 있어서 환자의 혈압이 급격히 저하된 경우 등에, 긴급한 보액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긴급 보액 공정에서는, 예컨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60),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 및 접속 회로(151)를 통하여 채혈 회로(22)에 직접적으로 공급되어, 투석액이 혈액 내에 긴급하게 보액된다. 또한, 이때, 제수 회로(140)의 개폐 밸브(143)도 개방되고,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로부터 바이패스 회로(150)에 유입된 일부의 투석액과,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 내의 투석액이,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의 투석액은, 예컨대 제2 회로(144)를 역류하여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긴급 보액시의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유량이 소정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유량 센서(111) 등의 유량 센서의 검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역지 밸브(202)에 의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를 역류하여 혈액 내에 보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액·프라이밍 회로(12)는,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150)와, 바이패스 회로(150)의 도중으로부터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접속되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175)와, 혈액 회로(10)로부터 서브 바이패스 회로(175)의 도중에 접속되는 접속 회로(151)를 갖고 있다. 바이패스 회로(150)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175)와의 접속부(A)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160)(제1 유량 조정 수단)와, 서브 바이패스 회로(175)와의 접속부(A)와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161)(제2 유량 조정 수단)를 갖고 있다. 바이패스 회로(150)에는, 역지 밸브(202)가 설치되어 있다. 보액 펌프(170)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175)와 바이패스 회로(150)의 접속부(A)와, 서브 바이패스 회로(175)와 접속 회로(151)의 접속부(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 바이패스 회로(175)에는, 접속 회로(151)와의 접속부(B)와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와의 접속부 사이에 개폐 밸브(162)(제3 유량 조정 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프라이밍 제1 공정에서는, 개폐 밸브(160)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1, 162)가 폐쇄된 상태에서, 보액 펌프(170)가 역회전된다. 또한, 혈액 회로(10)에서는, 채혈부(21)와 반혈부(23)를 접속한 상태에서, 혈액 펌프(40)는 정회전된다. 혈액 펌프(40)의 유량은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적게 조정된다. 이에 따라,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된 투석액이, 혈액 정화막(30)을 통하여 1차 측에 유입되고, 혈액 정화기(20)의 입구부(20a)와 출구부(20b)의 양측으로부터 채혈 회로(22)와 반혈 회로(24)에 유출된다. 그리고, 투석액은, 채혈 회로(22)의 드립 챔버(41)로부터 보액·프라이밍 회로(12)의 접속 회로(151),서브 바이패스 회로(175) 및 바이패스 회로(150)를 통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배출된다.
상기 프라이밍 제1 공정에서, 제거된 기포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배액 펌프(122)에서 압축되어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배출됨으로써,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가 무너져, 투석액 회로(11) 내가 부압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 예컨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20)가 폐쇄되고, 개폐 밸브(16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수 회로(140)의 개폐 밸브(143)도 개방되고, 압축된 기포의 용적분이 예컨대 제2 회로(144)를 역류하여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프라이밍 제1 공정시의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유량이 소정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유량 센서(111) 등의 유량 센서의 검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역지 밸브(202)에 의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를 역류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120)가 폐쇄됨으로써,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밍 제2 공정에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60)가 폐쇄되고,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보액 펌프(170)에 의해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 유입된 투석액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복귀되고, 다시 혈액 정화기(20)에 공급된다.
또, 이들 프라이밍 공정에서는, 클램프 밸브(60, 61)를 개폐하는 플러싱 동작을 행해도 좋고,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변경하여, 기포의 제거를 촉진시켜도 좋다. 또한,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많게 해도 좋고, 혈액 펌프(40)를 역회전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프라이밍 공정 중에는, 예컨대 제어 수단(13)이, 압력 센서(51)에 의한 압력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혈액 정화막(30)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보액 펌프(170)의 유량을 조정해도 좋다.
혈액 정화 처리시에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회로(10)에서는, 혈액 펌프(40)가 정회전하여 혈액이 순환한다. 투석액 회로(11)에서는, 투석액이, 정량 펌프(70)로부터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고,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을 통과한 투석액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정량 펌프(70)에 배출된다. 혈액 정화기(20)에서는,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혈액이 흐르고, 2차 측에 투석액이 흐름으로써, 혈액 정화막(30)을 통해 혈액 중의 노폐물이 투석액 측에 배출되어, 혈액이 정화된다.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서는,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0, 162)가 폐쇄된 상태에서,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하고, 투석액이 채혈 회로(22)에 적절히 공급되어, 환자에 대하여 보액이 행해진다.
또한, 예컨대 접속 회로(151)를 서브 바이패스 회로(175)로부터 떼어내고, 개폐 밸브(160)를 폐쇄하고, 개폐 밸브(161) 및 개폐 밸브(162)를 개방하고, 보액 펌프(170)를 정회전시키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 서브 바이패스 회로(175)를 통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흐른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투석액에 의해 보액 펌프(170) 내의 유로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결과, 보액 펌프(170) 내의 유로를 혈액 정화 처리마다 매번 사용하고 버릴 필요가 없고, 혈액 정화 장치(1)의 본체에 내장시킬 수 있다.
또한, 혈액 정화 처리시에 있어서 환자의 혈압이 급격히 저하된 경우 등에, 긴급한 보액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긴급 보액 공정에서는, 예컨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60),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2)가 폐쇄된 상태에서,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 서브 바이패스 회로(175) 및 접속 회로(151)를 통하여 채혈 회로(22)에 직접적으로 공급되어, 투석액이 혈액 내에 긴급하게 보액된다. 또한, 이때, 제수 회로(140)의 개폐 밸브(143)도 개방되고,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로부터 바이패스 회로(150)에 유입된 일부의 투석액과,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 내의 투석액이,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의 투석액은, 예컨대 제2 회로(144)를 역류하여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긴급 보액시의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유량이 소정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유량 센서(111) 등의 유량 센서의 검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역지 밸브(202)에 의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를 역류하여 혈액 내에 보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액·프라이밍 회로(12)는,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150)와, 바이패스 회로(150)의 도중으로부터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접속되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195)와, 혈액 회로(10)로부터 서브 바이패스 회로(195)의 도중에 접속되는 접속 회로(151)를 갖고 있다. 바이패스 회로(150)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195)와의 접속부(A)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160)(제1 유량 조정 수단)와, 서브 바이패스 회로(195)와의 접속부(A)와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161)(제2 유량 조정 수단)를 갖고 있다. 바이패스 회로(150)에는, 역지 밸브(202)가 설치되어 있다. 보액 펌프(170)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195)와 바이패스 회로(150)의 접속부(A)와, 서브 바이패스 회로(195)와 접속 회로(151)의 접속부(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 바이패스 회로(195)에는, 접속 회로(151)와의 접속부(B)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와의 접속부 사이에 개폐 밸브(196)(제3 유량 조정 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프라이밍 제1 공정에서는, 개폐 밸브(161)와 개폐 밸브(196)의 양쪽이 폐쇄되고, 개폐 밸브(160)가 개방된 상태에서, 보액 펌프(170)가 역회전된다. 또한, 혈액 펌프(40)는 정회전된다. 혈액 펌프(40)의 유량은,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적게 조정된다. 이에 따라,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된 투석액이, 혈액 정화막(30)을 통하여 1차 측에 유입되고, 혈액 정화기(20)의 입구부(20a)와 출구부(20b)의 양측으로부터 채혈 회로(22)와 반혈 회로(24)에 유출된다. 그리고, 투석액은, 채혈 회로(22)의 드립 챔버(41)로부터 보액·프라이밍 회로(12)의 접속 회로(151)에 유입되고, 서브 바이패스 회로(195) 및 바이패스 회로(150)를 통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배출된다.
상기 프라이밍 제1 공정에서, 제거된 기포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배액 펌프(122)에서 압축되어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배출됨으로써,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가 무너져, 투석액 회로(11) 내가 부압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 예컨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20)가 폐쇄되고, 개폐 밸브(16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수 회로(140)의 개폐 밸브(143)도 개방되고, 압축된 기포의 용적분이 예컨대 제2 회로(144)를 역류하여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프라이밍 제1 공정시의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유량이 소정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유량 센서(111) 등의 유량 센서의 검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역지 밸브(202)에 의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를 역류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120)가 폐쇄됨으로써,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밍 제2 공정에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60)와 개폐 밸브(196)가 폐쇄되고,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보액 펌프(170)가 역회전되고,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 유입된 투석액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복귀되고, 다시 혈액 정화기(20)에 공급된다.
또, 이들 프라이밍 공정에서는, 클램프 밸브(60, 61)를 개폐하는 플러싱 동작을 행해도 좋고,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변경하여, 기포의 제거를 촉진시켜도 좋다. 또한,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많게 해도 좋고, 혈액 펌프(40)를 정회전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프라이밍 공정 중에는, 예컨대 제어 수단(13)이, 압력 센서(51)에 의한 압력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혈액 정화막(30)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값에 수용되도록 보액 펌프(170)의 유량을 조정해도 좋다.
혈액 정화 처리시에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회로(10)에서는, 혈액 펌프(40)가 정회전하여 혈액이 순환한다. 투석액 회로(11)에서는, 투석액이, 정량 펌프(70)로부터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고,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을 통과한 투석액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정량 펌프(70)에 배출된다. 혈액 정화기(20)에서는,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혈액이 흐르고, 2차 측에 투석액이 흐름으로써, 혈액 정화막(30)을 통해 혈액 중의 노폐물이 투석액 측에 배출되어, 혈액이 정화된다.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서는, 개폐 밸브(161)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0)와 개폐 밸브(196)가 폐쇄되고,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하고,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 서브 바이패스 회로(195) 및 접속 회로(151)를 통하여 채혈 회로(22)에 적절히 공급되어, 환자에 대하여 보액이 행해진다.
또한, 예컨대 접속 회로(151)를 회로로부터 떼어내고, 개폐 밸브(160)를 폐쇄하고, 개폐 밸브(161)와 개폐 밸브(196)를 개방하고, 보액 펌프(170)를 정회전시키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의 보액 펌프(170)를 통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흐른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투석액에 의해 보액 펌프(170) 내의 유로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결과, 보액 펌프(170) 내의 유로를 혈액 정화 처리마다 매번 사용하고 버릴 필요가 없고, 혈액 정화 장치(1)의 본체에 내장시킬 수 있다.
또한, 혈액 정화 처리시에 있어서 환자의 혈압이 급격히 저하된 경우 등에, 긴급한 보액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긴급 보액 공정에서는, 예컨대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61, 160)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96), 개폐 밸브(112) 및 개폐 밸브(120)가 폐쇄되고,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 서브 바이패스 회로(195) 및 접속 회로(151)를 통하여 채혈 회로(22)에 직접적으로 공급되어, 투석액이 혈액 내에 긴급하게 보액된다.
또한, 이때, 제수 회로(140)의 개폐 밸브(143)도 개방되고,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로부터 바이패스 회로(150)에 유입된 일부의 투석액과,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 내의 투석액이,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의 투석액은, 예컨대 제2 회로(144)를 역류하여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긴급 보액시의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투석액 공급실(81)로부터 배출되는 양과 투석액 배출실(82)에 유입되는 양이 동일할 필요가 있음)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유량이 소정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유량 센서(111) 등의 유량 센서의 검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역지 밸브(202)에 의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를 역류하여 혈액 내에 보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액·프라이밍 회로(12)는,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150)와, 혈액 회로(10)로부터 바이패스 회로(150)의 도중에 접속되는 접속 회로(151)를 갖고 있다. 바이패스 회로(150)는, 접속 회로(151)와의 접속부(A)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160)(제1 유량 조정 수단)와, 접속 회로(151)와의 접속부(A)와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161)(제3 유량 조정 수단) 및 개폐 밸브(212)(제2 유량 조정 수단)를 갖고 있다. 개폐 밸브(212)는, 개폐 밸브(161)보다 개폐 밸브(160)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액 펌프(170)는, 예컨대 개폐 밸브(212)와 개폐 밸브(161)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바이패스 회로(150)의 개폐 밸브(161)와 보액 펌프(170) 사이로부터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로 통하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200)가 설치된다. 서브 바이패스 회로(200)에는, 예컨대 개폐 밸브(201)(제6 유량 조정 수단)와 역지 밸브(202)가 설치된다. 또한 바이패스 회로(150)의 개폐 밸브(160)와 보액 펌프(170) 사이의 접속점(B)으로부터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로 통하는 서브 회로(210)가 설치된다. 서브 회로(210)에는, 개폐 밸브(211)(제4 유량 조정 수단)가 설치되고, 바이패스 회로(150)의 접속점(A)과 접속점(B) 사이에는, 개폐 밸브(212)(제2 유량 조정 수단)가 설치된다. 또한,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바이패스 회로(150)의 분기점(C)과 서브 회로(210)의 분기점(D) 사이에는, 개폐 밸브(213)(제5 유량 조정 수단)가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프라이밍 제1 공정에서는, 개폐 밸브(160), 개폐 밸브(161)(제3 유량 조정 수단), 개폐 밸브(201)(제6 유량 조정 수단) 및 개폐 밸브(211)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212) 및 개폐 밸브(213)가 폐쇄된 상태에서,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된다. 또한, 혈액 펌프(40)는 정회전된다. 혈액 펌프(40)의 유량은,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적게 조정된다. 이에 따라, 정량 펌프(70)로부터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를 통하여 흐르는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에 유입되고, 서브 회로(210)를 통과하여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유입되고,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투석액은, 혈액 정화막(30)을 통하여 1차 측에 유입되고, 혈액 정화기(20)의 입구부(20a)와 출구부(20b)의 양측으로부터 채혈 회로(22)와 반혈 회로(24)에 유출된다. 그리고 투석액은, 채혈 회로(22)의 드립 챔버(41)로부터 보액·프라이밍 회로(12)의 접속 회로(151)에 유입되고, 바이패스 회로(150)의 일부를 통과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배출된다.
또한,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로부터 바이패스 회로(150)에 유입된 투석액의 일부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200)를 통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배출된다. 이에 따라, 정량 펌프(70)로부터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유입되는 유량과, 보액 펌프(170)의 유량의 차분의 투석액이, 서브 바이패스 회로(200)를 통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배출된다. 또한, 이에 따라,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유량이 소정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유량 센서(111) 등의 유량 센서의 검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역지 밸브(202)는, 보액 펌프(170)에 의한 흡인으로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 내에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프라이밍 제2 공정에서는, 예컨대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61), 개폐 밸브(212) 및 개폐 밸브(213)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0), 개폐 밸브(201) 및 개폐 밸브(211)가 폐쇄되고, 보액 펌프(170)가 역회전되고, 보액·프라이밍 회로(12)의 접속 회로(151)에 유입된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를 통하여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복귀되고, 다시 혈액 정화기(20)에 공급된다.
또, 이들 프라이밍 공정에서는, 클램프 밸브(60, 61)를 개폐하는 플러싱 동작을 행해도 좋고,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변경하여, 기포의 제거를 촉진시켜도 좋다. 또한, 혈액 펌프(40)의 유량을 보액 펌프(170)의 유량보다 많게 해도 좋고, 혈액 펌프(40)를 역회전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프라이밍 공정 중에는, 예컨대 제어 수단(13)이, 압력 센서(51)에 의한 압력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혈액 정화막(30)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범위에 수용되도록 보액 펌프(170)의 유량을 조정해도 좋다.
혈액 정화 처리시에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회로(10)에서는, 혈액 펌프(40)가 정회전하여 혈액이 순환한다. 투석액 회로(11)에서는, 투석액이, 정량 펌프(70)로부터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되고,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을 통과한 투석액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정량 펌프(70)에 배출된다. 혈액 정화기(20)에서는,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혈액이 흐르고, 2차 측에 투석액이 흐름으로써, 혈액 정화막(30)을 통해 혈액 중의 노폐물이 투석액 측에 배출되어, 혈액이 정화된다.
보액·프라이밍 회로(12)에서는, 개폐 밸브(161), 개폐 밸브(212)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0), 개폐 밸브(201) 및 개폐 밸브(211)가 폐쇄되고,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하고,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 및 접속 회로(151)를 통하여 채혈 회로(22)에 적절히 공급되어, 환자에 대하여 보액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라이밍시에, 보액 펌프(170)의 구동력에 의해 투석액을 혈액 정화막(30)에 공급하기 때문에, 정량 펌프(70)로부터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를 통하여 직접 혈액 정화막(30)에 투석액을 공급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량 조정이 용이하고, 막에 대한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160), 개폐 밸브(161) 및 개폐 밸브(212)가 개방되고,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되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의 보액 펌프(170)를 통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흐른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투석액에 의해 보액 펌프(170) 내의 유로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결과, 보액 펌프(170)를 혈액 정화 처리마다 매번 사용하고 버릴 필요가 없고, 혈액 정화 장치(1)의 본체에 항구적으로 내장시킬 수 있다.
또한, 혈액 정화 처리시에 있어서 환자의 혈압이 급격히 저하된 경우 등에, 긴급한 보액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긴급 보액 공정에서는, 예컨대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161), 개폐 밸브(211) 및 개폐 밸브(112)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60), 개폐 밸브(212), 개폐 밸브(213) 및 개폐 밸브(120)가 폐쇄되고, 보액 펌프(170)가 정회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이, 바이패스 회로(150) 및 서브 회로(210)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에 공급되고, 그곳으로부터 혈액 정화막(30)을 통하여 혈액 회로(10)에 공급되어, 투석액이 혈액 내에 긴급하게 보액된다. 또, 이 긴급 보액은, 개폐 밸브(212)를 개방하고, 개폐 밸브(211)를 폐쇄하고, 보액 펌프(170)에 의해, 투석액을 바이패스 회로(150) 및 접속 회로(151)를 통과시켜 혈액 회로(10)에 공급해도 좋다.
또한, 이때, 개폐 밸브(201)와 제수 회로(140)의 개폐 밸브(143)도 개방되고,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로부터 바이패스 회로(150)에 유입된 일부의 투석액과,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 내의 투석액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과하여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의 투석액은, 예컨대 제2 회로(144)를 역류하여 투석액 배출실(8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긴급 보액시의 정량 펌프(70)의 투석액의 수지 밸런스를 잡을 수 있다. 이때,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유량이 소정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유량 센서(111) 등의 유량 센서의 검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역지 밸브(202)에 의해, 투석액이 서브 바이패스 회로(200)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을 것이 분명하며, 이들에 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프라이밍 제1 공정과 프라이밍 제2 공정을 행하는 것이었지만, 프라이밍 제1 공정만을 행해도 좋다. 또한, 혈액 정화 장치(1)는, 적어도 프라이밍 제1 공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회로 구성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혈액 정화 장치(1)는, 혈액 투석을 행하는 장치뿐만 아니라, 지속 완제식(持續緩除式) 혈액 여과 등을 행하는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제7 실시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혈액 정화 장치에 있어서,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치료 전에 회로를 세정하기 위한 프라이밍액이나, 치료 중에 행하는 환자에 대한 보액으로서, 혈액 정화막을 통해 혈액 회로에 공급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역여과 처리). 이러한 경우, 투석액이 혈액 회로로부터 환자의 체내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혈액 정화기로 통하는 투석액 공급 회로에, 투석액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를 단일 고장을 상정하여, 백업을 위해 복수 배치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투석액 공급 회로에 복수의 필터를 배치한 경우, 상기 회로의 압력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통상의 투석 치료시에 고유량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에 공급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는, 투석액 공급 회로에 단일 고장을 상정하여 복수의 필터를 배치하면서, 고유량의 투석액을 흘릴 수 있는 혈액 정화 장치 및 프라이밍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출원의 발명에는, 혈액 정화막을 구비한 혈액 정화기와, 채혈부의 혈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1차 측에 이송하고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1차 측으로부터 반혈부에 복귀시키는 혈액 회로와,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에 공급하는 투석액 공급 회로와,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으로부터 배출하는 투석액 배출 회로를 갖고,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한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보다 적은 수의 필터를 구비한 제2 유로를 갖고,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혈액 정화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의 발명에는,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혈액 회로의 채혈부와 반혈부를 접속하여 혈액 회로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투석액 공급 회로에 있어서 투석액을 필터를 통과시켜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에 공급하고, 상기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막을 통하여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혈액 회로의 투석액을 투석액 배출 회로에 배출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공정의 투석액 공급 회로에 있어서 투석액이 통과하는 필터의 수가, 혈액 정화 처리시의 투석액 공급 회로에 있어서 투석액이 통과하는 필터의 수보다 많게 되어 있는, 프라이밍 방법이 포함된다.
예컨대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는, 복수, 예컨대 2개의 필터(110, 111)를 갖는 제1 유로(112)와, 제1 유로(112)보다 적은 수의 예컨대 1개의 필터(110)를 갖는 제2 유로(11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유로(112)와 제2 유로(113)의 최상류의 필터(110)는 공통되어 있다. 즉, 제1 유로(112)는, 정량 펌프(70)로부터 제1 필터(110)를 통과하고, 더욱 제2 필터(111)를 통과하여 혈액 정화기(20)로 통해 있고, 제2 유로(113)는, 정량 펌프(70)로부터 제1 필터(110)를 통과하고, 직접 혈액 정화기(20)로 통해 있다.
필터(110, 111)는, 예컨대 중공사 모듈이고, 투석액에 포함되는 엔도톡신 등의 불필요 물질을 제거하고, 투석액을 정화할 수 있다.
제1 필터(110)와 정량 펌프(70) 사이에는, 개폐 밸브(11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유로(112)에 있어서의 제2 필터(111)와 혈액 정화기(20) 사이에는, 개폐 밸브(115)가 설치되고, 제2 유로(113)에 있어서의 제1 필터(110)와 혈액 정화기(20) 사이에는, 개폐 밸브(1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개폐 밸브(115, 116)가, 전환 장치를 구성하여, 제1 유로(112)와 제2 유로(113)를 전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1 유로(112)의 개폐 밸브(115)의 하류측과 제2 유로(113)의 개폐 밸브(116)의 하류측은, 합류하여 공통의 유로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에 접속되어 있다.
보액·프라이밍 회로(12)는, 제1 유로(112)에 있어서의 제2 필터(111)와 개폐 밸브(115) 사이로부터 채혈 회로(22)의 드립 챔버(41)로 통하는 보액 회로(150)와, 보액 회로(150)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접속하는 접속 회로(151)를 구비하고 있다. 보액 회로(150)와 접속 회로(151)는, 예컨대 연질의 튜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액 회로(150)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보액 펌프(160)가 설치되어 있다. 보액 펌프(160)에는, 예컨대 유량 범위가 0∼600 mL/min 정도이며, 1회전당 10 mL 정도의 튜빙 펌프가 이용된다. 또한 보액 회로(150)에는, 개폐 밸브(161)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회로(151)는, 보액 회로(150)의 보액 펌프(160)와 개폐 밸브(161) 사이로부터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로 통해 있다. 접속 회로(151)에는, 개폐 밸브(17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밸브(161)와 개폐 밸브(170)가, 보액 회로(150)의 제1 유로(112)와의 접속과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와의 접속을 전환 가능하게 하여, 전환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 수단(13)은, 예컨대 혈액 투석 장치(1)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이고, 예컨대 펌프(40, 100, 122, 141, 160), 밸브(101, 114, 115, 116, 120, 123, 130, 143, 161, 170)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후술하는 프라이밍이나 혈액 정화 처리를 실행하도록 혈액 정화 장치(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수단(13)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된 투석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혈액 정화막(30)을 통하여 1차 측에 공급하는 역여과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개폐 밸브(115, 116)를 제어하여, 제1 유로(112)를 통하여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20)에 공급하고, 역여과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 밸브(115, 116)를 제어하여, 제2 유로(113)를 통하여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20)에 공급하도록, 제1 유로(112)와 제2 유로(113)를 전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개폐 밸브(115, 116) 및 제어 수단(13)이 전환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혈액 정화 장치(1)에서 행해지는, 역여과 처리인 프라이밍에 관해서 설명한다.
프라이밍에서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 회로(10)에 있어서 채혈부(21)와 반혈부(23)가 접속되고, 투석액 회로(11)에 있어서 개폐 밸브(114, 115, 120, 123, 170)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01, 116, 130, 143, 161)가 폐쇄된다. 송액 펌프(122)가 작동하고, 보액 펌프(160)가 역회전 방향(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방향)으로 작동하고, 혈액 펌프(40)가 정회전 방향(혈액 정화기(20)의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에 따라,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공급실(81)의 투석액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제1 유로(112)를 통과하고,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된다. 즉, 투석액은, 제1 필터(110)와 제2 필터(111)의 2개의 필터를 통과하여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된다.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된 투석액은, 일부가 송액 펌프(122)에 의해 직접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유입되고,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배출된다. 또한,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의 나머지 투석액은, 보액 펌프(160)에 의해 생기는 혈액 회로(10)측의 음압에 의해,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유입되고(역여과 처리), 혈액 펌프(40)에서 분류되어 혈액 회로(10) 내를 흐른다. 혈액 회로(10)의 투석액은, 보액 펌프(160)에 의해 보액 회로(150)에 유입되고, 접속 회로(151)를 통과하여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유입되고,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혈액 회로(10), 투석액 회로(11) 및 보액·프라이밍 회로(12) 내가 새로운 투석액에 의해 치환 및 세정되고, 또한 이들 회로 내의 기포가 제거된다.
다음으로, 혈액 정화 장치(1)에서 행해지는, 역여과 처리를 행하지 않는 혈액 정화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혈부(21)와 반혈부(23)에 도시하지 않은 천자침이 접속되고, 환자에게 천자된다. 다음으로, 투석액 회로(11)의 개폐 밸브(114, 116, 120, 123, 161)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01, 115, 130, 143, 170)가 폐쇄된다. 송액 펌프(122)가 작동하고, 보액 펌프(160)가 정회전 방향(혈액 회로(10)의 방향)으로 작동하고, 혈액 펌프(40)가 정회전 방향(혈액 정화기(20)의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에 따라, 혈액 회로(10)에서는, 환자의 혈액이 채혈 회로(22)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이송되고,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을 통과한 혈액이 반혈 회로(24)를 통하여 환자에게 복귀된다.
투석액 회로(11)에서는,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공급실(81)의 투석액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제2 유로(113)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된다. 즉,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투석액은, 제1 필터(110)만을 통과하여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된다.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을 통과한 투석액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통하여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배출실(82)에 배출된다. 또, 정량 펌프(70)에서는, 격벽(80)이 이동하고, 투석액 공급실(81)의 투석액이 없어지면, 개폐 밸브(101, 130)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14, 123)가 폐쇄되고, 투석액 공급 펌프(100)에 의해, 새로운 투석액이 제1 투석액 공급 회로(90)를 통하여 투석액 공급실(81)에 보충된다. 이때, 투석액 배출실(82)의 투석액은,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혈액 정화기(20)에서는, 혈액 정화막(30)의 1차 측에 혈액이 흐르고, 2차 측에 투석액이 흐름으로써, 혈액 정화막(30)을 통해 혈액 중의 노폐물이 투석액 측에 배출되어, 혈액이 정화된다.
또한 정량 펌프(70)의 일부의 투석액은, 제1 유로(112)측에 유입되고, 제1 필터(110)와 제2 필터(111)를 통과하고, 보액 펌프(160)에 의해 보액 회로(150)를 통과하여 혈액 회로(1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환자에게 보액이 행해진다.
또한 제수 회로(140)에서는, 제수 펌프(141)가 작동하고, 개폐 밸브(143)가 폐쇄되고,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의 일부의 투석액이 제수 회로(140)를 통하여 정량 펌프(70)를 통하지 않고 제2 투석액 배출 회로(93)에 배출된다. 이때의 제수 회로(140)를 통과하는 투석액의 양은, 혈액으로부터 제수되는 환자의 제수량에 따라 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는, 2개의 필터(110, 111)를 구비한 제1 유로(112)와, 제1 유로(112)보다 적은 수의 1개의 필터(110)를 구비한 제2 유로(113)를 갖고, 제1 유로(112)와 제2 유로(113)를 전환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투석액이 환자의 체내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는 혈액 회로(10)측에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을 통해 투석액을 공급하는 경우에, 백업이 되는 복수의 필터가 있는 제1 유로(112)를 이용하여 투석액을 흘리고, 투석액을 혈액 정화막(30)을 통해 혈액 회로(10)측에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 필터의 수가 적어 압력 손실이 작은 제2 유로(113)를 이용하여 투석액을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단일 고장을 상정하여 복수의 필터(110, 111)를 배치하면서, 고유량의 투석액을 흘릴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혈액 정화 장치(1)는, 혈액 정화기(20)의 혈액 정화막(30)의 2차 측에 공급된 투석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혈액 정화막(30)을 통하여 1차 측에 공급하는 역여과 처리인 프라이밍시에는, 제1 유로(112)를 통하여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20)에 공급하고, 역여과 처리를 행하지 않는 투석 처리시에는, 제2 유로(113)를 통하여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20)에 공급하도록, 제1 유로(112)와 제2 유로(113)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필터의 백업이 필요한 역여과 처리와, 필터의 백업이 불필요한 역여과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서, 제1 유로(112)와 제2 유로(113)의 전환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혈액 정화 장치(1)는, 제1 유로(112)에 있어서의 복수의 필터(110, 111)의 하류측과 혈액 회로(10)를 접속하는 보액 회로(150)를 갖고,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는, 투석액을 제1 유로(112)를 통하여 보액 회로(150)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혈액 회로(10)에 혈액 정화막(30)을 통하지 않고 보액으로서 공급되는 투석액을 복수의 필터(110, 111)에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혈액 정화막(30)을 통하지 않고 혈액 회로(10)에 공급되는 보액에 관해서도, 단일 고장을 상정한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혈액 정화 장치(1)는, 보액 회로(150)와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를 접속하는 접속 회로(151)를 갖고, 보액 회로(150)의 제1 유로(112)와의 접속과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와의 접속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혈액 회로(10)의 투석액을 보액 회로(150)를 통해 제1 투석액 배출 회로(92)에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역여과 처리를 이용한 프라이밍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112)와 제2 유로(113)의 제1 필터(110)가 공통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2개의 유로(112, 113)를 설치하더라도, 필터의 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통의 필터(110)가 다른 필터(111)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제1 유로(112)와 제2 유로(113)에 투석액을 동시에 흘리고, 각각을 흐른 투석액을 용도에 따라 별도의 회로에 흘릴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와 같이, 투석 처리시에, 1개의 필터를 통과한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20)에 공급하면서, 2개의 필터를 통과한 투석액을 보액으로서 혈액 회로(1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라이밍에서는,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있어서 투석액이 통과하는 필터의 수(2개)가, 혈액 정화 처리시의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에 있어서 투석액이 통과하는 필터의 수(1개)보다 많게 되어 있기 때문에, 역여과 처리인 프라이밍에 있어서 혈액 회로(10)에 공급되는 투석액에 관해서 필터의 단일 고장을 보장하면서, 혈액 정화 처리에 있어서 필터의 수가 적어 고유량의 투석액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기재한 혈액 정화 장치(1)에 있어서, 최상류의 필터에 공급되는 투석액의 유량이 700 mL/min 미만인 경우에는, 투석액을 제1 유로(112)에 유통시키고, 상기 유량이 700 mL/min 이상인 경우에는, 투석액을 제2 유로(113)에 유통시키도록 해도 좋다.
예컨대 혈액 정화 처리에 있어서, 제1 필터(110)에 공급되는 투석액의 유량이 700 mL/min 이상인 경우에는, 전술한 도 3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투석액 회로(11)의 개폐 밸브(114, 116, 120, 123, 161)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15, 170)가 폐쇄된 상태에서, 송액 펌프(122), 보액 펌프(160)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공급실(81)의 투석액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제2 유로(113)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에 공급된다. 또한, 일부의 투석액은, 보액 회로(150)를 통하여 혈액 회로(10)에 보액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혈액 정화기(20)에 공급되는 투석액은, 제2 유로(113)를 흐르기 때문에, 유량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원하는 고유량의 투석액이 확보된다.
한편,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필터(110)에 공급되는 투석액의 유량이 700 mL/min 미만인 경우에는, 투석액 회로(11)의 개폐 밸브(114, 115, 120, 123, 161)가 개방되고, 개폐 밸브(116, 170)가 폐쇄된 상태에서, 송액 펌프(122), 보액 펌프(160)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정량 펌프(70)의 투석액 공급실(81)의 투석액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의 제1 유로(112)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에 공급된다. 또한, 일부의 투석액은, 보액 회로(150)를 통하여 혈액 회로(10)에 보액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고유량이 요구되고 있지 않은 투석액은, 제1 유로(112)를 흐르기 때문에, 필터의 백업의 유로에 투석액을 흘릴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유로(112)의 필터의 수가 2개, 제2 유로(113)의 필터의 수가 1개였지만, 제1 유로의 필터의 수가 제2 유로의 필터의 수보다 많으면, 이들의 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서 제1 필터를 공용하고 있었지만,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가, 필터를 공용하지 않는 병렬적인 제1 유로(112) 및 제2 유로(113)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라이밍에 있어서 역여과 처리를 행하고 있었지만, 다른 처리에서 역여과 처리를 행하고, 이러한 경우에 투석액을 제1 유로(112)를 통하여 혈액 정화기(20)에 공급해도 좋다. 이 역여과 처리를 행하는 다른 처리는, 예컨대 제2 투석액 공급 회로(91)로부터 혈액 정화막(30)을 통하여 혈액 회로(10)에 보액을 행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역여과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유로(112)를 이용하여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20)에 공급하는 경우가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 기재한 혈액 정화 장치(1)의 회로 구성 및 장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혈액 정화 장치(1)는, 혈액 투석을 행하는 장치뿐만 아니라, 지속 완제식 혈액 여과 등을 행하는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혈액 정화 장치가, 보액 펌프에 의해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혈액 회로에 공급하는 보액 공정과, 채혈부와 반혈부를 접속하여 혈액 회로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보액 펌프에 의해,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막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상기 혈액 회로의 투석액을 투석액 배출 회로에 배출하는 프라이밍 공정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액·프라이밍 회로를 갖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보액·프라이밍 회로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혈액 정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라이밍에 알맞은 송액 유량과 유량 정밀도를 갖는 펌프를 이용하여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이나 보액을 적합하게 행할 때에 유용하다.
1 : 혈액 정화 장치,
10 : 혈액 회로,
11 : 투석액 회로,
12 : 보액·프라이밍 회로,
13 : 제어 수단,
20 : 혈액 정화기,
30 : 혈액 정화막,
40 : 혈액 펌프,
70 : 정량 펌프,
91 : 제2 투석액 공급 회로,
92 : 제1 투석액 배출 회로,
141 : 제수 펌프

Claims (27)

  1. 혈액 정화막을 구비한 혈액 정화기와,
    혈액 펌프에 의해 채혈부의 혈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1차 측에 이송하고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1차 측으로부터 반혈부에 복귀시키는 혈액 회로와,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에 공급하는 투석액 공급 회로와,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으로부터 배출하는 투석액 배출 회로와,
    보액 펌프에 의해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혈액 회로에 공급하는 보액 공정과, 상기 채혈부와 상기 반혈부를 접속하여 상기 혈액 회로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보액 펌프에 의해,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막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상기 혈액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에 배출하는 프라이밍 공정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액·프라이밍 회로
    를 갖는 혈액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프라이밍 회로는, 상기 채혈부와 상기 반혈부를 접속하여 상기 혈액 회로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보액 펌프에 의해,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막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상기 혈액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에 복귀시키는 프라이밍 제2 공정을 더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프라이밍 회로는, 상기 혈액 회로에 대하여 접속되고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프라이밍 회로는,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를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혈액 회로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도중에 접속되는 접속 회로를 갖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1 유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2 유량 조정 수단을 가지며,
    상기 보액 펌프는, 정·역회전 가능하고, 상기 접속 회로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프라이밍 회로는,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를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도중으로부터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에 접속되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혈액 회로로부터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의 도중에 접속되는 접속 회로를 갖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1 유량 조정 수단과,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2 유량 조정 수단을 가지며,
    상기 보액 펌프는, 정·역회전 가능하고,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에는,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3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프라이밍 회로는,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를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도중으로부터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에 접속되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혈액 회로로부터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의 도중에 접속되는 접속 회로를 갖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1 유량 조정 수단과,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2 유량 조정 수단을 가지며,
    상기 보액 펌프는, 정·역회전 가능하고,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에는,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3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프라이밍 회로는,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를 접속하는 바이패스 회로와, 상기 혈액 회로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도중에 접속되는 접속 회로를 갖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1 유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접속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설치된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2 유량 조정 수단 및 제3 유량 조정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2 유량 조정 수단은, 상기 제3 유량 조정 수단보다 상기 제1 유량 조정 수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액 펌프는, 정·역회전 가능하고, 상기 바이패스 회로의 상기 제2 유량 조정 수단과 상기 제3 유량 조정 수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는, 상기 보액 펌프와 상기 제2 유량 조정 수단과의 사이로부터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로 통하는 서브 회로가 접속되고,
    상기 서브 회로에는,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4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에는, 상기 바이패스 회로와의 접속부와 상기 서브 회로와의 접속부 사이에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5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는, 상기 보액 펌프와 상기 제3 유량 조정 수단과의 사이로부터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로 통하는 서브 바이패스 회로가 접속되고,
    상기 서브 바이패스 회로에는, 개폐가 자유자재인 제6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회로는, 상기 채혈부와 상기 혈액 정화기를 접속하는 채혈 회로와, 상기 혈액 정화기와 반혈부를 접속하는 반혈 회로를 갖고,
    상기 접속 회로는, 상기 채혈 회로 또는 상기 반혈 회로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회로의 혈액 펌프보다 채혈부 측과 상기 접속 회로를 접속하는 반혈용 회로를 더 갖는 혈액 정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정화막의 1차 측 또는 2차 측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압력을 검출 가능한 압력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혈액 정화막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범위에 수용되도록 상기 보액 펌프의 유량을 조정하는 제어 수단을 더 갖는 혈액 정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밍 공정에서 상기 혈액 펌프의 유량을 상기 보액 펌프의 유량보다 적게 조정하는 제어 수단을 더 갖는 혈액 정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한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보다 적은 수의 필터를 구비한 제2 유로를 갖고,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에 공급된 투석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혈액 정화막을 통하여 1차 측에 공급하는 역여과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로를 통하여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에 공급하고, 상기 역여과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유로를 통하여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기에 공급하도록,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갖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필터의 하류측과 상기 혈액 회로를 접속하는 보액 회로를 더 갖고,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는, 상기 제1 유로를 통하여 투석액을 상기 보액 회로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 회로와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를 접속하는 접속 회로를 더 갖고,
    상기 보액 회로의 상기 제1 유로와의 접속과 상기 투석액 배출 회로와의 접속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혈액 정화 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의 일부의 필터가 공통되어 있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필터는, 다른 필터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상류의 필터에 공급되는 투석액의 유량이 700 mL/min 미만인 경우에는, 투석액을 상기 제1 유로에 유통시키고, 상기 유량이 700 mL/min 이상인 경우에는, 투석액을 상기 제2 유로에 유통시키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20.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혈액 회로의 채혈부와 반혈부를 접속하여 혈액 회로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보액 펌프에 의해,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혈액 회로의 투석액을 투석액 배출 회로에 배출하는 제1 공정을 갖는,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 후에, 상기 채혈부와 상기 반혈부를 접속하여 상기 혈액 회로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보액 펌프에 의해,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막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상기 혈액 회로의 투석액을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에 복귀시키며, 상기 투석액을 재차 혈액 정화기에 공급하는 제2 공정을 더 갖는,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정화막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범위에 수용되도록 상기 보액 펌프의 유량을 조정하는 공정을 더 갖는,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 펌프에 의해 상기 혈액 회로의 채혈 회로로부터 투석액 배출 회로로 투석액을 배출하는 경우에, 상기 채혈 회로의 혈액 펌프를 정회전시키고, 상기 혈액 펌프의 유량을 상기 보액 펌프의 유량보다 적게 하는,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 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 펌프에 의해 상기 혈액 회로의 반혈 회로로부터 투석액 배출 회로로 투석액을 배출하는 경우에, 혈액 회로의 채혈 회로의 혈액 펌프를 역회전시키고, 상기 혈액 펌프의 유량을 상기 보액 펌프의 유량보다 적게 하는,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 방법.
  25.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보액 펌프에 의해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혈액 회로와 투석액 배출 회로에 분배 공급하는 공정을 갖는,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투석액 공급 회로의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을 통과시켜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혈액 회로에 공급하는,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 방법.
  27. 혈액 정화 장치의 프라이밍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혈액 회로의 채혈부와 반혈부를 접속하여 혈액 회로를 환형으로 한 상태에서, 투석액 공급 회로에 있어서 투석액을 필터를 통과시켜 혈액 정화기의 혈액 정화막의 2차 측에 공급하고, 상기 투석액을 상기 혈액 정화막을 통하여 1차 측에 유출시키고, 상기 1차 측을 포함하는 혈액 회로의 투석액을 투석액 배출 회로에 배출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공정의 투석액 공급 회로에 있어서 투석액이 통과하는 필터의 수가, 혈액 정화 처리시의 투석액 공급 회로에 있어서 투석액이 통과하는 필터의 수보다 많게 되어 있는, 프라이밍 방법.
KR1020167025785A 2014-03-31 2015-03-31 혈액 정화 장치 및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프라이밍 방법 KR101885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4060 2014-03-31
JPJP-P-2014-074060 2014-03-31
JPJP-P-2014-207456 2014-10-08
JP2014207456A JP6513923B2 (ja) 2014-10-08 2014-10-08 血液浄化装置及びプライミング方法
PCT/JP2015/060112 WO2015152236A1 (ja) 2014-03-31 2015-03-31 血液浄化装置及び血液浄化装置の補液・プライミング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842A true KR20160124842A (ko) 2016-10-28
KR101885448B1 KR101885448B1 (ko) 2018-08-03

Family

ID=5424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785A KR101885448B1 (ko) 2014-03-31 2015-03-31 혈액 정화 장치 및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프라이밍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127564B1 (ko)
KR (1) KR101885448B1 (ko)
CN (1) CN106163585B (ko)
WO (1) WO20151522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016A (ko) * 2018-09-17 2020-03-25 이경수 투석용액 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혈액정화장치
KR102128206B1 (ko) * 2019-05-08 2020-06-29 이경수 유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혈액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6733B2 (ja) * 2016-03-31 2020-02-14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液浄化システム、及びそのプライミング方法
PL3645518T3 (pl) 2017-06-30 2021-12-06 Amgen Inc. Synteza omekamtywu mekarbilu
JP7183585B2 (ja) * 2018-06-27 2022-12-06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透析装置
JP7246258B2 (ja) * 2019-06-12 2023-03-27 日機装株式会社 ダイアフラムポ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血液浄化装置
JP7374510B2 (ja) * 2019-11-04 2023-11-07 エクソリー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液処理のための装置、消耗品、方法及びシステム
DE102020122937A1 (de) 2020-09-02 2022-03-03 B.Braun Avitum Ag Automatisches Primen und Spülen einer extrakorporalen Blutbehandlungsvorrichtung
DE102020125291A1 (de) 2020-09-28 2022-03-31 B.Braun Avitum Ag Automatisches Primen einer extrakorporalen Blutbehandlungsvorrichtung unter Verwendung eines Push-Pull-Verfahrens
US11904281B2 (en) 2021-02-11 2024-02-20 Fenwal, Inc. Spinning membrane separator priming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837A (ja) 2000-06-15 2002-11-12 Nefuronetto:Kk 自動血液透析装置
WO2008125893A1 (en) * 2007-04-12 2008-10-23 Gambro Lundia Ab Method and apparatus for priming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JP2010184029A (ja) 2009-02-12 2010-08-26 Nikkiso Co Ltd 血液浄化装置
JP2011110098A (ja) 2009-11-24 2011-06-09 Nikkiso Co Ltd 血液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21311B1 (it) * 2000-07-04 2004-01-08 Bellco Spa Macchina per emodialisi.
JP5519427B2 (ja) * 2010-06-25 2014-06-11 ニプロ株式会社 血液透析装置
JP5699008B2 (ja) * 2011-03-17 2015-04-08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837A (ja) 2000-06-15 2002-11-12 Nefuronetto:Kk 自動血液透析装置
WO2008125893A1 (en) * 2007-04-12 2008-10-23 Gambro Lundia Ab Method and apparatus for priming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JP2010184029A (ja) 2009-02-12 2010-08-26 Nikkiso Co Ltd 血液浄化装置
JP2011110098A (ja) 2009-11-24 2011-06-09 Nikkiso Co Ltd 血液浄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016A (ko) * 2018-09-17 2020-03-25 이경수 투석용액 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혈액정화장치
KR102128206B1 (ko) * 2019-05-08 2020-06-29 이경수 유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혈액정화장치
KR102159908B1 (ko) * 2019-05-08 2020-09-24 이경수 유체이송장치 및 이를 갖는 혈액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3585B (zh) 2019-07-16
EP3127564A1 (en) 2017-02-08
EP3127564B1 (en) 2018-12-26
KR101885448B1 (ko) 2018-08-03
WO2015152236A1 (ja) 2015-10-08
EP3127564A4 (en) 2017-04-05
CN106163585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448B1 (ko) 혈액 정화 장치 및 혈액 정화 장치의 보액·프라이밍 방법
US10195336B2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and priming method thereof
JP4091873B2 (ja) 透析装置
EP2883558A1 (en) Blood purification device and priming method therefor
US20150034538A1 (en) Treatment solution delivery in a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pparatus
JP2013048804A (ja) 血液浄化装置
US20160045656A1 (en) Disposable Cartridge System for Use with Sorbent or Premixed Dialysate
JP4757168B2 (ja) 血液透析装置における逆濾過透析液の送液方法および血液透析装置
JP6566687B2 (ja) 血液浄化装置、血液浄化装置のプライミング方法及び作動方法
CN113038979A (zh) 血液净化装置
US20210213189A1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JP7249147B2 (ja) 血液浄化装置
JP7422928B1 (ja) 血液浄化装置
JP7445827B1 (ja) 血液浄化装置
JP7114466B2 (ja) 血液浄化装置およびプライミング方法
JP7293761B2 (ja) 透析装置及び回路セットの判定方法
JP6513923B2 (ja) 血液浄化装置及びプライミング方法
WO2018180044A1 (ja) 血液浄化装置及びそのプライミング方法
JP2016198198A (ja) 血液浄化装置
JP2024004226A (ja) 血液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