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928A - 모바일기기 키보드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928A
KR20160123928A KR1020150062387A KR20150062387A KR20160123928A KR 20160123928 A KR20160123928 A KR 20160123928A KR 1020150062387 A KR1020150062387 A KR 1020150062387A KR 20150062387 A KR20150062387 A KR 20150062387A KR 20160123928 A KR20160123928 A KR 20160123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mobile device
keypad
device keyboard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이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재 filed Critical 이영재
Priority to PCT/KR2016/0022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40556A2/ko
Publication of KR20160123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서 컴퓨터의 키보드 배열과 같은 순서로 배열 하면서도 양쪽으로 나눠 아래 위로 배치하여 키패드 크기는 크게 한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이 쿼티(QWERTY) 키패드를 많이 사용하는데 비해 자판 크기가 천지인 키패드와 같이 크지 않아 사용이 불편하다.
키보드 배열을 양쪽으로 나눠 위 아래로 배열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컴퓨터 키보드의 배열과 같아 따로 익히는 데 시간이 들지 않는 쿼티 키패드의 장점을 그대로 갖으면서도 키패드 크기가 커서 편하고 오타 확률이 줄어들고 속도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 키보드{mobile device keyboard}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서 가상 키보드를 컴퓨터의 키보드 배열과 같은 순서로 배열하면서도 양쪽으로 나눠 위아래로 배치하여 키패드 크기는 크게 한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여러 키패드가 개발되었다. 컴퓨터 키보드와 같은 쿼티(QWERTY) 키보드 방식의 키패드, 천지인 키보드, 더블 천지인 키보드 등이 개발되어 있다. 키보드를 양 옆으로 나누어 타이핑이 편리한 키보드가 개발되어 있다.
이동기기에서 컴퓨터 키보드 형식으로 키패드를 익히지 않고도 키보드를 빠르게 누르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나 오타가 많이 난다.
요즘 영어 키패드는 거의 컴퓨터 키보드 배열로 되어 있는 쿼티(QWERTY) 키보드를 많이 쓰고 있다.
보통 컴퓨터 키패드 방식을 모바일 기기에서도 순서 변경 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을 쿼티(QWERTY)키보드라고 하는데 이 경우 해당 문자를 찾느라 시간을 보내지 않아도 되어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거의 걸리지 않는다.
이 쿼티(QWERTY) 키패드를 많이 사용하는데 비해 자판 크기가 천지인 키패드와 같이 크지 않아 사용이 불편하다. 천지인 형식 키패드는 여러번 눌러야 해서 불편하다.
쿼티 키패드는 가로 배열된 글자가 많아 크기를 위로나 옆으로 늘릴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가로모드로 핸드폰을 돌리면 가능하지만 가로모드로 바꿔서 핸드폰을 돌려서 치거나 가로모드로 잡기가 불편하다. 또한 전원설정 때문에 돌리면 가로모드로 자동으로 바뀌는 설정도 안하는 경우도 많다.
자판 크기를 크게 할 경우 컴퓨터와 같은 방식의 키보드 배열과 달라지게 된다. 더블천지인 키보드가 여러번 눌러야 함에도 오타가 적어 쓰는 경우가 많다.
찾기도 쉽고 키보드 크기도 큰 입력방식이 필요하다.
키보드 배열이면서도 자판크기를 키우는 방법이 필요하다.
키보드 배열을 양쪽으로 나눠 수직으로 위 아래로 배열할 수 있다.
컴퓨터 키보드와 배열 순서를 동일하게 하고 반으로 나눠 위 아래의 2층으로 배열할 수 있다.
한쪽은 전체 줄이 위로 가고 한쪽은 전체 줄이 아래로 가게 할 수 있다. 왼쪽은 위로 오른쪽은 아래로 가게 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 이용에 있어서 sms와 카카오톡과 같은 여러 문자메세지 프로그램의 사용이 전화이상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이때 오타 없이 빠르게 입력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통화품질 만큼이나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문서, 노트, 메모 등도 많이 이용하고 있어 키패드가 날로 쓰임새가 더욱 많아질 추세이다.
본 발명의 경우 컴퓨터 키보드의 배열과 같아 따로 익히는 데 시간이 들지 않는 쿼티 키패드의 장점을 그대로 갖으면서도 키패드 크기가 커서 편하고 오타도 줄어들고 빠르게 타이핑할 수 있다. 키패드의 크기가 약간 큰것이 아니라 몇배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훨씬 효과적이다.
쿼티(QWERTY) 키패드에 비해서도 키보드와 배열은 같으면서도 키패드 하나가 면적이 2배에서 높이까지 높일 경우 3배 정도 늘어나 오타를 줄이고 빠르게 누를 수 있다. 모바일용 쿼티키보드에서 세로가 월등히 높아 더이상 늘리는 것이 불가능한데 비해 본 발명의 경우 배열을 유지한채 높이까지 높일 수 있어 1석2조의 효과를 갖는다.
오류 없이 빠른 터치가 가능하다. 오류를 줄이면서도 타이핑을 익히는 데 시간이 별도로 소모되지 않는다.
키패드가 커서 오타를 염려하지 않으면서 키패드를 누를 수 있어 편하면서도 빠르다.
한글도 편리하게 타이핑 가능하다. 특히 한글의 경우 자음과 모음이 완전히 나뉘어져서 편리하다. 또한 모음을 누르는데 여러 번 누를 필요도 없다. 또한 영어 아닌 다른 외국어도 키보드로 이미 만들어져 있어 적용이 가능하여 사용 범위가 넓을 수 있다.
왼손을 위로 올리고 오른손을 밑으로 하여 타이핑이 가능하여 기존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손가락 순서 그대로 핸드폰에서 곧바로 사용가능하다.
특히 키보드가 사라지는 화면터치식 키보드에서 입력이 빠르고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더블 천지인 키패드의 l 과 .과 ㅡ 는 1.6cm 정도의 크기인데 이 정도 되어야 오타가 나지 않는 범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범위와 유사할 때 편하고 이 정도 크기가 무리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보통 키보드와 같은 배열일때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뉘었을 때 각각의 손으로 눌러야 한다는 생각으로 양 옆으로 배열하게 되는데 엄지의 중심을 안쪽으로 모을 경우 각각의 양손으로 누를 수 있다. 보통 이렇게 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렇게 터치하지 않으나 이렇게 터치하더라도 그리 큰 차이가 없다. 즉 보통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눠 터치하는 방법으로 같은 손모양으로 터치하면 불편할 수 있으나 엄지손가락을 더 가운데로 모으고 모바일폰을 쥔 손을 덜 쥐고 터치하면 빠르고 편하게 터치된다. 엄지에 특별히 더 힘이 들어가지 않는다.
도1- 키보드를 나눔
도2- 배열 설명
도3- 배열 예
컴퓨터 키보드 배열인 쿼티(QWERTY) 키보드를 양쪽으로 나눠 위 아래로 배열할 수 있다. 수직형으로 배열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형이라 함은 일직선이 아닌것도 포함된다. 1%이상 25%이하의 오차가 있어도 된다. 전체 너비의 1%-25%이하 정도 들어간것도 포함될 수 있다. 1%이상 20%이하의 오차가 있어도 된다. 도2나 도3과 같은 배열도 여기에서의 수직형에 포함된다. 이 값은 키 하나를 더했을 때의 오차나 키 하나가 부족할 때의 오차, 그리고 배열상 들어간 배열을 하였을 때의 오차를 감안할 수 있다. 5개의 너비에서 한개의 키는 20%일 수 있다. 20%를 기준점으로 할 수 있다. 이 오차는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누어 전체를 위 아래로 배치했을 때 첫번째 배열을 의미할 수 있다. 시작하는 q와 y의 배열이 수직에서 전체 너비의 20% 오차 이내에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보통 쿼티 키보드는 오른손과 왼손으로 나뉘어서 타이핑하게 되어 있는데 이것을 양쪽으로 나눠 찾기도 쉽고 익숙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2에서와 같이 컴퓨터 키보드와 배열 순서를 동일하게 하고 반으로 나눠 위 아래의 2층으로 배열할 수 있다.
글자 부분을 양 옆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외의 스페이스바나 엔터와 같은 버튼 부분은 일반적인 키패드에서 사용하는 것을 응용하여 주변에 배치할 수 있다.
한쪽은 전체 줄이 위로 가고 한쪽은 전체 줄이 아래로 가게 할 수 있다. 왼쪽은 위로 오른쪽은 아래로 가게 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쿼티(QWERTY) 키패드에 비해서도 키패드 하나가 면적이 3-4배 정도 늘어나 오타를 줄이고 빠르게 누를 수 있다. 보통 쿼티(QWERTY) 키보드의 크기는 키패드 한개가 약 0.5cm *0.6cm 이다. 더블천지인 키보드는 가장 위에있는 모음 자판 한개가 약 1cm*1.6cm 이다.
더블천지인과 비슷한 크기로 쿼티키보드와 같은 빠른 속도의 타이핑이 가능하다. 오타가 더욱 줄게 되고 누르기도 편해 효율성이 높을 수 있다.
키보드를 오른쪽과 왼쪽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왼쪽 전체를 위로 올리고 오른쪽 전체를 아래로 내릴 수 있다. 그 반대로 오른쪽 전체를 위로 올리고 왼쪽 전체를 아래로 내릴 수도 있다.
한줄씩 배열 할 수 있다. 왼쪽 첫째줄을 맨 위에 배열하고 그 아래 오른쪽 첫번째 줄을 배열할 수 있다. 왼쪽 두번째줄을 세번째줄에 배열하고 그 아래 오른쪽 두번째 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밖의 키패드 버튼은 현재 나와 있는 많이 쓰이는 버튼을 주변에 배치할 수 있다.
키패드와 키보드는 같은 용어로 사용되었다.
현재 나와 있는 키패드 관련 기술을 응용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숫자를 제하고 나타낼 수 있다. 기호를 제하고 나타낼 수 있다. 숫자와 기호를 제하고 나타낼 수 있다.
가장 아래 키보드 설정, 스페이스 바 등을 모아놓은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최대 가로가 5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글자 부분 줄이 가로 최대 5개 버튼 세로 최대 6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세로에 일반적으로 밑부분에 있는 연결, 설정버튼, 스페이스 바 등 기타 줄을 한줄 더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더해서 단어추천을 가장 위에 배치할 수도 있다. 타이핑이 편리하기 때문에 단어 추천 없이도 가능하다.
글자 부분은 최대로 5개의 버튼이 배치되고 5개 버튼 이외에는 배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글자부분에서 5개 보다 적은 3개나 4개가 배치되는 부분에 기능키들을 넣을 수 있다. 이 또한 글자 버튼과 합쳐서 5개 버튼이 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면적이 글자보다 작은 기능키도 남는 면적에 배치할 수 있다.
글자 부분이 6개의 버튼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자주 쓰는 기능키 등을 1개씩 추가할 수 있다.
오른쪽 부분과 왼쪽 부분이 위아래로 나누어진 사이를 두줄이나 한줄 등으로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키보드 파악을 더 쉽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도2와 같이 네모박스로 구분할 수도 있다.
도3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핸드폰 키패드에서 글자와 같이 배치되는 백스페이스나 쉬프트 키와 같이 글자와 같이 자주 쓰이는 것을 가로가 4개나 3개의 버튼이 있는 곳에 배치할 수 있다. 글자키나 기능키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가상키보드일 수 있다. 물리적인 키보드 역시 가능하다. 블랙베리 폰과 같이 물리적 키보드가 있는 것에서나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가능하다. 키보드 오른쪽을 아래로 배치하고 왼쪽을 아래로 배치한 후 오른손을 아래로 해서 치고 왼손을 위로해서 칠 수 있다. 길죽하지 않아도 되어 휴대가 간편하다. 또한 모바일폰 버튼으로 되어 있는 경우 세로로 큰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수 있다.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정에서 높낮이를 개개인의 설정으로 변경가능하게 할 수 있다. 치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높낮이가 상 중 하 등 단계별 설정에서 고르도록 할 수 있다. 숫자버튼 줄이나 단어추천 줄이나 기호 등을 개개인의 설정으로 추가하도록 할 수 있다.
시스템 전체 키보드 설정에서 뿐만 아니라 각 앱에서 임의로 사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메모앱에서나 채팅앱 등 문자 사용이 많은 앱에서 사용이 특히 편리하다.
장년이나 노인분 용 키보드앱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장년이나 노인분이 많이 쓰는 앱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버튼이 크면서도 컴퓨터 자판 순이라 사용이 간편하다. 글자를 굵게 할 수 있다. 두께가 보통 두께의 2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10배 이하로 할 수 있다. 폰트의 크기를 일반크기의 1.5배이상 5배이하 두께를 2배이상 10배이하로 늘린 시력 약자용 모바일 기기 키보드가 가능하다.
오타를 치면 복잡해지는 로그인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인증서 암호 등을 누를때 유용할 수 있다.
1-키보드 배열 키패드 2-키보드 나누기 3- 왼쪽 자판
4- 오른쪽자판 5- 배열된 모습

Claims (10)

  1. 컴퓨터 키보드와 글자부분 배열 순서를 동일하게 하고 반으로 양옆으로 나눠 위 아래의 2층으로 수직형으로 배열한 모바일 기기 키보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나눠진 두 부분 중 한쪽은 전체 줄이 위로 가고 한쪽은 전체 줄이 아래로 간 모바일 기기 키보드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키보드에서 숫자를 제외하고 숫자를 누를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한 키보드를 하나의 버튼으로 연결한 모바일 기기 키보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글자부분 줄의 버튼이 최대한 5개를 가지는 모바일 기기 키보드.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5개가 되지 않는 곳에 글자 이외의 키를 배치한 것이 있고 키를 더해도 5개 버튼이 되지 않는 모바일 기기 키보드.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 사이를 위아래로 배치한 사이에 시각적 구분을 둔 모바일 기기 키보드.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폰트의 크기를 일반크기의 1.5배이상 5배이하 두께를 2배이상 10배이하로 늘린 시력 약자용 모바일 기기 키보드.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입력시 나타나고 입력이 끝나면 사라지는 가상 모바일 기기 키보드.
  9.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이 양 쪽이 위아래로 배치되었을 때 전체 너비의 20%이내의 범위에 있는 모바일 기기 키보드.
  10. 컴퓨터 키보드와 배열 순서를 동일하게 하고 반으로 나눠 두 부분을 위 아래의 2층으로 수직형으로 배열한 모바일 기기 키보드 방법.
KR1020150062387A 2015-03-04 2015-05-02 모바일기기 키보드 KR20160123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2219 WO2016140556A2 (ko) 2015-03-04 2016-03-04 모바일 장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847 2015-04-17
KR20150054847 2015-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928A true KR20160123928A (ko) 2016-10-26

Family

ID=5725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387A KR20160123928A (ko) 2015-03-04 2015-05-02 모바일기기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39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6258B1 (en) Keypad
US9164592B2 (en) Keypad
KR101599227B1 (ko) 한글과 영문 등의 문자 입력이 용이한 터치 스크린용 면촉 자판
US10025391B2 (en) Ergonomic keyboard
KR20120003327U (ko) 한 손 자판
KR20120056582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중국어 문자입력장치
KR20160123928A (ko) 모바일기기 키보드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70091481A (ko) 모바일기기 키보드
JP5016087B2 (ja) キーボード
CN104503599A (zh) 一种基于36键位的藏文键盘布局和输入系统
KR20210010592A (ko) 모바일 키보드 모음 부분 확대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KR20170072759A (ko) 모바일기기 키보드 배열 키패드
KR101071812B1 (ko)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KR20020078326A (ko) 다접점스위치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다접점스위치의문자배열방법
KR101448712B1 (ko) 쿼티 영문 자판 배열의 순서로 표시되는 영문 입력 자판
JP4987945B2 (ja) キーボード
BRMU9001559U2 (pt) teclado para um dispositivo eletrÈnico de mão
KR20110011722U (ko) 키보드
KR101499904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터치스크린 입력 방법
KR20210091979A (ko) 공용모음버튼이 포함된 모바일장치용 한글 문자판과 이를 이용한 모음 입력 방법
KR101550140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JP2020135399A (ja) 符号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204375A (ja) 行内五段文字選択のフリックによる日本語入力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