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292A -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 Google Patents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292A
KR20160122292A KR1020150051581A KR20150051581A KR20160122292A KR 20160122292 A KR20160122292 A KR 20160122292A KR 1020150051581 A KR1020150051581 A KR 1020150051581A KR 20150051581 A KR20150051581 A KR 20150051581A KR 20160122292 A KR20160122292 A KR 2016012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in
collision
cow
cro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장호
곽홍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1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2292A/ko
Publication of KR2016012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6Combinations of yieldable mounting means of different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카울 서포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 충돌 시 충돌 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의 밀림에 따른 승객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경사 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Cowl Support with Function of Against Angled Imp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카울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 충돌 시 충돌 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의 밀림에 따른 승객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경사 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과 차량 실내 사이의 경계 부위에는 스티어링 시스템(steering system)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길이재의 보강바 역할을 하는 카울크로스멤버(cowl cross member)가 설치되는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는 스티어링 칼럼과 수직하게 구성되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차체의 양측 프론트 필러 이너패널에 가로질러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는 차체 전방에 비틀림 및 굽힘강성을 지지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하며, 상기 스티어링 칼럼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고정시키도록 설계된다.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기능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카울 서포트가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울 크로스 멤버와 카울 서포트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양산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카울 서포트는 카울 크로스 멤버의 지지와 스티어링 칼럼의 고정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세개의 구성요소(상단 부재, 중단부재 및 하단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되며, 카울 크로스 멤버의 지지와 스티어링 칼럼의 고정을 위한 목적에 대응하는 강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카울 서포트는 이하 기술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도 2를 참조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차량 전방의 경사 충돌 발생 조건에서 차량 내부 구조와 운전자의 상해 원인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상기 도 2의 상황의 충돌 발생 전과 충돌발생 후의 카울 크로스 멤버와 카울서포트의 상세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상기 도 3의 상세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정면 대 장애물(예를 들어, 타 차량)의 경사 충돌 시에는 일반적인 정면 충돌 조건과는 달리 충돌 하중이 차량 전방으로부터 경사 방향으로 작용한다. 특히 차량 전방의 경사 충돌 지점이 운전석에 가까운 경우, 차량 전방 충격이 차체 프레임을 변형시키며 운전석 방향으로 서스펜션 하우징을 인입시킨다.
상기와 같은 충돌시 변형 구조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되며, 도 4를 참조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상황의 충돌 발생 전과 충돌발생 후의 카울 크로스 멤버와 카울서포트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상세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차량 전방의 경사 충돌 시에는 충돌 하중이 경사 방향으로 펜더(fender)에 1차적으로 작용하고, 상기 펜더 바로 안쪽에 위치하는 서스펜션 하우징에 충돌 하중이 전달되어 상기 서스펜션 하우징이 객실내로 밀려들어 오며, 이에따라 서스펜션 하우징이 카울 서포트를 타격하여 카울 크로스 멤버를 밀어 마운팅의 파단으로 이어진다. 카울 크로스 멤버 마운팅의 파단은 스티어링 칼럼 밀림의 원인이 되며 최종적으로 스티어링 칼럼은 운전석 승객의 상해를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카울 서포트 구조의 개선(회전 및 이탈 구조)을 통하여, 차량 전방의 경사 충돌 시 카울 크로스 멤버의 밀림 방지 및 스티어링 칼럼에 의한 운전석 승객의 상해 저감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대시판넬과 카울 크로스 멤버를 연결 및 지지하는 카울 서포트에 있어서, 상기 대시판넬에 연결된 제1브라켓과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와 연결된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되, 상기 제1브라켓은 소정구간 회전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브라켓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연결하는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제1브라켓에 상하로 관통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핀의 양단부가 관통되도록 천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구간 연장하는 슬롯홀을 포함하는 슬롯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은 타원형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의 타원형 단면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제1브라켓의 축방향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롯홀은, 상기 핀의 단면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고 전단에 배치된 원형홀; 및 상기 핀의 단면부의 너비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고 후단에 배치된 슬롯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은 상기 제2브라켓의 슬롯홀에 점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에 충돌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핀과 상기 제2브라켓의 점용접이 파단되어, 상기 핀이 상기 슬롯홀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서로 점용접되어 결합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에 충돌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점용접이 파단되어, 상기 제1브라켓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브라켓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포함하는 카울 서포트를 구성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핀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되, 상기 핀을 중심으로 상대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일정각도 회전시 상기 제1브라켓이 상기 제2브라켓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사충돌시 카울 크로스 멤버가 충돌하중에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서로 점용접되어 초기 고정되고,정상상태에서 서로 고정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경사 충돌 발생시 서스펜션 하우징의 타격에 의해 파단되도록 함으로써, 경사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만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상대이동 하여 카울 크로스 멤버의 충돌하중에 따른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경사 충돌 발생에 대응하는 카울 서포트를 구성함으로써, 카울 크로스 멤버의 밀림을 방지 하고, 더 나아가 스티어링 칼럼의 밀림을 방지함으로써, 경사 충돌 발생시에도 운전석 승객의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울 크로스 멤버와 카울 서포트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차량 전방의 경사 충돌 발생 조건에서 차량 내부 구조와 운전자의 상해 원인을 나타낸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상황의 충돌 발생 전과 충돌발생 후의 카울 크로스 멤버와 카울서포트의 상세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상세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경사충돌 발생 후 상기 도 5의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경사충돌 발생 후의 상기 도 6의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를 나타낸다.
도 10은 경사충돌 발생 전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경사충돌 발생 후 상기 도 10의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카울 서포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 충돌 시 충돌 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의 밀림에 따른 승객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카울 서포트 구조를 회전시 소정구간 변형 또는 이동을 가능하게함으로써, 경사 충돌 시 카울 크로스 멤버의 밀림을 방지하고, 스티어링 칼럼에 의한 운전석 승객 상해를 방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울 서포트는 서로 연결된 제1브라켓(10)과 제2브라켓(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10)의 전단은 대시판넬(100)과 연결되고, 상기 제2브라켓(20)의 후단은 카울 크로스 멤버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카울 서포트는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20)의 상대이동에 따라 카울 크로스 멤버가 충돌 하중에 의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10)과 제2브라켓(2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브라켓(10)의 개구부가 상기 제2브라켓(20)의 개구부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브라켓(10)의 높이는 상기 제2브라켓(2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10)의 측방 이동시 상기 제2브라켓(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20)은 충돌 발생 이전에 대시판넬(100)과 카울 크로스 멤버(200) 간에 지지력을 제공해야 하므로, 상기 제1브라켓(10)의 후단부와 상기 제2브라켓(20)의 전단부는 핀(3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여기에서 '전단' 및 '후단'의 명칭은 차량 전단 및 후단과 일치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핀(30)은 상기 제1브라켓(10)의 후단부에 결합고정된다. 이때, 상기 핀(30)은 상기 제1브라켓(10)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브라켓(10)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소정구간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30)의 돌출부(다시말해서, 상기 핀(30)의 양단부)는 상기 제2브라켓(2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20)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제1브라켓(10)과 제2브라켓(20)의 연결구조는 상기 핀(30)을 축으로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20)을 상대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는 상기 제2브라켓(20)을 기준으로 상기 제1브라켓(10)이 소정구간 회전시 상기 제1브라켓(10)을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경사 충돌의 충돌하중을 상쇄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핀(30)의 형상을 통하여 달성된다.
상기 핀(30)의 형상은 상기 제1브라켓(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경우에만 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납작한 타원형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는 상기 제2브라켓(20) 방향에서 상기 핀(30)을 바라볼때, 회전에 의하여 상기 핀(30)의 지름이 변화하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핀(30)은 최초 상기 제1브라켓(10)에 관통결합시 단면부의 길이방향(A)이 상기 제1브라켓(10)의 축방향(B)과 비스듬한 배치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브라켓(20)의 후단부는 카울 크로스 멤버(200)에 연결되며 그 전단부의 상하면에는 슬롯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슬롯부(40)는 상기 제2브라켓(20)의 상부와 하부에 천공되어 형성되어 상기 핀(30)의 상단과 하단이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전단에 배치된 원형홀과 후단에 배치된 소정 길이의 직사각형 형상의 슬롯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형홀의 지름은 상기 핀(30)의 단면부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롯홀의 너비는 상기 핀(30)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핀(30)이 비스듬한 배치, 즉, 최초 상기 제1브라켓(10)에 관통결합시 단면부의 길이방향(A)이 상기 제1브라켓(10)의 축방향(B)과 비스듬한 배치로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원형홀에 내측면에 지지되어 후방 이동이 불가능한 구성이나, 상기 핀(30)이 회전하여 단면부의 길이방향(A)이 상기 제1브라켓(10)의 축방향(B)와 일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슬롯홀의 너비와 상기 핀(30)의 너비가 일치하기 때문에 상기 슬롯홀로 상기 핀(30)을 인입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브라켓(10)의 회전시 상기 제1브라켓(10)이 상기 제2브라켓(2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정상상태(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브라켓(10)의 핀(30)이 상기 제2브라켓(20)의 슬롯부(40)의 원형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브라켓(10)의 핀(30)은 초기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브라켓(20)의 원형홀에 점용접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20)이 서로 점용접되어 초기 고정되고, 정상상태에서 서로 고정된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20)이 경사 충돌 발생시 서스펜션 하우징의 타격에 의해 파단되도록 함으로써, 경사 충돌이 발생했을 때에만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20)이 상대이동 하여 카울 크로스 멤버(200)의 충돌하중에 따른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경사충돌 발생 후 상기 도 5의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며, 도 8은 경사충돌 발생 후의 상기 도 6의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에 경사충돌이 발생하면, 서스펜션 하우징이 상기 제1브라켓(10)의 전단부를 타격하고, 이 충격은 상기 핀(30)과 상기 제2브라켓(20)을 고정하고 있는 점용접을 파단시킴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10)이 상기 제2브라켓(20)에 대해 측방으로 일정각도 상대회전을 하게 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10)이 회전하면 상기 제1브라켓(10)에 결합된 상기 핀(30)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핀(30)의 회전은 상기 핀(30)의 단면부의 길이방향(A)을 상기 제1브라켓(10)의 축방향(B)과 일치하게 함으로써, 상기 핀(30)을 상기 슬롯부(40)의 슬롯홀로 이탈시키며 상기 제1브라켓(10)의 후단이 후방으로 소정구간 이동하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브라켓(10)의 상대적 회전과 이에 따른 슬롯홀로의 후방 이동에 의한 변형 공간확보를 통해 상기 제2브라켓(20)은 대시패널에 의하여 가해지는 충돌하중에 따른 밀림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브라켓(20)에 연결된 카울 크로스 멤버(200)의 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를 나타내며, 도 10은 경사충돌 발생 전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의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제3브라켓(50)과 카울 크로스 바(300)의 결합 구조를 통하여 충돌 하중에 대한 밀림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브라켓(50)의 전단은 대시판넬(100)과 연결되고, 그 후단은 카울 크로스 바(300)와 연결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브라켓(5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구부가 후방을 지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3브라켓(50)은 충돌 발생 이전에 대시판넬(100)과 카울 크로스 바(300) 간에 지지력을 제공해야 하므로, 상기 제3브라켓(50)의 후단부는 제2핀(60)에 의하여 상기 카울 크로스 바(3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핀(60)은 상기 카울 크로스 바(300)에 상하로 관통결합되고, 상기 제3브라켓(50)의 후단부의 상하면에는 제2슬롯부(7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슬롯부(70)는 상기 제3브라켓(50)의 상부와 하부에 천공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핀(60)의 상단과 하단이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전단에 배치된 슬롯홀과 후단에 배치된 원형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형홀의 지름은 상기 제2핀(60)의 지름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롯홀의 너비는 상기 제2핀(60)의 지름보다 적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정상상태(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핀(30)이 상기 제3브라켓(50)의 제2슬롯부(70)의 원형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핀(60)의 지름과 상기 원형홀의 지름은 서로 대응되기 때문에 상기 제3브라켓(50)의 후방 밀림이 방지된다.
도 11은 경사충돌 발생 후 상기 도 10의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에 경사충돌이 발생하면, 서스펜션 하우징이 상기 제3브라켓(50)의 전단부를 타격하고, 이 충격은 제3브라켓(50)을 후방이동시키며 상기 제2핀(60)을 상기 슬롯홀로 인입시키며,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3브라켓(50)의 후방 이동에 의한 변형 공간확보를 통해 상기 카울 크로스 바(300)는 대시패널에 의하여 가해지는 충돌하중에 따른 밀림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핀(60)의 지름은 상기 슬롯홀의 너비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3브라켓(50)은 소정구간 이동 후 상기 슬롯홀에 의하여 후방 밀림이 완화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제1브라켓
20: 제2브라켓
30: 핀
40: 슬롯부
50: 제3브라켓
60: 제2핀
70: 제2슬롯부
100: 대시판넬
200: 카울 크로스 멤버
300: 카울 크로스 바

Claims (6)

  1. 자동차의 대시판넬과 카울 크로스 멤버를 연결 및 지지하는 카울 서포트에 있어서,
    상기 대시판넬에 연결된 제1브라켓과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와 연결된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되,
    상기 제1브라켓은 소정구간 회전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브라켓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연결하는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제1브라켓에 상하로 관통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핀의 양단부가 관통되도록 천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구간 연장하는 슬롯홀을 포함하는 슬롯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타원형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의 타원형 단면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제1브라켓의 축방향과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홀은,
    상기 핀의 단면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고 전단에 배치된 원형홀; 및
    상기 핀의 단면부의 너비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고 후단에 배치된 슬롯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제2브라켓의 슬롯홀에 점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에 충돌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핀과 상기 제2브라켓의 점용접이 파단되어, 상기 핀이 상기 슬롯홀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서로 점용접되어 결합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에 충돌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점용접이 파단되어, 상기 제1브라켓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브라켓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KR1020150051581A 2015-04-13 2015-04-13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KR20160122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581A KR20160122292A (ko) 2015-04-13 2015-04-13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581A KR20160122292A (ko) 2015-04-13 2015-04-13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292A true KR20160122292A (ko) 2016-10-24

Family

ID=5725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581A KR20160122292A (ko) 2015-04-13 2015-04-13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22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0252B2 (en) Front-end structure for vehicle
US8382196B2 (en) Vehicle instrument panel reinforcement attachment structure
JP2011162158A (ja) 自動車の下部構造
US7648168B2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of vehicle equipped with wire block assembly
JP2010105585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JP2010000866A5 (ko)
JP2004231018A (ja) エンジンマウント用のブラケット
JP6888042B2 (ja) ストライカ取付構造
JP5896827B2 (ja) 自動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KR20160122292A (ko) 경사충돌 대응 카울 서포트
JPH11189164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
KR101673344B1 (ko) 래터럴 암의 휠 거동 제어 구조
JP2010221952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6547321B2 (ja) フロントクロスメンバの取付部構造
JP4259473B2 (ja) 車体構造
CN219447138U (zh) 车载仪表板的管梁、管梁总成及车辆
JP6063798B2 (ja) 車体構造
JP7025723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構造
JP6267770B2 (ja) 車体構造
KR100920163B1 (ko) 스티어링 컬럼의 초기충격 흡수장치
JP2008247240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197369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JP2008030687A (ja) 前方配置部材取付方法
JP2013173463A (ja) 車両用シート
JP2015016718A (ja) 自動車の車室前部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