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908A - Disaster Safe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 Google Patents

Disaster Safe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908A
KR20160118908A KR1020150127121A KR20150127121A KR20160118908A KR 20160118908 A KR20160118908 A KR 20160118908A KR 1020150127121 A KR1020150127121 A KR 1020150127121A KR 20150127121 A KR20150127121 A KR 20150127121A KR 20160118908 A KR20160118908 A KR 20160118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ence
fire
room
panel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1298B1 (en
Inventor
허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Priority to KR102015012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298B1/en
Publication of KR20160118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9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2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educational disaster and safety experience system. The educational disaster and safety experience system comprises: an experience chamber having at least one entrance which an experience subject enters before experience, at least one exit to which the experience subject moves out after experience, and an internal space having a particular size; a moving path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xperience chamber by being assembled with a plurality of panel assemblies so as to constitute an escape route between the entrance and the exist to enable the experience subject to evacuate; and a fire occurrence directing unit for directing a virtual fire or an actual fire through an external signal by having at least one flame directing devic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intermediate part of the moving path so as to enable the experience subject moving along the moving path to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fire.

Description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Disaster Safe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Disaster Safe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

본 발명은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화재와 같은 재난발생시 일반인에게 닥쳐올 수 있는 재난 상황을 특정한 안전 공간에서 가상의 화재 또는 실질적인 화재를 연출하여 체험하고,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하는 요령을 체험할 수 있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al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al purposes, It is about the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that can experience the point of evacuation.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백화점, 상가 건물, 관공서 등과 같이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각종 건물은 복수의 층으로 구획되어 있고, 복도통로를 구비하는바, 지진, 정전이나 화재 등과 같은 위급한 재난발생시 당황하지 않고 비상계단이나 비상통로 등을 찾기가 매우 곤란하여 치명적인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항상 내재하고 있다. Generally, various buildings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such as a home, an office, a department store, a shopping mall, and a government office,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and a corridor passage is provided.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earthquake, power outage or fire,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emergency stairs or emergency paths, so there is always a risk that it could lead to a fatal accident.

특히, 건물 내 화재 발생시 불이라는 위험요소에 의하여 비상계단이나 통로 등을 제대로 찾지 못함으로 인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게 되는 사례가 많이 있었다. Especially, there were many cases where many fire casualties occurred due to failure to find emergency stairs or passage due to the danger of fire in the case of fire in the building.

또한, 각종 시설물에 있어 층간의 통로가 되는 비상계단은 비상사태 발생시에 병목현상을 야기하는 대표적인 구조물로서 식별이 제대로 안 될 경우에는 대피의 지연은 물론이고, 또한 통행의 적체 등으로 인해 압사 등과 같은 대형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emergency stairway which is a passage between the layers in various facilities is a typical structure causing a bottleneck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d when the identification is not made properly, not only the delay of the evacuation but also the collapse Causing large-scale safety accidents.

이에 따라, 기존의 각종 건축물의 통로나 계단 등에는 각종 피난유도 구조물들을 구비하여 사람들의 안전한 피난대비를 유도하도록 하였으나, 실제로 각종 재난 사고가 발생했을 때에는 갑작스러운 사태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게 되어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Accordingly, the existing passageways and stairways of various buildings are provided with various evacuation inducing structures to induce safe evacuation of people. However, when various disaster accidents occur, it is impossi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o sudden situations, .

그리고 화재와 같은 재난발생시 일반인들은 대부분 화재사고에 직면하게 되면 당황하거나 소화기의 사용법을 충분히 체득하고 있지 못함으로써, 주변에 있는 소화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진화할 수 있는 단순 화재사고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압하지 못하여 대형화재로 커지게 되는 사례를 흔히 볼 수 있다.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most of the people in general are confused when they face a fire accident, or have not fully learned how to use the fire extinguisher, so they can not overpower it even though it is a simple fire accident that can easily evolve using fire extinguishers nearby It is common to see cases of large fires.

이는 어린이들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방 재난 훈련시마다 실제 소화기를 이용한 소화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올바른 소화기 사용법을 체득시키려면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소방훈련은 이론교육에 그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most firefighting training is due to stopping the theoretical education because it takes a considerable expense to get the right fire extinguisher usage instruction by carrying out the fire extinguishing exercise using the actual fire extinguisher every fire disaster disaster training for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children .

이에 따라, 화재발생시 많은 사람들은 소화기의 사용법에 대해 이론적으로 충분히 숙지하고 있으면서도 실제 소화기를 사용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다루지 못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Therefore, in case of fire, many people have enough knowledge about the use of fire extinguisher theoretically but have never used real fire extinguisher.

(특허문헌 1) KR10-0463569 B1 (Patent Document 1) KR10-0463569 B1

(특허문헌 2) KR10-0628789 B1 (Patent Document 2) KR10-0628789 B1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는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이 인간에게 닥쳐올 수 있는 재난 상황을 특정 공간을 통해 가상으로 연출하고 이를 체험함으로써 실재 재난 상황에 따른 환경을 이해하고 또 재난 및 소방교육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재난 체험 모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Patent Literature 1 and Patent Literature 2 describe a disaster situation such as a fire or an earthquake that can be encountered in a human being through a specific space and imagine it and experience it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ctual disaster situation and to utilize it for disaster and fire education A disaster experience simulation system is disclosed.

그러나, 실질적인 재난발생시 이를 효율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체험교육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재난발생시 안전하게 대피하고, 화재진업을 수행하기 곤란하였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cuate safely in case of actual disaster, and to carry out fire extinguishment because experiential education that can effectively replace the disaster in case of actual disaster can not be integr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재와 같은 재난발생시 일반인에게 닥쳐올 수 있는 재난 상황을 특정한 안전 공간에서 가상의 화재 또는 실질적인 화재를 연출하여 체험하고,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하는 요령을 체험하며, 실제 재난 상황에 따른 열악한 환경을 이해하는 한편, 일반인 및 학생들에게 화재재난 체험교육을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fighting apparatus capable of realizing a virtual fire or a real fire in a specific safety space and experiencing a disaster, And to provide an educational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that can practically perform fire disaster experience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and students while understanding the harsh environment due to the actual disaster situation.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체험 전 체험자가 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와, 체험 후 상기 체험자가 진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갖추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체험실 ; 상기 출구와 입구사이에서 체험자가 대피하는 대피로를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판넬조립체의 조립에 의해서 상기 체험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이동통로 ; 및 상기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체험자가 화재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로의 길이중간에 적어도 하나의 화염연출기를 갖추어 외부신호에 의해서 가상의 화재 또는 실제의 화재를 연출하는 화재발생 연출부 ;를 포함하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을 제공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perience room having at least one entrance to enter an experiente before an experience, at least one exit to which the experient enters after experiencing, and an interior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 moving passage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experience room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panel assemblies so as to form an escape path between the exit and the entrance so that the experient is evacuated; And at least one flame director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travel passage so that an experienced traveler moving along the travel passage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fire, thereby generating a virtual fire or an actual fire by an external signal Provide an educational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that includes.

바람직하게, 상기 화염연출기는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투명한 투명판을 갖는 박스체와, 연료를 공급받아 외부신호에 의해서 상향분사되는 연료를 점화하는 점화기를 갖추어 화염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박스체에 설치되는 화염발생기 및 상기 박스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박스체의 상단과 연통연결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flame director comprises a box body having a transparent transparent plate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d an igniter for igniting the fuel injected upward by the external signal supplied with the fuel, so that the flame director is installed in the box body A flame generator, and an exhaust duc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box body to discharge noxious gas generated inside the box body to the outside.

바람직하게, 상기 화염연출기는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투명한 투명판을 갖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내부공간에서 가상의 화염이 연출되도록 전원인가시 빛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원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flame director comprises a box body having a transparent transparent plate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d at least one light emitting source for generating light upon application of power so that a virtual flame is form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ox body.

바람직하게, 상기 화염연출기는 상기 체험실의 바닥판에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한쌍의 안내이동홈에 올려지는 이동휠을 상기 박스체의 하부단에 복수개 구비한다. Preferably, the flame director comprises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at a lower end of the box body, the moving wheels being mounted on a pair of guide grooves formed in the bottom plate of the experience room so as to b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판넬 조립체는 좌우한쌍의 판넬부재를 수직하게 지지하도록 상,하단에 각각 조립되는 제1판넬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판넬 고정체는 상기 판넬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이 삽입배치되도록 한쌍으로 나란한 수직판과, 상기 한쌍의 수직판을 좌우양측 일측면에 각각 일체로 수직하게 고정설치한 수평판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panel assembly includes a first panel fixing body, which is respectively assembl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assembly so as to vertically support the pair of right and left panel members, And a horizontal plate vertically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vertical plates,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판넬 조립체는 단부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한쌍의 판넬부재를 서로 연결하면서 고정하는 제2판넬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판넬고정체는 단부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한쌍의 판넬부재의 상,하단이 각각 삽입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내,외부 절곡판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panel assembly includes a second panel fixture for connecting and fixing a pair of panel members, the ends of which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panel fixture includes a pair of panel members An inner and outer bent plates bent at right angles so as to insert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nd a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m.

바람직하게, 상기 체험실의 외부에는 소화용수와 혼합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소화용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교육용 소화기를 구비하는 교육용 소화부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outside of the experience room includes an education fire extinguisher having a plurality of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s for spra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with compressed air mixed with fire extinguishing wat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교육용 소화기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용수의 가상 화재 타켓을 형성하는 소화 타켓부를 추가 포함한다. More preferably, the fire extinguisher further comprises a fire extinguisher which forms a virtual fire target of fire extinguish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 타겟부는 좌우한쌍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교육용 소화기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용수의 가상 화재 타겟을 형성하는 소화 표지부를 포함한다. More preferably, the fire extinguishing target portion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s, a lower frame provided below the side frames, a frame portion including an upper fram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frames, And a fire extinguishment marking unit for forming a virtual fire target of fire extinguishing water sprayed from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 타겟부는 좌우한쌍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바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교육용 소화기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용수의 가상 화재 타겟을 형성하는 소화 표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바에 결합되어 상기 소화 표지부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소화 알림판 무게보정추 및 상기 소화 표지부와 상기 소화 알림판 무게보정추를 상호 연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한다. More preferably, the fire extinguishing target portion includes a frame portion inclu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s, a lower frame provided below the side frames, and an upper fram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frame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comprising: a support bar; a fire extinguishing mark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and forming a virtual fire target of fire extinguishing water sprayed from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And a connecting wire connecting the fire extinguishing mark and the fire extinguishing plate weight correcting weight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same direction.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소화 표지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고, 소화 문구가 표시된 소화 알림판 및 상기 회전 프레임의 타단에 연결너트부를 통해 결합되고, 정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소화타겟박스를 포함한다. More preferably, the extinguishing mark includes a rotary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a fire alarm board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ry frame and displaying a fire extinguisher, and a coupling nu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frame, And an extinguishment target box having a front face opened and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바람직하게, 상기 화재발생 연출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체험실 내부에서 체험하게 되는 체험자의 동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모니터링하면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험실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이나 지시 및 안내사항을 체험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체험실의 내부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체험실 내부상황을 들을 수 있는 통제실을 추가 포함한다. Preferably,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fire generating and emitting unit and monitoring and monitoring the activity of the experiencer experienced inside the experience room by using a camera, Instructions and instructions to the experiencer, and a control room for listening to the inside of the experiential room through a microphone installed inside the experiential room.

바람직하게, 상기 체험실의 외부에 배치되어 소방호스를 통해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옥내소화전을 추가 포함한다. Preferably, the indoor fire hydrant further includes an indoor fire hydrant disposed outside the experience room for spraying the water for fire fighting through the fire hose.

바람직하게, 상기 체험실은 체험자가 높은 곳에서 낮은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하강대피훈련을 체험할 수 있도록 완강기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experience room is equipped with a durability device so that the experience person can experience the descending evacuation drill while descending from a high place to a low place.

바람직하게, 상기 체험실은 내부공간에 심페 소생 체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CRP 체험실을 구비하거나 붕괴상황에 경험적으로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오지 않아 암흑상태를 조성하는 암흑체험실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experiencing room has a CRP experience room for performing a simpEye resuscitation experience in an inner space, or a dark experience room for providing a dark state without light from the outside so as to empirically settle the collapse situation calmly.

바람직하게, 상기 체험실의 내부공간이나 외부에는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재난지역에서 방독면 착용을 숙지하도록 방독면 체험실을 구비한다. Preferably, a gas mask experience room is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know the wearing of the gas mask in a disaster area where harmful gas is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r the outside of the experience room.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체험실의 내부에 실제 또는 가상의 화재를 연출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재난발생시 일반인에게 닥쳐올 수 있는 재난 상황을 특정한 안전 공간에서 가상의 화재 또는 실질적인 화재를 연출하여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체험자는 유도등을 따라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하는 요령을 체험하여 습득할 수 있는 것이다. (1) By producing a real or imaginary fire inside the experiencing room,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a virtual fire or a real fire in a specific safety space and experience the disasters that may come to the public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The person can experience the trick to quickly evacuate to a safe place along the guide light.

(2) 또한, 실제 재난 상황에 따른 열악한 환경을 몸소 체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 및 학생들에게 화재재난 체험교육을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2)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ersonally understand the harsh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ctual disaster situation, it is possible to practically conduct fire disaster experience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and students.

(3) 소화분말 대신 물을 사용하는 교육용 소화기를 체험실 외부에서 교육 및 체험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화재 발생시 소화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소방교육을 습득할 수 있다. (3) Since education fire extinguisher which uses water in place of fire extinguisher can be educated and experienced outside of the experimental room, it is possible to acquire fire extinguishing skill so that fire extinguisher can be used in case of actual fire.

(4) 실제 화재상황과 유사한 환경을 체험실 내부에서 제공함으로써, 피교육자인 체험자들에게 실질적이고 현장감 있는 소방안전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4) By providing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fire situation in the interior of the experience roo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actical and realistic fire safety experience to the participants who are students of the train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을 도시한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3a 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에서 상부구조물을 분리한 내부 상태도이다.
도 4a 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에 구비되는 판넬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에 구비되는 화염연출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에 구비되는 소화타켓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gener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ducational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IGS. 3A and 3B are internal views of an upper structure in an educational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assembly views illustrating a panel assembly included in an educational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ame director provided in an educational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xtinguishing target unit included in an educational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험실(110), 이동통로(120) 및 화재발생 연출부(130)를 포함한다. The educational disaster and safety experien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experience room 110, the moving passage 120, and the fire occurrence presenter 130 as shown in Figs. 1 to 3B.

상기 체험실(110)은 일반인 또는 학생 등과 같은 체험자가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111)와, 상기 체험자가 체험 후 내부에서 외부로 진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112)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로(120)와 화재발생 연출부(130)를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이루어진다.The experience room 110 includes at least one entrance 111 through which an experience such as a general person or a student enter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at least one exit 112 through which the experience advanc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a box structure on a substantially hexahedron having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for installing the movement passage 120 and the fire generation / contraction portion 130 therein.

이러한 체험실(110)은 복수개의 사각파이프와 같은 철제물을 서로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사각틀 형상의 바닥구조물과 천정구조물사이를 수직한 철제프레임으로 서로 연결한 철골구조물과, 상기 철골구조물의 전,후면,좌우 양측면 및 천정면을 마감판넬로서 마감처리한 외장재를 포함한다. The experience room 110 includes a steel structure having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formed by welding steel products such as a plurality of square pipes to each other and a vertical steel frame connected to the ceiling structure, And both sides and the ceiling surface are finished with a finishing panel.

또한, 상기 체험실(11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이동통로와 화재발생 연출부가 구비되는 공간과 별도로 구획되어 심페 소생 체험과 같은 안전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교육공간을 구비하거나 각종 재난안전사고 발생시 붕괴상황에 경험적으로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오지 않아 암흑상태를 조성하는 암흑체험실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experience room 110, there is a separate education spac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space in which the moving path and the fire generation / discharge portion are provided, A dark experience room can be provided to create a dark state in which light does not enter from the outside so as to empirically and calmly cope with the collapse situation.

이러한 교육공간에는 심폐 소생 교육(CPR)을 통해 체험자가 체험하면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체험자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절첩식 심폐 소생 체험대를 구비하고, 체험자들의 심폐 소생 체험 교육이 가능하도록 교육용 심폐 소생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educational space is equipped with a fold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nit, which provides space for the experiencers to experience while experiencing the CPR through the CPR, and enables them to experienc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cardiopulmonary resuscitator.

상기 입구(111)와 출구(112)에는 체험자가 상기 이동통로(120)내로 진입하거나 진출하기 전에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11a,112a)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험실의 외부에는 상기 입구(111)와 연결되는 출입문(119)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통로(120)와 입구(111)는 상기 체험실(1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doors 111a and 112a are provided in the entrance 111 and the exit 112 so that the experience can be opened and closed before entering or exiting the passage 120. In addition, The entrance 120 and the entrance 111 may be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experience room 110. [

상기 이동통로(120)는 상기 출구(111)와 입구(112)사이에서 체험자가 대피하는 일정길이으 대피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판넬 조립체(121)의 조립에 의해서 상기 체험실(1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것이다. The movement path 120 is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panel assemblies 121 so as to form a shelter pat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etween the exit 111 and the entrance 112 to allow the experimenter to evacuate, And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상기 판넬 조립체(121)는 도 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한쌍의 판넬부재(123)를 수직하게 지지하도록 상,하단에 각각 조립되는 제1판넬 고정체(124)를 포함하고, 이러한 제1판넬 고정체(124)는 상기 판넬부재(123)의 상단 또는 하단이 삽입배치되도록 한쌍으로 나란한 수직판(124a)과, 상기 한쌍의 수직판을 좌우양측 일측면에 각각 일체로 수직하게 고정설치한 수평판(124b)을 포함한다.4A, the panel assembly 121 includes a first panel fixing body 124 assemb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so as to vertically support the pair of right and left panel members 123, The panel fixing body 124 includes a pair of parallel vertical plates 124a such that the upper or lower ends of the panel members 123 are insert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tical plate 124, And a horizontal plate 124b.

여기서, 상기 한쌍의 수직판(124a)에는 이에 삽입배치된 판넬부재(123)를 나사체결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조립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수평판(124b)은 상기 체험실(110)의 바닥면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다른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조립공을 관통형성한다. Here, the pair of vertical plates 124a is formed with an assembly hole through which a fixing screw is fastened so as to fix the panel member 123 inserted thereon by a screw fastening method, and the horizontal plate 124b is fixed to the experience room 110) through which the other fixing screw is fastened so as to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by a screw fastening method.

상기 판넬 조립체(121)는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한쌍의 판넬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직선형 통로를 직각방향으로 절곡하여 대피로인 이동통로(120)를 변경할 수 있도록 단부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한쌍의 판넬부재(123)를 서로 연결하면서 고정하는 제2판넬 고정체(125)를 포함하는바, 이러한 제2판넬고정체(125)는 단부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한쌍의 판넬부재(123)의 상,하단이 각각 삽입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내,외부 절곡판(125a,125b)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125c)을 포함한다. 4B, the panel assembly 121 includes a pair of right and left panel members that are bent at right angles to form a straight passage, and the end portions of the panel assembly 121 are bent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so as to change the moving path 120, And a second panel fixing body 125 for fixing the pair of panel members 123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panel fixing body 125 includes a pair of panel members 123 whose ends meet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Inner and outer curved plates 125a and 125b bent at right angles to insert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nd a connecting plate 125c connecting them.

여기서, 상기 한쌍의 내,외부 절곡판(125a,125b)에는 단부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한쌍의 판넬부재를 나사체결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다른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조립공을 관통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air of inner and outer bent plates 125a and 125b may be formed with an assembly hole through which other fixing screws are fastened so that a pair of panel members whose ends meet at right angles with each other can be fixed by a screw fastening method.

이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좌우한쌍의 판넬부재(123)는 상기 제1판넬고정체(124)의 수평판에 구비되는 한쌍의 수직판에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수직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체험실의 내부공간에 직선형 대피로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이동통로의 모서리부에서 단부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한쌍의 판넬부재(123)는 상기 제2판넬고정체(125)의 내,외부절곡판사이에 삽입되어 수직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직선형 대피로를 대략 직각방향으로 절곡한 대피로를 형성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air of right and left panel members 123 facing each other are inserted vertically into a pair of vertical plates provided on the horizontal plate of the first panel fixing body 124, And a pair of panel members 123 whose ends meet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re inserted into the inner and outer bent plates of the second panel fixing body 125 and are vertically Thereby forming the evacuation path in which the linear evacuation path is bent in the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path.

이러한 제1판넬고정체(124)와 제2판넬 고정체(125)에 의해서 체험실의 바닥면에 복수개의 판넬부재(123)를 수직하게 고정하면서 직선형 대피로와 절곡형 대피로를 형성함으로써 체험실의 내부공간에서 대피로인 이동통로(120)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체험설의 바닥면에 조립되는 제1,2판넬고정체(124,125)의 위치변경에 의해서 상기 이동통로(120)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panel fixing body 124 and the second panel fixing body 125 fix the plurality of panel members 123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perience room vertically while forming a straight escape path and a bending type escape path, (120)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 fixing bodies (124, 125) assemb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periential building while forming the escape passage 120 in the inner space will be.

또한, 상기 제1,2판넬 고정체(124,125)에 의해서 상기 체험실의 내부에 대피로인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판넬부재(123)에는 전원인가시 점등되는 대피유도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체험자는 점등된 대피유도등을 따라 대피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nel member 123, which forms the escape path inside the experience room by the first and second panel fixing bodies 124 and 125, is provided with the escape guide light that lights up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e moving experient can evacuate along the lit evacuation light.

상기 화재발생 연출부(130)는 상기 체험실의 내부로 진입한 체험자가 이동통로(120)를 따라 이동하면서 화재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로의 길이중간에 적어도 하나의 화염연출기(131)를 갖춤으로써, 통제실에서 외부신호에 의해 상기 화염연출기(131)에서 가상의 화재 또는 실제의 화재를 연출하는 것이다. The fire generating and directing part 130 includes at least one flame director 131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travel path so that an experienced person entering the inside of the experience room moves along the travel path 120 and recognizes occurrence of a fire So that a virtual fire or an actual fire is produced in the flame director 131 by an external signal in the control room.

상기 화염연출기(13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투명한 투명판(132a)을 갖는 박스체(132)와, 미도시된 가스공급라인을 통해 가스와 같은 연료를 공급받아 외부신호에 의해서 상향분사되는 연료를 점화하는 점화기(133a)를 갖추어 화염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박스체(13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화염발생기(133) 및 상기 박스체(132)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박스체의 상단과 연통연결되는 배기덕트(134)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5, the flame director 131 includes a box body 132 having a transparent transparent plate 132a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d a gas supply line A flame generator 133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body 132 for generating a flame and an igniter 133a for igniting the fuel injected upward by an external signal and generated inside the box body 132 And an exhaust duct 134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ox body so as to discharge the noxious gas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박스체(132)는 대략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박스체(132)의 일측면에는 화염발생기(133)의 고장시 수리교체를 위해 여닫을 수 있도록 도어(132b)를 구비하며, 상기 박스체의 하부에는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흡기그릴(132c)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배기덕트(134)와 연결되는 박스체의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x body 132 may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structure. The box body 132 may have a door (not shown)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box body 132 for repair replacement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flame generator 133 And a lower portion of the box body is provided with an intake grill 132c for allowing external air to flow therein. The upper end of the box body connected to the exhaust duct 134 has an outer diamet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in a narrowed cross section.

상기 박스체(132)의 상단과 연결되는 배기덕트(134)는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박스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강제 흡입하여 체험실의 외부로 배기처리할 수 있도록 배기팬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haust duct 134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ox body 13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ellows pipe tha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 the fan.

또한, 상기 화염연출기(131)는 상기 체험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판(135)에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한쌍의 안내이동홈(135a)에 올려지는 이동휠(132d)을 상기 박스체(132)의 하부단에 복수개 구비한다. The flame director 131 is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132d which is lifted up in a pair of guide movement grooves 135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135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perience room, 132 at the lower end thereof.

이에 따라, 상기 화염연출기(131)는 체험실의 바닥판에서 안내이동홈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이동휠(132d)에 의해서 상기 이동통로의 변경에 맞추어 적절히 위치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flame director 131 can be appropriately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moving path by the moving wheel 132d which is rollingly moved along the guide moving groove in the bottom plate of the experience room.

여기서, 상기 화염연출기(131)는 연료원인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기를 갖추어 실제화염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박스체(132)의 내부에 전원인가시 가상의 화염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적색의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flame director 131 is provided with an igniter that ignites the fuel gas, and generates a real flame. However, the flame director 131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virtual flame may b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x body 132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emitting source that emits red light so as to be able to recognize the light.

그리고, 이러한 화염연출기(131)에서 상기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체험자가 화재발생을 인지하도록 연출되는 화염발생원을 연료의 점화에 의해서 실제화염을 발생시키는 점화기에서 전원인가시 가상화염을 발생시키는 발광원으로 대체하게 되면, 고가의 점화기와 배기덕트를 박스체의 구성에서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발생 연출부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In the igniter that generates the actual flame by ignition of the fuel, the flame generator, which is directed to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fire, is moved from the flame director 131 through the movement passage to the igniter It is possible to omit the expensive igniter and the exhaust duc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box body,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e generation and production section.

한편, 상기 체험실(110)의 외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 및 소화용수가 혼합되어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소화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교육용 소화기(141)가 구비된 교육용 소화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용 소화기(141)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용수의 가상 화재 타켓을 형성하는 소화 타켓부(150)를 포함한다. The training fire extinguisher 140 includes a plurality of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s 141 so that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fire extinguishing water are mixed and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s sprayed by the compressed air. And a fire extinguisher target 150 for forming a virtual fire target of fire extinguish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41.

상기 교육용 소화부(140)는 상기 교육용 소화기(141)가 안착되는 거치공간이 복수개 형성된 소화기 케이스(142)와, 상기 소화기 케이스(142)의 거치공간에 안착되어 소화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교육용 소화기(14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내부에 저장된 소화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공기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40 includes a fire extinguisher case 142 having a plurality of seating spaces in which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41 is seated and a fire extinguisher case 142 mounted in the seating space of the fire extinguisher case 142, And an air compressor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er 141 for supplying high-pressure air to fire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tored therein.

이에 따라, 상기 교육용 소화부(140)는 상기 공기 압축기를 통해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외부의 물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소화용수 또는 개별 주입되는 소화용수가 혼합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소화용수가 호수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40 mixes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compressor and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by the external water supply device or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ndividually injected, So that it can be sprayed outside.

여기서, 상기 교육용 소화기(141)가 거치되는 소화기 케이스(142)는 하부단에 이동휠(142a)을 갖추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체험실의 전방에서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입하는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fire extinguisher case 142 to which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41 is mounted is equipped with a moving wheel 142a at the lower end thereof, so that a fire is entered using a fire extinguisher in front of the experience room .

또한, 상기 소화 타겟부(15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육용 소화부의 교육용 소화기(141)에서 분사되는 소화용수의 가상 화재 타겟이 되는 것으로, 프레임부(151), 회전지지바(152), 소화 표지부(153), 소화 알림판 무게보정추(154) 및 연결와이어(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A and 6B, the fire extinguishing target portion 150 is a virtual fire target of fire extinguishing water sprayed from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41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and includes a frame portion 151, A bar 152, a digestion marker 153, a digestion bill weight correction weight 154, and a connection wire 156.

상기 프레임부(151)는 좌우한쌍의 측면 프레임(151a)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51b) 및 좌우한쌍의 측면 프레임(151a)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151c)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 프레임(151a)의 하단에는 회전 잠김 기능이 구비된 회전바퀴(151d)를 갖는 한쌍의 프레임 지지대(151e)를 갖추어 상기 소화 표지부(153)가 서 있을 수 있도록 고정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The frame part 151 is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s 151a and a lower frame 151b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side frames 151a and an upper frame 151c formed on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s 151a And a pair of frame supports 151e having a rotary wheel 151d having a rotation locking func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frame 151a so that the fire extinguishment markers 153 can stand do.

상기 회전지지바(152)는 좌우한쌍의 측면 프레임(151a)의 하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소화 알림판 무게보정추(154)가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Both ends of the rotation support bar 152 ar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s 151a so that the fire fighting bill weight correction weight 154 is rotatably assembled.

상기 소화 표지부(153)는 상기 상부 프레임(151c)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프레임(153a)과, 상기 회전 프레임(153a)의 일단에 결합되어 소화 문구가 표시된 소화 알림판(153b) 및 상기 회전 프레임(153a)의 타단에 연결너트부(153c)를 통해 결합되며, 정면이 개방되고 소화용수가 채워지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소화타겟박스(15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e extinguishment marking unit 153 includes a rotation frame 153a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151c, a fire fighting notification board 153b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frame 153a and displaying a fire extinguisher, And a fire extinguishment target box 153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rame 153a through a connection nut 153c and having an inner space opened to the front and filled with fire extinguishing water.

상기 소화알림판 무게보정추(154)는 상기 회전지지바(152)에 조립되어 구비되는 일정길이의 연결와이어(156)를 매개로 하여 상기 소화알림판(153b)과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The fire fighting bill weighing weight 154 is connected to the fire fighting billboard 153b through a connection wire 156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hich is assembled to the rotation support bar 152.

이에 따라, 상기 소화 표지부(153)는 상기 교육용 소화기(141)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용수의 타겟이 되는 곳으로, 체험자의 조작에 의해서 분사된 소화용수가 소화타겟박스(153d)의 내부 공간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차게 되면, 소화 알림판(153b)에 표기된 "소화" 문구가 보이게 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Accordingly, the fire extinguishing mark 153 is a target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jetted from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41, and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nj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experimenter is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e fighting target box 153d When the water level becomes higher than the water level, the digestion notification board 153b displays the phrase "digestion".

즉, 평상시에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화 알림판(153b)이 뒷쪽으로 젖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소화알림판의 무게에 의해서 상기 소화타겟박스(153d)는 위로 올라가 있는 상태가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6B, the digestion notification board 153b is raised upward by the weight of the digestion notification board in a state where the digestion notification board 153b is bent backward.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소화 알림판(153b)과 소화 알림판 무게보정추(154)가 연결와이어(156)를 매개로 하여 연동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소화 알림판(153b)의 무게(a)와 소화 알림판 무게보정추(154)의 무게(b)의 합이 소화타겟박스(153d)의 무게(c)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상태(a+b>c)가 되어 소화 알림판(153b)이 뒷쪽으로 누워있게 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fire fighting report board 153b and the fire fighting report board weight correction weight 15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connection wire 156, the weight a of the fire fighting report board 153b, The sum of the weight b of the weight 154 becomes relatively heavy (a + b> c) than the weight c of the fire extinguisher target box 153d and the fire extinguishing notification board 153b is laid on the back side.

한편, 상기 소화타켓박스의 내부에 채워지는 소화용수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어 소화용수의 무게(w)와 소화타겟박스(183d)의 무게(c)가 더 무거워지게 되면 소화타겟박스(153d)는 자중에 의해서 내려오게 된다(a+b<c+w). When the weight w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and the weight c of the fire extinguishing target box 183d become heavier as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filled in the fire extinguishing target box become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A + b < c + w).

이에 따라, 상기 소화 알림판(153b)이 회전을 하면서 위로 올라오게 되어 "소화" 문구가 정면에서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digestion notification board 153b is rotated upward, so that the "digestion" phrase can be seen from the front.

한편, 상기 소화타겟박스(153d)의 하단에는 내부에 채워진 소화용수를 하부로 배수처리할 수 있도록 드레인밸브(153e)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end of the fire extinguishment target box 153d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rain valve 153e for draining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filled therein.

상기 소화 알림판 무게보정추(154)는 상기 회전지지바(152)에 결합되어 연결와이어(156)에 의해 소화 알림판(153b)과 연동하는 구조로, 상기 연결와이어(156)에 의해 소화 알림판(153b) 소화 알림판 무게보정추(154)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The fire fighting bill weighing weight 154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upport bar 152 and is connected to the fire fighting notification board 153b by a connection wire 156. The fire fighting bill weighting weight 154 is connected to the fire fighting notification board 153b ) The fire fighting bill weighing weight 154 can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그리고, 상기 체험실(110)의 외부에는 상기 교육용 소화부의 교육용 소화기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용수를 소화 타겟부(150)에 분사하여 체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소화용수를 분사하는 옥내 소화전(145)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The indoor fire hydrant 145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experience room 110 for spraying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part to the fire extinguishing target part 150, can do.

통상 화재 시 원활한 소방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건물이나 도로에 진화작업을 진행하는 소방차의 소방호스 및 기타 소방 장비에 연결할 수 있도록 소화전이 구비되는데, 지상에 설치되는 옥외 소화전과 건물 내에 구비되는 옥내 소화전으로 구분된다.Fire hydrants to be connected to fire hoses and other fire fighting equipment of fire trucks that are evolving in buildings or roads are equipped with fire extinguishers installed on the ground in order to provide smooth fire water for normal fire. Indoor fire hydrant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indoor fire hydrants .

특히 옥내 소화전 장치는 크게 수원(물 저장부분), 제어반, 가압송수장치, 옥내소화전함(옥내소화전방수구, 소방호스 등이 내장되어 있음), 소방배관 및 비상전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화전은 숙련된 소방대원들만 사용하고 있어 화재 발생시 일반인들은 전혀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데, 일반인들이 소화전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용 소화전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교육용 옥내 소화전(145)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Especially, the indoor fire hydrant system consists of water source (water reservoir), control panel, pressurized water supply system, indoor fire hydrant (indoor fire hydrant, fire hose, etc.), fire piping and emergency power source. Since firefighters who are skilled firefighters only use firefighting machines, general people can not use them at all when a fire occurs. As a public fire hydrant capable of experiencing a fire hydrant is needed, an indoor fire hydrant 145 is additionally provided have.

상기 옥내 소화전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detailed construction of the indoor fire hydrant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또한, 상기 체험실(110)은 체험자가 계단(115)을 통해 올라 갈 수 있는 옥상구조물을 구비하고, 이러한 옥상구조물에는 체험자가 높은 곳에서 낮은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하강대피훈련을 체험할 수 있도록 완강기(117)를 구비하고, 체험자가 낙상하지 않도록 난간(116)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xperience room 110 has a rooftop structure in which the experience person can ascend through the stairs 115. In this rooftop structure, the experience person can descend from a high place to a low place, (117), an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handrail (116) so that the experimenter does not fall.

이러한 체험실의 외부에는 소방호스를 통하여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옥내소화전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체험실의 내부에서 가상화재 발생을 체험하는 체험자가 외부에서 옥내소화전의 이용방법을 교육받거나 옥내소화전의 소방호스를 이용하여 가상 화재 타겟인 소화 타켓부에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At least one indoor fire hydrant for spraying fire water through a fire hose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experience room, so that an experienced person experiencing a virtual fire inside the experience room is educated on how to use the indoor fire hydrant from outside, It is possible to spray the water for fire extinguishing to the fire target area which is the virtual fire target by using the hose.

그리고, 상기 체험실(110)의 외부에는 상기 화재발생 연출부(130)에서 실제 또는 가상의 화재상황을 연출하도록 상기 점화기를 작동시키거나 상기 발광원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체험실(110) 내부에서 체험하게 되는 체험자의 동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체험교육을 모니터링하면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통제실(16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30 controls the igniter to operate or operate the light source so as to produce a real or virtual fire situation on the outside of the experience room 110. In the inside of the experience room 110, And a control unit 160 having a display unit for photographing the dynamics of the experiencer to be experienced and monitoring the experiential training.

이러한 통제실(160)에는 상기 체험실(1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체험자에게 체험시작 및 종료를 알리거나 대피요령을 안내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안내사항을 안내하는 한편, 상기 체험실의 내부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체험실의 내부상황을 통합관리자가 들을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ontrol room 160,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to inform the user of the start and end of the experience or to guide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experience room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grated manager can listen to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experience room through the microphone installed in the room.

*이에 따라, 상기 통제실의 내부에 배치된 통합관리자는 체험실의 내부에서 수행하게 되는 체험교육을 총괄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체험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integrated manager disposed inside the control room can enhance the efficiency of experiential education while monitoring the experiential education per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experience room as a who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10 : 체험실
111 : 입구
112 : 출구
115 : 계단
116 : 난간
117 : 완강기
119 : 출입구
120 : 이동통로
121 ; 판넬 조립체
123 : 판넬부재
124 : 제1판넬고정체
125 : 제2판넬고정체
130 : 화염발생 연출부
131 : 화염연출기
132 : 박스체
133 : 화염발생기
134 : 배기덕트
140 : 교육용 소화부
141 : 교육용 소화기
150 : 소화타켓부
160 : 통제실
110: Experience Room
111: entrance
112: Exit
115: Stairs
116: Railing
117: Stiffness
119: Entrance and exit
120:
121; Panel assembly
123: panel member
124: first panel fixing body
125: second panel fixing body
130: flame generating sequence
131: Flame director
132: box body
133: Flame generator
134: exhaust duct
140: Educational fire department
141: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50: digestion target
160: Control room

Claims (11)

체험 전 체험자가 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와, 체험 후 상기 체험자가 진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갖추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체험실 ;
상기 출구와 입구사이에서 체험자가 대피하는 대피로를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판넬조립체의 조립에 의해서 상기 체험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이동통로 ; 및
상기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체험자가 화재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로의 길이중간에 적어도 하나의 화염연출기를 갖추어 외부신호에 의해서 가상의 화재 또는 실제의 화재를 연출하는 화재발생 연출부 ;를 포함하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An experiencing room having at least one entrance through which an experiente enters before experience, at least one exit through which the experient enters after experience, and an interior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 moving passage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experience room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panel assemblies so as to form an escape path between the exit and the entrance so that the experient is evacuated; And
And a fire generating and directing part provided with at least one flame director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moving passage so as to allow the experiencing person moving along the moving passage to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to produce a virtual fire or an actual fire by an external signal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연출기는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투명한 투명판을 갖는 박스체와, 연료를 공급받아 외부신호에 의해서 상향분사되는 연료를 점화하는 점화기를 갖추어 화염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박스체에 설치되는 화염발생기 및 상기 박스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박스체의 상단과 연통연결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ame director includes a box body having a transparent transparent plate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 flame generator installed in the box body to generate a flame, and an igniter for igniting the fuel injected upward by an external signal supplied with fuel, And an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ox body to discharge noxious gas generated inside the box body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연출기는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투명한 투명판을 갖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내부공간에서 가상의 화염이 연출되도록 전원인가시 빛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me director comprises a box body having a transparent plate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d at least one light emitting source for generating light upon application of power so that a virtual flame is form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ox body, Education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연출기는 상기 체험실의 바닥판에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한쌍의 안내이동홈에 올려지는 이동휠을 상기 박스체의 하부단에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flame director comprises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at a lower end of the box body, the moving wheels being mounted on a pair of guide grooves formed in the bottom plate of the experience room so as to b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조립체는 좌우한쌍의 판넬부재를 수직하게 지지하도록 상,하단에 각각 조립되는 제1판넬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판넬 고정체는 상기 판넬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이 삽입배치되도록 한쌍으로 나란한 수직판과, 상기 한쌍의 수직판을 좌우양측 일측면에 각각 일체로 수직하게 고정설치한 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anel assembly includes a first panel fixing body, which is assembled respectively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o vertically support the pair of right and left panel members,
The first panel fixing body includes a pair of parallel vertical plates to which the upper or lower ends of the panel members are inserted and a horizontal plate integrally fixed to one side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air of vertical plates It features educational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조립체는 단부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한쌍의 판넬부재를 서로 연결하면서 고정하는 제2판넬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판넬고정체는 단부가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한쌍의 판넬부재의 상,하단이 각각 삽입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내,외부 절곡판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anel assembly includes a second panel fixture for fixing and connecting a pair of panel members whose ends meet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Wherein the second panel fixing body includes an inner and outer bent plates bent at right angles so as to insert upper and lower ends of a pair of panel members whose ends meet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Education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발생 연출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체험실 내부에서 체험하게 되는 체험자의 동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모니터링하면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험실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이나 지시 및 안내사항을 체험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체험실의 내부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체험실 내부상황을 들을 수 있는 통제실을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display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e generating and emitting unit and monitoring and monitoring the movement of the experiencer experienced inside the experience room with a camera and monitoring and monitoring the activity of the experiencer through the speaker installed inside the experience room, And a control room for listening to the inside of the experience room through a microphone installed inside the experience roo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실의 외부에 배치되어 소방호스를 통해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옥내소화전을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n indoor fire hydrant disposed outside the experience room for spraying water for fire fighting through a fire hos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실은 체험자가 높은 곳에서 낮은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하강대피훈련을 체험할 수 있도록 완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experience room includes a stiffness enhancer for experiencing a descent evacuation drill while the experimenter descends from a high place to a low groun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실은 내부공간에 심페 소생 체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CRP 체험실을 구비하거나 붕괴상황에 경험적으로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오지 않아 암흑상태를 조성하는 암흑체험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experience room includes a CRP experience room for performing a simpEye revival experience in an inner space or a dark experience room for providing darkness without light from the outside so as to empirically calmly respond to a collapse situation, Disaster safety experience syste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실의 내부공간이나 외부에는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재난지역에서 방독면 착용을 숙지하도록 방독면 체험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gas mask experience room is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r outside of the experiencing room so that the user can be aware of wearing the gas mask in a disaster area where harmful gas is generated.
KR1020150127121A 2015-09-08 2015-09-08 Disaster Safe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KR101851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121A KR101851298B1 (en) 2015-09-08 2015-09-08 Disaster Safe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121A KR101851298B1 (en) 2015-09-08 2015-09-08 Disaster Safe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623A Division KR101561472B1 (en) 2015-04-03 2015-04-03 Disaster Safe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908A true KR20160118908A (en) 2016-10-12
KR101851298B1 KR101851298B1 (en) 2018-04-23

Family

ID=5717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121A KR101851298B1 (en) 2015-09-08 2015-09-08 Disaster Safe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2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377A (en) * 2018-03-22 2019-10-02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fire drill manage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271B1 (en) 2022-01-13 2023-01-17 주식회사 비에스에이치초아 System for the operation of children health experience educ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8404B2 (en) * 2002-03-25 2008-04-23 株式会社フジタ Fire experience device
KR100729632B1 (en) * 2006-03-31 2007-06-18 임병관 Trading system of smoke refuge
KR100865028B1 (en) * 2008-01-25 2008-10-23 주식회사 디오이 Disaster train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377A (en) * 2018-03-22 2019-10-02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fire drill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298B1 (en)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472B1 (en) Disaster Safe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US7901212B2 (en) Mobile collapsed building simulator
KR100729632B1 (en) Trading system of smoke refuge
KR101550210B1 (en) Fire Fighting Safe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ES2393859A1 (en) Method for assessing the risk associated with a building fire
KR101851298B1 (en) Disaster Safe Experience System For Education
CN210606018U (en) Intelligent evacuation escape system
KR200437697Y1 (en) Experence room for guiding the emergency escape
CN110599846A (en) Safety training experience hall of large-scale shipbuilding factory
KR101511600B1 (en) Portable setting type fire experience room
CN110874964A (en) Fire-extinguishing training equipment
KR20230108519A (en) Disaster Safe Experience System For Disaster Situation
JP6174333B2 (en) Evacuation guidance system
CN210865354U (en) Demonstration system for building fire alarm
KR101869393B1 (en) A booth system
KR100628789B1 (en) A simulation system for experiencing misfortune
KR101212797B1 (en) fire-fighting system for training
KR200391891Y1 (en) Experience room for guiding the escape
CN214336001U (en) Three-in-one fire-fighting mobile real-operation teaching demonstration device
KR101950955B1 (en) Environmenatl safety edu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CN109045494A (en) A kind of rescue system for fire of high-rise building
CN106730520A (en) A kind of controlled in wireless extinguishing vehicle
CN210535034U (en) Panoramic teaching device for fire fighting system
JP5221463B2 (en) Evacuation support device
CN214202896U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simulation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