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605A -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605A
KR20160118605A KR1020150046975A KR20150046975A KR20160118605A KR 20160118605 A KR20160118605 A KR 20160118605A KR 1020150046975 A KR1020150046975 A KR 1020150046975A KR 20150046975 A KR20150046975 A KR 20150046975A KR 20160118605 A KR20160118605 A KR 20160118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lid
diameter
rece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116B1 (ko
Inventor
도현옥
최두원
한진수
박현호
문주영
이재설
Original Assignee
(주)하이비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비젼시스템 filed Critical (주)하이비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46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11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67/00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삼차원 프린터의 출력물 생성을 위한 원료인 필라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스풀 장착 시 그 수납은 3차원 프린터의 내부에 하면서도 수납 공간의 입구를 프린터의 외측에 형성하여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스풀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프린터의 케이스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를 통하여 상기 삼차원 프린터의 내부에 상기 스풀이 장착되도록 본체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중앙에 상기 스풀의 중심 홀에 정합되는 수납용 봉이 형성된 스풀 수납부; 및 상기 입구의 일측과 결합되어 풀림 상태에 상기 스풀의 고정을 해제하고 잠금 상태에 상기 스풀을 상기 스풀 수납부에 고정시키는 스풀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APPARATUS FOR INSTALLING SPOOL OF 3D PRINTER}
본 발명은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삼차원 프린터의 출력물 생성을 위한 원료인 필라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스풀 장착 시 그 수납은 3차원 프린터의 내부에 하면서도 수납 공간의 입구를 프린터의 외측에 형성하여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스풀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3D 구조물을 형성하는 기술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류를 압출하여 적층하는 방식,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수지'가 담긴 수조(Vat) 안에 레이저 빔을 투사하고 수조 안에 있는 조형물이 한 층(Layer) 씩 만들어질 때마다 수조가 층 두께만큼 하강하고 다시 레이저를 주사하여 입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수지(빛을 받으면 경화되는 수지)'에 조형하고자 하는 모양의 빛을 투사하면서 수지를 층층이 굳혀 입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 잉크젯 프린터 원리를 이용하여 프린터 헤드의 노즐에서 액체 상태의 컬러 잉크와 경화물질(바인더)을 분말 원료에 압출하여 입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이 가운데 열가소성 플라스틱류를 압출하여 적층하는 방식은 하나의 동일한 액화 원료(플라스틱, 왁스, 금속 등)를 지정(목표)된 범위에 적층시켜 입체 구조물을 완성 시킨다.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또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로 불리는 이러한 기술 방식에서는, 롤러의 회전에 의해 필라멘트 상태의 열가소성 원료가 노즐로 공급되고, 노즐 가열부에 의해 원료가 녹아 압출된다.
그러나 필라멘트 상태의 원료는 소모품이므로 이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바, 필라멘트를 공급하는 스풀을 거치할 공간을 마련하여야 할 뿐 아니라, 스풀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으로서, 먼저, 스풀을 담는 구조물인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는 바, 이러한 방식은 별도의 카트리지용 케이싱이 필요하고, 카트리지의 크기가 스풀의 크기보다는 큰 관계로 스풀 교체 시 불편을 야기하는 단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스풀을 3차원 프린터의 외부에 거는 구조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는 바, 이러한 방식은 쉽게 필라멘트가 풀려 꼬임 현상이 발생하고, 먼지가 많이 쌓이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서, 삼차원 프린터의 출력물 생성을 위한 원료인 필라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스풀 장착 시 그 수납은 3차원 프린터의 내부에 하면서도 수납 공간의 입구를 프린터의 외측에 형성하여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1 특징은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프린터의 케이스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를 통하여 상기 삼차원 프린터의 내부에 상기 스풀이 장착되도록 본체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중앙에 상기 스풀의 중심 홀에 정합되는 수납용 봉이 형성된 스풀 수납부; 및 상기 입구의 일측과 결합되어 풀림 상태에 상기 스풀의 고정을 해제하고 잠금 상태에 상기 스풀을 상기 스풀 수납부에 고정시키는 스풀 고정부를 포함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스풀 고정부는, 상기 스풀 수납부의 입구의 일부분을 덮는 크기로서, 상기 잠금 상태에서 내측이 상기 스풀과 인접하는 판형의 덮개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 상기 덮개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 상태 또는 상기 풀림 상태를 결정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덮개부를 상기 스풀 수납부의 입구의 일측과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풀림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를 개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의 외측에 형성된 코크부;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상기 코크부와 결합되며, 상기 코크부에 가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잠금 상태 또는 상기 풀림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잠금 상태 시 상기 수납용 봉에 체결되며, 상기 풀림 상태 시 상기 수납용 봉과 멀어지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납용 봉에 체결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부 및 상기 탄성체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용 봉에 정합되는 직경을 가지는 손잡이 내부 커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풀림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은, 상기 코크부에 상기 힌지부 방향으로 미는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후크부가 상기 수납용 봉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힌지부가 보유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덮개부가 열리는 원터치 방식이다.
또한, 상기 스풀 수납부는, 상기 본체인 원통형 구조의 측벽 중 상기 입구에 근접한 경계에 부착된 이탈 방지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계에 상기 이탈 방지용 부재가 안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풀 수납부의 원통형 구조의 내경은, 상기 스풀의 외경을 초과하고 상기 스풀의 외경에 필라멘트 직경의 2배를 더한 값의 미만이다.
또한, 상기 수납용 봉의 직경은, 60mm이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에 의하면, 삼차원 프린터의 출력물 생성을 위한 원료인 필라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스풀 장착 시 그 수납은 3차원 프린터의 내부에 하면서도 수납 공간의 입구를 프린터의 외측에 형성하여 스풀의 교체가 용이한 동시에 이물질이 필라멘트에 묻어 노즐 토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공간의 크기를 스풀 장착에 적합한 크기로 제공함으로써 필라멘트가 스풀의 외부로 이탈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어 필라멘트의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내 스풀이 이탈된 모습과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의 스풀고정부를 상세히 설명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의 손잡이부를 상세히 설명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의 스풀 수납부를 상세히 설명한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삼차원 프린터의 출력물 생성을 위한 원료인 필라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스풀 장착 시 그 수납은 3차원 프린터의 내부에 하면서도 수납 공간의 입구를 프린터의 외측에 형성하여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내 스풀(300)이 이탈된 모습과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c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는 스풀 수납부(100) 및 스풀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스풀 수납부(100)는 삼차원 프린터의 케이스에 입구가 형성되고 입구를 통하여 삼차원 프린터의 내부에 스풀(300)이 장착되도록 본체가 형성되며, 본체의 중앙에 스풀(300)의 중심 홀에 정합되는 수납용 봉(110)이 형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수납부(100)의 본체가 3차원 프린터 장치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300)이 장치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여 스풀(300)에 감긴 필라멘트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스풀 수납부(100)의 입구가 3차원 프린터 장치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300)의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 또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풀(300)을 스풀 수납부(100)에 장착하는 경우에 별도의 카트리지용 케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간편하게 스풀(300)을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스풀 수납부(100)의 원통형 구조의 내경(100a)은, 스풀(300)의 외경(220mm)(300b)을 초과하고 스풀(300)의 외경에 필라멘트 직경(Diameter)(1.75mm)의 2배를 더한 값의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풀(300) 외곽의 크기와 스풀 수납부(100) 내측 간의 거리를 필라멘트 직경 보다 작게 하여 스풀(300) 외곽과 스풀 수납부(100) 내측 간 틈새로 필라멘트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풀 수납부(100) 내 수납용 봉(110)은, 제품에 정합되는 전용 스풀(300)만이 장착될 수 있도록 스풀(300)에 형성된 원형 홀의 직경(300a) 크기인 60mm의 직경(110a)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풀 고정부(200)는 입구의 일측과 결합되어 풀림 상태에 스풀(300)의 고정을 해제하고 잠금 상태에 스풀(300)을 스풀 수납부(10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잠금 상태라 함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300)이 스풀 수납부(100)에 안착되고, 스풀 고정부(200)가 스풀(300)이 3차원 프린터 장치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한편, 풀림 상태라 함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고정부(200)가 스풀(3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말한다. 즉, 풀림 상태에서는 스풀 고정부(200)가 스풀(300)을 고정하고 있지 않은 바, 사용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300)을 스풀 수납부(100)로부터 꺼내어 교환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중 스풀 고정부(2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풀 고정부(200)는, 덮개부(210), 손잡이부(220) 및 힌지부(230)를 포함한다.
덮개부(210)는 스풀 수납부(100)의 입구의 일부분을 덮는 크기로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에서 내측이 스풀(300)과 인접하는 판형의 구조이다. 이 때, 덮개부(210)는, 잠금 상태에 있어서, 스풀(300)을 고정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할 정도의 최소한의 부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덮개부(210)는 스풀(300) 원반의 필라멘트를 감는 중심 원통 구조의 측면에 그 일측이 미치고, 다른 일측은 스풀 수납부의 입구에 결합될 수 있는 정도의 장축의 길이를 갖게 되는데, 이는 스풀(300) 원반의 반지름보다는 길고 스풀(300) 원반의 지름(300b)보다는 짧은 길이가 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210)의 단축의 길이는 스풀(300) 원반의 필라멘트를 감는 중심 원통의 지름(300b)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나,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20)와 힌지부(230) 부근 외에는 스풀(300) 원반의 필라멘트를 감는 중심 원통의 지름 보다 짧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마지막으로, 덮개부(210)의 두께는, 잠금 상태에서 풀림 상태로의 전환의 용이성을 위하여 덮개부(210)의 무게를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으므로, 3차원 프린터의 외장 케이스의 두께와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부(2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 덮개부(210)의 외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잠금 상태 또는 풀림 상태를 결정한다. 여기서, 손잡이부(2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부(221), 후크부(222), 탄성체(223) 및 손잡이 내부 커버(224)를 포함하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힌지부(230)는, 덮개부(210)를 스풀 수납부(100)의 입구의 일측과 결합하고, 손잡이부(220)가 풀림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덮개부(210)를 개방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힌지부(23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10)에 일체의 구조로 형성된 힌지용 홀(233) 및 소형 스프링(232)이 3차원 프린터 케이스 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고, 힌지용 홀(233) 및 소형 스프링(232)이 샤프트(231)에 관통되는 형태로 덮개부(210)를 스풀 수납부(100)의 입구의 일측과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힌지부(230)는, 손잡이부(220)가 잠금 상태에서 풀림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소형 스프링(233)의 탄성력에 의하여 덮개부(210)가 스풀 수납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의 손잡이부(220)를 상세히 설명한 도면이다. 즉,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의 손잡이부(22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잠금 상태 시 손잡이부(220)가 장착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코크부(221)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에 형성된다. 이 때, 코크부(221)는,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의 직경(221a)이 덮개부(210)에 형성된 홀의 장축의 길이(210a)보다 짧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코크부(221)를 잡고 힌지부(230)의 방향으로 밀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크부(222)는, 덮개부(210)의 내측에 배치되고, 덮개부(210)에 형성된 홀(211)을 통하여 코크부와 결합되며, 코크부(221)에 가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잠금 상태 또는 풀림 상태로 전환되고, 잠금 상태 시 수납용 봉(110)에 체결되며, 풀림 상태 시 수납용 봉(110)과 멀어진다. 즉, 후크부(22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수납용 봉(110) 말단에 형성된 돌기와 체결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풀 수납부(100) 내부에 스풀을 삽입할 수 있는 수납용 봉(110)이 있고, 수납용 봉(110)에 돌기를 두어 후크부(222)와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223)는, 후크부(222)와 연결되어 수납용 봉(110)에 체결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코크부(221)를 탄성체(223)의 반발력보다 강한 힘으로 힌지부(230) 방향으로 밀면 후크부(222)와 수납용 봉(110)에 돌기 간 체결이 풀리게 된다. 이 때, 힌지부(230)에 포함된 소형 스프링(233)의 탄성력에 의하여 덮개부(210)가 스풀 수납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사용자는 스풀(300)을 쉽게 꺼낼 수 있다.
한편, 손잡이 내부 커버(224)는, 덮개부(210)의 내측에 배치되고, 후크부(222) 및 탄성체(223)가 내부에 배치되며, 수납용 봉(110)에 정합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손잡이 내부 커버(224)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 시 수납용 봉(110)의 상부와 밀착되어 스풀(3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외측에 스풀(300)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먼저, 필라멘트 교체의 용이성을 위해 스풀 고정부(200)의 입구를 사용자가 제품을 바라보는 기준에서 우측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스풀(300) 교체 시 동선을 최소화 하여 필라멘트 교체가 용이함), 필라멘트 공급을 위한 스풀(300) 회전 시 제품으로부터 스풀(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풀 고정부(200)를 두게 된다. 부수적으로, 위와 같은 배치로 인하여 제품의 측면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조작 키, 디스플레이 모듈, SD 카드, 필터 등을 배치하기 용이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스풀 고정부(200)의 잠금과 잠금 해제가 용이하여야 하므로, 잠금 상태에서 풀림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은, 코크부(221)에 힌지부(230) 방향으로 미는 힘이 가해짐에 따라 후크부(222)가 수납용 봉(110)으로부터 멀어지고 힌지부(230)가 보유하는 탄성력에 의해 덮개부(210)가 자동으로 열리는 원터치 방식일 수 있다. 즉, 힌지부(230)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림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의 스풀 수납부(100)를 상세히 설명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의 스풀 수납부(100)는 이탈 방지용 부재(120)를 더 포함한다.
이탈 방지용 부재(120)는, 본체인 원통형 구조의 측벽 중 입구에 근접한 경계에 부착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스풀 수납부(100)에는 본체인 원통형 구조의 측벽 중 입구에 근접한 경계에 이탈 방지용 부재(120)가 안착되기 위한 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탈 방지용 부재(120)는, 외부 이물질이 필라멘트 측으로 자유롭게 유입되는 현상을 막고, 필라멘트가 풀려져서 외부에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마모성이 있는 스펀지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스풀 수납부
110: 수납용 봉
120: 이탈 방지용 부재
200: 스풀 고정부
210: 덮개부
211: 덮개부 홀
220: 손잡이부
221: 코크부
222: 후크부
223: 탄성체
224: 손잡이 내부 커버
230: 힌지부
231: 샤프트
232: 소형 스프링
233: 힌지용 홀
300: 스풀

Claims (10)

  1.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프린터의 케이스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를 통하여 상기 삼차원 프린터의 내부에 상기 스풀이 장착되도록 본체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중앙에 상기 스풀의 중심 홀에 정합되는 수납용 봉이 형성된 스풀 수납부; 및
    상기 입구의 일측과 결합되어 풀림 상태에 상기 스풀의 고정을 해제하고 잠금 상태에 상기 스풀을 상기 스풀 수납부에 고정시키는 스풀 고정부를 포함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풀 고정부는,
    상기 스풀 수납부의 입구의 일부분을 덮는 크기로서, 상기 잠금 상태에서 내측이 상기 스풀과 인접하는 판형의 덮개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 상기 덮개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 상태 또는 상기 풀림 상태를 결정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덮개부를 상기 스풀 수납부의 입구의 일측과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풀림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를 개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의 외측에 형성된 코크부;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상기 코크부와 결합되며, 상기 코크부에 가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잠금 상태 또는 상기 풀림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잠금 상태 시 상기 수납용 봉에 체결되며, 상기 풀림 상태 시 상기 수납용 봉과 멀어지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납용 봉에 체결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부 및 상기 탄성체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용 봉에 정합되는 직경을 가지는 손잡이 내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풀림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은, 상기 코크부에 상기 힌지부 방향으로 미는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후크부가 상기 수납용 봉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힌지부가 보유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덮개부가 열리는 원터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풀 수납부는,
    상기 본체인 원통형 구조의 측벽 중 상기 입구에 근접한 경계에 부착된 이탈 방지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계에 상기 이탈 방지용 부재가 안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풀 수납부의 원통형 구조의 내경은, 상기 스풀의 외경을 초과하고 상기 스풀의 외경에 필라멘트 직경의 2배를 더한 값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봉의 직경은,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풀 수납부는,
    상기 본체인 원통형 구조의 측벽 중 상기 입구에 근접한 경계에 부착된 이탈 방지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계에 상기 이탈 방지용 부재가 안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풀 수납부의 원통형 구조의 내경은, 상기 스풀의 외경을 초과하고 상기 스풀의 외경에 필라멘트 직경의 2배를 더한 값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봉의 직경은,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KR1020150046975A 2015-04-02 2015-04-02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KR10168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75A KR101689116B1 (ko) 2015-04-02 2015-04-02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75A KR101689116B1 (ko) 2015-04-02 2015-04-02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05A true KR20160118605A (ko) 2016-10-12
KR101689116B1 KR101689116B1 (ko) 2016-12-23

Family

ID=5717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975A KR101689116B1 (ko) 2015-04-02 2015-04-02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2602A1 (en) 2019-08-16 2021-02-25 Dsm Ip Assets B.V. Spool for supporting a filament and filament spoo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0966A (ja) * 1998-01-26 2002-01-15 ストラタ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ィラメント供給スプールモニタリングを備えたラピッドプロトタイプシステム
JP2004168464A (ja) * 2002-11-19 2004-06-17 Minoru Industrial Co Ltd 巻取装置のロック構造
JP2012035962A (ja) * 2010-08-06 2012-02-23 Daihen Corp ワイヤリール支持装置、およびねじ接続部材のロック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0966A (ja) * 1998-01-26 2002-01-15 ストラタ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ィラメント供給スプールモニタリングを備えたラピッドプロトタイプシステム
JP2004168464A (ja) * 2002-11-19 2004-06-17 Minoru Industrial Co Ltd 巻取装置のロック構造
JP2012035962A (ja) * 2010-08-06 2012-02-23 Daihen Corp ワイヤリール支持装置、およびねじ接続部材のロック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2602A1 (en) 2019-08-16 2021-02-25 Dsm Ip Assets B.V. Spool for supporting a filament and filament sp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116B1 (ko) 201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9834B2 (ja) スプレーガン、スプレー媒体ガイドユニット及び、取り外し又は取り出すための方法
CN105564038A (zh) 盒和瓶的套件以及瓶
US5283593A (en) Ink reservoir for ink printer means having a means to prevent unauthorized refilling
JP4473006B2 (ja) カートリッジ式塗装装置およびそのカートリッジ
KR101689116B1 (ko) 삼차원 프린터의 스풀 장착 장치
CN107743538B (zh) 车辆门把手装置及用于生产具有金属性饰面的部件的双射注射成型方法
EP3455052B1 (en) Build material container
KR102229763B1 (ko) 축조 재료 용기용 입구
KR20170132410A (ko) 노즐 교체형 3차원 프린터
JP5776242B2 (ja) キャップ、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KR101211175B1 (ko) 발포 성형기의 원료 공급장치
KR101802193B1 (ko) 3차원 프린터용 노즐 구조
WO2014196205A1 (ja) 液体収容体
JP2004276538A (ja) インク袋、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並びにインク充填方法、インク再充填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リサイクル方法
EP3021149A1 (en) Optical fiber recoating device
KR101714183B1 (ko) 집게 형상으로 구비되어 착탈이 용이한 3차원 프린터의 노즐 유니트
TWI649215B (zh) 液體收容體、液體消耗裝置及電連接體
EP3174721B1 (en) Fluidic interface
US20210116841A1 (en) Print substance valves
KR101689117B1 (ko)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JP2004025390A (ja) 墨壷
KR101867757B1 (ko) 3d 프린터용 이물질 배출구가 형성된 원료공급장치
KR20190115537A (ko) 3d 프린터용 노즐 결합구조
KR101877728B1 (ko) 필라멘트 분사 효율을 높인 3d 프린터
JP2018099860A (ja) 液体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