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355A -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355A
KR20160118355A KR1020167024786A KR20167024786A KR20160118355A KR 20160118355 A KR20160118355 A KR 20160118355A KR 1020167024786 A KR1020167024786 A KR 1020167024786A KR 20167024786 A KR20167024786 A KR 20167024786A KR 20160118355 A KR20160118355 A KR 20160118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seat
backrest
slotted guid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플루타
크리스티안 볼프
토마스 딜
토마스 크리스토펠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11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81Activation of the latches by the control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22Adjusting; Compensating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8Vehicle seats, e.g. in linear movable seats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부품(3), 상기 시트 부품(3)에 대해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한 등받이(5), 상기 차량 시트(1)를 길이 방향의 조절을 위한 시트 레일들(11, 13)의 하나 이상의 쌍, 및 상기 시트 레일들(11, 13)의 하나 이상의 쌍을 잠금시키기 위한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17)를 구비하는 차량 시트(1), 특히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등받이(5)는 사용 위치(5.1)(사람을 수송하는데 적합함)및 이지-엔트리 위치(5.2)(등받이(5)가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피봇팅되고, 그리고 그리고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17)가 보우덴 케이블 유닛(80)을 통해 개방됨)를 차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여기서 사용 위치(5.1)의 방향으로 이지-엔트리 위치(5.2)로부터 뒤로 등받이(5)를 피봇팅시키기 위해, 제한 힘이 극복되어야 한다. 제한 힘은, 본 발명에 따라, 보우덴 케이블 유닛(80)의 보상 스프링 유닛(85)에 의해 생성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시트 부품(seat part), 상기 시트 부품에 대해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한 등받이(backrest), 상기 차량 시트를 길이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시트 레일들의 하나 이상의 쌍, 및 상기 시트 레일들의 하나 이상의 쌍을 잠금시키기 위한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seat rail locking device)를 가지는 차량 시트(vehicle seat), 특히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등받이는 사용 위치(use position)(사람을 수송하는데 적합함)및 이지-엔트리 위치(easy-entry position)(등받이가 피봇 축선(pivot axis)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피봇팅되고(pivoted), 그리고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가 보우덴 케이블 유닛(Bowden cable unit)을 통해 개방됨)를 차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이지-엔트리 위치를 벗어나 뒤로 상기 등받이를 피봇팅시키기 위해, 제한 힘(limit force)이 극복되어야 한다.
시트 부품 및 시트 레일들 상의 차량 구조물에 대해 변위가능한 등받이를 가지는 차량 시트들은 용도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등받이는, 차량 시트의 뒤에 배열되는 추가적인 차량 시트 열에 접근하는 것을 더 용이하기 하기 위해, 시트 부품에 대해 피봇가능하고 그리고 이지-엔트리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차량 시트의 등받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피봇팅되며, 그리고 시트 레일들이 보우덴 케이블 유닛을 통해 개방된다. 전체 차량 시트는, 이후에, 등받이 상에서 가압함으로써, 전방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지-엔트리 위치 이외에도, 등받이는 카고 플로어 위치(cargo floor position)(이 위치에서, 등받이가 가능한 한 수평한 위치로 전방으로 피봇팅됨)를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등받이 위치는 이지-엔트리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부적합할 것인데, 이는 차량 시트의 사용자가 차량 시트를 최전방으로(forward best) 미끄러지게 할 수 있으며, 이 때, 차량 시트의 사용자가 단지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피봇팅되기 때문이다.
DE 102 06 303 A1는 투-도어(two-door) 자동차용 피팅부(fitting)를 개시하며, 이 피팅부는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차량 시트와 결합하여(in combination with) 이지-엔트리 위치로 자유롭게 전방으로 피봇팅되는 등받이에 의해 후방 승객 격실에 접근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탑승자에 의해 사용을 위해 등받이의 상이한 경사진 위치들을 이용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등받이의 요망되지 않은 뒤로의 피봇팅(예를 들어, 등받이와 시트 부품 사이에서의 천이 구역에서의 주어진 과도한 패딩(excessive padding))을 방지하기 위해, 캐치에 의해 자유롭게 피봇팅된 위치에서 등받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차량 시트가 이전에 차지하게 된 시트 길이 방향 위치로 뒤로 미끄러질 때, 캐치는 자유-피봇팅 작동 엘리먼트에 의해 다시 개방될 수 있다.
DE 10 2009 037 819 A1는 차량 시트의 시트 부품에 대해 차량 시트의 등받이의 경사를 세팅하기 위한 세팅 피팅부를 가지는 차량 시트를 개시하며, 이 차량 시트는 하나 이상의 사용 위치로부터 자유롭게 피봇팅된 위치, 즉 이지-엔트리 위치로 중심으로 등받이를 자유롭게 피봇팅하기 위한 자유-피봇팅 유닛을 포함한다. 피팅부는 또한 시트 부품에 연결되고 그리고 세팅 피팅부를 운반하는 피팅 하부 부품, 및 자유-피봇팅 유닛에 할당되는 피팅 상부 부품을 가지며, 상기 피팅 상부 부품은 등받이에 연결된다. 사용 위치에서, 자유-피봇팅 유닛은 캐치에 의해 형상-피팅(form-fitting) 방식으로 잠금된다. 이지-엔트리 위치에서, 등받이는 상기 캐치에 의해 포스-피팅(force-fitting) 방식으로 고착되는데, 이는 캐치가 피팅 하부 부품 상의 정지부와 협동함으로써 피팅 상부 부품을 고정시키고, 그리고 프로세스에서, 피팅 하부 부품에 체결되는 스프링에 의해 포스-피팅 방식으로 고착되고, 그리고 등받이의 이지-엔트리 위치 내에서 캐치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등받이의 이지-엔트리 위치에서, 캐치는 셀프-잠금 구역 외측에 있는 정지부와 협동하여, 등받이 상부 에지 상에서 당겨짐으로써, 개구 모멘트(moment)가 캐치 상에서 발생한다. 규정된 제한 힘으로부터 시작하면, 캐치 상의 스프링의 고착 힘은 결과적으로 극복되며, 그리고 캐치는, 이를 위해, 사용 위치로 뒤로 피봇팅하도록 피팅 상부 부품을 해제시킨다.
제 1 케이블 풀, 제 2 케이블 풀 및 보상 스프링 유닛을 가지는 보우덴 케이블 유닛은 DE 199 40 813 A1에서 설명된다. 제한 힘으로까지, 제 1 케이블 풀이 보상 스프링 유닛을 통해 제 2 케이블 풀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제한 힘이 초과될 때, 보상 스프링 유닛 내의 스프링(상기 스프링은 제 1 케이블 풀 및 제 2 케이블 풀과 직렬로(in series) 연결됨)은, 제 1 케이블 풀의 일 단부와 제 2 케이블 풀의 일 단부 사이의 거리가 연장되도록, 압축된다. 보상 스프링 유닛은, 예를 들어, 과부하 보호장치(overload protector)로서의 역할을 한다.
제 1 케이블 풀, 제 2 케이블 풀 및 보상 스프링 유닛을 가지는 보우덴 케이블 유닛들이 사용되며, 이 보우덴 케이블 내에서, 제 1 케이블 풀은 보상 스프링 유닛을 통해 제한 힘까지로 제 2 케이블 풀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제한 힘이 초과될 때, 보상 스프링 유닛 내의 스프링(상기 스프링은 제 1 케이블 풀 및 제 2 케이블 풀과 직렬로(in series) 연결됨)은, 제 1 케이블 풀의 일 단부와 제 2 케이블 풀의 일 단부 사이의 거리가 연장되도록, 연장된다.
본 발명은 도입부에서 언급된 유형의 차량 시트를 개선하는, 특히 더 적은 컴포넌트들로 동일한 유형의 기능성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과제는, 시트 부품(seat part), 상기 시트 부품에 대해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한 등받이(backrest), 상기 차량 시트를 길이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시트 레일들의 하나 이상의 쌍, 및 상기 시트 레일들의 하나 이상의 쌍을 잠금시키기 위한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seat rail locking device)를 가지는 차량 시트(vehicle seat), 특히 자동차 시트에 의해 해결되며, 여기서 등받이는 사용 위치(use position)(사람을 수송하는데 적합함)및 이지-엔트리 위치(easy-entry position)(등받이가 피봇 축선(pivot axis)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피봇팅되고(pivoted), 그리고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가 보우덴 케이블 유닛(Bowden cable unit)을 통해 개방됨)를 차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이지-엔트리 위치를 벗어나 뒤로 상기 등받이를 피봇팅시키기 위해, 제한 힘(limit force)이 극복되어야 하며, 여기서 제한 힘은 상기 보우덴 케이블 유닛의 보상 스프링 유닛에 의해 발생된다.
등받이를 이지-엔트리 위치로 유지시키는 스프링 힘이 보우덴 케이블 유닛의 보상 스프링 유닛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보상 스프링 유닛은 추가적인 기능을 취하며(assume), 그리고 별도의 스프링이 제거될 수 있다.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리한 구성들은 종속항들의 요지이다.
바람직하게는, 보우덴 케이블 유닛은 제 1 케이블 풀, 제 2 케이블 풀 및 보상 스프링 유닛을 포함한다. 제한 힘으로까지, 제 1 케이블 풀이 보상 스프링 유닛을 통해 제 2 케이블 풀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제한 힘이 초과될 때, 보상 스프링 유닛의 스프링의 길이가 변경되며, 상기 스프링은 제 1 케이블 풀 및 제 2 케이블 풀에 연결된다. 보상 스프링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을 가지며, 이 스프링은 작동식 연결부(operative connection)에 대해 제 1 케이블 풀과 제 2 케이블 풀 사이에 배열된다. 제 1 케이블 풀, 스프링 및 제 2 케이블 풀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보상 스프링 유닛의 구조에 따라, 보상 스프링 유닛 내의 스프링은, 제한 힘이 초과될 때, 연장되거나 또는 압축된다. 제 1 케이블 풀의 일 단부와 제 2 케이블 풀의 일 단부 사이의 거리는, 스프링이 연장될 때,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스프링이 나선형 텐션 스프링(helical tension spring)이며, 그리고 나선형 텐션 스프링의 제 1 단부는 제 1 케이블 풀에 연결되며, 그리고 나선형 텐션 스프링의 제 2 단부가 제 2 케이블 풀에 연결될 때의 경우이다.
다른, 바람직한 보상 스프링 유닛은 DE 199 40 813 A1에서 개시된다. 보상 스프링 유닛 내의 스프링이 압축되어, 제 1 케이블 풀의 일 단부와 제 2 케이블 풀의 일 단부 사이의 거리가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등받이의 이지-엔트리 위치에서, 제 1 수단은 제 2 수단과 특히 포스-피팅(force-fitting) 또는 형상-피팅(form-fitting) 잠금 방식으로 협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수단들 중 하나의 수단은 상기 등받이에 할당되며, 그리고 상기 수단들 중 다른 수단은 시트 부품에 할당되며, 그리고 제한 힘이 극복된 후에 그리고 등받이가 피봇팅되는 동안, 수단들은 서로에 대해 이동한다. 보우덴 케이블 유닛의 제 1 케이블 풀의 케이블 풀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수단들 중 하나의 수단에 체결되며, 그리고 제 2 케이블 풀의 케이블 풀 단부는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에 체결된다.
등받이는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는 2 개의 피팅부들에 의해 시트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수단들은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시트 측에 그리고 시트 중심을 향하여 직면하는 피팅부의 측에 배열된다.
제 1 수단은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을 가지는 로커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제 2 수단은 슬롯형 안내부일 수 있다. 로커의 아암들 중 하나의 아암은 슬롯형 안내부와 협동할 수 있다. 특히, 아암들 중 하나의 아암에 부착되거나 또는 아암들 중 하나의 아암에 장착되는 접촉 수단은 슬롯형 안내부와 협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접촉이 아암 또는 접촉 수단 또는 롤러와 슬롯형 안내부 사이에서 수행되어, 아암과 슬롯형 안내부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의 경우에, 슬롯형 안내 외형부는 로커가 피봇팅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로커는, 예를 들어, 펀칭된 금속 부품(punched metal part)으로서 비용-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우덴 케이블 유닛은 아암들 중 일 측 상에서 아암들 중 다른 아암에 그리고 다른 측 상에서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에 체결된다. 보우덴 케이블 유닛의 제 1 케이블 풀의 케이블 풀 단부는 아암들 중 다른 아암에 체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2 케이블 풀의 케이블 풀 단부는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에 체결될 수 있다.
로커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부품에, 특히 시트 부품의 피팅 하부 부품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피팅 하부 부품은, 이러한 경우에, 시트 부품에 피팅부의 제 2 피팅 부품을 연결한다. 시트 부품과 로커 사이의 별도의 어댑터(adapter)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로커를 장착하기 위한 부가적인 어댑터는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슬롯형 안내부는 유리하게 등받이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슬롯형 안내부는, 이러한 경우에, 등받이 구조물 내로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슬롯형 안내부를 등받이 구조물 내로 통합시킴으로써, 부가적인 컴포넌트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등받이 구조물에 연결되는, 별도로 구성되는 슬롯형 안내부는 모듈형 등받이 키트(modular backrest kit)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롯형 안내부는 상기 사용 위치에 할당되는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 및, 상기 제한 힘이 극복되지 않는 한, 로커와 협동함으로써, 상기 등받이가 상기 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이지-엔트리 위치를 벗어나 뒤로 피봇팅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슬롯형 안내 부분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슬롯형 안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캠의 형태로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을 넘어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호(circular arc)의 형태로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휘어진다.
접촉은 아암 또는 접촉 수단 또는 롤러와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로커의 아암은 또한 지지 수단에 맞닿아 지탱될 수 있어, 접촉이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과 아암 내에서 수행되지 않으며, 접촉 수단 또는 롤러는 오직 제 2 슬롯형 안내 부분과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 3 슬롯형 안내 부분과 협동한다.
로커의 레버 비율, 슬롯형 안내부의 외형들 및/또는 보상 스프링 유닛의 특성 라인(characteristic line)을 변경함으로써, 차량 시트의 운동 순서는 차량의 특정한 경계 조건들 및 소비자 요건들에 최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서 예시된 유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통해 다음의 내용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차량 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사용 위치의 등받이를 갖는 차량 시트의 피팅부를 둘러싸는 구역의 외측으로부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사용 위치의 등받이를 갖는 차량 시트의 피팅부를 둘러싸는 구역의 시트 중심의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등받이가 이지 패키지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도 3에 상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등받이의 이지 패키지 위치에서의 도 3에 상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등받이의 이지 패키지 위치에서의 도 2에 상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등받이의 이지 패키지 위치의 차량 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8은 힘들에 대한 고려사항을 갖는 도 5로부터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슬롯형 안내부의 로커와 캠 사이의 접촉 구역의 도 8로부터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차량 시트(1)는 직교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 내의 다음의 내용들에서 설명되며, 이 직교 좌표계는 서로에 대해 수직한 3 개의 공간 방향들에 의해 규정된다. 길이 방향(x)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차량 시트(1)의 경우에, 전체적으로 수평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일반적인 진행 방향에 상응하는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한다. 길이 방향(x)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횡 방향은 차량 내에서 수평으로 마찬가지로 배향되고, 그리고 차량 횡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수직 방향(z)은 길이 방향(x)에 수직하게 그리고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한다. 차량 내에 설치되는 차량 시트(1)의 경우에, 수직 방향(z)은 차량 수직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한다.
사용되는 위치 및 방향 명시들, 예를 들어, 전방, 후방, 상부 및 저부는 일반적인 좌착 위치에서 차량 시트(1)의 탑승자의 시야 방향에 관련되며, 여기서 차량 시트(1)는 항상 그러하듯(as usual) 진행 방향으로 배향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1)는 또한 일부 다른 배향으로, 예를 들어 주행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차량 시트(1)는 시트 부품(3) 및 횡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2 개의 피팅부들(7)에 의해 규정되는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시트 부품(3)에 대해 피봇가능한 등받이(5)를 가진다. 2 개의 피팅부들(7)은, 이러한 경우에, 본 경우에 횡 방향으로 마찬가지로 배향되고 그리고 피봇 축선(S)과 동심으로 배열되는 트랜스미션 로드(transmission rod)(9)를 통해 작동식으로(operatively) 함께 연결되어, 2 개의 피팅부들(7) 중 하나의 피팅부의 잠금해제는 불가피하게 다른 피팅부(7)의 잠금해제를 야기한다.
각각의 2 개의 피팅부들(7)은 제 1 피팅 부품(7.1), 및 잠금해제된 피팅부(7)에 의해,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이 잠금해제된 피팅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 2 피팅 부품(7.2)을 포함한다. 시야의 구조적인 지점으로부터, 2 개의 피팅 부품들(7.1 및 7.2)(및 클랩스핑 링(clasping ring))은 함께 디스크형 유닛(disk-like unit)을 형성한다. 피팅부(7)의 장착에 의해, 제 1 피팅 부품(7.1)은 피팅 상부 부품(7.3)에 의해 등받이(5)의 구조물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즉 등받이에 고착된다. 피팅 하부 부품(7.4)의 장착에 의해, 제 2 피팅 부품(7.2)은 피팅 상부 부품(7.4)에 의해 시트 부품(3)의 구조물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즉 시트 부품에 고착된다. 2 개의 피팅부들(7)은, 예를 들어 DE 10 2009 041 492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칭 피팅부(latching fitting)로서 구성된다.
차량 시트(1)는, 길이 방향(x)에서 길이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길이 방향(x)으로 배향되고 그리고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는 시트 레일들의 2 개의 쌍들에 의해 차량의 차량 구조물에 부착된다. 시트 레일들의 2 개의 쌍들은 차량 구조물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그리고 서로에 대해 수평하게 배열되는 2 개의 제 1 레일들(11), 및 차량 구조물에 고착되고 그리고 주위에 맞물리고 그리고 제 1 레일들(11)을 안내하는 2 개의 연관된 제 2 레일들(13)을 포함한다. 각각의 경우에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는 하나의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17)에 의해, 각각의 제 1 레일들(11)은 각각의 제 2 레일들(13)에 잠금될 수 있다. 잠금해제된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17)에 의해, 제 1 레일들(11)은 제 2 레일들(13)에 대해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따라서 차량 시트(1)의 위치는 차량 구조물에 대해 길이 방향(x)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수정예에서, 차량 시트(1)는, 구체적으로는 시트 레일들의 2 개의 쌍들 중 하나의 쌍 사이에서 작용하는, 단지 정확히 하나의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17)를 가진다.
차량 시트(1)의 등받이(5)는 수직 방향(z)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사용 위치(5.1)(도 1에서 예시됨)로부터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등받이(5)가 시트 부품(3) 상에서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피봇팅되는 카고 플로어 위치(cargo floor position)(5.3)로 그리고 이지-엔트리 위치(easy-entry position)(5.2) 양자 모두로 사람을 수송하는데 적합하다. 이지-엔트리 위치(5.2)에서, 등받이(5)는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수직 방향(z)에 대하여 전방으로 피봇팅되는 위치로(하지만 카고 플로어 위치(5.3)까지는 아님) 피봇팅된다. 또한, 이지-엔트리 위치(5.2)가 도달될 때,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17)는 잠금해제되며, 그리고 차량 시트(1)는 전방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그 결과, 후방의, 특히 제 3의 시트 열의 시트(차량 시트(1)를 뒤에서 배열되고 그리고 도면들에서 도시되지 않음)를 위해 가능한 한 큰 엔트리 및 출구 구역이 이용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카고 플로어 위치(5.3)에서, 등받이(5)는 이지-엔트리 위치(5.2)에 대해 매우 더 전방으로 피봇팅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시트 부품(3) 상에 놓인다.
등받이(5)의 이지-엔트리 위치(5.2)와 무관한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17)의 잠금해제를 위해, 그리고 따라서 길이 방향(x)으로의 차량 시트(1)의 세트성(settability)을 위해, 차량 시트(1)의 전방 구역에서 시트 부품(3) 아래에 배열되는 피봇가능한 바(pivotable bar)(15)가 제공되며, 상기 바(15)의 단부들은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17)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바(15)는 시트 레일(11, 13)의 쌍들이 위로 당겨지는 바(15)에 의해 수동으로 잠금해제되는 것을 허용한다. 시트(1)는, 바(15)가 위로 당겨지고 그리고 그 결과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17)가 맞물림해제 상태로 유지되는 한, 차량 미리결정된 범위 내에서 길이 방향(x)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바(15)는, 이러한 경우에서, 바(15)가 위로 당겨질 때, 회전되는 보강 트랜스미션 바(reinforcing transmission bar)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미션 바는 시트의 양 측들에 각각의 제 1 레일(11) 상에 장착될 수 있고, 그리고 시트 레일들(11, 13)의 2 개의 쌍들의 잠금된 상태의 2 개의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17)을 함께 커플링한다.
작동 엘리먼트(operating element)(20)는 시트 외부 측에 트랜스미션 로드(9)에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작동 엘리먼트(20)의 액추에이팅은, 액추에이션 시 바로 또는 오직 작은 자유 진행이 겪은(passed through) 후에, 트랜스미션 로드(9)를 회전시킨다. 그 결과, 2 개의 피팅부들(7)이 개방되며, 그리고 등받이(5)는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시트 부품(3)에 대해 피봇가능하다. 제 1 스프링(22)은, 2 개의 피팅부들(7)이 잠금되는 시작 위치(starting position)의 방향으로 액추에이팅 방향에 반대로 작동 엘리먼트(20)를 편향시킨다.
등받이(5)의 상부 구역에서, 피팅부들(7)을 잠금해제하기 위해, 특히 등받이(5)를 전방으로 이지 엔트리 위치(5.2)로 피봇팅하기 위해, 제 2 작동 엘리먼트(도 1에서 예시되지 않음)가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작동 엘리먼트는 작동 엘리먼트(20)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된다.
본 경우에서, 등받이(5)의 편의 세팅이 또한 가능하며, 이는 사용 위치(5.1) 주변에 있는 작은 편의 각도 범위(예를 들어, 후방으로 10°까지 그리고 전방으로 2°까지)에서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한 등받이 경사 각도의 정밀 세팅(precision setting)을 허용한다. 그러나, 등받이(5)의 편의 세팅이 또한 제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시트 외부 측에서, 캐치(30)는 캐치 회전 축선(4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피팅 하부 부품(7.4) 상에서 장착된다. 캐치 회전 축선(40)은, 본 경우에 피팅 하부 부품(7.4)의, 피봇 축선(S) 뒤에 그리고 위에 위치되는 구역에서, 등받이(5)의 피봇 축선(S)에 대해 편심으로 배열된다. 캐치 회전 축선(40)은, 본 경우에, 제 1 베어링 볼트(40)의 중심 축선과 동일하며, 이 제 1 베어링 볼트는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피팅 하부 부품(7.4)에 리베팅되거나(riveted) 또는 피팅 하부 부품 내로 나사결합된다.
캐치(30)는 피팅 하부 부품(7.4)과 작동 엘리먼트(20) 사이에서 횡 방향으로 배열된다.
캐치(30)는 제 1 레그(31) 및 제 2 레그(32)를 갖는, V-형상이며, 이 레그들은 서로 사이에서 약 50°의 각도를 둘러싼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각도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레그(31) 및 제 2 레그(32)가 모이는 구역에서, 제 1 베어링 볼트(40)를 수용하기 위한 그리고 따라서 캐치(3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개구가 제공된다.
제 2 스프링(42)은 피팅 상부 부품(7.3)에 체결되는 정지부(50)에 대해 캐치(30)를 도 2 및 도 6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정지부(50)는 본 경우에서 피팅 하부 부품(7.4)의 외측에 걸쳐 맞물리는 시이트-금속 각도부(sheet-metal angle)로 구성된다.
캐치(30)의 제 1 레그(31)는, 제 2 레그(32)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되는 이의 측에, 피봇 축선(S)을 둘레에 휘어지는 기초 형상부(basic contour)를 가지며, 그리고 디텐트(35)가 형성되는 캐치 피봇 축선(40)을 향하여 배향되는 방향으로 이러한 노치(notch)를 가진다. 디텐트(35)는 등받이(5)의 이지-엔트리 위치(5.2)에서 정지부(50)와 협동하는 역할을 한다. 캐치 회전 축선(40)의 방향으로, 제 1 레그(31)의 휘어진 외부 기초 형상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radially outwardly) 돌출하는 카운터정지부(counterstop)(38)에 의해 범위가 결정되며, 이 카운터정지부에 맞닿아, 정지부(50)는 등받이(5)의 최후방 위치에서 지탱된다. 등받이(5)의 최후방 위치는 편의 각도 범위 없이 피팅부(7)의 실시예에서 사용 위치(5.1)에 상응한다.
시트 중심을 향하여 배향되는 피팅 하부 부품(7.4)의 이러한 측면 상에서, 횡 방향으로 보는 바와 같이, 로커(60)는 로커 회전 축선(66) 상에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피팅 하부 부품(7.4) 상에 장착된다. 로커 회전 축선(66)은, 본 경우에 피팅 하부 부품(7.4)의, 피봇 축선(S) 아래에 위치되는 구역에서, 등받이(5)의 피봇 축선(S)에 대해 편심으로 배열된다. 로커 회전 축선(66)은, 본 경우에, 제 2 베어링 볼트(66)의 중심 축선과 동일하며, 이 제 1 베어링 볼트는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피팅 하부 부품(7.4)에 리베팅되거나 또는 피팅 하부 부품 내로 나사결합된다.
로커(60)는 제 1 아암(61) 및 제 2 아암(62)을 갖는, V-형상이며, 이 레그들은 서로 사이에서 약 135°의 각도를 둘러싼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각도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아암(61) 및 제 2 아암(62)이 모이는 구역에서, 제 2 베어링 볼트(66)를 수용하기 위한 그리고 따라서 로커(6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개구가 제공된다.
제 1 아암(61)은, 로커 회전 축선(66)으로부터 멀리 있는 이의 단부에서, 보우덴 케이블 체결 수단(Bowden cable fastening means)(68), 본 경우에 보우덴 케이블 유닛(Bowden cable unit)(80)의 제 1 케이블 풀(cable pull)(81) 내에서 후킹하기 위한 홀(hole)을 가진다. 제 2 아암(62)은, 로커 회전 축선(66)으로부터 멀리 있는 이의 단부에서, 제 2 아암(62)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65)를 가지고, 그리고 피팅 상부 부품(7.3)에 체결되는 슬롯형 안내부(70)와 연계하여, 접촉 수단의 역할을 한다. 접촉 수단은 롤러(65)로서 구성될 필요가 없지만, 그러나 예를 들어 또한 제 2 아암(62)으로 형성되는 캠(cam)일 수 있다.
슬롯형 안내부(70)는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휘어진 방식으로 연장하는 링 세그먼트(ring segment)의 형태의 기초 형상을 가진다. 슬롯형 안내부(70)는 본 경우에 피팅 상부 부품(7.3)에 체결되는, 특히 용접되는 가압된 시이트-금속 부품이지만,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의 수정예에서, 또한 피팅 상부 부품(7.3)으로부터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슬롯형 안내부(70)는 제어 외형부로서의 역할을 하고 그리고 로커(60)의 롤러(65)와 협동하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지향되는 외부 외형부를 포함한다.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71)은 등받이(5)의 사용 위치(5.1)에서 롤러(65)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71)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 2 슬롯형 안내 부분은 캠(72)으로서 구성되고 그리고, 등받이(5)가 사용 위치(5.1)로부터 이지-엔트리 위치(5.2)로 이동될 때, 롤러(65)와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 피봇 축선(S)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롤러(65)를 푸시한다. 그 결과, 로커(60)는 (도 3 및 도 4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캠(72)의 캠 외형부는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약간 나선형-형상 방식으로 휘어져, 캠(72)과 피봇 축선(S) 사이의 거리는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7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한다. 캠(72)은 원주 방향으로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71)에 접한다.
제 3 슬롯형 안내 부분(73)은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71)으로부터 먼 캠(72)의 이러한 측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3 슬롯형 안내 부분(73)은 추가적으로 캠(72)의 캠 외형부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그리고 추가적으로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71)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위치된다. 제 3 슬롯형 안내 부분(73)은, 등받이(5)가 이지-엔트리 위치(5.2)로부터 카고 플로어 위치(5.3)로 이동될 때, 롤러(65)에 반대편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지지부(7.5)에는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지지부는 본 경우에 로커(60)의 방향으로 피팅 하부 부품(7.4)의 밖으로 스탬핑되고(stamped), 그리고 등받이(5)의 사용 위치(5.1)에서 제 1 아암(61)의, 제 2 아암(62)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되는, 외부 외형부에 맞닿아 지탱된다. 이는, 롤러(65)가 사용 위치(5.1)에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등받이(5)의 편의 위치들에서 슬롯형 안내부(70)에 맞닿아 지탱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보우덴 케이블 유닛(80)은 로커(60)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2 개의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17)에 연결시켜, 로커(60)의 피봇팅(도 3, 도 4, 도 5, 도 7, 도 8, 및 도 9에서 시계방향으로)은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70)이 개방되는 것을 유발시킨다.
보우덴 케이블 유닛(80)은 제 1 케이블 풀(81) 및 제 2 케이블 풀(도면들에서 예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 1 케이블 풀(81)은 로커(60)의 케이블 풀 체결부(68)에 체결되며, 특히 후킹된다(hooked). 제 2 케이블 풀은 2 개의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17)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케이블 풀(81) 및 제 2 케이블 풀은 보상 스프링 유닛(85)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보상 스프링 유닛(85)은 제한 힘으로까지 제 1 케이블 풀(81)과 제 2 케이블 풀을 단단하게 함께 연결시킨다. 제한 힘이 초과될 때, 보상 스프링 유닛(85) 내의 스프링(상기 스프링은 제 1 케이블 풀(81) 및 제 2 케이블 풀과 직렬로(in series) 연결됨)은, 제 1 케이블 풀(81)의 일 단부와 제 2 케이블 풀의 일 단부 사이의 거리가 또한 연장되도록, 연장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수정예에서, 제 1 케이블 풀(81) 및 제 2 케이블 풀은 직렬로 스프링과 연결되어, 스프링은, 제한 힘이 초과될 때, 압축되며, 그리고 그 결과, DE 199 40 813 A1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블 풀(81)의 일 단부와 제 2 케이블 풀의 일 단부 사이의 거리가 연장된다.
도 2 및 도 3은 등받이(5)의 사용 위치(5.1)에서 차량 시트(1)의 부품을 도시한다. 캐치(30)는 정지부(50)에 의해 시작 각도의 위치에서 유지된다. 로커(60)는 지지 수단(7.5)에 맞닿아 지탱되어, 롤러(65)와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71) 사이에 작은 간격(small clearance)이 존재한다.
도 4에서, 피팅부(7)는 (도 4에서 예시되지 않은 작동 레버(20)의 액추에이션에 의해) 잠금해제된 상태이며, 그리고 등받이(5)는 이지-엔트리 위치(5.2)의 방향으로 전방으로, 그러나 이지-엔트리 위치(5.2)에 도달함이 없이, 플래핑된다(flapped). 롤러(65)가 슬롯형 안내부(70)의 캠(72)과 접촉하자마자, 로커(60)는 로커 회전 축선(66)을 중심으로 편향된다. 그 결과,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17)은 보우덴 케이블 유닛(80)에 의해 잠금해제된다. 이지-엔트리 위치(5.2)의 방향으로 등받이(5)의 추가적인 피봇팅 시, 로커(60)는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나선-형상 방식으로 휘어지는 캠(72)의 캠 외형부로 인해 추가적으로 편향된다. 추가적인 진행은, 그 후 보상 스프링 유닛(85)에 의해 흡수되는데, 이는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17)이 이미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며 그리고 종료 정지부에서 있기 때문이다.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17)을 잠금해제하기 위한 필수 힘은 보상 스프링 유닛(85)의 제한 힘보다 더 작다. 이는, 보상 스프링 유닛(85)이 유효하게 되고 그리고 보우덴 케이블 유닛(80)의 연장을 유발하기 전에,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17)가 잠금해제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 5 및 도 6은 등받이(5)의 이지-엔트리 위치(5.2)에서 차량 시트(1)의 부품을 도시하며, 다시 말해, 나중에 이지-엔트리 위치(5.2)가 도달된다. 롤러(65)는, 원주 방향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이제 캠(72)에 바로 뒤에서 캠(72)에 맞닿게 지탱된다. 제 2 스프링(42)은 캐치(30)를 회전시켜, 정지부(50)는 디텐트(35)에 맞닿게 지탱되며, 그리고 그러므로 등받이(5)는 추가적으로 카고 플로어 위치(5.3)의 방향으로 전방으로 피봇팅될 수 없다. 보상 스프링 유닛(85)이 완화된다(relaxed). 예시적인 실시예의 수정예에서, 보상 스프링 유닛(85)은 이러한 구역 내에 약간 프리텐셔닝된(pretensioned) 상태를 유지한다(롤러(65)는 제 2 슬롯형 안내 부분(72)에 맞닿게 지탱됨).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17)이 잠금해제된다. 차량 시트(1)는, 후방 시트 열에 대한 엔트리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레일들(11, 13)에 의해 시작 위치로부터 이지-엔트리 위치로 전방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셀프-잠금 구역 외측에 있는 롤러(65)에 맞닿아 지탱되는 캠(72)은 등받이(5)가 사용 위치(5.1)의 방향으로 뒤로 피봇팅하는 것을 방지한다. 등받이(5)를 뒤로 피봇팅하기 위해, 복귀 피봇팅 힘(F3)은 등받이(5)의 상부 구역에 가해져야 하며, 그리고 이러한 힘은 보상 스프링 유닛(85)의 제한 힘이 극복되기에 적어도 충분하게 커야 해서, 보상 스프링 유닛(85) 내의 스프링은 연장된다. 보상 스프링 유닛(85)은, 따라서, 캠(72)과 협동하여,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제한적인 토크(limit torque)를 발생시키며, 그리고, 이 제한 토크는 다시 사용 위치(5.1)로 뒤로 등받이(5)를 피봇팅할 수 있기 위해, 극복되어야 한다.
복귀 피봇팅 힘(F3)은 캠(72)의 외형을 변경시킴으로써 요망되는 바와 같이 조절될 수 있다. 복귀 피봇팅 힘(F3)은 레버 트랜스미션 및 로커(60) 및 캐치(30)의 레버 비율들을 변경시킴으로써,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카고 플로어 위치(5.3)의 방향으로 이지-엔트리 위치(5.2)로부터 등받이(5)를 추가적으로 피봇팅시키기 위해, 작동 엘리먼트(20)는 (도 2 및 도 6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다시 액추에이팅되어야 한다. 프로세스에서, 작동 엘리먼트(20)는 캐치(30)의 제 2 레그(32)와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 (도 2 및 도 6에서의 시계방향으로) 캐치(30)를 피봇팅시켜, 정지부(50)는 캐치(30)의 디텐트(35)를 지나 피봇팅할 수 있다.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17)은, 롤러(65)와 제 3 슬롯형 안내 부분(73)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심지어 카고 플로어 위치(5.3)에서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제 3 슬롯형 안내 부분(73)의 외형부는 또한 수정될 수 있어, 등받이(5)의 카고 플로어 위치(5.3)에서,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들(17)은 다시 잠금해제된다(카고 플로어 위치(5.3)에서의 맞물림 기능). 예시적인 실시예의 수정예에서, 보상 스프링 유닛(85)에 의해 약간 프리텐셔닝하는 것(pretensioning)은 제 3 슬롯형 안내 부분(73) 상의 롤러(65)에 의해 힘을 야기한다. 이러한 힘은 등받이(5)의 피봇팅 작동 동안 댐핑(damping)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차량 시트(1)가 전방 이지-엔트리 위치로부터 시작 위치로 뒤로 미끄러질 때, 필수적인 레일 변위 힘(rail displacement force)은, 따라서, 차량 시트(1)의 사용자에 의해 등받이(5)에 적용될 복귀 피봇팅 힘(F3)의, 길이 방향(x)으로 배향되는, 힘 성분보다 더 작다. 이는, 차량 시트(1)가 우선적으로 길이 방향(x)으로 시작 위치로 뒤로 그리고, 롤러(65)가 캠(72)을 극복할 수 있기 전에 종료 정지부로 변위되며, 그리고 그 결과, 등받이(5)가 사용 위치(5.1)로 뒤로 피봇팅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도 8 및 도 9에서, 등받이(5)가 이지-엔트리 위치(5.2)로부터 사용 위치(5.1)로 뒤로 피봇팅되기 바로 전의 차량 시트(1) 상의 힘 비율들은 개략적으로 그리고 간소화된 방식으로 예시된다.
보상 스프링 유닛(85)은 로커 회전 축선(66)으로부터의 제 1 거리(L1)에서 보우덴 케이블 체결부(68)의 지점에서 제 1 힘(F1)을 발생시킨다. 제 1 힘(F1)은 대략적으로 피봇 축선(S)과 보우덴 케이블 체결부(68) 사이의 연결 라인에 대해 수직하다. 제 1 아암(61) 및 제 2 아암(62)의 상이한 길이들 및 그로부터 발생되는 레버 비율들로 인해, 제 2 아암(62)은, 제 3 슬롯형 안내 부분(73)에 대해 대략적으로 반경 방향의 제 2 힘(F2)에 의해, 피봇 축선(S)으로부터의 제 2 거리(L2)에 배열되는 롤러(65)를 푸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다음이 속한다: F2 = F1*L1/L2. F2를 증가함에 의해, 롤러(65)와 슬롯형 안내부(70) 사이의 접촉 지점이, 제 3 슬롯형 안내 부분(73)으로부터 캠(72)으로 진행하여, L2 및 따라서 F2는 연속적으로 변경한다.
제 3 힘으로서, 복귀 피봇팅 힘(F3)이 등받이(5)의 상부 구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개시된다. 제 3 거리(L3)는 피봇 축선(S)과 복귀 피봇팅 힘(F3)의 공격 지점(point of attack) 사이의 거리로서 규정된다. 제 4 거리(L4)는 피봇 축선(S)과 롤러(65)와 캠(72) 사이의 접촉 지점 사이의 거리로서 규정된다.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한 본 레버 비율들로 인해, 복귀 피봇팅 힘(F3)은 롤러(65)와 캠(72) 사이의 접촉 지점에서 제 4 힘(F4)을 발생시키며, 이 제 4 힘은 피봇 축선(S)으로부터의 제 4 거리(L4)에 위치된다. 다음이 속한다: F4 = F3*L3/L4.
제 4 힘(F4)은, 캠(72)을 통해, 로커(60) 상에 로커 회전 축선(66)을 중심으로한 토크를 야기하며, 제 1 힘(F1)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토크는 로커(60) 상에서 토크에 반작용한다. 롤러(65)가 캠(72)에 걸쳐 진행하기 위해, 제 4 힘(F4)의, 제 2 힘(F2)에 반대로 작용하는, 힘 성분은 제 2 힘(F2)보다 로커 회전 축선(66)을 중심으로한 더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 4 힘(F4)의 이러한 힘 성분은 캠의 외형부에 종속된다. 외형부가 더 날카워지게 될수록, 제 4 힘(F4)의, F2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은 또한 더 작아지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 개시된 특징들, 청구항들 및 도면들은 이의 다양한 구성들에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그리고 조합적으로 양자 모두로 중요할 수 있다.
1 차량 시트
3 시트 부품
5 등받이
5.1 (등받이의) 사용 위치
5.2 (등받이의) 이지 엔트리 위치
5.3 (등받이의) 카고 플로어 위치
7 피팅부
7.1 제 1 피팅 부품
7.2 제 2 피팅 부품
7.3 피팅 상부 부품
7.4 피팅 하부 부품
7.5 지지 수단
9 트랜스미션 로드
11 (시트 레일들의 쌍의) 제 1 레일
13 (시트 레일들의 쌍의) 제 2 레일
15 바
17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
20 작동 엘리먼트
22 제 1 스프링
30 캐치
31 제 1 레그
32 제 2 레그
35 디텐트
38 카운터정지부
40 캐치 회전 축선, 제 1 베어링 볼트
42 제 2 스프링
50 정지부
60 제 1 수단, 로커
61 제 1 아암
62 제 2 아암
65 접촉 수단, 롤러
66 로커 회전 축선, 제 2 베어링 볼트
68 보우덴 케이블 체결 수단
70 제 2 수단, 슬롯형 안내부
71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
72 제 2 슬롯형 안내 부분, 캠
73 제 3 슬롯형 안내 부분
80 보우덴 케이블 유닛
81 제 1 케이블 풀
85 보상 스프링 유닛
F1 제 1 힘
F2 제 2 힘
F3 제 3 힘, 복귀 피봇팅 힘
F4 제 4 힘
L1 제 1 거리
L2 제 2 거리
L3 제 3 거리
L4 제 4 거리
x 길이 방향
z 높이 방향
S 피봇 축선

Claims (15)

  1. 차량 시트(1), 특히 자동차 시트로서,
    시트 부품(3), 상기 시트 부품(3)에 대해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한 등받이(5), 상기 차량 시트(1)를 길이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시트 레일들(11, 13)의 하나 이상의 쌍, 및 상기 시트 레일들(11, 13)의 하나 이상의 쌍을 잠금시키기 위한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seat rail locking device)(17)를 가지며,
    상기 등받이(5)는 사용 위치(use position)(5.1)─사람을 수송하는데 적합함─및 이지-엔트리 위치(easy-entry position)(5.2)─등받이(5)가 피봇 축선(pivot axis)(S)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피봇팅되고(pivoted), 그리고 그리고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17)가 보우덴 케이블 유닛(Bowden cable unit)(80)을 통해 개방됨─를 차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사용 위치(5.1)의 방향으로 상기 이지-엔트리 위치(5.2)를 벗어나 뒤로 상기 등받이(5)를 피봇팅시키기 위해, 제한 힘(limit force)이 극복되어야 하는, 차량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한 힘은 상기 보우덴 케이블 유닛(80)의 보상 스프링 유닛(85)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엔트리 위치(5.2)에서, 제 1 수단(60)은 제 2 수단(70)과 잠금 방식(locking manner)으로 협동하며, 상기 수단들(60, 70) 중 하나의 수단은 상기 등받이(5)에 할당되고, 그리고 상기 수단들(60, 70) 중 다른 수단은 상기 시트 부품(3)에 할당되며, 그리고, 상기 제한 힘이 극복된 후에 그리고 상기 등받이(5)가 피봇팅되는 동안, 수단들(60, 70)은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이 제 1 아암(61) 및 제 2 아암(62)을 가지는 로커(rocker)(60)로서 구체화되며, 제 2 수단이 슬롯형 안내부(slotted guide)(70)이며, 그리고 아암들(61, 62) 중 하나의 아암은 상기 슬롯형 안내부(70)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61, 62) 중 하나의 아암에 부착되는 접촉 수단(contact means)이 상기 슬롯형 안내부(70)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61, 62) 중 하나의 아암 상에 장착되는 롤러(roller)(65)가 상기 슬롯형 안내부(70)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우덴 케이블 유닛(18)은 아암들(61, 62) 중 일 측 상에서 아암들 중 다른 아암에 그리고 다른 측 상에 상기 시트 레일 잠금 디바이스(17)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60)는 상기 시트 부품(3)에, 특히 상기 시트 부품(3)의 피팅 하부 부품(7.4)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 안내부(70)가 상기 등받이(5)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 안내부(70)는 상기 사용 위치(5.1)에 할당되는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71), 및, 상기 제한 힘이 극복되지 않는 한, 상기 로커(60)와 협동함으로써, 상기 등받이(5)가 상기 사용 위치(5.1)의 방향으로 상기 이지-엔트리 위치(5.2)를 벗어나 뒤로 피봇팅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슬롯형 안내 부분(7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롯형 안내 부분(72)은 반경 방향으로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71)을 넘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롯형 안내 부분(71)은 상기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원형 호(circular arc)의 형태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우덴 케이블 유닛(80)은 보상 스프링 유닛(compensation spring unit)(85), 제 1 케이블 풀(cable pull)(81) 및 제 2 케이블 풀을 포함하며, 상기 보상 스프링 유닛(85)은 작동 연결부(operative connection)에 대해 상기 제 1 케이블 풀(81)과 상기 제 2 케이블 풀 사이에 배열되는 스프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블 풀(81), 상기 스프링 및 제 2 케이블 풀은 직렬으로(in series)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스프링 유닛 내의 스프링은, 상기 제한 힘이 초과될 때, 연장되어, 상기 제 1 케이블 풀(81)의 일 단부와 상기 제 2 케이블 풀의 일 단부 사이의 거리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스프링 유닛 내의 스프링은, 상기 제한 힘이 초과될 때, 압축되어, 상기 제 1 케이블 풀(81)의 일 단부와 상기 제 2 케이블 풀의 일 단부 사이의 거리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KR1020167024786A 2014-02-07 2015-01-29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KR201601183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2315.7 2014-02-07
DE102014202315 2014-02-07
DE102014206537.2 2014-04-04
DE102014206537.2A DE102014206537B4 (de) 2014-02-07 2014-04-04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PCT/EP2015/051821 WO2015117889A1 (de) 2014-02-07 2015-01-29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355A true KR20160118355A (ko) 2016-10-11

Family

ID=5367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786A KR20160118355A (ko) 2014-02-07 2015-01-29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347209A1 (ko)
EP (1) EP3102841B1 (ko)
KR (1) KR20160118355A (ko)
CN (1) CN106164506B (ko)
DE (1) DE102014206537B4 (ko)
WO (1) WO20151178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2500A (zh) * 2018-09-28 2019-04-05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实现座椅易进入功能的联动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7606A1 (de) * 2013-12-02 2015-06-03 Johnson Controls Components Gmbh & Co. Kg Vorschwenkmechanismus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15201362B4 (de) * 2015-01-27 2016-10-06 Johnson Controls Components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mit Koppelvorrichtung
DE102015218873B4 (de) 2015-07-20 2018-04-26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Fahrzeugsitz
DE102016204645B4 (de) 2015-11-30 2023-05-17 Adient Us Llc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GB2553318B (en) * 2016-09-01 2019-07-10 Jaguar Land Rover Ltd Control system for a deployable platform
CN109996699A (zh) 2016-11-21 2019-07-09 安道拓工程技术知识产权有限公司 车辆座椅,尤其是机动车辆座椅
US11188851B2 (en) * 2017-01-09 2021-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ority seating management in public/private transportation
US20190031057A1 (en) * 2017-07-28 2019-01-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seat bolster adjustment based on occupant pressure map and method
DE102017218125A1 (de) * 2017-10-11 2019-04-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mit einem Easy-Entry-Mechanismus
DE102018112926B4 (de) * 2018-05-30 2022-04-14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Fahrzeugsitz
US10625635B1 (en) 2018-10-03 2020-04-21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release mechanism
US11353913B2 (en) * 2018-11-16 2022-06-07 Magna Seating Inc. Handle interlock utilizing seat back rotation
CN113508055A (zh) * 2019-02-25 2021-10-15 安道拓工程技术知识产权有限公司 车辆座椅的软垫部分的覆盖物、车辆座椅的软垫部分以及车辆座椅
JP2020141541A (ja) * 2019-03-01 2020-09-03 株式会社タチエス 給電経路付きの軸受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0813C2 (de) 1999-08-27 2001-06-21 Keiper Gmbh & Co Längsein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6303A1 (de) 2002-02-11 2003-08-21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 zeugsitz
DE102007002366B3 (de) * 2007-01-13 2008-07-17 Keiper Gmbh & Co.Kg Beschlag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WO2010097408A2 (de) * 2009-02-24 2010-09-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Kraftfahrzeugsitz
DE102009037819A1 (de) 2009-08-12 2011-02-17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9041492A1 (de) 2009-09-10 2011-03-24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0039465A1 (de) * 2010-08-18 2012-02-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mit einem Easy-Entry-Mechanismus
DE202010015143U1 (de) * 2010-10-29 2011-01-05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1119390B4 (de) * 2011-11-24 2021-06-10 Sitech Sitztechnik Gmbh Fahrzeugsitz mit einer Easy-Entry-Funktion
CN104066616B (zh) * 2012-03-30 2016-07-06 李尔公司 带有记忆调整补偿的车辆座椅记忆导轨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2500A (zh) * 2018-09-28 2019-04-05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实现座椅易进入功能的联动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4506A (zh) 2016-11-23
WO2015117889A1 (de) 2015-08-13
EP3102841A1 (de) 2016-12-14
DE102014206537B4 (de) 2017-05-11
DE102014206537A1 (de) 2015-08-13
CN106164506B (zh) 2019-03-01
US20160347209A1 (en) 2016-12-01
EP3102841B1 (de)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8355A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US10493869B2 (en) Backrest adjuster for a seat, and vehicle seat
US7775591B2 (en) Fitting system for a vehicle seat
US6663180B2 (en) Vehicle seat provided with a fold-down back
US8967719B2 (en) Easy entry seat system with single position memory and hold open feature
US7000880B2 (en) Slide for motor vehicle seat
US20160339810A1 (en) Vehicle seat
US8967583B2 (en) Manually longitudinally adjustable motor vehicle seat
US20150090855A1 (en) Vehicle seat
US8876213B2 (en) Full memory armrest assembly
US9126507B2 (en) Longitudinal seat adjuster for a vehicle seat having easy entry functionality and folding functionality
US20170334324A1 (en) Armrest
US10150393B2 (en) Fitting with a pivoting-forwards mechanism and easy-entry latch, and vehicle seat with such a fitting
EP2646279A1 (en) Full memory seat track mechanism
US10421374B2 (en) Forward pivot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US7699398B2 (en) Backrest unit for a motor vehicle seat
US7017994B2 (en) Motor vehicle seat
US20160039316A1 (en) Easy-entry system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US20090250987A1 (en) Motor vehicle seat having lockable wing rest and seating configuration having such a motor vehicle seat
US8888178B2 (en) Vehicle seat
CN109195834B (zh) 用于车辆座椅的纵向调节器及车辆座椅
US8434820B2 (en) Vehicle seat with securing device for a support element
US6533341B2 (en) Adjustable pivoting means for a vehicle seat backrest
US6540297B2 (en) Adjuster for a vehicle seat
US20160257224A1 (en) Easy-entry system and vehicle seat with an integrated easy-ent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