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072A -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072A
KR20160118072A KR1020150046356A KR20150046356A KR20160118072A KR 20160118072 A KR20160118072 A KR 20160118072A KR 1020150046356 A KR1020150046356 A KR 1020150046356A KR 20150046356 A KR20150046356 A KR 20150046356A KR 20160118072 A KR20160118072 A KR 20160118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ctivity
dihydroxy
methoxy
inhi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156B1 (ko
Inventor
우미희
조병천
최재수
신흥묵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15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23L1/30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Smilacaceae (Catbrier family), e.g. greenbrier or sarsaparill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 알파-글루코시다아제 또는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에 대한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compounds isolated from Smilax china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order}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Smilax china)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에 따른 식생활 습관의 변화와 인구의 고령화 및 각종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현대 생명과학의 큰 발전에도 불구하고 암을 비롯한 심혈관 질환, 대사성 질환의 발병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상기 대사성 질환 중에서 당뇨병은 인슐린의 절대적 결핍 또는 저항성으로 인한 당대사 기능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소모성 질환으로 전신적인 무기력과 저항성 저하, 혈관장애, 뇌경색, 심근경색 등 기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3억 5천만 명의 사람들이 당뇨병을 겪고 있으며 2030년에는 그 숫자가 2배 더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Danaei, G. et al., 2011).
당뇨병은 발병원인과 병태양상에 따라 크게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특정한 인간 림프구 항원(HLA)과 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랑게르한스섬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의 분비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발병하는 인슐린 의존형인 제1형 당뇨병이 있으며, 운동부족과 비만, 과식,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근육, 간, 지방조직 등 말초조직에서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 증가로 유발되는 인슐린 비의존성인 제2형 당뇨병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현대 사회의 노령화와 생활습관의 변화로 제2형 당뇨병이 당뇨병 전체 환자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그 수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제2형 당뇨병 발병의 주요 원인으로는 인슐린 저항성이며, 이는 일정량의 인슐린 농도에 대한 반응이 정상보다 감소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유전적, 환경적인 요인으로 발생한다(Hossain, P. et al., 2007).
비만은 단순히 과체중으로 인한 미용적인 영향 및 삶의 질이 낮아진다는 문제만이 아니라 주요 사망 원인이 되며, 대사성 질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질환이라는 것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에 따르면 비만은 발병률이 증가하여 2008년 기준으로 세계 인구의 약 6%인 4억 명 정도가 비만으로 조사되었고, 2015년에는 7억 명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OECD 국가의 경우, 성인 비만인구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미국의 경우 3명 중 1명은 비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도 생활환경의 변화로 비만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가 25 이상인 한국 성인 비만인구는 매년 40여만 명씩 늘어 2005년 기준으로 10명 중 3명은 비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질병관리본부의 자료에 따르면 1995년 비만인구는 전체 인구의 26.3%이었으나 2001년에는 전체 인구의 30.6%, 2005년에는 전체 인구의 31.5%로 급증하였고,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는 하기 참고도 1에서와 같이, 인슐린 수용체(insulin receptor) 및 인슐린 수용체 기질(insulin receptor substrates)의 탈인산화를 일으켜 인슐린의 신호전달 기전을 방해함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시키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는 렙틴의 신호전달 과정에서도 렙틴 수용체 및 Jak에서 일어나는 인산화를 저해하고 렙틴 신호전달 기전을 억제함으로써 비만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도 알려져 있다(Malamas, M. S. et al., 2000).
[참고도 1]
Figure pat00001
비록, 현재까지의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최근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의 생물학적 기능 및 질환 유발 기전이 밝혀짐에 따라 새로운 약물 개발의 타겟이 되고 있다(Thareja, S. et al., 2012). 특히, 당뇨, 비만, 암 등 난치성 질환에 있어서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의 역할이 규명됨에 따라 이 효소의 저해를 타겟으로 하는 신약 개발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예로서,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 유전자를 제거한 쥐에서는 인슐린 내성이 제거되어 제2형 당뇨병이 유발되지 않았으며, 비만이 저해되는 현상이 보고되었으며(Elchebly, M. et al., 1999),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를 저해하는 물질들이 항당뇨 효과를 보이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Klaman, L. D. et al., 2000).
현재까지 임상에 들어간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를 비롯한 각종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의 저해제는 하기 참고도 2와 같은데, 대부분 합성 화합물로서 낮은 생체이용률, 독성 및 부작용으로 인해 임상시험에서 탈락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은 천연물 유래의 저해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Johnson, T. O. et al., 2002).
[참고도 2]
Figure pat00002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는 소장의 융모에 존재하는 소화 효소로 이당류나 소당류를 탄수화물의 소화흡수 상태인 단당류로 가수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은 십이지장을 비롯한 공장 상부에서 탄수화물의 가수분해를 저해(소화 흡수율을 저하)시켜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당뇨병, 비만증, 과당증 등 성인병의 치료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혈당 강하 조절에 대한 이용목적으로, 탄수화물 대사에 필수적인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Tewari, N. et al., 2003).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Dipeptidyl peptidase IV, DPP-IV)는 체내에서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 1(glucagon like peptide 1, GLP-1)이나 글루코스 의존 인슐린 친화성 폴리펩타이드(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 GIP)를 분해하여(Lankas, G.R. et al., 2005; Kameoka, J. et al., 1993; Chen, X. 2006) 혈당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기에, 근래에는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 역시 당뇨나 비만을 치료하는 연구의 타겟이 되고 있다.
청미래덩굴(Smilax china)은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인도차이나 등지에서 주로 분포하고, 산지의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며, 굵고 딱딱한 뿌리줄기가 꾸불꾸불 옆으로 길게 벋어간다. 또한, 줄기는 마디마다 굽으면서 2m 내외로 자라며 갈고리 같은 가시를 지닌다. 잎은 원형,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두껍고 윤기가 나며, 꽃은 단성화로 황록색이고 5월에 산형꽃차례를 이룬다. 열매의 지름은 1㎝ 정도이며 9~10월에 붉은색으로 익고, 명감 또는 망개라고 한다. 뿌리인 토복령은 이뇨, 해독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요통, 종기 등에 사용하며, 암, 구토증, 식욕부진 등에 관련된 질병치료에도 사용하는 등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4-0102864호, 한국등록특허 제1225486호 등에는 청미래덩굴의 잎, 청미래덩굴의 뿌리인 토복령의 추출물들을 함유하는 당뇨, 비만 등의 치료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이 갖는 당뇨나 비만 억제에 관한 활성은 아직까지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만 또는 당뇨병의 치료제를 연구하던 중, 상기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이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 알파-글루코시다아제 또는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의 억제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102864호,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014년 08월 25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225486호,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013년 01월 17일, 등록.
Chen, X. Biochemical properties of recombinat prolyl prolyl dipeptidases DPP-IV and DPP8, Adv. Exp. Med. Biol., 575, 27-32, 2006. Cui, L. et al.,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from Morus root bark, Bioorg. Med. Chem. Lett., 16(5), 1426-1429, 2006. Danaei, G. et al.,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trends in fasting plasma glucose and diabetes prevalence since 1980: systematic analysis of health examination surveys and epidemiological studies with 370 country-years and 2·7 million participants, Lancet, 378(9785), 31-40, 2011. Elchebly, M. et al., Increased insulin sensitivity and obesity resistance in mice lacking th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1B gene, Science, 283(5407), 1544-1548, 1999. Hossain, P. et al., Obesity and diabetes in the developing world-a growing challenge, Engl. J. Med., 356(3), 213-215, 2007. Johnson, T. O. et al.,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for diabetes, Nat. Rev. Drug. Discov., 1(9), 696-709, 2002. Kameoka, J. et al., Direct association of adenosine deaminase with a T cell activation antigen CD26, Science, 261, 466-469, 1993. Klaman, L. D. et al., Increased energy expenditure, decreased adiposity, and tissue-specific insulin sensitivity in protein-tyrosine phosphatase 1B-deficient mice, Mol. Cell. Biol., 20(15), 5479-5489, 2000. Lankas, G.R. et al., Dipeptidyl peptidase IV inhibition for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potential importance of selectivity over dipeptidyl peptidases 8 and 9, Diabetes, 54, 2988-2994, 2005. Malamas, M. S. et al., New azolidinediones as inhibitors of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with antihyperglycemic properties, J. Med. Chem., 43(5), 995-1010, 2000. Tewari, N. et al., Synthesis and bioevaluation of glycosyl ureas as alpha-glucosidase inhibitors and their effect on mycobacterium, Bioorg. Med. Chem., 11(13), 2911-2922, 2003. Thareja, S. et al.,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a molecular level legitimate approach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Med. Res. Rev., 32(3), 459-517,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Smilax china)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의 캠퍼라이드(화합물 1), 모린(화합물 2), 나린게닌(화합물 3), 캠퍼롤-7-O-α-L-람노피라노사이드(화합물 4), 캠퍼롤-3-O-α-L-람노피라노사이드(화합물 5), 케르세틴-4'-O-β-D-글루코사이드(화합물 6), 비텍신(화합물 7), 레피도사이드(화합물 8), 루틴(화합물 9), 프라텐세인(화합물 10), 푸에라린(화합물 11),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 7-메톡시-4',5-디히드록시플라본-(3-O-7")-4"',5"-디히드록시플라본(화합물 13), 1,3,6-트리히드록시-잔톤(화합물 14), 페룰산(화합물 16), 4-프로폭시페놀(화합물 17), 트랜스-레스베라트롤(화합물 18) 및 헥사데칸산(화합물 22)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만 또는 당뇨병 중에서 선택되는 질환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또는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dipeptidyl peptidase IV)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하여 약제학적 투여형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의 캠퍼라이드(화합물 1), 모린(화합물 2), 나린게닌(화합물 3), 캠퍼롤-7-O-α-L-람노피라노사이드(화합물 4), 캠퍼롤-3-O-α-L-람노피라노사이드(화합물 5), 케르세틴-4'-O-β-D-글루코사이드(화합물 6), 비텍신(화합물 7), 레피도사이드(화합물 8), 루틴(화합물 9), 프라텐세인(화합물 10), 푸에라린(화합물 11),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 7-메톡시-4',5-디히드록시플라본-(3-O-7")-4"',5"-디히드록시플라본(화합물 13), 1,3,6-트리히드록시-잔톤(화합물 14), 페룰산(화합물 16), 4-프로폭시페놀(화합물 17), 트랜스-레스베라트롤(화합물 18) 및 헥사데칸산(화합물 22)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하기 화학식 2의 캠퍼라이드(화합물 1), 모린(화합물 2), 나린게닌(화합물 3), 케르세틴-4'-O-β-D-글루코사이드(화합물 6), 비텍신(화합물 7), 레피도사이드(화합물 8), 프라텐세인(화합물 10), 푸에라린(화합물 11),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 7-메톡시-4',5-디히드록시플라본-(3-O-7")-4"',5"-디히드록시플라본(화합물 13), 1,3,6-트리히드록시-잔톤(화합물 14), 바닐산(화합물 15), 4-프로폭시페놀(화합물 17), α-D-Galp-(1→3)-β-D-Galp-(1→4)-β-D-Glcp(화합물 19), 메틸숙신산 무수물(화합물 20), 시나필 알코올 4-O-β-D-글루코사이드(화합물 21), 헥사데칸산(화합물 22) 및 에틸 헥사데카노에이트(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5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3의 신규 화합물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 또는 7-메톡시-4',5-디히드록시플라본-(3-O-7")-4"',5"-디히드록시플라본(화합물 13)을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Smilax china)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청미래덩굴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청미래덩굴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각 화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P-20 column chromatography),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RP-18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합성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 알파-글루코시다아제 또는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에 대한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 12에 대한 1H-1H COSY(bold lines) 및 1H-13C HMBC의 상관관계(arrow)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 13에 대한 1H-1H COSY(bold lines) 및 1H-13C HMBC의 상관관계(arrow)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청미래덩굴 유래 화합물의 분리>
건조된 청미래덩굴(Smilax china)의 잎(10.4kg)을 70%[v/v] 에탄올 수용액(1kg당 50ℓ를 가하여 7회 반복)으로 실온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고 감압농축하여 검은 시럽 상태의 청미래덩굴 잎의 70%[v/v]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2.53kg)을 얻었다. 상기 청미래덩굴 잎의 70%[v/v]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에 물(6ℓ)을 가하여 현탁한 후, n-헥산(4회×0.3ℓ), 디클로로메탄(4회×0.3ℓ), 에틸아세테이트(3회×0.3ℓ), n-부탄올(3회×0.3ℓ)을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n-헥산 분획물(628.57g), 디클로로메탄 분획물(72.03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04.01g) 및 n-부탄올 분획물(341.06g)과 마지막으로 물층 잔사를 포함하는 수가용성 분획물(1367.09g)을 얻었다. 또한, 청미래덩굴 잎 대신 뿌리(토복령 10kg, 건조물)에 70%[v/v]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추출한 청미래덩굴 뿌리의 70%[v/v]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2.79kg)을 얻었다.
상기 청미래덩굴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04.0g)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물(100:0:0.1 → 0:100:0.1[v: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15×3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12개의 소분획물(SM.Et.1-SM.Et.12)을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중 SM.Et.1(260.3㎎)을 n-헥산:아세톤(1:0 → 0:1[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3.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화합물 22(33.2㎎) 및 화합물 23(50.8㎎)을 얻었다.
소분획물 SM.Et.3(2.6g)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물(5:1:0.1 → 0:1:0[v: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4.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30개의 소분획물(SM.Et.3.1-SM.Et.3.30)을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중 SM.Et.3.26(1.6g)을 메탄올:물(1:1 → 1:0[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MCI-겔-C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4.0×15㎝, 입자크기:75-150㎛)로 분획하여 6개의 소분획물(SM.Et.3.26.1-SM.Et.3.26.6)을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중 SM.Et.3.26.3(30.0㎎)을 메탄올:물(80:20[v:v])의 등용매 용출 조건에 따른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C18 컬럼, 컬럼크기:2.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화합물 11(19.6㎎)을 얻었다. 또한, 소분획물 SM.Et.3.26.5(48.0㎎)를 아세토니트릴:물(40:60[v:v])의 등용매 용출 조건에 따른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C18 컬럼, 컬럼크기:2.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화합물 10(13.0㎎) 및 화합물 14(5.0㎎)를 얻었다.
소분획물 SM.Et.4(8.9g)는 메탄올:물(1:1 → 1:0[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MCI 겔 C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4.0×15㎝, 입자크기:75-150㎛)로 분획하여 10개의 소분획물(SM.Et.4.1-SM.Et.4.10)을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중 SM.Et.4.1(3.5g)을 n-헥산:아세톤(4:1 → 0:1[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4.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화합물 13(2.6㎎) 및 화합물 20(3.21g)을 얻었다. 또한, 소분획물 SM.Et.4.7(215.4㎎)을 n-헥산:아세톤(75:25 → 0:100[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3.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화합물 1(40.4㎎) 및 화합물 21(30.5㎎)을 얻었다.
소분획물 SM.Et.4.9(312.7㎎)는 n-헥산:아세톤(4:1 → 0:1[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3.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8개의 소분획물(SM.Et.4.9.1-SM.Et.4.9.8)과 화합물 2(5.8㎎)를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중 SM.Et.4.9.3(115.3㎎)을 메탄올:물(1:1[v:v])의 등용매 용출 조건에 따른 세파덱스(sephadex)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2.0×50㎝, 입자크기:25-100㎛)로 분획하여 화합물 18(60.2㎎)을 얻었다.
소분획물 SM.Et.7(12.0g)을 메탄올:물(3:7 → 1:0[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RP-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3.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16개의 소분획물(SM.Et.7.1-SM.Et.7.16)을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중 SM.Et.7.9(740.0㎎)를 디클로로메탄:아세톤(2:1[v:v])의 등용매 용출 조건에 따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3.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화합물 12(16.6㎎)를 얻었다. 또한, 소분획물 SM.Et.7.11(518.0㎎)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물(95:5:1[v:v:v])의 등용매 용출 조건에 따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3.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화합물 5(109.9㎎)을 얻었다.
소분획물 SM.Et.6(1.1g)을 메탄올:물(3:7 → 1:0[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RP-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4.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13개의 소분획물(SM.Et.6.1-SM.Et.6.13)을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중 SM.Et.6.7(73.0㎎)을 메탄올:물(1:1[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2.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화합물 15(28.7㎎)와 화합물 16(40.1㎎)을 얻었다. 또한, 소분획물 SM.Et.6.11(73.0㎎)을 아세토니트릴:물(1:3[v:v])의 등용매 용출 조건에 따른 RP-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PLC, 컬럼크기:2.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화합물 7(16.8㎎)을 얻었다.
소분획물 SM.Et.9(7.1g)를 메탄올:물 (1:1[v:v])의 등용매 용출 조건에 따른 RP-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4.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6개의 소분획물(SM.Et.9.1-SM.Et.9.6)을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중 SM.Et.9.3(314.5㎎)을 메탄올:물(1:1[v:v])의 등용매 용출 조건에 따른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2.0×15㎝, 입자크기:25-100㎛)로 분획하여 화합물 3(51.4㎎)과 화합물 6(75.5㎎)을 얻었다.
소분획물 SM.Et.11(9.4g)을 메탄올:물(0:1 → 1:0[v:v])의 농도구배 조건에 따른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2.0×15㎝, 입자크기:25-100㎛)로 분획하여 7개의 소분획물(SM.Et.11.1-SM.Et.11.7)을 얻었다. 상기 소분획물 중 SM.Et.11.1(1.9g)을 아세톤:메탄올:물(80:20:1[v:v:v])의 등용매 용출 조건에 따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2.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화합물 19(230.0㎎)를 얻었다. 또한, 소분획물 SM.Et.11.4(4.0g)를 메탄올:물(30:70 → 45:55[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RP-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4.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화합물 8(300.8㎎), 화합물 9(10.5㎎) 및 화합물 17(39.5㎎)을 얻었다. 소분획물 SM.Et.11.6(1.0g)은 아세토니트릴:물(27:73[v:v])의 등용매 용출 조건에 따른 RP-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4.0×15㎝, 입자크기:40-63㎛)로 분획하여 화합물 4(65.0㎎)를 얻었다.
<실시예 2. 청미래덩굴 유래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구조 확인>
실시예 2-1. 캠퍼라이드 (화합물 1)
kaempferide;
yellow powder;
M.W. : 300.27;
m.p. : 156-157℃;
IR (KBr) ν max -1 : 3401 (OH), 1674 (C=O), 1657 (C=C), 1507 (C-O);
MS (FAB) m/z : 301 [M+H]+;
1H-NMR (pyridine-d 5 , 400 ㎒) δ : 8.55 (2H, d, J = 8.9 ㎐, H-2', 6'), 7.33 (2H, d, J = 8.9 ㎐, H-3', 5'), 6.86 (1H, d, J = 2.1 ㎐, H-8), 6.76 (1H, d, J = 2.1 ㎐, H-6), 3.62 (3H, s, OCH3);
13C-NMR (pyridine-d 5 , 100 ㎒,) δ : 177.7 (C-4), 165.9 (C-7), 162.8 (C-5), 161.1 (C-4'), 157.8 (C-9), 147.9 (C-2), 138.2 (C-3), 130.9 (C-2', 6'), 123.6 (C-1'), 116.7 (C-3', 5'), 104.81 (C-10), 99.6 (C-6), 94.7 (C-8), 50.0 (OCH3).
실시예 2-2. 모린(화합물 2)
morin;
yellow amorphous solid;
M.W. : 302.24;
m.p. : 299-300℃;
IR (KBr) ν max -1 : 3461 (OH), 1683 (C=O), 1657 (C=C), 1507 (C-O);
MS (FAB) m/z : 303 [M+H]+;
1H-NMR (pyridine-d 5 , 400 ㎒) δ : 13.64 (1H, s, OH), 8.15 (1H, d, J = 8.4, H-6'), 7.24 (1H, d, J = 2.1 ㎐, H-3'), 7.32 (1H, d, J = 2.1, 8.4 ㎐, H-5'), 6.81 (1H, d, J = 2.2 ㎐, H-8), 6.79 (1H, d, J = 2.2 ㎐, H-6);
13C-NMR (pyridine-d 5 , 100 ㎒) δ : 180.8 (C-4), 166.9 (C-7), 166.5 (C-5), 165.4 (C-9), 159.6 (C-2'), 157.3 (C-4'), 152.7 (C-2), 123.8 (C-3), 116.4 (C-6'), 116.1 (C-5'), 105.6 (C-1'), 102.6 (C-10), 101.3 (C-3'), 99.9 (C-6), 97.3 (C-8).
실시예 2-3. 나린게닌(화합물 3)
naringenin;
yellow amorphous solid;
M.W. : 272.26;
m.p. : 247-249℃;
IR (KBr) ν max -1 : 3461 (OH), 1669 (C=O), 1601 (C=C), 1501 (C-O);
MS (FAB) m/z : 273 [M+H]+;
1H-NMR (methanol-d 4 , 250 ㎒) δ : 7.29 (2H, d, J = 8.5 ㎐, H-2', 6'), 6.81 (2H, d, J = 8.6 ㎐, H-3', 5'), 5.88 (2H, d, J = 1.2 ㎐, H-6, 8), 5.29 (1H, dd, J = 2.8, 12.9 ㎐, H-2), 3.07 (1H, dd, J = 12.9, 17.1 ㎐ H-3ax), 3.66 (1H, dd, J = 3.03, 17.1 ㎐ H-3eq);
13C-NMR (methanol-d 4 , 62.5 ㎒) δ : 197.9 (C-4), 168.5 (C-7), 165.5 (C-5), 165.0 (C-9), 159.0 (C-4'), 131.2 (C-1'), 129.1 (C-2', 6'), 116.5 (C-3', 5'), 103.5 (C-10), 97.2 (C-6), 93.4 (C-8), 80.5 (C-2), 44.1 (C-3).
실시예 2-4. 캠퍼롤-7- O - α -L-람노피라노사이드(화합물 4)
kaempferol-7-O-α-L-rhamnopyranoside;
yellow amorphous solid;
M.W. : 432.38;
m.p. : 232-236℃;
IR (KBr) ν max -1 : 3400 (OH), 1650 (C=O), 1600 (C=C);
MS (FAB) m/z : 433 [M+H]+;
1H-NMR (pyridine-d 5 , 400 ㎒) δ : 13.24 (1H, s, OH), 8.55 (2H, d, J = 8.9, H-2', 6'), 7.37 (2H, d, J = 8.9 ㎐, H-3', 5'), 7.08 (1H, d, J = 2.1 ㎐, H-8), 6.84 (1H, d, J = 2.1 ㎐, H-6), 6.29 (1H, d, J = 1.4 ㎐, H-1"), 4.74 (1H, m, H-2"), 4.68 (1H, dd, J = 3.4, 9.1 ㎐, H-3"), 4.40 (1H, t, J = 9.3 ㎐, H-4"), 4.31 (1H, dd, J = 6.1, 9.4 ㎐, H-5"), 1.65 (3H, d, J = 6.1 ㎐, H-6");
13C-NMR (pyridine-d 5 , 100 ㎒) δ : 177.9 (C-4), 163.0 (C-7), 162.4 (C-5), 161.4 (C-4'), 157.3 (C-9), 148.7 (C-2), 138.7 (C-3), 131.1 (C-2', 6'), 123.5 (C-1'), 116.9 (C-3', 5'), 106.5 (C-10), 100.5 (C-1"), 100.2 (C-6), 95.2 (C-8), 74.1 (C-4"), 72.9 (C-3"), 72.2 (C-2"), 71.9 (C-5"), 19.1 (C-6").
실시예 2-5. 캠퍼롤-3- O - α -L-람노피라노사이드(화합물 5)
kaempferol-3-O-α-L-rhamnopyranoside(kaempferin);
yellow needle;
M.W. : 432.38;
m.p. : 214-215℃;
IR (KBr) ν max -1 : 3400 (OH), 1660 (C=O), 1601 (C=C);
MS (FAB) m/z : 433 [M+H]+;
1H-NMR (methanol-d 4 , 400 ㎒) δ : 8.02 (2H, d, J = 6.1 ㎐, H-2', 6'), 6.82 (2H, d, J = 7.5 ㎐, H-3', 5'), 6.66 (1H, d, J = 1.2 ㎐, H-8), 6.34 (1H, d, J = 1.2 ㎐, H-6), 5.48 (1H, d, J = 0.2 ㎐, H-1"), 3.95 (1H, s, H-2"), 3.76 (1H, m, H-3"), 3.54 (1H, m, H-4"), 3.41 (1H, t, J = 9.4 ㎐, H-5"), 1.18 (3H, d, J = 6.1 ㎐, H-6");
13C-NMR (methanol-d 4 , 100 ㎒) δ : 176.4 (C-4), 162.1 (C-7), 161.1 (C-5), 159.5 (C-4'), 156.5 (C-9), 147.5 (C-2), 136.3 (C-3), 129.6 (C-2', 6'), 122.4 (C-1'), 115.2 (C-3', 5'), 105.0 (C-10), 98.8 (C-1"), 98.6 (C-6), 94.1 (C-8), 72.4 (C-4"), 70.9 (C-3"), 70.6 (C-2"), 70.0 (C-5"), 16.9 (C-6").
실시예 2-6. 케르세틴-4'- O - β -D-글루코사이드(화합물 6)
quercetin-4'-O-β-D-glucoside;
yellow amorphous solid;
M.W. : 464.38;
m.p. : 209-211℃;
IR (KBr) ν max -1 : 3363(OH), 1654 (C=O), 1602 (C=C), 1507 (C-O);
MS (FAB) m/z : 465 [M+H]+;
1H-NMR (methanol-d 4 , 250 ㎒) δ : 7.85 (1H, d, J = 1.7 ㎐, H-6'), 7.57 (1H, dd, J = 1.7, 8.4 ㎐, H-5'), 6.85 (1H, d, J = 8.5 ㎐, H-2'), 6.29 (1H, d, J = 1.0 ㎐, H-8), 6.10 (1H, d, J = 1.5 ㎐, H-6), 5.07 (1H, d, J = 7.8 ㎐, H-1"), 3.30 - 3.85 (6H, m);
13C-NMR (methanol-d 4 , 62.5 ㎒) δ : 177.7 (C-4), 170.0 (C-7), 161.6 (C-5), 157.7 (C-4'), 157.1 (C-9), 149.1 (C-3'), 148.9 (C-2), 134.5 (C-3), 121.8 (C-1'), 121.8 (C-6'), 116.6 (C-5'), 115.0 (C-2'), 104.7 (C-1"), 103.2 (C-10), 100.4 (C-6), 94.8 (C-8), 76.0 (C-5"), 74.2 (C-3"), 72.2 (C-2"), 68.8 (C-4"), 60.8 (C-6").
실시예 2-7. 비텍신(화합물 7)
vitexin;
yellow amorphous powder;
M.W. : 432.38;
m.p. : 253-255℃;
IR (KBr) ν max -1 : 3382, 3245 (OH), 1652 (C=O), 1616 (C=C);
MS (FAB) m/z : 433 [M+H]+;
1H-NMR (methanol-d 4 , 400 ㎒) δ : 7.39 (2H, d, J = 8.5 ㎐, H-2', 6'), 6.67 (2H, d, J = 8.5 ㎐, H-3', 5'), 6.51 (1H, s, H-3), 6.35 (1H, s, H-6), 4.47 (1H, d, J = 5.1 ㎐, H-1"), 3.64 - 3.12 (6H, m, sugar moieties);
13C-NMR (methanol-d 4 , 100 ㎒) δ : 180.2 (C-4), 164.2 (C-2), 163.9 (C-7), 159.9 (C-5), 159.3 (C-4'), 157.6 (C-9), 129.2 (C-2', 6'), 123.9 (C-1'), 119.0 (C-3', 5'), 105.4 (C-10), 102.7 (C-3), 102.7 (C-8), 97.2 (C-6), 82.3 (C-5"), 78.2 (C-3"), 76.4 (C-1"), 74.3 (C-4"), 71.2 (C-2"), 63.1 (C-6").
실시예 2-8. 레피도사이드(화합물 8)
lepidoside;
yellow amorphous solid;
M.W. : 564.50;
m.p. : 250-252℃;
IR (KBr) ν max -1 : 3376 (OH), 2983, 2935, 1660 (C=O), 1606 (C=C), 1451 (C-O);
MS (FAB) m/z : 565 [M+H]+;
1H-NMR (pyridine-d 5 , 400 ㎒) δ : 8.49 (2H, d, J = 8.8 ㎐, H-2', 6'), 7.24 (2H, d, J = 8.8 ㎐, H-3', 5'), 7.00 (1H, d, J = 2.1 ㎐, H-8), 6.81 (1H, d, J = 2.1 ㎐, H-6), 6.27 (1H, d, J = 1.5 ㎐, Rha H-1"'), 6.22 (1H, d, J = 5.7 ㎐, Ara H-1"), 4.91 (1H, m, Ara H-5"'), 4.90 (1H, m, Ara H-2"), 4.73 (1H, m, Rha H-5"'), 4.66 (1H, dd, J = 3.4, 9.1 ㎐, Rha H-2"'), 4.44 (2H, m, Rha H-3"', 4"'), 4.33 (1H, m, Ara H-3"), 3.84 (1H, m, Ara H-4"), 1.68 (3H, d, J = 7.2 ㎐, Rha H-6"');
13C-NMR (pyridine-d 5 , 100 ㎒) δ : 178.1 (C-4), 161.8 (C-7), 161.4 (C-5), 161.0 (C-4'), 156.9 (C-9), 156.2 (C-2), 134.0 (C-3), 131.1 (C-2', 6'), 122.0 (C-1), 120.8 (C-1'), 115.3 (C-3', 5'), 105.9 (Ara C-1"), 102.8 (Rha C-1"'), 99.4 (C-10), 99.1 (C-6), 93.9 (C-8), 73.0 (Ara C-3"), 72.6 (Rha C-5"'), 71.8 (Rha C-4"'), 71.5 (Ara C-2"), 70.7 (Rha C-2"'), 70.5 (Ara C-4"), 67.1 (Rha C-3"'), 65.4 (Ara C-5"), 17.4 (Rha C-6"').
실시예 2-9. 루틴(화합물 9)
rutin;
yellow amorphous solid;
M.W. : 610.52;
m.p. : 189-190℃;
IR (KBr) ν max -1 : 3440 (OH), 1662 (C=O), 1606 (C=C), 1450 (C-O);
MS (FAB) m/z : 611 [M+H]+;
1H-NMR (pyridine-d 5 , 400 ㎒) δ : 13.10 (1H, s, 5-OH), 8.38 (1H, d, J = 2.2 ㎐, H-2'), 8.14 (1H, d, J = 2.2, 8.4 ㎐, H-6'), 7.37 (1H, d, J = 8.4 ㎐, H-5'), 6.69 (1H, d, J = 2.1 ㎐, H-8), 6.65 (1H, d, J = 2.1 ㎐, H-6), 6.01 (1H, d, J = 7.41 ㎐, Glu H-1"), 5.37 (1H, s, Rha H-1"'), 4.57 - 4.02 (12H, m, sugar moieties), 1.54 (3H, d, J = 5.8 ㎐, Rha H-6"');
13C-NMR (pyridine-d 5 , 100 ㎒) δ : 174.4 (C-4), 161.7 (C-7), 158.4 (C-5), 153.8 (C-9), 153.5 (C-2), 146.5 (C-4'), 142.5 (C-3'), 131.1 (C-3), 118.7 (C-1'), 118.1 (C-6'), 113.7 (C-2'), 112.1 (C-5'), 100.9 (C-10), 100.7 (C-1"), 98.4 (C-1"'), 95.6 (C-6), 90.4 (C-8), 74.4 (C-5"), 73.2 (C-3"), 71.7 (C-2"), 69.8 (C-4"'), 68.3 (C-2"'), 67.9 (C-3"'), 66.9 (C-4"), 65.4 (C-5"'), 64.3 (C-6"), 14.3 (C-6"').
실시예 2-10. 프라텐세인(화합물 10)
pratensein;
yellow amorphous solid;
M.W. : 300.27;
m.p. : 272-273℃;
IR (KBr) ν max -1 : 3426 (OH), 1665 (C=O), 1690 (C=C), 1464, 1449;
MS (FAB) m/z : 301 [M+H]+;
1H-NMR (acetone-d 6 , 400 ㎒) δ : 12.76 (1H, s, OH), 8.18 (1H, S, H-2), 7.22 (1H, dd, J = 1.5, 7.3 ㎐, H-6'), 6.54 (1H, s, H-2'), 6.53 (1H, dd, J = 2.0, 7.8 ㎐, H-5'), 6.46 (1H, d, J = 2.1 ㎐, H-8), 6.32 (1H, d, J = 2.1 ㎐, H-6), 3.79 (3H, s, OCH3);
13C-NMR (acetone-d 6 , 100 ㎒) δ : 181.5 (C-4), 164.6 (C-7), 163.0 (C-5), 161.7 (C-4'), 158.4 (C-9), 157.0 (C-3'), 156.0 (C-2), 132.2 (C-6'), 121.4 (C-1'), 111.3 (C-3), 105.9 (C-2'), 105.4 (C-10), 102.6 (C-5'), 99.4 (C-6), 93.9 (C-8), 54.9 (OCH3).
실시예 2-11. 푸에라린(화합물 11)
puerarin;
white amorphous solid;
M.W. : 416.38;
m.p. : 187-188℃;
IR (KBr) ν max -1 : 3434 (OH), 1668 (C=O), 1602 (C=C);
MS (FAB) m/z : 417 [M+H]+;
1H-NMR (methanol-d 4 , 400 ㎒) δ : 8.21 (1H, s, H-2), 8.01 (1H, d, J = 8.8 ㎐, H-5), 7.40 (2H, d, J = 8.4 ㎐, H-2', 6'), 6.87 (1H, d, J = 8.8 ㎐, H-6), 6.85 (2H, J = 8.4 ㎐, H-3', 5'), 5.12 (1H, d, J = 9.0 ㎐, H-1"), 3.92 - 3.21 (5H, m, sugar moieties);
13C-NMR (methanol-d 4 , 100 ㎒) δ : 177.1 (C-4), 161.8 (C-7), 157.5 (C-9), 153.3 (C-4'), 153.3 (C-2), 130.2 (C-2', 6'), 126.9 (C-1'), 126.9 (C-5), 124.4 (C-3), 123.0 (C-10), 115.0 (C-3', 5'), 114.1 (C-6), 112.5 (C-8), 81.6 (C-5"), 78.8 (C-3"), 75.3 (C-1"), 71.8 (C-4"), 70.5 (C-2"), 62.2 (C-6").
실시예 2-12.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 O - β -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
5,7-dihydroxy-4'-methoxyisoflavone-2'-O-β-D-glucopyranoside;
yellow needle;
M.W. : 461.41;
m.p. : 220-221℃;
Figure pat00007
: -65.3°(c 0.001, DMSO);
UV (MeOH) λmax (logε) : 260 (4.56) ㎚;
IR (KBr) ν max -1 : 3566 (glycoside), 3370 (OH), 1651 (C=O), 1613 (C=C), 1071 (C-O);
MS (HR-FAB) m/z : 463.1237 [M+H]+;
1H-NMR (pyridine-d 5 , 400 ㎒) δ : 8.55 (1H, s, H-2), 7.64 (1H, d, J = 8.5 ㎐, H-6'), 7.43 (1H, d, J = 2.5 ㎐, H-3'), 6.80 (1H, dd, J = 2.5, 8.5 ㎐, H-5'), 6.72 (1H, d, J = 2.1 ㎐, H-8), 6.54 (1H, d, J = 2.1 ㎐, H-6), 5.62 (1H, d, J = 7.8 ㎐, H-1"), 4.57 (1H, dd, J = 2.2, 11.9 ㎐, H-6"a), 4.35 (1H dd, J = 4.3, 7.8 ㎐, H-6"b), 4.31 (1H, t, J = 8.9 ㎐, H-3"), 4.24 (1H, m, H-2"), 4.21 (1H, m, H4"), 4.12 (1H, m, H-5"), 3.72 (3H, s, OCH3);
13C-NMR (pyridine-d 5 , 100 ㎒) δ : 181.9 (C-4), 166.4 (C-7), 164.1 (C-5), 162.0 (C-4'), 159.1 (C-9), 157.9 (C-2'), 157.3 (C-2), 133.8 (C-6'), 120.4 (C-3), 113.8 (C-1'), 108.4 (C-5'), 106.5 (C-10), 103.5 (C-3'), 103.5 (C-1"), 100.6 (C-8), 95.2 (C-6), 79.7 (C-5"), 79.2 (C-3"), 75.4 (C-2"), 71.9 (C-4"), 63.0 (C-6"), 55.9 (OCH3).
실시예 2-13. 7-메톡시-4',5-디히드록시플라본-(3- O -7")-4"',5"-디히드록시플라본(화합물 13)
7-methoxy-4',5-dihydroxyflavone-(3-O-7")-4"',5"-dihydroxyflavone;
yellow amorphous powder;
M.W. : 552.49;
m.p. : 225-226℃;
IR (KBr) ν max -1 : 3310 (OH), 1656 (C=O), 1610 (C=C), 1452 (C-O);
Figure pat00008
: +7.2°(c 0.001, MeOH);
UV (MeOH) λmax (log ε) : 225 (4.82), 267 (4.76), 365 (4.64) nm;
MS (HR-FAB) m/z : 553.1140 [M+H]+;
1H-NMR (pyridine-d 5 , 600 ㎒) δ : 8.04 (2H, d, J = 8.7 ㎐, H-2', 6'), 8.02 (2H, d, J = 8.7 ㎐, H-2"', 6"'), 7.39 (2H, d, J = 8.7 ㎐, H-3"', 5"'), 7.34 (2H, d, J = 8.7 ㎐, H-3', 5'), 7.04 (1H, d, J = 1.3 ㎐, H-8), 6.97 (1H, d, J = 1.9 ㎐, H-8"), 6.97 (1H, s, H-3"), 6.81 (1H, d, J = 1.3 ㎐, H-6"), 6.76 (1H, d, J = 1.3 ㎐, H-6), 3.89 (3H, s, OCH3);
13C-NMR (pyridine-d 5 , 100 ㎒) δ : 181.9 (C-4), 181.5 (C-4"), 164.8 (C-5), 164.0 (C-2), 162.6 (C-2"), 161.9 (C-4'), 161.9 (C-5"), 160.5 (C-4"'), 157.6 (C-7), 157.3 (C-7"), 153.7 (C-9"), 152.7 (C-9), 128.0 (C-2', 6'), 127.5 (C-2"', 6"'), 125.0 (C-3), 124.3 (C-1"'), 120.8 (C-1'), 115.9 (C-3', 5'), 114.8 (C-3"', 5"'), 106.4 (C-10), 105.2 (C-10"), 103.8 (C-3"), 102.8 (C-6"), 98.9 (C-6), 93.7 (C-8), 90.8 (C-8"), 57.0 (OCH3).
실시예 2-14. 1,3,6-트리히드록시-잔톤(화합물 14)
1,3,6-trihydroxy-xanthone;
red amorphous solid;
M.W. : 244.20;
m.p. : 251-253℃;
IR (KBr) ν max -1 : 3325 (OH), 1640 (C=O), 1595 (C=C), 1500;
MS (FAB) m/z : 246 [M+H]+;
1H-NMR (acetone-d 6 , 400 ㎒) δ : 12.98 (1H, s, OH), 7.82 (1H, d, J = 8.4 ㎐, H-8), 7.14 (1H, d, J = 2.0 ㎐, H-5), 7.02 (1H, dd, J = 2.0, 8.4 ㎐, H-7), 6.60 (1H, d, J = 2.0 ㎐, H-4), 6.37 (1H, d, J = 2.0 ㎐, H-2).
13C-NMR (acetone-d 6 , 100 ㎒) δ : 178.9 (C=O), 163.7 (C-1), 163.4 (C-3), 156.6 (C-6), 155.5 (C-4a), 150.7 (C-10a), 121.7 (C-8), 114.5 (C-8a), 114.0 (C-7), 103.8 (C-9a), 100.1 (C-2), 98.9 (C-5), 95.0 (C-4).
실시예 2-15. 바닐산(화합물 15)
vanillic acid;
white powder;
M.W. : 168.15;
m.p. : 210-211℃;
IR (KBr) ν max -1 : 3480 (COOH), 3200 (OH), 1675, 1594, 1468;
MS (EI) m/z : 168 [M]+;
1H-NMR (methanol-d 4 , 400 ㎒) δ : 7.37 (1H, d, J = 0.9 ㎐, H-2), 7.35 (1H, dd, J = 0.9, 8.7 ㎐, H-6), 6.83 (1H, d, J = 8.7 ㎐, H-5), 3.89 (3H, s, OCH3);
13C-NMR (methanol-d 4 , 100 ㎒,) δ : 170.2 (COOH), 152.8 (C-4), 148.8 (C-3), 125.4 (C-6), 123.2 (C-1), 116.0 (C-2), 113.9 (C-5), 56.5 (OCH3).
실시예 2-16. 페룰산(화합물 16)
ferulic acid;
white powder;
M.W. : 194.19;
m.p. : 168-169℃;
IR (KBr) ν max -1 : 3350 (COOH), 3160 (OH), 1701, 1645, 1552, 850;
MS (EI) m/z : 194 [M]+;
1H-NMR (methanol-d 4 , 400 ㎒) δ : 7.57 (1H, d, J = 17.9 ㎐, H-7), 7.17 (1H, d, J = 1.9 ㎐, H-2), 7.04 (1H, dd, J = 8.2, 2.0 ㎐, H-6), 6.80 (1H, d, J = 8.2 ㎐, H-5), 6.31 (1H, d, J = 15.9 ㎐, H-8), 3.86 (3H, s, OCH3);
13C-NMR (methanol-d 4 , 400 ㎒) δ : 171.4 (COOH), 151.0 (C-3), 149.8 (C-4), 147.4 (C-7), 128.2 (C-1), 124.5 (C-6), 116.9 (C-5), 116.4 (C-8), 112.1 (C-2), 56.9 (OCH3).
실시예 2-17. 4-프로폭시페놀(화합물 17)
4-propoxyphenol;
white powder;
M.W. : 152.19;
m.p. : 56-58℃;
IR (KBr) ν max -1 : 3357 (OH), 1609 (C=C);
MS (EI) m/z : 152 [M]+;
1H-NMR (chloroform-d, 400 ㎒) δ : 8.20 (2H, d, J = 8.8 ㎐, H-3, 5), 7.13 (2H, d, J = 8.8 ㎐, H-8), 4.50 (2H, t, J = 6.6 ㎐, H-7), 2.03 (2H, m, H-8), 1.27 (3H, t, J = 7.43 ㎐, H-9);
13C-NMR (chloroform-d, 100 ㎒,) δ : 167.4 (C-1), 160.7 (C-4), 132.1 (C-3, 5), 115.5 (C-2, 6), 66.8 (C-7), 22.3 (C-8), 10.7 (C-9).
실시예 2-18. 트랜스-레스베라트롤(화합물 18)
trans-resveratrol;
white powder;
M.W. : 228.24;
m.p. : 261-263℃;
IR (KBr) ν max -1 : 3300 (OH), 1590, 1509, 1151, 967;
MS (EI) m/z : 228 [M]+;
1H-NMR (methanol-d 4 , 600 ㎒) δ : 7.34 (2H, d, J = 8.6 ㎐, H-2', 6'), 6.95 (1H, d, J = 16.3 ㎐, H-7a), 6.79 (1H, d, J = 16.9 ㎐, H-7b), 6.77 (2H, d, J = 8.7 ㎐, H-3', 5'), 6.47 (2H, d, J = 2.2 ㎐, H-2, 6), 6.19 (1H, t, J = 2.1 ㎐, H-4);
13C-NMR (methanol-d 4 , 150 ㎒,) δ : 158.1 (C-3, 5), 156.8 (C-4'), 134.0 (C-1), 129.1 (C-1'), 128.1 (C-7), 127.4 (C-2', 6'), 125.6 (C-7'), 115.2 (C-3', 5'), 104.5 (C-2, 6), 101.4 (C-4).
실시예 2-19. α -D-Gal p -(1→3)- β -D-Gal p -(1→4)- β -D-Glc p (화합물 19)
transparent crystal;
M.W. : 504.44;
m.p. : 181-182℃;
MS (EI) m/z : 504 [M]+;
1H-NMR (methanol-d 4 , 400 ㎒) δ : 5.07 (1H, d, J = 3.8 ㎐, Glc H-1"), 4.48 (2H, d, J = 7.9 ㎐, H-1, 1'), 3.73 (2H, dd, J = 2.1, 12.2 ㎐, H-3', 3"), 3.67 - 3.26 (14H, m), 3.08 (2H, dd, J = 8.0, 9.1 ㎐, H-4', 4");
13C-NMR (methanol-d 4 , 62.5 ㎒,) δ : 98.7 (C-1, 1'), 94.9 (C-1"), 78.8 (C-4', 4"), 78.6 (C-5, 5'), 77.0 (C-3, 5"), 75.6 (C-2'), 74.3 (C-3'), 74.3 (C-2), 72.5 (C-3"), 72.5 (C-2"), 72.4 (C-4), 63.6 (C-6', 6"), 63.4 (C-6).
실시예 2-20. 메틸숙신산 무수물(화합물 20)
methylsuccinic anhydride;
white powder;
M.W. : 114.10;
m.p. : 35-37℃;
IR (KBr) ν max -1 : 2984, 1704 (C=O);
MS (EI) m/z : 114 [M]+;
1H-NMR (methanol-d 4 , 400 ㎒) δ : 2.83 (1H, m, H-3), 2.67 (1H, dd, J = 7.8, 16.5 ㎐, H-4β), 2.40 (1H, J = 3.0, 13.8 ㎐, H-4α), 1.22 (3H, d, J = 6.4 ㎐, H-CH3);
13C-NMR (methanol-d 4 , 100 ㎒,) δ : 179.3 (C-2), 175.6 (C-5), 38.4 (C-4), 37.0 (C-3), 17.5 (CH3).
실시예 2-21. 시나필 알코올 4- O - β -D- 글루코사이드 (화합물 21)
sinapyl alcohol 4-O-β-D-glucoside;
white powder;
M.W. : 372.37;
m.p. : 192-193℃;
IR (KBr) ν max -1 : 3450 (OH), 1681, 1560 (C=C);
MS (FAB) m/z : 373 [M+H]+;
1H-NMR (methanol-d 4 , 600 ㎒) δ : 6.75 (2H, s, H-2, 6), 6.54 (1H, d, J = 17.5 ㎐, H-1'), 6.32 (1H, dt, J = 5.6, 16.8 ㎐, H-2'), 4.87 (1H, d, J = 7.6 ㎐, H-1"), 4.22 (2H, d, J = 5.5 ㎐, H-3'), 3.78 (6H, s, OCH3), 3.78 (1H, dd, J = 2.1, 12.0 ㎐, H-2"), 3.67 (1H dd, J = 5.1, 12.0 ㎐, H-3"), 3.48 (1H, m, H-4"), 3.42 (2H, d, J = 9.0 ㎐, H-6"), 3.21 (1H, m, H-5");
13C-NMR (methanol-d 4 , 150 ㎒,) δ : 152.9 (C-3, 5), 134.4 (C-4), 133.9 (C-1), 129.8 (C-1'), 128.6 (C-2'), 104.1 (C-2, 6), 103.9 (C-1"), 76.9 (C-5"), 76.4 (C-3"), 74.3 (C-2"), 69.9 (C-4"), 62.1 (C-3'), 61.1 (C-6"), 55.6 (OCH3).
실시예 2-22. 헥사데칸산(화합물 22)
hexadecanoic acid;
white powder;
M.W. : 256.43;
m.p. : 63-64℃;
MS (GC-EI) m/z : 256 [M]+;
1H-NMR (chloroform-d, 250 ㎒) δ : 2.33 (2H, t, J = 7.5 ㎐, H-15), 1.61 (2H, m, H-14), 1.24 (24H, m, H-2 - H-13), 0.85 (3H, t, J = 7.0 ㎐, H-1);
13C-NMR (chloroform-d, 62.5 ㎒,) δ : 181.0 (C-16), 34.5 (C-15), 32.3 (C-3), 32.0 - 29.5 (C-4 - 14), 25.1 (C-14), 23.1 (C-2), 14.5 (C-1).
실시예 2-23. 에틸 헥사데카노에이트(화합물 23)
ethyl hexadecanoate;
white powder;
M.W. : 284.48;
m.p. : 192-194℃;
MS (GC-EI) m/z : 284 [M]+;
1H-NMR (chloroform-d, 250 ㎒) δ : 4.14 (2H, t, J = 7.1 ㎐, H-17), 2.30 (2H, t, J = 5.0 ㎐, H-15), 1.63 (2H, m, H-14), 1.29 (27H, m, H-2 - H-13 and H-18), 0.90 (6H, t, J = 7.04 ㎐, H-1);
13C-NMR (chloroform-d, 62.5 ㎒) δ : 174.1 (C-16), 60.4 (C-17), 32.2 (C-15), 29.9 - 29.4 (C-3 - C-14), 29.4 (C-2), 14.5 (C-18), 14.3 (C-1).
<실시예 3.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의 저해활성 측정>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에 의해 기질인 p-니트로페닐 인산염(p-nitrophenyl phosphate, p-NPP)이 p-니트로페놀(p-nitrophenol, p-NP)로 변화되면서 노란색을 나타내므로 405㎚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Cui, L. et al., 16, 1426-1429, 2006).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PTP1B, human, recombinant)는 BIOMOL® International LP(Plymouth Meeting, PA)에서 구입하였다. 96웰 플레이트(96 wells microtiter plate)에 최종 부피 200㎕로 완충액(50mM citrate(pH 6.0), 0.1M NaCl, 1mM EDTA 및 1mM dithiothreitol(DTT))에 0.05~0.1㎍의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와 2mM p-니트로페닐 인산염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이 각각 포함된 혼합 처리물을 만들었으며 대조군으로는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의 저해제 중 하나인 우르솔산(ursolic acid)을 사용하였다.
상기 혼합 처리물을 37℃에 30분간 반응한 후, 10M 수산화나트륨(10M NaOH)을 처리하여 반응을 종결시켰으며, 최종 남아있는 p-니트로페닐 인산염의 양을 405㎚에서 확인하였다. 각 화합물의 활성은 하기 표 1에 IC50(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으로 나타내었다.
조건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 저해 효과 (IC50)
실시예 1의 청미래덩굴 잎의
70%[v/v]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187.9㎍/㎖
실시예 1의 청미래덩굴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55.4㎍/㎖
실시예 1의 청미래덩굴 뿌리의
70%[v/v]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235.2㎍/㎖
화합물 1 20.1㎍/㎖ (67.1μM)
화합물 2 2.3㎍/㎖ (7.6μM)
화합물 3 17.2㎍/㎖ (63.3μM)
화합물 4 4.7㎍/㎖ (10.8μM)
화합물 6 0.4㎍/㎖ (0.9μM)
화합물 10 2.9㎍/㎖ (9.8μM)
화합물 11 22.1㎍/㎖ (53.0μM)
화합물 12 16.3㎍/㎖ (35.3μM)
화합물 13 1.5㎍/㎖ (2.7μM)
화합물 14 5.9㎍/㎖ (24.2μM)
화합물 16 10.6㎍/㎖ (54.4μM)
화합물 18 2.9㎍/㎖ (12.5μM)
화합물 22 2.7㎍/㎖ (10.5μM)
우르솔산 0.5㎍/㎖ (1.2μM)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실시예 1의 청미래덩굴 추출물에 비해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에 대한 저해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여 비만 또는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4. 알파-글루코시다아제의 저해활성 측정>
알파-글루코시다아제의 기질인 p-니트로페닐-알파-D-글루코시드(p-nitrophenyl-α-D-glucoside, p-NG)가 p-니트로페놀(p-nitrophenol, p-NP)로 변화되면서 노란색을 나타내므로 405㎚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20㎕의 알파-글루코시다아제(0.25U/㎖, Sigma)와 65㎕의 인산 완충액(50mM phosphate buffer, pH 6.8)및 DMSO에 용해된 각각의 화합물(37℃에서 10분간 사전 반응함) 15㎕를 섞어주었다. 이후, 3mM의 p-니트로페닐-알파-D-글루코시드 100㎕를 취해서 상기 혼합 처리물에 넣어 37℃에서 30분 동안 반응한 뒤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알파-글루코시다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각 화합물의 활성은 하기 표 2에 IC50(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으로 나타내었다.
 조건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효과 (IC50)
화합물 1 8.7μM
화합물 2 81.7μM
화합물 3 44.3μM
화합물 4 35.1μM
화합물 5 35.9μM
화합물 6 8.0μM
화합물 7 26.3μM
화합물 9 194.5μM
화합물 10 62.7μM
화합물 11 195.6μM
화합물 13 11.3μM
화합물 14 70.1μM
화합물 17 127.1μM
화합물 18 38.7μM
화합물 22 35.7μM
아카보즈 175.8μM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알파-글루코시다아제에 대해 7~200μM의 IC50을 나타내어 당뇨 또는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의 억제 활성 확인>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Sigma)는 돼지 신장으로부터 추출한 것을 구입하였고, 효소 활성은 Gly-Pro-p-니트로아닐라이드(Gly-Pro-p-nitroanilide)를 기질로 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00mM Gly-NaOH(pH 8.6)가 포함된 용액에 최종 부피가 200㎕이 되도록 하여 Gly-Pro-p-니트로아닐라이드(0.75mM),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1.1 Unit) 및 각 화합물 또는 양성대조군인 리나글립틴(linagliptin)을 처리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 처리물을 37℃에서 30분간 반응한 후 10M NaOH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p-니트로아닐라이드이 생성된 양을,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0.75mM Gly-Pro-p-니트로아닐라이드를 기준으로 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조건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의 억제 활성(IC50)
화합물 4 20.8μM
화합물 7 33.1μM
화합물 8 43.6μM
화합물 9 32.9μM
화합물 17 71.0μM
리나글립틴 0.14μM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에 대해 20~72μM의 IC50을 나타내어 비만 또는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가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6. 독성실험>
실시예 6-1. 급성독성
본 발명의 본 발명의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를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하였을 때 급성적(24시간 이내)으로 동물 체내에 미치는 독성을 조사하고, 치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마우스인 ICR 마우스를 20마리를 준비하였고, 각 군별로 10마리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는 30% PEG-400만을 투여하고, 실험군은 본 발명의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를 1.0g/㎏의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상기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를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모두 생존하였다.
실시예 6-2. 실험군 및 대조군의 장기 및 조직 독성 실험
장기 독성 실험은 C57BL/6J 생쥐를 대상으로 동물의 각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를 1.0g/㎏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과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동물들로부터 8주 후 혈액을 채취하여 GPT(glutamate-pyruvate transferase) 및 BUN(blood urea nitrogen)의 혈액 내 농도를 Select E(vital scientific NV, Netherland)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GPT와 신장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BUN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간과 신장을 절취하여 통상적인 조직절편 제작과정을 거쳐 광학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나 특이한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2.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의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를 0.2~10.0 중량%로 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를 0.1~5.0 중량%로 하여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를 0.1~1.0 중량%로 하여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를 0.1~1.0 중량%로 하여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5.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를 0.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6.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를 0.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3)

  1. 청미래덩굴(Smilax china)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의 캠퍼라이드(화합물 1), 모린(화합물 2), 나린게닌(화합물 3), 캠퍼롤-7-O-α-L-람노피라노사이드(화합물 4), 캠퍼롤-3-O-α-L-람노피라노사이드(화합물 5), 케르세틴-4'-O-β-D-글루코사이드(화합물 6), 비텍신(화합물 7), 레피도사이드(화합물 8), 루틴(화합물 9), 프라텐세인(화합물 10), 푸에라린(화합물 11),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 7-메톡시-4',5-디히드록시플라본-(3-O-7")-4"',5"-디히드록시플라본(화합물 13), 1,3,6-트리히드록시-잔톤(화합물 14), 페룰산(화합물 16), 4-프로폭시페놀(화합물 17), 트랜스-레스베라트롤(화합물 18) 및 헥사데칸산(화합물 22)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만 또는 당뇨병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dipeptidyl peptidase IV)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하여 약제학적 투여형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청미래덩굴(Smilax china)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의 캠퍼라이드(화합물 1), 모린(화합물 2), 나린게닌(화합물 3), 캠퍼롤-7-O-α-L-람노피라노사이드(화합물 4), 캠퍼롤-3-O-α-L-람노피라노사이드(화합물 5), 케르세틴-4'-O-β-D-글루코사이드(화합물 6), 비텍신(화합물 7), 레피도사이드(화합물 8), 루틴(화합물 9), 프라텐세인(화합물 10), 푸에라린(화합물 11),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 7-메톡시-4',5-디히드록시플라본-(3-O-7")-4"',5"-디히드록시플라본(화합물 13), 1,3,6-트리히드록시-잔톤(화합물 14), 페룰산(화합물 16), 4-프로폭시페놀(화합물 17), 트랜스-레스베라트롤(화합물 18) 및 헥사데칸산(화합물 22)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만 또는 당뇨병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효소 1B(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dipeptidyl peptidase IV)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2. 청미래덩굴(Smilax china)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하기 화학식 2의 캠퍼라이드(화합물 1), 모린(화합물 2), 나린게닌(화합물 3), 케르세틴-4'-O-β-D-글루코사이드(화합물 6), 비텍신(화합물 7), 레피도사이드(화합물 8), 프라텐세인(화합물 10), 푸에라린(화합물 11),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 7-메톡시-4',5-디히드록시플라본-(3-O-7")-4"',5"-디히드록시플라본(화합물 13), 1,3,6-트리히드록시-잔톤(화합물 14), 바닐산(화합물 15), 4-프로폭시페놀(화합물 17), α-D-Galp-(1→3)-β-D-Galp-(1→4)-β-D-Glcp(화합물 19), 메틸숙신산 무수물(화합물 20), 시나필 알코올 4-O-β-D-글루코사이드(화합물 21), 헥사데칸산(화합물 22) 및 에틸 헥사데카노에이트(화합물 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분리하는 방법.
    [화학식 2]
    Figure pat00013
  13. 하기 화학식 3의 신규 화합물 5,7-디히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2'-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12) 또는 7-메톡시-4',5-디히드록시플라본-(3-O-7")-4"',5"-디히드록시플라본(화합물 13).
    [화학식 3]
    Figure pat00014
KR1020150046356A 2015-04-01 2015-04-01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6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356A KR101706156B1 (ko) 2015-04-01 2015-04-01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356A KR101706156B1 (ko) 2015-04-01 2015-04-01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72A true KR20160118072A (ko) 2016-10-11
KR101706156B1 KR101706156B1 (ko) 2017-02-13

Family

ID=5716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356A KR101706156B1 (ko) 2015-04-01 2015-04-01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1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8964A (zh) * 2017-04-25 2017-08-11 河南大学 山柰酚‑7‑O‑α‑L‑鼠李糖苷在制备预防和治疗新陈代谢综合征药物方面的应用
CN110256512A (zh) * 2019-07-09 2019-09-20 青海师范大学 一种从矮生二裂委陵菜中提取的α-葡萄糖苷酶抑制剂
WO2023048305A1 (ko) * 2021-09-24 2023-03-30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86B1 (ko) 2012-03-30 2013-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40102864A (ko) 2013-02-15 2014-08-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29355A (ko) * 2013-09-10 2015-03-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잎 분획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86B1 (ko) 2012-03-30 2013-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40102864A (ko) 2013-02-15 2014-08-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29355A (ko) * 2013-09-10 2015-03-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잎 분획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n, X. Biochemical properties of recombinat prolyl prolyl dipeptidases DPP-IV and DPP8, Adv. Exp. Med. Biol., 575, 27-32, 2006.
Cui, L. et al.,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from Morus root bark, Bioorg. Med. Chem. Lett., 16(5), 1426-1429, 2006.
Danaei, G. et al.,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trends in fasting plasma glucose and diabetes prevalence since 1980: systematic analysis of health examination surveys and epidemiological studies with 370 country-years and 2·7 million participants, Lancet, 378(9785), 31-40, 2011.
Elchebly, M. et al., Increased insulin sensitivity and obesity resistance in mice lacking th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1B gene, Science, 283(5407), 1544-1548, 1999.
Hossain, P. et al., Obesity and diabetes in the developing world-a growing challenge, Engl. J. Med., 356(3), 213-215, 2007.
Johnson, T. O. et al.,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for diabetes, Nat. Rev. Drug. Discov., 1(9), 696-709, 2002.
Kameoka, J. et al., Direct association of adenosine deaminase with a T cell activation antigen CD26, Science, 261, 466-469, 1993.
Klaman, L. D. et al., Increased energy expenditure, decreased adiposity, and tissue-specific insulin sensitivity in protein-tyrosine phosphatase 1B-deficient mice, Mol. Cell. Biol., 20(15), 5479-5489, 2000.
Lankas, G.R. et al., Dipeptidyl peptidase IV inhibition for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potential importance of selectivity over dipeptidyl peptidases 8 and 9, Diabetes, 54, 2988-2994, 2005.
Malamas, M. S. et al., New azolidinediones as inhibitors of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with antihyperglycemic properties, J. Med. Chem., 43(5), 995-1010, 2000.
Tewari, N. et al., Synthesis and bioevaluation of glycosyl ureas as alpha-glucosidase inhibitors and their effect on mycobacterium, Bioorg. Med. Chem., 11(13), 2911-2922, 2003.
Thareja, S. et al.,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s: a molecular level legitimate approach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Med. Res. Rev., 32(3), 459-517, 2012.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8964A (zh) * 2017-04-25 2017-08-11 河南大学 山柰酚‑7‑O‑α‑L‑鼠李糖苷在制备预防和治疗新陈代谢综合征药物方面的应用
CN110256512A (zh) * 2019-07-09 2019-09-20 青海师范大学 一种从矮生二裂委陵菜中提取的α-葡萄糖苷酶抑制剂
CN110256512B (zh) * 2019-07-09 2022-07-15 青海师范大学 一种从矮生二裂委陵菜中提取的α-葡萄糖苷酶抑制剂
WO2023048305A1 (ko) * 2021-09-24 2023-03-30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156B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97269B (zh) 查尔酮类化合物在制备抗炎药物中的应用
KR101062670B1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664361B1 (en) Extract of fraxinus excelsior seed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therefor
KR101818084B1 (ko) 석송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ⅱ
KR101841092B1 (ko) 진통에 유효한 초피 잎 추출물의 분획물
KR101706156B1 (ko)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9554B1 (ko) 골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그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 식품, 그리고 그 조성물을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 제제
KR101779391B1 (ko)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34624B1 (ko) 디디에이에이치를 활성화시키는 감초 유래의 칼콘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췌장 베타세포 사멸 및 당뇨병성 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2247B1 (ko) 부처손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78273B1 (ko) 만병초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8404B1 (ko) 아네모네 리불라리스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화합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86999B1 (ko) 귀전우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6916B1 (ko) 베타-카르볼린 알칼로이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6966B1 (ko) 상백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38901B1 (ko) 육두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1140B1 (ko)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485162B1 (ko) 소듐 로바레이트를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38172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86537B1 (ko) 귀전우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52467B1 (ko) 크레이스토카릭스 오페르쿠라투스로부터 얻은 피피에이알-감마 작용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83309B1 (ko) 자주색만년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3279A (ko) 에리스리나 아비시니카로부터 얻은 에이엠피케이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6326B1 (ko) 가시박으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7674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