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48305A1 -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48305A1
WO2023048305A1 PCT/KR2021/013028 KR2021013028W WO2023048305A1 WO 2023048305 A1 WO2023048305 A1 WO 2023048305A1 KR 2021013028 W KR2021013028 W KR 2021013028W WO 2023048305 A1 WO2023048305 A1 WO 20230483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food
obes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302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은경
조영락
이정아
홍성수
최춘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Priority to PCT/KR2021/01302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48305A1/ko
Publication of WO20230483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483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antihyperlipidemia or anti-obesity using an extract of Smilax sieboldii .
  • Hyperlipidemia is one of the major risk factors for heart circulatory diseases such as cerebrovascular diseases, and refers to a state in which lipids such as cholesterol, phospholipids, and triglycerides are abnormally increased in the blood. Hyperlipidemia can appear in three forms: (i) hypercholesterolemia (ii) hypertriglyceridemia and (ii) their combined hyperlipidemia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triglyceridemia). Hyperlipidemia itself does not show its own symptoms, but if there is a lot of fat in the blood, it can stick to the walls of blood vessels and cause arteriosclerosis, anemia, myocardial infarction, cerebrovascular disease, and peripheral vascular occlusion (E. Falk et al. al., Circulation 92, 657-671, 1995).
  • Drugs used to treat hyperlipidemia include drugs that lower cholesterol in the blood, such a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or bile acid-binding resins, drugs that lower blood triglycerides, such as fibrate derivatives or nicotinic acid derivatives, Drugs that promote lipid metabolism, such as heparin derivatives, are known. However, these drugs have been reported to have side effects such as liver toxicity, gastrointestinal disorder, cholelithiasis, and carcinogenicity.
  • 3T3-L1 which is a pre-adipocyte derived from mouse embryos, is a pre-adipocyte that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 vitro model in drug screening for obesity, hyperlipidemia, etc., and mechanism research of abnormal lipid metabolism diseases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20(1):157-167, 2015; Prev Nutr Food Sci (17):1 ⁇ 7, 2012: J. Antibiot. It differentiates into adipocytes through a complex process involving hormone sensitivity, gene and protein expression, etc.
  • PPAR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
  • C/EBP family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 C/EBR ⁇ and C/EBR ⁇ C/EBR ⁇
  • C/EBR ⁇ and PPAR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
  • adipocyte-specific proteins aP2, FAS, GLUT4, LPL, leptin
  •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the antihyperlipidemic activity and antiobesity activity of an extract of Poison Ivy, based on the activity of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a mouse-derived preadipocyte, and the activity of inhibiting fat accumula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antihyperlipidemia using a black vine extrac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anti-obesity using the extract of black vine.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extract of Poison ivy inhibits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mouse preadipocytes, into adipocytes and fat accumul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s confirm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garded as an anti-hyperlipidemia composition containing black vin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one aspect, and an anti-obesity composition containing black thorn vin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another aspect.
  • black vine extract refers to the stem, leaf, fruit, flower, root, outpost, aboveground part, underground part, or a mixture thereof of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ethanol, ethanol, butanol, etc.), methylene chloride, ethylene, acetone, hexane,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butyl acetate, N,N-dimethylformamide (DMF), dimethyl sulfoxide (DMSO), 1,3-butylene glycol , an extract obtained by leaching using propylene glyc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an extract obtained using a supercritical extraction solvent such as carbon dioxide or pentane, or a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extract, and the extraction method is the polarity of the active substance, extraction Arbitrary methods such as cooling, reflux, heating, ultrasonic radiation, and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and preservation degree.
  •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ethanol,
  • the fractionated extract after suspending the extract in a specific solvent, the fraction obtained by mixing and standing with a solvent of different polarity, and the crude extract are adsorbed on a column filled with silica gel, etc., and then a hydrophobic solvent, a hydrophilic solvent, or a mixed solvent thereof It is meant to include fractions obtained as a mobile phase.
  • the meaning of the extract includes a concentrated liquid extract or solid extract from which the extraction solvent is removed by lyophilization, vacuum drying, hot air drying, spray drying, or the like.
  • it refers to an extract obtained by using water, ethan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as an extraction solvent, and more preferably an extract obtained by using a mixed solvent of water and ethanol as an extraction solvent.
  • the meaning of the "active ingredient” means a component that exhibits the desired activity alone or can exhibit activity in combination with a carrier having no activity itself.
  • antihyperlipidemia refers to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blood triglyceride,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blood cholesterol, or lowering both the concentration of neutral fat and cholesterol in the blood.
  • anti-obesity means reducing body fat or reducing body weight. Therefore, it is meant to include prevention of obesity or treatment of obesity, and further includes reducing body weight/body fat for cosmetic or health purposes, although weight is not classified as obesity or overweight.
  •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used in any amount (effective amount) depending on the use, dosage form, etc. It may be included, but a typical effective amount will be determined within the range of 0.0001%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effective amount means intended medic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nti-hyperlipidemic effect and anti-obesity effect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to a mammal, preferably a human, to which it is applied, during the administration period according to the advice of medical experts, etc. It refers to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represent. Such an effective amount can be determined empirically within the ordinary skill of the skilled artisa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convenience of intake or intake through the addition of similar activities such as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activity, blood sugar control activity, blood pressure control activity, etc. It may further include any compound or natural extract whose safety has already been verified in the art and whose activity has been confirmed.
  • These compounds or extracts include compounds, extracts, and pharmaceuticals listed in compendia such as each country's pharmacopoeia (in Korea, the "Korean Pharmacopoeia”) and each country's Health Functional Food Codex (in Korea, it is the "Health Functional Food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a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compendia such as each country's pharmacopoeia (in Korea, the "Korean Pharmacopoeia") and each country's Health Functional Food Codex (in Korea, it is the "Health Functional Food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a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the laws of each country regulating the manufacture and sale of products in Korea, it is the ⁇ Pharmaceutical Affairs Act ⁇
  • the laws of each country regulating the manufacture and sale of compounds or extract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in Korea, the ⁇ Act on Health Functional Foods ⁇ ) ⁇
  • compounds or extracts whose functionality has been individually recognized are included.
  • Garcinia cambogia peel extract with body fat reduction function conjugated linolenic acid (free fatty acid), conjugated linolenic acid (triglyceride), green tea extract, chitosan, green mate extract, green coffee bean extract, sesame leaf extract, soybean embryo extract, etc.
  • Such compounds or extracts may include fish oil, ginkgo biloba extract with blood circulation improving function, natto bacteria culture powder, natto culture, melon extract, cacao powder, or red ginseng extract.
  • One or more of these compounds or extracts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garded as a food composition.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ny form, for example, beverages such as tea, juice, carbonated beverages, and ionic beverages, processed oils such as milk and yogurt, chewing gum, rice cakes, traditional Korean snacks, bread, snacks, noodles, etc. It can be manufactured into health functional food preparations such as foods, tablets, capsules, pills, granules, liquid, powder, flakes, pastes, syrups, gels, jellies, and bars.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ake any product classification as long as it conforms to the enforcement regulations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distribution in legal and functional classification.
  • health functional food according to the Korean ⁇ Health Functional Food Act ⁇ , or snacks, legumes, teas, beverages according to each food type according to the Food Code (MFDS notification ⁇ Food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 ) of the Korea ⁇ Food Sanitation Act ⁇ , special purpose foods, etc.
  • MFDS notification ⁇ Food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
  • special purpose foods etc.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od additive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 Food additives may generally be understood as substances that are added to, mixed with, or infiltrated into food in manufacturing, processing, or preserving food. Since food is consumed daily an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s safety must be guaranteed.
  • Food Additives Code under the laws of each country governing the manufacture and distribution of food (in Korea, it is the ⁇ Food Sanitation Act ⁇ ), safety-guaranteed food additives are limitedly regulated in terms of ingredients or functions.
  • Korean Food Additives Codex MFDS notification ⁇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Food Additives ⁇
  • food additives are classified into chemical synthetic products, natural additives and mixed preparations in terms of ingredients and are regulated. It is divided into additives, preservatives, emulsifiers, acidulants, and thickeners.
  • Sweeteners are used to impart appropriate sweetness to foods, and both natural and synthetic sweeteners can be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a natural sweetener is used, and examples of the natural sweetener include sugar sweeteners such as corn syrup solids, honey, sucrose, fructose, lactose, and maltose.
  • Flavors may be used to improve taste or aroma, and both natural and synthetic flavors may be used. Preferably, it is the case of using a natural one. In case of using natural ones, in addition to flavor, the purpose of enhancing nutrition can also be combined.
  • a natural flavoring agent it may be obtained from apples, lemons, tangerines, grapes, strawberries, peaches, etc., or obtained from green tea leaves, roundworms, bamboo leaves, cinnamon, chrysanthemum leaves, jasmine, and the like.
  • those obtained from ginseng (red ginseng), bamboo shoots, aloe vera, ginkgo, etc. can be used.
  • Natural flavors can be liquid concentrates or solid extracts. In some cases, synthetic flavors may be used, and synthetic flavors may include esters, alcohols, aldehydes, terpenes, and the like.
  • sodium sorbate, sodium sorbate, potassium sorbate, calcium benzoate, sodium benzoate, potassium benzoate,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tc. may be used, and as emulsifiers, acacia gum, carboxymethylcellulose, xanthan gum, pectin and the like, and examples of the acidulant include acid salt, malic acid, fumaric acid, adipic acid, phosphoric acid, gluconic acid, tartaric acid, ascorbic acid, acetic acid, phosphoric acid, and the like. Acidulants may be added to the food composition to have an appropriate acidity for the purpose of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addition to improving taste.
  • a suspending agent As the thickening agent, a suspending agent, a sedimentation agent, a gel forming agent, a swelling agent,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or minerals known in the art and whose stability is guaranteed as food additives for the purpose of supplementing or reinforcing functionality and nutrition.
  •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clude catechins contained in green tea, vitamins such as vitamin B1, vitamin C, vitamin E, and vitamin B12, tocopherol, dibenzoylthiamine, and the like.
  • minerals include calcium preparations such as calcium citrate and magnesium stearate. magnesium preparations such as the like, iron preparations such as iron citrate, chromium chloride, potassium iodine, selenium, germanium, vanadium, zinc, and the lik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bove-mentioned food additives in an appropriate amount to achieve the purpose of add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produc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another specific aspec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to an oral formulation or a parenteral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route of administration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includ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 the route of administration herein may be any appropriate route including topical route, oral route, intravenous route, intramuscular route, and direct absorption through mucosal tissue, and two or more rout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 An example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routes is a case in which two or more formulations of drugs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route of administration, for example, one drug is firstly administered intravenously and the other drug is secondly administered through a topical route.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re well known in the art depending 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r dosage form, and specifically,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pharmacopoeia of each country including the "Korean Pharmacopoeia”.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as an oral dosage form, powder, granule, tablet, pill, dragee, capsule, liquid, gel, syrup, suspension, wafer according to a method known in the art together with a suitable carrier.
  • suitable carriers include sugars such as lactose, glucose, sucrose, dextrose, sorbitol, mannitol, and xylitol, starches such as corn starch, potato starch, and wheat starch, cellulose, methylcellulose, 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Celluloses such as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malt, gelatin, talc, polyol, vegetable oil, ethanol, glycerol etc.
  • binders include starch, magnesium aluminum silicate, starch paste, gelatin, m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glucose, corn sweetener, sodium alginate, polyethylene glycol, wax, and the like, and sodium oleate as a lubricant , sodium stearate, magnesium stearate, sodium benzoate, sodium acetate, sodium chloride, silica, talcum, stearic acid, magnesium salts and calcium salts thereof, polyethylene glycol, etc.
  • disintegrants starch, methyl cellulose, agar, bentonite, xanthan gum, starch, alginic acid or its sodium salt, and the like.
  • diluent example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mannitol, sorbitol, cellulose, and glycin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pared as a parenteral formulation, it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an injec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nasal inhalation, and suppository along with a suitable carrier according to a method known in the art.
  • a suitable carrier such as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containing triethanolamine, sterile water for injection, or 5% dextrose may be used.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a transdermal formulation it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ointments, creams, lotions, gels, external solutions, pastas, liniments, air rolls, and the like.
  • nasal inhalation it can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an aerosol spray using a suitable propellant such as dichlorofluoromethane, trichlorofluoromethane, dichlorotetrafluoroethane, carbon dioxide, etc., and when formulated as a suppository, the carrier is Witepsol ( witepsol), tween 61, polyethylene glycols, cacao fat, laurin fat,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s, polyoxyethylene stear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 Witepsol witepsol
  • tween 61 polyethylene glycols, cacao fat, laurin fat,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s, polyoxyethylene stear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range of 0.001 mg/kg to 10 g/kg per day, preferably 0.001 mg/kg to 1 g,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weight, sex, age, severity of the patient, and route of administration. /kg can be in the range. Administration can be done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These dosag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respect.
  • an antihyperlipidemia composition and an antiobesity composition using the extract of Poison Ivy.
  • the composition for antihyperlipidemia and the composition for anti-obes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mercialized as pharmaceuticals, functional foods, and the like.
  • FIG. 1 is a result showing that the extract of Poison Ivy has a concentration-dependent activity of inhibiting fat accumulation in adipocytes.
  • 3T3-L1 Mouse proadipocytes, 3T3-L1 (Zenbio SP-L1-F), were cultured in 3T3-L1 Preadipocyte Medium (Zenbio PM-1-L1) medium at 37°C and 5% CO 2 .
  • 3T3-L1 preadipocytes were dispensed in a 24 well plate at a cell count of 5 ⁇ 10 4 cells/well, and then maintained for 2 days at 100% confluency.
  •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induced for 2 days with 3T3-L1 Differentiation Medium (Zenbio DM-2-L1) containing MDI (Isobutylmethylxanthine, dexamethasone, insulin), and after 48 hours of culture, every 2 days for 6 days During the culture, the medium was replaced with 3T3-L1 Adipocyte Medium (Zenbio AM-1-L1).
  • Zenbio AM-1-L1 3T3-L1 Adipocyte Medium
  • samples were treated with each culture medium at each concentration, and the degree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observed on the 8th day, when differentiation was completed.
  • the degree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first confirmed through a microscope through Oil Red O staining, and the degree of adipocyte staining was measured for the amount of differentiated fat cells at 510 nm absorbance.
  • FIG. 1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extract of black vine extract has an activity of inhibiting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and fat accumul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지혈증, 비만 등에 대한 후보 약물 스크리닝 등에 사용되는 마우스 전구지방세포인 3T3-L1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을 가진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청가시덩굴(Smilax sieboldii)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의 서구화, 가공식품의 소비의 증가, 교통수단의 발달에 의한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비만,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생활습관병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Lee HJ. 2009. MS Thesis. Changwon University).
2019년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고도비만 인구가 꾸준히 증가해 2030년에는 현재의 2배인 전체 인구의 9%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남자 아동·청소년 비만율이 OECD 평균보다 높게 나타나 이들이 성인이 되는 10년 후에는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문제가 심화될 우려가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2018년 통계청이 발표한 사망원인 자료에 따르면 암을 제외한 주요사망원인 1, 2위가 심장질환과 뇌혈관질환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고령화와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고혈압, 당뇨병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고지혈증(Hyperlipidemia)은 이러한 뇌혈관질환 등 심장순환계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 중 하나로, 혈액 내에 콜레스테롤, 인지질, 중성지방 등의 지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고지혈증은 (i)고콜레스테롤 혈증 (ii) 고중성지방 혈증 및 (ii) 이들의 조합된 혈증(고콜레스테롤혈증 및 고중성지방혈증) 등 3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고지혈증은 그 자체가 고유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으나 혈액 내에 지방 성분이 많으면 혈관 벽에 달라붙어 동맥경화를 일으키고, 혐심증, 심근경색증, 뇌혈관 질환, 말초혈관폐쇄 등을 유발할 수 있다(E. Falk et al., Circulation 92, 657-671, 1995).
고지혈증 치료에 이용되는 약물로는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나 담즙산 결합수지 등의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약물, 피브레이트(Fibrate) 유도체나 니코틴산(Nicotinic acid) 유도체 등의 혈중 중성 지방을 저하시키는 약물, 헤파린(Heparin) 유도체 등의 지질대사를 촉진하는 약물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약물은 간 독성, 위장 장애, 담석증, 발암성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여전히 안전성이 높고 고지혈증 치료 효과를 갖는 약물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마우스의 배아에서 유래된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은 비만, 고지혈증 등에 대한 약물 스크리닝과 지질 대사 이상 질환의 기전 연구에서 In vitro 모델로 널리 사용되어 온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로(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20(1):157-167, 2015; Prev Nutr Food Sci (17):1~7, 2012: J. Antibiot. 58(10): 634-39, 2005), 세포의 형태적 변화, 호르몬 감수성,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 등이 수반되는 복합적인 과정을 거쳐 지방세포(adipocyte)로 분화한다. 초기 분화에는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EBP family(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인 C/EBRβ와 C/EBRδ가, 후기 분화에는 C/EBRα와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enes De 2000, 14(11) 1293~1307)(Physiol Rev 1998, 78(3):783~809; Annu Rev Biochem 2008, 77:289~312; Genes Dev 1996, 10:1096~1107). 이러한 지방세포의 분화시 중성지방의 축적이 일어나고 지방세포 특이적 단백질(aP2, FAS, GLUT4, LPL, leptin)의 발현이 유도된다.
본 발명은 마우스 유래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의 분화 억제 활성과 지방 축적 억제 활성에 기초하여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항고지혈증 활성과 항비만 활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청가시덩굴 추출물이 마우스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와 지방 축적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고지혈증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청가시덩굴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인 청가시덩굴의 줄기, 잎, 열매, 꽃, 뿌리, 전초, 지상부, 지하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항고지혈증"이란 혈중 중성지방의 농도를 저하시키거나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 저하시키는 것 또는 혈중 중성지방의 농도 및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 모두를 저하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항비만"이란 체지방를 감소시커나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만의 예방 또는 비만의 치료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나아가 체중이 비만이나 과체중으로 분류되지 않지만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체중/체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고지혈증용 조성물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그 유효성분은 항고지혈증 효과, 항비만 효과 등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 의료 전문가 등의 제언에 의한 투여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때, 항고지혈증 효과, 항비만 효과 등 의도한 의료적·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항고지혈증 효과, 항비만 효과의 상승·보강을 위하여 또는 혈행 개선 활성, 혈당 조절 활성, 혈압 조절 활성 등 유사활성의 부가를 통한 복용이나 섭취의 편리성을 위하여, 당업계에서 이미 안전성이 검증되고 해당 활성이 확인된 임의의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에는 각국 약전(한국에서는 「대한민국약전」), 각국 건강기능식품공전(한국에서는 식약처 고시인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임) 등의 공정서에 실려 있는 화합물 또는 추출물, 의약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의 법률(한국에서는 「약사법」임)에 따라 품목 허가를 받은 화합물 또는 추출물, 건강기능식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임)에 따라 개별적으로 기능성을 인정받은 화합물 또는 추출물이 포함된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공전(식약처 고시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 또는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개별 인정 원료로서, 체지방 감소 기능성을 가진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껍질 추출물, 공액 리놀렌산(유리지방산), 공액리놀렌산(트리글리세라이드), 녹차 추출물, 키토산, 그린마떼 추출물, 그린커피빈 추출물, 깻잎 추출물, 대두 배아 추출물 등의 복합물, 돌외잎 주정 추출 분말, 락토페린(우유 정제 단백질), 레몬 밤 추출물 혼합 분말, 마테 열수 추출물 또는 미역 등의 복합 추출물(잔티젠) 등이나,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기능성을 가진 녹차 추출물 또는 스피루리나, 대나무 잎 추출물, 보리 베타글루칸 추출물, 보이차 추출물, 식물 스타놀에스테르, 감태주정추출물, 아마인, 알로에 복합 추출물 또는 알로에 추출물 등이나, 혈중 중성지방 개선 기능성을 가진 DHA 농축 유지,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대나무 잎 추출물, 식물성 유지 디글리세라이드, 정제 오징어유, 글로빈 가수분해물 또는 정어리 정제어유, 혈행 개선 기능성을 가진 은행잎 추출물, 나토균 배양 분말, 나토 배양물, 메론 추출물 또는 카카오 분말 또는 홍삼 추출물 등이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에 해당할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르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한국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다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 모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댓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 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 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 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 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투여 경로는 국소 경로, 경구 경로, 정맥 내 경로, 근육 내 경로, 및 점막 조직을 통한 직접 흡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경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이상 경로의 조합의 예는 투여 경로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제형의 약물이 조합된 경우로서 예컨대 1차로 어느 한 약물은 정맥 내 경로로 투여하고 2차로 다른 약물은 국소 경로로 투여하는 경우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투여 경로나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약전"을 포함한 각국의 약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에탄올, 글리세롤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 필요에 따라적절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착색제, 희석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로서는 전분,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글루코스, 옥수수 감미제, 소듐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윤활제로서는 올레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벤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실리카, 탈쿰, 스테아르산, 그것의 마그네슘염과 칼슘염, 폴리데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붕해제로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아가(agar), 벤토나이트, 잔탄검, 전분, 알긴산 또는 그것의 소듐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희석제로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소비톨, 셀룰로스, 글라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수성 등장 용액 또는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담체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용 조성물과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고지혈증용 조성물과 항비만용 조성물은 약품, 기능성 식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청가시덩굴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의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을 가짐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제조
청가시덩굴(Smilax sieboldii, 추출부위, 지상부) 건조 분말에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출한 뒤 와트만(whatman paper) 여과지 No.2로 여과한 후, 상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고형상의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청가시덩굴 추출물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 활성
마우스 전구지방세포인 3T3-L1(Zenbio SP-L1-F)은 3T3-L1 Preadipocyte Medium(Zenbio PM-1-L1) 배지를 넣고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전구지방세포를 24 well plate에 5×104cells/well의 세포수로 분주한 후 100% confluency 시점이 되면 2일 동안 더 유지시켰다. 전구지방세포는 MDI (Isobutylmethylxanthine, dexamethasone, insulin)를 포함하는 3T3-L1 Differentiation Medium(Zenbio DM-2-L1) 배지로 지방세포 분화를 2일 동안 유도하였고, 배양 48 시간 후, 2일 마다 6일 동안 3T3-L1 Adipocyte Medium(Zenbio AM-1-L1)으로 배양액으로 교체하면서 배양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유도 동안 시료를 농도별로 각 배양액에 처리하였고, 분화가 완성되는 시점인 8일째에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정도는 Oil Red O 염색을 통해 1차적으로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고, 지방세포 염색 정도는 510 nm 흡광도에서 세포의 분화된 지방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는데,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청가시덩굴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지혈증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지혈증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지혈증용 조성물.
  4.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CT/KR2021/013028 2021-09-24 2021-09-24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2304830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3028 WO2023048305A1 (ko) 2021-09-24 2021-09-24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3028 WO2023048305A1 (ko) 2021-09-24 2021-09-24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8305A1 true WO2023048305A1 (ko) 2023-03-30

Family

ID=8571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3028 WO2023048305A1 (ko) 2021-09-24 2021-09-24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4830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86B1 (ko) * 2012-03-30 2013-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40040611A (ko) * 2012-09-26 2014-04-0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60118072A (ko) * 2015-04-01 2016-10-1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84759A (ko) * 2016-01-12 2017-07-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 잎 분획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486B1 (ko) * 2012-03-30 2013-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40040611A (ko) * 2012-09-26 2014-04-0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60118072A (ko) * 2015-04-01 2016-10-1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84759A (ko) * 2016-01-12 2017-07-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 잎 분획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OCTOR OF CONSTITUTION: "Effects, Side Effects, and Precautions of Smilax Sieboldii", NAVER BLOG, NAVER, KOREA, Korea, XP009544986,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blog.naver.com/dongmu61/22045578987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286919A1 (ko) 수용화 매스틱 검과 감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20180120915A (ko) 오미자 추출물과 칠해목 추출물을 이용한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WO2023048305A1 (ko)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US11752187B2 (en) Anti-obesity composition including Geumhwagyu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WO2023167366A1 (ko) 수용화 커큐민과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30043470A (ko)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20042576A (ko)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564672B1 (ko) 스테쿨리아 란세올라타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464580B1 (ko) 테트라세라 로우레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513138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200125156A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6806A (ko) 표고버섯 및 미역귀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용 조성물
KR20180024614A (ko) 미르시아페논 에이를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30567B1 (ko) 트란스-네로리돌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546920B1 (ko) 암펠로시수스 폴리티르사 추출물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KR102308183B1 (ko) 안티고논 렙토푸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371741B1 (ko)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373342B1 (ko) 털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240007004A (ko) 당단풍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01843B1 (ko) 사링고스테롤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US11864575B2 (en) Composition comprising low temperature water extract of hibiscus manihot for anti-obesity
KR102373348B1 (ko) 흰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240007003A (ko) 물박달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343138B1 (ko) 쇠비름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KR101791631B1 (ko)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584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