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643A - 물놀이용 기구 - Google Patents

물놀이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643A
KR20160116643A KR1020150044714A KR20150044714A KR20160116643A KR 20160116643 A KR20160116643 A KR 20160116643A KR 1020150044714 A KR1020150044714 A KR 1020150044714A KR 20150044714 A KR20150044714 A KR 20150044714A KR 20160116643 A KR20160116643 A KR 20160116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tail
wire
rotating memb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238B1 (ko
Inventor
정주리
Original Assignee
정주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리 filed Critical 정주리
Priority to KR102015004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23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35/73
    • B63B35/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3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non-rotary type
    • B63H1/36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non-rotary type swinging sideways, e.g. fishtai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16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eciprocating pull cable, i.e. a strand-like member movable alternately backward and forw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0Slowing-down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739/00
    • B63B2741/00
    • B63B2754/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Toys (AREA)

Abstract

물놀이 할 수 있는 공간에서 탑승자가 탑승하여 자유롭게 물놀이 할 수 있는 물놀이용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몸통부와, 추진력을 발생하는 꼬리부와, 몸통부와 상기 꼬리부 사이에서 상기 몸통부와 꼬리부가 서로 유연하게 구부러지록 연결되게 마련되는 꼬리관절부와, 몸통부에 꼬리부 또는 꼬리관절부가 탑승자에 의도에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추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놀이용 기구{Apparatus for playing in the water}
본 발명은 물놀이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놀이 할 수 있는 공간에서 탑승자가 탑승하여 자유롭게 물놀이 할 수 있는 물놀이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종래의 대표적인 물놀이 기구로는 공기 주입에 따른 부력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를 수면위로 부유되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튜브 등이 있으며, 또 다르게 사용자의 신체를 수면과 접촉 없이 승선되게 하여 수면 위를 이동토록 하는 레저용 고무보트 등이 널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물놀이 기구에 있어 공기주입방식을 이용한 튜브는 단순히 주입된 공기의 부력작용에 의해 사용자를 수면위로 부유되게 하는 기능만을 행하는 것일 뿐, 수면 위에서의 원거리 이동, 또는 이동 중 방향전환 등을 요할 경우, 단순한 구조적 한계로 인해 그 사용기능에 제약이 따르는 구조적 결함의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한편, 또 다르게 종래 물놀이 기구로 이용되고 있는 레저용 고무튜브는 사용자를 수면과 접촉 없이 직접 승선시킨 상태하에, 노를 저어 이동관계를 갖도록 한 단순한 탈것 개념의 기구로서, 수중에 입수한 상태로 물놀이를 즐기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이러한 탈것 개념의 고무튜브가 오히려 사용흥미를 반감되게 하는 사용상의 문제점을 상존시키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03-0083479호 (2003.10.30.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물놀이 용품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진하는 물놀이용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탑승자의 의도대로 가속, 제동, 및 방향전환이 용이한 물놀이용 기구를 제공하고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탑승자에게 물고기의 생물학적 특징 및 이동 능력에 대하여 이해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탑승자가 탑승하는 몸통부와, 추진력을 발생하는 꼬리부와, 상기 몸통부와 상기 꼬리부 사이에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꼬리부가 서로 유연하게 구부러지록 연결되게 마련되는 꼬리관절부와, 상기 몸통부에 상기 꼬리부 또는 상기 꼬리관절부가 탑승자에 의도에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추진부를 포함하는 물놀이용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의 전면에는 마련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 사이에서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가 서로 유연하게 구부러지도록 연결되게 마련되는 몸통관절부를 더 포함하는 물놀이용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에는 탑승자의 몸을 받칠 수 있는 받침부, 또는 상기 탑승자가 잡을수 있는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물놀이용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에는 탑승자의 의도에 따라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부가 마련되는 물놀이용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부는 탑승자가 외력을 주어 제동 작동을 실시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동작에 따라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제동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외력을 상기 제동력으로 전달하는 제동와이어를 포함하는 물놀이용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작동부재의 동작에 따라 면적이 변화되어 면적에 따라 물 또는 공기의 마찰력으로 제동력이 발생되는 물놀이용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에는 탑승자가 탑승하여 상기 몸통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안장부가 마련되는 물놀이용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진부는 상기 꼬리관절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외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꼬리부를 연결하는 추진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에는 탑승자의 외력을 받아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꼬리부를 움직이도록 동력제공부가 마련되는 물놀이용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면에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놀이용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에는 상기 추진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양 측 외면에는 상기 추진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장력제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추진와이어는 상기 동력제공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한 상기 추진와이어의 장력 발생으로 상기 꼬리부가 움직이는 물놀이용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 단부에서 상기 몸통부 방향 또는 상기 꼬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물놀이용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제공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 단을 관통하는 관통홀 또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면에 홈으로 마련되어 상기 추진와이어를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하는 물놀이용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는 추진부가 마련됨으로써, 탑승자의 의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는 제동부가 마련됨으로써, 탑승자의 의도에 따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는 다양한 물고기의 모습을 적용함으로써, 탑승자가 물고기의 생물학적 특징 및 이동 능력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에 탑승자가 탑승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가 분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몸통관절지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몸통관절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몸통관절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몸통관절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몸통관절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제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제동부가 제동 작동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추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추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추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에 탑승자가 탑승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가 분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는 물고기와 같은 어류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물고기 형상이 아닌 물개, 펭귄, 돌고래 등과 같은 포유류 또는 조류의 형상을 닮은 다양한 모습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물놀이용 기구는 머리부(10)와, 탑승자가 탑승하는 몸통부(30)와, 추진력을 발생하는 꼬리부(50)와, 머리부(10)와 몸통부(30) 사이에 마련되는 몸통관절부(20)와, 몸통부(30)와 꼬리부(50) 사이에 마련되는 꼬리관절부(40)와, 머리부(10)에 마련되어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부(60)와, 몸통부(30)에 마련되는 추진력을 발생하는 추진부(70)를 포함한다.
머리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고기 등의 어류 중 너느 하나의 머리 모습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머리부(10)에 머리지느러미(12) 등 다양한 지느러미의 형상이 더 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지느러미 중 어느 하나는 탑승한 탑승자의 상체를 받칠 수 있도록 가슴받침부(11)로 마련될 수 있다.
가슴받침부(11)는 탑승자의 가슴 등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받치며 탑승자가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몸통부(30)는 상술한 머리부(10)와 마찬가지로 배지느러미 등 다양한 지느러미의 형상이 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지느러미 중 어느 하나는 탑승한 탑승자의 하체를 받칠 수 있어 탑승자가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안장부(31)가 마련된다.
안장부(31)는 탑승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 등의 하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오랜 시간 탑승하여도 탑승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부드럽거나 탄성력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꼬리부(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고기 등의 어류 중 어느 하나의 꼬리 모습으로 마련될 수 있다. 꼬리부(50)는 탑승자의 의도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가 수면에 떠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리부(50)는 좌우로 움직이도록 마련하였으나 이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는 수중 표면에 뜬 상태로 이동하는 기구로써, 이에 따라 머리부(10), 몸통부(30), 및 꼬리부(50)는 바닷물 또는 물에서 떠있을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되거나 그 내부가 물보다 가벼운 기체로 채워져서 부력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몸통관절부(20)는 머리부(10)와 몸통부(30) 사이에 마련되어 머리부(10)와 몸통부(30)가 서로 유연하게 구부러지며 움직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관절부(20)는 머리부(10)와 몸통부(30)가 서로 좌우로 유연하게 움직이는 것으로 마련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수중에서 전진 또는 방향 전환 등에 용이하다면 상하 등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꼬리관절부(40)는 몸통부(30)와 꼬리부(50) 사이에 마련되어 몸통부(30)와 꼬리부(50)가 서로 유연하게 구부러지며 움직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관절부(20)는 몸통부(30)와 꼬리부(50)가 서로 좌우로 유연하게 움직이는 것으로 마련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수중에서 전진 또는 방향 전환 등에 용이하다면 상하 등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술한 몸통관절부(20)와 꼬리관절부(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제동부재(63)는 머리부(10)의 양 측부에 마련되며 탑승자의 의도에 따라 제동력이 발생하여 정지 또는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추진부(70)는 몸통부(30), 꼬리부(50), 또는 꼬리관절부(40)에 마련되며 탑승자의 외력에 의해 수중에서 몸통부(30)와 꼬리부(50)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꼬리부(50)가 추진력을 발생하도록 한다.
상술한 제동부재(63)와 추진부(7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몸통관절지지부재(22)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몸통관절고정부재(23)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몸통관절부재(2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몸통관절부재(2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몸통관절부(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관절부(20)는 유연하게 움직이는 몸통관절부재(21)와, 몸통관절부재(21)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몸통관절지지부재(22) 및 몸통관절고정부재(23)를 포함한다.
몸통관절부재(21)는 복수의 뼈대부재(21a), 복수의 뼈대부재(21a)를 연결하는 축부재(21b), 뼈대부재(21a)와 축부재(21b)를 보호하는 덮개부재(21c)를 포함한다.
뼈대부재(21a) 고리모양으로 마련되며 나란히 줄을 지어 복수개로 이격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대부재(21a)는 고리모양의 원형으로 마련되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원판 등 다양한 부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원형이 아닌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
축부재(21b)는 탄성재질의 판으로 마련되어 복수의 뼈대부재(21a)를 연결하는 동시에 좌우로 유연하게 탄성변형되어 구부러질 수 있다. 축부재(21b)는 복수의 뼈대부재(21a)의 내측면과 결합된다. 따라서, 뼈대부재(21a) 각각은 축부재(21b)에 서로 이격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부재(21b)는 판으로 마련되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 탄성을 가져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면 판인 아닌 원기둥 모양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덮개부재(21c)는 뼈대부재(21a)와 축부재(21b)에 이물질이나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내부에 기체를 저장하여 몸통관절부(20)의 부력을 높이기 위해 뼈대부재(21a)와 축부재(21b)를 둘러 쌓도록 마련된다.
덮개부재(21c)는 탄성을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외면에 도 7 및 도 8과 같이 주름부를 가져 몸통관절부재(21)가 전후 좌우로 유연한 구부러짐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부는 도 7과 도 8과 같이 뼈대부재(21a)에 대응되는 모양 또는 위치에 마련되도록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이중 주름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몸통관절지지부재(22)는 내측이 몸통관절부재(21)를 외부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몸통관절지지부재(22)는 몸통부(30)의 일 측면과 고정된다. 몸통관절지지부재(22)는 외측면에 고정홈이 마련되어 후술할 몸통관절고정부재(23)의 고정축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홈은 몸통관절지지부재(22)의 외측면에 홈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몸통관절지지부재(22)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는 홀로 마련될 수 있다.
몸통관절고정부재(23)는 내측이 몸통관절부재(21) 또는 몸통관절지지부재(22)의 외부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몸통관절고정부재(23)는 머리부(10)의 일 측면과 고정된다. 몸통관절고정부재(23)는 내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축이 마련되어 전술한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다.
몸통관절지지부재(22)와 몸통관절고정부재(23)는 머리부(10)와 몸통부(30)의 좌우로 구부러짐이 용이할 수 있도록, 좌우측부의 몸통관절부재(21)를 감싸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몸통관절지지부재(22)와 몸통관절고정부재(23)는 양 측 부분이 생략됨으로써 머리부(10)와 몸통부(30)가 구부러질때 서로 움직임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몸통관절부(20)와 꼬리관절부(40)는 구체적인 형상은 다를 수 있으나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몸통관절부(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함으로써 동시에 꼬리관절부(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대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제동부재(63)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제동부재(63)가 제동 작동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부재(63)는 머리부(10)의 양 측에 복수로 마련되어 물놀이용 기구의 제동 또는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제동력을 발생 시킬 수 있다.
제동부재(63)는 탑승자가 외력을 주어 제동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재(61)와, 작동부재(61)의 동작에 따라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재(63)와, 작동부재(61)와 제동부재(63)재를 연결하여 탑승자의 외력을 제동력으로 전달하는 제동와이어(62)를 포함한다.
작동부재(61)는 탑승자가 제동이 필요할 때 제동 작동이 용이하도록 머리부(10)에 마련되는 손잡이부(13)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작동부재(61)는 잡아 당기면 제동부재(63)재가 작동하고 놓게 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제동부재(63)의 제동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부재(63)재는 수중에서 마찰력이 커지도록 물과 접촉되는 면적이 커지는 방식으로 마련되었으나, 이는 일례로서 팬을 작동하여 역 추진력을 일으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동부재(63)재는 작동부재(61)에 작동에 따라 면적이 커지거나 줄어들어 수중에서 물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찰력이 증대하게 되면 이동속도가 급격히 줄어들어 제동력을 발생한다.
제동와이어(62)는 작동부재(61)와 제동부재(63)를 연결한다. 제동와이어(62)의 연결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일례로 자전거에서 사용되는 유압식 제동와이어의 연결 방법으로 힘의 전달이 가능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추진부(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추진부(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의 추진부(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부(70)는 꼬리관절부(40)에 마련되나, 이는 한정되지 않고 몸통부(30) 또는 꼬리부(50) 사이 어디에 위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추진부(70)는 꼬리관절부(40)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75)와, 고정부재(75) 외측면에 마련되어 고정부재(75)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71)와, 고정부재(75) 및 회전부재(71)와 꼬리부(50)를 연결하여 힘을 전달하는 추진와이어(78)를 포함한다.
고정부재(75)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레일이 형성된 돌출부(76)가 마련되고 회전부재(71)의 내측면에는 돌출부(76)와 대응되는 결합홈(72)이 마련됨으로써, 회전부재(71)가 고정부재(75)의 외측면을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즉, 회전부재(71)는 고정부재(7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고정부재(75)의 외측면 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움직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71)와 고정부재(75)의 결합관계는 결합홈과(72) 돌출부(76)가 결합하여 회전부재(71)가 고정부재(75) 외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 결합홈(72)과 돌출부(76) 없이 회전부재(71)와 고정부재(75) 사이에 베어링이 마련되는 등 회전부재(71) 및 고정부재(75)는 회전부재(71)가 고정부재(75)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회전부재(71)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돌출부(76)와 결합홈(72) 사이에 볼, 롤러, 또는 베어링을 더 구비하여 회전부재(71)와 고정부재(75) 간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물체 사이에 마찰 저감을 위해 볼, 롤러, 또는 베어링이 더 구비되는 구성은 관용되는 공지 기술이므로 자세히 설명하는 것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고정부재(75)는 양 측부에 추진와이어(78)를 지지하는 지지부(77)가 복수로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고정부재(75)의 양 측부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추진와이어(78)의 방향을 전환하는 동시에 추진와이어(78)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고정도르래를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정되지 않고 도르래가 아닌 롤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어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재(71)는 외측면 양 측에 홀 또는 홈이 마련되어 추진와이어(78)가 관통되거나 홈에 걸려 추진와이어(78)의 장력에 따라 회전부재(71)가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장력제공부(73)가 마련된다.
장력제공부(73)는 추진와이어(78)가 걸려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제공부(73)는 홈으로 마련되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 도 13과 같이 고정도르래로 마련되는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고정도르래로 사용되면 추진와이어(78)와 장력제공부(73)의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추진와이어(78)와 장력제공부(7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찰력에 의해 소비되는 힘이 줄어들어 추진부(70) 작동에 필요한 탑승자의 힘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와이어(78)는 몸통부(30)에서 복수의 지지부(77) 및 장력제공부(73)를 지나 꼬리부(50)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장력제공부(73)에 의해 꼬리부(50)가 구부러지도록 힘이 전달된다면 다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추진와이어(78)가 몸통부(30)에서 시작되지 않고 그 시작점이 장력제공부(73)에 고정되어 지지부(77)를 지나 꼬리부(50)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로도 회전부재(71)가 회전함에 따라 장력제공부(73)가 추진와이어(78)를 당기고 놓는 것을 반복하여 꼬리부(50)를 움직일 수 있다.
다음으로는 탑승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기구를 이동시키기 위해 추진부(70)를 이용하는 동작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와,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탑승자가 수중에 띄운 물놀이용 기구에 탑승 후 동력제공부(74)에 발을 올리게 된다. 탑승자는 양 발을 번갈아 구르면서 동력제공부(74)에 힘을 가하여 회전부재(71)를 좌우측 방향으로 번갈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71)는 탑승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장력제공부(73) 역시 좌우측 방향으로 번갈아 이동하면서 추진와이어(78)에 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추진와이어(78)는 장력제공부(73)에 의해 장력이 발생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추진와이어(78)가 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추진와이어(78)는 장력제공부(73)에 의해 힘을 받아 위 아래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회전부재(71)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연결된 추진와이어(78)가 회전부재(71)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몸통부(30) 및 꼬리부(50)와 연결된 추진와이어(78)가 회전부재(71)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몸통부(30) 및 꼬리부(50)가 회전부재(71)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위와 같이, 몸통부(30) 및 꼬리부(50)가 양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반복하면서 추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탑승자가 몸통부(30)에 탑승하여 몸통부(30)는 탑승자의 무게를 더하게 되므로 몸통부(30)의 관성에너지가 높아지게 된다. 이에, 수중에서 몸통부(30)와 꼬리부(50)가 구부러질 때 꼬리부(50)가 몸통부(30)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됨으로써, 꼬리부(50)가 몸통부(30)에 비해 더 많은 움직임을 가지게 된다. 즉, 몸통부(30)는 꼬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금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탑승하여 추진부(70)를 작동시키게 되면 물놀이용 기구의 꼬리부(50)가 움직이면서 전진하는 방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머리부 11: 가슴받침부
12: 머리지느러미 13: 손잡이부
20: 몸통관절부 21: 몸통관절부재
22: 몸통관절지지부재 23: 몸통관절고정부재
30: 몸통부 31: 안장부
32: 배지느러미 40: 꼬리관절부
41: 꼬리관절부재 42: 꼬리관절지지부재
43: 꼬리관절고정부재 50: 꼬리부
60: 제동부 61: 작동부재
62: 제동와이어 63: 제동부재
70: 추진부 71: 회전부재
72: 결합홈 73: 장력제공부
74: 동력제공부 75: 고정부재
76: 돌출부 77: 지지부
78: 추진와이어

Claims (12)

  1. 탑승자가 탑승하는 몸통부와, 추진력을 발생하는 꼬리부와, 상기 몸통부와 상기 꼬리부 사이에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꼬리부가 서로 유연하게 구부러지록 연결되게 마련되는 꼬리관절부와, 상기 몸통부에 상기 꼬리부 또는 상기 꼬리관절부가 탑승자에 의도에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추진부를 포함하는 물놀이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전면에는 마련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 사이에서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가 서로 유연하게 구부러지도록 연결되게 마련되는 몸통관절부를 더 포함하는 물놀이용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에는 탑승자의 몸을 받칠 수 있는 받침부, 또는 상기 탑승자가 잡을수 있는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물놀이용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에는 탑승자의 의도에 따라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부가 마련되는 물놀이용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탑승자가 외력을 주어 제동 작동을 실시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동작에 따라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제동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외력을 상기 제동력으로 전달하는 제동와이어를 포함하는 물놀이용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작동부재의 동작에 따라 면적이 변화되어 면적에 따라 물 또는 공기의 마찰력으로 제동력이 발생되는 물놀이용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는 탑승자가 탑승하여 상기 몸통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안장부가 마련되는 물놀이용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상기 꼬리관절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외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꼬리부를 연결하는 추진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에는 탑승자의 외력을 받아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꼬리부를 움직이도록 동력제공부가 마련되는 물놀이용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면에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놀이용 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에는 상기 추진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양 측 외면에는 상기 추진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장력제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추진와이어는 상기 동력제공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한 상기 추진와이어의 장력 발생으로 상기 꼬리부가 움직이는 물놀이용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 단부에서 상기 몸통부 방향 또는 상기 꼬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물놀이용 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제공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 단을 관통하는 관통홀 또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면에 홈으로 마련되어 상기 추진와이어를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하는 물놀이용 기구.
KR1020150044714A 2015-03-31 2015-03-31 물놀이용 기구 KR101692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14A KR101692238B1 (ko) 2015-03-31 2015-03-31 물놀이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14A KR101692238B1 (ko) 2015-03-31 2015-03-31 물놀이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643A true KR20160116643A (ko) 2016-10-10
KR101692238B1 KR101692238B1 (ko) 2017-01-05

Family

ID=5714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714A KR101692238B1 (ko) 2015-03-31 2015-03-31 물놀이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7921A (zh) * 2017-04-07 2017-08-2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新型仿鱼类水下机器人推进系统的柔性多关节结构
KR102188714B1 (ko) 2020-01-02 2020-12-08 두용호 물놀이용 기구의 추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1992A (ja) * 1996-08-30 1998-03-17 Mitsuo Enomoto イルカ型水泳用遊戯具
KR200297765Y1 (ko) * 2002-08-28 2002-12-13 최돈철 물놀이용 보트
KR20030083479A (ko) 2002-04-23 2003-10-30 최돈철 물놀이용 보드
JP2011063222A (ja) * 2009-09-18 2011-03-31 Kitakyushu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dustry Science & Technology 水中航走体用推進機構及び水中航走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1992A (ja) * 1996-08-30 1998-03-17 Mitsuo Enomoto イルカ型水泳用遊戯具
KR20030083479A (ko) 2002-04-23 2003-10-30 최돈철 물놀이용 보드
KR200297765Y1 (ko) * 2002-08-28 2002-12-13 최돈철 물놀이용 보트
JP2011063222A (ja) * 2009-09-18 2011-03-31 Kitakyushu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dustry Science & Technology 水中航走体用推進機構及び水中航走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7921A (zh) * 2017-04-07 2017-08-2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新型仿鱼类水下机器人推进系统的柔性多关节结构
KR102188714B1 (ko) 2020-01-02 2020-12-08 두용호 물놀이용 기구의 추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238B1 (ko)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4934B2 (ja)
KR100955892B1 (ko) 복합 구동 자전거
KR101692238B1 (ko) 물놀이용 기구
US10005531B1 (en) ARC crank
WO2010093863A1 (en) Remote drive
US10226713B2 (en) Human-powered entertainment device
CN105143030A (zh) 用于人供动力的交通工具的推进系统
JP2011504152A (ja) リンク機構及び水平方向の推進フィンを有する船舶推進装置
US7300324B2 (en) Manual propulsion mechanism
KR101028047B1 (ko) 동력변환장치
KR200452872Y1 (ko) 수상자전거
KR101511324B1 (ko) 이중 래칫을 갖는 손발 복합구동 자전거
US577269A (en) Bicycle-boat
KR20150143011A (ko)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KR20160022624A (ko)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KR101521347B1 (ko) 보조 안장과 짐받이가 겸용되는 자전거용 보드
US227491A (en) Sculling-propeller for boats
US9567050B2 (en) Human-powered underwater propulsor
JPH0487896A (ja) 足力推進カヌー及びこれに用いる操舵装置
KR100879521B1 (ko) 범퍼보트의 추진장치
JP2005144581A (ja) 4足走行マシン
KR20140101149A (ko) 로잉머신을 이용한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상기구
KR101515968B1 (ko) 수상레저용 보트
KR101750780B1 (ko) 레저용 수상자전거
KR102471769B1 (ko) 페달구동식 레저용 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