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011A -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 Google Patents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011A
KR20150143011A KR1020140071889A KR20140071889A KR20150143011A KR 20150143011 A KR20150143011 A KR 20150143011A KR 1020140071889 A KR1020140071889 A KR 1020140071889A KR 20140071889 A KR20140071889 A KR 20140071889A KR 20150143011 A KR20150143011 A KR 20150143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propeller
wire
pair
prop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관
Original Assignee
김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관 filed Critical 김태관
Priority to KR102014007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3011A/ko
Publication of KR2015014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011A/ko

Links

Image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에 관한 것으로서, 소형보트의 바닥에 운전자의 발에 의해 가압되어 전후 회동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레버와; 상기 소형보트의 후미측 외부에 배치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로펠러부와; 상기 한 쌍의 레버와 상기 프로펠러부를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레버의 반복적인 전후 이동을 상기 프로펠러부의 교번적인 정역 회전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추진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펠러부는, 상기 한 쌍의 와이어가 각각 결합되는 프로펠러축과; 상기 프로펠러축의 단부에 방사방향으로 일정 각도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의 회전에 연동하여 정역 회전되는 복수개의 프로펠러날개축과; 상기 복수개의 프로펠러날개축 각각에 일정 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플로펠러축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수류방향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날개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며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SELF PROPELLED DEVICE FOR SMALL BOAT}
본 발명은 소형보트의 추진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별도의 연료 사용없이 탑승자 본인의 자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에 관한 것이다.
1인 또는 2인이 탑승하는 소형보트는 통상 노를 이용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노를 이용하는 경우 탑승자의 체력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장시간 소형보트를 운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2006-0110257호 "소형선박의 추진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소형선박의 추진장치는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프로펠러를 회전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을 이용하는 추진장치는 생산단가는 물론 설치비용이 가중되어 비용부담이 증가되고, 연료를 공급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형보트의 경우 수심이 깊지 않은 근해 또는 저수지 또는 강 등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운행 중 해초 또는 암초 등에 프로펠러가 뒤엉켜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편, 소형보트의 추진장치로 오리배에 사용되는 자전거식 추진방식이 있다. 오리배에 사용되는 추진방식은 자전거의 페달과 같이 탑승자가 페달을 회전시키면, 체인에 의해 프로펠러가 회전하며 배를 추진한다. 이 경우 별도의 연료 없이 소형보트를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페달과 프로펠러, 조향장치 등의 부피가 커 소형보트에 설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오리배의 경우 탑승자가 페달을 회전시켜 프로펠러를 구동해야 하므로 탑승자의 체력에 부담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연료 사용없이 탑승자의 자력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사용되는 보트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자의 체력적인 부담을 최소화하며 원하는 속도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향방향을 간편하게 변경하여, 숙련되지 않은 탑승자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는, 소형보트의 바닥에 운전자의 발에 의해 가압되어 전후 회동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레버와; 상기 소형보트의 후미측 외부에 배치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로펠러부와; 상기 한 쌍의 레버와 상기 프로펠러부를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레버의 반복적인 전후 이동을 상기 프로펠러부의 교번적인 정역 회전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추진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펠러부는, 상기 한 쌍의 와이어가 각각 결합되는 프로펠러축과; 상기 프로펠러축의 단부에 방사방향으로 일정 각도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의 회전에 연동하여 정역 회전되는 복수개의 프로펠러날개축과; 상기 복수개의 프로펠러날개축 각각에 일정 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플로펠러축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수류방향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날개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며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레버와 상기 프로펠러축까지의 상기 추진와이어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추진와이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추진와이어의 이동방향을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변환하는 도르레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펠러부가 상기 소형보트의 축방향에 대해 갖는 각도를 조절해 상기 소형보트의 조향을 조절하는 조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는, 상기 소형보트의 양측벽에 배치되어 운전자의 손에 의해 가압되며 전후로 이동되는 한 쌍의 조향핸들과; 상기 프로펠러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로펠러하우징과; 상기 프로펠러하우징에 일체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와이어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수평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하우징에 고정결합되는 조향관과; 상기 한 쌍의 조향핸들과 상기 조향관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조향핸들의 전후 이동을 상기 조향관의 좌우 회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조향와이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향관은 상기 수평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단부가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향관과 상기 수평관의 삽입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조향관이 좌우로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조향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가이드는, 상기 조향관을 상하로 관통하여 돌출된 후 상기 소형보트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의 좌우에 일정 면적 연장형성되며, 판면에 상기 한 쌍의 추진와이어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공이 관통형성된 한 쌍의 안내날개와; 상기 조향축과 상기 한 쌍의 안내날개를 내부에 수용하는 안내박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하우징의 일영역에 와이어삽입홈이 일정크기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하우징은 상기 조향관의 단부에 삽입된 후 상기 와이어삽입홈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추진와이어를 상기 프로펠러축으로 안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는 엔진과 연료의 사용 없이 탑승자가 발로 레버를 전후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스스로 추진력을 발생시켜 소형보트를 운행하게 한다. 이 때, 레버를 탑승자가 가압한 후에 가압력을 해지하면 레버가 탄성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스스로 복귀하므로 탑승자의 체력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는 추진와이어에 의해 프로펠러부를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게 되므로, 전체 구성이 간단하다. 이에 의해 기존에 사용되는 소형보트에 와이어하우징삽입홈만 관통시키면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는 추진을 위해 발을 가압하는 것 외에 조향을 위해 손으로 조향핸들을 전후로 조작하는 동작만으로 운행이 가능하므로, 보트 운행에 숙련되지 못한 초보 탑승자도 간편하게 사용법을 숙지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추진체가 적용된 소형보트의 측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추진체의 후미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추진체의 조향부의 조향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추진체의 추진레버부와 프로펠러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추진체의 수평관과 수직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추진체가 추진될 때 프로펠러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추진체가 적용된 소형보트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추진체(100)가 적용된 소형보트(20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추진체(100)는 소형보트(200)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손과 발을 이용해 별도의 연료와 엔진의 사용없이 자력으로 추진력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추진체(100)가 설치되는 소형보트(200)는 1인 또는 2인이 탑승되도록 제조된 모든 종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추진체(100)는 설치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형상이 없으므로 기존에 제작된 소형보트(200)의 후단에 와이어하우징삽입공(230, 도 2 참조)만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추진체(100)는 탑승자가 발로 가압하는 추진레버부(110)와, 회전하며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부(150)와, 추진레버부(110)와 프로펠러부(15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추진와이어(120,120a)와, 추진와이어(120,120a)의 이동을 지지하며 추진와이어(120,120a)를 프로펠러부(150)로 안내하는 와이어지지부(130)와, 프로펠러부(150)의 소형보트(200)에 대한 축방향 각도를 조절하여 소형보트(200)의 조향을 조절하는 조향부(140)를 포함한다.
추진레버부(110)는 프로펠러부(1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도 4는 추진레버부(110)와 프로펠러부(150)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레버부(110)는 탑승자가 발로 가압하는 한 쌍의 레버(113,115)와, 한 쌍의 레버(113,115)가 지지프레임(111)에 대해 전후로 회동되도록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레버회동축(114)을 포함한다.
제1레버(113)와 제2레버(115)의 하단은 각각 레버회동축(114)에 결합되고, 상단은 탑승자의 발이 접촉되는 제1발판(113a)과 제2발판(115a)이 결합된다. 제1레버(113)와 제2레버(115)는 지지프레임에 대해 거의 수직한 상태의 대기상태에서 탑승자의 발이 가압되는 방향에 따라 전진한다. 제1레버(113)와 제2레버(115)는 각각 레버회동축(114)에 의해 지지프레임(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레버회동축(114)에는 제1레버(113)와 제2레버(115)가 초기 대기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제1레버(113) 또는 제2레버(115)를 가압한 후 가압상태를 해제하면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대기위치로 제1레버(113) 또는 제2레버(115)가 복귀된다.
이러한 제1레버(113)와 제2레버(115)의 동작 메커니즘에 의해 탑승자는 오리배와 같이 페달을 계속하여 회전하는 방식에 비해 제1레버(113)와 제2레버(115)를 미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면 되므로 체력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레버(113)는 제1추진와이어(120)가 결합되고, 제2레버(115)는 제2추진와이어(120a)가 결합된다. 탑승자가 제1레버(113)를 가압하면 제1추진와이어(120)가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프로펠러축(15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탑승자가 제2레버(115)를 가압하면 제2추진와이어(120a)가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프로펠러축(15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탑승자는 제1레버(113)와 제2레버(115)를 교번적으로 가압하여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가 교대로 당겨지도록 해 프로펠러축(151)이 반시계방향, 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방향이 바뀌도록 한다.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는 제1레버(113)와 제2레버(115)의 가압력을 프로펠러축(151)으로 전달한다.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으로 프로펠러부(150)가 정역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하며 추진력을 발생하게 된다.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는 프로펠러축(151)에 복수회 권취되어 연결된다.
와이어지지부(130)는 길이를 갖는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의 가압력이 프로펠러부(150)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를 지지한다.
와이어지지부(130)는 내부에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를 수용하는 수평관(131)과, 수평관(131)을 경유하여 조향관(144)으로 수평하게 이동된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의 이동방향을 수직하게 변환하는 도르레(135)를 포함한다.
수평관(131)은 내부에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를 수용하여 조향관(144)으로 안내한다.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끊어지거나 손상될 수 있다. 수평관(131)은 내부에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를 수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수평관(131)의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조향관()이 내부로 삽입되게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도르레(135)는 수평관(131)을 따라 이동된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를 수직하게 배치된 와이어하우징(145)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도르레(13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관(144)과 와이어하우징(145)의 결합영역에 배치된다. 도르레(135)는 와이어하우징(145)의 와이어삽입홈(145c)을 통해 와이어하우징(145) 측으로 걸쳐지게 배치된다.
도르레(135)는 조향관(144)을 좌우로 관통하여 소형보트(200)의 지지프레임(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35a)와, 회전축(135a)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레본체(135b)를 포함한다. 도르레본체(135)의 판면에는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가 삽입되는 와이어삽입홈(145c)이 일정깊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회전축(135a)는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의 가압력에 의해 아이들하게 회전된다.
조향부(140)는 소형보트(200)의 이동방향을 조절한다. 조향부(140)는 탑승자의 손을 통해 조작되어 프로펠러부(150)가 소형보트(200)의 축방향에 대해 갖는 각도를 조절하여 조향을 조절한다.
도 3은 조향부(14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부(140)는 탑승자가 조작하는 한 쌍의 조향핸들(141,142)과, 수평관(1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관(144)와, 조향관(144)의 단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와이어하우징(145)과, 한 쌍의 조향핸들(141,142)과 조향관(144)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조향와이어(143,143a)와, 프로펠러부(150)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로펠러하우징(147)을 포함한다.
조향핸들(141,142)은 소형보트(200)의 좌우 측벽에 위치한다. 조향핸들(141,142)은 탑승자가 손으로 조작하기 용이한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조향와이어(143,143a)가 와이어하우징(145)과 연결되는 방향으로 탑승자가 탑승하게 되므로 탑승자의 동선에 간섭이 되지 않는 방향으로 소형보트(200)의 좌우 측벽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조향핸들(141,142)은 각각의 조향축(141a,142a)에 의해 소형보트(200)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조향핸들(141,142)과 조향축(141a,142a) 사이에도 탄성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조향핸들(141,142)이 수직하게 위치되는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제1조향와이어(143)는 제1조향핸들(141)과 조향관(144)의 제1와이어결합리브(144a)를 연결한다. 제2조향와이어(143a)는 제2조향핸들(142)과 조향관(144)의 제2와이어결합리브(144b)를 연결한다.
조향관(144)는 수평관(131)의 단부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조향방향을 조절한다. 조향관(14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반원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수평관(131)의 내부로 삽입된다. 조향관(144)의 좌우 측벽에는 제1와이어결합리브(144a)와 제2와이어결합리브(144b)가 각각 결합되어 제1조향와이어(143) 및 제2조향와이어(143a)와 결합된다.
와이어하우징(145)은 소형보트(200)의 후단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배치된다. 도 2는 와이어하우징(145)과 프로펠러부(15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2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하우징(145)의 상단은 조향관(144)에 고정결합되고, 와이어하우징(145)의 하단은 프로펠러부(150)를 내부에 수용한다. 이에 의해 제1조향와이어(143)와 제2조향와이어(143a)의 가압력이 조향관(144)와 와이어하우징(145)을 통해 프로펠러부(150)로 전달되어 프로펠러부(150)의 축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하우징(14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관(144)의 단부 내측으로 반정도의 영역이 수용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와이어하우징(145)은 조향관(144)의 좌우 회동에 연동하여 함께 좌우로 회동된다.
또한, 와이어하우징(145)은 수평관(131)과 조향관(144)을 따라 이동된 한 쌍의 추진와이어(120,120a)을 프로펠러부(150)로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와이어하우징(145)은 수평관(131)과 결합영역에 와이어삽입홈(145c)이 관통형성되고, 와이어삽입홈(145c)에 도르레(135)가 배치된다.
와이어하우징(145)은 소형보트(200) 후미에 관통된 와이어하우징삽입홈(230)을 통해 소형보트(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와이어하우징(145)은 와이어하우징삽입홈(23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와이어하우징삽입홈(230)에는 와이어하우징(145)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조향가이드(146)는 수평관(131)과 조향관(144)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조향관(144)이 수평관(131)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되도록 한다. 또한, 조향가이드(146)는 조향관(144)이 좌우로 회동되어 수평관(131)과 조향관(144)이 동축상에 있지 않고 어긋나게 위치하더라도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가 원활하게 와이어하우징(145)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조향가이드(146)는 수평관(131)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소형보트(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축(146a)과, 조향축(146a)의 좌우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안내회동축(146a)의 회동에 연동하여 아이들하게 회전되는 제1안내날개(146b)와 제2안내날개(146c)를 포함한다. 제1안내날개(146b)와 제2안내날개(146c)의 판면에는 각각 와이어안내공(146d)이 관통형성된다.
제1추진와이어(120)는 조향축(146a)와 제1안내날개(146b) 사이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제2추진와이어(120a)는 조향축(146a)와 제2안내날개(146c)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조향축(146a)은 제1조향와이어(143) 또는 제2조향와이어(143a)가 조향관(144)를 당기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프로펠러하우징(147)은 와이어하우징(145)의 하단(145d)에 결합된다. 프로펠러하우징(147)은 내부에 프로펠러부(150)를 수용한다. 프로펠러하우징(147)은 와이어하우징(145)과 일체로 결합되어 와이어하우징(145)의 회전방향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한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하우징(147) 내부에 수용된 프로펠러부(150)도 와이어하우징(145)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조향이 조절된다. 프로펠러하우징(147)의 상면에는 와이어하우징(145)의 하단(145d)가 결합되며, 한 쌍의 추진와이어(120,120a)를 프로펠러부(150)로 안내하는 와이어안내공(147a)이 관통형성된다.
프로펠러부(150)는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의 교번적인 가압에 의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하며 소형보트(200)가 이동되는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프로펠러부(150)는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가 외주면에 복수회 권취되는 프로펠러축(151)과, 프로펠러축(151)의 후단에 배치되는 프로펠러헤드(153)와, 프로펠러헤드(153)에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프로펠러날개축(155)과, 프로펠러축(151)이 프로펠러하우징(147)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프로펠러축(151)을 지지하는 베어링(157)과, 프로펠러축(151)의 선단을 커버하는 캡(159)을 포함한다.
프로펠러축(151)은 프로펠러하우징(147)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프로펠러축(15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하우징(147) 보다 일정길이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프로펠러하우징(147)과 프로펠러축(151) 사이의 이격간격에 복수개의 베어링(157)이 배치되어 프로펠러축(151)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프로펠러축(151)의 외주면에는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가 각각 결합된다.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는 프로펠러축(15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의 당김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프로펠러축(151)이 회전되게 된다.
프로펠러헤드(153)는 프로펠러축(151)의 후단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프로펠러날개축(155)을 고정한다. 프로펠러날개축(155)은 프로펠러헤드(153)에 복수개가 일정 각도간격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프로펠러날개축(155)에는 일정 면적을 갖는 프로펠러날개(155a)가 배치된다. 프로펠러날개(155a)는 프로펠러날개축(155)에 결합된 영역으로부터 외곽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다. 프로펠러날개(155a)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일정 면적을 가지며 탄성을 갖는 프로펠러날개(155a)는 프로펠러날개축(155)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프로펠러날개축(155)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축(151)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프로펠러날개축(155)과 프로펠러날개(155a)는 수직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 때,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추진와이어(120)가 당겨지면 프로펠러날개축(15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프로펠러날개(155a)는 프로펠러날개축(155)의 오른쪽으로 편향되어 회전된다. 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추진와이어(120a)가 당겨지면 프로펠러날개축(15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프로펠러날개(155a)는 수류방향에 따라 프로펠러날개축(155)의 왼쪽으로 편향되어 회전한다.
탑승자가 교번적으로 제1레버(113)과 제2레버(115)을 가압하면, 도 6의 (b) 상태와 도 6의 (c) 상태로 프로펠러날개(155a)가 좌우로 이동하며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물고기의 지느러미가 좌우로 이동하며 추진력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원리도 추진력이 발생되어 소형보트(200)가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100)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탑승자가 소형보트(200)에 탑승한다. 탑승자는 소형보트(200)에 마련된 의자 또는 바닥에 착석한다. 그리고, 탑승자의 양쪽 발은 각각 제1레버(113)와 제2레버(115)의 발판(113a,115a)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탑승자의 양손은 각각 제1조향핸들(141)과 제2조향핸들(142)을 파지한다.
소형보트(200)를 이동시키기 위해 탑승자는 양쪽 발을 번갈아가며 가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113)와 제2레버(115)를 가압하면, 가압하는 측의 추진와이어(120,120a)가 전방을 향해 당겨지고, 이러한 추진와이어(120,120a)의 당겨짐은 조향가이드(146)와 도르레(135)를 통해 프로펠러축(151)으로 전달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추진와이어(120)가 당겨지면 프로펠러날개축(155)이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한다. 이 때, 프로펠러날개(155a)는 프로펠러날개축(155)의 오른쪽으로 편향되어 회전된다. 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추진와이어(120a)가 당겨지면 프로펠러날개축(155)이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한다. 이 때, 프로펠러날개(155a)는 수류방향에 따라 프로펠러날개축(155)의 왼쪽으로 편향되어 회전한다.
프로펠러날개축(155)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씩 교번적으로 회동되고, 프로펠러날개(155a)의 좌우 이동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프로펠러축(151)의 회동각도는 제1레버(113)와 제2레버(115)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각도와 프로펠러축(151)의 원주면의 길이에 의해 조절된다. 즉, 제1레버(113)와 제2레버(115)가 수직한 초기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되는 각도가 클수록 제1추진와이어(120)와 제2추진와이어(120a)가 당겨지는 길이가 크므로 프로펠러축(151)이 회동되는 각도도 커지게 된다.
또한, 프로펠러축(151)의 원주면의 길이가 짧으면 프로펠러축(151)의 회동각도가 커지고, 프로펠러축(151)의 원주면의 길이가 길면 프로펠러축(151)의 회동각도가 작아진다.
프로펠러축(151)의 회동각도는 소형보트(200)의 크기와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탑승자는 운행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제1조향핸들(141)과 제2조향핸들(142)을 선택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제1조향핸들(141)과 제2조향핸들(142)을 모두 수직한 초기 상태로 위치시킬 경우 소형보트(200)는 전방을 향해 이동된다. 반면, 탑승자가 제1조향핸들(141)을 전방을 향해 B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조향와이어(143)가 전방으로 당겨진다. 이에 따라 조향관(144)이 조향가이드(146)을 중심으로 D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소형보트(200)는 전방에서 우측방향으로 운행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반대로 탑승자가 제2조향핸들(142)을 A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조향와이어(143a)가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조향관(144)이 조향가이드(146)를 중심으로 C방향으로 회전하고, 소형보트(200)의 운행방향이 전방에서 좌측방향으로 변경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잡고 있는 조향핸들(141,142)을 이동시키고 싶은 방향으로 가압하면, 간편하게 소형보트(200)의 운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조향을 위해 사용되는 조향타의 복잡한 구성 없이 간단하게 조향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는 엔진과 연료의 사용 없이 탑승자가 발로 레버를 전후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스스로 추진력을 발생시켜 소형보트를 운행하게 한다. 이 때, 레버를 탑승자가 가압한 후에 가압력을 해지하면 레버가 탄성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스스로 복귀하므로 탑승자의 체력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는 추진와이어에 의해 프로펠러부를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게 되므로, 전체 구성이 간단하다. 이에 의해 기존에 사용되는 소형보트에 와이어하우징삽입홈만 관통시키면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는 추진을 위해 발을 가압하는 것 외에 조향을 위해 손으로 조향핸들을 전후로 조작하는 동작만으로 운행이 가능하므로, 보트 운행에 숙련되지 못한 초보 탑승자도 간편하게 사용법을 숙지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110 : 추진레버부
111 : 지지프레임 113 : 제1레버
113a : 제1발판 114 : 회동축
115 : 제2레버 115a : 제2발판
120 : 제1추진와이어 120a : 제2추진와이어
130 : 와이어지지부 131 : 수평관
135 : 도르레 135a : 회전축
135b : 도르레본체 135c : 와이어삽입홈
140 : 조향부 141 : 제1조향핸들
141a : 제1조향축 142 : 제2핸들
142a : 제2조향축 143 : 제1조향와이어
143a : 제2조향와이어 145 : 와이어하우징
145c : 와이어삽입홈 145d : 하단
146 : 조향가이드 146a : 조향축
146b : 제1안내날개 146c : 제2안내날개
146d : 안내공 146e : 안내박스
147 : 프로펠러하우징 147a : 와이어안내공
150 : 프로펠러부 151 : 프로펠러축
153 : 프로펠러헤드 155 : 프로펠러날개축
155a : 프로펠러날개 157 : 베어링
159 : 캡

Claims (5)

  1. 소형보트의 바닥에 운전자의 발에 의해 가압되어 전후 회동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레버와;
    상기 소형보트의 후미측 외부에 배치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로펠러부와;
    상기 한 쌍의 레버와 상기 프로펠러부를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레버의 반복적인 전후 이동을 상기 프로펠러부의 교번적인 정역 회전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추진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펠러부는,
    상기 한 쌍의 와이어가 각각 결합되는 프로펠러축과;
    상기 프로펠러축의 단부에 방사방향으로 일정 각도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의 회전에 연동하여 정역 회전되는 복수개의 프로펠러날개축과;
    상기 복수개의 프로펠러날개축 각각에 일정 면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플로펠러축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수류방향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날개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며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버와 상기 프로펠러축까지의 상기 추진와이어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추진와이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추진와이어의 이동방향을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변환하는 도르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부가 상기 소형보트의 축방향에 대해 갖는 각도를 조절해 상기 소형보트의 조향을 조절하는 조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는,
    상기 소형보트의 양측벽에 배치되어 운전자의 손에 의해 가압되며 전후로 이동되는 한 쌍의 조향핸들과;
    상기 프로펠러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로펠러하우징과;
    상기 프로펠러하우징에 일체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와이어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수평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하우징에 고정결합되는 조향관과;
    상기 한 쌍의 조향핸들과 상기 조향관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조향핸들의 전후 이동을 상기 조향관의 좌우 회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조향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관은 상기 수평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단부가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향관과 상기 수평관의 삽입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조향관이 좌우로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조향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가이드는,
    상기 조향관을 상하로 관통하여 돌출된 후 상기 소형보트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의 좌우에 일정 면적 연장형성되며, 판면에 상기 한 쌍의 추진와이어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공이 관통형성된 한 쌍의 안내날개와;
    상기 조향축과 상기 한 쌍의 안내날개를 내부에 수용하는 안내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하우징의 일영역에 와이어삽입홈이 일정크기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하우징은 상기 조향관의 단부에 삽입된 후 상기 와이어삽입홈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추진와이어를 상기 프로펠러축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보트용 자력추진체.
KR1020140071889A 2014-06-13 2014-06-13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KR20150143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889A KR20150143011A (ko) 2014-06-13 2014-06-13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889A KR20150143011A (ko) 2014-06-13 2014-06-13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011A true KR20150143011A (ko) 2015-12-23

Family

ID=5508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889A KR20150143011A (ko) 2014-06-13 2014-06-13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30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2200A (zh) * 2018-06-28 2020-06-16 李晓明 残疾人水上娱乐用身体控制式体能锻炼滑行机
CN114771795A (zh) * 2022-06-02 2022-07-22 哈尔滨工程大学 一种仿乌贼三体式水上自行车
CN114771795B (zh) * 2022-06-02 2024-06-04 哈尔滨工程大学 一种仿乌贼三体式水上自行车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2200A (zh) * 2018-06-28 2020-06-16 李晓明 残疾人水上娱乐用身体控制式体能锻炼滑行机
CN111282200B (zh) * 2018-06-28 2021-02-09 海安绒克纺织有限公司 无臂残疾人水上娱乐用身体控制式体能锻炼滑行机
CN114771795A (zh) * 2022-06-02 2022-07-22 哈尔滨工程大学 一种仿乌贼三体式水上自行车
CN114771795B (zh) * 2022-06-02 2024-06-04 哈尔滨工程大学 一种仿乌贼三体式水上自行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8301B2 (en) Integral pedal drive for watercraft
AU2014284475B2 (en) Stand up mirage watercraft
US5125677A (en) Human powered machine and conveyance with reciprocating pedals
US10005531B1 (en) ARC crank
JPH0794235B2 (ja) 舟艇とその駆動機構
US10766587B2 (en) Human powered watercraft or land vehicle
US7300324B2 (en) Manual propulsion mechanism
KR200452872Y1 (ko) 수상자전거
KR20150143011A (ko) 소형보트용 자력 추진체
KR101028047B1 (ko) 동력변환장치
KR101801636B1 (ko) 보트용 추진장치 및 이를 적용한 보트
US7922549B1 (en) Oar with pivotal blades
KR101307215B1 (ko) 인력 추진 보트
KR101692238B1 (ko) 물놀이용 기구
KR100995098B1 (ko) 수상 주행용 기구의 하이브리드형 추진장치
US1961506A (en) Foot-power propelling and controlling apparatus for boats
US5938489A (en) Leg-powered boat
US7604521B2 (en) Aquatic exercise rowing machine
KR101327532B1 (ko) 추진 핀의 좌우 추진식 수상 자전거
CN112619075A (zh) 一种高效水下辅助推进设备及踏步式水下推进系统
US655742A (en) Propelling mechanism for boats.
KR20140101149A (ko) 로잉머신을 이용한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상기구
KR102471769B1 (ko) 페달구동식 레저용 보트
US20100291815A1 (en) Watercraft Propulsion System
WO2019149152A1 (zh) 一种水陆两用划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