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098B1 - 수상 주행용 기구의 하이브리드형 추진장치 - Google Patents

수상 주행용 기구의 하이브리드형 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098B1
KR100995098B1 KR1020100029916A KR20100029916A KR100995098B1 KR 100995098 B1 KR100995098 B1 KR 100995098B1 KR 1020100029916 A KR1020100029916 A KR 1020100029916A KR 20100029916 A KR20100029916 A KR 20100029916A KR 100995098 B1 KR100995098 B1 KR 100995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pulsion
shaft
steer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Priority to KR102010002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63H2016/20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보트, 카약 등과 같은 수상보트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수상보트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인력과 동력에 의한 추진을 선택할 수 있는 수상 주행용 기구의 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력발생부와, 동력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동력축을 통해 받아 수상 주행기구의 추진을 수행하는 추진부와, 수상 주행기구의 주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조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상 주행기구의 진행방향에서 상기 조향부가 상기 추진부 앞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상 주행용 기구의 하이브리드형 추진장치{Hybrid-type propelling apparatus for water transporting means}
본 발명은 수상 주행용 기구의 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저용 고무보트, 카약 또는 낚시보트와 같은 소형 수상 주행기구의 수상 주행을 위한, 수상 주행용 기구의 하이브리드형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가 경제가 점차로 부유해져 국민들의 관심은 먹고, 입고, 자는 것에서 벗어나 여유생활, 소위 레저생활에 집중되게 되었다. 이러한 레저생활의 일환으로 등산, 낚시, 사이클링 또는, 강변 또는 바닷가 등에서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레저생활들 중에서 강변 등에서의 활동이 등이 점차로 활성화되고 있는 중이다. 강변에서의 레저활동에는 수상보트타기, 수상스키, 바나나보트 타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고무보트 또는 카약 등과 같은 운동을 겸한 레저활동도 있다.
카약은 통상적으로 사람의 팔 힘으로만 추진하는 수상보트지만, 팔 힘으로만 추진하는 방식은 너무 많은 힘이 들어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시도에는 자전거 체인방식으로 발의 힘으로 추진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체인방식으로 추진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수상보트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수상보트의 보관 등과 수리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자전거 체인방식의 방법에서 방향타를 사용하여 수상보트의 진행방향을 조정하였지만, 수상보트의 추진속도가 너무 늦어서 적절한 진행방향의 조정에 어려움이 있고, 무엇보다도 방향타가 자전거 체인방식으로 구동되는 프로펠러 뒤측에 설치되어 조향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호수와 같은 곳에서는 조향을 어느 정도 행할 수 있지만, 물이 서서히 흐르는 강에서는 유속에 의해 조향에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전거 체인방식의 경우에는 체인 자체가 물에 의해 부식되어 훼손된 염려가 있고, 또한 자전거 체인에 사용되는 그리스와 같은 유제성분에 의해 물을 오염시킬 염려가 있다.
또한, 자전거 체인방식과 같이 순수한 인력에 의한 추진방식의 경우,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의 기어비가 통상적으로 3:1 이상이기 때문에 빠른 추진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또한, 자전거 체인방식과 같은 추진방식의 경우, 사람의 힘이 부치는 경우에는 수상보트가 강 한가운데 또는 호수 한가운데서 조난당할 염려가 있다.
그러므로,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수상보트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추진속도를 향상시키고, 조향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인력과 동력에 의한 추진을 선택할 수 있는 추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보트, 카약 등과 같은 수상보트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수상보트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인력과 동력에 의한 추진을 선택할 수 있는 수상 주행용 기구의 추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주행기구용 추진장치는 동력발생부와, 동력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동력축을 통해 받아 수상 주행기구의 추진을 수행하는 추진부와, 수상 주행기구의 주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조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상 주행기구의 진행방향에서 상기 조향부가 상기 추진부 앞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동력발생부는 인력으로 구동되는 페달부와 상기 페달부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가속변환하는 제1가속변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추진부는 상기 동력발생부의 제1가속변환부에서 가속변환되어 동력축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가속변환하는 제2가속변환부와 제2가속변환부로부터 가속변환된 동력을 추진기구에 전달하는 추진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조향부는 조향조작부와, 조향조작부에 의한 조향력을 전달하는 조향축과, 조향축을 통해 전달된 조향력을 이용하여 조향을 실행하는 방향타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향조작부는 텔레코프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동력발생부는 조향부의 조향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에 설치되고, 추진부는 조향부의 조향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추진부 사이의 동력축에 추진장치를 수상 주행기구에 탈부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추진장치 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를 수상보트와 같은 수상 주행기구에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추진장치의 보관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한편, 수상 주행기구의 보관과 이동과 같은 편의성도 증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가속변환부와 제2가속변환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적은 동력으로도 수상 주행기구의 추진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는 조향부가 수행 주행기구의 진행방향에서 항상 동력발생부와 추진부 앞쪽에 위치하도록 수행 주행기구에 설치됨으로써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조향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우수한 조향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는 조향부의 방향타에 보조방향타를 탈부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방향타가 물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켜 조향 성능을 한 층 더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주행기구용 추진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동력발생부와 추진장치 고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동력발생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추진장치 고정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의 (a)는 도 2의 A부분을 도면 우측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좌측에서 본 도면이고, (c)는 동력축 케이싱(60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틸팅축과 틸팅노브를 사용해 추진장치가 변위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추진부와 조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추진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방향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보조방향타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보조방향타가 방향타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1000)는 동력발생부(100)와, 동력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하여 수상 주행용 장치에게 추진력을 주는 추진부(200)와, 상기 수상 주행용 장치의 주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조향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발생부(100)는 동력발생을 위해 사람의 발로 구르는 페달부(110)와, 상기 페달부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가속변환하는 제1가속변환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추진부(200)는 상기 동력발생부(100)에서 발생한 동력을 동력축(PA)으로부터 전달받아 가속변환하는 제2가속변환부(210)와, 제2가속변환부에서부터 가속변환된 동력을 프로펠러 또는 스크류와 같은 추진기구(미도시)에 전달하는 추진축(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향부(300)는 사람의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하여 조향조작부(310)와, 조향조작부에 의한 조향력을 전달하는 조향축(320)과, 상기 조향축을 통해 전달된 조향력을 사용하여 조향을 실행하는 방향타(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조작부(310)는 텔레코프식으로 구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짧은 형태로 수납이 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의 구성을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발생부의 페달부(110)는 페달축(110'1)과 페달축의 일단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페달(110'2)로 이루어지고, 페달축의 타단은 제1가속변환부(120)에 연결된다.
상기 동력발생부(100)는 조향부(300)의 조향축(3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130) 위에 설치된다.
상기 제1가속변환부는 동력축(PA)에 연결되어, 상기 제1가속변환부(120)에서 가속변환된 동력은 동력축(PA)에 전달된다.
도면번호 500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를 수상 주행용 기구에 착탈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추진장치 고정부로서, 이는 수상 주행용 기구 상에서 지지하는 추진장치 지지부(400)에 착탈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동력발생부(100)와 추진장치 고정부(500) 사이에서, 상기 동력축(PA)은 상기 동력발생부(100)와 동력축 케이싱(600)을 연결하는 연결케이싱(700)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추진장치 고정부(500)는, 동력축(PA)을 활주가능하게 수납하고 또한 틸팅축(610)을 통해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동력축 케이싱(600)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추진장치 고정부(500)에는 틸팅 단속노브(510)가 설치되어, 고정부에 대한 상기 동력축 케이싱(600)의 회전과 고정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 동력축 케이싱(600)에는 높이 조절수단(620)이 설치되어, 수상 주행용 기구 상에 설치되는 추진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력발생부(100)와 추진 장치 고정부(500)와 동력축 케이싱(6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동력발생부(1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동력발생부(100)의 제1가속변환부(120)는 제1회전축(120'1)과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결합되어 제1회전축의 회전과 동기로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1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회전축(120'1)은 페달부(110)의 페달축(110'1)에 연결되어, 인력에 의한 페달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제1베벨기어(120'2)는 동력축(PA) 내측에 설치되는 제2회전축(PA-R) 일단에 설치되는 제2베벨기어(PA-B1)와 연결된다. 상기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의 기어비는 대략 3:1이루어져 제1회전축(120'1)의 회전을 가속하여 제2회전축(PA-R)에 전달하게 된다.
도 4는 추진장치 고정부(500)와 동력축 케이싱(6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a)는 도 2의 A부분을 도면 우측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좌측에서 본 도면이고, (c)는 동력축 케이싱(60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틸팅축과 틸팅노브를 사용해 추진장치가 변위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의 (a)에 도시되어 있듯이,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추진장치 고정부(500) 사이에는 틸팅축(610)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축 케이싱(600)이 설치된다.
동력축 케이싱(600)의 일단은 연결케이싱(700)에 연결된다. 그리고, 동력축 케이싱 내측에는 활주기능이 뛰어난 기능성 플라스틱과 같은 활주부재(620)가 설치되고 동력축(PA)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동력축 케이싱(600)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동력축(PA)은 높이 조절수단(610)에 의해 동력축 내측에 고정되게 된다. 높이 조절수단이 필요한 이유는, 수상주행 장치가 주행할 때 수심상황 또는 강의 바닥 상황에 따라서 수상주행기구 하부로 돌출하는 추진장치를 높게 또는 낮게 설치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력축 케이싱(600) 내측에서 동력축(PA)을 이동시켜 원하는 추진장치의 높이를 설정한 후 높이 조절수단(610)을 통해 동력축을 고정하게 되면 수상주행 장치 하부로 돌출하는 추진장치를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조작은 나사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축 케이싱(600)은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정합하는 상부 케이싱(600'1)와 하부 케이싱(60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케이싱(600'1)은 연결케이싱(700)과 고정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이 서로 정합하여 있는 상태에서는 높이 조절수단(610)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즉 높이 조절수단의 나사를 조이지 않더라도 추진장치가 수장 주행장치에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추진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도 5의 (c)와 같이 이동시키게 되면,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이 서로 분리되므로 상부 케이싱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높이 조절수단(610)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추진장치 전체가 수상주행 장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이 될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가 설치된 수상주행 장치를 수상이 아닌 육상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추진장치를 수상주행 장치에서 분리시키는 대신에, 추진장치 고정부(5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동력축 케이싱(600)의 틸팅축(610)을 고정하는 틸팅 단속노브(510)를 해제하여, 상기 틸팅축(610)을 중심으로 하여 추진장치를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장치는 직립상태에서, 수상주행 장치와 평행한 상태로 눕게 된다. 따라서, 추진장치가 설치된 수상주행 장치를 육상에 보관하는 경우에, 추진장치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추진부(200)와 조향부(300)의 구성을 좀 더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가속변환부(210)와 추진축(220)으로 이루어진 추진부(200)는 동력축(PA)에 연결되고, 또한 조향부(300)의 조향축(3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230)에 연결된다. 또한, 추진부의 하부는 회전핀수단(240)을 통해 방향타(33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추진축(220)에는 프로펠러와 같은 수단이 설치되어 수상 주행용 기구를 추진하게 된다.
방향타(330)는 체결수단(330'1)을 통해 조향축(320)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조향축의 회전에 따라서 방향타도 회전을 하여 수상 주행기구의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또한,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230)가 조향부(300)의 조향축(3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동력축(PA)을 통해 동력발생부(100)와 추진부(200)가 연결되기 때문에 동력발생부, 추진부 및 조향부는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도 8은 추진부(20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추진부(200)의 제2가속변환부(210)는 제2지지부(230)에 고정연결되는 한편 동력축(PA)과 연결된다. 동력축 끝단에는 제3베벨기어(PA-B2)가 설치되고, 추진축(220)의 일단에는 제4베벨기어(220'1)가 설치되어 상기 제3베벨기어와 제4베벨기어가 기어결합을 한다. 상기 제3베벨기어와 제4베벨기어의 기어비는 대략 2:1로 이루어져 회전축(PA)에서 전달되는 회전을 가속하여 추진축(2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추진축(PA-R)이 물로부터 완전하게 방수되기 때문에 물에 의한 추진축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상보트와 같은 수상 주행기구에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추진장치의 보관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한편, 수상 주행기구의 보관과 이동과 편의성도 증대하게 된다.
또한, 제1가속변환부와 제2가속변환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적은 인력으로도 수상 주행기구의 추진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는 조향부(300)가 수행 주행기구의 진행방향에서 항상 동력발생부(100)와 추진부(200) 앞쪽에 위치하도록 수행 주행기구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조향부가 추진부, 즉 프로펠러 앞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조향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우수한 조향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동력발생부에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를 추가로 설치한 후, 동력선택장치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서 동력발생부의 페달부(110)를 통한 인력에 의한 동력과,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에 의한 동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흐름이 전혀 없는 호수나 또는 물의 흐름이 낮은 강 등에서는 인력으로 수상 주행기구를 추진하다가, 물의 흐름이 빨라지거나 또는 힘이 부치는 경우에는 동력발생장치에 의한 동력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상 주행기구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 비록 조향부(300)의 방향타(320)를 추진부(200) 앞쪽에 설치한다 하더라도 수상 주행기구의 조향이 원활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조방향타(800)를 방향타(300)에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방향타(800)는 두 개의 조향날개(810)와 두 개의 조향날개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820)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듯이 연결편(820)의 중앙부에는 방향타(330)에 연결을 위한 체결홈(6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체결홈을 방향타에 끼움으로써 보조방향타가 조향부(300)의 방향타(330)와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방향타가 방향타와 연결되게 되면, 방향타 및 보조방향타가 물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수상 주행기구의 조향성을 향상시켜, 항상 원하는 방향으로 수상 주행기구가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보조방향타의 날개의 숫자를 두 개로 기술하였지만, 보조방향타의 날개의 숫자는 필요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동력발생부 110 : 페달부
120 : 제1가속변환부 120'1 : 제1회전축
120'2 : 제1베벨기어 200 : 추진부
210 : 제2가속변환부 220 : 추진축
220'1 : 제4베벨기어 300 : 조향부
310 : 조향조작부 320 : 조향축
330 : 방향타 400 : 추진장치 지지부
500 : 추진장치 고정부 510 : 틸팅 단속노브
600 : 동력축 케이싱 610 : 틸팅축
620 : 높이 조절수단 700 : 연결케이싱
800 : 보조방향타 810 : 조향날개
820 : 연결편 PA : 동력축
PA-R : 제2회전축 PA-B1 : 제2베벨기어
PA-B2 : 제3베벨기어

Claims (16)

  1. 인력으로 구동되는 페달부(110)와 상기 페달부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가속변환하는 제1가속변환부(120)로 이루어지는 동력발생부(100)와,
    상기 동력발생부의 제1가속변환부에서 가속변환되어 동력축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가속변환하는 제2가속변환부(210)와 제2가속변환부로부터 가속변환된 동력을 추진기구에 전달하는 추진축(220)으로 구성되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동력축(PA)을 통해 전달받아 수상 주행기구의 추진을 수행하는 추진부(200)와,
    텔레코프식으로 구성되는 조향조작부(310)와, 조향조작부에 의한 조향력을 전달하는 조향축(320)과, 조향축을 통해 전달된 조향력을 이용하여 조향을 실행하는 방향타(330)로 이루어져 수상 주행기구의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조향부(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발생부(100)는 조향부의 조향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130)에 설치되고, 상기 추진부(200)는 조향부의 조향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230)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부와 상기 추진부 사이의 동력축(PA)에 추진장치를 수상 주행기구에 탈부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추진장치 고정부(500)와, 상기 동력축(PA)이 활주가능하게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추진장치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동력축 케이싱(600)과, 상기 동력발생부(100)와 상기 동력축 케이싱(600)을 연결하는 연결케이싱(700)이 설치되며,
    상기 수상 주행기구의 진행방향에서 상기 조향부가 상기 추진부 앞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주행용 기구의 하이브리드형 추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축 케이싱(600)에는 수상 주행기구에 설치된 추진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수단(51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축 케이싱은 일단이 상기 연결케이싱(700)에 연결되는 상부 케이싱(600'1)과 추진장치 고정부(5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 케이싱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케이싱(600'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은 요철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동력축 케이싱(600) 내부에 위치하는 동력축(PA)과 동력축 케이싱의 내면 사이에는 기능성 플라스틱과 같은 활주부재(62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축 케이싱(600)은 틸팅축(610)을 통해 상기 추진장치 고정부(5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추진장치 고정부(500)에는 상기 틸팅축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틸팅 단속노브(5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속변환부(120)는 페달부(110)의 페달축(110'1)과 동기로 회전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축(120'1)과, 상기 제1회전축과 기어결합하여 제1회전축과 동기로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120'2)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는 동력축(PA)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PA-R)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베벨기어(PA-B1)와 기어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2베벨기어의 기어비는 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속변환부(210)에는 동력축(PA)에 설치되는 제3베벨기어(PA-B2)와, 추진축(220)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4베벨기어(220'1)가 상기 제3베벨기어와 제4베벨기어가 기어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베벨기어와 제4베벨기어의 기어비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300)의 조향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조방향타(600)가 상기 방향타(330)에 탈부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방향타는 두 개 이상의 날개(610)와, 상기 날개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6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편의 중앙에는 방향타(330)에 연결을 위한 체결홈(6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100)에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와 동력선택장치를 설치하여, 페달부(110)를 통한 동력과 동력발생장치에 의한 동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추진부(200)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장치.
KR1020100029916A 2010-04-01 2010-04-01 수상 주행용 기구의 하이브리드형 추진장치 KR10099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916A KR100995098B1 (ko) 2010-04-01 2010-04-01 수상 주행용 기구의 하이브리드형 추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916A KR100995098B1 (ko) 2010-04-01 2010-04-01 수상 주행용 기구의 하이브리드형 추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098B1 true KR100995098B1 (ko) 2010-11-18

Family

ID=4340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916A KR100995098B1 (ko) 2010-04-01 2010-04-01 수상 주행용 기구의 하이브리드형 추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0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882B1 (ko) * 2015-07-28 2017-04-18 조영훈 페달카약용 동력전달 장치
KR101763470B1 (ko) * 2015-07-28 2017-08-03 엄명용 페달 카약
CN111591416A (zh) * 2020-06-24 2020-08-28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新型动力传递系统及转向机构的水下探测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090A (ja) * 2000-03-07 2001-09-11 Toenec Corp ボート
KR200292144Y1 (ko) * 2002-05-29 2002-10-14 (주)대양아이엔씨 수상자전거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090A (ja) * 2000-03-07 2001-09-11 Toenec Corp ボート
KR200292144Y1 (ko) * 2002-05-29 2002-10-14 (주)대양아이엔씨 수상자전거 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882B1 (ko) * 2015-07-28 2017-04-18 조영훈 페달카약용 동력전달 장치
KR101763470B1 (ko) * 2015-07-28 2017-08-03 엄명용 페달 카약
CN111591416A (zh) * 2020-06-24 2020-08-28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新型动力传递系统及转向机构的水下探测机器人
CN111591416B (zh) * 2020-06-24 2024-03-26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动力传递系统及转向机构的水下探测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4934B2 (ja)
US10227120B2 (en) Retrofittable watercraft propulsion device
EP0396829A1 (en) Power driven underwater viewing platform
US8276536B2 (en) Rudder system
JPH0794235B2 (ja) 舟艇とその駆動機構
US8992272B1 (en) Stand-up pedal board
KR100995098B1 (ko) 수상 주행용 기구의 하이브리드형 추진장치
WO2019013836A1 (en) ARC HANDLE
KR101801636B1 (ko) 보트용 추진장치 및 이를 적용한 보트
US6165029A (en) Pedal boat
CN203864981U (zh) 一种手脚并用的人力小船
KR200473593Y1 (ko) 페달식 보트
KR20160024526A (ko) 수상 자전거
US9365272B1 (en) Hand crank stand-up paddle board
US8950347B2 (en) Performance oar
CN203864973U (zh) 一种机动半封闭式旋转桨叶小船
US6171157B1 (en) Pedal powered boat motor
FR2725419A1 (fr) Appareil destine a propulser et a diriger des vehicules grace a la force musculaire, transformee en force motrice
US20100291815A1 (en) Watercraft Propulsion System
KR101373817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모터 구동식 수상레저용 보트
KR20140101149A (ko) 로잉머신을 이용한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상기구
CN104002945B (zh) 一种机动敞开式旋转桨叶小船
KR100520006B1 (ko) 노 추진장치
WO2011011006A1 (en) Rudder system
JP3227165B2 (ja) 水上,水中両用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