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601A -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 Google Patents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601A
KR20160116601A KR1020150044563A KR20150044563A KR20160116601A KR 20160116601 A KR20160116601 A KR 20160116601A KR 1020150044563 A KR1020150044563 A KR 1020150044563A KR 20150044563 A KR20150044563 A KR 20150044563A KR 20160116601 A KR20160116601 A KR 20160116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lock
front wall
wall portion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791B1 (ko
Inventor
강광호
김종길
이광준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강원이앤씨
주식회사 강원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강원이앤씨, 주식회사 강원건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강원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04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79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및 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생골재를 블록의 재료로 사용하여 제조 및 시공 원가를 절감하고 전면 벽체부와 앵커수단의 구조 및 결속을 통해 토압에 대한 큰 버팀력을 발휘함으로써 옹벽의 안정성을 증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은, 사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전방에, 재생골재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블록의 조적에 의해 형성되는 전면 벽체부(100)와; 상기 전면 벽체부의 후방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면 벽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 벽체부를 지지하는 앵커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벽체부의 콘크리트 블록은 상부에는 기초부가 돌출되는 한편 저부에는 말뚝부가 돌출되는 평평한 판상이며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 블록(110) 및 상기 기초 블록 위에 조적되는 다수의 옹벽 블록(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초 블록과 옹벽 블록은 각각 육면체 형태로 제조되며 상하부의 다른 블록과 요철에 의해 인터록킹되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연결홈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것과 상기 연결홈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핀(116,125)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상기 앵커수단은 상기 전면 벽체부와 상기 사면 사이에 상기 전면 벽체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져 설치되며 뒷채움재에 매설되는 앵커빔(210), 상기 앵커빔에 결합되는 앵커블록(230),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걸이부가 구비된 봉 형태이며 상기 양측의 걸이부가 상기 콘크리트 블록들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핀과 상기 앵커블록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횡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들과 상기 앵커빔을 연결하는 앵커봉(2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PREFABRICATED CONCRETE RETAINING WALL USING RECYCLE AGGREGATE}
본 발명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골재를 블록의 재료로 사용하여 제조 및 시공 원가를 절감하고 전면 벽체부와 앵커수단의 구조 및 결속을 통해 토압에 대한 큰 버팀력을 발휘하는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악지역의 절토 등에 의한 도로 시공이나 단지 조성시 절토사면(切土斜面)과 같은 비탈면이 존재한다.
이러한 절토사면은 인공적인 절토작업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비탈면과 같은 경사면이 균형을 잃어 위험하며, 또한 토사의 응집력이 약하기 때문에 비가 많이 내리거나 하면 쉽게 부서져 내려 사태를 일으키게 되므로 상기 절토사면 둘레로 옹벽을 구축하여 토사 등이 유실되거나 사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동안 절토사면과 같은 비탈면을 보강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국내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옹벽이 많이 이용되어 왔는데, 상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 및 양생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굴토작업과 성토작업에 막대한 공사비가 소요되며, 또한 대규모 절토작업에 대한 제약이 많다는 단점이 있어, 약 15년 전부터는 앵커볼트가 일체로 된 구조물을 조적하면서 앵커볼트 부위에 흙을 매립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기술이 일본에서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보강방법도 굴토 및 성토작업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또한 전체적으로 구조물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강봉보강재와 결합되는 옹벽 블록을 조적하여 옹벽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옹벽 구조를 통해 절토사면을 보강하는 방식의 구조물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0736269호)은 옹벽의 전면이 되는 전면패널과,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을 이어주는 격벽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블록 내에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중공부를 갖는 중공 블록을 포함하며; 단부가 지중에 근입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빔이 상기 중공 블록의 중공부에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 블록이 수직하게 적층되고; 상기 중공 블록의 배면으로는 토류판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축조되며; 상기 토류판 배면에는 배면 토사가 채워져 있고; 옹벽의 정면이 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배면 토사 방향의 배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을 이어주는 격벽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중공 블록을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중공 블록의 좌측 격벽패널과 우측 격벽패널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측면으로 연결시켜 일체를 이루고 있는 평단면형상을 가지는 역대응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 블록의 전면패널과 상기 역대응 블록의 전면패널이 엇갈리도록 상기 역대응 블록이 상기 중공 블록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되어도 상기 블록들의 격벽패널들이 중공부를 폐쇄하지 않도록 중첩됨으로써, 상기 중공부가 옹벽의 상,하로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 근입식 블록 옹벽이다.
특허문헌 2(등록특허 제10-0980860호)는 보강토 옹벽의 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조적되는 전면블록으로부터 일정 거리 후방으로 이격된 뒷채움부에 매설되는 앵커블록과; 상기 전면블록들 중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 이상의 전면블록에 걸쳐 안착되어 상기 전면블록들을 서로 결속하는 횡방향 보강재와; 상기 횡방향 보강재와 상기 앵커블록을 연결하는 연결재를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 보강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횡방향 보강재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전면블록이 1개의 앵커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고, 특허문헌 1,2 모두 자원재활용에 의한 블록이 아니고, 옹벽의 안정성이 약하다.
등록특허 제10-0736269호 등록특허 제10-098086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재생골재를 블록의 재료로 사용하여 제조 및 시공 원가를 절감하고 전면 벽체부와 앵커수단의 구조 및 결속을 통해 토압에 대한 큰 버팀력을 발휘함으로써 옹벽의 안정성을 증대하는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은, 사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전방에, 재생골재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블록의 조적에 의해 형성되는 전면 벽체부와; 상기 전면 벽체부의 후방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면 벽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 벽체부를 지지하는 앵커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벽체부의 콘크리트 블록은 상부에는 기초부가 돌출되는 한편 저부에는 말뚝부가 돌출되는 평평한 판상이며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 블록 및 상기 기초 블록 위에 조적되는 다수의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초 블록과 옹벽 블록은 각각 육면체 형태로 제조되며 상하부의 다른 블록과 요철에 의해 인터록킹되는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연결홈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것과 상기 연결홈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핀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상기 앵커수단은 상기 전면 벽체부와 상기 사면 사이에 상기 전면 벽체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져 설치되며 뒷채움재에 매설되는 앵커빔, 상기 앵커빔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앵커블록, 상기 앵커블록을 상기 앵커빔에 고정하는 조임구,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걸이부가 구비된 봉 형태이며 상기 양측의 걸이부가 상기 콘크리트 블록들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핀과 상기 앵커블록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횡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들과 상기 앵커빔을 연결하는 앵커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봉은 상기 연결핀에 연결되지 아니하고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들의 인터록킹을 위한 구성에 연결 가능하고, 또는 좌우로 이웃하는 블록들을 연결하는 연결핀에 연결되는 것과 인터록킹을 위한 구성에 연결되는 것이 병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에 의하면, 재생골재와 폐유리의 폐자재를 블록의 재료로 하여 제조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하고 자원재활용에 따른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앵커수단을 통해 전면 벽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옹벽의 배부름 현상과 붕괴를 막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에 지오그리드바가 적용된 예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에 적용된 블록과 앵커봉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에 적용된 블록과 앵커봉의 다른 예를 보인 시공 상태 측면도.
도 7은 도 4와 도 5에 적용된 블록의 저면 사시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은, 재생골재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블록들의 조적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면 벽체부(100), 전면 벽체부(10)를 보강하는 앵커수단(200) 및 전면 벽체부(100)와 사면 사이에 채움되는 뒷채움부(300)로 이루어진다.
전면 벽체부(100)는 기초 블록(110)들에 의한 기초부 및 상기 기초부 위에 옹벽 블록(120)이 조적되어 이루어진 옹벽부로 구성된다.
기초 블록(110)과 옹벽 블록(120)은 각각 재생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재생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폐유리 5~10중량부와 시멘트 10~30중량부와 강재 슬래그 3~10중량부 및 물 10~30중량부의 혼합물을 재료로 한다.
상기 재생골재는 건축 토목 구조물 등의 철거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의 중간처리과정을 통해 생산된 제품이며 20mm~40mm 입도가 바람직하고 블록(110,120)의 압축강도 등을 조절한다.
상기 폐유리는 빛의 반사와 강도 보강 등을 위하여 사용되며 5중량부 미만이 혼합되면 강도 보강이 미비하고 10중량부 초과로 혼합되더라도 강도 보강에 큰 차이가 없다.
폐유리는 1mm~5mm 등 다양한 입도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시멘트는 재료들을 바인딩하는 것이며 10중량부 미만이 혼합되면 재료들이 분산되고 30중량부 초과로 혼합되면 작업성이 떨어진다.
강재 슬래그는 강재 제조시 발생되는 부산물로서 강도 보강 등을 위하여 포함되며 재생골재의 입도 범위와 동일할 수 있고 3~10중량부를 벗어나면 강도 보강이 미약하거나 제조성이 저하된다.
물은 재료들의 균일한 혼합과 작업성을 위하여 사용되며 10~30중량부의 범위를 벗어나면 균일한 혼합 및 작업성이 떨어지거나 강도가 약하다.
이와 같은 조성의 기초 블록(110)과 옹벽 블록(12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기초 블록(110)은 지면에 지지되는 특성에 맞춰 높이보다 두께가 두꺼운 육면체 형태의 기초블록 몸체(111), 기초블록 몸체(111)의 상부에 돌출되는 기초부(112), 기초블록 몸체(112)의 저부로 돌출되는 말뚝부(113)로 이루어진다.
기초 블록(110)은 지중에 매설되고, 이때, 기초부(112)는 지면 위로 돌출되어 옹벽 블록(120)과 연결되는 부분이고, 말뚝부(113)는 지중에 박혀 기초 블록(110)의 설치 강도를 높여준다.
기초부(112)와 말뚝부(113)는 측면에서 볼 때 기초블록 몸체(111) 보다 작은 단면적이기 때문에 기초 블록(110)은 기초블록 몸체(111)의 전후 양측이 말굽형태로 돌출된 구조이므로 토압에 의한 전도방지 효과가 뛰어나다.
기초부(112)는 상면에 옹벽 블록(120)과의 결속을 위한 인터록킹 돌기(114)가 형성된다.
인터록킹 돌기(114)는 예를 들어 측면에서 볼 때 삼각 단면일 수 있고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체적으로 길게 형성되지 않고 복수개가 점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초 블록(110)은 좌우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기초 블록(110)과 연결되도록 좌우 양측의 벽면에는 연결홈(115)이 형성되며, 이웃하는 기초 블록(110)들은 연결홈(115)에 하나의 연결핀(116)이 끼워짐으로써 연결된다.
연결홈(115)과 연결핀(116)은 원형, 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한편, 연결핀(116)은 이웃하는 기초 블록(110)들만을 연결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앵커수단(200)과 연결되는 기능도 겸하며 앵커수단(200)의 연결을 위하여 기초 블록(110)의 좌우측 벽면에는 앵커수용홈(117)이 형성된다. 앵커수용홈(117)은 후방을 향해 개방된 형태이며 이 곳에 연결홈(115)이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이다.
옹벽 블록(120)은 두께보다 높이가 높은 수직형 육면체의 옹벽블록 몸체(121)로 이루어지며, 하부와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블록(110 또는 120)과 인터록킹을 위하여 저부에는 인터록킹 홈(122)이 상부에는 인터록킹 돌기(123)가 형성되며, 이는(122,123) 기초 블록(110)의 인터록킹 돌기(114)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옹벽 블록(120)도 기초 블록(110)과 마찬가지로 좌우에 이웃하는 다른 옹벽 블록(120)과 연결을 위하여 연결홈(124)과 연결핀(125)이 형성되고 아울러 앵커수단(200)과의 연결을 위하여 앵커수용홈(126)이 형성된다.
옹벽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옹벽 블록(120)은 인터록킹 돌기를 대신하여 뒷채움부를 지지하는 턱(12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기초 블록(110)이 최하단에 1단으로 설치되고, 기초 블록(110) 위에 옹벽 블록(120)이 1개 층 이상으로 조적되어 옹벽을 시공하며, 이때, 앵커수단(200)이 연결핀(116,125)에 연결됨에 따라 위단과 아랫단의 블록(110,120)들은 정면에서 일렬로 조적(도 3 참고)된다.
앵커수단(200)은 전면 벽체부(100)의 후방 즉 전면 벽체부(100)와 사면 사이에 설치되어 뒷채움부(300)와 함께 전면 벽체부(100)를 지지한다.
앵커수단(200)은 전면 벽체부(100)의 후방에 상하 종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호 간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앵커빔(210), 앵커빔(210)과 전면 벽체부(110)를 연결하는 앵커봉(220)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앵커빔(210)은 뒷채움부(300)에 매설되며 바람직하게 저부가 지중에 근입 시공되어 큰 정착력을 발휘한다.
앵커빔(210)은 전후 양측에 토압에 대한 버팀력을 발생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2버팀부(211,212) 및 제1,2버팀부(211,212)를 연결하는 연결부(213)로 이루어지며 H 형이나 I 형 빔의 사용이 가능하다.
앵커빔(210)은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사용 가능하고, 2개 이상이 사용되는 경우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다.
앵커봉(220)은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걸이부 즉 제1,2걸이부(221,222)가 형성되는 봉 형태이며, 단일 봉도 가능하지만 제1,2걸이부(221,222)의 사이에 다수의 봉이 나사 체결 등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앵커봉(220)의 봉 본체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2걸이부(221,222)는 상기 봉 본체의 단부에서 곡선형으로 벤딩되어 이루어져 전면 벽체부(100)와 앵커빔(21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제1걸이부(221)는 각각 전면 벽체부(100)의 연결핀(116, 125)에 연결되고 앵커수용홈(117,126)을 통해 앵커빔(210)을 향해 설치된다.
제2걸이부(222)는 앵커빔(210)에 직접 연결(앵커빔에 구멍 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앵커빔(210)에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앵커빔(210)의 강도가 저하되고 옹벽의 크기 등에 따라 앵커봉(220)의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많은 수량의 구멍을 천공하여야 하므로 앵커빔(210)의 강도 저하가 극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제2걸이부(222)를 앵커빔(210)에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앵커블록(230)을 적용한다.
앵커블록(230)은 앵커빔(210)의 제1버팀부(211)를 양쪽에서 감싸는 슬라이딩홈(231)을 구비하는 한편 앵커봉(220)의 제2걸이부(222)가 연결되는 다단의 체결홈(232)이 구비되고, 앵커빔(210)에 고정되도록 조임구(233)가 적용된다.
슬라이딩홈(231)은 제1버팀부(211)와 연결부(213)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이며, 앵커빔(210)의 제1버팀부(211)에 슬라이딩되며 어느 위치에서든 고정이 가능하고, 이는 조임구(233)가 슬라이딩홈(231)의 전면부(234)에 나사 체결되어 앵커빔(210)의 제1버팀부(211)와 슬라이딩홈(231) 후방의 날개부(235)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즉 앵커블록(230)은 조임구(233)와 날개부(235)가 앵커빔(210)의 제1버팀부(211)의 전후방에 밀착됨으로써 앵커빔(210)에 고정된다.
체결홈(232)은 전면 벽체부(100)와 앵커빔(210)간의 거리가 다르더라도 앵커봉(22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즉 앵커빔(210)을 이동하지 않고 체결홈(232)의 선택을 통해 앵커봉(220)을 설치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용이하다.
한편, 다수의 체결홈(232) 중에서 어느 하나만이 앵커봉(220)과 연결되는 것이며 나머지 체결홈(232)은 뒷채움재가 채워짐으로써 전면 벽체부(100)를 향하는 방향의 토압에 대한 버팀력을 발휘한다.
또한, 앵커봉(220)이 연결되지 않는 체결홈(232)을 다른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며,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체결홈(232)에 지오그리드바(236)를 설치하여 뒷채움부(300)의 거동을 줄이도록 한다.
지오그리드바(236)는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전면 벽체부(100)를 향하는 거동을 막는 방향의 힘을 발휘함으로써 옹벽의 안정성을 증대한다.
지오그리드바(236)는 전체적으로 체결홈(232)에 관통되는 크기도 가능하지만, 좌우 2개로 분할하는 경우 체결홈(232)에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체결홈(232)보다 더 큰 높이로 형성 가능하다.
지오그리드바(236)는 길이가 앵커 블록(230)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며, 표면이 요철인 것도 가능하고, 또는 이웃하는 2개 이상의 앵커 블록(230)에 연결되어 이웃하는 것들끼리 상호 간에 지지기반을 제공함으로써 버팀력을 증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초 블록(110)과 옹벽 블록(120)이 연결핀(116,125)을 통해 이웃하는 것들과 연결되고, 앵커봉(220)의 제1걸림부(221)이 연결핀(116,125)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도 5와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기초 블록(110)과 옹벽 블록(120)의 인터록킹을 위한 인터록킹 돌기(114,123)와 인터록킹 홈(122)을 이용하여 앵커봉(220)의 제1걸이부(221)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앵커봉(220)의 제1걸이부(221)는 인터록킹 돌기(114,123)에 연결된다.
인터록킹 홈(122)에는 앵커봉(220)의 수용을 위하여 후방으로 개방되는 앵커 수용부(128)(도 7 참고)가 형성된다. 단 앵커 수용부(128)는 앵커봉(220)으로부터 전가되는 힘에 의해 인터록킹 돌기(114,123)가 인터록킹 홈(12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인터록킹 홈(122)과 턱을 형성하도록 작게 형성된다.
또한, 인터록킹 돌기(123)는 앵커봉(220)의 제1걸이부(221)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단부에 턱(114a, 123a)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초 블록(110)과 옹벽 블록(120)이 연결핀(116,125)을 통해 이웃하는 것들과 연결되면서 앵커봉(220)의 제1걸림부(221)이 연결핀(116,125)에 연결되는 것, 그리고, 앵커봉(220)이 기초 블록(110)과 옹벽 블록(120)의 인터록킹을 위한 인터록킹 돌기(114,123)에 연결되는 것이 함께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뒷채움부(300)는 옹벽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고 다양한 조성의 뒷채움재의 채움을 통해 시공된다.
100 : 전면 벽체부, 110 : 기초 블록
120 : 옹벽 블록, 200 : 앵커수단
210 : 앵커빔, 220 : 앵커봉
221,222 : 제1,2걸이부,

Claims (6)

  1. 사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전방에, 재생골재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블록의 조적에 의해 형성되는 전면 벽체부와;
    상기 전면 벽체부의 후방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면 벽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 벽체부를 지지하는 앵커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벽체부의 콘크리트 블록은 상부에는 기초부가 돌출되는 한편 저부에는 말뚝부가 돌출되는 평평한 판상이며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 블록 및 상기 기초 블록 위에 조적되는 다수의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초 블록과 옹벽 블록은 각각 육면체 형태로 제조되며 상하부의 다른 블록과 요철에 의해 인터록킹되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연결홈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것과 상기 연결홈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핀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상기 앵커수단은 상기 전면 벽체부와 상기 사면 사이에 상기 전면 벽체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져 설치되며 뒷채움재에 매설되는 앵커빔, 상기 앵커빔에 결합되는 앵커블록,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걸이부가 구비된 봉 형태이며 상기 양측의 걸이부가 상기 콘크리트 블록들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핀과 상기 앵커블록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횡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들과 상기 앵커빔을 연결하는 앵커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2. 사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전방에, 재생골재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블록의 조적에 의해 형성되는 전면 벽체부와;
    상기 전면 벽체부의 후방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면 벽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 벽체부를 지지하는 앵커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벽체부의 콘크리트 블록은 상부에는 기초부가 돌출되는 한편 저부에는 말뚝부가 돌출되는 평평한 판상이며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 블록 및 상기 기초 블록 위에 조적되는 다수의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초 블록과 옹벽 블록은 각각 육면체 형태로 제조되며 상하부의 다른 블록과 인터록킹 돌기와 인터록킹 홈의 결합에 의해 인터록킹되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연결홈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것과 상기 연결홈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핀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상기 앵커수단은 상기 전면 벽체부와 상기 사면 사이에 상기 전면 벽체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져 설치되며 뒷채움재에 매설되는 앵커빔, 상기 앵커빔에 결합되는 앵커블록,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걸이부가 구비된 봉 형태이며 상기 양측의 걸이부가 상기 콘크리트 블록들을 각각 연결하는 인터록킹 돌기와 상기 앵커블록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종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콘크리트 블록들과 상기 앵커빔을 연결하는 앵커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3. 사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전방에, 재생골재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블록의 조적에 의해 형성되는 전면 벽체부와;
    상기 전면 벽체부의 후방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면 벽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 벽체부를 지지하는 앵커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벽체부의 콘크리트 블록은 상부에는 기초부가 돌출되는 한편 저부에는 말뚝부가 돌출되는 평평한 판상이며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 블록 및 상기 기초 블록 위에 조적되는 다수의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초 블록과 옹벽 블록은 각각 육면체 형태로 제조되며 상하부의 다른 블록과 인터록킹 돌기와 인터록킹 홈의 결합에 의해 인터록킹되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연결홈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것과 상기 연결홈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핀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상기 앵커수단은 상기 전면 벽체부와 상기 사면 사이에 상기 전면 벽체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져 설치되며 뒷채움재에 매설되는 앵커빔, 상기 앵커빔에 결합되는 앵커블록,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걸이부가 구비된 봉 형태이며 상기 양측의 걸이부가 상기 콘크리트 블록들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핀과 상기 앵커블록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횡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들과 상기 앵커빔을 연결하고 아울러 양측의 걸이부가 상기 인터록킹 돌기와 상기 앵커블록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종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콘크리트 블록들과 상기 앵커빔을 연결하는 앵커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빔은 전후 양측에 토압에 대한 버팀력을 발생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2버팀부와 상기 제1,2버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블록은 상기 앵커빔의 제1버팀부를 양쪽에서 감싸는 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앵커봉이 연결되는 다단의 체결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체결홈 중에서 상기 앵커봉이 연결되지 않는 체결홈에 결합되는 지오그리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블록과 옹벽 블록은 각각 재생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폐유리 5~10중량부와 시멘트 10~30중량부와 강재 슬래그 3~10중량부 및 물 10~30중량부의 혼합물을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KR1020150044563A 2015-03-30 2015-03-30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KR101728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563A KR101728791B1 (ko) 2015-03-30 2015-03-30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563A KR101728791B1 (ko) 2015-03-30 2015-03-30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601A true KR20160116601A (ko) 2016-10-10
KR101728791B1 KR101728791B1 (ko) 2017-04-20

Family

ID=5714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563A KR101728791B1 (ko) 2015-03-30 2015-03-30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79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7998A (zh) * 2018-04-27 2018-10-19 河海大学 一种转角型加筋土挡墙结构及制作方法
CN109778902A (zh) * 2019-01-16 2019-05-21 广东工业大学 一种挡土墙的加固结构
CN110206059A (zh) * 2019-06-12 2019-09-06 吴东波 一种重力式直立挡土墙结构
CN110258627A (zh) * 2019-07-18 2019-09-20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组合式锚拉路肩挡土墙及其施工方法
CN111074908A (zh) * 2019-12-26 2020-04-28 广东省建筑工程机械施工有限公司 用于狭窄空间台背回填的装置及台背的狭窄空间回填方法
KR102234513B1 (ko) * 2020-09-16 2021-03-31 함창규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WO2022026951A1 (en) * 2020-07-31 2022-02-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Alternative uses for wind turbine blades
KR102452587B1 (ko) * 2022-01-14 2022-10-07 임찬영 Eps블럭과 h빔을 이용한 자립식 패널옹벽 시공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US20230117351A1 (en) * 2021-10-14 2023-04-20 Summa-Magna 1 Corporation Retaining wall system with deadma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69B1 (ko) 2006-03-24 2007-07-06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는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시공방법
KR100980860B1 (ko) 2010-03-02 2010-09-10 서동수 보강토 옹벽 고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445Y1 (ko) * 2002-11-08 2003-02-15 주식회사 백산기술단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과 연결봉을 이용한 도로용옹벽블록구조
JP2006037527A (ja) * 2004-07-28 2006-02-09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軽量盛土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60601B1 (ko) * 2009-08-31 2010-06-07 주식회사 에코탑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69B1 (ko) 2006-03-24 2007-07-06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는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시공방법
KR100980860B1 (ko) 2010-03-02 2010-09-10 서동수 보강토 옹벽 고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7998A (zh) * 2018-04-27 2018-10-19 河海大学 一种转角型加筋土挡墙结构及制作方法
CN109778902A (zh) * 2019-01-16 2019-05-21 广东工业大学 一种挡土墙的加固结构
CN110206059A (zh) * 2019-06-12 2019-09-06 吴东波 一种重力式直立挡土墙结构
CN110258627A (zh) * 2019-07-18 2019-09-20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组合式锚拉路肩挡土墙及其施工方法
CN111074908A (zh) * 2019-12-26 2020-04-28 广东省建筑工程机械施工有限公司 用于狭窄空间台背回填的装置及台背的狭窄空间回填方法
WO2022026951A1 (en) * 2020-07-31 2022-02-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Alternative uses for wind turbine blades
KR102234513B1 (ko) * 2020-09-16 2021-03-31 함창규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US20230117351A1 (en) * 2021-10-14 2023-04-20 Summa-Magna 1 Corporation Retaining wall system with deadman
US11713555B2 (en) * 2021-10-14 2023-08-01 Summa-Magna 1 Corporation Retaining wall system with deadman
KR102452587B1 (ko) * 2022-01-14 2022-10-07 임찬영 Eps블럭과 h빔을 이용한 자립식 패널옹벽 시공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791B1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791B1 (ko)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US20090094917A1 (en) Landscaping system
US9469963B2 (en) Cantilevered wing wall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36292A (ko) 토목구조물용 블록, 토목구조물용 블록의 고정 방법 및 상기 블록을 이용한 블록 조적식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583294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JP2007308882A (ja) 軽量盛土構造
KR101088477B1 (ko)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
KR102533318B1 (ko) 기능성 보강토 블럭
KR101000915B1 (ko) 전면부와 보강체의 직접 연결형 옹벽
JP2009293331A (ja) 地盤改良体からなる擁壁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462814B1 (ko) 중력식 2열 흙막이 합성 소일벽 시공방법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KR101164989B1 (ko) 지반 보강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150531B1 (ko) 연직형 지중삽입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16003550A (ja) 石積み壁の補強構造及び方法
KR20190004497A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20070090285A (ko) 환경친화형 합성옹벽
KR101841433B1 (ko)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JP2013129956A (ja) 基礎構造及び基礎の構築方法
KR100956442B1 (ko) 도로, 단지 및 하천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옹벽용 블록, 블록 고정 정착구와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JP2003268771A (ja) 乾式ブロック、その成形型枠、その成形方法、乾式ブロックを用いた補強土構造
KR20160144134A (ko) 체인형 커터를 사용한 소일시멘트 지중 연속벽 시공방법
JP2004263490A (ja) 地下合成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