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433B1 -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433B1
KR101841433B1 KR1020170059273A KR20170059273A KR101841433B1 KR 101841433 B1 KR101841433 B1 KR 101841433B1 KR 1020170059273 A KR1020170059273 A KR 1020170059273A KR 20170059273 A KR20170059273 A KR 20170059273A KR 101841433 B1 KR101841433 B1 KR 101841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reinforcing
waste
block
w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영만
김택수
Original Assignee
(주)엘엔드지
김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엔드지, 김택수 filed Critical (주)엘엔드지
Priority to KR1020170059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2Plastics recycl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옹벽블럭 상부 및 하부에 간격요철 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을 형성하여 옹벽블럭 적층시 상하 옹벽블럭 간격요철 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의 결합에 따른 견고한 고정력으로 횡방향의 외력에 의한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옹벽블럭 적층시 상기 간격요철 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의 간격에 따른 옹벽블럭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옹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옹벽블럭 좌우 말단에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다양한 각도의 곡면부의 시공이 가능하고, 옹벽블럭 후방 날개부 중앙에 보강로프를 연결하고 이를 보강토 내부에 매설하여 전후 외력(보강토 압력)에 견디도록 함으로써 옹벽붕괴를 방지하고 지진에 견딜 수 있는 옹벽내진설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Eco-friendly high strength gravity retaining wall block using plastic waste and inorganic powder waste}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옹벽블럭 상부 및 하부에 간격요철 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을 형성하여 옹벽블럭 적층시 상하 옹벽블럭 간격요철 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의 결합에 따른 견고한 고정력으로 횡방향의 외력에 의한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옹벽블럭 적층시 상기 간격요철 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의 간격에 따른 옹벽블럭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옹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옹벽블럭 좌우 말단에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다양한 각도의 곡면부의 시공이 가능하고, 옹벽블럭 후방 날개부 중앙에 보강로프를 연결하고 이를 보강토 내부에 매설하여 전후 외력(보강토 압력)에 견디도록 함으로써 옹벽붕괴를 방지하고 지진에 견딜 수 있는 옹벽내진설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이라 함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를 말하는데, 즉, 옹벽은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보가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며,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 것으로 블록 쌓기, 중력식(重力式) 콘크리트 옹벽,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 등이 있다.
블록 쌓기는, 예로부터 널리 쓰이던 축벽(築壁)으로서, 현재는 콘크리트블록이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중력식(重力式) 콘크리트 옹벽은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주는 구조로서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이 못되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되며, 역T형식ㆍ부벽식(扶壁式 : L자형) 등 여러 가지 형식이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블럭은 콘크리트가 갖는 재질의 특성상 조적시 안정감을 얻도록 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을 갖도록 크게 형성될 경우 무게가 무거워 취급 및 시공시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됨은 물론 시공기간이 늘어나 시공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콘크리트 블럭 또는 패널로 된 전면판에 인장력이 큰 강재 또는 합성섬유재질의 보강재를 연결한 후 그 보강재의 연장된 부위를 흙 다짐층 속에 매설하여 자중이나 외력에 의한 토립자의 이동을 보강재와 토립자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횡방향 변위를 구속함으로써 점착력을 가진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게 하여 강화된 흙을 만드는 이른바, 보강토 옹벽이 점차 보편화되는 추세이다.
종래, 보강토 옹벽에 관한 특허기술들을 살펴 보면, 한국등록특허 10-0919755(2009년09월24일)에 몸통부와 중간부 및 날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와 중간부 각각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흙이나 자갈이 채워지는 제1 채움공 및 제2 채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토옹벽 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저면에는 보강토옹벽 구축후 뒷채움흙으로 스며드는 빗물을 축조된 블럭들의 전면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제1 채움공에서부터 몸통부의 전면으로 연장되는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에는 시멘트 몰탈을 이용하여 상,하에 축조되는 블럭들을 결속시킴과 동시에 그리드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블럭결속용 몰 탈타설공이 블럭 저면의 그리드 결속홈과 연통하도록 상,하로 관통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블럭결속용 몰탈 타설공과 상기 그리드 결속홈이 시멘트 몰탈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 구축용 블럭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116393(2012년02월07일)에는 성토지나 절개지에 적층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에 있어서, 콘크리트 몸체부; 및,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의 전면부와 후면부는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의 전면부와 후면부 및 외장부의 후면부에는 상호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과 걸림돌편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150538(2012년05월21일)에는 다단으로 적층되어 블럭구조체를 이루는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블럭 전면의 중앙에 곡면의 파형으로 형성된 수평굴곡부 및 상기 수평굴곡부의 좌우 양측으로 곡면의 파형이 이어지는 경사굴곡부가 형성된 전면조형부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부에는 상하 관통된 전방식생공이 형성되고, 후방부에는 상하 관통된 후방식생공이 형성된 식물식생공과, 상기 블럭의 양측 상부에서 적정 간격을 두고 각각 소정 깊이만큼 천공된 다수개의 핀삽입공과, 상기 블럭의 후방 중앙으로 돌출된 후방돌출부 및 후방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측방돌출부로 형성된 후방날개부와, 상기 블럭의 전방 상부에서 움푹하게 파인 안착홈으로 구성된 블럭본체부와, 상기 블럭의 축조시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웃하는 블럭체 서로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위치한 블럭의 상기 핀삽입공에 내설되어 상단부가 상부에 위치한 블럭의 상기 전방식생공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고정핀과, 상기 안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흙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착홈은 반원형의 단면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블럭본체부 전방 상부에서 상기 전방식생공 내측 방향으로 움푹하게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흙받이는 바닥면이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형태의 반원형으로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상부로 개구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벽과, 상기 받침부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벽과 후방벽은 상기 흙받이가 상기 안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조형부와 상기 전방식생공 사이에 양측이 걸려 전후방으로 지지되기 위한 각각의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6-0111091(2016년09월26일)에는 바닥에 기둥을 고정한 후 옹벽을 형성하는 하부블럭(100), 상부블럭(200) 및 고정 핀(300)으로 구성된 보강토옹벽 축조용 블럭에 있어서, 대향한 단부들을 가지는 전면(110), 상면(120), 하면(130) 및 전면(110)의 양 단부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측면(140)(140')을 포함하는 블럭몸체(150), 상기 블럭몸체(150)의 상면(120)과 하면(130)의 어느 하나에 개방되고 각 배면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핀구멍(160), 블럭몸체(150)의 끝단에서 하부로 대면되도록 중심에 관통공에 골재의 채움재(P)가 투입될 파이(Π)형 지지체(170), 상기 지지체(170) 끝단에는 상부블럭(200)의 지지체(270)와 고정 체결되도록 각각 대응되는 형성된 핀구멍(180)이 형성된 하부블럭(100); 대향한 단부들을 가지는 전면(210), 상면(220), 하면(230) 및 전면(210)의 양 단부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측면(240)(240')을 포함하는 블럭몸체(250), 상기 블럭몸체(250)의 상면(220)과 하면(230)의 어느 하나에 개방되고 각 배면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핀구멍(260), 블록몸체(250)의 끝단에서 하부로 대면되도록 중심에 관통공에 골재의 채움재(P)가 투입될 역 파이(Π)형 지지체(270), 상기 지지체(270) 끝단에는 하부블록(100)의 지지체(170)와 격자로 이격되어 고정 체결되도록 각각 대응되는 형성된 핀구멍(280)이 형성된 상부블록(200); 및 하부블럭(100)이 옹벽 축조를 위한 위치에 나란히 위치하고 지지체 사이의 관통공에 골재의 채움재(P)를 채운후, 하부블럭(100)의 상면(120)에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된 상기 핀구멍(160)에 고정핀(300)이 삽입되고, 상기 상부블럭(200)의 전면(210)에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된 핀구멍(260)과 격자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핀(300)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상부블럭(200) 블록몸체(250)의 끝단에서 하부로 대면되도록 형성된 지지체(270)에 골재의 채움재(P)가 투입하여 평탄화 작업이 진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블록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옹벽블럭의 상하부에 돌기 및 홈을 구성하여 블럭 적층시 견고하게 적층할 수 있는 면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블럭 상하부에 형성된 돌기 및 홈이 일정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적층시 좌우 적층간격을 조절할 수 없어 획일적인 적층구조로만 적층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옹벽블럭의 상하부에 형성된 돌기 및 홈 만으로는 횡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을 발휘할 수 없고, 전후 외력(보강토 압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저항구조가 전혀 없어 보강압력이 미흡한 단점이 있었으며, 전후 곡면부의 시공할 경우에도 곡면을 유지할 수 있는 유지력이 없어 쉽게 곡면부가 변형되거나 곡면부가 붕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실용 20-0414900(2006년04월19일)에 몸통부와 날개부 및 중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몸통부에 형성되는 채움공과, 상기한 몸통부 저면의 채움공 양측으로 하향을 향해 돌출되어 타블럭 위에 엇갈리게 적층시 타블록의 채움공속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앵커돌기와, 상기한 날개부 저면으로 상기 앵커돌기와 함께 볼럭의 수평균형을 유지토록 하향을 향해 돌출되는 보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한 몸통부 저면의 앵커돌기는 요홈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절단홈에 의하여 파형상을 이루도록 일렬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부로 구성되므로서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들이 블럭축조상황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몸통부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실용 20-2012-0004965(2012년07월10일)에는 보강토 블럭의 외형을 앞면(5)은 넓게 뒷면(6)은 좁게 해주며 보강토 블럭 윗면(17)과 뒷면(18)은 칸막이를 하지 않으며 앞면(5)도 적당량 제거(3)해주고 앞 안쪽 수직 면에 힘살(8)을 좌우로 장설하며 힘살 좌우 가장자리 부분에 그리드 고정 핀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11)을 3개씩 뚫어 주며, 보강토 블럭 밑면에는 그리드 고정 핀의 노출부분이 들어 갈 수 있는 홈(12)을 파주고, 보강토 블럭 외형 앞쪽 좌우면에 볼록한 돌기(1)와 오목한 홈(2)이 장설된 보강토 블럭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실용 20-0414900의 경우에는 상하 돌기 및 홈으로 적층시 횡방향 변형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시공시 정확한 돌기 및 홈의 맞춤에 어려움이 있고,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으며, 곡면부 시공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한국공개실용 20-2012-0004965의 경우에는 측면돌기 및 홈이 형성되어 곡면시공시 견고한 고정력이 발휘되기는 하나 횡방향의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없어 횡방향 변형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0919755(2009년09월24일) 한국등록특허 10-1116393(2012년02월07일) 한국등록특허 10-1116393(2012년02월07일) 한국공개특허 10-2016-0111091(2016년09월26일) 한국등록실용 20-0414900(2006년04월19일) 한국공개실용 20-2012-0004965(2012년07월10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옹벽블럭 상부 및 하부에 간격요철 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을 형성하여 옹벽블럭 적층시 상하 옹벽블럭 간격요철 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의 결합에 따른 견고한 고정력으로 횡방향의 외력에 의한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옹벽블럭 적층시 상기 간격요철 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의 간격에 따른 옹벽블럭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옹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옹벽블럭 좌우 말단에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다양한 각도의 곡면부의 시공이 가능하고, 옹벽블럭 후방 날개부 중앙에 보강로프를 연결하고 이를 보강토 내부에 매설하여 전후 외력(보강토 압력)에 견디도록 함으로써 옹벽붕괴를 방지하고 지진에 견딜 수 있는 옹벽내진설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적층되어 옹벽을 이루는 보강토 옹벽 블럭에 있어서, 옹벽 블럭 전면의 외관디자인 및 색상을 형성하는 전방표면부, 상기 전방표면부 좌우 양측에 수직파형이 형성되는 측면수직파형부로 구성되는 전방몸체부와; 상기 전방몸체부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몸체부 중앙 후면에 연결 형성되는 전방수직보강리브, 상기 전방수직보강리브에 수평으로 연결 형성되는 후방수평보강리브, 상기 전방몸체부 양측면과 상기 후방수평보강리브 양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좌우몸체리브로 구성되는 중간몸체부와; 상기 중간몸체부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몸체부의 좌우몸체리브를 후방에서 수평으로 연결하는 후방몸체리브, 상기 후방몸체리브 양측으로 돌출되는 측방날개리브로 구성되는 후방몸체부;로 구성되는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은 폐플라스틱 파쇄용융액 20~50중량부, 폐석고, 폐석회석, 폐연마재, 석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폐무기분말 30~60중량부, 안료 10~20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모르타르를 압출하여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중간몸체부에는 상기 좌우몸체리브, 전방수직보강리브 및 후방수평보강리브에 의하여 좌우로 구획되는 전방좌측채움공 및 전방우측채움공과; 상기 좌우몸체리브, 후방수평보강리브 및 후방몸체리브에 의하여 구획되는 후방채움공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좌측채움공, 전방우측채움공 및 후방채움공에 보강토가 채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전방표면부 상하면에는 상기 전방표면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간격요철을 형성하여 옹벽블럭 적층시 상하 옹벽블럭 간격요철의 결합에 따른 견고한 고정력으로 횡방향의 외력에 의한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옹벽블럭 적층시 상기 간격요철의 간격에 따른 옹벽블럭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한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전방표면부 상하면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을 형성하여 옹벽블럭 적층시 상하 옹벽블럭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의 결합에 따른 견고한 고정력으로 횡방향의 외력에 의한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옹벽블럭 적층시 상기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에 따른 옹벽블럭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한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전방표면부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수직파형부 인접 후방에는 옹벽블럭 좌우 적층시 곡면부의 견고한 결합력 및 곡면부 간편시공을 위하여 블럭결합돌기 및 블럭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후방몸체리브 중앙에는 보강로프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로프결합공을 통해 보강로프를 삽입하고 보강로프 끝단부에 매듭을 형성하여 상기 매듭이 상기 보강로프결합공에 걸리도록 결합하며, 상기 보강로프 타단부를 보강토 내부에 매설하여 보강토 압력에 견디도록 구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은,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옹벽블럭 상부 및 하부에 간격요철 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을 형성하여 옹벽블럭 적층시 상하 옹벽블럭 간격요철 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의 결합에 따른 견고한 고정력으로 횡방향의 외력에 의한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옹벽블럭 적층시 상기 간격요철 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의 간격에 따른 옹벽블럭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옹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옹벽블럭 좌우 말단에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다양한 각도의 곡면부의 시공이 가능하고, 옹벽블럭 후방 날개부 중앙에 보강로프를 연결하고 이를 보강토 내부에 매설하여 전후 외력(보강토 압력)에 견디도록 함으로써 옹벽붕괴를 방지하고 지진에 견딜 수 있는 옹벽내진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곡면부 시공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적층 옹벽디자인
본 발명은, 다단으로 적층되어 옹벽을 이루는 보강토 옹벽 블럭에 있어서, 옹벽 블럭 전면의 외관디자인 및 색상을 형성하는 전방표면부, 상기 전방표면부 좌우 양측에 수직파형이 형성되는 측면수직파형부로 구성되는 전방몸체부와; 상기 전방몸체부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몸체부 중앙 후면에 연결 형성되는 전방수직보강리브, 상기 전방수직보강리브에 수평으로 연결 형성되는 후방수평보강리브, 상기 전방몸체부 양측면과 상기 후방수평보강리브 양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좌우몸체리브로 구성되는 중간몸체부와; 상기 중간몸체부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몸체부의 좌우몸체리브를 후방에서 수평으로 연결하는 후방몸체리브, 상기 후방몸체리브 양측으로 돌출되는 측방날개리브로 구성되는 후방몸체부;로 구성되는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은 폐플라스틱 파쇄용융액 20~50중량부, 폐석고, 폐석회석, 폐연마재, 석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폐무기분말 30~60중량부, 안료 10~20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모르타르를 압출하여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몸체부에는 상기 좌우몸체리브, 전방수직보강리브 및 후방수평보강리브에 의하여 좌우로 구획되는 전방좌측채움공 및 전방우측채움공과; 상기 좌우몸체리브, 후방수평보강리브 및 후방몸체리브에 의하여 구획되는 후방채움공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좌측채움공, 전방우측채움공 및 후방채움공에 보강토가 채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표면부 상하면에는 상기 전방표면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간격요철을 형성하여 옹벽블럭 적층시 상하 옹벽블럭 간격요철의 결합에 따른 견고한 고정력으로 횡방향의 외력에 의한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옹벽블럭 적층시 상기 간격요철의 간격에 따른 옹벽블럭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한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표면부 상하면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을 형성하여 옹벽블럭 적층시 상하 옹벽블럭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의 결합에 따른 견고한 고정력으로 횡방향의 외력에 의한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옹벽블럭 적층시 상기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에 따른 옹벽블럭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한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표면부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수직파형부 인접 후방에는 옹벽블럭 좌우 적층시 곡면부의 견고한 결합력 및 곡면부 간편시공을 위하여 블럭결합돌기 및 블럭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몸체리브 중앙에는 보강로프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로프결합공을 통해 보강로프를 삽입하고 보강로프 끝단부에 매듭을 형성하여 상기 매듭이 상기 보강로프결합공에 걸리도록 결합하며, 상기 보강로프 타단부를 보강토 내부에 매설하여 보강토 압력에 견디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곡면부 시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적층 옹벽디자인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은, 다단으로 적층되어 옹벽을 이루는 보강토 옹벽 블럭에 있어서, 옹벽 블럭 전면의 외관디자인 및 색상을 형성하는 전방표면부(1), 상기 전방표면부 좌우 양측에 수직파형이 형성되는 측면수직파형부(2)로 구성되는 전방몸체부와; 상기 전방몸체부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몸체부 중앙 후면에 연결 형성되는 전방수직보강리브(7), 상기 전방수직보강리브에 수평으로 연결 형성되는 후방수평보강리브(8), 상기 전방몸체부 양측면과 상기 후방수평보강리브 양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좌우몸체리브(6)로 구성되는 중간몸체부와; 상기 중간몸체부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몸체부의 좌우몸체리브를 후방에서 수평으로 연결하는 후방몸체리브(9), 상기 후방몸체리브 양측으로 돌출되는 측방날개리브(10)로 구성되는 후방몸체부;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은 폐플라스틱, 폐석고, 폐석회석, 폐연마재, 석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폐무기 분말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모르타르를 압출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폐플라스틱은, PE, PP, PVC 농업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 제품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버려지는 폐플라스틱의 처리가 점점 더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폐플라스틱의 회수 및 분류, 세척 등, 전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에, 매우 많은 양의 폐플라스틱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폐석고는, 인광석에서 인산 비료를 생산하면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부산물과 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되는 탈황석고를 말하는데, 폐석고는 재활용이 어렵고, 물에 쉽게 녹는 강알카리성 폐기물이기 때문에 공해상의 먼 바다에도 함부로 버리지 못 할 뿐만 아니라 매립토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미봉책으로 별도로 마련된 적치장에 우수 및 흡착수에 의한 환경 위해물을 포함한 침출수 유출에 의한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닐 커버를 이용하여 폐석고를 덮어서 적치하는 방법으로 관리만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폐기물적치장 유지 관리비만으로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폐기물 석고가 건조되어 바람에 날릴 경우 이는 2차적인 또 다른 환경오염을 초래할 위험이 높다.
또한, 석회석은 시멘트, 비료, 철강, 건축, 토목 등의 각종 분야에서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 이러한 석회석의 산업폐기물인 폐석회는 석회석에서 소다회 및 규산소다를 정제하고 남은 찌꺼기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혼입하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매립하는 경우에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폐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그 처리도 쉽지 않은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를 재활용 자원으로 이용하려는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폐연마재는 워터젯 절삭 가공 시 사용된 후 슬러리 형태로 포집되는 부산물로 규사, 가넷 등 표면경도가 높은 무기물질로서 중금속 및 환경오염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폐연마재의 사용 용도가 일정하지 않아 대부분이 폐기처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경제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폐연마재는 절삭 전 입도가 500~300㎛이지만 절삭 후 입도는 200~50㎛ 정도로 고운 상태여서 규사를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석분은 석산 및 석재가공업체에서 원석을 채굴하거나 가공하는 과정에서 석골재의 30~60%정도가 폐석이나 석분 및 슬러지로 손실되고 있고, 이러한 폐기물 중 폐석과 석분의 일부만이 인조 대리석 제조나 경량기포 콘크리트 제조용, 도로포장용 및 객토용으로 재활용되고 있을 뿐, 대부분은 적치되거나 무계획적으로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석재 생산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부산물인 석분은 두가지 측면에서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첫째는, 매립으로 인한 오염으로서 산업부산물인 석분의 매립에 따른 매립지 확보를 위한 경제적 부담뿐만 아니라 건조시 발생분진과 이들에 함유된 중금속 이온의 용출에 의한 대기, 토양 및 수질 등의 위해한 환경 공해를 유발 시키는 문제점을 동시에 안고 있으며, 지반의 연약화 등 2차 환경오염 문제가 야기된다.
둘째는, 야적으로 인한 피해로서, 국내 인공 쇄석사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석분은 연간 약100만톤 이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 석산에 야적되어 있는 상황으로 현재 폐기물로 지정되어 있고, 석산야적으로 인해 주변 농지와 상수원 오염과 더불어 침전물에 의한 주민 생수용 수원의 수질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게다가 생산업체의 소유 야적장 부족 및 지역이기주의로 인한 매립장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공유지 및 농지를 불법으로 점거, 석분 야적장으로 사용하다가 법적인 조치를 받게 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산업재료로서 대규모의 재활용 방법이 부족한 현실에서 연간 발생 되는 석분의 양에 비해 국토가 좁고 폐기물을 매립할 수 있는 매립장도 포화된 상태여서, 이러한 석분은 그 처리가 매우 심각한 상황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폐플라스틱을 단순히 용융하여 사용하고, 상기와 같은 폐석고, 폐석회석, 폐연마재, 석분을 건자재로서의 재활용율을 높이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은 폐플라스틱 파쇄용융액 20~50중량부, 폐석고, 폐석회석, 폐연마재, 석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폐무기분말 30~60중량부, 안료 10~20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모르타르를 압출하여 형성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은 상기 중간몸체부에는 상기 좌우몸체리브(6), 전방수직보강리브(7) 및 후방수평보강리브(8)에 의하여 좌우로 구획되는 전방좌측채움공(12) 및 전방우측채움공(13)과; 상기 좌우몸체리브(6), 후방수평보강리브(8) 및 후방몸체리브(9)에 의하여 구획되는 후방채움공(4)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좌측채움공(12), 전방우측채움공(13) 및 후방채움공(14)에 보강토가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표면부(1) 상하면에는 상기 전방표면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간격요철(3)을 형성하여 옹벽블럭 적층시 상하 옹벽블럭 간격요철의 결합에 따른 견고한 고정력으로 횡방향의 외력에 의한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옹벽블럭 적층시 상기 간격요철의 간격에 따른 옹벽블럭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방표면부 상하면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을 형성하여 옹벽블럭 적층시 상하 옹벽블럭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의 결합에 따른 견고한 고정력으로 횡방향의 외력에 의한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옹벽블럭 적층시 상기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에 따른 옹벽블럭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표면부(1)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수직파형부(2) 인접 후방에는 옹벽블럭 좌우 적층시 곡면부의 견고한 결합력 및 곡면부 간편시공을 위하여 블럭결합돌기(4) 및 블럭결합홈(5)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후방몸체리브(9) 중앙에는 보강로프결합공(11)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로프결합공(11)을 통해 보강로프를 삽입하고 보강로프 끝단부에 매듭을 형성하여 상기 매듭이 상기 보강로프결합공(11)에 걸리도록 결합하며, 상기 보강로프 타단부를 보강토 내부에 매설하여 보강토 압력에 견디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은 다양한 칼라를 선택하여 압출 성형되므로 다양한 색상의 옹벽블록을 구출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전방표면부 2 : 측면수직파형부 3 : 간격요철
4 : 블럭결합돌기 5 : 블럭결합홈 6 : 좌우몸체리브
7 : 전방수직보강리브 8 : 후방수평보강리브 9 : 후방몸체리브 10 : 측방날개리브 11 : 보강로프결합공 12 : 전방좌측채움공
13 : 전방우측채움공 14 : 후방채움공

Claims (7)

  1. 다단으로 적층되어 옹벽을 이루는 보강토 옹벽 블럭에 있어서, 옹벽 블럭 전면의 외관디자인 및 색상을 형성하는 전방표면부, 상기 전방표면부 좌우 양측에 수직파형이 형성되는 측면수직파형부로 구성되는 전방몸체부와; 상기 전방몸체부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몸체부 중앙 후면에 연결 형성되는 전방수직보강리브, 상기 전방수직보강리브에 수평으로 연결 형성되는 후방수평보강리브, 상기 전방몸체부 양측면과 상기 후방수평보강리브 양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좌우몸체리브로 구성되는 중간몸체부와; 상기 중간몸체부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몸체부의 좌우몸체리브를 후방에서 수평으로 연결하는 후방몸체리브, 상기 후방몸체리브 양측으로 돌출되는 측방날개리브로 구성되는 후방몸체부;로 구성되되,
    상기 보강토 옹벽 블럭은 폐플라스틱 파쇄용융액 20~50중량부, 폐석고, 폐석회석, 폐연마재, 석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폐무기분말 30~60중량부, 안료 10~20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모르타르를 압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간몸체부에는 상기 좌우몸체리브, 전방수직보강리브 및 후방수평보강리브에 의하여 좌우로 구획되는 전방좌측채움공 및 전방우측채움공과; 상기 좌우몸체리브, 후방수평보강리브 및 후방몸체리브에 의하여 구획되는 후방채움공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좌측채움공, 전방우측채움공 및 후방채움공에 보강토가 채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방표면부 상하면에는 상기 전방표면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간격요철을 형성하여 옹벽블럭 적층시 상하 옹벽블럭 간격요철의 결합에 따른 견고한 고정력으로 횡방향의 외력에 의한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옹벽블럭 적층시 상기 간격요철의 간격에 따른 옹벽블럭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표면부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수직파형부 인접 후방에는 옹벽블럭 좌우 적층시 곡면부의 견고한 결합력 및 곡면부 간편시공을 위하여 블럭결합돌기 및 블럭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몸체리브 중앙에는 보강로프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로프결합공을 통해 보강로프를 삽입하고 보강로프 끝단부에 매듭을 형성하여 상기 매듭이 상기 보강로프결합공에 걸리도록 결합하며, 상기 보강로프 타단부를 보강토 내부에 매설하여 보강토 압력에 견디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표면부 상하면에는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을 형성하여 옹벽블럭 적층시 상하 옹벽블럭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의 결합에 따른 견고한 고정력으로 횡방향의 외력에 의한 횡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옹벽블럭 적층시 상기 원형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원형요홈에 따른 옹벽블럭 좌우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6. 삭제
  7. 삭제
KR1020170059273A 2017-05-12 2017-05-12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KR101841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73A KR101841433B1 (ko) 2017-05-12 2017-05-12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73A KR101841433B1 (ko) 2017-05-12 2017-05-12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433B1 true KR101841433B1 (ko) 2018-05-04

Family

ID=6219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273A KR101841433B1 (ko) 2017-05-12 2017-05-12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399B1 (ko) * 2020-05-13 2020-11-13 한산콘크리트(주) 내진성능이 우수한 보강지지구조를 구비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787Y1 (ko) * 2002-02-15 2002-05-09 (주) 경화엔지니어링 성토부 보강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787Y1 (ko) * 2002-02-15 2002-05-09 (주) 경화엔지니어링 성토부 보강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399B1 (ko) * 2020-05-13 2020-11-13 한산콘크리트(주) 내진성능이 우수한 보강지지구조를 구비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4152B2 (en) Polymer grouting method for constructing vertical supporting system
KR101728791B1 (ko)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US20090094917A1 (en) Landscaping system
WO2005028772A1 (fr) Bloc pour mur de construction et mur construit a l'aide de ces blocs
US20120020746A1 (en) Modular block
CN105350561B (zh) 一种用于软土地区输电塔的装配式微型沉井基础
CN214695414U (zh) 全预制装配方桩式生态挡墙护岸
US7857552B2 (en) Tenon joint type space lattice structure
CN1209535C (zh) 一种塑料土工组合式档土墙
KR101841433B1 (ko) 폐플라스틱 및 폐무기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고강도 중력식 보강토 옹벽 블럭
CN211312554U (zh) 一种挡锁砌砖、挡墙、护坡
JP2007308882A (ja) 軽量盛土構造
KR100372821B1 (ko)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KR101267688B1 (ko) 프리캐스트 마감패널을 이용한 호안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CN204849819U (zh) 一种生态型挡土墙
KR102184291B1 (ko) 도로의 임시 복구를 위한 보도블록부
CN108086250A (zh) 一种带植生槽的自嵌式生态水工挡土墙砖块
EP2072688A1 (en) Tenon joint type space lattice structure
JP6240625B2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CN111206616A (zh) 一种用于生态挡土墙的装配式墙砖及挡土墙
CN207944427U (zh) 一种带植生槽的自嵌式生态水工挡土墙结构
KR20200111986A (ko)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CN217923660U (zh) 再生连锁护坡砖及其砌筑结构
KR102285192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