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821B1 -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 Google Patents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821B1
KR100372821B1 KR1019990040343A KR19990040343A KR100372821B1 KR 100372821 B1 KR100372821 B1 KR 100372821B1 KR 1019990040343 A KR1019990040343 A KR 1019990040343A KR 19990040343 A KR19990040343 A KR 19990040343A KR 100372821 B1 KR100372821 B1 KR 100372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cut
block
reinforcement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4155A (ko
Inventor
윤남식
이홍재
Original Assignee
윤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남식 filed Critical 윤남식
Priority to KR101999004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821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보다 경제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절토사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대상이 되는 사면(斜面)의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깊이를 절토한 후 사면에 록커를 보강·설치하고, 다시 그 아래쪽으로 상기의 작업과정을 반복하여 필요한 깊이만큼 절토한 다음, 각각의 절토부위에 형성되는 수평면에, 블럭(1,1a)을 쌓기 위한 기초 콘크리트를 사면의 최하측부 윤곽을 따라 포설하여 층층이 블럭(1,1a)을 쌓아 올리되 기 설치된 록커(5)를 보강판(2)이 삽착된 본 발명의 블럭(1)에 지지시키며, 상기 블럭(1,1a)과 보강판(2)으로 이루어진 구조물(블럭,보강판)과 절토사면(6) 사이의 빈 공간에, 작업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유용토(토사)를 채워 다지거나 숏크리트(4)를 타설하여 절토사면을 안정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PASSIVE REINFORCED NAIL WALL FOR CUTTING SLOPE}
본 발명은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보다 경제적이면서 또한 신속하게 절토사면을 보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안이나 호안, 또는 구릉을 깎아 평탄하게 조성한 부지(아파트단지 등)나 도로를 시공하는 지역에는, 대부분 절토사면(切土斜面)이 존재한다.
이러한 절토사면은 인공적인 절토작업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사면이 균형을 잃어 위험하며, 또한 토사의 응집력이 약하기 때문에, 비가 많이 내리거나 하면 쉽게 부서져 내려 사태를 일으키게 됨으로, 상기의 사면 둘레로 옹벽을 구축하여 토사 등이 유실되거나 사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동안 사면(또는 경사면)을 보강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국내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옹벽이 많이 이용되어 왔는데, 상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 및 양생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굴토작업과 성토작업에 막대한 공사비가 소요되며, 또한 대규모 절토작업에 대한 제약이 많다는 단점이 있어, 약 15년전부터는 앵커볼트가 일체로 된 구조물을 조적하면서 앵커볼트부위에 흙을 매립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기술이 일본에서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보강방법도 굴토 및 성토작업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또한 전체적으로 구조물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첨부도면중 도3은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국내특허공보 제1993-629호), 옹벽을 구성하기 위한 바닥면부까지 소정 각도로 사면(6)이 형성되게 절토를 한 다음, 그 사면(6)의 최하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옹벽면과 거의 수직하게 수평방향으로 앵커구멍(11)을 굴착하고, 상기 앵커구멍의 중심부에 지중볼트(21)를 삽입한 후 상기 앵커구멍에 몰탈 등을 채워넣어 양생시키고, 상기 지중볼트의 말단나사부에 지압판(20)을 끼워 너트(24)를 체결하며, 상기 지압판과 사면 사이의 공간부에 토사를 채워넣어 성토층을 형성하고, 다시 상기 너트를 조여서 성토층에는 압축응력이, 반대로 지중볼트에는 인장응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사면(斜面)을 보강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기술은, 수 십 톤(ton)의 초기 인장력을 가하기 위해서 대형 콘크리트 패널을 지압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패널의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사면의 최하부측이 굴곡져 있는 경우, 대형 콘크리트 패널로는 사면 하부의 굴곡(윤곽)에 맞춰 시공할 수 없어, 사면과 지압판 사이가 불필요하게 넓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사면과 지압판 사이가 넓은 경우, 그 사이에 채워넣어야 하는 토사량이 많아지는 것은 물론 개개의 패널에 불균일하게 토압이 작용되어 내구성에 문제가 생긴다.
첨부도면중 도4는, 종래 블럭을 이용한 사면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사면 보강방법은, 지면 위로 겹겹이 쌓아 올린 블럭(1a)의 구조체와 사면(6) 사이에,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유용토(토사)나 숏크리트 등을 뒷채움재로 채워 넣되, 매 일정 높이(깊이)마다 지오그리드나 배근체를 삽설하여, 지층 약화에 따른 여러가지 문제-예컨대, 지층의 유실-을 예방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상기의 사면 보강방법은 성토사면에 대해서만 한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블럭으로 절토사면의 보강공사를 실시함으로서 절토사면의 안정성을 신속하게 경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하여, 종래의 절토사면 보강방법이 갖고 있던 문제점을 개선함과 동시에 충분히 토압에 견딜 수 있는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을 제안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경제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절토사면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4는 성토(적토)에 의한 경사면의 보강방법(옹벽축조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면 부호의 설명〕
1...블럭, 2...보강판,
3...끼움홈, 4...숏크리트,
5...록커, 6...절토사면(斜面).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1과 도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사면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공 상태도와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의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은,
먼저,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깊이만큼 절토를 한 다음, 그 절토된 사면(6)에 록커(5)로 네일링하고,
원하는 깊이(또는, 높이)까지 절토가 된 후에는, 절토부위의 최하측에 보강용 블럭(1,1a)을 쌓기 위해, 사면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최하부측 윤곽을 따라 터파기를 한 후, 그 곳에 기초 콘크리트를 포설하고,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블럭(1,1a)을 쌓아 올리면서 사면과 블럭(1,1a) 사이에 뒷채움토로 다지는 작업을 하되, 매 일정한 간격마다 끼움홈(3)에 보강판(2)이 삽착된 블럭(1)을 배설하여 상기 록크(5)를 상기 블럭(1)의 끼움홈(3)으로 관통시켜 블럭(1)의 전면에서 상기 보강판(2)과 록커(5)를 너트로서 지지시키고,
이후,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원하는 높이의 구조물을 사면 둘레에 형성함으로서 완료된다.여기서, 블럭(1)은 록크(5)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홈(3)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블럭의 전면에 그 끼움홈(3)이 보다 크게 확대됨과 동시에 보강판(2)이 삽착되어 있다. 그리고, 블럭(1)을 배설하는 간격은 상하 및 좌우 1.5m 간격으로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한편, 본 발명에서와 같이, 블럭(1)의 끼움홈(3)에 보강판(2)을 삽착하여 블럭(1)의 전면에서 보강판(2)과 록커(5)를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구조적으로 견고하며 주변의 다른 블럭(1a)으로 토압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어 큰 토압도 지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와 같이 블럭을 사용하는 경우, 대형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할 때 보다 구성재료의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고, 시공이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시공속도도 빨라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블럭(1,1a)과 보강판(2)의 구조물이 완성되면, 상기 구조물과 절토사면(6) 사이의 빈 공간에, 작업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유용토(토사)를 채워 다지거나 숏크리트(4)를 타설하여 옹벽을 안정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에 의하면, 숙련되지 못한 작업자도 작업실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구성재료의 운반 및 취급이 수월한 이점이 있으며, 크기가 작은 블럭들을 이용함으로서 절토사면의하부측 윤곽에 맞춰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어 외관상 보기 좋으며, 특히 절토사면과 구조물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시켜 뒷채움재를 적게 쓸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이고, 특히 시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절토사면을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깊이만큼 절토한 후, 그 절토된 사면(6)에 록커(5)로 네일링하고,
    b) 절토부위의 최하측에 사면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최하부측 윤곽을 따라 터파기를 한 후, 그 곳에 기초 콘크리트를 포설하고,
    c)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블럭(1,1a)을 쌓아 올리되, 매 일정한 간격마다 끼움홈(3)에 보강판(2)이 삽착된 블럭(1)을 배설하여 상기 록크(5)를 상기 블럭(1)의 끼움홈(3)으로 관통시켜 블럭(1)의 전면에서 상기 보강판(2)과 록커(5)를 너트로서 지지시키고,
    d) 이후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원하는 높이의 구조물을 사면 둘레에 형성함으로서 절토사면을 안정화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KR1019990040343A 1999-09-20 1999-09-20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KR100372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43A KR100372821B1 (ko) 1999-09-20 1999-09-20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43A KR100372821B1 (ko) 1999-09-20 1999-09-20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155A KR19990084155A (ko) 1999-12-06
KR100372821B1 true KR100372821B1 (ko) 2003-02-20

Family

ID=3741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343A KR100372821B1 (ko) 1999-09-20 1999-09-20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8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463B1 (ko) * 2008-04-08 2010-10-13 호암종합건설(주) 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102006305B1 (ko) 2018-12-24 2019-08-01 (주)지성이씨에스 절토사면 및 성토지 옹벽용 블럭 구조물
KR102338340B1 (ko) 2021-05-13 2021-12-13 주식회사 정성이엔씨 개량형 사면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
KR102368843B1 (ko) 2021-05-07 2022-03-03 주식회사 정성이엔씨 개량형 사면 보강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블록 구조
KR20220046016A (ko) 2020-10-06 2022-04-14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체인식 보강토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561586B1 (ko) 2022-06-09 2023-07-31 주식회사 정성이엔씨 개량형 사면 보강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3830B2 (ja) * 2001-09-04 2007-02-21 環境工学株式会社 土木構築物用構築材
KR100468035B1 (ko) * 2002-06-19 2005-01-27 주식회사 도담이앤씨 옹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및 탑다운 공법을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5761A (ko) * 1990-02-12 1991-09-30 이원현 앵커식 보강토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5761A (ko) * 1990-02-12 1991-09-30 이원현 앵커식 보강토 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463B1 (ko) * 2008-04-08 2010-10-13 호암종합건설(주) 보강토옹벽 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102006305B1 (ko) 2018-12-24 2019-08-01 (주)지성이씨에스 절토사면 및 성토지 옹벽용 블럭 구조물
KR20220046016A (ko) 2020-10-06 2022-04-14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체인식 보강토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368843B1 (ko) 2021-05-07 2022-03-03 주식회사 정성이엔씨 개량형 사면 보강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블록 구조
KR102338340B1 (ko) 2021-05-13 2021-12-13 주식회사 정성이엔씨 개량형 사면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
KR102561586B1 (ko) 2022-06-09 2023-07-31 주식회사 정성이엔씨 개량형 사면 보강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155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792A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US6050749A (en) Concrete masonry unit for reinforced retaining wall
US5921715A (en) Retaining wall and method
CN102444142B (zh) 一种群桩改柱扩建地下室及其施工工法
US20140270990A1 (en)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WO2003058003A2 (en) Multiple synthetic deformed bars and retaining walls
US6616380B1 (en) Subterranean structur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subterranean structures
US4903450A (en) Concrete footer block and foundation system formed therefrom
KR100372821B1 (ko)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KR100583294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KR100468034B1 (ko) 앵커링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US20030143038A1 (en) Multiple synthetic deformed bars and retaining walls
KR20120131693A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JPH05230845A (ja) L型ブロック擁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70043757A (ko) 지압판 및 pc 판넬 결합식 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3914073B2 (ja) 乾式ブロック、その成形型枠、その成形方法、乾式ブロックを用いた補強土構造
KR101032408B1 (ko) 선 보강칼럼 및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100327066B1 (ko) 파이프를 이용한 가설용 흙막이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223114Y1 (ko)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KR200335066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옹벽시공구조
KR102768512B1 (ko) 개량형 지반보강식 흙막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79500B1 (ko)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JP7236064B1 (ja) 新積木型枠ブロック、コンクリート構造物およびコンクリート基礎の施工方法
CN211973510U (zh) 一种钢板桩与树根桩复合基坑支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1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0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