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406A -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406A
KR20160115406A KR1020150043008A KR20150043008A KR20160115406A KR 20160115406 A KR20160115406 A KR 20160115406A KR 1020150043008 A KR1020150043008 A KR 1020150043008A KR 20150043008 A KR20150043008 A KR 20150043008A KR 20160115406 A KR20160115406 A KR 20160115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trap
interlaced
lattice spaces
extru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환
Original Assignee
김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환 filed Critical 김철환
Priority to KR1020150043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5406A/ko
Publication of KR2016011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8/00Producing nets or the like, e.g. meshes, latt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도로 등 야생동물이 출몰하는 도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고속도로로 진입하는 야생동물의 유입을 막음으로써, 야생동물 출현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의 상, 하단 부분에 제 1, 2, 3보조끈을 더 보강하여, 네트 설치시 상단부분이 쳐지거나, 하단부분이 야생동물에 의해 손쉽게 들려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TRESPASS PREVENTION MET OF WILD ANIMAL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본 발명은 각종 도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야생동물 등이 도로로 뛰어들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외곽도로, 산간지역도로 또는 고속도로 등에는 도로의 안전주행을 목적으로 가드레일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곳의 도로변은 야생동물(양서류, 포유류, 파충류 등)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산 또는 논과 밭 등이 주를 이루고 있어 야생동물들이 도로에 진입하여 사고가 나는 이른바, 로드킬(Road kill; 야생동물 교통사고)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로드킬은 야생동물보호, 교통사고예방, 도로의 미관 훼손 방지 등을 위해서라도 그 해결책이 시급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로변에는 여름철의 경우 식물(잡초 등)이 무성하게 자라 식물이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급커브 표시판, 델리네이터 등을 가리고 있어 특히 야간 운전시 도로의 안전주행을 방해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각 도로를 관리하는 관공서는 해마다 2 ~ 3회씩 많은 인력을 도로에 투입해 잡초제거 작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는 인력의 낭비, 국세의 낭비 등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73486호(2010.08.27.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도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고속도로로 야생동물이 진입함으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격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네트로 구성하되, 격자형태의 상, 하단 부분에 제 1, 2, 3보조끈을 더 구비하여, 네트 설치시 상단이 쉽게 하단으로 쳐지거나, 출몰되는 야생동물에 의해 네트의 하단 부분이 손쉽게 개방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야생동물의 침입방지를 위해 도로 양측에 설치되는 네트에 있어서, 다수의 끈이 횡과 종방향을 향해 등간격 이격설치되며 다수의 격자형태로 결속되어 네트(N)를 형성하는 다수의 끈부재(200); 상기 네트(N)의 다수 격자공간 중,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 내 상측에 횡방향으로 엮이는 제 1보조끈(210); 상기 네트(N)의 다수 격자공간 중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 내 하측에 횡방향으로 엮으로 제 2보조끈(220); 상기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내 제 1, 2보조끈(210, 220) 사이에서 횡방향을 향해, 상호간 수평을 이루며 엮이는 다수의 제 3보조끈(230); 상기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내에 횡방향으로 엮여져 설치됨으로써, 네트(N) 설치시 고정체에 묶여지는 고정끈(2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속도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야생동물의 진입을 막음으로써, 야생동물이 도로에 출몰함에 따라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 설치시 상단부가 쳐지거나, 하단부가 야생동물에 의해 손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야생동물이 고속도로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손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최상단 및 최하단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야생동물의 침입방지를 위해 도로 양측에 설치되는 네트에 있어서, 다수의 끈이 횡과 종방향을 향해 등간격 이격설치되며 다수의 격자형태로 결속되어 네트(N)를 형성하는 다수의 끈부재(200); 상기 네트(N)의 다수 격자공간 중,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 내 상측에 횡방향으로 엮이는 제 1보조끈(210); 상기 네트(N)의 다수 격자공간 중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 내 하측에 횡방향으로 엮으로 제 2보조끈(220); 상기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내 제 1, 2보조끈(210, 220) 사이에서 횡방향을 향해, 상호간 수평을 이루며 엮이는 다수의 제 3보조끈(230); 상기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내에 횡방향으로 엮여져 설치됨으로써, 네트(N) 설치시 고정체에 묶여지는 고정끈(2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야생동물의 침입방지를 위해 도로 양측에 설치되는 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HDPE(High-density polyethylene)와 PP(polypropylene)를 배합기(1)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비율로 배합하여 배합물(A)을 만드는 단계(S100); 상기 배합물(A)을 이송장치(2)를 통해 자동호퍼(10)에 투입하는 단계(S110); 상기 배합물(A)을 실린더형 가열로(20)에서 녹이며 믹싱시키는 단계(S120); 상기 배합물(A)을 압출 다이스(30)를 통해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압출물(B)로 압출하는 단계(S130); 상기 압출물(B)을 공냉시키는 단계(S140); 상기 압출물(B)을 압착롤러(40)를 이용하여 판재 형상으로 압착하는 단계(S150); 상기 압출물(B)을 절개장치(50)에 의해 횡방향으로 다수 절개하는 단계(S160); 상기 다수개의 압출물(B)을 제 1롤러(60)를 통해 1차 압착시키는 단계(S170); 상기 다수개의 압출물(B)을 소정온도로 가열된 연신판(70) 상면으로 이송시키며 인장시키는 단계(S180); 상기 다수개의 압출물(B)을 압축판(80)의 압축홈(82)으로 통과시켜, 압출물(B)이 폭이 좁아지며 끈(C) 형상이 되도록 압축시키는 단계(S190); 상기 끈(C)을 제 2롤러(90)에 통과시켜 2차 압착시키는 단계(S200); 상기 끈(C)을 미세절개장치(100)에 이송시켜, 미세바늘(101)에 의해 무수히 절개되는 미세사 끈(D)이 되도록 하는 단계(S210); 상기 미세사 끈(D)을 제 3롤러(110)에 통과시키며 3차 압착시키는 단계(S220); 상기 미세사 끈(D)을 제 1권취장치(120)로 와인딩하는 단계(S230); 상기 제 1권취장치(120)에 권취되어 있는 미세사 끈(D)을 풀은 후, 다시 꼬으면서 제 2권취장치(130)를 통해 재와인딩 하되, 꼬임이 풀어지지 않도록 꼬임작업시 접착코팅제(β)를 분사함으로써 결속용 끈(E)을 형성하는 단계(S240); 상기 결속용 끈(E)을 병충해 방지액(H)에 디핑한 후 꺼내어, 끈을 완성하는 단계(S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트끈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결속용 끈을 사용하되, 다수의 끈이 횡과 종방향을 향해 등간격 이격설치되며 다수의 격자형태로 결속되어 네트(N)를 형성하는 다수의 끈부재(200); 상기 네트(N)의 다수 격자공간 중,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 내 상측에 횡방향으로 엮이는 제 1보조끈(210); 상기 네트(N)의 다수 격자공간 중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 내 하측에 횡방향으로 엮으로 제 2보조끈(220); 상기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내 제 1, 2보조끈(210, 220) 사이에서 횡방향을 향해, 상호간 수평을 이루며 엮이는 다수의 제 3보조끈(230); 상기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내에 횡방향으로 엮여져 설치됨으로써, 네트(N) 설치시 고정물체에 묶여지는 고정끈(240); 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조되는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는 다수의 끈부재(200), 제 1보조끈(210), 제 2보조끈(220), 제 3보조끈(230), 고정끈(240)을 포함한다.
상기 끈부재(200)는 네트(N)를 이루는 기본적인 끈으로, 다수의 끈이 횡과 종방향을 향해 상호간 등간격 이격배치되며 엮여, 다수의 격자 형태를 이루는 통상의 네트(N)를 구성하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다수 끈부재(200)로 이루어지는 네트(N)는 다수의 격자형태를 이루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네트(N)의 폭방향 최상단측 격자부분(격자공간, A) 및 최하단측 격자부분(격자공간, B) 부분에 후술될 제 1, 2, 3보조끈(210, 220, 230)을 적용하여, 네트(N)를 설치시, 상단부분이 하단으로 쳐지거나, 하단부분이 도로로 진입하려는 야생동물에 의해 손쉽게 들리면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상기 제 1보조끈(2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끈부재(200)로 이루어지는 네트(N) 중 최상단측 격자공간(A)(상호간 네트(N)의 폭방향을 향해 다수 이격설치되는 끈부재(200) 중, 최상단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횡방향 끈부재(200) 사이의 공간)과, 최하단측 격자공간(B)(상호간 네트(N)의 폭방향을 향해 다수 이격설치되는 끈부재(200) 중, 최하단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횡방향 끈부재(200) 사이의 공간)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 1보조끈(210)은 네트(N)의 최상단측 격자공간(A)과 최하단측 격자공간(B) 내, 상단부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끈부재(200) 중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최상단 끈부재(200)와 인접해있는 구성을 가진다.
물론, 이러한 제 1보조끈(210)은 횡방향 설치된 끈부재(20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종방향 끈부재(200)에 순차적으로 엮여져 네트(N)에 일체가 되도록 설치됨은 당연하며, 이는 후술될 제 2보조끈(220) 및 제 3보조끈(230), 고정끈(240)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제 2보조끈(220)은 제 1보조끈(210)과 마찬가지로, 네트(N)의 최상단측 격자공간(A)과 최하단측 격자공간(B) 내에 각각 설치되되, 제 1보조끈(210)이 격자공간(A) 내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다면, 제 2보조끈(220)은 격자공간(A) 내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제 1보조끈(210)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로써, 제 2보조끈(220)은 끈부재(200) 중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단에서 두번째 끈부재(200)와 인접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 3보조끈(230)은 전술된 제 1, 2보조끈(210, 220)과 마찬가지로, 네트(N)의 최상단측 격자공간(A)과 최하단측 격자공간(B) 내에 각각 설치되되, 이러한 네트(N)의 최상단측 격자공간(A)과 최하단측 격자공간(B) 내 제 1, 2보조끈(210, 220) 사이에 횡방향을 향해 엮여지면서 네트(N)의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간 이격 설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즉, 제 3보조끈(230)은 전술된 제 1, 2보조끈(210, 220)과 함께, 네트(N) 설치시 쳐짐이 발생되는 네트(N)의 상단부의 구조를 보강하고, 야생동물에 의해 손쉽게 상부로 들려 개방되는 네트(N)의 하단부의 구조를 보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끈(240)은 전술된 제 1, 2, 3보조끈(210, 220, 230)이 설치된 네트(N)의 최상단측 격자공간(A) 과 최하단측 격자공간(B) 내에 횡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네트(N)의 양단측으로 소정길이가 각각 돌출되어, 네트(N) 설치시 이렇게 네트(N)의 양측으로 돌출된 양측 상, 하측 고정끈(240)을 다양한 고정체 또는 별도로 고속도로 양측에 설치된 고정체(ex: 기둥, 말뚝 등)에 묶여지면서, 네트(N)가 펼쳐지며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끈(끈부재(200), 제 1, 2, 3보조끈(210, 220, 230), 고정끈(240))은 하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가 된다.(도 3에 도시)
1. 끈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복수개 또는 다수의 재료를 배합기(1)를 통해 한곳에 사용자가 소정비율로 섞는 단계로서, 본 발명에서는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와 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를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비율(ex: HDPE 70중량%(±10중량%), PP 30중량%(±10중량%) 또는 HDPE 30중량%(±10중량%), PP 70중량%(±10중량%))로 배합하여 배합물(A)을 만든다. 물론, 사용자에 따라서는 그 배합율이 상이해질 수도 있음이다.(100단계)
2. 상기 S100단계 후, 상기의 배합기(1)를 이용하여 섞인 배합물(A)을 이송장치(2)를 통해 자동호퍼(10)에 투입한다.(S110단계)
3. 상기 S110 단계 후, 상기 배합물(A)이 자동호퍼(10)의 하단에 연통연결된 실린더형 가열로(2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배합물(A)은 실린더형 가열로(20)에 설치되는 다양한 가열수단(ex:외부장착형 히터 등)에 의해 가열되면서(상기 가열수단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실린더형 가열로(20)의 외부에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실린더형 가열로(20)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해 가열 믹싱되며 압출 다이스(30)로 이동된다. (S120단계)
4. 상기 S120 단계 후, 상기 실린더형 가열로(20)에 의해 믹싱된 배합물(A)을 압출 다이스(30)에 전달하여, 상기 압출 다이스(30)의 개구된 상부측을 향해 소정의 형상,(본 발명에서는 원통관 형상을 가진다.)을 가지는 압출물(B)로 압출한다. 이때, 상기 압출 다이스(30) 내주연의 요철부에 의해 압출되는 압출물(B)의 표면에도 요철이 형성된다. (S130단계)
5. S130 단계 후, 상기 압출 다이스(30)의 상부로 압출되어지는 압출물(B)은 압출됨과 동시에 압출 다이스(30) 내로 바람을 불어주는 별도의 공냉장치(ex: 송풍기 등)를 가동시켜 압출물(B)을 공냉시킨다. (S140단계)
6. 상기 S140 단계 후, 상기 압출 다이스(30)로부터 압출된 압출물(B)을 원통관 형태의 압착롤러(40)의 외주연에 접촉시켜 눌려져 이송시킴으로써, 원통관 형상의 압출물(B)이 이송되는 길이방향으로 접히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재 형상이 되도록 한다. (S150단계)
7. 상기 S150 단계 후, 상기 압착롤러(40)에 의해 압착되어 판재 형상이 된 압출물(B)을 다수의 절개날이 형성된 절개장치(50)의 하단으로 이송시켜 횡방향으로 다수 절개함으로써, 상기 다수개의 절개날 이격간격 만큼의 폭을 가지는 다수의 압출물(B)을 형성한다.(S160단계)
8. 상기 S160 단계 후, 상기 절개장치(50)를 통해 다수개로 절개된 다수의 압출물(B)을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진 제 1롤러(60)로 통과시켜 1차 압착시킨다. (S170단계)
9. 상기 S170 단계 후, 상기 제 1롤러(60)를 통과하면서 1차 압착된 상기 다수개의 압출물(B)을 소정온도(본 발명에서는 100℃로 가열하였지만, 가열온도 또한 상기 압출물(B)이 인장될 수 있는 온도라면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할 것이다.)로 가열된 연신판(70) 상면으로 이송시키며 인장시킨다. (S180단계)
10. 상기 S180 단계 후, 상기 각각의 압출물(B)을 압축판(80)의 압축홈으로 통과시켜, 상기 압출물(B)이 상기 압축홈으로 각각 통과하면서 폭이 좁아지며 끈(C) 형상이 되도록 압축시킨다. (S190단계)
11. 상기 S190 단계 후, 상기 압축판(80)을 통과한 다수의 끈(C)을 제 1롤러(60)와 동일한 작용 및 구성을 가지는 제 2롤러(90)에 통과시켜 2차 압착시킨다. (S200단계)
12. 상기 S200 단계 후, 상기 제 2롤러(90)에 의해 압착된 다수의 상기 끈(C)을 미세절개장치(100)에 이송시켜, 상기 미세절개장치(100)의 외주연에 무수히 돌출되어 있는 미세바늘에 의해 무수한 가닥으로 각각 절개되어 미세사 끈(D)이 되도록 한다. (S210단계)
13. 상기 S210 단계 후, 상기 미세절개장치(100)를 거친 미세사 끈(D)을 제 1롤러(60) 또는 제 2롤러(90)와 동일한 효과 및 구성을 가지는 제 3롤러(110)로 통과시켜 3차 압착시킨다. (S220단계)
14. 상기 S220 단계 후, 상기 제 3롤러(110)를 통과한 미세사 끈(D)을 제 1권취장치(120)로 와인딩한다. (S230단계)
15. 상기 S230 단계 후, 상기 제 1권취장치(120)에 권취되어 있는 미세사 끈(D)을 풀은 후, 다시 꼬으면서 제 2권취장치(130)를 통해 재와인딩 하되, 꼬임이 풀어지지 않도록 꼬임작업시 접착코팅제를 분사장치로(140)로 분사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끈부재(200), 제 1, 2, 3보조끈(210, 220, 230), 고정끈(240)로 사용되는 결속용 끈(E)을 형성한다. (S240단계)
(더불어, 상기 S240 단계 후, 상기 결속용 끈(E)을 사용자가 선택한 다양한 병충해 방지액(H)에 디핑한 후 꺼내어, 작물보호 및 결속용 끈(E)을 완성으로 완성할수도 있음이다. (S250단계))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00: 끈부재 210: 제 1보조끈
220: 제 2보조끈 230: 제 3보조끈
240: 고정끈
A: 최상단측 격자공간 B: 최하단측 격자공간
N: 네트

Claims (2)

  1. 야생동물의 침입방지를 위해 도로 양측에 설치되는 네트에 있어서,
    다수의 끈이 횡과 종방향을 향해 등간격 이격설치되며 다수의 격자형태로 결속되어 네트(N)를 형성하는 다수의 끈부재(200);
    상기 네트(N)의 다수 격자공간 중,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 내 상측에 횡방향으로 엮이는 제 1보조끈(210);
    상기 네트(N)의 다수 격자공간 중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 내 하측에 횡방향으로 엮으로 제 2보조끈(220);
    상기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내 제 1, 2보조끈(210, 220) 사이에서 횡방향을 향해, 상호간 수평을 이루며 엮이는 다수의 제 3보조끈(230);
    상기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내에 횡방향으로 엮여져 설치됨으로써, 네트(N) 설치시 고정체에 묶여지는 고정끈(2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2. 야생동물의 침입방지를 위해 도로 양측에 설치되는 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HDPE(High-density polyethylene)와 PP(polypropylene)를 배합기(1)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비율로 배합하여 배합물(A)을 만드는 단계(S100);
    상기 배합물(A)을 이송장치(2)를 통해 자동호퍼(10)에 투입하는 단계(S110);
    상기 배합물(A)을 실린더형 가열로(20)에서 녹이며 믹싱시키는 단계(S120);
    상기 배합물(A)을 압출 다이스(30)를 통해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압출물(B)로 압출하는 단계(S130);
    상기 압출물(B)을 공냉시키는 단계(S140);
    상기 압출물(B)을 압착롤러(40)를 이용하여 판재 형상으로 압착하는 단계(S150);
    상기 압출물(B)을 절개장치(50)에 의해 횡방향으로 다수 절개하는 단계(S160);
    상기 다수개의 압출물(B)을 제 1롤러(60)를 통해 1차 압착시키는 단계(S170);
    상기 다수개의 압출물(B)을 소정온도로 가열된 연신판(70) 상면으로 이송시키며 인장시키는 단계(S180);
    상기 다수개의 압출물(B)을 압축판(80)의 압축홈(82)으로 통과시켜, 압출물(B)이 폭이 좁아지며 끈(C) 형상이 되도록 압축시키는 단계(S190);
    상기 끈(C)을 제 2롤러(90)에 통과시켜 2차 압착시키는 단계(S200);
    상기 끈(C)을 미세절개장치(100)에 이송시켜, 미세바늘(101)에 의해 무수히 절개되는 미세사 끈(D)이 되도록 하는 단계(S210);
    상기 미세사 끈(D)을 제 3롤러(110)에 통과시키며 3차 압착시키는 단계(S220);
    상기 미세사 끈(D)을 제 1권취장치(120)로 와인딩하는 단계(S230);
    상기 제 1권취장치(120)에 권취되어 있는 미세사 끈(D)을 풀은 후, 다시 꼬으면서 제 2권취장치(130)를 통해 재와인딩 하되, 꼬임이 풀어지지 않도록 꼬임작업시 접착코팅제(β)를 분사함으로써 결속용 끈(E)을 형성하는 단계(S240);
    상기 결속용 끈(E)을 병충해 방지액(H)에 디핑한 후 꺼내어, 끈을 완성하는 단계(S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트끈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결속용 끈을 사용하되,
    다수의 끈이 횡과 종방향을 향해 등간격 이격설치되며 다수의 격자형태로 결속되어 네트(N)를 형성하는 다수의 끈부재(200);
    상기 네트(N)의 다수 격자공간 중,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 내 상측에 횡방향으로 엮이는 제 1보조끈(210);
    상기 네트(N)의 다수 격자공간 중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 내 하측에 횡방향으로 엮으로 제 2보조끈(220);
    상기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내 제 1, 2보조끈(210, 220) 사이에서 횡방향을 향해, 상호간 수평을 이루며 엮이는 다수의 제 3보조끈(230);
    상기 최상, 하단측 격자공간(A, B)내에 횡방향으로 엮여져 설치됨으로써, 네트(N) 설치시 고정물체에 묶여지는 고정끈(240);
    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조되는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의 제조방법.
KR1020150043008A 2015-03-27 2015-03-27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5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008A KR20160115406A (ko) 2015-03-27 2015-03-27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008A KR20160115406A (ko) 2015-03-27 2015-03-27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406A true KR20160115406A (ko) 2016-10-06

Family

ID=5716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008A KR20160115406A (ko) 2015-03-27 2015-03-27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54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486B1 (ko) 2007-11-16 2010-09-02 이상진 소형동물 차단재가 구비된 가드레일을 이용한 로드킬방지용 가드펜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486B1 (ko) 2007-11-16 2010-09-02 이상진 소형동물 차단재가 구비된 가드레일을 이용한 로드킬방지용 가드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3866B1 (de) Funktionaler folientunnel, insbesondere sich selbst aufrichtende struktu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2843520A1 (de) Kunststoffnetz, verfahren zum stabilisieren einer ladung auf einer palette mit hilfe eines solchen kunststoffnetzes sowie mit einem solchen kunststoffnetz umhuellte palettierte ladung
DE2649094A1 (de) Zaunpfahl und mit mehreren zaunpfaehlen hergestelltes gatter
WO2003041288A2 (de) Schutzhülle für elektronische kleingeräte
DE60121154T2 (de) Verfahren zum schutz von elektrischen kabelverbindungen, schutzschicht für solche verbindungen und auf diese weise geschützte verbindungen
KR101729070B1 (ko)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시각자극형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
CH707641B1 (de) Pflanzenschutzhülle.
KR20160115406A (ko) 야생동물 침입방지용 네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4057259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elementen aus latentwärmespeicherndem material
DE102010048840A1 (de) Vorrichtung zur Rücknahme von Leergut, insbesondere von Kunststoffflaschen und Metalldosen
DE102011018209B4 (de) Köderbox zum Bekämpfen von Schadnagern
US20130180169A1 (en) Canopy material
US8343599B2 (en) Surface covering for melting ice and snow
KR20140147304A (ko) 절취끈이 구성된 멀칭필름 및 이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DE202012104304U1 (de) Spaltenbodenelement zur Herstellung eines Spaltenbodens für Tierställe
EP3378625A2 (en) Safety protector for protecting fences and manufacturing method
DE2611818B2 (de) Rolladen zum Abdecken von Flüssigkeitsbecken und zum gleichzeitigen Erwärmen der im Becken enthaltenen Flüssigkeit
DE2536209A1 (de) Klappbares tablett an rueckenlehnen von kraftfahrzeugen
DE202010009716U1 (de) Schutzmanschette für Bäume
DE602004005490T2 (de) Päckchenverschlussanordnung, so erhaltenes päckchen und herstellungsverfahren und -maschine
DE202013100909U1 (de) Elektroschockvorrichtung
EP0309972B1 (de) Gewölbtes Firstabdichtungs- und Belüftungselement
DE2739165C2 (de) Abwehrvorrichtung gegen das Eindringen von bodengebundenen Schädlingen in schutzbedürftige Anlagen
DE202006011827U1 (de) Abdeckung für Gemüsekulturen
AT8263U1 (de) Abferkelbuc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